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467A -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467A
KR19980086467A KR1019970072207A KR19970072207A KR19980086467A KR 19980086467 A KR19980086467 A KR 19980086467A KR 1019970072207 A KR1019970072207 A KR 1019970072207A KR 19970072207 A KR19970072207 A KR 19970072207A KR 19980086467 A KR19980086467 A KR 19980086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bellows
chamber
engin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6531B1 (ko
Inventor
아키라 모리시타
게이이치 고니시
마사야스 미야지마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 덴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 덴키(주)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80086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1/00Equalisation of pulses, e.g. by use of air vessels; Counteracting cavitation
    • F04B11/0008Equalisation of pulses, e.g. by use of air vessels; Counteracting cavitation using accumulators
    • F04B11/0033Equalisation of pulses, e.g. by use of air vessels; Counteracting cavitation using accumulators with a mechanical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4Means for damping vibrations or pressure fluctuations in injection pump inlet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42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means preventing fuel leakage around pump plunger, e.g. fluid b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 F02M63/022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a common rail feeding several injectors ; 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Pumps feeding 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7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로우즈(bellows)의 신축 동작에 의한 연료의 이상한 압력 변동을 방지하고 이상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벨로우즈의 수명을 향상해서 신뢰성이 높은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고압 연료 펌프(1)의 벨로우즈실과 연료탱크(29)를 연통하고 벨로우즈실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탱크(29)로 리턴하는 리턴 통로(26, 27)에 소정 용량의 용적실(36)을 마련하며, 리턴 통로(27)의 A 영역에 저장된 연료를 용적실(36)로 유입시켜서 벨로우즈실로는 역류시키지 않게 했다.

Description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
본 발명은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도 14는 종래의 고압 연료 펌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4 에 있어서 부호 1은 도시생략의 기관의 하우징 등에 장착가능한 고압 연료 펌프이며, 부호 2는 기관에 의해 그 기관의 1/2 회전으로 구동되는 캠이며 6개의 캠산을 갖고 있다. 부호 3은 이 캠과 맞닿은 캠 롤러, 부호 4는 이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이며, 부호 5는 이 핀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태핏이며 덮개부착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호 6은 이 태핏에 설치된 스프링 롤러이며, 부호 7은 상기 태핏(6)을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이며 태핏 미끄럼 운동부(7a)를 내면에 갖고 있다. 부호 8은 이 태핏을 거쳐서 상기 캠(2)에 의해 구동되고 왕복 운동을 행하는 피스톤, 부호 9는 이 피스톤을 왕복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연료 가압실인 펌프실을 구성하는 슬리브, 부호 10은 이 슬리브(9)를 포위하듯이 지지하는 하우징, 부호 11은 금속제인 벨로우즈이며 한끝이 상기 피스톤(8)에 설치된 홀더(8a)에 고정장착되고 다른끝이 상기 하우징(10)에 고정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8)과 슬리브(9)사이에서의 누설연료를 수납하고 있다.
부호 12는 상기 스프링 홀더(6)와 상기 하우징(10)과의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진 코일 스프링, 부호 13은 상기 슬리브(9)상에 장착된 플레이트 A 이며 흡입 구멍과 토출 구멍과 리턴 구멍을 갖는다. 부호 14는 플레이트 B 이며, 상기 플레이트(A13) 사이에 리드 밸브(15)를 끼듯이 설치되며, 흡입 구멍과 토출구멍과 리턴 구멍을 각각 갖고 있다.
상기 리드 밸브(15)에는 각각 흡입용, 토출용의 한 방향 밸브와 리턴용 연통 구멍(도시생략)이 설치되고 있다. 부호 16은 상기 플레이트(B14)에 맞닿아진 스프링 가이드, 부호 17은 이 스프링 가이드와 상기 피스톤(8)과의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진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피스톤(8)을 항상 태핏(5)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부호 18은 흡입구(18a), 토출구(18b), 리턴구(18c)를 갖고 있는 케이싱, 부호 19는 상기 흡입구(18a)에 설치된 필터, 부호 20은 상기 케이싱(16)에 설치된 흡입측 통로, 부호 21은 이 흡입측 통로의 도중에 설치된 피스톤 댐퍼, 부호 22는 상기 케이싱(18)에 설치된 토출측 통로, 부호 23, 24는 이 토출 통로에 설치된 완충용기와 리조네이터이며 이 완충기와 리조네이터간에는 연통로(25)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26은 상기 벨로우즈실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 탱크측으로 리턴하는 리턴 통로이며 상기 케이싱(18)에 설치되고 있다.
