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1935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1935A
KR20050041935A KR1020040086978A KR20040086978A KR20050041935A KR 20050041935 A KR20050041935 A KR 20050041935A KR 1020040086978 A KR1020040086978 A KR 1020040086978A KR 20040086978 A KR20040086978 A KR 20040086978A KR 20050041935 A KR20050041935 A KR 20050041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eat support
seat
bottom plate
sign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5924B1 (ko
Inventor
이사까와따루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1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신호 라인군을 운전석 지지대에 숨겨 콘솔의 하측에 스페이스를 마련하고, 또한 미관을 양호하게 하여 청소 작업을 쉽게 한다.
좌우의 파일럿 호스군(29, 30)은 조작 레버 장치(24, 27)로부터 횡방향 개구(19)를 통해 운전석 지지대(14)의 내부로 도입하고, 운전석 지지대(14)의 내부로부터 바닥판(12)의 종방향 개구(13) 등을 통해 제어 밸브(5)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각 파일럿 호스군(29, 30)은 운전석 지지대(14)의 내부에 숨길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콘솔(23, 26)과 바닥판(12) 사이에 예를 들어 공조 유닛(39)의 덕트, 윈드 워셔액의 탱크 등의 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또, 외관 상의 미관을 양호하게 하여 운전석(22)의 주위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압 셔블 등의 건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석의 좌우 양측에 작업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 장치가 형성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은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전방측에 부앙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작업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의 베이스를 구성하는 선회 프레임에는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엔진,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작업 장치 등에 급배하는 제어 밸브 등이 탑재되어 있다. 한편, 선회 프레임 상에는 좌측 전방측에 위치하여 바닥판이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 상에는 운전석 지지대를 통해 운전자가 착좌하는 운전석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을 협지하여 상기 운전석 지지대의 좌우 양측에는 콘솔이 배치되고, 상기 좌우 콘솔에는 작업 장치를 조작하는 유압 파일럿식의 조작 레버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조작 레버 장치의 유압 파일럿 밸브와 상기 제어 밸브는 복수개의 유압 호스로 이루어지는 좌측 파일럿 호스군에 의해 접속되고, 마찬가지로 우측의 조작 레버 장치의 유압 파일럿 밸브와 제어 밸브는 우측 파일럿 호스군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좌우의 조작 레버 장치와 제어 밸브를 접속하는 좌우의 파일럿 호스군은, 콘솔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바닥판을 관통한 후에, 바닥판의 하측을 통해 제어 밸브에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좌측의 조작 레버 장치에 접속되는 좌측 파일럿 호스군은 좌측 콘솔로부터 바로 아래로 연장되고, 바닥판에 형성된 종방향의 개구를 통과하여 제어 밸브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우측의 조작 레버 장치에 접속되는 우측 파일럿 호스군은 우측 콘솔로부터 운전석 지지대를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통과한 후에, 좌측 파일럿 호스군과 함께 좌측 콘솔의 바로 아래 위치에서 바닥판을 통과하여 제어 밸브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조작 레버 장치에는 전술한 유압 파일럿식의 조작 레버 장치 외에, 레버의 조작을 변위 센서에 의해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전기식의 조작 레버 장치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9681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2-70836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특허 문헌 1에 의한 유압 셔블에서는 좌측 파일럿 호스군은 좌측 콘솔로부터 바로 아래로 연장되고, 우측 파일럿 호스군도 운전석 지지대를 좌우측 방향으로 통과시켜 좌측 콘솔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각 파일럿 호스군을 함께 바닥판을 통과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좌측 콘솔의 하측에는 좌우의 파일럿 호스군이 존재하기 때문에, 운전석의 주위에 설비되는 공조 장치의 덕트, 윈드 워셔액의 탱크, 차량 탑재 공구 등의 부품을 배치할 수 없어, 부품의 레이아웃에 제한을 받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파일럿 호스군은 좌측 콘솔과 바닥판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 상의 미관이 양호하지 않은 데다가 파일럿 호스가 방해가 되어 청소 작업에 수고를 끼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조작 