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1011U - 3헤드형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 - Google Patents

3헤드형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1011U
KR19990001011U KR2019970014392U KR19970014392U KR19990001011U KR 19990001011 U KR19990001011 U KR 19990001011U KR 2019970014392 U KR2019970014392 U KR 2019970014392U KR 19970014392 U KR19970014392 U KR 19970014392U KR 19990001011 U KR19990001011 U KR 199900010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variable
mounter
timing bel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9712Y1 (ko
Inventor
김도균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2019970014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71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1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7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Abstract

본 고안은 3헤드형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운팅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헤드의 양측에 제1,제2 가변헤드를 타이밍 벨트의 동일측에 결합시키게 되면, 각 가변헤드의 간격은 물론 이동방향이 불변하게 되어 결국 헤드이송모터의 회전방향을 자주 변경시키면서 각 가변헤드의 간격 및 방향을 조정하여야 하거나 또는 아예 제2 가변헤드의 이동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제2 헤드이송모터 등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헤드이송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타이밍 벨트의 일측에 제1 가변헤드를 고정시키는 한편 그 타이밍 벨트의 타측에 제2 가변헤드를 고정시켜 상기 헤드이송모터의 회전에 따라 제1,제2 가변헤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마운터의 실장시간을 단축시는 것은 물론 별도의 모터 등을 부가하지 않게 되어 마운터의 실장효율을 향상시키는 것과 아울러 장비의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3헤드형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
본 고안은 디바이스를 피씨비에 옮겨주는 3헤드형 마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헤드이송모터로 고정헤드의 양측에 장착된 각 가변헤드를 양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데 적합한 3헤드형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제품들이 점차로 경박단소화 및 다기능화되어 감에 따라 디바이스 등을 피씨비(PCB)에 고집적화로 고속 실장하기 위한 장비들이 지속적으로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장비들 중에서 각 부품을 피씨비에 안착시키기 위한 장비를 통상 마운터라고 한다.
상기 마운터에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헤드가 장착되어 있고, 그 각 헤드마다에는 진공노즐이 구비되어 있어 해당 디바이스를 피더(Feeder)로부터 흡착하여 피씨비의 해당 위치에 옮겨놓게 되어 있다. 이때, 피더에 준비된 각 디바이스간의 간격과 피씨비의 실장간격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각 헤드가 피더로부터 디바이스를 흡착한 이후에 소정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피씨비의 실장위치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하나 이상의 헤드가 구비된 마운터에서는 통상 각 헤드를 평면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헤드이송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헤드이송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하여 2헤드형 마운터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2헤드형 마운터는 각각 진공노즐(1a,1a')이 하측으로 장착된 2개의 헤드(1,1')가 통상 Y테이블(미도시)의 상측에 결합되는 X테이블(이하, 헤드 샤프트로 통칭함)(2)에 결합되고, 그 헤드(1,1')중에서 하나의 헤드(1)가 타이밍 벨트(3)와 결합되며, 그 타이밍 벨트(3)는 하나의 헤드이송모터(4)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풀리(5)와 소정 구조물에 고정된 종동풀리(6)에 감겨져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이밍 벨트(3)와 결합되어 헤드이송모터(4)의 회전방향에 따라 헤드 샤프트(2)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헤드를 가변헤드(1)라고 하는 반면에 상기 헤드 샤프트(2)에 고정 결합되는 헤드를 고정헤드(1')라고 하는데, 상기 가변헤드(1)가 타이밍 벨트(3)와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하여는 가변헤드(1)의 일측면에 고정블록(1b)이 형성되고, 그 고정블록(1b)의 단부에는 타이밍 벨트(3)가 압착 개재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B는 체결나사, D는 디바이스이다.
상기와 같이 2헤드형 종래의 마운터에 있어서, 소정의 디바이스를 피씨비로 이송시키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헤드(1,1')의 진공노즐(1a,1a')이 하강하여 피더(미도시)에서 디바이스(D)를 진공 흡착한 다음에 그 진공노즐(1a,1a')이 다시 상승하고, 이어서 가변헤드(1)가 이미 동작제어부에 의해 한정된 범위만큼 이동하면서 피씨비(미도시)의 소정위치에 디바이스(D)를 내려놓게 되는 것이었다.
