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1397A -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1397A
KR19980081397A KR1019980013304A KR19980013304A KR19980081397A KR 19980081397 A KR19980081397 A KR 19980081397A KR 1019980013304 A KR1019980013304 A KR 1019980013304A KR 19980013304 A KR19980013304 A KR 19980013304A KR 19980081397 A KR19980081397 A KR 19980081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oller
abnormality
detect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시우미코이치로
Original Assignee
무라타쥰이치
무라타키카이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쥰이치, 무라타키카이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쥰이치
Publication of KR19980081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39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4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solid bodi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02J1/224Selection or control of the temperature during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3/00Heating or cooling the yarn, thread, cord, rope, or the like, not specific to any one of the processe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D02J13/005Heating or cooling the yarn, thread, cord, rope, or the like, not specific to any one of the processe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by contact with at least one rotating ro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제어용의 온도검출소자의 이상을 검출하면, 다른 정상인 온도검출소자에서 온도제어를 계속하고, 기계의 전체 정지시 등에 점검을 가능하게 하는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롤러의 온도를 검출하는 복수의 온도검출소자(21)(22)와, 온도검출소자(21)에서의 출력에 의하여 가열수단(4)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한 온도검출소자(21)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검지수단(32)과, 상기한 이상검지수단(32)이 특정 온도검출소자(21)의 이상을 검지하면, 다른 온도검출소자(22)의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한 가열수단(4)의 온도제어가 계속되게 하는 변환수단(3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
본 발명은, 외주에 실을 감아서 안내하고, 실에 열을 가하는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적기에서는, 고온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고온롤러를 사용하여 방출실을 연신시켜서 감는 것이 시행된다. 복수의 롤러에 방출실이 걸려지고, 각각의 롤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방출실이 송출된다. 동시에 방출실이 롤러의 외주에 감겨지는 것에 의하여 가열된다. 복수의 롤러의 회전속도가 다르면, 방출사에 장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가열된 방출실이 복수의 롤러사이에서 연신되고, 복수의 롤러의 회전속도비가 연신비로 된다.
이러한 롤러로서, 내부에 가열수단이 내장되고, 롤러의 외주가 일정 온도가 되도록 제어가능한 것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가열수단은 롤러의 회전통에 근접하게 배설된 고정통의 외주에 감겨진 히터이고, 이 히터의 둘레를 회전하는 회전통을 가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열된 롤러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검출소자가 롤러에 부착되고, 이 온도검출소자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한 가열수단의 가열 정도를 제어한다.
온도검출소자는, 롤러외주의 회전부에 매설 또는 롤러외주의 회전부에 근접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기계적 손상 등에 의한 이상의 발생이 있을 수 있다. 온도검출소자에 이상이 발생하면, 롤러의 온도가 소정값에서 벗어나고, 소정품질의 연신실을 얻을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고온롤러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점검하게 되지만, 가열롤러이기 때문에, 정지후의 냉각, 점검, 가열후의 운전재개까지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류측의 방출기로부터의 실의 압출을 정지하지 않고, 하류측만을 정지시켜 점검하기 때문에 대량의 수지가 필요없이 압출되게 된다.
그래서, 하나의 온도검출소자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즉시 정지시키지 않고 운전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롤러 외주의 회전축 기준 대칭위치의 두 곳에 온도검출소자를 배치하고, 두 곳의 온도검출소자의 출력을 평균화하여 제어에 사용하는 것이 시행된다. 이 경우에, 하나의 온도검출소자의 이상으로 인해 출력이 제로가 되지는 않지만, 출력레벨이 저하하는 등의, 온도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두 곳의 온도검출소자 중의 하나를 온도제어용에 사용하고, 다른 하나를 이상 검지용에 사용하는 것도 시행되지만, 두 온도검출소자가 별개의 제어장치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용의 온도제어소자가 고장난 경우, 롤러를 정지시켜 점검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이와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제어용 온도검출소자의 이상이 검출되면, 다른 정상인 온도검출소자로 온도제어를 계속하고, 기계의 전체정지시 등에 점검을 가능하게 하는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중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가열수단이 내장된 롤러의 외주에 실을 감아서 안내하고, 실에 열을 가하는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롤러의 온도를 검출하는 복수의 온도검출소자와, 상기한 온도검출소자에서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한 가열수단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기한 온도검출소자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검지수단과, 상기한 이상검지수단이 특정 온도검출소자의 이상을 검지하면, 다른 온도검출소자의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한 가열수단의 온도제어가 계속되게 하는 변환수단을 구비한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이상검지수단 및 변환수단은, 복수의 상기한 온도검출소자에 대하여 공통으로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이상검지수단이, 복수의 온도검출소자의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한 특정 온도검출소자의 이상을 검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의 기기 블록도이다.
