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1339A - 직물 가공용의 이소시아네이트와 하이드록실 화합물과의 반응생성물 - Google Patents

직물 가공용의 이소시아네이트와 하이드록실 화합물과의 반응생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1339A
KR19980081339A KR1019980013032A KR19980013032A KR19980081339A KR 19980081339 A KR19980081339 A KR 19980081339A KR 1019980013032 A KR1019980013032 A KR 1019980013032A KR 19980013032 A KR19980013032 A KR 19980013032A KR 19980081339 A KR19980081339 A KR 19980081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opylene glycol
product
mixture
gro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4532B1 (ko
Inventor
디르슬프란쯔
모쉬프란쯔
앙겔레테오도르
아르트너빌헬름
쉬데크에델트라우트
뢰쓸러에리히
Original Assignee
부르크베른하르트
시바스페찌알리테텐케미페르제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263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8008133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부르크베른하르트, 시바스페찌알리테텐케미페르제게엠베하 filed Critical 부르크베른하르트
Publication of KR1998008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04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 C08G18/0809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containing cationic or cationogenic groups
    • C08G18/0814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containing cationic or cationogenic groups containing ammonium groups or groups form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38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 C08G18/0842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 C08G18/0861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a dispersing phase for the polymers or a phase dispersed in the polymers
    • C08G18/0866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a dispersing phase for the polymers or a phase dispersed in the polymers the dispersing or dispersed phase being an aqueous me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71Hydroxyamines
    • C08G18/3275Hydroxyamines containing two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08G18/8003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006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 C08G18/8009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 C08G18/8035Masked aromatic polyisocyanate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of the groups C08G18/8019 and C08G18/8029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06M15/27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containing flu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06M15/568Reaction products of isocyanates with polye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06M15/576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containing fluor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디이소시아네이트를 2가 또는 다가 알콜 및/또는 이들 알콜의 모노- 및/또는 디에테르 하나 이상과 반응시키고, 이어서 둘 이상의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유기 아민과 반응시킨 후,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차단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생성물은 섬유 재료의 방유, 방수 및 방오 가공을 위해 퍼플루오로알킬 그룹을 함유하는 중합체와 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증점제로서, 특히 수성 분산액의 형태로 섬유 재료를 처리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직물 가공용의 이소시아네이트와 하이드록실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
본 발명은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하이드록실 그룹과 반응시키고 이어서 수득된 생성물의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차단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는,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함유하는 생성물 및 이의 섬유 재료 가공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하이드록실 화합물과 반응시키고 이어서 여전히 유리 상태인 NCO 그룹을 차단제를 사용하여 차단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가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EP-A 제196 309호, EP-A 제262 069호 및 WO 제92/00358호에 기재되어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질소 함유 폴리하이드록실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이어서 차단시킴으로서 제조되는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 또한 공지되어 있으며 EP-A 제196 309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및 질소 함유 하이드록실 화합물의 반응도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EP-A 제262 069호와 EP-A 제537 578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섬유 재료의 방유 및 방수 가공시, 증점제를 퍼플루오로알킬 라디칼을 함유하는 중합체, 즉 방유 및 방수 효과를 증진시키는 물질과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와 차단된 저분자량 폴리우레탄의 증점제로서의 용도 또한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EP-A 제196 309호와 EP-A 제537 578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 기술의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는 장점 뿐만 아니라 단점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선행 기술의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는 특정 섬유 또는 특정 섬유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섬유 재료에 목적하는 수준의 효과를 부여하기에 매우 적합하지는 않다. 또한 공지되어 있는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수득된 세탁 및 드라이클리닝 공정 후의 효능과 가공된 섬유 재료의 내마모성은 이상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 재료에 다양한 용도, 즉 상이한 종류의 섬유로 제조된 재료에 다양한 효과를 부여하는 데에,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로알킬 그룹을 함유하는 중합체와 함께 증점제로서 적합한,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다음의 제조단계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a)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들의 혼합물(성분(Ⅰ))과 탄소수 2 내지 8의 알콜 하나 이상 및/또는 이들 알콜의 모노- 및/또는 디에테르 하나 이상(성분 (Ⅱ))(여기서, 이들 알콜 또는 이들 알콜의 에테르는 둘 이상의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과 둘 이하의 C-O-C 결합을 함유한다)을, 형성되는 생성물이 여전히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포함하도록 반응시키는 단계,
(b) 단계(a)에서 수득한 생성물과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을 둘 이상 함유하는 유기 아민 또는 이들 아민의 혼합물을, 단계(a) 및/또는 단계(b)에서 사용하는 알콜, 에테르 및 아민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콜, 하나 이상의 에테르 또는 하나 이상의 아민이 셋 이상의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조건하에, 형성되는 생성물이 여전히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포함하도록 반응시키는 단계,
(c) 단계(b)에서 수득한 생성물의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차단제와 반응시킴으로써 차단시키는 단계 및
(d) 필요한 경우, 단계(c) 이후에 수득한 생성물을 물 속에 분산시키고 pH를 조절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다음의 장점을 갖는다.
(1) 다양한 섬유 재료 상에 사용할 수 있다.
(2) 다양한 가공 효과를 수득하기에 적합하다.
(3) 가공된 섬유 재료는 세탁과 드라이클리닝 공정 후에 효과가 영구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단계(a)에 사용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는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원 EP-A 제537 578호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특히 적합한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화학식 1의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특히, 디페닐메탄 4,4'-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화학식 2의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이며, 이 경우에 각각의 이성체 또는 이들 이성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은 단계(a)의 탄소수 2 내지 8의 알콜, 이들 알콜의 모노- 또는 디에테르, 또는 이들 알콜과 이들 모노- 또는 디에테르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당해 알콜과 모노- 또는 디에테르는 둘 이상의 유리 하이드록실 그룹과 둘 이하의 C-O-C 결합을 함유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단계(a)의 적합한 탄소수 2 내지 8의 2가 또는 다가 알콜이 공지되어 있다. 직쇄 또는 측쇄의 지방족 알콜이 적합하고 바람직하다. 2가 알콜,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및 1,6-헥산디올이 매우 적합하다. 3가 및 다가 알콜, 예를 들면,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펜타에리트리톨이 매우 적합하다. 다가 알콜 중에서, 3가 알콜이 바람직하다. 1,2-프로필렌 글리콜과 1,1,1-트리메틸올프로판이 특히 적합하다. 또한, 단계(a)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노- 또는 디에테르가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2가 또는 다가 알콜 분자 둘 또는 셋이 에테르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둘 이하의 유리 하이드록실 그룹과 둘 이상의 C-O-C 결합(에테르 알콜)을 포함한다. 모노에테르(예: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디프로필렌 글리콜)와 디에테르(예: 트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트리프로필렌 글리콜)가 매우 적합하다. 하이드록실 작용기를 갖는 여러 가지 성분(알콜 및/또는 에테르)들의 반응 단계(a)에서 이들을 혼합물로서 또는 단계별로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반응시킬 수 있다.
