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3807A - 나사구멍위치인식방법 - Google Patents

나사구멍위치인식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3807A
KR19980703807A KR1019970707207A KR19970707207A KR19980703807A KR 19980703807 A KR19980703807 A KR 19980703807A KR 1019970707207 A KR1019970707207 A KR 1019970707207A KR 19970707207 A KR19970707207 A KR 19970707207A KR 19980703807 A KR19980703807 A KR 19980703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ensity
contour
concentr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9964B1 (ko
Inventor
미스즈 타카노
요시히로 이쯔자키
킨지 호리카미
카즈마사 오쿠무라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80703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4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8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2207/30164Workpiece; Machin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64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 Y10T29/49769Using optical instrument [excludes mere human eyeba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64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 Y10T29/49778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with aligning, guiding, or i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원형상의 나사구멍대상물을 촬상수단(1)에 의해 촬상해서 농담화상을 얻고, 이 농담화상상의 원형상의 윤곽에 동등한 윤곽주사와 이 윤곽주사에 직교하고 이 윤곽주사의 안팎의 화상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상관라인을 복수형성한 윤곽주사윈도에 의해서 상기 농담화상을 주사수단(3)에 의해 주사하고, 각 농도상관라인마다 소정수의 안쪽화상농도측정점으로 이루어진 안쪽농도상관라인의 측정농도계측치와 소정수의 바깥쪽화상농도측정점으로 이루어진 바깥쪽농도상관라인의 측정농도계측치와의 차의 절대치를 위치연산수단(4)에 의해 연산하고, 이 절대치가 소정농도임계치보다 큰 농도상관라인의 개수가 극대로 되는 상기 윤곽주사윈도의 위치를 대상물의 위치로서 검출하고, 편차량연산수단(5)에 의해 위아래구멍의 편차량을 산출하고, 위아래구멍의 편차량의 최소의 것부터 나사죄기를 행함으로써 다른 구멍의 편차량의 보정을 행한다.

Description

나사구멍위치인식방법
최근,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된 농담화상으로부터 대상물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인식방법이, 각종 생산설비에 있어서의 로봇의 시각인식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장치에 사용되는 위치인식방법중에서 나사구멍의 위치를 인식하는 경우의 종래예를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예의 위치인식방법을 사용하는 위치인식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이며, 이것은 원형대상물의 중심위치를 검출하는 경우이다. 도 5에 있어서, (20)은 도시생략의 대상물을 촬상해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수단, (21)은 상기 촬상수단(20)에 의해 촬상할 수 있게 된 영상신호를 농담화상데이터로서 기억하는 농담화상기억수단, (22)는 도 6에서 후술하는 윤곽주사윈도 A에 의해서 상기 농담화상데이터를 주사하는 농담화상주사수단에 의해 주사데이터를 얻는다. (23)은 상기 주사데이터를 사용해서 대상물의 위치를 연산하는 위치연산수단이다.
도 6은 도 5에서 사용하는 윤곽주사윈도 A의 구성을 표시하는 것이며, 도 6에 있어서, (24)는 원형대상물의 윤곽에 동등한 윤곽주사이고, (25)는, 이 윤곽주사(24)에 직교하고, 이 윤곽주사(24)의 안팎의 화상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상관라인이며, 윤곽주사윈도 A는 이 농도상관라인(25)을 복수형성한 윈도이다.