레버 장치로서, 특허 문헌 2에 의한 전기식의 조작 레버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이 조작 레버 장치의 변위 센서와 제어 밸브를 접속하는 복수개의 하네스군이 방해가 되어 파일럿 호스군과 거의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 라인군을 운전석 지지대에 숨김으로써, 콘솔의 하측에 스페이스를 마련할 수 있고, 또한 미관을 양호하게 하여 청소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는, 차체를 구성하는 프레임 상에 설치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에 배치된 운전석 지지대와, 상기 운전석 지지대 상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착좌하는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을 협지하여 상기 운전석 지지대의 좌우 양측에 부착된 좌우 콘솔과, 상기 좌우 콘솔에 각각 설치되어 작업 장치를 조작하는 유압 파일럿식 또는 전기식의 조작 레버 장치와, 상기 좌우의 조작 레버 장치와 상기 작업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밸브를 접속하는 파일럿 호스 또는 하네스로 이루어지는 좌우의 신호 라인군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이 채용되는 구성의 특징은, 운전석 지지대에는 좌우의 양측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개구하는 횡방향 개구를 설치하고, 바닥판에는 운전석 지지대의 하측에 위치하여 종방향으로 개구하는 종방향 개구를 설치하고, 좌우의 신호 라인군은 조작 레버 장치로부터 상기 횡방향 개구를 통해 운전석 지지대의 내부로 도입하고, 상기 운전석 지지대로부터 상기 바닥판의 종방향 개구를 통해 제어 밸브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좌우 콘솔에는 각종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기 장착 부품을 마련하고, 상기 전기 장착 부품에 접속되는 하네스는 각 신호 라인군과 함께 횡방향 개구를 통해 운전석 지지대의 내부로 도입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운전석 지지대의 내부에는 좌우의 신호 라인군을 묶는 결속구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운전석 지지대에는 좌우의 조작 레버 장치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하는 레버 위치 조정 기구를 마련하고, 좌우의 신호 라인군에는 상기 레버 위치 조정 기구에 의한 조작 레버 장치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이완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건설 기계로서, 유압 파일럿식의 조작 레버 장치를 구비한 캡 사양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도1 내지 도7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로, 상기 유압 셔블(1)의 차체는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상기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호 4는 상부 선회체(3)의 베이스를 구성하는 선회 프레임으로, 상기 선회 프레임에는 후방측에 위치하여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엔진(모두 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후술하는 작업 장치(7) 등에 급배하고, 상기 작업 장치(7) 등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5)와, 상기 엔진 및 제어 밸브(5) 등을 덮는 건물 커버(6) 등이 마련되어 있다.
부호 7은 상부 선회체(3)의 전방부 측에 부앙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작업 장치로, 상기 작업 장치(7)는 붐(8), 아암(9), 버킷(10) 등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 장치(7)는 후술한 조작 레버 장치(24, 27)를 조작함으로써 부앙 이동하여 토사의 굴착 작업 등을 행하는 것이다.
부호 11은 상부 선회체(3)의 선회 프레임(4) 상에 배치된 캡으로, 상기 캡(11)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부(11A), 후방면부(11B), 좌측면부(11C), 우측면부(11D) 및 천장부(11E) 등에 의해 둘러싸인 박스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캡(11)은 바닥부측이 후술하는 바닥판(12)에 의해 폐색되고, 상기 바닥판(12)을 통해 선회 프레임(4) 상의 좌측 전방측에 부착되어 있다.
부호 12는 선회 프레임(4)의 좌측 전방측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4) 상에 설치된 바닥판으로, 상기 바닥판(12)은 캡(11)의 바닥부측을 폐색하는 것이다. 그리고, 바닥판(12)은, 예를 들어 장방 형상의 판 부재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방진 마운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선회 프레임(4)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12)에는 전방측에 위치하여 후술한 주행 조작 레버ㆍ페달(38)이 배치되고, 전후 방향의 중간에 위치하여 후술한 운전석 지지대(14) 및 운전석(22) 등이 배치되고, 후방측에 위치하여 후술한 공조 유닛(39) 및 제어기(40)가 배치되어 있다.
부호 13은 바닥판(12)의 전후 방향의 중간 부분에 상하 방향이 되는 종방향으로 개구하여 설치된 1개의 종방향 개구(도5 참조)로, 상기 종방향 개구(13)는 후술하는 각 파일럿 호스군(29, 30)을 상하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종방향 개구(13)는 운전석 지지대(14)의 하측에 위치하여 예를 들어 원형으로 개구하고 있다. 또, 종방향 개구(13)에는 각 파일럿 호스군(29, 30)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보호용의 모서리 고무(13A)가 부착되어 있다.