단계(b)의 반응에 사용되는 둘 이상의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을 포함하는 유기 아민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을 제조할 때, 단계(b)에서, 질소에 결합되어 있는 유기 라디칼이 둘 이상의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1급 아민 또한 사용할 수 있지만, 2급 또는 3급 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의 3급 아민이 바람직하며, 알콕실화 아민(예: N-메틸-, N-도데실- 또는 N-스테아릴디에탄올아민)과 트리에탄올아민도 또한 포함된다.
R3-yN(R'-OH)y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의 알킬 라디칼이고,
R'은 탄소수 2 내지 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렌 라디칼이고,
y는 2 또는 3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수득된 반응 생성물이 어느 정도의 분지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단계(a) 또는 단계(b)에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반응하는 화합물(알콜, 에테르, 아민) 하나 이상이 셋 이상의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단계(a)에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단계(b)에서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하거나, 단계(a)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단계(b)에서 N-메틸디에탄올아민을 사용한다. 반응 조건(예: 분지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겔화를 방지할 수 있다.
단계(a)는 바람직하게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알콜 및/또는 에테르를,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1당량당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 0.1 내지 0.5당량의 양으로 사용하여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계(b)는 단계(a)의 반응 생성물과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 함유 아민을, 단계(a)에서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1당량당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 0.05 내지 0.5당량의 양으로 사용하여 수행한다. 단계(a)와 단계(b)는 디이소시아네이트, 알콜 및/또는 에테르를, 단계(a) 이후와 단계(b) 이후에 수득된 반응 생성물이 여전히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함유하는 양으로 사용하여 수행한다. 디이소시아네이트, 알콜 및/또는 에테르 및 아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단계(a)와 단계(b)에 사용된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의 총당량이 단계(a)에서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1당량당 0.7당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선택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계(a)에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1당량당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 0.3 내지 0.5당량을 사용하고, 이러한 경우, 단계(b)에서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 0.05 내지 0.3당량을 사용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우, 1,2-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1,2-프로필렌 글리콜과 1,2-프로필렌 글리콜의 모노- 또는 디에테르(이들 에테르 각각은 두 개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 단계(a)에서 성분(Ⅱ)로서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우,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들의 혼합물이, 이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들의 혼합물을 2가 알콜 또는 2가 알콜과 이의 모노- 및/또는 디에테르의 혼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는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함유하는 반응 생성물의 존재하에, 단계(a)에서 성분(Ⅱ)와 반응시키기 위한 성분(Ⅰ)로서 사용된다. 또한, 바람직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우,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 디이소시아네이트와 1,2-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1,2-프로필렌 글리콜과 1,2-프로필렌 글리콜의 모노- 또는 디에테르의 혼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는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함유하는 반응 생성물의 혼합물이, 단계(a)에서 성분(Ⅰ)로서 사용된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우,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이의 반응 생성물의 혼합물이, 디이소시아네이트와 1,2-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1,2-프로필렌 글리콜과 1,2-프로필렌 글리콜의 모노- 또는 디에테르의 혼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1당량당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 0.1 내지 0.3당량비로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우, 단계(a)에서 성분(Ⅰ)을 먼저 3가 또는 다가 알콜과 반응시켜 여전히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수득한 후, 수득된 생성물을 단계(b)에서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여전히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수득한다.
RN(CH2CH2OH)2
상기 화학식 4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그룹이다.
단계(c)에서 잔류하는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차단제가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 출원되어 계류중인 EP-A 제537 578호에 기재되어 있다. 매우 적합한 차단제는 케톤 옥심이고, 부타논 옥심이 특히 적합하다. 단계(c)는 수득된 반응 생성물이 반드시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더 이상 포함하지 않는 양의 차단제와 반응시키는 조건하에 수행한다.
단계(a), 단계(b) 및/또는 단계(c)(차단 단계)에 따르는 반응은 균일 액상 속에서, 바람직하게는 용매 속에서 수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적합한 용매는 예를 들면 EP-A 제537 57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극성 비양자성 유기 용매이다. 매우 적합한 용매의 예는 유기산의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이다. 특히 적합한 용매는 실제로 물에 불용성인 저급 케톤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틸 이소부틸 케톤이다. 유기 용매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을 제조한 후에 예를 들면 증류에 의해 다시 제거할 수 있다.
단계(a)의 반응은 적합한 반응 속도에 도달하기 위해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과의 반응에 적합한 임의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촉매의 예는 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을 포함하는 3급 아민이다. 특히 적합한 촉매는 유기 주석 화합물, 예를 들면,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디옥타노에이트, 디옥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또는 주석 옥타노에이트이다. 단계(b) 또는 단계(c)의 반응의 경우, 유리하게도 단계(a)의 반응에서 사용하는 촉매가 단계(b)와 단계(c)의 반응을 수행하기 전에 단계(a)에서 수득된 생성물로부터 제거되지는 않지만, 촉매가 존재할 필요는 없다.
단계(a)와 단계(b)의 반응은 일반적으로 0 내지 150℃의 온도에서, 단계(c)의 차단 공정은 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단계(a), 단계(b) 단계(c)의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수성 분산액으로서 제조 및 사용하는 것이 특히 조작과 또한 조건에 있어서 유리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단계(c)에서 수득된 반응 생성물을 물에 분산시킨다. 단계(c)에서 수득된 반응 생성물은 일반적으로 물과 안정한 분산액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이 목적을 위해 적합한 분산제를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농도로 사용한다. 적합한 분산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알콕실화 지방 알콜, 지방산 및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또한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차단 공중합체와 산화아민이다. 또한, 적합한 분산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테트라알킬-암모늄염 또는 에톡시화 알킬아민 및 이의 염과 또한 알콕시화 및 4급화 알킬아민이다. 다수의 경우, 특히 적합한 분산제는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평균 10 내지 50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개 함유하는 에톡시화 캐스터유이다. 적합한 분산제는 그 자체로 또는 둘 이상의 분산제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매우 적합한 분산제의 예는 에톡시화 캐스터유와 지방 알콜 또는 지방산의 알콕실레이트와의 혼합물이다. pH를 분산 공정 동안 또는 분산 공정 후에 분산액의 안정성 및 목적한 용도에 적합한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분산액의 pH는 일반적으로 1.5 내지 9,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로 조절한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제제(예: 유기산 또는 무기산)를 사용하여 pH를 조절할 수 있다.