다음에 도 5에 표시한 위치인식장치에 있어서의 위치인식동작을 도 6의 윤곽주사윈도 A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촬상수단(20)에 의해 촬상된 영상신호(화상데이터)는 농담화상기억수단(21)에 기억된다. 이것은 원형대상물의 화상데이터이며, 이것을 농담화상주사수단(22)에 의해 도 6에 표시하는 바의 윤곽주사윈도 A에 의해 주사하여, 각 농담상관라인(25)마다 위치연산수단(23)에 의해 연산하고, 그 값이 소정임계치보다 큰 농도상관라인(25)의 개수가 극대로 되는 윤곽주사윈도 A의 위치가 원형대상물의 위치로서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위치연산수단(23)은 농도상관리인(25)에 있어서 대상물의 윤곽보다 안쪽측정점의 측정농도계측치와, 대상물의 윤곽보다 바깥쪽측정점의 측정농도계측치와의 차의 절대치를 연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위치인식방법에서는, 도 2에 예시하는 농담화상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나사구멍을 죄는 경우, 상하구멍의 편차량이 클때는, 나사죄기를 행하지 않고, 또한 나사구멍의 한점한점을 인식하면서 나사죄기를 행함으로 위치인식을 위한 처리시간이 오래걸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예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복수구멍의 위치구멍과 아래구멍의 편차량이 큰 경우는, 편차량이 작은 것으로부터 나사죄기를 행하여, 모든 구멍을 죄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 2점을 검출한 후, 그밖의 구멍의 보정량을 산출하여, 고속으로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구멍위치인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촬상수단에 의해 복수의 나사구멍 대상물을 촬상해서 농담화상을 얻고, 이 농담화상상의 위구멍대상물의 원형형상의 윤곽에 동등한 윤곽주사와, 이 윤곽주사에 직교하고, 이 윤곽주사의 안팎의 화상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상관라인을 복수형성한 윤곽주사윈도에 의해서 상기 농담화상을 농담화상주사수단에 의해 주사하고, 상기 각 농도상관라인마다, 소정수의 안쪽화상농도측정점으로 이루어진 안쪽농도상관라인의 측정농도계측치와, 소정수의 바깥쪽화상농도측정점으로 이루어진 바깥쪽농도상관라인의 측정농도계측치와의 차의 절대치를 위치연산수단에 의해 연산하고, 이 절대치가 소정농도임계치보다 큰 농도상관라인의 개수가 극대로 되는 상기 윤곽주사윈도의 위치를 위구멍대상물의 위치로서 검출하고, 그 위치보다 아래구멍대상물의 윤곽에 동등한 윤곽주사윈도와 아래구멍의 주사범위를 설정해서 상기한 방법에 의해 검출된 아래구멍중심위치와, 상기 위구멍중심위치와의 거리편차량을 편차량연산수단에 의해 산출하고, 이 편차량을 복수의 구멍의 모두에 대해서 구하여 편차량이 최소의 것부터 나사죄기를 행하고, 그외의 위아래구멍의 편차량을 작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복수의 나사구멍대상물에 대해서, 그중 2점을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해서 농담화상을 얻고, 상기 방법에 의해 검출된 위치로부터 워크전체의 회전각도를 회전각도연산수단에 의해 산출하고, 다른구멍의 보정위치를 동시에 구멍위치보정량연산수단에 의해 산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물을 촬상수단에 의해 얻게 된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대상물의 원형상의 윤곽에 직교하는 농도상관리인을 복수형성한 윤곽주사윈도에 의해 화상을 주사하고, 상기 원형상의 윤곽보다 안쪽측정점의 측정농도계측치와, 상기 원형상의 윤곽보다 바깥쪽측정점의 측정농도계측치와의 차의 절대치가 소정임계치보다 큰 농도상관라인의 개수가 극대로 되는 윤곽주사윈도의 위치를 대상물의 위치로서 검출하고, 위아래구멍의 편차량을 검출하여, 복수있는 구멍중 편차량이 최소의 것보다 나사죄기를 행한다. 또, 복수있는 구멍중 2점의 위치를 상기한 방법에 의해 검출한 후, 2점의 회전각도를 산출해서 그외 구멍의 보정량을 산출함으로써 복수의 구멍의 나사죄기를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나사죄기로봇용 시각인식장치의 위치인식방법에 있어서, 특히, 촬상수단에 의해 복수구멍에 대해서 촬상된 농담(濃淡)화상으로부터,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여 나사죄기를 행하는 나사구멍위치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복수구멍나사죄기방법을 사용하는 위치인식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복수구멍나사죄기방법을 사용하는 농담화상데이터의 일예를 표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윤곽주사윈도 A의 구성을 표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윤곽주사윈도의 일부의 상세도.
도 5는 종래예의 위치인식방법을 사용하는 위치인식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도 6은 도 5의 종래예에서 사용하는 윤곽주사윈도의 구성을 표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촬상수단2:농담화상기억수단
3:윤곽주사윈도에 의한 농담화상주사수단
4:위치연산수단5:편차량연산수단
6:회전각도연산수단7:각복수의 구멍위치보정량연산수단
12a∼12h,25:농도상관라인13c:윤곽주사위치
14c,15c,16c:안쪽화상농도측정점
17c,18c,19c:바깥쪽화상농도측정점
A:윤곽주사윈도B:안쪽농도상관라인
C:바깥쪽농도상관라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나사구멍위치인식방법을 사용하는 위치인식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도 1에 있어서, 촬상수단(1)은 도시생략의 대상물을 촬상해서 영상신호를 출력하여, 농담화상기억수단(2)에 상기 영상신호를 농담화상데이터로서 기억한다. 그리고 농담화상주사수단(3)은 상기 윤곽주사윈도 A(도 3 참조)에 의해서 상기 농담화상데이터를 주사하여, 주사데이터를 얻고, 위치연산수단(4)에 의해 상기 주사데이터를 사용해서 대상물의 위치를 연산한다. 상기 각 수단 1∼4에 의해서 얻게된 위구멍의 위치로부터 위아래구멍의 편차량을 편차량 연산수단(5)에 의해 산출한다. 또 2점의 위치도 상기 각 수단 1∼4에 의해서 얻게 되고, 그들 위치로부터 회전각도연산수단(6)에 의해 회전각도를 산출하고, 다른 구멍위치의 보정량을 구멍위치보정량연산수단(7)에 의해서 산출한다.