도 2는 롤러의 회전부에 있어서 복수의 온도센서에서의 출력파형도이다.
도 3은 온도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온도제어의 서브루틴을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온롤러의 다른 온도제어장치의 기기 불록도이다.
도 6은 고온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고온롤러시스템의 기기 배치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온롤러 21 : 제1온도센서(온도검출소자)
4 : 고정코일(가열수단) 22 : 제2온도센서(온도검출소자)
9 : 롤러 23 : 제3온도센서(온도검출소자)
16 : 온도조절모듈(제어수단) 31 : CPU(이상검지수단, 변환수단)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고온롤러가 설치된 고온롤러시스템 및 고온롤러의 구조를 도 6 및 도 7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고온롤러시스템은, 제1가열롤러(GR1)와 제1세퍼레이터롤러(SR1)의 1조와, 제2가열롤러(GR2)와 제2세퍼레이터롤러(SR2)의 1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되지 않은 방사기로부터 수본(예컨대 8본)의 방출실이 방출되고, 폭(W)의 가로 1열의 1군(YG1)으로 되어 제1가열롤러(GR1)에 들어간다. 그리고, 제1가열롤러(GR1)와 제1세퍼레이터롤러(SR1) 사이에서 수회 감겨진다. 이 경우에, 1군의 방출실(YG1)이 제1가열롤러(GR1)에 대하여 부드럽게 가로이동할 수 있도록, 제1세퍼레이터롤러(SR1)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가열롤러(GR1)를 나온 1군의 방출실(YG2)은 제2가열롤러(GR2)에 들어간다. 그리고, 제2가열롤러(GR2)와 경사지게 배치된 제2세퍼레이터롤러(SR2)와의 사이에서 수회 감겨진다. 그리고, 제2가열롤러(GR2)를 나온 1군의 방출실(YG3)은 롤러 축방향에 전개되고, 방적기(TK)에서 각각의 패키지로 감겨진다. 이 가열롤러(GR1),(GR2)간의 방출실(YG2)이 연신된다. 가열롤러(GR1), (GR2)의 회전속도비가 예를 들어 GR2/GR1=1.5이면, 가열롤러(GR1),(GR2) 사이에서 1.5배 연신된다. 즉, 연신비=GR2의 회전속도/GR1의 회전속도이다. 나이론필라멘트나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의 방출실은 회전속도가 다른 가열롤러(GR1),(GR2)를 가지는 고데롤러를 거치는 것에 의하여 연신되어 FDY(Full Draw Yarn)로 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군의 방출실(YG1)은 제1가열롤러(GR1)와 제1세퍼레이터(SR1)의 사이에서 수회 감겨지고, 다음에, 제2가열롤러(GR2)와 제2세퍼레이터(SR2)의 사이에서 수회 감겨져서 구동력이 전달되는 동시에 가열되어, 소정의 연신비를 유지하면서 도시되지 않은 방적기에 이른다. 이 수회 감겨진 1군의 방출실과 인접한 방출실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제1가열롤러(GR1)상의 1군의 방출실(YG1) 사이에 일정한 거리(L1)를 필요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2가열롤러(GR2)상의 1군의 방출실(YG2) 사이에도 일정한 거리(L2)를 필요로 한다. 이 거리(L1),(L2)와 감긴수에 의하여, 제1가열롤러(GR1)와, 제2가열롤러(GR2)는 일정 길이(M1),(M2)로 되어 있다.