분산액은 일반적으로 다음 방법으로 제조한다: 물, 분산제 또는 분산제 혼합물 및 필요한 경우 추가의 성분을 균질화시키고, 단계(c)에서 수득된 반응 생성물과 필요한 경우 pH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산을 이 혼합물에 고속 교반기를 사용하여 미세하게 분산시킨다. 또한 반응 생성물을 첨가하기 전에 산을 물/분산제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다. 혼합물을 물, 분산제, 반응 생성물, 산 및 기타의 성분을 임의의 감지할 수 있는 순서로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고압 균질기를 사용하여 압력 100 내지 500bar,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bar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미분된 안정한 분산액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혼합 또는 고압 균질화 공정을 상온 또는 승온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온도가 너무 낮으면 분산액에 생성물이 침전될 위험이 있으며, 최대 온도는 물/용매 혼합물 분산액의 비점에 의해 결정된다. 단계(d)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에서 수행한다(고압 균질화 공정과 함께 유리하게는 냉각 공정을 수행한다). 분산액을 수득한 후에, 바람직하게는 존재하는 임의의 용매를 예를 들면 증류에 의해, 필요한 경우 감압하에 제거한다. 또한 용매가 제거된 분산액은 환경 친화성 및 인화점 증가 뿐만 아니라 안정성 증가의 이점이 있다.
단계(c)에서 수득된 신규한 조성물은 섬유 재료, 특히 시트형 구조의 직물 또는 편물을 가공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적합한 섬유 재료는 천연 또는 재생 셀룰로즈, 동물 섬유, 바람직하게는 양모, 합성 유기 섬유(예: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제조된 재료이다. 필요한 경우 직물 가공에 적합한 제품(예: 셀룰로즈 가교결합제, 섬유 유연제, 실리콘 탄성중합체 또는 난연제)을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분산액에 첨가함으로써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제품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셀룰로즈 가교결합제로서 에틸렌우레아 유도체, 섬유 유연제로서 실리콘 및/또는 개질된 폴리에틸렌 함유 분산액, 점화 억제제로서 인 함유 제품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섬유 재료의 방유, 방수 및 방오 가공을 위해 불소 함유 중합체와 배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불소 함유 중합체의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에 대한 혼합비는 물, 용매 및 첨가제 각각을 함유하지 않는 활성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1:0.03 내지 1:1.5, 바람직하게는 1:0.3 내지 1:0.75일 수 있다. 방유, 방수 및 방오 가공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불소 함유 중합체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퍼플루오로알킬 아크릴 중합체와 퍼플루오로알킬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우레탄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로 가공된 섬유 재료는 세탁과 드라이클리닝 공정 후에 효과가 영구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나며, 방유, 방수 및 방오 가공물의 경우, 이들 효과는 종종 세탁(이른바 세탁물 공기 건조 또는 세탁물 텀블러 건조 공정을 이용함) 후 다림질 공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유지된다. 분산제로서 에톡시화 캐스터유를 사용하는 수성 분산액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뛰어난 안정성과 유동성을 갖는 분산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다수의 조성물은 양모를 저-펠트(low-felt) 및 저-수축 가공하기에 적합하며, 이 가공시 불소 함유 중합체를 함께 사용하면 방유 및 방수 가공을 동시에(1 단계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성 분산액의 상태로 섬유 재료에 적용시키며, 단계(c)에서 수득된 반응 생성물, 분산제 및 물 뿐만 아니라 앞에서 이미 특정화한 추가의 구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예: 패딩(padding), 피복, 분무, 흡진 방법)을 이용하여 섬유 재료에 적용시킬 수 있다. 패드 압착 롤러(pad mangle)를 이용하여 적용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사용할 농도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간단히 결정될 수 있다. 수득된 섬유 재료는 통상적인 방법(예: 건조 공정)으로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단계(a):
성분(Ⅰ) 450g(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기준으로 하여 2.5당량)과 1,1,1-트리메틸올프로판 33.5g(하이드록실 그룹을 기준으로 하여 0.75당량)을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4구 플라스크 내에서 질소를 전체 배치(단계(a) 내지 단계(c)) 동안 통과시키면서 40℃에서 메틸 이소부틸 케톤 720g에 용해시키면서 교반한다. 성분(Ⅰ)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성체 혼합물과 1,2-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 글리콜의 혼합물의 반응 생성물이며, 이 반응 생성물은 여전히 반응하지 않은 디페닐메탄 약 65중량%를 포함하고 반드시 유리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다.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성체 혼합물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성체 혼합물이고, 중량부가 가장 높은 이성체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이며, 이 혼합물은 예를 들면 Dow Chemical 또는 Bayer에서 시판 중이다. 알콜 혼합물은 1,2-프로필렌 글리콜 약 5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 15중량% 및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80중량%의 혼합물이다. 메틸 이소부틸 케톤 5.4g 속에 용해시킨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0.6g을 수득된 용액에 첨가하면서 교반한다. 3분 동안 온도를 54℃까지 증가시킨다. 이어서 용액을 42℃의 수욕 속에서 추가로 30분 동안 교반한다.
단계(b):
이어서 메틸 이소부틸 케톤 90g에 용해시킨 N-메틸디에탄올아민 14.9g(하이드록실 그룹을 기준으로 하여 0.25당량)을 상기 용액에 첨가한다. 5분 동안 온도를 40 내지 45℃까지 증가시킨다. 이어서 용액을 42℃의 수욕 속에서 추가로 30분 동안 교반한다.
단계(c):
이어서 메틸 이소부틸 케톤 125g에 용해시킨 부타논 옥심 130.7g(1.5당량)을 상기 용액에 첨가한다. 1분 내에 온도를 61℃까지 증가시킨다. 이어서 용액을 42℃의 수욕 속에서 추가로 30분 동안 교반한다. 이에 의해 약간 점성이 있는 약간 혼탁된 생성물이 수득되며, 이것은 적외선 분광기 시험 결과 NCO를 함유하지 않는다. 생성물을 메틸 이소부틸 케톤을 포함하여 1537g까지 제조하며, 이것은 활성 성분 함량 40중량%에 상응한다.
단계(d):
단계(c)에서 수득된 용액 500g(활성 성분 200g을 함유함)을 상온에서 제조한 EMULSOGEN EL 20g, 1,2-프로필렌 글리콜 30g 및 상수 550g으로 이루어진 용액에 20℃에서 고속 교반기(Ultra-Turrax)를 사용하여 혼입한다. EMULSOGEN EL은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가 평균 36 내지 38인 에톡시화 캐스터유이며 Hoechst AG에서 시판 중이다. 수득된 혼합물의 pH는 6.9이다. 이것을 약 30%의 염산을 적가함으로써 2.8로 조절한다. 혼합물을 추가로 3분 동안 교반한 후 고속 균질기(제조사: Manton-Gaulin)에서 작동 압력 약 250bar로 4회 통과시킴으로써 균질화시킨다. 혼합물의 초기 온도는 20℃이고 4회 통과 후에 수득된 분산액의 최종 온도는 35℃이다.
이어서 용매인 메틸 이소부틸 케톤과 약간의 물을 회전 증류기 내에서 감압하 수욕 온도 70℃에서 증류제거한다. 이어서 건조시킨 물질을 측량하고 이것으로부터 필요한 물의 양을 계산하여 고체 함량이 30중량%인 분산액을 수득한다. 수득된 분산액은 역학적 및 열적 영향하에 양호한 안정성을 갖는다.