도 2는, 도 1의 농담화상데이터의 일예를 표시하며, (8)은 위구멍대상물, (9)는 아래구멍대상물이다. 여기서, 2점검출보정하는 경우는, 위구멍대상물(8)과 마찬가지로, 위구멍대상물이고 통상 대각에 존재하는 구멍(10)을 검출하는 쪽이 오차는 작다.
도 3은, 본 실시예(도 1)에서 사용하는 윤곽주사윈도 A의 구성을 표시하며, (11)은, 위구멍대상물(8)의 화상의 원형의 직경과 동등한 직경을 가진 윤곽주사, (12a)∼(12h)는, 윤곽주사(11)에 직교하고, 이 윤곽주사(11)의 안팎의 화상농도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농도상관라인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윤곽주사윈도 A의 농도상관라인(12a)∼(12h)중의 대표예로서, (12c)의 상세를 표시하며, (13c)는 농도상관라인(12c)의 윤곽주사위치, (14c),(15c),(16c)는 안쪽농도상관라인 B를 구성하는 소정수의 안쪽화상농도측정점, (17c),(18c),(19c)는 바깥쪽농도상관라인 C를 구성하는 소정수의 바깥쪽화상농도측정점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위치인식동작을 도 1∼도 4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표시한 촬상수단(1)에 의해 도시생략의 대상물을 촬상해서 농담화상을 얻어, 농담화상기억수단(2)에 기억시킨다. 이 농담화상에서는,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위구멍대상물(8)과 아래구멍대상물(9)이 있다. 또 이것은 단일구멍이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 위아래구멍 또는 단일구멍의 위치를 검출하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표시한 농담화상주사수단(3)이 도 3에 표시한 윤곽주사윈도 A를 사용해서, 농담화상기억수단(2)에 의해서 기억시킨 농담화상의 왼쪽위로부터 오른쪽방향으로 주사하기 시작하고, 1화소 이동할때마다 위치연산수단(4)이 연산한다. 즉, 각 농도상관라인 B, C마다, 소정수의 안쪽화상농도측정점으로 이루어진 안쪽농도상관라인 B의 측정농도계측치 14c+15c+16c와, 소정수의 바깥쪽화상농도측정점으로 이루어진 바깥쪽농도상관라인 C의 측정농도측정치 17c+18c+19c와의 차의 절대치를 연산하고, 이 절대치가 소정농도임계치보다 큰 농도상관라인의 개수가 가장 크게 되는 상기 윤곽주사윈도 A의 위치를 위구멍, 아래구멍, 단일구멍의 위치로서 검출한다.
위아래구멍에 대해서 위치를 검출한 후, 편차량연산수단(5)에 의해 각각의 편차량을 구하여 편차량이 최소의 것부터 나사죄기를 행한다.
다음에 2점검출보정의 경우는, 각 수단 1∼4에서 검출된 2점의 위치를
(X1',Y1'), (X2',Y2')로 했을 때, 미리 기준위치로서 주어진 α(X1',Y1'), β(X2',Y2')로부터의 보정량은 각각
αX=X1=X1', αY=Y1-Y1'
βX=X2-X2', βY=Y2-Y2'
가 된다.
α를 기준으로 해서 2점간의 거리가 (X0,Y0)일때 기준각도는
가 되고, 측정각은
가 된다. 이에 의해 회전각도는, 회전각도연산수단(6)에 의해
θ=θ1-θ0
로 산출할 수 있다.
