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314A -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7314A
KR19980087314A KR1019980018658A KR19980018658A KR19980087314A KR 19980087314 A KR19980087314 A KR 19980087314A KR 1019980018658 A KR1019980018658 A KR 1019980018658A KR 19980018658 A KR19980018658 A KR 19980018658A KR 19980087314 A KR19980087314 A KR 19980087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ydraulic pump
oil tank
hydraulic oil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1860B1 (ko
Inventor
마사유키 고미야마
히데키 기누가와
도시오 소라
Original Assignee
구마모토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15005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3174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9187741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1947A/ja
Application filed by 구마모토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구마모토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1998008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electric motors or gen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상부 선회체의 후방에 배치된 배터리체와, 배터리체의 전방이고 또 근방에 배치된 전동기와, 전동기에 연결된 유압펌프와, 유압펌프의 근방에 배치된 작동유탱크와, 유압펌프의 근방에 배치된 액츄에이터용 전환 밸브를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의 동력 에너지를 효율좋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
본 발명은 배터리의 전력을 전동기에 공급함으로써 유압펌프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는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는 동력 에너지를 손실 없이 효율좋게 활용하는 것이 매우 주요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력에너지를 손실 없이 효율좋게 활용할 수 있는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건설기계는 상부 선회체의 후방에 배치된 배터리체와, 배터리체의 전방이고 또 근방에 배치된 전동기와, 전동기에 연결된 유압펌프와, 유압펌프의 근방에 배치된 작동유 탱크와, 유압펌프의 근방에 배치된 액츄에이터용 전환밸브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상부 선회체의 절개(切開) 주요부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에서 본 상부 선회체의 우측면도,
도 4는 제1실시형태의 건설기계를 좌측 경사지게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형태의 건설기계를 우측 경사지게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도 2에 있어서의 배터리체가 전후의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배터리구동의 건설기계의 측면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상부 선회체의 절개 주요부 평면도,
도 9는 도 8의 A부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B-B에서 본 주요부 측면도,
도 11은 도 8의 C-C에서 본 도면,
도 12는 유압펌프 및 섹션 배관을 구비한 상부선회체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측면도,
도 13은 제2실시형태의 일부를 변형한 건설기계 내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
본 발명은 배터리체의 근방에 전동기를 배치하였다. 따라서, 전선 저항에 의한 전력손실을 억제함과 동시에 가급적 작은 용적의 배터리체를 탑재하고, 그 배터리체의 에너지를 효율좋고 게다가 장시간에 걸쳐 전달할 수 있다. 또, 유압펌프의 근방에 작동유탱크 및 액츄에이터용 전환밸브를 배치하였다. 따라서, 유압펌프와 작동유탱크, 유압펌프와 액츄에이터용 전환밸브를 각각 연결하는 유압배관을 짧게하여 배관 저항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터리체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 작동유탱크의 상방에 전동기와 유압펌프를 배치하면 건설기계의 차체 내부의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차체내부의 각종기기 레이아웃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작동유탱크 상방측의 전동기에 대한 브러시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배터리의 상방을 개방하는 상부커버, 배터리의 후방을 개방하는 후방커버 및 전동기의 적어도 옆쪽을 개방하는 측부커버를 설치하고, 또한 배터리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켜도 된다. 이 경우는 복수개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배터리액의 보충 등의 메인터넌스를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교환의 메인터넌스가 필요해진 경우에도 배터리를 크레인 등으로 쉽게 달아 올릴 수 있다. 또, 배터리(鉛式 배터리)의 충전을 행할 때는 과충전시에 수소가스를 발생하나, 상부커버, 후부커버, 측부커버를 개방함으로써 배터리 상방의 통기성을 좋게할 수 있다. 또, 전동기에 대해서도 직류모터를 사용할 경우, 측부커버 혹은 상부커버를 개방함으로써 브러시 교환의 메인터넌스를 쉽게 행할 수 있다.
또, 전동기를 작동유탱크에 대하여 완충부재를 통하여 부착하여도 된다. 이 경우는 건설기계 작업시의 충격을 전동기, 유압펌프 등의 구동계에 전파하기 어렵게 된다.
