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479A - 욕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욕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479A
KR19980702479A KR1019970705879A KR19970705879A KR19980702479A KR 19980702479 A KR19980702479 A KR 19980702479A KR 1019970705879 A KR1019970705879 A KR 1019970705879A KR 19970705879 A KR19970705879 A KR 19970705879A KR 19980702479 A KR19980702479 A KR 19980702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onent
bath
specific gravity
solv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유키 나카니시
미쓰오 쓰나가와
야스히코 사이모
신고 야노
Original Assignee
가사마 야사에이몬
가부시기가이샤 쓰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317617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8070247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사마 야사에이몬, 가부시기가이샤 쓰무라 filed Critical 가사마 야사에이몬
Publication of KR19980702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4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비중이 1.0 미만의 정유(精油) 및/또는 정유유래(由來)의 성분 (A)과, 이 성분 (A)과 상용성(相溶性)을 가지는 유성(油性)성분 (B)이 배합된 욕용제(浴用劑:bath oil) 조성물이다. 상기 유성성분 (B)의 비중이 1.0 이상이고, 배합된 상기 성분 (A)과 상기 성분 (B)과로 이루어지는 혼합유성성분의 비중이, 이 혼합유성성분이 욕탕(浴湯:bathwater)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비중을 가진다. 상기 성분 (A)은, 그 욕탕중에서의 농도가 2.0ppm 이상으로 되는 분량으로 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로써, 정유류의 피부에의 부착이 우수하고, 정유류가 가지는 피부표면에의 효과를 높일 수 있고, 경피(經皮)흡수에 의한 생체내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인체에의 안전성의 면 및 배수에 의한 수질오탁(汚濁)의 면에서도 우수하다.

Description

욕용제 조성물
종래의 욕용제에는, 정유류를 욕탕에 남겨두기 위하여, 다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정유류를 욕탕중에 유화(乳化)시킨 것, 또는 소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욕탕표면에 분산시킨 것이 있었다.
그러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유화시킨 경우, 정유류의 피부에의 부착량이 저하하고, 또 정유류를 친수화(親水化)하고 있으므로, 물로 용이하게 흘러 떨어져 버려, 정유류가 가지는 진통(鎭痛), 어깨결림, 혈행(血行)촉진, 항염증, 항균 등의 피부표면에의 효과 및 경피흡수에 의한 생체내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또, 욕탕표면에서 분산시킨 경우에는, 정유류는 휘발성 성분이므로, 용이하게 공기중에 휘산(揮散)하여 버려, 정유류가 가지는 피부표면에의 효과 및 경피흡수에 의한 생체내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다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은, 인체에의 안전성의 면 및 배수에 의한 수질오탁(汚濁)의 면에서 그다지 바람직한 것은 아니었다.
그래서, 정유류의 피부에의 부착량이 증대하고, 정유가 가지는 피부표면에의 효과를 높일 수 있고, 경피흡수에 의한 생체내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욕용제 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욕용제(浴用劑:bath oil)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정유(精油) 및/또는 정유유래(由來)의 성분 (이하, 단지 「정유류」라고 약기함)을 욕탕(浴湯:bathwater)중에 오일의 상태로 분산시켜 존재시킴으로써, 정유류의 피부에의 부착량이 증대함으로써 정유류가 가지는 피부표면에의 효과를 높일 수 있고, 경피(經皮)흡수에 의한 생체내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욕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예의(銳意) 연구를 행한 결과, 비중이 가벼운 정유류를 특정의 유성성분과 소정의 조건하에서 배합함으로써, 정유류가 가지는 피부표면에의 효과 및 경피흡수에 의한 생체내로의 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은, 비중이 1.0 미만의 정유 및/또는 정유유래의 성분 (A)과, 이 성분 (A)과 상용성(相溶性)을 가지는 유성성분 (B)이 배합된 욕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유성성분 (B)의 비중이 1.0 이상이고, 또한 상기 성분 (A)이, 그 욕탕중에서의 농도가 2.0ppm 이상으로 되는 분량으로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용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은, 이제까지의 욕용제와 같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정유류를 욕탕중에 유화분산시키는 것이 아니고, 비중이 1.0 이상의 유성성분을 사용하여 정유류와의 혼합유성성분을 직접 욕탕중에 분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유류의 피부에의 부착성을 높인 것이다. 