부호 14는 바닥판(12) 상에 설치된 운전석 지지대로, 상기 운전석 지지대(14)는 후술하는 운전석(22)을 지지하고, 상기 운전석(22)의 좌우 양측에 조작 레버 장치(24, 27)를 배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석 지지대(14)는 바닥판(12)의 전후 방향의 거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고, 도3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한 고정 베이스(15), 레버 위치 조정 기구(17), 이동 다이 시트(18), 운전석 위치 조정 기구(20), 높이 위치 조정 기구(21) 등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부호 15는 종방향 개구(13)를 후방부 위치에서 걸치도록 바닥판(12) 상에 부착된 고정 베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고정 베이스(15)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 형상의 판 부재의 전후 부분을 하측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고, 그 전후 부분이 바닥판(12)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베이스(15)에는 후방측에 위치하여 바닥판(12)의 종방향 개구(13)와 거의 대응하는 위치에 종방향 개구(16)가 설치되고, 상기 종방향 개구(16)에는 모서리 고무(16A)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17은 고정 베이스(15) 상에 설치된 레버 위치 조정 기구로, 상기 레버 위치 조정 기구(17)는 후술한 운전석(22), 콘솔(23, 26), 조작 레버 장치(24, 27)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레버 위치 조정 기구(17)는 도3,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하여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고정 베이스(15)에 고정된 한 쌍의 고정 레일(17A)과, 후술하는 이동 다이 시트(18)의 다리판부(18C)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부착되고, 상기 각 고정 레일(17A)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한 쌍의 이동 레일(17B)과, 항상 고정 레일(17A)과 이동 레일(17B)을 전후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고, 록 레버(17C)를 조작하였을 때에 고정 레일(17A) 상에서 이동 레일(17B)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 결정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는 록 레버(17C)의 조작을 해제하였을 때에는, 고정 테일(17A)에 대해 이동 레일(17B)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부호 18은 고정 베이스(15) 상에 레버 위치 조정 기구(17)를 통해 배치된 이동 다이 시트로, 상기 이동 다이 시트(18)는 도5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 형상의 정상판부(18A)와, 상기 정상판부(18A)의 좌우 단부 모서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 좌우 측판부(18B)와, 상기 측판부(18B)의 하단부 모서리로부터 좌우측 방향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된 좌우의 다리판부(18C)에 의해 거의 コ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측판부(18B)의 전방측 부위에는 좌우측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착 브래킷(18D)이 설치되고, 상기 각 부착 브래킷(18D)에는 후술한 콘솔(23, 26)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정상판부(18A)의 하부면에는 중앙부 후방측에 위치하여 부착 시트(18E)가 부착되고, 상기 부착 시트(18E)에는 후술하는 호스 결속구(31)가 부착된다. 또한, 우측의 측판부(18B)의 내면에는, 후술한 횡방향 개구(19)의 후방측에 위치하여 다른 부착 시트(18F)가 부착되고, 상기 부착 시트(18F)에는 후술하는 하네스 결속구(32)가 부착된다. 그리고, 이동 다이 시트(18)에는 각 다리판부(18C)의 하부면에 레버 위치 조정 기구(17)의 이동 레일(17B)이 부착되고, 정상판부(18A) 상에 후술하는 운전석 위치 조정 기구(20)가 부착되어 있다.
부호 19는 운전석 지지대(14)를 구성하는 이동 다이 시트(18)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고, 횡방향으로 개구하여 설치된 좌우의 횡방향 개구로, 상기 각 횡방향 개구(19)는 후술한 파일럿 호스군(29, 30)과 하네스(33 내지 36)를 외부로부터 운전석 지지대(14)의 내부에 통과시키는 것이다. 또한, 각 횡방향 개구(19)는 이동 다이 시트(18)의 각 측판부(18B)의 중간 위치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좌우측 방향으로 개구된 장방 형상의 길이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운전석 지지대(14)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베이스(15)의 상부면, 레버 위치 조정 기구(17), 이동 다이 시트(18)에 둘러싸인 부분이 공동이 되고, 이 공동 부분에 후술하는 좌측 파일럿 호스군(29), 우측 파일럿 호스군(30), 하네스(33 내지 36)를 도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20은 이동 다이 시트(18)의 정상판부(18A) 상에 설치된 운전석 위치 조정 기구로, 상기 운전석 위치 조정 기구(20)는 조작 레버 장치(24, 27)와 별개로 운전석(22)을 단체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석 위치 조정 기구(20)는 전술한 레버 위치 조정 기구(17)와 거의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운전석 위치 조정 기구(20)는 록 레버(20A)를 조작함으로써, 후술한 운전석(22)을 조작 레버 장치(24, 27)와는 별개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부호 21은 운전석 위치 조정 기구(20)의 상측에 설치된 높이 위치 조정 기구로, 상기 높이 위치 조정 기구(21)는 상측에 부착되는 후술하는 운전석(22)의 착좌 위치를 임의의 높이로 조정하는 것이다.
부호 22는 운전석 지지대(14)의 상측에 설치된 운전석으로, 상기 운전석(22)은 운전자가 착좌하는 것이다. 또한, 운전석(22)은 좌석부(22A)와 등받이부(22B)로 이루어지고, 등받이부(22B)에는 팔걸이부(22C)가 부착되어 있다.