부호 27은 상기 케이싱(18)의 리턴 통로(26)와 연통되며 리턴 통로를 구성하는 리턴 배관이며, 부호 28은 상기 피스톤 댐퍼(21)와 연통된 리턴용 배관이다.
이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에선 캠(2)의 회전에 의해 캠 롤러(3), 핀(4), 태핏(5)을 거쳐서 피스톤(8)을 왕복 운동시킨다. 피스톤(8)의 하강시, 연료 흡입구(18a)에서 필터(19), 흡입 통로(20), 피스톤 댐퍼(21), 흡입 통로(20), 플레이트(A13)의 흡입 구멍, 리드 밸브(15)의 흡입용 밸브, 플레이트(B14)의 흡입 구멍을 거쳐서 연료가 펌프실에 유입된다.
피스톤(8)의 상승시, 리드밸브(15)의 흡입용 밸브가 닫히며, 토출용 밸브가 개방되어 펌프실의 연료는 플레이트(A13)의 토출구멍, 토출통로(22), 완충용기(23), 리조네이터(24), 토출통로(22) 토출구(18b)를 통해 토출된다.
한편, 피스톤(8)과 슬리브(9)와의 사이에서 누설되는 연료는 벨로우즈(11)가 외부로의 누설을 방지하고 있으며 이 벨로우즈(11)내의 누설연료는 슬리브(9)의 리턴구멍, 플레이트(A13), 플레이트(B14), 리드 밸브(15)의 각 리턴 구멍, 리턴 통로(26), 리턴 배관(27)을 거쳐서 연료 탱크로 되돌려진다.
상기 종래 연료의 흡입, 토출, 리턴의 각 경로를 도 15 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 에 있어서 부호 29는 연료 탱크, 부호 30은 이 탱크내에 설치되며 연료를 흡입하는 저압 펌프, 부호 31은 이 저압 펌프에서 상기 흡입구(18a)로의 저압 레규레이터(32)를 거쳐서 연료를 보내기 위한 흡입 배관이며 상기 흡입구(18a)와 연통되어 있다.
부호 33은 상기 토출구(18b)에 연통된 토출 배관이며 딜리버리 파이프(34)를 거쳐서 고압 레규레이터(35)와 연통되어 있다. 부호 35는 딜리버리 파이프(34)에서 리턴되는 리턴 배관이다.
상기 벨로우즈(11)에 의해서 형성된 벨로우즈실내의 연료는 리턴 배관(27)을 거쳐서 연료 탱크(29)내에 되돌려진다.
종래에는 기관의 고속 운전에 의한 연료계의 온도 상승에 의해서 고압 연료 펌프(1)의 벨로우즈(11)내 및 리턴 배관(25)내의 공기가 가솔린 증기로 치환된다. 또, 기관의 아이들 운전 방치시에 벨로우즈(11)로부터 하부의 리턴 배관(27)의 도 15 에 A 영역에 액화 가솔린이 모이기 쉽게 되어 있었다.
또한, 기관 정지로 방치중, 특히 벨로우즈(11)내 및 기관 근처의 연료배관, 연료 통로내의 가솔린 증기가 온도 저하에 의해 응축하고 압력 저하를 발생시키고 이 부압의 발생으로 연료 배관, 예컨대 A 영역에 저장된 연료가 리턴 통로(27)를 역류해서 벨로우즈(11)내에 충만된다.