즉, 종래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욕용제와 같이 물로 용이하게 흘러 떨어지지 않고, 정유류가 가지는 피부표면에의 효과 및 경피흡수에 의한 생체내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인체에의 안전성의 면 및 배수에 의한 수질오탁의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정유류 중, 정유라는 것은, 식물의 지엽(枝葉), 근경(根莖), 과실, 꽃봉오리, 수지(樹脂) 등으로부터 수증기증류법, 압착법(壓搾法), 추출법 등에 의하여 분리·정제(精製)되는 물에 난용(難溶)의 휘발성 유상물(油狀物)의 총칭이고, 탄화수소류, 알콜류, 산류, 카르보닐류, 페놀류, 락톤류, 에스테르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정유유래의 성분이라는 것은, 정유의 구성성분으로서, 추출이나 정류(精留), 정석(晶析)이나 간단한 화학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분리정제성분과, 천연화합물이나 석유화학제품을 원료로 하여 유기합성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순합성(純合成) 성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는 비중이 1.0 미만의 정유류성분(A)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즉, 아니스유(anise oil), 안식향유(benzoin oil), 일랑일랑유(ilang ilang oil), 오레가노유(oregano oil), 오렌지유(orange oil), 카모밀레유(camomile oil), 카유푸트유(cajuput oil), 겨자유(mustard seed oil), 카르다몸유(cardamom oil), 클라리세이지유(clary sage oil), 클로브유(clove oil), 코리안더유(coriander oil), 사이프레스유(cypress oil), 사빈유(savin oil), 산달우드유(sandalwood oil), 시더우드유(ciderwood oil), 시트로넬라유(citronella oil), 시나몬유(cinnamon oil), 자스민유(jasmine oil), 쥬니퍼유(juniper oil), 장뇌유(camphor oil), 창포유(Japanese iris oil), 진저유(ginger oil), 쥬니퍼베리유(juniper berry oil), 세이지유(sage oil), 세이보리유(savory oil), 제라늄유(geranium oil), 타임유(thyme oil), 터펜타인유(turpentine oil), 타라곤유(tarragon oil), 치아민유, 정자유(丁子油:clove oil), 테레빈유(spirit of turpentine), 너트메그유(nutmeg oil), 니쿠스쿠유, 유향유(乳香油:olibanum oil), 마늘유(garlic oil), 네롤리유(neroli oil), 파인유(pine oil), 바실유(basil oil), 파슬리유(parsley oil), 박하유(peppermint oil), 장미유(rose oil), 히솝유(hyssop oil), 페넬유(fennel oil), 분재솔잎유(dwarf pine needle oil), 블랙페퍼유(black pepper oil), 페니로열유(pennyroyal oil), 케노포듐유(chenopodium oil), 페퍼민트유, 베르가모트유(bergamot oil), 운향(蕓香:rue oil), 몰약유(沒藥油:myrrhy oil), 마죠란유(majoran oil), 멜리사유(melissa oil), 유칼리유(eucalyptus oil), 라벤더유(lavender oil), 레몬유(lemon oil), 레몬그라스유(lemon grass oil), 로즈우드유(rosewood oil), 로즈마리유(rosemary oil), 카르바크롤(carvacrol), 1­카르본(carvone), 캄퍼(camphor), 캄펜(camphene), 쿠마린(coumarin), 게라니올(geraniol), 사프롤(safrole), 시트랄(citral), 시트로넬랄(citronellal), 시트로넬롤(citronellol), 자스몬(jasmone), 디히드로자스몬(dihydrojasmone), 티몰(thymol), α­테르피네올(terpineol), 네롤(nerol), 히노키티올(hinokitiol), 피페리톤(piperitone), 메틸헤프테논(methylheptenone), 멘톨(menthol), 리나룰(linalool)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정유류성분 (A)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비중이 1.0 이상의 유성성분(B)으로서는,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물에 난용 또는 불용(不溶)의 성질이면 된다.