또, 전동기와, 유압펌프와, 작동유탱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구비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작동유탱크에 대하여 조립하는 전동기, 유압펌프의 구동계의 서브어셈블리화가 가능해지고, 건설기계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유압펌프의 섹션포트와 작동유탱크를 연결하는 섹션 배관 도중에 오일 고임용 굴곡부를 형성하여, 굴곡부를 섹션포트의 위치 높이 보다 높게 설정된 위치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유압펌프를 정지상태로 한 경우라도 섹션 배관내의 작동유가 작동유탱크로 빠져서 낙하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형상의 섹션 배관을 형성함으로써 섹션포트에 공급하는 작동유를 섹션 배관내에 상시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3에 의해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도 1 내지 도 6)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본 건설기계의 베이스 머신은 유압 셔블이다)의 측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5는 건설기계의 하부주행체이다. 6은 하부주행체(5)의 상부에 연접한 상부 선회체이다. 7은 상부선회체(6)에 장비하고 있는 운전석이다. 8은 상부 선회체(6)의 전부(前部)에 장착한 작업 어태치먼트이다. 9는 상부선회체(6)의 후방에 배치한 배터리체(배터리체(9)는 후기하는 복수의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다)이다. 10은 화살표(a)방향으로 힌지부재(11)를 중심으로 회동개방 가능한 상부커버이다. 12는 화살표(b)방향으로 힌지부재(13)를 중심으로 회동개방 가능한 후부커버이다. 또, 도 1에는 상부선회체(6)의 운전석(7)을 가리는 캡, 캐노피 등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상부선회체(6)의 절개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4는 배터리체(9)를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이다. 15는 배터리(14)의 각각 배터리액 보충구이다. 16L, 16R은 상기 배터리체(9)를 전후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부재인 가이드레일이다. 17은 상부선회체(6)의 옆쪽에 배치한 전동기(전동모터)이다. 18은 유압펌프, 19는 액츄에이터용 전환밸브이다. 20은 작동유탱크이다. 21은 힌지부재(22)를 중심으로 회동 개방 가능한 측부 커버이다.
도 3은 도 2의 A에서 본 상부 선회체(6)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설기계를 좌측으로 경사지게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23은 운전석(7; 도 1과 도 2참조)을 가리는 운전석용 캡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건설기계를 우측으로 경사지게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21은 화살표(c)방향으로 힌지부재(22)를 중심으로 회동개방 가능한 측부커버이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의 배터리체(9)가 전후의 수평방향(화살표(d)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건설기계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부선회체(6)의 후방에 배터리체(9)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체(9)의 전방에 전동기(17)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전동기(17)에 유압펌프(18)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유압펌프(18)의 근방(도 3 도시의 유압펌프(18) 및 전동기(17)의 하방위치)에 작동유탱크(20)를 배치하고, 상기 유압펌프(18)의 근방(도 2 도시의 유압펌프(18)의 옆쪽 위치)에 액츄에이터용 전환밸브(건설기계에 장비하고 있는 유압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방향전환 밸브로서, 소위 콘트롤 밸브; 19)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체(9)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배터리(14; 도 2참조)의 적어도 배터리액 보충구(15)의 상방을 대략 전역에 걸쳐 개방하는 상부 커버(10)를 설치하였다. 또, 상기 배터리체(9)의 후방을 대략 전역에 걸쳐 개방하는 후부커버(12; 도 1, 도 3, 도 4, 도 5참조) 및 상기 전동기(17)의 옆쪽을 개방하는 측부커버(21; 도 2, 도 3, 도 5, 도 6참조)를 설치하였다. 또, 상기 배터리체(9)를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6L, 16R; 도 6, 도 2참조)을 상부 선회체(6)내에 설치하였다.
