KR19990005645U -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645U
KR19990005645U KR2019970019000U KR19970019000U KR19990005645U KR 19990005645 U KR19990005645 U KR 19990005645U KR 2019970019000 U KR2019970019000 U KR 2019970019000U KR 19970019000 U KR19970019000 U KR 19970019000U KR 19990005645 U KR19990005645 U KR 199900056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eal
coupled
absorbing structure
cen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복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70019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645U/ko
Publication of KR199900056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645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격 흡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부품수를 감소하여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아웃터 사이드 실과 공간을 형성하면서 결합된 인너사이드 실(60)에 수직 방향으로 센터 크로스멤버(40)와 센터 플로워 패널(10)이 결합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에 있어서, 인너 사이드 실(60)은, 그 하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센터 플로워 패널(10)에 용접 고정되는 플랜지(61)가 연장되며, 그 일단은 프론트 플로워 패널(20)과 결합되도록 프론트 방향을 향하여 길게 연장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측면 충격 흡수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있어서, 측면 충격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매우 고속으로 주행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충돌 시의 탑승자 안전이 매우 크게 요구되는 바, 특히 승용차의 경우 패널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모노코크 보디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보다 많은 안정성이 요구된다.
즉, 정면 또는 측면 충돌 시 자동차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사람의 안전이 매우 중요하게 되기 때문에 자동차 설계 시 보디의 충격에 대한 강성이 중요점이 되는 것이다.
이때 자동차의 측면 충돌 시 탑승자와 도어의 사이가 정면에 비해 매우 가깝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충격에도 탑승자의 부상이 발생됨으로써 이에 대한 보디 보강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이와같이 측면 충돌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도어의 저면측 보디에는 사이드 실이 위치되어 있는 바, 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플로우 패널(10)과 프론트 플로워 패널(20) 및 리어 플로워 패널(30)이 결합되어 하나의 플로워를 이루게 되며, 특히 센터 플로워 패널(10) 양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아웃터 사이드 실과 소정의 공간부를 이루는 인너 사이드 실(1)이 결합된다.
한편, 인너 사이드 실(1) 사이에는 크로스 멤버(40)가 직교되도록 결합되며, 그 선단부에는 프론트 플로워 패널(20)과 결합된 프론트 사이의 실(2)이 결합된다.
또한 인너 사이드 실(1)의 일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보디를 이루고 있는 센터 필러(50)가 결합된다.
따라서 측면에서 충격 발생 시 아웃터 사이드 실을 통해 인너 사이드 실(2)에 충격이 전달되고, 동시에 센터 플로워 패널(10)과 크로스 멤버(40)에 충격이 전달됨으로써, 충격량이 분산 흡수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측면 충격 흡수구조에 있어서는, 인너 사이드 실(1)과 프론트 사이드 실(2)간의 결합부위가 매우 취약함으로써 측면 충돌시 쉽게 파손되게 되어 충돌 흡수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으며, 특히 사이드 실이 복수 구비되어야 함으로써 단가상승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충격 흡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부품수를 감소하여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는, 아웃터 사이드 실과 공간을 형성하면서 결합된 인너 사이드 실에 수직 방향으로 크로스 멤버와 센터 플로워 패널이 결합되어 있는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너 사이드 실은, 그 하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에 용접 고정되는 플랜지가 연장되며, 그 일단은 프론트 플로워 패널과 결합되도록 프론트 방향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측면 충격 흡수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 측면 충격 흡수구조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센터 플로워 패널20:프론트 플로워 패널
30:리어 플로워 패널40:크로스 멤버
50:센터 필러60:인너 사이드 실
61:플랜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측면 충격 흡수구조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요부 발췌 사시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동일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측면 충격 흡수구조는, 센터 플로워 패널(10)과 프론트 플로워 패널(20) 및 리어 플로우 패널(30)이 결합되어 하나의 플로워를 이루게 되며, 특히 센터 플로워 패널(10) 양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아웃터 사이드 실과 소정의 공간부를 이루는 인너 사이드 실(6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 실(60)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그 하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센터 플로워 패널(10)의 일측면에 용접 고정되도록 플랜지(61)가 연장 형성되며, 특히 그 선단부는 프론트 플로워 패널(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다. 즉, 프론트 플로워 패널(20)에는 별도의 프론트 사이드 실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인너 사이드 실(60)에 직접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같이 하나의 인너 사이드 실(60)에 센터 플로워 패널(10)과 프론트 플로워 패널(20)을 함께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그 로딩(loading) 과정을 달리하여야 한다. 즉, 프론트 플로워 패널(20)과 리어 플로워 패널(30) 및 센터 플로워 패널(10)을 순차적으로 로딩시킨 후, 최종적으로 인너 사이드 실(60)을 로딩 시켜야만 한다.