실제의 나사죄기위치를 α를 기준으로 해서 (X,Y)로 했을 때, 이 좌표는 회전각도로부터;
x*=xcosθ-ysinθ+αx
y*=xsinθ+ysinθ+αy
로 변환되므로 나사죄기위치의 보정량 zx, zy는, 위치보정량의 구멍위치보정량연산수단(7)에 의해;
zx=x*-x
zy=y*-y
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해서 복수의 나사죄기위치를 등록해둠으로써 2점의 검출로부터 다른 위치의 보정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복수구멍의 나사죄기를 효율좋게 또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산업상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나사구멍위치인식방법은, 나사죄기를 행하려고 하는 복수의 대상물의 위아래구멍의 위치를 검출하고, 편차량이 최소의 것부터 나사죄기를 행함으로써, 편차량의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 2점의 구멍을 검출한 후, 그 회전각도로부터 다른 구멍의 보정량을 산출함으로써 나사죄기를 효율좋게 또는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Claims (2)

  1. 촬상수단에 의해 복수의 나사구멍에 대상물을 촬상해서 농담화상을 얻고, 이 농담화상상의 위구멍대상물의 원형형상의 윤곽에 동등한 윤곽주사와, 이 윤곽주사에 직교하고, 이 윤곽주사의 안팎의 화상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상관라인을 복수형성한 윤곽주사윈도에 의해서 상기 농담화상을 농담화상주사수단에 의해 주사하고, 상기 각 농도상관라인마다, 소정수의 안쪽화상농도측정점으로 이루어진 안쪽농도상관라인의 측정농도계측치와, 소정수의 바깥쪽화상농도측정점으로 이루어진 바깥쪽농도상관라인의 측정농도계측치와의 차의 절대치를 위치연산수단에 의해 연산하고, 이 절대치가 소정농도임계치보다 큰 농도상관라인의 개수가 극대로 되는 상기 윤곽주사윈도의 위치를 위구멍대상물의 위치로서 검출하고, 그 위치보다 아래구멍대상물의 윤곽에 동등한 윤곽주사윈도와 아래구멍의 주사범위를 설정해서 상기한 방법에 의해 검출된 아래구멍중심위치와, 상기 위구멍중심위치와의 거리편차량을 편차량연산수단에 의해 산출하고, 이 편차량을 복수의 구멍의 모두에 대해서 구하여 편차량이 최소의 것부터 나사죄기를 행하고, 그외의 위아래구멍의 편차량을 작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구멍위치인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나사구멍대상물에 대해서, 그중 2점을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해서 농담화상을 얻고, 상기 방법에 의해 검출된 위치로부터 워크전체의 회전각도를 회전각도연산수단에 의해 산출하고, 다른구멍의 보정위치를 동시에 구멍위치보정량연산수단에 의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구멍위치인식방법.
KR1019970707207A 1995-04-11 1996-04-11 나사구멍위치 인식방법 KR100249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85584 1995-04-11
JP7085584A JPH08287252A (ja) 1995-04-11 1995-04-11 ネジ穴位置認識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807A true KR19980703807A (ko) 1998-12-05
KR100249964B1 KR100249964B1 (ko) 2000-04-01

Family

ID=1386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207A KR100249964B1 (ko) 1995-04-11 1996-04-11 나사구멍위치 인식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22398A (ko)
EP (1) EP0822029B1 (ko)
JP (1) JPH08287252A (ko)
KR (1) KR100249964B1 (ko)
DE (1) DE69619105T2 (ko)
WO (1) WO1996032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9106B1 (en) * 1999-01-08 2003-03-25 Applied Materials, Inc. Feature-based defect detection
JP2004509346A (ja) * 2000-09-22 2004-03-25 ベルス・メステヒニーク・ゲーエムベーハー 座標測定装置によって測定対象物の幾何学的形状を測定する方法。
SE0201014L (sv) * 2002-04-04 2003-04-08 Atlas Copco Rock Drills Ab Förfarande för lokalisering av ett med en bergborrigg borrat hål
US6845279B1 (en) 2004-02-06 2005-01-18 Integrated Technologies, Inc. Error proofing system for portable tools
US20130286192A1 (en) * 2012-04-30 2013-10-31 Cryoxtract Instruments, Llc Machine Vision System for Frozen Aliquotter for Biological Samples
TW201514642A (zh) * 2013-12-04 2015-04-16 Hon Hai Prec Ind Co Ltd 加工程式優化系統及方法
CN103565461B (zh) * 2013-09-27 2016-03-30 沈阳东软医疗系统有限公司 一种造影剂跟踪扫描方法和装置
WO2015106757A2 (de) * 2014-01-20 2015-07-23 Faude Automatisierungstechnik Gmbh Schraubeinheit;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ein- und/oder ausschrauben einer schraube in mindestens ein werkstück bzw. aus mindestens einem werkstück mittels einer schraubeinheit;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ein- und/oder ausschrauben einer schraube in mindestens ein werkstück bzw. aus mindestens einem werkstück mittels einer an einem roboter angeordneten schraubeinheit
EP3111162A1 (en) * 2014-02-24 2017-01-04 Renishaw Plc. Method of inspecting an object with a vision probe
JP6545936B2 (ja) 2014-07-24 2019-07-1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部品搬送システム及び姿勢調整器具
