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897A - 죽탄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죽탄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7897A
KR19980087897A KR1019980040601A KR19980040601A KR19980087897A KR 19980087897 A KR19980087897 A KR 19980087897A KR 1019980040601 A KR1019980040601 A KR 1019980040601A KR 19980040601 A KR19980040601 A KR 19980040601A KR 19980087897 A KR19980087897 A KR 19980087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or
bamboo charcoal
shochu
bamboo
dist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8102B1 (ko
Inventor
오승환
이석준
이수용
김인구
이원정
곽태영
Original Assignee
문상목
주식회사 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목, 주식회사 진로 filed Critical 문상목
Priority to KR1019980040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102B1/ko
Publication of KR19980087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4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on-exchange material or inert clarification material,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408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on-exchange material or inert clarification material,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norganic add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6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by irradiation, vibrations
    • C12H1/063Separation by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잡미가 없고 맛이 부드러우면서 미네랄이 풍부한 주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류 원액에 첨가물료를 가하여 블렌딩하고 주조용수로 희석한 후 탈취제로 후탈취하고 여과하여 주류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탈취제가 죽탄(竹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죽탄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잡미가 없고 맛이 부드러우면서 미네랄이 풍부한 주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류 제조방법은 주류 원액에 첨가물료를 가하여 블렌딩하고 주조용수로 희석한 후 탈취제로 후탈취하고 여과하는 것으로, 탈취제로는 활성탄을 사용하는데, 제조된 주류는 잡미가 남아 그 맛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 일본의 산토리사는 원액 상태의 위스키를 죽탄탑에 통과시켜 여과하는 방식으로 위스키를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위스키 원액을 죽탄탑에 직접 통과시킴으로써, 원액 고유의 향, 맛, 색에 관련된 미량성분들이 함께 제거되고 있을 뿐 아니라, 고가의 새로운 죽탄탑 장치가 요구되며, 이 방법에 사용된 죽탄탑은 시간 경과에 따른 여과 효과 및 이온 용출 농도가 일정하지 않고 변화하므로 위스키 원액이 균일하게 여과되지 않으며, 죽탄을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별도의 죽탄탑 세척 공정이 요구되는 등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고가의 죽탄탑을 이용하지 않고 죽탄을 직접 투입함으로써 이미취가 없고 맛이 부드러우며 미네랄이 풍부한 주류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취가 없고 맛이 부드러우며 미네랄이 풍부한 주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죽탄을 사용한 후탈취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주류 원액에 첨가물료를 가하여 블렌딩하고 주조용수로 희석한 후 탈취제로 탈취하고 여과하여 주류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탈취제가 죽탄(竹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주류의 제조시 탈취 공정에 사용되는 탈취제로 기존의 활성탄 대신에 죽탄을 사용하는 데 특징이 있으며(도 1), 이 방법을 적용하는 주류로는 희석식 소주, 증류식 소주, 위스키, 브랜디, 인삼주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탈취제로 사용되는 죽탄은 대나무의 숯으로, 일반 목탄의 2배에 이르는 많은 미세공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죽탄 1g 당 200 내지 300㎡의 큰 표면적을 가진다. 