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997A - 포장용기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용기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997A
KR19980080997A KR1019980011561A KR19980011561A KR19980080997A KR 19980080997 A KR19980080997 A KR 19980080997A KR 1019980011561 A KR1019980011561 A KR 1019980011561A KR 19980011561 A KR19980011561 A KR 19980011561A KR 19980080997 A KR19980080997 A KR 19980080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packaging container
conveyor
packaging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0265B1 (ko
Inventor
안더스데렌
랄스브란드스트롬
Original Assignee
라르스-에케포르스버그
테트라라발홀딩스앤드파이낸스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르스-에케포르스버그, 테트라라발홀딩스앤드파이낸스에스에이 filed Critical 라르스-에케포르스버그
Publication of KR1998008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2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6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movable stepwise to position container or receptacle for the reception of successive increments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1회용 음료 포장물 등을 제조하는 충전기(filling machine)에 있어서 엔들리스 컨베이어(11)에 연결된 카세트(15)에 의해 각 작업대 사이로 포장용기(1)를 이동시킨다. 각 카세트(15)에는 동작위치와 비동작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볼륨 플랩(volume flap)(17)을 가지고 있어서, 이 볼륨 플랩에 의해 동작위치에서는 카세트 일부에서의 자유면적을 감소함으로써 카세트속에 위치한 포장용기를 안정하게 유지하여 소요량의 내용물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포장용기 운반장치
본 발명은 한쪽끝이 엔들리스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카세트(cassette)를 포함하는 포장용기를 충전기(filling machine)의 작업대와 작업대 사이에서 운반하기 위한 포장용기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음식물, 특히 예컨대 우유나 쥬우스 같은 액상의 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는 종이와 플라스틱으로 된 층을 포함하고 소요의 형상으로 접어 밀봉한 포장용 라미네이트로 제조되는 일이 빈번하다. 또한, 포장용기에는 플라스틱으로 된 부재, 예컨대 끝벽(end wall) 부분 또는 구멍 부분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들 종래의 기술에 속하는 대부분에 있어서 공통적인 점은 포장용 라미네이트를 먼저 접어 슬리이브(sleeve) 또는 튜우브를 만든 다음, 각 재료를 접거나 밀봉하여 끝벽부분을 구성하거나 사출성형 등에 의해 미리 형성된 끝벽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튜우브상(tubular) 또는 슬리이브상의 미리 형성된 포장용기 블랭크(blank)로부터 시작하여 내용물이 충전되어 밀봉된 포장용기를 성형하는 기계는 유럽특허 EP 413.927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전형적인 기계에는 포장용기를 충전준비 상태로 하여 각기 상이한 작업대 사이, 예컨대 소요량의 내용물을 각각의 포장용기속에 충전하는 충전부, 충전 작업시에 개방되어 있던 각각의 포장 용기의 끝 부분을 밀봉하는 밀봉부 및 밀봉된 포장용기의 끝부분을 접어 최종 성형을 하는 최종 접기(folding)부 사이를 포장용기를 운반하는 다수의 카세트를 가진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있다.
공지의 충전기에 있어서, 예컨대 위에 나온 것과 같은 충전기에 있어서는 각각의 포장용기는 각각의 끝부분에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여 된 끝벽을 구성해 둔 플라스틱/종이 라미네이트제의 튜우브상 또는 슬리이브상 케이싱(casing)으로 되어 있다.
튜우브상의 케이싱과 끝벽 부분을 형성한 후에 포장용기를 컨베이어의 다수의 카세트중의 하나의 카세트속에 넣는데, 이때 포장용기의 위쪽 끝부분을 구성하게 되는 사출성형된 끝벽 부분은 밀봉되지 아니한 바닥끝 부분을 통해 포장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할 수 있도록 아래쪽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소요의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바닥 끝부분을 밀봉하고 최종 성형을 한 다음, 포장용기를 컨베이어로부터 이탈시켜 구멍이 구성된 위쪽 끝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위치를 잡아준다.