또한, 이 제1실시형태는 상기 배터리체(9)의 측면측의 일면에 대향하는 부분을 개방 가능한 측부커버(도시않음)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배터리체(9)의 적어도 1면에 커버부재(도시않음)를 고정하고, 상기 배터리체(9)를 상부선회체(6)내에 수납했을 때, 상기 커버부재가 인접한 커버, 가령 측부커버(21)와 대략 동일 평면이 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제1실시형태의 건설기계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상부선회체(6)에 탑재된 배터리체(9)로 부터의 전력을 얻어 구동하는 전동기(17)의 동력을 이용하여 유압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체(9)의 근방에 상기 전동기(17)를 배치하였다. 이에 따라 전선 저항에 따른 전력 손실을 억제함과 동시에, 가급적 작은 용적의 배터리체(9)를 탑재하여, 그 배터리체(9)의 에너지를 효율좋고 또한 장시간에 걸쳐 전달할 수 있다. 또, 상기 유압펌프(18)의 근방에 작동유탱크(20)를 배치했기 때문에, 상기 유압펌프(18)와 상기 작동유탱크(20), 상기 유압펌프(18)와 상기 액츄에이터용 전환밸브(19)를 각각 연결하는 유압배관(도시않음)을 짧게 하여 배관저항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터리체(9)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는 상기 배터리체(9)의 상방을 대략 전역에 걸쳐 개방하는 상부 커버(10), 상기 배터리체(9)의 후방을 대략 전역에 걸쳐 개방하는 후부커버(12), 및 상기 전동기(17)의 옆쪽을 개방하는 측부커버(21)를 설치하고, 게다가 상기 배터리체(9)를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배터리(14; 도 2참조)에 대한 충전, 배터리액의 보충 등의 메인터넌스를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14)의 교환의 메인터넌스가 필요할 경우에도 상기 배터리(14)를 크레인 등(도시않음)으로 쉽게 달아올릴 수 있다. 또, 상기 배터리(14; 연식 배터리)의 충전을 행할 때는 과충전시에 수소가스를 발생하나, 상기 상부커버(10), 후부커버(12), 측부커버(21)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배터리(14; 배터리체(9)) 상방의 통기성을 좋게할 수 있다. 또, 전동기(17)에 대해서도 직류모터를 사용할 경우, 상기 측부커버(21)를 개방함으로써 브러시(도시않음) 교환의 메인터넌스를 쉽게 행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도 7 내지 도 13)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구비한 배터리구동의 건설기계(본 건설기계의 베이스머신은 유압 셔블이다)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5는 건설기계의 하부주행체이다. 6은 하부주행체(5)의 상부에 연접한 상부선회체이다. 9는 상부선회체(6)의 후방에 배치한 배터리체(배터리(9)는 복수의 배터리 개체, 소위 셀로 구성되어 있다)이다. 8은 상부선회체(6)의 전부에 장착한 작업 어태치먼트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상부선회체(6)의 절개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4는 배터리(9)를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개체이다. 17은 상부 선회체(6)의 옆쪽에 배치한 전동기(전동모터)이다. 18은 메인압 토출용 유압펌프이다. 20은 작동유탱크이다. 45a, 45b, 45c, 45d는 상부 선회체(2)의 도시않는 선회프레임에 대하여 작동유탱크(20)를 체결(볼트 죔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작동유탱크(20)에 고정설치한 각각 시트판금구이다.
도 9는 도 8의 A부 확대도이다. 섹션 배관(46)을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47은 전동기(17)와 유압펌프(18)를 각각 고정하여 부착하고 있는 연결프레임이다. 49는 전동기(17), 유압펌프(18)의 각각 주축(부호없음)을 동심으로 연결한 커플링이다. 51a, 51b, 51c는 연결프레임(47)을 작동유탱크(20)의 상면부에 대하여 부착하고 있는 각각 완충 마운트부이다.
도 10은 도 8의 B-B에서 본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52는 유압펌프(18)의 하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유 흡입측의 섹션포트이다. 53은 작동유탱크(20)의 작동유 공급용 포트이다. 54는 섹션 배관(46)의 굴곡부이다.
도 11은 도 8의 C-C에서 본 도면이나, 도 8에 있어서의 완충 마운트부(51c)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55는 작동유탱크(20)의 상면부에 용착한 암나사 부착 보스시트이다. 56은 연결프레임(47)의 지지용 브라켓이다. 57U, 57L은 각각 완충부재인 고무완충체이다.