상기한 가열롤러(GR1),(GR2)의 구조를 도 6에 의하여 설명한다. 가열롤러(GR1),(GR2)를 구성하는 고온롤러(1)는 회전되는 롤러측과, 고정되어 있는 측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되어 있는 측에는, 도면 좌측방향의 선단이 개방되고, 반대방향의 기단이 모터부(2)에 고정된 중공(中空)원통상의 코어(3)가 설치되어 있다. 코어(3)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중공원통의 외주에서 둘레 방향에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페라이트판(11)을 부착한 것이고, 기단에서 선단까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그 사이에, 코어(3)의 외주에 고정코일(4)이 소정의 피치로 감겨져 있다. 모터부(2)에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회전자를 구비한 회전축(5)이 설치되어 있다.
코어(3)의 내측에는, 코어중공부내에 끼워져 통하게된 롤러축부(6)가 모터부(2)의 회전축(5)에 연결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코어(3)의 외측에는, 고정코일(4)을 덮는 원통형상의 롤러외통(外筒)부(7)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축부(6)의 선단과 롤러외통부(7)의 선단은 원반형상의 롤러선단부(8)를 사이에 끼워 연결되어 있다. 롤러외통부(7)의 내측, 즉, 코일(4)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철 등의 유도가열체(17)가 설치되고, 그 이외에 롤러축부(6), 롤러외통부(7) 및 롤러선단부(8)는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일체적인 롤러(9)의 외주에 방출실이 감겨진다. 이 롤러(9)를 회전구동하는 수단은, 모터부(2) 및 도시되지 않은 회전수 제어회로로 이루어 진다.
롤러외통부(7)에는 롤러(9)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온도검출소자로서 제1온도센서(21)와 제2온도검출소자로서 제2온도센서(22)가 회전축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매설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온도센서(21),(22)가, 롤러외통부(7)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에 180°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온도센서(21),(22)중 1개는 온도제어용에, 다른 1개는 이상검지용에 사용된다. 또한, 회전축(6)과 모터부(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10)에 대한 제3온도검출소자로서 제3온도센서(23)가 회전축(6)에 매설되어 있다. 이 제3온도센서(23)는 베어링(10)의 온도감시용이다.
롤러선단부(8)에는, 회로모듈(12)이 부착되어 있다. 제1, 제2, 제3온도센서(21),(22),(23)의 도시되지 않은 리드선은 회로모듈(12)에 접속되어 있다. 롤러축부(6)내에도 회로모듈로부터의 리드선(13)이 인출되어 있고, 이 리드선(13)은 모터부(2)의 회전축(5)내를 통하여 롤러(9) 반대측의 회전축단부(5a)에 이르고 있다. 이 회전축단부(5a)에는 빛에 의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롤러측 광송수신기(14)가 부착되어 있다. 롤러측 광송수신기(14)의 광축은 회전축(5)의 중심에 일치하고 있다. 롤러측 광송수신기(14)의 광축에 맞추어서 고정 광송수신기(15)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광송수신기(15)의 출력은 온도조정모듈(16)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도 1내지 도 5에 의하여, 본 발명의 온도제어장치의 본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의 기기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4는 고정코일, 도면부호 9는 롤러, 도면부호 12는 회로모듈, 도면부호 16은 온도조정모듈을 나타낸다. 롤러(9)의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부분의 적당한 곳에 제1, 제2, 제3온도센서(21),(22),(23)가 매설되고, 그들의 리드선이 회로모듈(12)의 변환스위치(25)에 접속된다.
회전측의 회로모듈(12)은, 변환스위치(25)(변환스위치수단), 증폭기(26), 파형정형기(27), 발광다이오드(14), 전원회로(28)를 구비하고 있다. 변환스위치(25)는, 제1, 제2, 제3온도센서(21),(22),(23)의 출력 접속을 등간격 타이밍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증폭기(25)는, 기준이 되는 전압값(오프셋값)을 제1, 제2, 제3온도센서(21),(22),(23) 각각에 변경하는 저항변환부(25a)를 가지고 있고, 이 저항변환부(25a)는 상기한 변환스위치(25)와 연결작동된다. 온도센서(21),(22), (23) 각각의 오프셋값을 다르게 하고, 시분할로 출력되는 아날로그 출력은 파형정형기(27)에 의하여 소정의 주파수대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파형정형기(27)로부터의 펄스신호는 광송수신기(14)인 발광다이오드(14)로부터 고정 광송수신기(15)로 향해서 발신된다.