위와 같은 타입의 종래의 충전기에 사용된 카세트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벽면을 가진 포장용기를 단순히 삽입하고 이탈시키기 위한 것일 뿐이고 카세트의 나머지 형상은 해당 포장용기의 단면형상, 즉 원형 또는 4각형에 부합하도록 되어 있다. 포장용기 각각을 카세트에 배치할 경우 이들 용기에는 이미 한쪽 끝벽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견고한 끝벽의 칫수에 의해 카세트의 내부 자유면적은 결정되어 버려 끝벽에서 떨어져 위치한 포장용기의 케이싱 부분은 그 가요성(flexibility)으로 인하여 거의 안정성을 상실하게 된다. 이것은 특히 사출성형된 끝벽 부분이 케이싱 부분에서의 단면적 보다 약간 큰 면적을 가진 어떤 종류의 포장용기에서는 현저하게 되어, 결국에는 포장용기가 카세트내에서 고정이 불량하게 되고 카세트가 밀봉 및 최종 접기부에 도달했을 때는 확실하게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않게 되므로 밀봉작업이 불완전해지고, 또는 최종 접기작업이 실패할 우려가 많다.
밀봉된 포장용기속의 공기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출발시점에서 포장용기의 체적을 밀봉작업 도중에 적절하게 감소시키는 공지의 기술을 채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 결과, 액면이 포장체내에서 상승함과 동시에 포장체의 양쪽면이 안쪽으로 약간 찌부러지게 된다. 나중에 포장용기를 개방하여 공기를 다시 포장용기속에 들어가도록 하면 양쪽면이 밖으로 돌출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오기 때문에 액면이 다시 내려가서 내용물의 1차 주입량을 주입하기가 용이해진다. 이 기술은 용량이 적은 포장용기의 충전과 밀봉작업에 적용하기에는 보편적이고 간단하지만 밀봉 사이클 도중 각기 상이한 작업대 사이를 비교적 신속하게 이동하는 포장체에 있어서는 이러한 체적 수축을 만족스럽게 실현하기가 곤란함이 판명되었다. 공지의 기술은 각각의 카세트에 구성되면서 카세트속으로 연장되어 그 자유면적을 제한하는 다수의 스프링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스프링은 취급시 및 포장용기속에 충전된 내용물의 액압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밀봉작업시에 각 스프링의 가요성에 의해 정밀성이 감소되고 소요의 안정성과 체적수축을 확실하게 할 수 없다. 더욱이 카세트속으로 포장용기를 삽입할 때와 카세트로부터 이탈시킬 때 이들 스프링은 개방위치쪽으로 능동적으로 작용을 하여야만 하는데, 이 경우, 압축공기 작동식 조작 수단 및 관련된 전기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비교적 복잡한 고가의 조작 장치를 필요로 함이 판명되었다. 이러한 설계와 구성은 기계를 훨씬 비싸게 하며 비교적 많은 결함을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작업비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카세트내에 배치된 포장용기를 안정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유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포장용기의 밀봉작업시에 포장용기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된 카세트를 포함하는 작업대간의 포장용기의 운반 장치의 실현이 널리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운반도중 카세트속에 위치한 포장용기에 작용하여 안정화하고 포장용기를 가공하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이 없는 작동장치를 구비한 카세트를 포함해서 된 간편하고 코스트 효과적인 포장용기의 컨베이어 장치를 실현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충전기를 통해 운반도중 카세트속에 위치한 비대칭 용기를 안정화하고 포장용기의 체적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키는 작동장치를 가진 카세트를 포함해서된 신뢰성이 있는 포장용기의 컨베이어 장치를 실현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충전기에 고정 설치된 간단한 정돈 배열 수단에 의해 두 위치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축회전식으로 설치된 장치를 구비한 카세트를 포함해서 된 포장용기의 컨베이어 장치를 실현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작동식의 체적조절 장치를 구비하며 고정된 작동장치에 의해 이동하고 카세트에 영향을 주는 로킹(locking) 수단을 구비한 카세트를 포함해서된 포장용기의 컨베이어 장치를 실현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적용하고자 하는 타입의 자체 공지의 포장용기의 투시도.
도 2a는 밀봉되지 아니한 하단부를 가진 도 1의 포장용기.