이상태에서 기관을 시동하면 피스톤(8)에 있어서의 펌프 리프트 분만큼 액밀폐내의 벨로우즈(11)내 용적이 급감하기 때문에 리턴 통로 구멍의 저항 및 연료의 관성 때문에 충격적인 압력 변동이 발생하고 이 진동이 리턴 배관(27)에서 이 리턴 배관(27)을 지지하는 간막이판에 전달되어 이상음을 발생시키고 있었다. 또, 벨로우즈(11)의 압력변동에 의해서 벨로우즈(11)의 수명도 저하되고 장치의 신뢰성이 쳐진다는 문제점을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뤄진 것이며 연료의 이상 압력 변동을 방지하고 이상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벨로우즈의 수명을 향상해서 신뢰성이 높은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제 1 의 관점에 의하면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는 기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체와 이 구동체에 의해 구동되어 왕복 운동을 행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왕복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펌프실을 구성하는 슬리브와 이 슬리브를 포위하듯이 지지하는 하우징과 한끝이 상기 피스톤에 고정장착되고 다른끝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장착되고 상기 피스톤과 상기 슬리브간에서의 누설연료를 수납하는 벨로우즈실을 구성하는 벨로우즈를 갖는 고압 연료 펌프를 구비하며 이 펌프의 벨로우즈실과 연료 탱크를 연통하고 상기 벨로우즈실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 탱크로 리턴하는 리턴 통로와 상기 벨로우즈의 신축 동작에 의한 연료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의 관점에 의하면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는 상기 연료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이 상기 리턴 통로에 설치된 소정 용량의 용적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의 관점에 의하면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는 상기 용적실의 용량이 상기 리턴 통로에 있어서의 용적실에서 연료 탱크까지 모일수 있는 연료의 용적보다 크게 설정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의 관점에 의하면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는 상기 연료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이 상기 벨로우즈실 또는 상기 리턴 통로의 적어도 어느한쪽에 설치된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의 관점에 의하면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는 상기 댐퍼가 댐퍼실중에 장착된 고리형상의 고무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의 관점에 의하면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는 상기 댐퍼가 댐퍼실중에 장착되고 기포를 내재하는 고리형상의 발포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의 관점에 의하면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는 상기 댐퍼가 벨로우즈실을 구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오목부내에 장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의 관점에 의하면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는 상기 연료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이 상기 리턴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측에서 상기 벨로우즈실 연료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의 관점에 의하면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는 상기 체크 밸브가 상기 고압 연료 펌프의 펌프실의 흡입 밸브와 토출 밸브를 구성하는 리드 밸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의 관점에 의하면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는 상기 연료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이 상기 리턴 통로에 설치된 소정 용량의 용적실과 상기 벨로우즈실 또는 상기 리턴 통로의 적어도 어느한쪽에 설치된 댐퍼와의 조합으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1 의 관점에 의하면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는 상기 연료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이 상기 리턴 통로에 설치된 소정 용량의 용적실과 상기 리턴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측에서 상기 벨로우즈실의 연료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 밸브와의 조합으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2 의 관점에 의하면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는 상기 연료의 압력의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의 상기 벨로우즈실 또는 상기 리턴 통로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된 댐퍼와 상기 리턴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측에서 상기 벨로우즈실으로 연료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 밸브와의 조합으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을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 9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3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14 는 종래 장치의 고압 연료 펌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 는 종래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압 연료펌프 2 : 캠
7 : 브라켓 8 : 피스톤
9 : 슬리브 10 : 하우징
11 : 벨로우즈 18 : 케이싱
18a : 흡입구 18b : 토출구
18c : 리턴구 26 : 리턴 통로
27 : 리턴 배관 29 : 연료 탱크
36 : 용적실 37 : 댐퍼 통로
38 : 댐퍼 45 : 고무 튜브
46 ; 다이어프램 47, 48, 49 : 체크밸브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도 14 및 15 에 도시한 종래 장치를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품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며, 이것들의 부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 은 본 발명의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부호 36은 리턴 배관(27)의 도중에 설치된 용적실에서 그 용적실의 용량은 상기 리턴 배관(27)에 있어서의 용적실(36)에서 연료 탱크(29)까지 사이에 괼 수 있는 연료의 최대 용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것에선 기관의 고속운전에 의한 연료계의 온도 상응에 의해서 고압 연료 펌프(1)의 벨로우즈(11)내 및 리턴 배관(27)내의 공기가 가솔린 증기로 치환된다.
또, 기관의 아이들 운전 방치시에 벨로우즈(11)에서 하부의 리턴 배관(27)의 A 영역에 액화 가솔린이 저장된다.
또한, 기관을 정지 상태에서 방치중, 특히 벨로우즈(11)내 및 기관 근처의 연료배관, 연료 통로내의 가솔린 증기가 온도 저하에 의해서 응축되어 압력 저하를 발생시키고 벨로우즈(11)내 및 그 근처를 부압으로 시키고 리턴 배관(27)의 A 영역에 저장된 연료를 벨로우즈(11)내에 역류시키게 작용한다.