부호 23은 운전석(22)의 좌측에 위치하여 운전석 지지대(14)에 부착된 좌측 콘솔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콘솔(23)은 도6, 도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지지대(14)를 구성하는 이동 다이 시트(18)의 좌측의 부착 브래킷(18D)에 부착된 레버 부착 프레임(23A)과, 상기 레버 부착 프레임(23A)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된 전기 장착 부품 부착 프레임(23B)과, 각 부착 프레임(23A, 23B)을 피복하는 콘솔 커버(23C)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부호 24는 좌측 콘솔(23)의 레버 부착 프레임(23A)에 부착된 좌측의 조작 레버 장치로, 상기 조작 레버 장치(24)는 작업 장치(7)를 조작하거나, 상부 선회체(3)를 선회 동작시키거나 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작 레버 장치(24)는 레버 부착 프레임(23A)에 부착된 감압 변형 파일럿 밸브(24A)와, 상기 파일럿 밸브(24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레버 본체(24B)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일럿 밸브(24A)는 후술하는 좌측 파일럿 호스군(29)을 통해 제어 밸브(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부호 25는 좌측 콘솔(23)의 전기 장착 부품 프레임(23B)에 부착된 전기 장착 부품으로, 상기 전기 장착 부품(25)으로서는 공조 장치를 구성하는 후술한 공조 유닛(39)을 조작하는 공조 스위치, 작업 모드를 절환하는 작업 모드 선택 스위치, 주행 모드를 절환하는 주행 모드 선택 스위치, 라이트 스위치, 라디오의 조작 스위치, 엔진의 시동 스위치, 상기 각 스위치의 조작 상황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 램프 등의 표시 장치 등이 있다. 그리고, 전기 장착 부품 프레임(23B)에는 각종 스위치, 표시 장치 중 예를 들어 공조 스위치, 작업 모드 선택 스위치, 주행 모드 선택 스위치, 이들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가 유닛화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 장착 부품(25)은, 예를 들어 후술한 하네스(33, 34)를 통해 공조 유닛(39), 제어기(40)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부호 26은 운전석(22)의 우측에 위치하여 운전석 지지대(14)에 부착된 우측 콘솔로, 상기 콘솔(26)은 좌측 콘솔(23)과 거의 마찬가지로, 레버 부착 프레임(26A), 전기 장착 부품 프레임(26B), 콘솔 커버(26C) 등으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부호 27은 우측 콘솔(26)의 레버 부착 프레임(26A)에 부착된 우측의 조작 레버 장치로, 상기 조작 레버 장치(27)는 좌측의 조작 레버 장치(24)와 거의 마찬가지로, 감압 변형 파일럿 밸브(27A), 레버 본체(27B) 등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일럿 밸브(27A)는 후술하는 우측 파일럿 호스군(30)을 통해 제어 밸브(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부호 28은 우측 콘솔(26)의 전기 장착 부품 프레임(26B)에 부착된 전기 장착 부품으로, 상기 전기 장착 부품(28)은 좌측의 전기 장착 부품(25)과는 다른 스위치, 표시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 장착 부품(28)은, 예를 들어 후술한 하네스(35, 36)를 통해 제어기(40) 등에 접속되어 있다.
부호 29는 좌측의 조작 레버 장치(24)와 제어 밸브(5) 사이에 설치된 좌측 파일럿 호스군으로, 상기 좌측 파일럿 호스군(29)은 좌측의 조작 레버 장치(24)의 파일럿 밸브(24A)와 제어 밸브(5)를 접속하는 복수개의 파일럿 호스로 이루어지는 좌측 신호 라인군을 구성하고 있다. 또, 부호 30은 우측의 조작 레버 장치(27)와 제어 밸브(5) 사이에 설치된 우측 파일럿 호스군으로, 상기 우측 파일럿 호스군(30)은 우측의 조작 레버 장치(27)의 파일럿 밸브(27A)와 제어 밸브(5)를 접속하는 복수개의 파일럿 호스로 이루어지는 우측 신호 라인군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좌우의 파일럿 호스군(29, 30)의 처리 경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좌측의 조작 레버 장치(24)의 파일럿 밸브(24A)에 접속된 좌측 파일럿 호스군(29)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럿 밸브(24A)로부터 굴곡시켜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운전석 지지대(14)를 구성하는 이동 다이 시트(18)의 좌측판부(18B)에 개구한 횡방향 개구(19)로부터 상기 이동 다이 시트(18)[운전석 지지대(14)]의 내부로 도입된다.