도 2b 및 도 2c는 포장용기의 하단부의 밀봉 및 최종 성형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서의 충전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폐쇄위치에서의 볼륨 플랩을 가진 각각의 카세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개방위치에서의 볼륨 플랩을 가진 각각의 카세트를 나타내는 도면.
상기한 과제들은 충전기에 고정 설치된 작동장치에 의해 비동작 위치와 동작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동작위치에서는 카세트의 일부의 자유면적을 감소시키는 볼륨 플랩(volume flap)을 각 카세트에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서론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타입의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달성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비동작 위치와 동작위치 사이를 능동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위치들에서 로킹(locking)되는 볼륨 플랩을 각 카세트에 구성함으로써 카세트에서의 자유면적을 확실하게 반복하여 한정할 수 있게 되며, 카세트내에 위치한 포장용기에 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비동작 위치와 동작위치에 플랩을 이동시켜 로킹하는 작업은 충전기의 프레임내에 고정 설치된 작동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각 카세트 주위에 설치한 동작 링에 의해 각각 실시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간소화되어 종래의 장치에 비해 저렴한 코스트로 된다.
본 발명의 장치의 한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충전 및 밀봉작업시에 취급하고자 하는 종류의 종래의 포장용기의 투시도이다.
포장용기(1)는 예컨대 플라스틱, 종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알루미늄박(箔)으로 구성된 적층재로 된 케이싱(2)을 가지고 있다. 그 바닥끝에는(도 2a), 케이싱(2)에 주름선을 주어 형성되는 바닥패널(4)이 다수 구성되어 있으며, 그 기하학적 형상은 함께 접어 가열밀봉(thermosealing)함으로써 포장용기로부터 액이 누설되지 않게 액밀성(液密性 : liquid-tight) 바닥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케이싱(2)의 바닥끝 부분에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바닥을 함께 밀봉하기 위한 다수의 밀봉패널(5)이 있다.
도 1에 나온 포장용기(1)는 그 위쪽 끝 부분에 케이싱(2)의 위쪽끝에서 사출성형되어 액밀식으로 접합되어 있는 끝벽부분(6)을 가진다. 이 끝벽부분(6)은 예컨대 케이싱(2)의 위쪽에 미리 성형된 끝벽을 구성하는 기타 적절한 방법으로 제조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이 끝벽부분(6)에는 돌출 당김고리(pull ring)(8)를 가진 구멍(7)을 가지고 있어, 이 구멍(7)을 개방하여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부어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장용기의 바닥(3)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인 반면, 포장용기의 위쪽끝에 위치한 끝벽부분(6)은 견고한 둥근 모서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포장용기의 위쪽끝은 포장용기의 바닥끝 보다 약간 큰 단면적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비대칭으로 인하여 포장용기의 취급과 운송에 어떠한 어려움이 생기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는 것도 그 한가지 과제이다.
도 1에 나온 포장용기는 도 2에서 꺼꾸로 뒤집어진 형태로 되어 있고, 포장용기내에 소요의 내용물을 충전하여 밀봉할 경우에 있어서 포장용기가 자리잡게 되는 위치에서 바닥이 밀봉되지 아니한 위치로 되어 있다. 충전작업 완료후, 바닥패널(4)을 자체공지의 방법으로 함께 접어 밀봉 패널(5)이 서로간에 대해 맞물리게 하여 가열밀봉함으로써 포장용기의 바닥(3)에서 연장되는 밀봉 핀(sealing fin)(9)(도 2b)을 형성한다. 포장용기(1)를 제조하게 되는 포장용 적층물(laminate)은 열가소성 재료로 된 바깥층을 구성하기 때문에 가열, 압축에 의해 가열 밀봉작업을 하여도 좋으나, 기타의 방법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하학적 형태로 인하여 바닥 패널(4)을 함께 접어 바닥(3)으로부터 돌출하는 서로 마주보는 3각형상의 평편한 모서리 플랩(10)을 형성하고, 바닥(3)을 밀봉하여 밀봉 핀(9)을 평편하게 가공한후의 이들 모서리 플랩을 바닥(3)의 중앙쪽을 향해 접어 인접한 바닥 패널에다 접착 밀봉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평면의 직사각형의 포장용기 바닥(3)을 형성한다(도 2c). 이러한 최종 접기작업 또는 최종 성형작업이 끝나면 포장용기속을 충전하여 액밀상태로 밀봉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수송 및 판매준비가 완료된다.