죽탄은 악취를 유발하는 황화수소 등의 가스, 중금속 및 수돗물중의 염소, 트리할로메탄 등의 불순물을 흡착할 뿐만 아니라 수용액중에서 미네랄 성분의 용출,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방출, 전자파 차폐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탈취제 이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죽탄의 대표적인 예로는 맹종죽탄, 왕대죽탄, 솜대죽탄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중 죽순대의 숯인 맹종죽탄이 바람직하다. 맹종죽탄(孟宗竹炭)은 다른 죽탄에 비해 높은 이온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중 양이온으로는 인체에 유익한 칼슘, 칼륨 및 암모늄 이온이 있고 음이온으로는 염소, 인산 및 황산 이온이 있다. 또한 음이온들은 소량으로 존재하므로 식수용 수질 기준에 적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소량의 불소 및 염소 이온은 수질 정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상기 죽탄은 분말상, 입상 또는 원탄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중 분말상이 바람직하다. 죽탄은 주류 원액에 대해 0.001 내지 0.05%(w/v)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죽탄은 주류 원액중의 불쾌취와 불순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죽탄중으로부터 미네랄 성분이 용출되어 미네랄 성분이 풍부한 주류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주류 원액에 첨가물료를 가하여 블렌딩한다(블렌딩 공정). 상기 주류 원액은 첨가물료가 첨가되기 이전의 주류를 의미하는데, 구체적으로 희석식 소주의 주류 원액으로는 95% 알콜 농도의 소주 주정을 주조용수로 45% 알콜 농도가 되도록 희석한 후 활성탄으로 탈취하고 여과된 주정을 사용할 수 있고, 증류식 소주의 주류 원액으로는 증류식 소주의 숙성 원액을 활성탄 또는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정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물료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테비오사이드, 설탕, 고과당, 올리고당, 구연산, 글리신 및 식염을 들 수 있으며 2 %(w/v) 이하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주조용수를 가하여 적절하게 희석한다(할수 공정). 상기 주조용수는 주류 원액을 희석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 일 수 있다. 이때 희석 농도는 목적하는 주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일반 소주의 경우에는 25%이다.
목적하는 알콜 농도로 적절하게 희석된 주류 원액에 0.001 내지 0.05%(w/v)의 죽탄을 가하고 30분 내지 3시간 동안 교반하여 후탈취한 후 규조토를 통과시켜 여과하여(탈취 및 여과 공정) 병입한다(병입 공정).
희석식 소주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법은 현재 사용되는 주류 제조 공정에 공정 추가 등의 변화없이 그대로 적용하면서도 죽탄의 탈취 및 불순물 흡착 그리고 이온 용출 효능을 주류에 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물 및 알콜 수용액중에서 죽탄의 용출 시험
물 또는 알콜 수용액 중에서 죽탄으로부터 용출되는 이온을 분석하기 위해, 죽탄(지리산 밤부 하이-테크사 제품 또는 양일 실업 제품)을 100 메쉬 이하로 분쇄한 후 순수한 물 또는 60% 알콜 수용액에 1%(w/v) 농도로 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공극 크기 0.8 ㎛인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액중의 이온을 유도결합 플라스마 분광광도계(ICP)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이온(ppm) 지리산 밤부 하이-테크사 제품 양일 실업 제품
죽탄 60% 알콜 죽탄 60% 알콜
Ca 473.6 0.27 0.028 791.3 0.378 0.048
K 22429 173 153 12469 91.2 112
Mg 517.1 1.08 0.568 643.8 1.91 0.908
Na 172.35 0.706 1.28 156.9 0.355 0.723
Al 14.79 - 0.033 149.1 0.008 0.046
Cr 5.26 - - 4.18 0.33 0.032
Cu 2.67 - 0.025 3.81 - 0.021
Fe 42.44 0.015 0.017 140.4 0.24 0.351
Mn 108.3 0.155 0.107 24.7 0.023 0.027
Ni 4.46 - - 3.9 0.015 0.012
Pb 2.03 - - 0.33 - -
Zn 19.25 0.046 0.046 24.7 0.047 0.066
Co 0.08 - - 0.11 - -
실시예 1: 후탈취 공정에 죽탄을 이용한 희석식 소주의 제조
(1) 1차 할수
95% 알콜 농도의 희석식 소주 주정에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를 45% 알콜 농도가 되도록 가하였다.
(2) 탈취 및 여과
(1)에서 얻은 희석 주정에 0.05 %(w/v)의 활성탄을 가하고 8 시간 동안 교반하여 탈취한 후 규조토를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3) 블렌딩
(2)에서 얻은 탈취 주정에 스테비오사이드 0.02%(w/v), 고과당 0.5%(w/v), 올리고당 0.5%(w/v), 구연산 0.01%(w/v), 글리신 0.01%(w/v) 및 식염 0.01%(w/v)를 가하고 블렌딩하였다.