또한, 이동 다이 시트(18) 내로 도입된 좌측 파일럿 호스군(29)은, 도4,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 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에서 굴곡시켜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다이 시트(18)의 후방측 위치에서 반원을 그리도록 이완부(29A)를 형성한다. 또한, 이완부(29A)를 형성한 좌측 파일럿 호스군(29)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고정 베이스(15)의 종방향 개구(16), 바닥판(12)의 종방향 개구(13)를 통과하고,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12)의 하측을 통해 제어 밸브(5)에 접속된다.
다음에, 우측의 조작 레버 장치(27)의 파일럿 밸브(27A)에 접속된 우측 파일럿 호스군(30)은, 좌측 파일럿 호스군(29)과 대칭 형상을 이루도록, 파일럿 밸브(27A)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우측의 횡방향 개구(19)로부터 이동 다이 시트(18) 내로 도입된다. 또한, 이동 다이 시트(18) 내로 도입된 우측 파일럿 호스군(30)은, 좌우측 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에서 후방 방향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좌측 파일럿 호스군(29)과 더불어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반원형의 이완부(30A)를 형성한 후에, 종방향 개구(16, 13)를 통과하여 제어 밸브(5)에 접속된다.
여기서, 이동 다이 시트(18)의 후방측 위치에서 반원형으로 형성된 이완부(29A, 30A)는 레버 위치 조정 기구(17)에 의해 조작 레버 장치(24, 27)를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였을 때에, 원호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하거나 한다. 이에 의해, 각 파일럿 호스군(29, 30)이 무리하게 인장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각 파일럿 호스군(29, 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부호 31은 운전석 지지대(14)의 내부에 설치된 호스 결속구로, 상기 호스 결속구(31)는 좌우의 파일럿 호스군(29, 30)을 묶은 상태로, 이동 다이 시트(18)의 정상판부(18A)의 하부면 근방으로 보유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호스 결속구(31)는 각 파일럿 호스군(29, 30)을 묶도록 거의 P자형으로 절곡되어진 결속 밴드(31A)와, 상기 결속 밴드(31A)를 이동 다이 시트(18)의 정상판부(18A)에 설치된 부착 시트(18E)에 고정하는 고정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 결속구(31)는 이동 다이 시트(18) 등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각 파일럿 호스군(29, 30)이 횡방향 개구(19) 등에 접촉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작용이다.
또한, 부호 32는 바닥판(12)의 하부면측에 설치된 다른 호스 결속구로, 상기 호스 결속구(32)는 좌우의 파일럿 호스군(29, 30)을 묶은 상태로 바닥판(12)의 하부면 근방으로 보유 지지하므로, 전술한 호스 결속구(31)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33은 좌측의 전기 장착 부품(25)과 후술한 공조 유닛(39)을 접속하는 하네스, 부호 34는 전기 장착 부품(25)과 후술한 제어기(40)를 접속하는 하네스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부호 35, 36은 우측의 전기 장착 부품(28)과 제어기(40) 등을 접속하는 하네스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좌측의 전기 장착 부품(25)에 접속된 하네스(33, 34)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파일럿 호스군(29)과 함께 이동 다이 시트(18)의 횡방향 개구(19)로부터 이동 다이 시트(18)의 내부로 도입되고, 상기 이동 다이 시트(18) 내를 우측판부(18B) 근방까지 연장된 후에 후방측에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하네스(33)는, 예를 들어 후방측에 설치된 공조 유닛(39)에 접속되고, 하네스(34)는 제어기(40)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우측의 전기 장착 부품(28)에 접속된 하네스(35, 36)는 우측 파일럿 호스군(30)과 함께 이동 다이 시트(18)의 횡방향 개구(19)로부터 이동 다이 시트(18)의 내부로 도입되고, 좌측의 하네스(33, 34)와 함께 굴곡시켜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하네스(35, 36)는, 예를 들어 제어기(40) 등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하네스(33 내지 36)는 레버 위치 조정 기구(17)에 의해 전기 장착 부품(25, 28)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고려하여 여유를 갖는 길이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부호 37은 운전석 지지대(14)의 내부에 설치된 하네스 결속구로, 상기 하네스 결속구(37)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하네스(33 내지 36)를 묶은 상태로, 이동 다이 시트(18)의 우측판부(18B) 내면 근방으로 보유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하네스 결속구(37)는 각 하네스(33 내지 36)를 묶은 결속 밴드(37A)를 고정 볼트(37B)에서 우측판부(18B)의 부착 시트(18F)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부호 38은 운전석(22)의 전방에 위치하여 바닥판(12)에 설치된 주행 조작 레버ㆍ페달로, 상기 주행 조작 레버 페달(38)은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킬 때에 수동 조작 또는 답입 조작에 의해 조작하는 것이다.