도 3은 예컨대 위에 나온 타입의 포장용기(1)를 제조하기 위한 자체공지의 충전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타입의 충전기는 예컨대 유럽특허 EP 413.927에 기재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인용하여 충전기의 나머지 부분들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포장용기를 취급할 때 사용되는데, 이 충전기의 나머지 구성부분에 의해 도 2a에 나온 형태가 부여되며,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의해 포장용기를 충전기에 운반하여 충전하고 끝부분을 밀봉한후 최후로 성형함으로써 출하 및 배달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일정간격을 둔 벤딩 로울러(bending roller)(12) 사이에서 주구동수단(도면에 도시 않았음)에 의해 왕복부(reciprocating part)에서 단계적으로 전진 이동하는 엔들리스 컨베이어(11)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로울러는 충전기의 프레임(13)속에 회전식으로 장치되어 있으며, 물론 나머지 부분들도 직간접적으로 이 프레임에 접속되어 있다. 컨베이어(11)의 컨베이어 체인에는 서로 연결된 다수의 앵커(anchor)(14)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 앵커부재 각각은 포장용기(1)를 수용하기 위한 카세트(15)를 지지하고 있다. 이들 앵커(14)와 카세트(15)는 레일을 따라 변위가 가능하며, 주구동수단(도면에 도시 않았음)에 의해 컨베이어는 일정시간 마다 두개의 서로 인접한 카세트(15) 사이의 거리에 상응한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카세트(15)의 높이는 케이싱(2)의 높이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데, 즉 카세트속에 설치한 후에는 포장용기(1)의 바닥패널(4)과 밀봉패널(5)은 카세트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바닥(3)의 접기작업과 밀봉작업을 할 수 있는 필수조건을 충족하게 된다.
각 카세트의 한쪽끝에는 카세트(15)를 둘러싼 동작 링(18)에 의해 동작 위치, 즉 폐쇄위치(도 4a)와 비동작 위치, 즉 개방위치(도 4b) 사이를 이동하는 두 개의 볼륨 플랩(17)을 가지고 있다. 이들 볼륨 플랩(17)은 카세트(15)의 슬롯(slot)속에서 선회식으로 지지되어 일부는 이 슬롯(도면에서는 도시 없음)을 통해 동작위치에서 연장되므로 카세트(15)의 자유공간(free space) 또는 단면적이 제한된다. 볼륨 플랩(17)의 이들 두가지 위치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동작 링(18)과 협동하여 작용하는 리세스(recess)(19, 20)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동작 링은 예컨대 그 위쪽위치에 있게 되면 볼륨 플랩(17)의 위쪽 리세스(19)와 협동하여 작용하며, 동작 링의 동작위치를 한정할 뿐만 아니라 카세트(15)의 속으로부터의 가능한 작용에 의해 볼륨 플랩(17)을 비동작 위치쪽으로 변위하지 못하게 한다. 상응한 방식으로 동작 링(18)이 아래쪽으로 변위하면 볼륨 플랩(17)을 개방위치쪽으로 동작시키고, 그 이동 종점에서 볼륨 플랩(17)의 아래쪽 끝에 위치한 리세스(20)와 접합한다. 따라서 동작 링(18)은 로킹 장치로서도 작용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11)는 도면의 오른쪽으로 단계적으로 변위하도록 배치된 윗부분을 가지고 있다. 컨베이어(11)의 왼쪽에는 포장용기(1)의 공급부(21)가 있다. 이 공급부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위쪽 끝벽 부분(6)이 먼저 카세트(15)에 삽입된 포장용기(1)를 공급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또는 벨트로 구성해도 좋다. 컨베이어(11)의 위쪽 끝에는 먼저(컨베이어의 시계 방향으로의 이동 방향에서 보아) 충전부(22)가 있는데, 이 충전부(22)는 카세트(15)속에 위치한 포장용기 각각에 소요량의 내용물을 공급하는 충전기 노즐(23)을 가지고 있다. 이어서 컨베이어(11)의 윗부분을 따라 작동장치(24)가 있는데, 이 작동장치(24)는 카세트(15)의 동작 링(18)과 협동하여 아래 위치(도 4b)로부터 위쪽위치(도 4a)로 동작 링(18)을 변위시키기 위한 가이드(25)가 컨베이어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즉,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작 링(18)은 카세트(15)가 작동장치(24)를 통과하게 되면 동작 링(18)은 점차로 올라가서 가이드(25)와 접촉하게 된다.