(4) 2차 할수
(3)에서 얻은 블렌딩 원액에 다시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를 25% 알콜 농도가 되도록 가하였다.
(5) 후탈취
(4)에서 얻은 2차 할수 원액에 죽탄 분말을 0.005%(w/v)의 양으로 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6) 여과
(5)에서 얻은 후탈취 소주를 규조토에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7) 병입
(6)에서 얻은 후탈취 소주를 병입하였다.
실시예 2: 후탈취 공정에 죽탄을 이용한 증류식 소주의 제조
(1) 숙성 원액 정제
숙성 원액(진로 주식회사)을 수소 양이온 교환 수지와 수산 음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2) 블렌딩
(1)에서 얻은 정제 숙성 원액에 스테비오사이드 0.02%(w/v), 고과당 0.5%(w/v), 올리고당 0.5%(w/v), 구연산 0.01%(w/v), 글리신 0.01%(w/v) 및 식염 0.01%(w/v)를 가하고 블렌딩하였다.
(3) 할수
(2)에서 얻은 블렌딩 원액에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를 25% 알콜 농도가 되도록 가하였다.
(4) 탈취
(3)에서 얻은 할수 원액에 죽탄 분말을 0.005 %(w/v)의 양으로 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 여과
(4)에서 얻은 후탈취 소주를 규조토에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6) 병입
(5)에서 얻은 후탈취 소주를 병입하였다.
비교예 1: 기존 희석식 소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5) 후탈취 공정에서 죽탄 대신에 활성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기존 방법에 따른 희석식 소주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기존 증류식 소주의 제조
실시예 2에서 (4) 탈취 공정에서 죽탄 대신에 활성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기존 방법에 따른 증류식 소주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본 발명의 희석식 소주와 기존 희석식 소주의 관능검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희석식 소주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기존의 희석식 소주에 대하여 부드러움, 이미취, 맛(단맛, 쓴맛, 신맛 및 목넘김의 조화된 정도) 및 종합미의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의 평가기준으로는 매우 우수함(5점), 우수함(4점), 보통(3점), 약간 나쁨(2점) 및 매우 나쁨(1점)으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구분 기존 희석식 소주 본 발명의 희석식 소주
부드러움 3.2 4.2
이미취 3.5 3.5
3.4 4.0
종합미 3.3 4.2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희석식 소주가 기존의 희석식 소주에 비해 부드러움과 맛이 우수하고 전체적인 선호도를 나타내는 종합미에서도 우수하다.
시험예 2: 본 발명의 증류식 소주와 기존 증류식 소주의 관능검사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증류식 소주와 비교예 2에서 제조된 기존의 증류식 소주에 대하여 시험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향, 부드러움, 이미취, 맛(단맛, 쓴맛, 신맛 및 목넘김의 조화된 정도) 및 종합미의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구분 기존 증류식 소주 본 발명의 증류식 소주
4.2 4.1
부드러움 3.9 4.3
이미취 3.2 3.7
4.3 4.5
종합미 4.1 4.5
표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증류식 소주가 기존의 증류식 소주에 비해 부드러움, 이미취 및 맛이 우수하고 전체적인 선호도를 나타내는 종합미에서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주류의 제조시 병입 직전의 후탈취 공정에서 활성탄 대신에 죽탄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주류보다 미네랄이 풍부하면서 부드러움, 맛 및 종합미가 우수한 주류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죽탄탑을 사용하는 산토리사의 방법과 비교할 때, 죽탄탑 등의 별도의 새로운 장치가 필요없으므로 현재의 공정에 적용이 용이하고, 죽탄탑 사용에 따른 주기적 죽탄의 교체 및 죽탄탑의 세척이 필요없으므로 작업이 용이하며, 죽탄탑 사용시 죽탄탑의 성능 유지를 위해 품질관리(Quality Control) 작업을 통한 별도의 주질관리가 필요없으므로 주질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주류 원액에 첨가물료를 가하여 블렌딩하고 주조용수로 희석한 후 탈취제로 후탈취하고 여과하여 주류를 제조함에 있어서, 탈취제가 죽탄(竹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죽탄이 맹종죽탄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죽탄이 주류 원액에 대해 0.001 내지 0.05%(w/v)의 양으로 사용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주류가 희석식 소주, 증류식 소주, 위스키, 브랜디 또는 인삼주인 방법.