이때 인너 사이드 실(60)은 최종적으로 로딩 시킴에 있어서는, 크로스 멤버(40)를 인너 사이드 실(60)에 결합하여 하나의 단품화를 도모한 상태에서 상호간을 결합시켜야 한다.
미설명 부호(50)는 사이드 보디를 이루고 있으며, 인너 사이드 실(6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센터 필러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인너 사이드 실(60)상에는 별도의 프론트 사이드 실과 결합되는 용접 부위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측면 충돌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측면 충돌시 도시되지 않은 아웃터 사이드 실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이 인너 사이드 실(60)을 통해 충분히 흡수된채 크로스 멤버(40)와 센터 플로워 패널(10)상으로 전달되는 것이기 때문에 충격 흡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에 의하면, 하나의 인너 사이드 실에 프론트 및 센터 플로워 패널이 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용접 부위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측면 충돌시 충격에 의한 결합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 흡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부품수가 감소된 것이기 때문에 단가절감을 도모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아웃터 사이드 실과 공간을 형성하면서 결합된 인너 사이드 실에 수직 방향으로 크로스 멤버와 센터 플로워 패널이 결합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너 사이드 실은, 그 하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센터 플로워 패널에 용접 고정되는 플랜지가 연장되며, 그 일단은 프론트 플로워 패널과 결합되도록 프론트 방향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사이드 실은 크로스 멤버가 고정된채 센터 플로워 패널에 최종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
KR2019970019000U 1997-07-18 1997-07-18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 KR199900056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000U KR19990005645U (ko) 1997-07-18 1997-07-18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000U KR19990005645U (ko) 1997-07-18 1997-07-18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645U true KR19990005645U (ko) 1999-02-18

Family

ID=69698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000U KR19990005645U (ko) 1997-07-18 1997-07-18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564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5645U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
KR100309612B1 (ko) 고강성구조를가지는자동차의실사이드실
KR200158291Y1 (ko) 자동차의 정면 충돌 흡수구조
KR100214699B1 (ko) 차량 프런트 범퍼의 보강구조
KR200149568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200143784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부 보강구조
KR100368398B1 (ko) 자동차의 플로워패널 보강구조
KR100250279B1 (ko) 차량의 오프셋 충돌 보강구조
KR200158292Y1 (ko) 자동차의 사이드 멤버 보강구조
KR0184173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9980038592U (ko) 차량의 로커패널
KR200145075Y1 (ko) 자동차의 후방 충격 흡수구조
KR200224109Y1 (ko) 차량용 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
KR200219635Y1 (ko) 지프형 차량의 프레임
KR200245879Y1 (ko) 차량의바디사이드실구조
KR100188154B1 (ko) 자동차 리어측면도어의 충격흡수용 보강재
KR0139596Y1 (ko) 자동차의 후방 충격 흡수 구조
KR100339236B1 (ko) 자동차의 충돌 충격 완화 장치
KR200203093Y1 (ko) 차량용 대시보드 보강구조
KR19980042048U (ko) 승용차량용 도어 하부 강성구조
KR19980041411A (ko) 자동차의 프론트바디
KR19980027993A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측면강성 보강구조
KR19980025671U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구조
KR19980011465U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19990010675A (ko)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라디에이터 서포트 로어 멤버의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