작동장치(24)에 이어서 프레임(13)에 마찬가지로 설치된 밀폐부(26)가 있는데, 이 밀폐부(26)는 한편으로는 포장용기의 바닥패널(4)을 함께 접는 접기장치(27)와, 다른 한편으로는 포장용기의 가로방향 밀봉 핀(sealing fin)(9)를 밀봉하는 밀봉장치(28)를 가지고 있다. 접기장치(27)와 밀봉장치(28)는 자체 공지의 타입이어도 좋은데, 예컨대 앞서 나온 바 있는 유럽 특허 명세서에 나와 있는 타입이어도 좋다.
밀폐부(26)에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컨베이어(11)의 오른쪽 벤딩 로울러(12) 주위에 있는 카세트의 위쪽 끝 밖으로 약간의 거리를 두고 연장되는 접기 레일(folding rail)(2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접기 레일은 모서리 플랩(10)과 맞물려 작용하는 것이며, 접기 레일(29)의 일부를 따라 자체 공지의 가열장치(30) 및 압축장치(31)가 구성되어 있고, 이들에 의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포장용기(1)의 끝부분 밀폐를 실현할 수 있다. 가열장치(30)는 열풍 타입이 바람직하며 포장용기의 바닥 패널 또는 모서리 플랩(10)의 소요의 부분쪽으로 열풍을 보내서 가열하도록 하는 노즐을 가지고 있다. 압축장치(31)는 왕복형의 것으로서 여기에는 모서리 플랩(10)을 밀폐위치(도 2c)로 되게 작용하는 플랩을 가지고 있다. 압축장치(31)에 바로 계속하여 상기한 가이드(25)에 상응하지만 반대편으로 경사진 가이드(33)가 있는 작동장치(32)가 추가로 고정설치되어 있어, 카세트(15)의 동작 링(18)과 접촉하면 링을 카세트의 바깥쪽 끝으로부터 앵커부재(14)쪽 방향으로 변위시키는데, 즉 동작위치로부터 비동작위치쪽으로 볼륨 플랩(17)을 선회시키도록 되어 있다.
작동장치(32)에 바로 이어서 공급부(21)와 유사하게 설계된 배출부(34)가 마지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배출부(34)에는 예컨대 충전되고 밀봉된 포장용기(1)를 컨베이어(11)의 카세트(15)로부터 이탈시켜 배출하기 위한 가이드 또는 벨트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동작하면 도 2a에 나온 포장용기 블랭크가 공급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자체 공지의 충전기의 일부로서 포함되어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한 이 충전기의 각 부분들은 자체 공지의 방법으로 종이/플라스틱 적층재로 된 평평한 블랭크로부터 튜우브 형상으로 접어지고 사출성형에 의하여 포장용기의 위쪽 끝벽 부분(6)이 형성된 포장용기(1)를 들어올려 제조한다. 이어서 먼저 공급부(21)를 통해 포장용기(1)에 사출형성된 위쪽 끝벽부분(6)을 공급하여 공급부(21)와 맞물려 위치한 카세트(15)에다 순간적으로 공급한다. 카세트의 두개의 볼륨 플랩(17)은 이 경우에 있어서 개방위치에 있으므로 그 어떤 부분도 카세트(15) 내부로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카세트의 자유 면적은 카세트(15)의 전체 높이를 통해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데, 이것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끝벽부분(6)이 포장용기의 나머지 부분 보다(특히 포장용기(1)의 바닥끝과 비교하여) 약간 큰 면적(단면적)을 가지므로 포장용기(1)의 끝벽부분(6)을 볼륨 플랩(17)을 통과시킬 수 있는 선행조건이 된다. 끝벽부분(6)을 가진 포장용기가 카세트의 바닥에 닿으면 컨베이어(11)를 한 단계 전진시켜 그 다음의 빈 카세트(15)에다 후속하는 포장용기(1)를 채운다.