이때, 상기 가변헤드(1)는 헤드이송모터(4)가 동작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한정된 방향으로 소정량만큼 회전하게 되면, 그 모터(4)와 함께 타이밍 벨트(3)가 구동풀리(5)와 종동풀리(6)의 사이에서 감겨 회전하게 되고, 그 타이밍 벨트(3)에 견고하게 결합된 가변헤드(1)가 상기 헤드이송모터(4)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 또는 우로 이동하면서 피씨비(미도시)의 소정위치에 디바이스(D)를 옮겨놓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2헤드형 마운터에 있어서는 가변헤드(1)가 타이밍 벨트(3)에 고정 결합되어 헤드이송모터(4)의 회전방향에 따라 소정량만큼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나, 이때 마운팅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헤드(1')의 양측에 각각 가변헤드(미부호)를 타이밍 벨트(3)의 동일측(도면상에선 이완측)에 결합시키게 되면, 각 가변헤드의 간격은 물론 이동방향이 불변하게 되어 결국 헤드이송모터(4)의 회전방향을 자주 변경시키면서 각 가변헤드의 간격 및 방향을 조정하여야 하거나 또는 아예 제2 가변헤드(미부호)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한 제2 모터 등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데, 전술한 헤드이송모터(4)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자주 변경시키는 방안은 모터 등에 무리가 가해지게 되는 것은 물론 각 가변헤드가 불필요하게 이동하는 시간이 추가되어 실장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후술한 별도의 헤드이송모터를 부가하는 경우는 장비의 비대화는 물론 생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헤드이송장치가 가지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3개의 헤드를 가지는 마운터에 있어서, 하나의 헤드이송모터로 고정헤드의 양측에 각각 별개로 장착되는 제1,제2 가변헤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하여 마운터의 실장효율을 향상시키는 것과 아울러 장비의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2헤드형 마운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2는 2헤드형 마운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3은 2헤드형 마운터에 있어서, 종래 헤드이송장치의 동작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3헤드형 마운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5는 3헤드형 마운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6은 3헤드형 마운터에 있어서, 본 고안 헤드이송장치의 동작을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 샤프트 21 : 고정헤드
22,23 : 제1,제2 가변헤드 22a,23a : 고정블록
23b : 벨트 관통공 30 : 헤드이송모터
41,42 : 구동,종동풀리 50 : 타이밍 벨트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헤드 샤프트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헤드의 양측에 각각 제1,제2 가변헤드가 상기 헤드 샤프트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각 가변헤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정의 디바이스를 진공 흡착하여 피씨비에 옮겨놓는 3헤드형 마운터에 있어서, 소정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의 헤드이송모터와, 그 헤드이송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모터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그 구동풀리와 소정간격을 두고 구조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감아 연결시키며 그 일측에 제1 가변헤드의 고정블록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한편 타측에는 제2 가변헤드의 고정블록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타이밍 벨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헤드형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3헤드형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3헤드형 마운터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헤드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헤드이송장치가 구비된 3헤드형 마운터는, 통상 작업대(미도시)의 상측에 얹히는 X,Y테이블(미도시)중에서 X테이블에 해당하는 헤드 샤프트(10)에 고정헤드(21)가 고정 결합되고, 그 고정헤드(21)의 양측에는 각각 제1,제2 가변헤드(22,23)가 상기 헤드 샤프트(10)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그 각 가변헤드(22,2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정의 디바이스(D)를 진공 흡착하여 피씨비(미도시)에 옮겨놓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각 가변헤드(22,23)를 구동시키는 하나의 헤드이송모터(30)가 소정의 구조물(미도시)에 고정 설치되고, 그 헤드이송모터(30)의 회전축에는 구동풀리(41)가 결합되어 모터(30)와 함께 회전하며, 그 구동풀리(41)와 소정간격을 두고 종동풀리(42)가 구조물(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풀리(41)와 종동풀리(42)는 그 일측에 제1 가변헤드(22)의 고정블록(22a)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한편 타측에는 제2 가변헤드(23)의 고정블록(23a)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타이밍 벨트(50)에 의해 연동되도록 감겨 연결된다.
상기 제1 가변헤드(22)의 고정블록(22a)은 가변헤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편(22a-1)과, 그 고정편(22a-1)의 측단면에 체결되어 타이밍 벨트(50)의 일측(도면에선 이완측)이 압착 개재되도록 하는 덮개편(22a-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가변헤드(23)의 고정블록(23a)은 가변헤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편(23a-1)과, 그 고정편(23a-1)의 측단면에 체결되어 타이밍 벨트(50)의 일측(도면에선 긴장측)이 압착 개재되도록 하는 덮개편(23a-2)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 가변헤드의 고정블록(23a) 중간부에는 상기 타이밍 벨트(50)의 일측(도면에선 이완측)(51)이 제2 가변헤드(23)의 고정블록(23a)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벨트 관통공(23b)이 형성된다.
도면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4는 진공노즐, B는 체결나사이다.