리턴 배관(27)의 A 영역에 저장된 연료는 리턴 배관(27)을 역류하고 용적실(36)에 유입한다. 이 용적실(36)의 용적은 리턴 배관(27)에 있어서의 용적실(36)의 출구에서 연료 탱크(29)까지의 총용적보다 크게 설정되고 있으므로 A 영역에 저장된 연료가 모두 용적실(36)으로 유입했다고 해도 용적실(36)은 충만되지 않으며 반드시 공기가 개재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A 영역에 저장된 연료가 용적실(36)을 넘어서 벨로우즈(11)내로 유입하는 일은 전혀 없게 되며 그 때문에 벨로우즈(11)내가 액화 가솔린으로 충만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기관이 시동하고 피스톤(8)에 있어서의 펌프 리프트분만큼 벨로우즈(11)내의 용적이 감소되었다고 해도 벨로우즈(11)내에는 연료가 충만되고 있지 않으므로 압력 변동을 매우 작고 이상음의 발생이라든가 벨로우즈(11)의 수명의 저하라는 못마땅함은 해소된다. 또한, 용적실(36)의 위치는 고압 연료 펌프(1)보다 낮은 쪽이 용적실(36)에서 고압 연료 펌프(1)로 역류되기 어려우므로 효과적이다.
(실시예 2)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도 3 에 있어서 부호 37은 상기 케이싱(18)의 리턴 통로(26)에 연통해서 설치된 댐퍼 통로, 부호 38은 댐퍼 통로에 장착된 댐퍼, 부호 39는 상기 케이싱(18)에 장착된 고정부, 부호 40은 이 고정부에 장착된 케이스부, 부호 51은 이 케이스부에 외주끝이 고정장착된 다이어프램, 부호 42는 이 다이어프램의 내주끝을 고정장착하고 이루는 밸브, 부호 43은 상기 케이스부(40)에 고정장착된 브라켓부, 부호 44는 이 브라켓부와 상기 다이어프램(41)과의 사이에 팽팽하게 건네진 압축 코일 스프링이며 다이어프램(41)을 도시의 좌쪽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같이 구성된 실시예 2의 것에선 벨로우즈(11)내에 연료가 충만되고 기관의 시동에 의해 피스톤(8)에 있어서의 펌프 리프트분만큼 벨로우즈(11)내 용적이 급감되어서 리턴 통로(26)의 구멍의 저항 및 연료의 관성 때문에 압력 변동이 발생하려고 하는데 이 압력 변동은 댐퍼(38)의 스프링(44), 다이어프램(41)에 의해서 감쇄되며 충격적인 압력 변동은 방지된다. 그 때문에 리턴 배관(27)을 거친 이상음의 발생이나 벨로우즈(11)의 수명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또한 상술에서는 댐퍼(38)를 케이싱(18)의 리턴 통로(26)에 설치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댐퍼(38)는 도 4 에 도시하듯이 리턴 배관(27)에 설치되어도 상기 실시예 2 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4)
또한, 상술에선 댐퍼(38)를 리턴 통로(26), 리턴 배관(27)에 설치한 것을 예시했는데 벨로우즈(11)에 의해서 형성되는 벨로우즈실에 직결하듯이 댐퍼(38)를 설치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충격적인 압력 변동을 감쇄할 수 있다.
이 실시예 4 를 도 5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에 있어서 부호 10a는 하우징(10)에 설치된 댐퍼실인 고리형상의 오목부이며 상기 벨로우즈(11)와 더불어 벨로우즈실을 구성하는 것이다. 부호 45는 이 오목부내에 장착되고 댐퍼를 구성하는 고리형상의 고무 튜브이다. 이같이 구성된 것에선 고무 튜브(45)가 연료의 압력 변동을 감쇄하고 충격적인 압력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5)
또한, 상기의 실시예 4의 것에선 댐퍼로서 고리형상의 고무 튜브(45)를 사용하는 것을 예시했는데 이것의 내용으로서 고리형상의 고무재로 공기의 기포를 내재하는 발포 고무로 구성해도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6)
상기의 실시예 4에선 벨로우즈실을 구성하는 하우징(10)의 오목부(10a)내에 고무튜브(45)를 설치한 것을 예시했는데 도 6 에 도시하듯이 하우징(10)의 오목부(10a)내에 가용체인 다이어프램(46)을 장착하고 이 댐퍼를 구성하는 다이어프램(46)에 의해서 벨로우즈실의 압력 변동을 감쇄하게 해도 좋다.