다음에, 본 제2실시형태의 건설기계 구성을 도 7 내지 도 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작동유탱크(20)의 상방에 전동기(17)와, 상기 전동기(17)에 접속되어 구동되는 유압펌프(18)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기(17)를 상기 작동유탱크(20)에 대하여 완충부재인 고무완충체(57U, 57L; 도 11참조)를 통하여 부착하였다. 또 상기 전동기(17)와, 상기 유압펌프(18)와, 상기 작동유탱크(20)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47)을 가지며, 상기 유압펌프(18)의 하부(하향)의 섹션포트(52)와, 상기 작동유탱크(20)의 작동유 공급용 포트(53)를 섹션배관(46)으로 접속하였다. 또한, 상기 섹션배관(46) 도중에 형성한 오일 고임용 굴곡부(54)의 위치높이는 상기 섹션포트(52)의 위치높이 보다 치수(h; 도 10참조) 만큼 높게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본 제2실시형태의 건설기계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작동유 탱크(20)의 상방에 유압펌프(18) 구동용 전동기(17)를 부착했기 때문에, 상기 전동기(17)와 상기 작동유탱크(20)가 상호 근접배치되어 있다. 그에 따라 건설기계 차체내부의 스페이스 절약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차체내부의 각종기기 레이아웃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작동유탱크(20)의 상방측의 상기 전동기(17)에 대한 브러시 교환시의 메인터넌스를 쉽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작동유 탱크(20)와 상기 유압펌프(18)를 접속하는 섹션배관(46)을 최단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유압펌프(18) 구동시의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유압펌프(18)의 하부(하향)의 섹션포트(52)와, 상기 작동유 탱크(20)의 작동유 공급용 포트(53)를 연결하는 섹션배관(46) 도중에 오일 고임용 굴곡부(5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굴곡부(54)는 상기 섹션포트(52)의 위치 높이 보다 높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상기 유압펌프(18)를 정지상태로 할 경우에도 상기 섹션 배관(46)내의 작동유가 상기 작동유 탱크(20)로 빠져서 떨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형상의 상기 섹션배관(46)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섹션포트(52)에 공급하는 작동유를 상기 섹션배관(46)내에 상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섹션배관(46)의 재료는 유압용 호스, 유압용 튜브 등을 사용한다.
또, 상기 전동기(17) 및 상기 유압펌프(18)와, 상기 작동유탱크(20)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47)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작동유탱크(20)에 대하여 조립하는 전동기(17), 유압펌프(18)의 구동계의 서브어셈블리화가 가능하고, 건설기계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부착용 프레임(47)과 상기 작동유탱크(20)를 완충부재인 고무완충체(57U, 57L)를 통하여 부착했기 때문에 건설기계의 작업시의 충격을 상기 전동기(17), 유압펌프(18)의 구동계에 전파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상기 완충부재에 고무완충체를 사용하고 있으나, 고무완충체에 한하지 않고,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완충체, 고점성액 봉입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12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압펌프(18') 및 섹션배관(46')을 구비한 상부선회체(6')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 요소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한다. 도 12에 도시한 변형 실시예는 유압펌프(18')의 섹션포트(52')를 상향으로 설정하였다. 그에 따라 상기 상향의 섹션포트(52')와 상기 작동유탱크(20)의 작동유 공급용 포트(53)를 접속하는 섹션배관(46')의 도중에는 오일 고임용 굴곡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굴곡부(54')는 상기 섹션포트(52')의 위치높이 보다 치수(h') 만큼 높이 설정하고 있으므로 상기 유압펌프(18')를 정지상태로 할 경우에도, 상기 섹션배관(46')내의 작동유가 상기 작동유탱크(20)로 빠져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유압펌프(18')의 섹션포트(52')를 상향으로 함으로써 도 10에 도시한 섹션배관(46)과 비교하여 상기 섹션배관(46')의 구부러짐을 적게할 수 있다.