실시예 2
단계(a):
약 5%의 2,6-이성체를 함유하는 2,4-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70g(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기준으로 하여 0.8당량)과 1,1,1-트리메틸올프로판 8g(하이드록실 그룹을 기준으로 하여 0.18당량)을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4구 플라스크 내에서 질소를 전체 배치(단계(a) 내지 단계(c)) 동안 통과시키면서 60℃에서 메틸 이소부틸 케톤 175g에 용해시키면서 교반한다. 이어서 수득된 용액을 25℃까지 냉각시킨다. 메틸 이소부틸 케톤 1.8g에 용해시킨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0.2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면서 교반한다. 온도를 25 내지 38℃까지 증가시킨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추가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 동안에 온도를 28℃까지 감소시킨다.
단계(b):
이어서 메틸 이소부틸 케톤 30g에 용해시킨 트리에탄올아민 3.5g(하이드록실 그룹을 기준으로 하여 0.06당량)을 상기 용액에 첨가한다. 온도를 34℃까지 증가시킨다. 이어서 사익 용액을 추가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 동안에 온도를 27℃까지 감소시킨다.
단계(c):
이어서 메틸 이소부틸 케톤 40g에 용해시킨 부타논 옥심 48.8g(0.56당량)을 상기 용액에 첨가한다. 온도를 57℃까지 증가시킨다. 이어서 용액을 추가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 동안에 온도를 32℃까지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약간 점성이 있는 약간 혼탁된 생성물이 수득되며, 이것은 적외선 분광기 시험 결과 NCO를 함유하지 않는다. 생성액의 활성 물질은 129g 즉, 약 33%이다.
단계(d):
단계(c)에서 수득된 용액 전량을 35℃에서 제조한 MARLIPAL O 13/500 10g, DEHYQUART AU 56 3g, 모노에틸렌 글리콜 22g 및 상수 350g으로 이루어진 용액에 35℃에서 고속 교반기(Ultra-Turrax)를 사용하여 혼입한다. MARLIPAL O 13/500은 에톡시화 옥소 알콜이고 Huls AG에서 시판 중이다. DEHYQUART AU 56은 Henkel에서 시판중인 4차 암모늄 메틸 설페이드이다. 수득된 혼합물의 pH는 6.1이다. 이것을 약 30%의 염산을 적가함으로써 3.2로 조절한다. 혼합물을 추가로 3분 동안 교반한 후 고속 균질기(제조사: Manton-Gaulin)에서 작동 압력 약 250bar로 4회 통과시킴으로써 균질화시킨다. 혼합물의 초기 온도는 20℃이고 4회 통과 후에 수득된 분산액의 최종 온도는 35℃이다.
이어서 용매인 메틸 이소부틸 케톤과 약간의 물을 회전 증류기 내에서 감압하 수욕 온도 70℃에서 증류제거한다. 이어서 건조시킨 물질을 측량하고 이것으로부터 필요한 물의 양을 계산하여 무수 물질의 함량이 30중량%인 분산액을 수득한다. 수득된 분산액은 역학적 및 열적 영향하에 양호한 안정성을 갖는다.
실시예 3
단계(a):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성분(Ⅰ) 75g(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기준으로 하여 0.416당량)과 1,1,1-트리메틸올프로판 5.6g(하이드록실 그룹을 기준으로 하여 0.126당량)을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4구 플라스크 내에서 질소를 전체 배치(단계(a) 내지 단계(c)) 동안 통과시키면서 40℃에서 메틸 이소부틸 케톤 110g에 용해시키면서 교반한다. 메틸 이소부틸 케톤 0.9g 속에 용해시킨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0.1g을 수득된 용액에 첨가하면서 교반한다. 1분 동안 온도를 55℃까지 증가시킨다. 이어서 용액을 41℃의 수욕 속에서 추가로 30분 동안 교반한다.
단계(b):
이어서 메틸 이소부틸 케톤 40g에 용해시킨 N-메틸디에탄올아민 2.38g(하이드록실 그룹을 기준으로 하여 0.04당량)을 상기 용액에 첨가한다. 1분 동안 온도를 40 내지 45℃까지 증가시킨다. 이어서 용액을 41℃의 수욕 속에서 추가로 30분 동안 교반한다.
단계(c):
이어서 메틸 이소부틸 케톤 20g에 용해시킨 부타논 옥심 21.75g(0.25당량)을 상기 용액에 첨가한다. 1분 동안 온도를 59℃까지 증가시킨다. 이어서 용액을 41℃의 수욕 속에서 추가로 30분 동안 교반한다. 이에 의해 약간 점성이 있는 백색의 혼탁성 생성물이 수득되며, 이것은 적외선 분광기 시험 결과 NCO를 함유하지 않는다. 생성물은 활성 성분 함량 약 104g을 포함한다.
단계(d):
단계(c)에서 수득된 용액 500g을 상온에서 제조한 EMULSOGEN EL 5.5g, IMBENTIN T/400 G 5.5g, 1,2-프로필렌 글리콜 16g 및 상수 290g으로 이루어진 용액에 20℃에서 고속 교반기(Ultra-Turrax)를 사용하여 혼입한다. IMBENTIN T/400 G는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 40을 함유하는 에톡시화 트리데실 알콜이며 Dr.W. Kolb AG(Hedingen, Switzerland)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수득된 혼합물의 pH는 5.7이다. 이것을 약 30%의 염산을 적가함으로써 2.8로 조절한다. 혼합물을 추가로 3분 동안 교반한 후 냉각 공정 없이 고속 균질기(제조사: Manton-Gaulin)에서 작동 압력 약 250bar로 4회 통과시킴으로써 균질화시킨다. 혼합물의 초기 온도는 20℃이고 제4 패스 후에 수득된 분산액의 최종 온도는 35℃이다.
이어서 용매인 메틸 이소부틸 케톤과 약간의 물을 회전 증류기 내에서 감압하 수욕 온도 70℃에서 증류제거한다. 이어서 건조시킨 물질을 측량하고 이것으로부터 필요한 물의 양을 계산하여 30중량%의 분산액을 수득한다. 수득된 분산액은 역학적 및 열적 영향하에 양호한 안정성을 갖는다.
본 발명을 다음의 적용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결과는 아래의 시험방법으로 평가한다. 시험을 수행하기 전에 섬유 재료를 20℃/상대습도 65%에서 24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 가공한다.
방유 효과는 AATCC 118-1978에 따라 측정한다. 8가지 상이한 액화 탄화수소에 의한 흡수성을 시험한다. 이 시험방법의 평가 등급은 1 내지 8 등급이며, 8등급이 가장 양호하다(방유 효과가 가장 크다).