또한, 부호 39는 운전석(22)의 후방측에 설치된 공조 장치를 구성하는 공조 유닛으로, 상기 공조 유닛(39)은 캡(11) 내에 송풍 덕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난기 및 냉기 등을 공급하므로, 하네스(3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부호 40은 예를 들어 공조 유닛(39)의 상측에 설치된 제어기로, 상기 제어기(40)는 엔진 등의 동력계통을 제어하므로, 하네스(34, 35, 36) 등이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다음에 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운전자는 운전석(22)에 착좌하고, 이 상태에서 주행 조작 레버ㆍ페달(38)을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 장치(24, 27)의 레버 본체(24B, 27B)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7)를 부앙 이동시켜 토사의 굴착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이리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좌우의 파일럿 호스군(29, 30)은 조작 레버 장치(24, 27)로부터 횡방향 개구(19)를 통해 운전석 지지대(14)의 내부로 도입하고, 상기 운전석 지지대(14)의 내부로부터 바닥판(12)의 종방향 개구(13)를 통해 제어 밸브(5)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각 파일럿 호스군(29, 30)은 운전석 지지대(14)의 내부에 숨길 수 있으므로, 좌우 콘솔(23, 26)의 하측으로부터 파일럿 호스군(29, 30)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결과, 각 콘솔(23, 26)과 바닥판(12) 사이에 예를 들어 공조 유닛(39)의 덕트, 윈드 워셔액의 탱크, 차량 탑재 공구 등의 부품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품의 레이아웃에 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캡(11) 내의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파일럿 호스군(29, 30)을 운전석 지지대(14)의 내부에 숨김으로써, 운전석(22)의 주위에 있어서의 외관 상의 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운전석(22) 주위의 청소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좌우 콘솔(23, 26)에 부착한 전기 장착 부품(25, 28)의 하네스(33 내지 36)는 좌우의 파일럿 호스군(29, 30)과 함께 횡방향 개구(19)를 통해 운전석 지지대(14)의 내부로 도입할 수 있으므로, 하네스(33 내지 36)의 노출을 억제하여 레이아웃에 관한 자유도 및 외관 상의 미관 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청소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좌측 파일럿 호스군(29)과 우측 파일럿 호스군(30)은 운전석 지지대(14)의 내부에서 호스 결속구(31)에 의해 묶을 수 있으므로, 운전석 지지대(14)를 구성하는 이동 다이 시트(18)의 정상판부(18A) 내면에 따라서 각 파일럿 호스군(29, 30)을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동 다이 시트(18)[운전석 지지대(14)]의 내부 공간을 다른 부품의 부착 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운전석 지지대(14)의 내부의 청소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파일럿 호스군(29, 30)에는 레버 위치 조정 기구(17)에 의한 조작 레버 장치(24, 27)의 위치 조정을 허용하기 위한 이완부(29A, 30A)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각 파일럿 호스군(29, 30)이 무리하게 인장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 및 수명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석 지지대(14)에는 이동 다이 시트(18), 운전석(22), 콘솔(23, 26), 조작 레버 장치(24, 27) 등을 함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레버 위치 조정 기구(17)를 설치하고, 좌우의 파일럿 호스군(29, 30)에는 상기 각 파일럿 호스군(29, 30)이 무리하게 인장되지 않도록 이완부(29A, 30A)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도8에 도시한 변형예와 같이, 운전석 지지대(41)는 바닥판(12)에 고정된 고정 다이 시트(42)에 콘솔(23, 26)을 통해 조작 레버 장치(24, 27)를 부착하고, 운전석 위치 조정 기구(20) 및 높이 위치 조정 기구(21)를 통해 운전석(22)을 부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이완부(29A, 30A)를 생략하여 좌우의 파일럿 호스군(29, 30)을 호스 결속구(31)로부터 하향으로 굴곡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운전석 위치 조정 기구(20) 및 높이 위치 조정 기구(21)를 생략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 장치(24, 27)에 감압 변형 파일럿 밸브(24A)를 설치하고, 상기 파일럿 밸브(24A)와 제어 밸브(5)를 접속하는 신호 라인군으로서 복수개의 파일럿 호스로 이루어지는 파일럿 호스군(29, 30)을 이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조작 레버 장치로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전기식의 조작 레버 장치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전기식의 조작 레버 장치와 제어 밸브를 접속하는 신호 라인군으로서 복수개의 하네스를 이용하는 구성이라고 하면 좋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파일럿 호스군(29, 30)은, 운전석 지지대(14) 내에서 호스 결속구(31)에 의해 묶여 바닥판(12)의 종방향 개구(13) 등을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운전석 지지대(14) 내에서 좌측 파일럿 호스군(29)과 우측 파일럿 호스군(30)을 각각 별개로 묶고, 이 상태에서 종방향 개구(13) 등을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운전석(22)의 주위를 피복하는 캡(11)을 구비한 캡 사양의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운전석(22)의 상측을 덮는 캐노피 사양의 유압 셔블 혹은 캡, 캐노피 등을 구비하지 않고, 바닥판 상에 운전석만이 탑재된 형식의 유압 셔블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석(22)의 좌우 양측에 조작 레버 장치(24, 27)를 구비한 다른 건설 기계로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좌우의 신호 라인군은 조작 레버 장치로부터 횡방향 개구를 통해 운전석 지지대의 내부로 도입하고, 상기 운전석 지지대의 내부로부터 바닥판의 종방향 개구를 통해 제어 밸브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각 신호 라인군 운전석 지지대의 내부에 숨길 수 있다.