또, 전동기, 유압펌프, 작동유탱크의 배치는 도 13과 같이 하여도 된다. 도면에 있어서, 28은 건설기계에 탑재한 배터리(도시않으나 도 8에 도시한 배터리(7)와 같은 것)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기이다. 29는 메인압 토출용 유압펌프이다. 30은 작동유 탱크이다. 31은 작동유탱크(30)의 측면부에 고착되고 상기 전동기(28) 및 유압펌프(29)를 고정부착한 부착브라켓이다. 도 13에 도시한 실시형태는 전동기(28)를 작동유탱크(30)의 옆쪽에 부착브라켓(31)을 통하여 부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동기(28)와 상기 작동유탱크(30)를 서로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으므로 건설기계(도시않음)의 차체내부의 스페이스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작동유탱크(30)와 상기 유압펌프(29)를 접속하는 섹션배관(32)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짧게할 수 있으므로 상기 유압펌프(29) 구동시의 에너지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전동기(28), 유압펌프 등, 구동계를 부착하는 부착브라켓(31)을 상기 작동유탱크(30)에 대하여 일체형으로 고정(가령 용접에 의한)하고 있으므로 상기 작동유탱크에 대하여 조립하는 상기 구동계의 서브어셈블리화가 가능하고, 건설기계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압펌프와 작동유탱크, 유압펌프와 액츄에이터용 전환밸브를 각각 연결하는 유압배관을 짧게하여 배관 저항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터리체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 작동유탱크의 상방에 전동기와 유압펌프를 배치하면 건설기계의 차체 내부의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차체내부의 각종기기 레이아웃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작동유탱크 상방측의 전동기에 대한 브러시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배터리의 상방을 개방하는 상부커버, 배터리의 후방을 개방하는 후방커버 및 전동기의 적어도 옆쪽을 개방하는 측부커버를 설치하고, 또한 배터리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켜도 된다. 이 경우는 복수개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배터리액의 보충 등의 메인터넌스를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교환의 메인터넌스가 필요해진 경우에도 배터리를 크레인 등으로 쉽게 달아 올릴 수 있다. 또, 배터리(鉛式 배터리)의 충전을 행할 때는 과충전시에 수소가스를 발생하나, 상부커버, 후부커버, 측부커버를 개방함으로써 배터리 상방의 통기성을 좋게할 수 있다. 또, 전동기에 대해서도 직류모터를 사용할 경우, 측부커버 혹은 상부커버를 개방함으로써 브러시 교환의 메인터넌스를 쉽게 행할 수 있다.
또, 전동기를 작동유탱크에 대하여 완충부재를 통하여 부착하여도 된다. 이 경우는 건설기계 작업시의 충격을 전동기, 유압펌프 등의 구동계에 전파하기 어렵게 된다.
또, 전동기와, 유압펌프와, 작동유탱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구비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작동유탱크에 대하여 조립하는 전동기, 유압펌프의 구동계의 서브어셈블리화가 가능해지고, 건설기계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유압펌프의 섹션포트와 작동유탱크를 연결하는 섹션 배관 도중에 오일 고임용 굴곡부를 형성하여, 굴곡부를 섹션포트의 위치 높이 보다 높게 설정된 위치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유압펌프를 정지상태로 한 경우라도 섹션 배관내의 작동유가 작동유탱크로 빠져서 낙하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형상의 섹션 배관을 형성함으로써 섹션포트에 공급하는 작동유를 섹션 배관내에 상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9)

  1. 복수의 배터리로 구성되며, 상부 선회체의 후방에 배치된 배터리체와; 상기 배터리체 전방 또한 근방에 배치된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에 연결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의 근방에 배치된 작동유탱크와; 그리고, 상기 유압펌프의 근방에 배치된 액츄에이터용 전환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탱크의 상방에, 상기 전동기와 상기 유압펌프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선회체가 상기 배터리체의 상방을 개방하는 상부커버를 가지며, 이 상부커버는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배터리액 보충구의 상방을 모두 개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가 상기 배터리체의 후방을 개방하는 후부커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선회체가 상기 상부선회체의 측부를 개방하는 측부커버를 가지며, 이 측부커버에 의해 상기 전동기의 적어도 옆쪽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가 상기 작동유탱크에 완충부재를 통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전동기와 상기 유압펌프와 상기 작동유탱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으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의 섹션포트와 상기 작동유탱크를 접속하는 섹션배관과;