예를 들면, 안식향산벤질(benzyl benzoate), 이소오이게놀(isoeugenol), 오이게놀(eugenol), 구연산아세틸트리옥틸(acetyl trioctyl citrate), 구연산아세틸트리부틸(acetyl tributyl citrate), 구연산트리부틸(tributyl citrate), 계피(桂皮)알데히드(cinnamic aldehyde), 계피산에틸(ethyl cinnamate), 계피산메틸(methyl cinnamate), 아세트산신나밀(cinnamyl acetate), 살리실산아밀(amyl salicylate), 살리실산옥틸(octyl salicylate), 살리실산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salicylate), 살리실산메틸(methyl salicylate), 살리실산호모멘틸(homomenthyl salicylate), 살리실산벤질(benzyl salicylate), 디카르복시판토텐산에틸(dicarboxyethyl pantothenate), 시녹사트(cinoxate), 자당(蔗糖)지방산에스테르(saccharose fatty acid ester), 티안톨(thianthol), 파라메틸아세토페논(paramethyl acetophenone), 페닐에틸알콜(phenylethyl alcohol), 페닐아세트산에틸(ethyl phenylacetate),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프탈산디에틸(diethyl phthalate), 프탈산디메틸(dimethyl phthalate), 프탈산부틸벤질(butylbenzyl phthalate),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벤질알콜(benzyl alcoho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말레인산디메틸(dimethyl maleate), 메틸페닐글리시드산에틸(ethyl methylphenylglycidate), 메틸페닐폴리실록산(methyl phenyl polysiloxane), 메틸폴리시클로실록산(methyl polysiloxane)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비중이 1.0 이상의 유성성분 (B)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은, 입욕시에 욕탕에 투입하여 사용되고, 그 때, 비중이 1.0 이상의 유성성분 (B)은 정유류의 종류에 따라서 선정되고, 정유류성분 (A)과의 상용성이 높고, 그 혼합유성성분의 비중이 1.0에 근접하도록 적절히 배합비를 설정한다.
이러한 배합비는 유성성분 (A) 및 (B)의 종류 및 그 조합에 따라서 상이하지만, 목표로서는, 정유류성분 (A) 1에 대하여, 비중이 1.0 이상의 유성성분 (B)을 0.1∼10.0의 중량비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2∼5.0의 중량비로 배합한다.
또, 정유류성분 (A)과, 비중이 1.0 이상의 유성성분 (B)의 혼합유성성분의 욕용제 조성물 전량에 대한 배합비는 정유류성분 (A)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하지만, 점착감의 점에서, 욕탕중의 농도로 100ppm 이하, 특히 80ppm 이하로 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정유류가 가지는 피부표면에의 효과 및 경피흡수에 의한 생체내로의 효과의 점에서, 정유류의 욕탕중 농도가 2ppm 이상으로 되도록 배합한다. 2ppm 이하이면 정유류의 기대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이, 예를 들면, 욕탕 200ℓ에 대하여 20g 정도 투입하여 사용하는 액제(液劑)의 경우에는, 이 액제중에 정유류를 2중량% 이상 배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서, 무기염류, 유기산류, 비타민류, 단백분해효소, 생약 및 그 엑기스, 기타의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단, 계면활성제는 첨가하지 않든가, 또는 가령 첨가했다고 해도 정유류를 유화시키지 않는 극히 한정된 범위내의 사용으로 제한된다.