EP3391333B1 (en) * 2015-12-18 2019-07-24 Koninklijke Philips N.V. Image processing for improved marker positioning on a line-shaped image feature
US20170337689A1 (en) * 2016-05-20 2017-11-23 Yung-Hui Li Method for validating segmentation of objects with arbitrary shapes
CN107984201B (zh) * 2017-11-30 2019-08-16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基于视觉伺服的螺孔定位及锁卸螺丝方法
JP6844582B2 (ja) * 2018-04-27 2021-03-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ビス締め装置
CN109277810A (zh) * 2018-11-29 2019-01-29 芜湖常瑞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基于机器视觉的零件自动测量装配系统及方法
CN110202362A (zh) * 2019-06-27 2019-09-06 上海递缇智能系统有限公司 视觉辅助定位的螺栓拧紧防错方法
CN111814709A (zh) * 2020-07-14 2020-10-23 南京航空航天大学苏州研究院 飞机表面螺栓拧紧检测方法
CN114234796A (zh) * 2021-10-26 2022-03-25 深圳市裕展精密科技有限公司 检测孔的方法、孔检测装置及孔检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2756A (en) * 1983-07-19 1986-01-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umerical control screw tightening machine
US4643579A (en) * 1983-11-21 1987-02-17 Canon Kabushiki Kaisha Aligning method
US4647208A (en) * 1985-07-22 1987-03-03 Perceptron, Inc. Method for spatial measurement of holes
US5125035A (en) * 1989-12-18 1992-06-23 Chromalloy Gas Turbine Corporation Five axis generated hole inspection system
JPH0453636A (ja) * 1990-06-21 1992-02-21 Toyota Motor Corp ねじ装脱装置
JPH058614A (ja) * 1991-06-27 1993-01-19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H058614U (ja) * 1991-07-05 1993-02-05 日本電気株式会社 位置矯正型自動ねじ締め機
JPH05237729A (ja) * 1992-02-28 1993-09-17 Toshiba Corp 自動ねじ締め装置
JP2995127B2 (ja) * 1993-03-02 1999-12-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円形穴の認識方法
GB2276446B (en) * 1993-03-26 1996-07-03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a hole
US5579415A (en) * 1993-08-06 1996-11-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puter implemented method of recognizing a position of an object
JP3170988B2 (ja) * 1994-02-15 2001-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長穴位置認識方法
JP3170987B2 (ja) * 1994-02-15 2001-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ネジ穴位置認識方法
US5742701A (en) * 1994-02-15 1998-04-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lignment dete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19105T2 (de) 2002-06-20
WO1996032222A1 (fr) 1996-10-17
DE69619105D1 (de) 2002-03-21
JPH08287252A (ja) 1996-11-01
EP0822029B1 (en) 2002-02-06
KR100249964B1 (ko) 2000-04-01
EP0822029A1 (en) 1998-02-04
EP0822029A4 (en) 1998-10-07
US6122398A (en) 2000-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3807A (ko) 나사구멍위치인식방법
US4748676A (en) Pattern rotation angle detecting system
US5995649A (en) Dual-input image processor for recognizing, isolating, and displaying specific objects from the input images
US719672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4912559A (en) Image processing method
US638533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stereo camera
US20160239975A1 (en) Highly robust mark point decoding method and system
US5841899A (en) Specific color field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JP2720391B2 (ja) 対象物構造の認識装置
US7116824B2 (en) Detection of a pattern in a digital image
CN109993787B (zh) 一种图像法螺纹中径求解方法
JPH06243253A (ja) 円形状対象物検出装置
US5570298A (en) Dot pattern-examining apparatus
JP3627249B2 (ja) 画像処理装置
JP2775924B2 (ja) 画像データ作成装置
US6240202B1 (en) Appearance inspection method for electronic parts
JP3170987B2 (ja) ネジ穴位置認識方法
JP3170988B2 (ja) 長穴位置認識方法
JPH0765175A (ja) 位置認識方法
JP2002250625A (ja) レーザ墨出し器の光線評価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300234A (ja) ネジ有無認識方法
JPH05118819A (ja) 視覚認識装置
JPS6327988A (ja) パタ−ン識別装置
JPH0540014A (ja) 被測定物の位置検出方式
JPH04332199A (ja) 部品実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