    상기 섹션배관의 도중에 형성되고 상기 섹션포트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오일 고임용 굴곡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
KR1019980018658A 1997-05-23 1998-05-23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 KR100261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50056A JPH10317429A (ja) 1997-05-23 1997-05-23 バッテリ駆動の建設機械
JP97-150056 1997-05-23
JP97-187741 1997-06-27
JP9187741A JPH1121947A (ja) 1997-06-27 1997-06-27 バッテリ駆動の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314A true KR19980087314A (ko) 1998-12-05
KR100261860B1 KR100261860B1 (ko) 2000-07-15

Family

ID=26479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658A KR100261860B1 (ko) 1997-05-23 1998-05-23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879920B1 (ko)
KR (1) KR100261860B1 (ko)
DE (1) DE6983128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4997A (ja) * 1999-08-26 2001-03-13 Komatsu Ltd 作業車両のキャビン
EP1985767B1 (en) * 2006-02-07 2017-03-22 Takeuchi MFG.Co.,Ltd. Electrically-driven industrial vehicle
US8100210B2 (en) * 2006-02-07 2012-01-24 Takeuchi Mfg. Co., Ltd Electrically driven industrial vehicle
JP2007284873A (ja) 2006-04-12 2007-11-01 Takeuchi Seisakusho:Kk 作業車
ITBO20070745A1 (it) * 2007-11-08 2009-05-09 Hinowa S P A Minidumper
JP2010270555A (ja) * 2009-05-25 2010-12-02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作業機械の架台
JP5338479B2 (ja) * 2009-05-25 2013-11-1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作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3319A (en) * 1981-08-10 1986-03-04 Clark Equipment Company Vehicle hydraulic system with single pump
US4761954A (en) * 1987-03-16 1988-08-09 Dynamic Hydraulic Systems, Inc. Fork-lift system
JPH076217B2 (ja) * 1987-10-09 1995-01-30 日立建機株式会社 全旋回式作業機
DE69603210T2 (de) * 1995-02-17 2000-01-20 Kubota Kk Schaufelbagger mit einer Motorhaube an welcher der Fahrersitz befestigt ist
JP3572719B2 (ja) * 1995-05-16 2004-10-0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
JP3030242B2 (ja) * 1995-11-28 2000-04-10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
US5809779A (en) * 1996-06-17 1998-09-22 Bruso; Bruce L. Auxiliary hydraulic powe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79920B1 (en) 2005-08-24
DE69831285T2 (de) 2006-06-08
DE69831285D1 (de) 2005-09-29
EP0879920A3 (en) 1999-07-07
KR100261860B1 (ko) 2000-07-15
EP0879920A2 (en)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4578B2 (ja) 電動式作業車両及びそのベースフレーム
JP5814577B2 (ja) 電動式作業車両及びそのバッテリ保持構造
EP3202606B1 (en) Four wheel vehicle
CN100482901C (zh) 具有旋转台的旋转作业机
US20130078071A1 (en) Electric construction machine
KR100261860B1 (ko)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
JP4230199B2 (ja) 運転室のフロア構造
JPH10317429A (ja) バッテリ駆動の建設機械
KR20050041935A (ko) 건설 기계
JP2004098728A (ja) 作業車両
JP2024032825A (ja) 建設機械
JPH1122574A (ja) 建設機械
US20230417015A1 (en) Construction Equipment
JP6807886B2 (ja) 建設機械
KR0139857B1 (ko) 전동 리치식 지게차의 차체
JP2000038037A (ja) 建設機械
JP3350409B2 (ja) バックホウ
JPH1121947A (ja) バッテリ駆動の建設機械
JP3824188B2 (ja) バッテリ駆動の作業機械
JP2024039750A (ja) 車両
JP3350410B2 (ja) バックホウ
CN218410715U (zh) 一种纯电动全液压履带式拆炉机
KR102355348B1 (ko)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
CN216272622U (zh) 一种可调节电梯地坎支架
CN218616881U (zh) 一种履带拖拉机操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