이 결과, 좌우 콘솔의 하측에는 신호 라인군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각 콘솔과 바닥판 사이에 예를 들어 공조 장치의 덕트, 윈드 워셔액의 탱크, 차량 탑재 공구 등의 부품을 배치할 수 있어 부품의 레이아웃에 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운전석의 주위에 있어서 외관 상의 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신호 라인군을 운전석 지지대의 내부에 숨김으로써, 운전석 주위의 청소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좌우 콘솔에 부착되는 전기 장착 부품의 하네스는, 좌우의 신호 라인군과 함께 횡방향 개구를 통해 운전석 지지대의 내부로 도입하고 있으므로, 상기 운전석 지지대 내에 숨길 수 있다. 이 결과, 하네스의 노출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레이아웃에 관한 자유도 및 외관 상의 미관 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청소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좌측 신호 라인군과 우측 신호 라인군은 운전석 지지대의 내부에서 결속구에 의해 묶을 수 있으므로, 운전석 지지대의 내벽면 등에 따라서 각 신호 라인군을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석 지지대의 내부 공간을 다른 부품의 부착 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청소 작업 등을 더욱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레버 위치 조정 기구에 의해 조작 레버 장치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각 신호 라인군은 이완부에 의해 무리하게 인장되는 일이 없으므로, 상기 각 신호 라인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 및 수명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캡 사양의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2는 일부를 파단하여 운전석 지지대, 운전석, 조작 레버 장치 등을 도시하는 캡의 확대 정면도.
도3은 바닥판, 운전석 지지대, 운전석, 조작 레버 장치 등을 콘솔 커버를 떼어 낸 상태에서 도시하는 확대 정면도.
도4는 바닥판, 운전석 지지대, 운전석, 조작 레버 장치 등을 콘솔 커버를 떼어 낸 상태에서 도시하는 확대 좌측면도.
도5는 바닥판, 운전석 지지대, 운전석, 파일럿 호스군, 하네스 등을 도4 중의 화살표 V-V 방향으로부터 본 종단면도.
도6은 바닥판, 운전석 지지대, 운전석, 조작 레버 장치 등을 전후 방향으로 조정되는 유닛 단위의 위치에서 분해하여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7은 파일럿 호스군, 하네스의 처리 상태를 도6 중의 화살표 VII-VII 방향으로부터 본 횡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운전석 지지대, 파일럿 호스군을 바닥판, 운전석 지지대, 운전석 등과 함께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압 셔블(건설 기계)
2 : 하부 주행체(차체)
3 : 상부 선회체(차체)
4 : 선회 프레임
5 : 제어 밸브
7 : 작업 장치
12 : 바닥판
13 : 종방향 개구
14, 41 : 운전석 지지대
17 : 레버 위치 조정 기구
18 : 이동 다이 시트
19 : 횡방향 개구
22 : 운전석
24, 27 : 조작 레버 장치
25, 28 : 전기 장착 부품
29 : 좌측 파일럿 호스군(신호 라인군)
29A, 30A : 이완부
30 : 우측 파일럿 호스군(신호 라인군)
31 : 호스 결속구
33 내지 36 : 하네스
42 : 고정 다이 시트

Claims (4)

  1. 차체를 구성하는 프레임 상에 설치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에 배치된 운전석 지지대와, 상기 운전석 지지대 상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착좌하는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을 협지하여 상기 운전석 지지대의 좌우 양측에 부착된 좌우 콘솔과, 상기 좌우 콘솔에 각각 설치되어 작업 장치를 조작하는 유압 파일럿식 또는 전기식의 조작 레버 장치와, 상기 좌우의 조작 레버 장치와 상기 작업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밸브를 접속하는 파일럿 호스 또는 하네스로 이루어지는 좌우의 신호 라인군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지지대에는 좌우의 양측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개구하는 횡방향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운전석 지지대의 하측에 위치하여 종방향으로 개구하는 종방향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좌우의 신호 라인군은 상기 조작 레버 장치로부터 상기 횡방향 개구를 통해 운전석 지지대의 내부로 도입하고, 상기 운전석 지지대로부터 상기 바닥판의 종방향 개구를 통해 상기 제어 밸브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콘솔에는 각종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기 장착 부품을 마련하고, 상기 전기 장착 부품에 접속되는 하네스는 상기 각 신호 라인군과 함께 상기 횡방향 개구를 통해 운전석 지지대의 내부로 도입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지지대의 내부에는 상기 좌우의 신호 라인군을 묶는 결속구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지지대에는 상기 좌우의 조작 레버 장치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하는 레버 위치 조정 기구를 마련하고, 상기 좌우의 신호 라인군에는 상기 레버 위치 조정 기구에 의한 조작 레버 장치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이완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KR1020040086978A 2003-10-31 2004-10-29 건설 기계 KR100585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72956 2003-10-31