이밖에,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에 관한 제형(劑型)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없고, 정유류성분 (A) 및 비중이 1.0 이상의 유성성분 (B)이 배합되어 있으면, 액제뿐만 아니고, 분제(粉劑), 과립제(顆粒劑), 정제(錠劑) 등 각종의 제형으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배합처방에 따라서 욕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욕용제 조성
성분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1 2
비중이 1 이상의 유성성분 살리실산메틸 0.5 ­ ­ ­
프탈산디에틸 ­ 2.0 ­ ­
안식향산벤질 0.5 2.0 ­ ­
자당지방산에스테르 ­ 1.0 ­ ­
정유류 정유 카모밀레 0.1 ­ 0.1 ­
아니스유 ­ 0.1 ­ 0.1
테레빈유 ­ 0.5 ­ 0.5
유칼리유 ­ 0.5 ­ 0.5
정유유래의성분 캄퍼 1.5 0.1 1.5 0.1
시트로넬랄 0.1 0.5 0.1 0.5
멘톨 2.5 ­ 2.5 ­
티몰 ­ 0.1 ­ 0.1
계면활성제 POE 라우릴에테르 ­ ­ 10.0 10.0
야자유지방산 POE 글리세릴 ­ ­ 15.0 15.0
기타 에탄올 50.0 50.0 ­ ­
디프로필렌글리콜 5.0 5.0 ­ ­
1,3­부틸렌글리콜 5.0 5.0 ­ ­
농글리세린 10.0 10.0 ­ ­
유동파라핀 ­ ­ 밸런스 밸런스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 ­ 20.0 20.0
정제수 밸런스 밸런스 ­ ­
색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향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이어서, 다음의 방법에 의하여 욕용제 조성물의 정유류의 피부에의 부착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비교예에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유탁(乳濁)타입의 욕용제를 사용하였다.
① 실시예 1, 비교예 1의 욕용제를 사용하여 피험자 10명에 앞팔부분욕(41℃, 5분간)을 행하였다. 욕후의 나머지 욕탕중의 멘톨잔존율을 측정함으로써 멘톨의 감소율을 산출하고, 그 값을 피부에의 부착량으로 가정하였다. 결과를 다음의 표 2에 나타낸다. 또, 그 때의 청량감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결과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낸다.
그리고, 부분욕은 0.1W/V%농도로 실시하고, 액체크로마토그라프법(시차굴절(示差屈折)검출기)에 의하여 멘톨의 잔존율 측정을 행하였다.
멘톨의 감소율
실시예 1 비교예 1
욕전(초기치)의 욕탕중의 멘톨량(ppm) 20.34 20.17
욕후의 욕탕중의 멘톨량(ppm) 17.59 19.28
멘톨잔존율(%) 86.5 95.6
멘톨감소율(%) 13.5 4.4
욕후의 청량감(10명의 평균점)
실시예 1 비교예 1
욕후의 청량감 4.2 1.7
5단계 평가 5:청량감을 매우 강하게 느꼈다.
4:청량감을 (약간) 강하게 느꼈다.
3:청량감을 느꼈다.
2:청량감을 그다지 느끼지 못했다.
1:청량감을 전혀 느끼지 못했다.
② 실시예 2, 비교예 2의 욕용제 30g (/200ℓ)를 사용하여 피험자 15명에 전신욕(41℃, 5분간)을 행하여, 촉촉한 감에 대하여 비교평가하였다. 결과는 다음의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2의 쪽이 어느 쪽이라고도 말할 수 없다 비교예 2의 쪽이
촉촉하다 약간 촉촉하다 약간 촉촉하다 촉촉하다
5 8 1 1 0
표 2∼4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에 의한 정유류가 가지는 피부표면에의 효과가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그것으로부터 경피흡수에 의한 생체내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욕용제 조성물은, 정유류의 피부에의 부착이 우수하고, 정유류가 가지는 피부표면에의 효과를 높일 수 있고, 경피흡수에 의한 생체내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인체에의 안전성의 면 및 배수에 의한 수질오탁의 면에서도 우수한 욕용제 조성물이다.

Claims (1)

  1. 비중이 1.0 미만의 정유(精油) 및/또는 정유유래(由來)의 성분 (A)과, 이 성분 (A)과 상용성(相溶性)을 가지는 유성(油性)성분 (B)이 배합된 욕용제(浴用劑:bath oil) 조성물로서, 상기 유성성분 (B)의 비중이 1.0 이상이고, 또한 상기 성분 (A)이, 그 욕탕(浴湯:bathwater)중에서의 농도가 2.0ppm 이상으로 되는 분량으로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용제 조성물.