방수 효과는 AATCC 22-1980(분무 시험)과 DIN 53888(분데스만 수 시험(Bundesmann rain test))에 따라 측정한다. 분데스만 수 시험은 실제로 물방울 제거 효과(bead-off effect)(물 공급 시간 1, 5, 및 10분 후 각각의 직물에 대하여 3회 실시)를 평가하여 1(가장 불량한 등급) 내지 5(가장 양호한 등급: 물이 흡수되지 않고 제거된다)의 등급을 부여한 후, 흡습성을 중량%로 측정한다. 분무 시험에서, 흡수성을 이와 유사하게 측정하며, 등급은 0 내지 100(가장 양호한 등급, 즉 흡수성이 가장 낮음)이다. 앞에서 언급한 AATCC 시험방법은 AATCC(American Association of Textile Chemists and Colorists) Technical Manual Vol.58, 1983, pages 248, 270 및 271를 참조한다.
적용실시예 1(본 발명에 따름)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10g/l, 불소 함유 중합체 40g/l, 계면활성제 5g/, 60중량% 아세트산 1g/l 및 잔량의 물로 조성된 가공액을 제조한다.
사용하는 불소 함유 중합체는 퍼플루오로알킬아크릴 공중합체 15중량%를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이고,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는 에톡시화 지방 알콜과 아르지방족 에테르 알콜의 수성액이다.
수득된 가공액을 상온에서 패드 압착 롤러를 이용하여,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액체를 약 90중량% 흡수하는 미처리 양모 직물에 적용한다. 이어서 직물을 110℃에서 10분 동안 건조용 캐비넷 속에서 건조시킨 후 150℃에서 5분 동안 응집시킨다. 직물을 각각 세탁 또는 드라이클리닝 공정 후에 다림질한다.
적용실시예 2(본 발명에 따름)
가공액에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대신 실시예 2에서 수득된 분산액 10g/l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적용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적용실시예 3(본 발명에 따름)
가공액에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대신 실시예 3에서 수득된 분산액 10g/l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적용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적용실시예 4(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가공액에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대신 유리 NCO 그룹이 부타논 옥심으로 차단된,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반응 생성물(즉, 제조단계(b)를 수행하지 않은 생성물) 30중량%를 포함하는 분산액 10g/l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적용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적용실시예 5(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가공액에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대신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부타논 옥심을 사용하여 NCO 그룹을 차단시킴으로써 수득된 생성물(즉, 제조단계(a)와 제조단계(b)를 수행하지 않은 생성물) 약 30중량%를 포함하는 분산액 10g/l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적용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적용실시예 1 내지 5에서 가공된 양모 직물의 시험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적용실시예 1 적용실시예 2 적용실시예 3 적용실시예 4 적용실시예 5
초기값방유성 6 6 6 6 6
분무시험 100 100 100 100 100
수시험 12% 12% 15% 43% 24%
물방울 제거효과 5/5/5 5/5/5 5/4/4 5/2/2 5/2/3
5회 세탁/30℃ 후방유성 6 6 6 5 6
분무시험 100 100 100 100 100
수시험 31% 35% 28% 54% 42%
물방울 제거효과 5/2/2 5/2/2 3/3/3 2/1/0 3/2/1
세정 촉진제를사용한 드라이클리닝가공 1회 후방유성 6 6 6 6 6
분무시험 100 100 100 90 100
수시험 37% 34% 23% 49% 40%
물방울 제거효과 3/2/2 5/3/2 5/4/3 2/1/0 3/2/1
적용실시예 6(본 발명에 따름)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30g/l, 불소 함유 중합체 70g/l, 계면활성제 5g/l, 60중량% 아세트산 1g/l, 알킬-개질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유도체 15g/l, 마그네슘염을 기재로 한 산 공급체 5g/l 및 잔량의 물로 조성된 가공액을 제조한다.
사용하는 불소 함유 중합체는 퍼플루오로알킬아크릴 공중합체 12.5중량%를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이고,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는 에톡시화 지방 알콜과 아르지방족 에테르 알콜의 수성액이다.
수득된 가공액을 상온에서 패드 압착 롤러를 이용하여,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액체를 약 62중량% 흡수하는 폴리에스테르/면(65%:35%) 혼합물로 제조된 직물에 적용한다. 이어서 직물을 110℃에서 10분 동안 건조용 캐비넷 속에서 건조시킨 후 150℃에서 5분 동안 응집시킨다. 직물을 각각 세탁 또는 드라이클리닝 공정 후에 다림질한다.
적용실시예 7(본 발명에 따름)
가공액에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대신 실시예 2에서 수득된 분산액 30g/l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적용실시예 6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적용실시예 8(본 발명에 따름)
가공액에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대신 실시예 3에서 수득된 분산액 30g/l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적용실시예 6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적용실시예 9(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가공액에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대신 유리 NCO 그룹이 부타논 옥심으로 차단된,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반응 생성물(즉, 제조단계(b)를 수행하지 않은 생성물) 30중량%를 포함하는 분산액 30g/l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적용실시예 6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적용실시예 10(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가공액에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대신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부타논 옥심을 사용하여 NCO 그룹을 차단시킴으로써 수득된 생성물(즉, 제조단계(a)와 제조단계(b)를 수행하지 않은 생성물) 약 30중량%를 포함하는 분산액 30g/l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적용실시예 6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적용실시예 6 내지 10에서 가공된 면/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시험 결과는 표 2에 나타나 있다.
적용실시예 6 적용실시예 7 적용실시예 8 적용실시예 9 적용실시예 10
초기값방유성 6 6 6 6 6
분무시험 100 100 100 100 100
수시험 4% 6% 7% 19% 22%
물방울 제거효과 5/5/5 5/5/5 5/5/5 4/4/4 4/4/4
10회 세탁/60℃ 후방유성 6 6 6 5 4
분무시험 100 100 100 70 80
수시험 7% 8% 12% 21% 22%
물방울 제거효과 4/3/3 4/3/3 4/4/3 1/0/0 1/0/0
세정 촉진제를사용한 드라이클리닝가공 3회 후방유성 6 6 6 6 5
분무시험 100 100 100 100 100
수시험 5% 6% 6% 21% 28%
물방울 제거효과 5/5/5 5/5/5 5/5/5 3/3/3 2/1/0
적용실시예 11(본 발명에 따름)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6g/l, 불소 함유 중합체 30g/l, 60중량% 아세트산 2g/l 및 잔량의 물로 조성된 가공액을 제조한다.
사용하는 불소 함유 중합체는 퍼플루오로알킬아크릴 공중합체 15중량%를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이다.
수득된 가공액을 상온에서 패드 압착 롤러를 이용하여,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액체를 약 45중량% 흡수하는 폴리에스테르 타페타(taffeta)에 적용한다. 이어서 직물을 110℃에서 10분 동안 건조용 캐비넷 속에서 건조시킨 후 150℃에서 5분 동안 응집시킨다. LAD 및 LTD 특성(LAD는 Laundry Air Dry를, LTD는 Laundry Tumbler Dry를 의미한다)을 측정하기 위해, 가공된 직물을 세탁 후 각각 65℃에서 20 내지 25분 동안 공기 속에서 또는 텀블 건조기 속에서 건조시킨다.