JP2003372956A JP2005133495A (ja) 2003-10-31 2003-10-31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935A true KR20050041935A (ko) 2005-05-04
KR100585924B1 KR100585924B1 (ko) 2006-06-07

Family

ID=3464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978A KR100585924B1 (ko) 2003-10-31 2004-10-29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133495A (ko)
KR (1) KR100585924B1 (ko)
CN (1) CN16116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5917A (zh) * 2022-06-30 2022-08-05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科技分公司 一种装载机空调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3708B2 (ja) * 2005-07-05 2009-07-29 ヤンマ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
JP5214561B2 (ja) * 2009-08-25 2013-06-19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作業機械のコントローラ配置構造
JP5386389B2 (ja) * 2010-02-02 2014-01-15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5106657B1 (ja) 2011-06-17 2012-12-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JP5949730B2 (ja) * 2013-11-07 2016-07-1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電装品配設構造
CN103741761A (zh) * 2013-12-26 2014-04-23 柳州正菱集团有限公司 一种挖掘机驾驶室扶手箱液压管路布置方法
JP5967111B2 (ja) * 2014-01-21 2016-08-1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配索構造
JP5962686B2 (ja) * 2014-01-30 2016-08-0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電装品冷却構造
WO2015056814A1 (ja) * 2014-10-24 2015-04-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2016098592A (ja) 2014-11-25 2016-05-30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のエアコンディショナ
DE112015000061B4 (de) * 2015-03-30 2017-01-26 Komatsu Ltd. Hydraulischer Löffelbagger
JP6510441B2 (ja) * 2016-02-26 2019-05-0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6304289B2 (ja) * 2016-03-11 2018-04-0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6215404B2 (ja) * 2016-07-13 2017-10-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JP7126992B2 (ja) * 2019-06-26 2022-08-2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5917A (zh) * 2022-06-30 2022-08-05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科技分公司 一种装载机空调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33495A (ja) 2005-05-26
KR100585924B1 (ko) 2006-06-07
CN1611679A (zh) 200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924B1 (ko) 건설 기계
US8038202B2 (en) Operators section construction for work vehicle
JP4233595B2 (ja) 作業車両
JP4230199B2 (ja) 運転室のフロア構造
JP6829635B2 (ja) バッテリ取付構造
JP5053212B2 (ja) ローダ作業機のエンジン設置構造
JP4410735B2 (ja) 機械の接続ライン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機械
JP2007092278A (ja) バックホーの上部構造
JP3622889B2 (ja) 建設機械の操作パターン切換装置
JP4236550B2 (ja) 旋回作業機のタンク取付構造
JP4381364B2 (ja) バックホー
JP5282463B2 (ja) 建設機械
JP2007092327A (ja) バックホー
JP3985221B2 (ja) 建設機械用運転室の内装機器取付装置
JP4246028B2 (ja) エンジンルームのカバー装置
JP2525973Y2 (ja) バックホーにおける操作パネル取付構造
JP2018135702A (ja) 作業用車両
JP4703334B2 (ja) バックホー
JP2004156334A (ja) 作業機械
JP4515367B2 (ja) バックホー
JP2877717B2 (ja) 旋回作業機の上部構造
JP2007092281A (ja) バックホー
JP2022075906A (ja) 作業車両
JPH0913423A (ja) バックホー装置付きホイルローダ
JP2007239305A (ja) 旋回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