KR1019970705879A 1995-02-27 1996-02-26 욕용제 조성물 KR199807024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5-61612 1995-02-27
JP07061612A JP3085129B2 (ja) 1995-02-27 1995-02-27 浴用剤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479A true KR19980702479A (ko) 1998-07-15

Family

ID=1317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879A KR19980702479A (ko) 1995-02-27 1996-02-26 욕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815850A4 (ko)
JP (1) JP3085129B2 (ko)
KR (1) KR19980702479A (ko)
CN (1) CN1182362A (ko)
AU (1) AU703757B2 (ko)
CA (1) CA2213817A1 (ko)
WO (1) WO19960267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3223B2 (ja) * 1999-07-30 2008-09-03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FR2837705A1 (fr) * 2002-03-26 2003-10-03 Annie Genevieve Luci Chevalier Complexe d'huiles essentielles et produits cosmetiques incorporant ces complexes notamment huile pour le visage et masque rajeunisseur
ES2623583T3 (es) 2009-08-20 2017-07-11 Kneipp Gmbh Productos con efecto olfatorio determinado de forma metrológica para influir sobre la posición de partida psico-fisiológica
JP2012246324A (ja) * 2012-09-18 2012-12-13 Sosin:Kk 皮膚外用剤
JP6730780B2 (ja) * 2014-12-16 2020-07-29 花王株式会社 浴用剤組成物
JP7382766B2 (ja) * 2019-08-30 2023-11-17 花王株式会社 発泡性固体浴用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0049A (en) * 1959-09-22 1964-09-22 Martin F Emory Bath oil
JP2638088B2 (ja) * 1988-06-20 1997-08-06 株式会社ツムラ 入浴剤
DE69113438D1 (de) * 1991-02-27 1995-11-02 World Trust Investment Sa Herstellungsverfahren eines flüssigen, einphasigen, sterilisierten Konzentrats auf essentieller Ölebasis für die Zubereitung von warmem oder kaltem Instantkräutertee.
JPH05148130A (ja) * 1991-11-29 1993-06-15 Suntory Ltd 入浴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15850A1 (en) 1998-01-07
EP0815850A4 (en) 1999-07-14
WO1996026713A1 (fr) 1996-09-06
CA2213817A1 (en) 1996-09-06
CN1182362A (zh) 1998-05-20
JP3085129B2 (ja) 2000-09-04
AU703757B2 (en) 1999-04-01
AU4731796A (en) 1996-09-18
JPH08231376A (ja) 1996-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88628A (zh) 外用剂
JP2000191525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KR19980702479A (ko) 욕용제 조성물
KR102648015B1 (ko) 화장품 조성물들의 안정화를 위한 [6]-파라돌 ([6]-paradol) 의 용법
EP1438010B1 (de) Antitranspirantprodukt auf basis von mikroemulsionsgelen
JP2001011068A (ja) 保湿剤組成物
JP2009203179A (ja) 皮膚外用剤
JP2003192568A (ja) 芳香化粧料組成物
JP2847190B2 (ja) ボディリンス組成物
KR102662132B1 (ko) 무수 실키 화장품
JP3441215B2 (ja) 入浴剤組成物
FR2771287A1 (fr) Utilisation de solvants fluores pour la formulation de lotions pour soins capillaires
JP3280712B2 (ja) 皮膚外用剤
JPH1179967A (ja) アルコール刺激臭マスキング剤、それを含有する香粧品用アルコール及びアルコール含有化粧料
JP3574107B2 (ja) 皮膚外用剤
JP7158152B2 (ja) 自己乳化型浴用剤組成物
JP2554518B2 (ja) 毛髪化粧料
CN108601837A (zh) 延长释放型芳香剂组合物
JP2002029954A (ja) 体臭抑制用組成物
JP7053151B2 (ja) 難水溶性成分の溶解性を向上させる方法
JP2587745B2 (ja) 浴用剤組成物
JP2626776B2 (ja) ボディリンス組成物
JP2023547328A (ja) 無水のアルコールフリーの滑らかな芳香剤配合物
JP2022031761A (ja) 難水溶性成分の溶解性を向上させる方法
JP2001031555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