상기와 같이 3헤드가 구비된 마운터에 있어서의 본 고안에 의한 헤드이송장치는, 상기 헤드이송모터(30)가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모터(30)의 회전에 의해 제1 가변헤드(22)는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반면에 제2 가변헤드(23)는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각각의 헤드(21,22,23)에 흡착된 디바이스(D)를 피씨비의 해당위치로 적절히 옮겨놓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헤드이송모터(30)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타이밍 벨트(50)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타이밍 벨트(50)의 이완측(51)에 결합된 제1 가변헤드(22)가 헤드 샤프트(10)를 따라 도면의 좌측으로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타이밍 벨트(50)의 긴장측(52)에 결합된 제2 가변헤드(23)가 헤드 샤프트(10)를 따라 도면의 우측으로 직선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헤드이송모터(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타이밍 벨트(50)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타이밍 벨트(50)의 일측(벨트의 회전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이때는 긴장측이 됨)(51)에 결합된 제1 가변헤드(22)가 헤드 샤프트(10)를 따라 도면의 좌측으로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타이밍 벨트(50)의 타측(벨트의 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이때는 이완측이 됨)(52)에 결합된 제2 가변헤드(23)가 헤드 샤프트(10)를 따라 도면의 우측으로 직선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가변헤드(23)의 고정블록(23a)은 그 중간부에 형성된 벨트 관통공(23b)에 의해 상기 타이밍 벨트(50)의 일측(51)이 제2 가변헤드(23)의 고정블록(23a)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2헤드형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는, 하나의 헤드이송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타이밍 벨트의 일측에 제1 가변헤드를 고정시키는 한편 그 타이밍 벨트의 타측에 제2 가변헤드를 고정시켜 상기 헤드이송모터의 회전에 따라 제1,제2 가변헤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마운터의 실장시간을 단축시는 것은 물론 별도의 모터 등을 부가하지 않게 되어 마운터의 실장효율을 향상시키는 것과 아울러 장비의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헤드 샤프트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헤드의 양측에 각각 제1,제2 가변헤드가 상기 헤드 샤프트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각 가변헤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정의 디바이스를 진공 흡착하여 피씨비에 옮겨놓는 마운터에 있어서, 소정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의 헤드이송모터와, 그 헤드이송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모터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그 구동풀리와 소정간격을 두고 구조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감아 연결시키며 그 일측에 제1 가변헤드의 고정블록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한편 타측에는 제2 가변헤드의 고정블록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타이밍 벨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헤드형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1 가변헤드의 고정블록이 결합되는 타이밍 벨트의 일측이 제2 가변헤드의 고정블록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2 가변헤드의 고정블록 중간부에 벨트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헤드형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
KR2019970014392U 1997-06-14 1997-06-14 3헤드형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 KR200169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392U KR200169712Y1 (ko) 1997-06-14 1997-06-14 3헤드형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392U KR200169712Y1 (ko) 1997-06-14 1997-06-14 3헤드형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011U true KR19990001011U (ko) 1999-01-15
KR200169712Y1 KR200169712Y1 (ko) 2000-02-01

Family

ID=1950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392U KR200169712Y1 (ko) 1997-06-14 1997-06-14 3헤드형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7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039B1 (ko) * 2001-06-12 2004-08-04 이근우 반도체 장치의 픽업 장치
KR100881226B1 (ko) * 2007-06-15 2009-02-05 최무송 자동 피치가변형 다축 툴 헤드
KR100981609B1 (ko) * 2008-07-18 2010-09-10 한국기계연구원 벨트 기구를 이용하는 간격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031B1 (ko) * 2012-09-24 2017-03-07 (주)테크윙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039B1 (ko) * 2001-06-12 2004-08-04 이근우 반도체 장치의 픽업 장치
KR100881226B1 (ko) * 2007-06-15 2009-02-05 최무송 자동 피치가변형 다축 툴 헤드
KR100981609B1 (ko) * 2008-07-18 2010-09-10 한국기계연구원 벨트 기구를 이용하는 간격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712Y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59833A1 (en) Printed circuit board transferring apparatus for chip mounter and printed circuit board transferr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0288969A (ja) 表面実装機のマウンタヘッド
US6892446B2 (en) Surface mounting device with movable conveyors
KR100530743B1 (ko) 부품실장장치
KR200169712Y1 (ko) 3헤드형 마운터의 헤드이송장치
JPH06275991A (ja) ワーク実装機
KR100445530B1 (ko) 반도체장치
JP2930378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KR100288198B1 (ko) 표면실장기의 마운터 헤드
KR20090092054A (ko) 기판 이송장치
KR20020060883A (ko) 표면실장장치의 컨베이어
KR0155794B1 (ko) 부품장착장치
JP3019886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KR100405109B1 (ko) 표면실장기의 마운터 헤드
US6901656B2 (en) Position control apparatus of feeder stage in surface mount device
KR100399023B1 (ko) 복수개의 갠트리가 구비된 표면실장기
KR200262970Y1 (ko) 표면실장기의 마운팅 헤드
KR100399020B1 (ko) 표면실장기의 마운터 헤드
JP2003163493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の装着ヘッド
JP3646418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3853043B2 (ja) 電子部品実装方法
KR0151738B1 (ko) 투 헤드간의 폭 조정 및 회로기판 회전형 칩 마운터
JP2007103458A (ja) 表面実装部品装着機の装着ヘッド
JPH07221491A (ja) プリント基板製造・検査装置の自動段取替装置
KR0151087B1 (ko) 부품실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