회전측의 회로모듈(12)에서의 출력예가 도 2에 도시된다. 제1온도센서(21)인 No.1 Pt의 출력은 큰 주파수대역이고, 파형의 간격으로 출력의 대소가 판별된다. 제2온도센서(22)인 No.2 Pt의 출력은 중간정도의 주파수대역이고, 파형의 간격으로 출력의 대소가 판별된다. 제3온도센서(23)인 No.3 Pt의 출력은 작은 주파수대역이고, 파형의 간격으로 출력의 대소가 판별된다. 이와 같이 온도센서 각각의 주파수대역을 변환하면, 시분할에 의한 연속한 신호일지라도, 각 온도센서의 출력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로모듈(12)은 회전측이기 때문에, 전원회로(28)는 전자(電磁)유도코일(28a)을 사이에 끼워 고정측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한 각 회로를 작동시킨다. 다만, 각 온도센서(21),(22),(23)에서의 출력을 시분할하여 소정의 주파수대역에서 출력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회로모듈(12)측에는 CPU와 같은 연산기능을 가질 필요가 없고, 복수의 온도센서의 출력을 간단하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고정측의 온도조정모듈(16)은, 고정 광송수신기인 포토트랜지스터(15)와, 중앙연산기(CPU)(32), 게이트회로(33), 사이리스터(SCR)(34)를 구비하고 있다. 포토트랜지스터(15)에서의 출력은 CPU(32)에 입력되고, CPU(32)는 호스트컴퓨터와의 사이의 시리얼 통신에서 통괄된다. 이 CPU(32)에는 소정의 프로그램이 작성되어 있고, 각 온도센서(21),(22),(23)에서의 출력을 구분하여 판단하고, 소정의 온도설정값과 비교하여 필요한 연산처리를 시행한다. 또 CPU(32)는, 상기한 연산처리의 결과에 따라서 게이트회로(33)를 사이에 끼워 사이리스터(34)를 구동하고, 히터인 고정코일(4)에 공급하는 전력의 위상을 제어함과 동시에, 필요한 알람출력과 표시를 시행한다.
도 3 및 도 4는 CPU(32)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한 연산처리흐름을 도시한다. 도 3에 있어서, 제1온도센서(21)인 No.1 Pt의 출력을 뽑아내어 정상인지를 판단한다(단계#1).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면(단계#1, NO), 이상검지용의 제2온도센서(22)인 No.2 Pt를 온도제어용으로 변환하는 동시에(단계#2), 알람, 표시 등을 시행하여 변환한 것을 오퍼레이터로 알려준다(단계#3). 제2온도센서(22)인 No.2 Pt를 온도제어용으로 변환한 후에도, 이 제2온도센서(22)의 출력을 사용하여 롤러의 온도제어가 그대로 실행된다(단계#4). 변환 후에, 제2온도센서(22)는, 온도제어용과 이상검지용을 겸용하도록 된다. 그리고, 정기점검 등과 같이 기계전부정지의 타이밍에, 원래의 온도제어용 제1온도센서(21)를 점검한다. 이와 같이, 온도제어용 제1온도센서(21)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즉시 고온롤러를 정지하지 않고,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도 4는 제1온도센서(21)에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서브루틴을 도시한다. 제1온도센서(21)가 단선 등과 같이 완전히 고장나면, 저항이 무한대로 되어 출력이 제로가 되기 때문에 간단하게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다만, 단선에 이르지 않더라도 이상값을 출력하는 경우의 검출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이상검지용 제2온도센서(22)는 제1온도센서(21)와 같은 조건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출력으로 되어야 할 것이므로, 제1온도센서(21)의 출력(t1)과, 제2온도센서(22)의 출력(t2)의 차이인 △t를 연산한다(단계#11), △t가 소정의 범위(α)를 넘는지를 판단하고(단계#12), △t가 α이내이면(단계#13, NO) 제1온도센서(21)는 정상이라고 판단한다. △t가 α를 넘으면(단계#13, YES) 베어링온도검출용 제3온도센서(23)와 이상검지용 제2온도센서(22)의 출력 상관관계를 검출하고(단계#14), 이상검지용 제2온도센서(22) 자체가 이상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15). 제2온도센서(22)가 이상이 아니면(단계#15, YES) 제1온도센서(21)가 이상이라고 판단하고(단계#16), 제2온도센서(22)에 이상이 있으면(단계#15, NO) 제2온도센서(22)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단계#17).