적용실시예 12(본 발명에 따름)
가공액에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대신 실시예 2에서 수득된 분산액 30g/l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적용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적용실시예 13(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가공액에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대신 유리 NCO 그룹이 부타논 옥심으로 차단된,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반응 생성물(즉, 제조단계(b)를 수행하지 않은 생성물) 30중량%를 포함하는 분산액 30g/l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적용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적용실시예 14(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가공액에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대신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부타논 옥심을 사용하여 NCO 그룹을 차단시킴으로써 수득된 생성물(즉, 제조단계(a)와 제조단계(b)를 수행하지 않은 생성물) 약 30중량%를 포함하는 분산액 30g/l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적용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적용실시예 11 내지 14에서 가공된 폴리에스테르 타프타의 시험 결과는 표 3에 나타나 있다.
적용실시예 11 적용실시예 12 적용실시예 13 적용실시예 14
초기값방유성 6 6 6 6
분무시험 100 100 100 100
수시험 0% 0% 1% 0%
물방울 제거효과 4/4/4 4/4/4 4/4/4 5/5/5
1회 세탁/40℃ 후 공기 건조방유성 4 3 2 2
분무시험 100 100 80 100
수시험 1% 1% 10% 3%
물방울 제거효과 4/4/4 4/4/3 2/2/2 4/4/3
5회 세탁/40℃ 후공기 건조방유성 2 2 0 1
분무시험 90 90 70 90
수시험 9% 6% 21% 15%
물방울 제거효과 2/2/2 2/2/2 1/0/0 1/0/0
5회 세탁/40℃ 후텀블러 건조방유성 3 3 2 3
분무시험 100 100 90 100
수시험 3% 1% 14% 4%
물방울 제거효과 3/3/3 4/4/4 2/2/2 3/3/3
실시예 1 내지 14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이 다양한 섬유 재료에 뛰어난 방유성과 방수성을 부여하며, 이 특성이 직물을 세탁 후에 다림질하지 않더라도 수회의 세탁 또는 드라이클리닝 공정 후에도 기존의 조성물 경우보다 더욱 양호하게 유지된다는 사실이 명백해졌다.
적용실시예 15(본 발명에 따름)
다음의 조성을 갖는 두 가지 가공액을 제조한다.
(a)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50g/l과 잔량의 물
(b)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100g/l과 잔량의 물
수득된 가공액 각각을 상온에서 패드 압착 롤러를 사용하여,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액체를 약 90중량% 흡수하는 미처리 양모 직물에 적용한다. 이어서 직물을 110℃에서 10분 동안 건조용 캐비넷 속에서 건조시킨 후 150℃에서 5분 동안 응집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가공한 직물에 대해 5회 세탁 후의 표면 수축성을 측정(ISO 6330-1984에 따름)한다.
적용실시예 16(본 발명에 따름)
가공액에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대신 실시예 2에서 수득된 분산액을 각각 50g/l 및 100g/l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적용실시예 15와 동일하게 수행한다.
적용실시예 17(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가공액에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대신 유리 NCO 그룹이 부타논 옥심으로 차단된,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반응 생성물 30중량%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각각 50g/l 및 100g/l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적용실시예 15와 동일하게 수행한다.
적용실시예 18(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가공액에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분산액 대신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부타논 옥심을 사용하여 NCO 그룹을 차단시킴으로써 수득된 생성물 약 30중량%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각각 50g/l 및 100g/l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적용실시예 15와 동일하게 수행한다.
적용실시예 19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비가공 양모 직물에 대해 5회 세탁 후의 표면 수축성을 측정(ISO 6330-1984에 따름)한다.
적용실시예 15 내지 18에서 가공된 양모 직물과 비가공 양모 직물의 5회 세탁 후의 수축성(%)(ISO 6330-1984에 따름)이 표 4에 나타나 있다.
적용실시예 15 적용실시예 16 적용실시예 17 적용실시예 18 적용실시예 19
(a)액 폭/위사 3 5 7 7.5 14
길이/경사 5 6.5 8 8 14
(b)액 폭/위사 2 4 4 7.5
길이/경사 2.5 5 5 7.5
실시예 15 내지 19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이 세탁에 의한 양모의 표면 수축성을 감소시키며 기타의 경우에도 현저한 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다양한 섬유 재료에 적용하여 방유, 방수 및 방오 효과 등의 다양한 가공 효과를 수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공 효과는 섬유 재료의 세탁 및 드라이클리닝 공정 후에도 영구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난다.

Claims (21)

  1. (a)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들의 혼합물(성분(Ⅰ))과 탄소수 2 내지 8의 알콜 하나 이상 및/또는 이들 알콜의 모노- 및/또는 디에테르 하나 이상(성분 (Ⅱ))(여기서, 이들 알콜 또는 이들 알콜의 에테르는 둘 이상의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과 둘 이하의 C-O-C 결합을 함유한다)을, 형성되는 생성물이 여전히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포함하도록 반응시키는 단계,
    (b) 단계(a)에서 수득한 생성물과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을 둘 이상 함유하는 유기 아민 또는 이들 아민의 혼합물을, 단계(a) 및/또는 단계(b)에서 사용하는 알콜, 에테르 및 아민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콜, 하나 이상의 에테르 또는 하나 이상의 아민이 셋 이상의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조건하에, 형성되는 생성물이 여전히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포함하도록 반응시키는 단계,
    (c) 단계(b)에서 수득한 생성물의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차단제와 반응시킴으로써 차단시키는 단계 및
    (d) 필요한 경우, 단계(c) 이후에 수득한 생성물을 물 속에 분산시키고 pH를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으로 수득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a), 단계(b) 및/또는 단계(c)(차단 단계)의 반응이 균일 액상 속에서, 바람직하게는 용매 속에서 수행되고, 필요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단계(d)의 분산공정 이후에 용매가 제거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매가 케톤, 바람직하게는 메틸 이소부틸 케톤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a), 단계(b) 및/또는 단계(c)(차단 단계)의 반응이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되고,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촉매가 유기 주석 화합물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1당량당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 0.1 내지 0.5당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당량이 사용되고, 단계(b)에서는 단계(a)에서 사용하는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1당량당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 0.05 내지 0.5당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당량이 사용되며, 이러한 경우, 단계(a)와 단계(b)에서 사용하는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의 총 당량이 바람직하게는 단계(a)에서 사용하는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1당량당 0.7당량을 초과하지 않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디페닐메탄 4,4'-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b)에서 사용하는 유기 아민이 화학식 3의 화합물인 조성물.