다수의 전진이동 단계를 거쳐 포장용기가 수용된 카세트(15)를 공급부(21)로부터 충전부(22)로 이동시키면 자체 공지의 방법으로 순서에 따라 동작하여 노즐(23)을 통해 해당 포장용기속으로 소요량의 내용물을 충전하게 된다. 충전이 완료되면 다시 포장용기는 도 3의 오른쪽으로 단계적인 이동을 하고, 이때 카세트(15)는 작동장치(24)를 통과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이드(25)는 적당한 슬라이딩 면을 가진 동작 링(18)과 접촉하게 되고, 계속되는 카세트(15)의 변위에 따라 동작 링은 점진적으로 그 아래위치로부터 그 위쪽위치로 이동한다. 다시 말하자면 동작 링(18)은 볼륨 플랩(17)의 작용을 받아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점진적으로, 즉 도 4b의 위치로부터 도 4a의 위치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볼륨 플랩(17)이 안쪽으로 선회함으로써 동작위치에서는 부분적으로 플랩 슬롭(flap slot)속을 통해 연장되어 들어가서 카세트내에 위치한 포장용기(1)의 케이싱과 접하게 되며, 이때 케이싱은 부분적으로 압축되어 포장용기내의 액면이 약간 상승함과 동시에 케이싱(2)의 바닥끝 부분이 안정하게 되고 다소 위축된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동작 링(13)과 볼륨 플랩의 위쪽 리세스(19)가 접합함에 따라 볼륨 플랩(17)은 동작 위치에서 로킹(locking)되기 때문에 볼륨 플랩(17)은 동작위치에 있게 된다.
더욱이 컨베이어(11)의 이동에 따라 해당 카세트(15)를 밀폐부(26)에 위치하도록 하면 카세트 밖으로 돌출하는 포장용기(1)의 각 부분들(바닥패널(4) 및 밀봉패널(5))은 접기 장치(27)에 의해 작용을 받아 도 2b에 나온 위치쪽으로 함께 접어진후 밀봉장치(28)가 작동함으로써 열가소성의 밀봉성을 이용하여 밀봉핀(9)에서의 밀봉패널(5)을 서로 접합하여 액밀(liquid-tight)상태로 서로 밀봉을 한다. 이러한 작업은 초음파 밀봉 처리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후에는 포장용기를 도 2b에 나온 위치에서, 밀폐부(26)로부터 다시 방출하여 공급하는데, 즉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모서리 플랩(10)이 측방향으로 돌출한 포장용기를 방출하는 것이다. 포장용기를 계속하여 이동시키면 접기 레일(29)로 모서리 플랩(10)을 물어 이 모서리 플랩을 점차로 위쪽으로 접음으로써 포장용기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게 한다. 가열장치(30)를 사용하여 모서리 플랩속으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여기에 위치한 열가소성층을 연화하고, 접기 레일(29)에서 추가로 접기 작업을 한후, 자체공지의 방법으로 압축 장치(31)로 포장용기의 바닥에 대해 모서리 플랩을 압축하여 밀어 붙여 밀봉함으로써 모서리 플랩을 밀봉하여 포장용기의 기타의 바닥 패널(4)에다 밀봉접착한다.