또, 상기의 댐퍼(38), 고무튜부(45), 다이어프램(46)은 벨로우즈실과 리턴실 통로(26) 또는 벨로우즈실과 리턴 배관(27)의 양쪽에 설치해도 좋다.
(실시예 7)
도 7 에 도시하는 실시예 7의 것은 리턴 배관(27)에 체크 밸브(47)를 설치한 것이며 이 체크 밸브(47)는 벨로우즈실에서 연료 탱크(29)로의 연료의 유통을 허가하는데 연료 탱크(29)가 벨로우즈실측으로의 연료의 역류를 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리턴 배관(2)의 A 영역에 저장된 연료는 벨로우즈실의 부압에 의해 벨로우즈실측으로 역류하려고 해도 체크 밸브(47)에 의해서 저지되고 벨로우즈실로 유입하는 것은 방지되므로 벨로우즈실의 연료 충만 상태가 없어지므로 충격적인 압력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체크 밸브(47)에서 누설되어서 벨로우즈실이 연료로 충만하게 된 경우에도 시동시의 극히 저회전중의 벨로우즈(11)의 신축 운동중에 체크 밸브(45)에 의해서 큰 부압이 발생하고 액체에서 기포가 발생한다.
이결과, 벨로우즈실에 있어서 충격적인 압력이 발생하는 회전수 레벨에 이를 때에는 연료 충만 상태가 아니게 되어 있으며 이상음이나 벨로우즈(1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8 에 도시하는 실시예 8의 것에선 고압 연료 펌프의 펌프실의 흡입 밸브와 토출 밸브를 구성하는 리드 밸브(15)에 체크 밸브(48)를 설치한 것이다. 이 체크 밸브(48)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벨로우즈실에서 연료 탱크(29)로의 연료의 유통을 허가하는데 연료 탱크(29)에서 벨로우즈실측으로의 연료의 역류를 저지하는 것이다. 또, 피스톤(8)의 하강시에는 펌프실이 부압으로 되고 체크 밸브(48)는 닫히며 그 때문에 펌프실에는 리턴 배관(27), 리턴 통로(26)에서의 연료의 역류가 저지되며 벨로우즈실에는 리턴 배관(27), 리턴 통로(26)에서의 연료의 역류가 저지되며 벨로우즈실에는 나머지의 연료내에 공기가 기포로서 넣어진다. 그리고 피스톤(8)의 상승시에 벨로우즈(11)가 신축 동작을 해서 벨로우즈실내의 연료가 급격히 가압되려고 하는데 기포에 의해 그 연료 압력은 감쇄되며 급격한 압력 변동은 방지된다.
도 8 에 있어서 부호 13b는 플레이트(A13)에 형성한 리턴 구멍을 도시하며 부호 14b는 플레이트(B14)에 형성한 토출 구멍을 도시하며 부호 14c는 플레이트(B14)에 형성한 리턴 구멍을 도시한다.
(실시예 9)
상기의 실시예 8의 것에선 체크 밸브(48)를 펌프실에 장착된 리드 밸브(15)에 설치한 것을 예시했는데 도 9 에 도시하듯이 케이싱(18)의 리턴 통로(26)의 개구 끝에 체크 밸브(49)를 두어도 좋다.
도 9 에 있어서 부호 18d는 케이싱(18)의 개구 끝에 설치된 수납 오목부, 부호 49는 이 수납 오목부에 장착된 체크 밸브, 부호 50은 밸브 시트, 부호 51은 이 밸브 시트에 장착되어 한 방향 밸브를 구성하는 판스프링, 부호 52는 이 판 스프링을 가이드하는 플레이트, 부호 53은 밸브 시트(50), 판 스프링(51), 플레이트(52)를 일체로 고정장착하고 이루는 고무, 부호 54는 상기 체크 밸브(49)를 오목부(18d)내에 협착하는 니플로 케이싱(18)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 9의 것은 체크 밸브(49)의 탈착이 용이하다는 특유의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10)
도 10 에 도시하는 실시예 10의 것에선 리턴 배관(27)에 용적실(36)을 설치하는 동시에 리턴 통로(26)에 댐퍼(38)를 설치케 한 것이며 연료의 압력 변동을 보다 응답성 양호하고 확실하게 감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11)
도 11에 도시하는 실시예 11의 것에선 리턴 배관(27)의 벨로우즈실측에 체크 밸브(47)를 연료 탱크(29)측에 용적실(36)을 두게한 것이며 벨로우즈실내의 연료의 유입을 매우 적게 할 수 있다.