    화학식 3
    R3-yN(R'-OH)y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의 알킬 라디칼이고,
    R'은 탄소수 2 내지 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렌 라디칼이고,
    y는 2 또는 3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아민이 N-메틸디에탄올아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인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 사용하는 성분(Ⅱ)가 1,1,1-트리메틸올프로판, 1,2-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1,2-프로필렌 글리콜과 1,2-프로필렌 글리콜의 모노- 또는 디에테르 하나 이상의 혼합물인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a)의 성분(Ⅰ)로서의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들의 혼합물이, 디이소시아네트 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들의 혼합물을 2가 알콜 또는 2가 알콜과 이의 모노- 또는 디에테르의 혼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는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함유하는 반응 생성물의 존재하에 사용되는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 사용하는 성분(Ⅰ)이,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당해 디이소시아네이트를 1,2-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1,2-프로필렌 글리콜과 1,2-프로필렌 글리콜의 모노- 또는 디에테르 하나 이상의 혼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는 유리 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반응 생성물과의 혼합물인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이의 반응 생성물의 혼합물이 디이소시아네이트를 1,2-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1,2-프로필렌 글리콜과 1,2-프로필렌 글리콜의 모노- 또는 디에테르 하나 이상의 혼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1당량 알콜성 하이드록실 그룹 0.1 내지 0.3당량의 비로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a)와 단계(b)의 반응이 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c)의 차단 공정이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c)에서 사용하는 차단제가 케톤 옥심, 바람직하게는 부타논 옥심인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 성분(Ⅰ)을 3가 또는 다가 알콜과 반응시킴으로써 여전히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함유하는 생성물이 수득되고, 이어서 수득된 생성물을 단계(b)에서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여전히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함유하는 생성물이 수득되는 조성물.
    화학식 4
    RN(CH2CH2OH)2
    상기 화학식 4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그룹이다.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c) 이후에 수득한 생성물을 하나 이상의 분산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가 평균 10 내지 50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개인 에톡시화 캐스터유를 사용하여 물에 분산시키는 조성물.
  18. 섬유 재료, 바람하게는 시트형 구조의 직물 또는 편물을 가공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의 용도.
  19. 제18항에 있어서, 섬유 재료가 천연 또는 재생 셀룰로즈, 동물 섬유, 바람직하게는 양모, 합성 유기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용도.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퍼플루오로알킬 그룹을 함유하는 중합체 및, 필요한 경우, 추가의 제품과 배합되어 사용되는 용도.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섬유 재료에 수성 분산액 상태로 적용되는 용도.
KR1019980013032A 1997-04-14 1998-04-13 직물처리용의이소시아네이트와하이드록실화합물과의반응생성물및이를사용하는섬유재료의처리방법 KR100514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15416.6 1997-04-14
DE19715416A DE19715416A1 (de) 1997-04-14 1997-04-14 Umsetzungsprodukte von Isocyanaten mit Hydroxyverbindungen für die Textilveredelung
DE19715416,6 1997-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339A true KR19980081339A (ko) 1998-11-25
KR100514532B1 KR100514532B1 (ko) 2006-03-22

Family

ID=782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032A KR100514532B1 (ko) 1997-04-14 1998-04-13 직물처리용의이소시아네이트와하이드록실화합물과의반응생성물및이를사용하는섬유재료의처리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080830A (ko)
EP (1) EP0872503B1 (ko)
JP (1) JP4280325B2 (ko)
KR (1) KR100514532B1 (ko)
CN (1) CN1098870C (ko)
AT (1) ATE223452T1 (ko)
AU (1) AU724928B2 (ko)
BR (1) BR9801016A (ko)
DE (2) DE19715416A1 (ko)
ES (1) ES2181079T3 (ko)
ID (1) ID20149A (ko)
IL (1) IL123582A (ko)
PT (1) PT872503E (ko)
TR (1) TR199800574A3 (ko)
TW (1) TW472096B (ko)
ZA (1) ZA9829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42829A3 (en) * 1997-09-18 2003-10-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uorochem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blocked isocyanate extender and method of treatment of a fibrous substrate therewith
WO1999014422A1 (en) * 1997-09-18 1999-03-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uorochem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blocked isocyanate extender and method of treatment of a fibrous substrate therewith
DE19852621A1 (de) * 1998-11-14 2000-05-18 Hansa Textilchemie Gmbh Permanentes Mittel zum Ausrüsten von Fasern oder aus Faser bestehenden Produkten
ATE293135T1 (de) 1998-12-22 2005-04-15 Ciba Sc Pfersee Gmbh Wässrige dispersionen für die textilveredlung
US6673889B1 (en) * 1999-06-28 2004-01-06 Omnova Solutions Inc. Radiation curable coating containing polyfuorooxetane
EP1088867A1 (de) 1999-09-30 2001-04-04 Ciba Spezialitätenchemie Pfersee GmbH Zusammensetzungen für die öl- und wasserabweisende Ausrüstung von Fasermaterialien
US6290867B1 (en) * 1999-12-08 2001-09-18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Treatment composition which provides anti-wrinkling properties to textiles
AU2001281835A1 (en) * 2000-06-13 2001-12-24 Basf Aktiengesellschaft Use of polymers containing urethane and/or urea groups for the modification of surfaces
WO2002095123A1 (en) * 2001-05-23 2002-11-28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g Inc. Process for printing textile fabrics
EP1264863A1 (de) * 2001-06-08 2002-12-11 Ciba Spezialitätenchemie Pfersee GmbH Zusammensetzungen mit Polysiloxanen und weiteren Polymeren
GB0115240D0 (en) * 2001-06-22 2001-08-15 Ciba Sc Holding Ag Process for printing textile fabrics
DE10139126A1 (de) 2001-08-09 2003-02-20 Ciba Sc Pfersee Gmbh Zusammensetzungen aus Polysiloxanen, Fluorpolymeren und Extendern
DE10211549B9 (de) 2002-03-15 2004-11-25 Rudolf Gmbh & Co. Kg Chemische Fabrik Zubereitungen auf Basis von Wasser und/oder organischen Lösemitteln und deren Anwendung als Appretur auf Flächengebilden
AU2003234544B2 (en) * 2002-05-24 2008-04-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ochem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a fibrous substrate
US7094829B2 (en) * 2002-05-24 2006-08-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ochem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fluorinated polymer and treatment of a fibrous substrate therewith
US7425279B2 (en) * 2002-05-24 2008-09-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ochem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a fibrous substrate
CA2487068A1 (en) * 2002-05-24 2003-12-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ochemical composition comprising perfluoropolyether and an extender for the treatment of fibrous substrates
ITVA20020064A1 (it) * 2002-12-02 2004-06-03 Lamberti Spa Dispersioni acquose stabili di poliisocianati bloccati non ionici.