최종 접기처리 또는 최종 성형처리가 완료되면 해당 포장용기(1)를 배출부(34)쪽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때, 압축장치(31)와 배출부(34) 사이에 위치한 가이드(33)는 가이드(25)의 경우에 상응한 방식으로 동작 링(18)과 접하여 이 동작 링(18)을 카세트(15)를 따라 축 방향으로, 그러나 반대방향으로, 즉 도 4a의 동작위치로부터 도 4b의 비동작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볼륨 플랩(17)은 개방위치에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볼륨 플랩(17)은 카세트(15)에서의 플랩 슬롯으로부터 이동함으로써 카세트의 면적은 카세트 전체 높이를 통해 균일한 사이즈로 되므로 배출부(34)는 카세트로부터 완성된 포장용기를 이탈시켜 한무리의 포장체(멀티팩 : multipack)로 하여 운송준비 또는 배달준비를 완료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빈 카세트(15)는 다시 컨베이어(11)의 아래쪽 순환부를 따라 공급부(21)로 이동함으로써 작업 사이클을 반복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륨플랩(17)이 카세트의 자유 면적속으로 연장되어 이 자유면적을 제한하게 된다는 것은 밀봉 및 최종 성형 도중에 포장용기가 안정될 뿐만 아니라 바닥 밀봉작업과 관련하여 필수적인 포장용기내의 액면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포장용기내에 함입된 공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이론적으로 가능한 양보다 적은 양의 내용물을 포장용기에 충전하고, 포장용기를 닫아 밀봉한 후에는 포장용기의 가요성 벽면이 안쪽으로 약간 들어가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가 이 포장용기를 개방하면 공기가 들어가서 액면이 내려가게 되고, 포장용기의 벽면은 다시 밖으로 불거져 나오게 되므로 소비자가 내용물을 쉽사리 부을 수 있게 된다. 포장용기내에 함입된 공기가 어떤 제품종류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포장용기내의 공기량을 감소시킨다는 것은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종래의 유사한 장치에 비하여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설계와 구성이 상당히 간편하므로 장치의 기능상 신뢰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종래에 가능하였던 것보다 상당히 저렴한 코스트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8)

  1. 엔들리스 컨베이어(11)에 연결된 다수의 카세트(15)를 가지며, 충전기에서의 각 작업부(21, 22, 26, 34) 사이에서 포장용기(1)를 운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 카세트(15)에는 충전기에 고정 설치된 작동장치(24, 32)에 의해 비동작 위치와 동작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동작위치에서는 카세트(15)의 일부의 자유면적을 감소시키는 볼륨 플랩(1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볼륨 플랩(17)은 카세트(15)의 리세스에서 선회식으로 설치되며, 볼륨 플랩의 일부가 동작위치에서는 이 리세스를 통해 연장되어 카세트내의 자유공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세트(15)는 하나 이상의 볼륨 플랩(1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카세트를 둘러싼 동작 링(18)은 동작위치와 비동작 위치 사이에서 볼륨 플랩(17)을 동작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24, 32)는, 컨베이어(11)의 일부를 따라 연장, 설치되어 컨베이어 이동시에 하부의 비동작 위치로부터 상부의 동작위치로 동작 링(18)을 이동시키는 1차 가이드(2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베이어(11)는 포장용기(1)를 카세트(15)속에 공급하는 공급부(21), 포장용기속을 채우는 충전부(22), 포장용기의 끝부분을 닫아 밀봉하는 밀폐부(26), 및 충전되고 밀봉된 포장용기를 카세트로부터 배출하는 배출부(34) 사이에서 포장용기(1)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볼륨 플랩(17)의 작동장치(1)가 공급부(21)와 끝부분 밀폐, 밀봉부(26)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작위치로부터 비동작 위치로 볼륨 플랩(17)을 이동시키는 2차 작동장치(32)가 끝부분 밀폐, 밀봉부(26)와 배출부(34) 사이의 컨베이어(34)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011561A 1997-04-02 1998-04-02 포장용기운반장치 KR100340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1196A SE509132C2 (sv) 1997-04-02 1997-04-02 Anordning för transport av förpackningsbehållare
SE9701196-9 1997-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997A true KR19980080997A (ko) 1998-11-25
KR100340265B1 KR100340265B1 (ko) 2002-10-25

Family

ID=2040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561A KR100340265B1 (ko) 1997-04-02 1998-04-02 포장용기운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84243B1 (ko)