(실시예 12)
도 12에 도시하는 실시예 12의 것에선 리턴 통로(26)에 댐퍼(38)를 리턴 배관(27)에 체크 밸브(47)를 각각 설치케 한 것이며 체크 밸브(47)에 의해서 리턴 배관(27)의 A 영역에 저장된 연료의 벨로우즈실의 유입을 저지하고 또한, 매우 적어진 벨로우즈실내의 연료의 압력 변동을 댐퍼(38)에 의해 감쇄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13)
도 13 에 도시하는 실시예 13의 것에선 리턴 배관(27)에 용적실(36)을 리턴 배관(27)과 캐니스터(55)와 사이에 체크 밸브(47)를 각각 설치토록 한 것이며 용적실(36)에 의해서 리턴 배관(27)의 A 영역에 저장된 연료의 벨로우즈실의 유입을 저지하고 또한, 체크 밸브(47)에 의해서 캐니스터(49)를 거쳐서 벨로우즈실로 대기를 도입하고 벨로우즈실이 연료 미만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이 실시예 13의 변형예로서 용적실(36)을 생략하고 체크 밸브(47)만의 것에서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다른 형태로서 용적실(36)과 체크 밸브(47, 48, 49)와 댐퍼(38, 45, 46)을 조합케 하면 가일층 압력 변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에 있어선 기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체와 이 구동체에 의해 구동되고 왕복 운동을 행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왕복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펌프실을 구성하는 슬리브와 이 슬리브를 포위하듯이 지지하는 하우징과 한끝이 상기 피스톤에 고정장착되고 다른끝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장착되고 상기 피스톤과 상기 슬리브간에서의 누설 연료를 수납하는 벨로우즈실을 구성하는 벨로우즈를 갖는 고압 연료 펌프를 구비하며 이 펌프의 벨로우즈실과 연료 탱크를 연통하고 상기 벨로우즈실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 탱크로 리턴하는 리턴 통로와 상기 벨로우즈의 신축 동작에 의한 연료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두도록 했으므로 충격적인 압력 변동이 억제되며 이상음의 발생이나 벨로우즈의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에 있어선 상기 연료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상기 리턴 통로에 설치된 소정 용량의 용적실로 구성하게 했으므로 리턴 통로에 저장된 연료를 용적실에 유입시키고 벨로우즈실로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충격적인 압력 변동이 억제되고 이상음의 발생이나 벨로우즈의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에 있어선 상기 용적실의 용량을 상기 리턴 통로에 있어서의 용적실에서 연료 탱크까지 괼 수 있는 연료의 용적보다 크게 설정하게 했으므로 용적실에서 연료 탱크까지의 리턴 통로에 저장된 연료를 모두 용적실에 유입시키고 벨로우즈실의 역류를 저지할 수 있으므로 벨로우즈실내의 압력 변동을 매우 작아지게 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에 있어선 상기 연료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상기 벨로우즈실 또는 상기 리턴 통로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된 댐퍼로 구성토록 했으므로 연료의 압력 변동을 응답성 양호하게 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에 있어선 상기 댐퍼를 댐퍼실중에 장착된 고리형상의 고무 튜브로 구성하도록 했으므로 간단한 구성이자 장착성이 양호한 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에 있어선 상기 댐퍼를 댐퍼실증에 장착되어 기포를 내재하는 고리형상의 발포 고무로 구성토록 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연료 압력 변동의 감쇄기증의 양호한 것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에 있어선 상기 댐퍼를 벨로우즈실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오목부내에 장착토록 구성했으므로 댐퍼를 장착하기 위해서 하우징을 겸용할 수 있고 그 때문에 부품 점수가 감소될 수 있고 장치로서도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에 있어선 상기 연료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상기 리턴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측에서 상기 벨로우즈실의 연료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 밸브로 구성하게 했으므로 벨로우즈실로의 연료의 충만을 효과적으로 젖할 수 있고 압력 변동을 억제해서 이상음의 발생이나 벨로우즈의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에 있어선 상기 체크 밸브를 고압 연료 펌프의 펌프실의 흡입 밸브와 토출 밸브를 구성하는 리드 밸브에 설치하게 구성했으므로 리턴 통로에서 벨로우즈실의 연료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고 연료의 압력 변동을 용이하게 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에 있어선 상기 연료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상기 리턴 통로에 설치된 소정 용량의 용적실과 상기 벨로우즈실 또는 상기 리턴 통로의 적어도 어느한쪽에 설치된 댐퍼와의 조합으로 구성토록 했으므로 연료의 압력 변동을 응답성 양호하게 확실하게 