KR1019980040601A 1998-09-29 1998-09-29 죽탄을이용한주류의제조방법 KR100288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601A KR100288102B1 (ko) 1998-09-29 1998-09-29 죽탄을이용한주류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601A KR100288102B1 (ko) 1998-09-29 1998-09-29 죽탄을이용한주류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897A true KR19980087897A (ko) 1998-12-05
KR100288102B1 KR100288102B1 (ko) 2001-05-02

Family

ID=3751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601A KR100288102B1 (ko) 1998-09-29 1998-09-29 죽탄을이용한주류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277B1 (ko) * 2001-04-20 2003-10-17 주식회사금복주 참나무숯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방법
KR100951538B1 (ko) 2008-03-12 2010-04-09 서희동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미네랄함량이 높은 죽탄의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1004215B1 (ko) 2008-05-23 2010-12-24 주식회사 진로 대나무 죽탄 패드 후탈취 및 여과 공정을 이용한 주류의제조방법
CN103571683A (zh) * 2012-07-29 2014-02-12 季松楼 竹炭蒸馏白酒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4180A (ja) * 1996-06-07 1997-12-16 Oominatobunkichi Shoten:Kk 竹炭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8102B1 (ko) 200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749T2 (de) Süssungsmittel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7309676B2 (en) Remover for heavy metals contained in water
EP3599226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reicherung von silikat in trinkwasser
KR100288102B1 (ko) 죽탄을이용한주류의제조방법
EP1825763B1 (en) Method of removing nitric acid from aqueous liquid and method of producing drinks
EP1883309B1 (de) Verfahren zur zubereitung von teegetränken aus schwarzem oder grünem tee
US2879166A (en) Milk product having low sodium content and process of producing same
KR100278877B1 (ko) 죽탄수를 이용한 주류의 제조 방법
EP0832179B1 (de) Verfahren zur beseitigung von geruchs- und/oder geschmacksfehlern in unvergorenen oder vergorenen fruchtsäften, insbesondere wein, fruchtwein oder fruchtdestillaten
DE2143816C3 (de) Verfahren zur Gewinnung von menschlicher Urokinase
KR101004215B1 (ko) 대나무 죽탄 패드 후탈취 및 여과 공정을 이용한 주류의제조방법
CA1304027C (en) Decharacterization of base wine and its use in preparation of flavored beverages
KR20050107331A (ko) 은-함유 죽탄으로 처리된 용수를 이용한 주류의 제조 방법
KR20050107333A (ko) 은-함유 죽탄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 방법
EP1628758A1 (de) Mittel zur adsorption von eiweiss aus eiweisshaltigen flüssigkeiten auf dem lebensmittelsektor
KR100400822B1 (ko) 소주의 제조방법
KR19990031812A (ko) 녹차잎을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DE3411474C2 (ko)
KR100401277B1 (ko) 참나무숯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방법
DE2460359A1 (de) Verfahren zur veredelung von rohem wein
KR100887885B1 (ko) 나노막 및 역삼투막 여과를 이용한 천연 미네랄수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류 및 음료의 제조방법
KR100732605B1 (ko) 포도주를 이용한 술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술
JP3245485B2 (ja) 食品製造用の水の事前処理方法
RU2090605C1 (ru) Водка особая "татьянин день"
JPWO2005090612A1 (ja) 糖液の精製方法および精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