도 5는 다른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과 다른 점은, 제1, 제2, 제3온도센서(21),(22),(23)가 회전측의 회전자(6)가 아니고, 고정측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도6의 롤러 외주부(17) 끝의 원주슬릿(17a)내에 온도센서의 검출단을 집어넣는 것에 의하여, 온도제어용과 이상검지용의 제1, 제2온도센서(21) ,(22)를 고정측에 설치하고, 베어링(10)의 외륜측에 베어링온도감시용의 제3온도센서(23)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각 온도센서(21),(22),(23)를 고정측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제어장치로서는, 도 1의 고정측 온도조정모듈에 상당하는 온도조정모듈(41)이 있을 뿐이다. 이 온도조정모듈(41)은, A/D변환기(42), CPU(43), 게이트회로(44), 사이리스터(45)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제1, 제2, 제3온도센서(21),(22),(23)에서의 출력은, A/D변환기(42)를 통하여 직접 CPU(43)에 전달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처리를 CPU(43)가 시행하여서, 게이트회로(33)를 사이에 끼워 사이리스터(34)를 구동하여, 히터인 고정코일(4)에 공급하는 전력의 위상을 제어하는 동시에, 필요한 알람출력이나 표시를 시행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제어용 특정 온도검출소자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다른 온도검출소자로 변환하므로, 계속되는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온도검출소자의 점검을 위해 고온롤러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상류측으로부터의 방사(紡絲)를 흡입하여, 점검 후에 상기한 방사를 고온롤러로부터 다시 하류의 방적기에 실을 통하게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할 수가 있다. 고장난 온도검출소자의 점검은 기계의 전체정지시와 같은 관리시에 시행하여도 좋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이상검지수단 및 변환수단이 중앙연산장치의 프로그램으로서 작성되어 있고, 복수의 온도검출소자에 공통의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중앙연산장치의 프로그램 순서로, 복수의 온도검출소자로부터의 신호를 자유롭게 조합하여 온도검출소자의 이상검지와 온도검출소자의 다른 것으로의 변환을 임의로 시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온도검출소자의 출력을 비교하는 것에 의하며, 특정 온도검출소자의 이상을 검출하므로, 간단한 방법으로 확실한 이상검지를 시행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특정 온도검출소자의 이상을 오퍼레이터에 알릴 수 있고, 적절한 타이밍에서 적절한 처치를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회점(會店)측에 CPU 등의 연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온도검출수단의 출력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온도검출소자 각각에 오프셋값을 다르게 하는 것으로, 시분할에 의한 연속된 신호이더라도, 각 온도검출소자의 출력을 구별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제어용 온도검출소자를 사용하여 통상의 온도제어를 시행하면서, 히터의 이상이나, 베어링온도의 상승을 검지할 수 있다.