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에 있어선 상기 연료의 압력의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상기 리턴 통로에 설치된 소정 용량의 용적실과 상기 리턴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측에서 상기 벨로우즈실의 연료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 밸브와의 조합으로 구성하게 했으므로 벨로우즈실내의 연료의 유입을 매우 적게 할 수 있고 그 때문에 벨로우즈실내의 압력 변동 자체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에 있어선 상기 연료의 압력의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상기 벨로우즈실 도는 상기 리턴 통로의 적어도 어느한쪽에 설치된댐퍼와 상기 리턴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측에서 상기 벨로우즈실의 연료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 밸브와의 조합으로 구성하게 했으므로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응답성 양호하게 확실하게 연료 압력 변동을 감쇄할 수 있다.

Claims (4)

  1. 기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체와, 이 구동체에 의해 구동되어 왕복 운동을 행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왕복운동가능하게 지지하여 펌프실을 구성하는 슬리브와, 이 슬리브를 포위하듯이 지지하는 하우징과, 한 끝단이 상기 피스톤에 고정장착되고 다른 끝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피스톤과 상기 슬리브 사이로부터의 누설연료를 수납하는 벨로우즈실을 구성하는 벨로우즈를 갖는 고압 연료 펌프와, 이 펌프의 벨로우즈실과 연료 탱크를 연통하고 상기 벨로우즈실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 탱크로 리턴하는 리턴 통로와, 상기 벨로우즈의 신축 동작에 의한 연료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은 상기 리턴 통로에 설치된 소정용량의 용적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은, 상기 벨로우즈실 또는 상기 리턴 통로의 적어도 어느한쪽에 설치된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은, 상기 리턴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측에서 상기 벨로우즈실로의 연료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 밸브(역지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의 연료 공급장치.
KR1019970072207A 1997-05-30 1997-12-23 기관의연료공급장치 KR100306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42129 1997-05-30
JP14212997A JP3552464B2 (ja) 1997-05-30 1997-05-30 機関の燃料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467A true KR19980086467A (ko) 1998-12-05
KR100306531B1 KR100306531B1 (ko) 2001-12-17

Family

ID=15308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207A KR100306531B1 (ko) 1997-05-30 1997-12-23 기관의연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32904A (ko)
EP (1) EP0881379B1 (ko)
JP (1) JP3552464B2 (ko)
KR (1) KR100306531B1 (ko)
CN (1) CN1070996C (ko)
DE (1) DE69723233T2 (ko)
TW (1) TW4038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2489B1 (ja) * 1998-02-13 1999-07-26 三菱電機株式会社 ピストン式高圧燃料ポンプのフィルタ
JPH11247742A (ja) * 1998-03-02 1999-09-14 Zexel:Kk プランジャポンプ
US6036448A (en) * 1998-09-11 2000-03-14 Chrysler Corporation Fuel pump sealed in a bellows
JP3633314B2 (ja) * 1998-10-14 2005-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高圧燃料ポンプ装置
JP2000291509A (ja) * 1999-04-01 2000-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直噴式ガソリンエンジン用燃料供給装置
JP2001055961A (ja) * 1999-08-11 2001-02-27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圧燃料供給装置
JP2001059466A (ja) 1999-08-20 2001-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圧燃料ポンプ
US6230685B1 (en) * 1999-11-12 2001-05-15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Pressure pulsation damper containing a free floating spacer
JP4840342B2 (ja) * 2007-11-30 2011-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燃料供給装置
JP5530276B2 (ja) * 2010-07-08 2014-06-25 ホクシン産業株式会社 燃料油移送装置