US20040137818A1 (en) * 2003-01-10 2004-07-15 Kimbrell William C. Wash-durable, liquid repellent, and stain releasing cotton fabric substrates
US7407899B2 (en) * 2003-01-10 2008-08-05 Milliken & Company Textile substrates having layered finish structure for improving liquid repellency and stain release
US20040138083A1 (en) * 2003-01-10 2004-07-15 Kimbrell Wiliam C. Substrates having reversibly adaptable surface energy properti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485588B2 (en) * 2003-01-10 2009-02-03 Yunzhang Wang Method for making textile substrates having layered finish structure for improving liquid repellency and stain release
US7468333B2 (en) * 2003-01-10 2008-12-23 Milliken & Company Wash-durable, liquid repellent, and stain releasing polyester fabric substrates
DE10325094B4 (de) * 2003-06-03 2006-02-16 Rudolf Gmbh & Co. Kg Chemische Fabrik Zubereitungen für die öl- und wasserabweisende Ausrüstung von Flächengebilden und deren Anwendung
EP1496073A1 (de) * 2003-07-08 2005-01-12 Ciba Spezialitätenchemie Pfersee GmbH Extender für die Behandlung von Fasermaterialien
EP1672006A1 (de) * 2004-12-14 2006-06-21 Ciba Spezialitätenchemie Pfersee GmbH Wässrige Dispersionen von Harnstoffgruppen enthaltenden Polyorganosiloxanen
US7820563B2 (en) * 2006-10-23 2010-10-26 Hawaii Nanoscienc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arting oil repellency and/or water repellency
US8828098B2 (en) * 2006-12-18 2014-09-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xtenders for fluorochemical treatment of fibrous substrates
EP2302130A1 (de) 2009-09-26 2011-03-30 Huntsman Textile Effects (Germany) GmbH Zusammensetzung für die Öl- und/oder Wasserabweisende Ausrüstung von Fasermaterialien
TWI425026B (zh) 2011-09-19 2014-02-01 Everlight Chem Ind Corp 聚氨酯衍生物及其組成物及包括該衍生物的染料添加劑
CN102658057B (zh) * 2012-04-16 2014-09-10 王志军 一种新型聚氨酯分散剂及其制备方法
CN111101216B (zh) * 2019-12-16 2022-06-14 浙江工商大学 聚丙烯腈基-羟基脲螯合纤维及其合成方法和应用
CN112724365B (zh) * 2020-11-30 2022-10-14 温州大学 阻燃型超支化聚合物皮革复鞣剂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56469C2 (de) * 1974-11-29 1983-01-13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n Wasser löslichen bzw. dispergierbaren blockierten Polyisocyanaten und ihre Verwendung als Beschichtungsmittel
US4531946A (en) * 1983-03-09 1985-07-30 Diamond Shamrock Chemicals Company Aftertreatment of dyed cellulosic materials
DE3319368A1 (de) * 1983-05-27 1984-11-29 Bayer Ag, 5090 Leverkusen Perfluoralkylgruppen-enthaltende polyurethan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3435618A1 (de) * 1984-09-28 1986-04-10 Chemische Fabrik Pfersee Gmbh, 8900 Augsburg Verfahren zur erzielung wasch- und reinigungsbestaendiger textilausruestungen mit reaktiven (co)polymeren bzw. vorkondensaten
JPH0689323B2 (ja) * 1986-06-13 1994-11-09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制電加工剤
US4761337A (en) * 1986-09-26 1988-08-02 Basf Corporation Cationic electrodepositable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polyurethane resin dispersions
ZA873916B (en) * 1986-09-26 1988-02-24 Inmont Basf Cationic electrodepositable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polyurethane resin dispersions
DE4020115A1 (de) * 1990-06-23 1992-01-02 Basf Lacke & Farben Verfahren zum beschichten elektrisch leitfaehiger substrate, waessriger lack und blockierte nco-gruppen enthaltendes vernetzungsmittel
DE4134284A1 (de) * 1991-10-17 1993-04-22 Bayer Ag In wasser dispergierbare blockierte polyisocyan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5508370A (en) * 1991-10-17 1996-04-16 Bayer Aktiengesellschaft Water-dispersible blocked isocyanates,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872503E (pt) 2003-01-31
EP0872503B1 (de) 2002-09-04
DE19715416A1 (de) 1998-10-15
AU6078898A (en) 1998-10-15
TW472096B (en) 2002-01-11
KR100514532B1 (ko) 2006-03-22
JPH10306137A (ja) 1998-11-17
JP4280325B2 (ja) 2009-06-17
IL123582A (en) 2001-08-08
TR199800574A2 (xx) 1999-06-21
ATE223452T1 (de) 2002-09-15
ES2181079T3 (es) 2003-02-16
EP0872503A1 (de) 1998-10-21
ZA982989B (en) 1998-10-14
ID20149A (id) 1998-10-15
CN1196360A (zh) 1998-10-21
IL123582A0 (en) 1998-10-30
CN1098870C (zh) 2003-01-15
TR199800574A3 (tr) 1999-06-21
BR9801016A (pt) 1999-10-05
US6080830A (en) 2000-06-27
AU724928B2 (en) 2000-10-05
DE59805370D1 (de) 200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4532B1 (ko) 직물처리용의이소시아네이트와하이드록실화합물과의반응생성물및이를사용하는섬유재료의처리방법
US5112930A (en) Modified polyurethanes containing perfluoroaliphatic groups and use thereof
TWI526497B (zh) 非氟化氨基甲酸乙酯系塗層
US10308898B2 (en) Method of imparting water repellency with non-fluorinated laundry treatment compositions
JPS6124557A (ja) フルオロケミカルアロフアネート
JPH0524168B2 (ko)
US4560487A (en) Blends of fluorochemicals and fibrous substrates treated therewith
DE4134284A1 (de) In wasser dispergierbare blockierte polyisocyan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0560161A1 (de) Mittel und Verfahren zur Ausrüstung von Textilien
JPH02760A (ja) 脂肪族弗化アルコール、イソシアネートおよび置換芳香族化合物より成るウレタ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KR100618930B1 (ko) 직물 처리용 수성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80116414A1 (en) Fluorochem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a fibrous substrate
JP3276958B2 (ja) フルオロカーバメート防汚剤
US4565641A (en) Blend of fluorochemical guanidines and poly(oxyalkylenes)
EP1483441A1 (en) Aqueous composition for rendering fibrous substrates water repellent
DE2060114A1 (de) Carbaminsaeureester,die als Textilhilfsmittel geeignet sind
EP0108512B1 (en) Fluoroaliphatic radical-containing, substituted guanidines and fibrous substrates treated therewith
WO2024012662A1 (en) Extender compounds for durable water repellence
CN107592890B (zh) 赋予疏水性的化合物和含有它们的制剂及其用途
TW202402861A (zh) 用於紡織物持久拒水性之非反應性增效劑化合物
US20240034840A1 (en) Hydrophobizing agent having a permanent effect
CA2646739C (en) Hydrophilic stain release agents
US20070265412A1 (en) Extenders for fluorochemical treatment of fibrous substr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