Claims (7)

  1. 가열수단이 내장된 롤러의 외주에 실을 감아서 안내하고, 실에 열을 가하는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롤러의 온도를 검출하는 복수의 온도검출소자와, 상기한 온도검출소자에서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한 가열수단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한 제어수단이, 상기한 온도검출소자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검지수단과, 상기한 이상검지수단이 특정 온도검출소자의 이상을 검지하면, 다른 온도검출소자의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한 가열수단의 온도제어가 계속되게 하는 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상검지수단 및 변화수단이, 복수의 상기한 온도검출소자에 대하여 공통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상검지수단이, 복수의 온도검출소자의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한 특정 온도검출소자의 이상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수단이, 상기한 이상검지수단에 의하여 특정 온도검출소자의 이상을 검지하여, 다른 온도검출소자를 사용한 온도제어로 변환한 경우, 그 취지를 알려주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측과 고정측에 신호를 주고받는 광송수신기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한 온도검출소자의 출력을 시분할로 연속하여 광송수신기에 의하여 송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한 온도검출소자의 출력을 순차변환하여 도입하기 위한 변환스위치수단과, 그 변환스위치수단에 연결작동하여 온도검출소자 각각의 출력의 오프셋값을 다르게 하는 저항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
  7. 제1항,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한 온도검출소자가, 제어용, 이상검지용 그리고 베어링온도감시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
KR1019980013304A 1997-04-15 1998-04-14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 KR199800813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96291 1997-04-15
JP09096291A JP3077624B2 (ja) 1997-04-15 1997-04-15 ホットローラの温度制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397A true KR19980081397A (ko) 1998-11-25

Family

ID=1416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304A KR19980081397A (ko) 1997-04-15 1998-04-14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72584A1 (ko)
JP (1) JP3077624B2 (ko)
KR (1) KR19980081397A (ko)
CN (1) CN1196408A (ko)
TW (1) TW3935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417B1 (ko) * 2007-06-05 2008-09-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열 실린더 롤러의 표면 온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6898A1 (de) * 2010-09-29 2012-03-29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Galette
CN103935826B (zh) * 2014-04-21 2016-06-08 浙江万事发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缝纫线精密拉伸定型络筒机及其使用方法
DE102015011941A1 (de) 2015-09-11 2017-03-16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Galette zum Führen und Fördern eines Fadens
JP2020187685A (ja) * 2019-05-17 2020-11-19 アズビル株式会社 温度調節計および異常判断方法
DE102020101374B4 (de) * 2020-01-21 2021-12-02 Hanza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Temperatur eines Galettenmantels einer Galette einer Textilmaschine
KR102619432B1 (ko) * 2020-09-23 2023-12-29 (주)한국반생 반생로프 및 그 제조방법
DE102020007761A1 (de) 2020-12-18 2022-06-23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Galett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16936B2 (de) * 1968-12-24 1972-12-21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00 Wuppertal Vorrichtung zur gleichzeitigen uebertragung mehrerer signale von einem zeitweilig umlaufenden maschinenteil auf ein feststehendes teil
US3715923A (en) * 1970-07-23 1973-02-13 D Rall Temperature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JPS5482425A (en) * 1977-12-09 1979-06-30 Teijin Ltd Device for heat treatment of yarn
JPH09158031A (ja) * 1995-11-29 1997-06-17 Nippon Ester Co Ltd 加熱ローラ装置の温度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417B1 (ko) * 2007-06-05 2008-09-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열 실린더 롤러의 표면 온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72584A1 (en) 1998-10-21
JPH10292239A (ja) 1998-11-04
JP3077624B2 (ja) 2000-08-14
TW393528B (en) 2000-06-11
CN1196408A (zh) 1998-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1397A (ko) 고온롤러의 온도제어장치
US5966918A (en) Yarn false twisting device
BR112014021057B1 (pt) Método, uso do método e dispositivo para monitoramento de uma velocidade de trajetória de uma rede de material
US3543503A (en) Apparatus for winding a yarn
KR20160127678A (ko) 섬유 기계의 작업 스테이션에서 움직이는 실에 의해 형성된 실 발루운의 직경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US3429491A (en) Break detector and shut down means
KR101957328B1 (ko) 섬유사의 권취 제어장치
US6717309B2 (en) Godet roll for guiding, heating and conveying yarn
EP0952245B1 (en) Individual-spindle-drive type multi-twister
US6134871A (en) Individual-spindle-drive type textile machine
JP3341674B2 (ja) 糸条加熱用ヒータの制御装置
US3950930A (en) False twisting device
WO2020059911A1 (ko) 섬유사의 권취 제어장치
JPH07150437A (ja) ホットローラ
US6990795B2 (en) Yarn false twist texturing machine
JP3701799B2 (ja) 糸条処理ローラ
JP5156215B2 (ja) ホットローラ装置
CN102783011A (zh) 导丝辊单元
KR102096894B1 (ko) 섬유사 권취롤러의 화재감시장치
JPH10318952A (ja) 糸条の熱収縮測定装置
CN109693968A (zh) 卷绕辊测速单元及采用该卷绕辊的纺织机械
JPH07157938A (ja) ホットローラ
KR19990029378A (ko) 방사권취기
JP2002339178A (ja) 仮撚機
JPH0641885A (ja) 撚線機と断線の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