DE102011008467B4 (de) * 2011-01-13 2014-01-0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Injektor mit Druckausgleichsmitteln
ITBO20110183A1 (it) * 2011-04-07 2012-10-08 Magneti Marelli Spa Pompa carburante silenziata per un sistema di iniezione diretta
CN103161633A (zh) * 2011-12-14 2013-06-19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无锡油泵油嘴研究所 一种高压燃料供给泵
EP3037294B1 (en) * 2014-12-25 2019-05-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Pressure control apparatus of fuel tank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2025A (en) * 1948-04-17 1950-06-20 Borg Warner Pump-gear and piston combination with unloading
US2665641A (en) * 1949-06-18 1954-01-12 Borg Warner Pump, pressure loaded, with differential valve
US3806283A (en) * 1973-01-04 1974-04-23 Int Standard Electric Corp Pump by-pass
CH615731A5 (ko) * 1976-06-11 1980-02-15 Sulzer Ag
US4597322A (en) * 1984-01-09 1986-07-01 Moog Inc. Seal assemblies
JPH0712029A (ja) * 1993-06-24 1995-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圧燃料ポンプ
DE4330855C1 (de) * 1993-09-11 1994-10-13 Technoflow Tube Systems Gmbh Verwendung eines Kunststoffrohres als crashgesicherte Kraftfahrzeug-Kraftstoffleitung
US5474050A (en) * 1995-01-13 1995-12-12 Siemens Electric Limited Leak detection pump with integral vent seal
JP3760486B2 (ja) * 1995-08-30 2006-03-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ポンプ
JPH09250427A (ja) * 1996-03-15 1997-09-22 Zexel Corp 燃料噴射ポンプ
JP3492880B2 (ja) * 1996-04-16 2004-02-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薄膜形成方法
US5682861A (en) * 1996-05-23 1997-11-04 Caterpillar Inc. Fluid seal for cyclic high pressures within a fuel injection
JPH10176625A (ja) * 1996-12-19 1998-06-30 Unisia Jecs Corp プランジャポンプ
JPH10318123A (ja) * 1997-05-19 1998-12-02 Honda Motor Co Ltd 高圧燃料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81379B1 (en) 2003-07-02
EP0881379A3 (en) 1999-07-21
TW403814B (en) 2000-09-01
JP3552464B2 (ja) 2004-08-11
CN1201109A (zh) 1998-12-09
EP0881379A2 (en) 1998-12-02
JPH10331735A (ja) 1998-12-15
DE69723233T2 (de) 2004-04-15
US5832904A (en) 1998-11-10
DE69723233D1 (de) 2003-08-07
KR100306531B1 (ko) 2001-12-17
CN1070996C (zh) 2001-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6531B1 (ko) 기관의연료공급장치
KR100327059B1 (ko) 통내분사용고압연료펌프의저압측맥동흡수장치
JP6264403B2 (ja) 高圧ポンプ
JP4941688B2 (ja) 高圧ポンプ
US6053712A (en) Cylinder injection high-pressure fuel pump
EP2351926B1 (en) Fuel feed system
JP5445441B2 (ja) 高圧ポンプ
US7128541B2 (en) Oscillating displacement pump
RU2005139184A (ru) Диафрагменный насос (варианты)
KR100370854B1 (ko) 연료공급장치
JP2010007521A (ja) 燃料噴射ポンプ
CN100458154C (zh) 往复式压缩机
JPH11132130A (ja) 筒内噴射用高圧燃料ポンプ
KR100246422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장치
US3188975A (en) Hydraulic pulsation absorption system
JPH0740696Y2 (ja) 油圧ポンプ装置
WO2003062627A1 (fr) Dispositif d'alimentation en combustible
JP2000249018A (ja) 金属ベローズ式脈動吸収装置
KR100314076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장치
JP3545594B2 (ja) 筒内噴射用高圧燃料ポンプ
RU2815747C1 (ru) Возвратно-поступательный насос, способный своевременно пополнять запасы масла
JP3717586B2 (ja) 竪型ポンプ取付け用緩衝アダプタ
JPH11270459A (ja) ポンプの脈動抑制装置
KR100201093B1 (ko) 진동 및 소음감쇠를 위한 연료 펌프의 취부구조
JPH10131860A (ja) 内燃機関用燃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