JP (1) JPH10278903A (ko)
KR (1) KR100340265B1 (ko)
AT (1) ATE221490T1 (ko)
DE (1) DE69806858T2 (ko)
SE (1) SE50913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11750A1 (it) * 2001-08-09 2003-02-09 Goglio Spa Luigi Milano Sistema di trasporto di confezioni flessibili
JP2005219812A (ja) * 2004-01-09 2005-08-18 Nihon Tetra Pak Kk 包装充填機及び包装充填システム
ITMI20051608A1 (it) * 2005-08-29 2007-02-28 Ct Pack Srl Apparecchiatura e metodo di confezionamento di pacchetti di prodotti in sacchetti
CN105692145B (zh) * 2016-01-28 2017-11-03 广州市铭慧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灌装机的排包机构
CN116513716B (zh) * 2023-06-21 2024-01-30 江苏盛泰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矿山输送机用的耐磨衬板机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87178B (de) * 1963-05-09 1965-02-11 Holstein & Kappert Maschf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Quaderpackungen
US3488915A (en) * 1966-09-15 1970-01-13 Fmc Corp Package filling and sealing systems
IT988119B (it) * 1973-02-13 1975-04-10 Dominici Antonio Dispositivo automatico di formatu ra trasporto e scarico di conteni tori di imballaggio
DE2410101A1 (de) * 1974-03-02 1975-09-18 Altstaedter Verpack Vertrieb Vorrichtung zum ausformen von packungen
DE2942117A1 (de) * 1979-10-18 1981-04-30 Altstädter Verpackungs Vertriebs GmbH, 6102 Pfungstadt Vorrichtung zum ausformen von fluessigkeitspackungen
DE3927199A1 (de) * 1989-08-17 1991-02-21 Tetra Pak Gmb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fliessmittelpack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84243B1 (en) 2002-07-31
SE509132C2 (sv) 1998-12-07
SE9701196D0 (sv) 1997-04-02
KR100340265B1 (ko) 2002-10-25
DE69806858D1 (de) 2002-09-05
JPH10278903A (ja) 1998-10-20
EP0884243A1 (en) 1998-12-16
ATE221490T1 (de) 2002-08-15
DE69806858T2 (de) 2002-11-14
SE9701196L (sv) 1998-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9745B2 (en) Flat-top container with an opening fitment
CN103635390B (zh) 物品操作单元的,特别是制造可倾倒食品包装体的折叠单元的运送器
JP6143017B2 (ja) 注入可能食品包装装置のための折り畳みユニット
US59438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top of a container with a fitment thereon
US58679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top of a container
KR20130062878A (ko) 파우치 타입 음료 용기를 패킹하는 카톤, 패킹을 폐쇄하는 기계 및 패킹을 폐쇄하는 방법
US58292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top of a container
EP3015372B1 (en) Packaging and filling device
JPH0311961B2 (ko)
CN102648130B (zh) 改进容器折叠的装置和方法
KR100340265B1 (ko) 포장용기운반장치
JPH07149342A (ja) パッケージ用カートンケース
US6484479B1 (en) Form, fill and seal apparatus with cavity bar
HU212397B (en) Apparatus for filling and closing packages for packing liquids
FI88139B (fi) Metod och anordning foer att lyfta tillplattade roerformiga aemnen
JP5981242B2 (ja) ケース組立装置
JP2001335011A (ja) 液体包装用紙製容器製函充填機における注出口栓取付装置
KR200210269Y1 (ko) 진공 포장지
KR0183144B1 (ko) 포장기와 그 포장기로 부터 생산된 비닐용기
CN108602576A (zh) 用于形成包装为成品包装盒的成形装置和方法、用于形成可倾倒食品的密封包装盒的折叠单元以及一种包装盒
JP3291194B2 (ja) 包装装置
JP2002264901A (ja) ロータリー式液体充填包装機
JPS601181B2 (ja) プラスチック製内容物封入容器の製造装置
JPH08582B2 (ja) 二個の積み重ね袋群を単一の包装装置の単一の包装位置に供給する装置
JPS5815305B2 (ja) バックインボック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