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892A -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892A
KR19980080892A KR1019980011115A KR19980011115A KR19980080892A KR 19980080892 A KR19980080892 A KR 19980080892A KR 1019980011115 A KR1019980011115 A KR 1019980011115A KR 19980011115 A KR19980011115 A KR 19980011115A KR 19980080892 A KR19980080892 A KR 19980080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olor component
gain
flesh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라다시게루
가기타쥰지
Original Assignee
이데이노부유키
소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노부유키, 소니(주) filed Critical 이데이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80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89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Processing image signals for colour aspects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7Synchronising or controll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3Hue control means, e.g. flesh ton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75Constructional details of television projection apparatus
    • H04N5/7491Constructional details of television projection apparatus of head mounted proj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색강도에 의한 콘트라스트 향상을 행한 후에 보이는 것에 대하여 원화감을 제공하지 않도록 한다.
회로(14)로부터 출력된 신호 Y 가 회로(17, 18)에 공급된다. 신호 R-Y, B-Y 가 GCA(16)를 통하여 회로(17)에 공급되는 동시에 회로(18)에 공급된다. 회로(18)에서 신호 Y, R-Y, B-Y 가 3원색 신호 R, G, B 로 변환된다. 신호 R, G, B 는 회로(19)에서 살색 성분을 검출하여, Eskin이 출력된다. Eskin에 기초하여 회로(20)에서 살색 이외의 색 성분이 검출되어 Eother이 출력된다. Eother- Eskin이 제어 전압으로 GCA(16)에 공급되고, R-Y, B-Y 에 대한 이득이 제어된다. 영상 신호가 살색 성분이면 제어 전압이 0 으로 되고, 이득이 1 로 된다. 영상 신호가 살색 성분 이외이면 Eother이 발생하여 제어 전압이 상승하고 이득이 강조된다. 살색 이외의 색을 강조하여 보다 자연스럽게 색 콘트라스트가 강조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대해서 영출시키는 비디오 모니터에서는 입력된 컴포넌트 비디오 신호에 대해서 Y/C 분리 처리를 하므로서 휘도 신호 Y 및 색차 신호 R-Y 및 B-Y 로 형성되는 컴포넌트 비디오 신호를 얻는다. 그래서 컴포넌트 비디오 신호를 매트릭스 처리하므로서 R(적색), G(녹색), B(청색) 각 색의 신호를 얻어 얻어진 이들 R, G, B 신호에 대해서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CRT 나 LCD(액정 디스플레이)등의 표시 소자에 대해서 영상을 영출시킨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보다 선명한 영상을 얻으려는 경우 예를들자면 R, G, B 각 신호의 이득을 올려 칼러를 강조하므로서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색에는 심리적으로 특별한 의미를 갖인 것이 존재한다. 그와 같은 색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살색이 있다. 이 살색은 기억색이라 칭하고 인간이 태어날때부터 갖는 기억에 인식되어 있는 색이다. 그 때문에 예를들자면 살색을 구성하는 R G B 각 색의 밸런스가 미묘하게 어긋나는 것만으로 보는 사람은 위화감을 느껴버린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R, G, B 각 신호의 이득을 올려서 칼러 강조를 하므로서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도모한 경우 기억색인 살색에 대해서도 칼러 이득이 올라버려 부자연스런 색으로 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그때문에 종래는 통상의 설정치 이상으로 칼러 이득을 높이는 것은 행해지지 않아서 칼러 강조에 의한 큰 콘트라스트의 향상은 바라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칼러 강조에 의해 콘트라스트 향상을 행한 때에 보는 사람에 대해서 위화감을 갖는 일이 없도록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상 신호가 입력되고 표시 장치에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영상 신호의 살색 성분을 검출하는 살색 성분 검출 수단과 영상 신호의 살색 성분 이외의 다른 색 성분을 검출하는 다른 색 성분 검출 수단과 살색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와 다른 색 성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 영상 신호의 색 성분에 대한 이득을 제어하는 색 성분 제어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상 신호가 입력되고 표시 장치에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영상 신호의 살색 성분을 검출하는 살색 성분 검출의 스텝과 영상 신호의 살색 성분외의 다른 색 성분을 검출하는 다른 색 성분 검출의 스텝과 살색 검출수단의 검출 결과와 다른 색 성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 영상 신호의 색 성분에 대한 이득을 제어하는 색 성분 제어의 단계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신호의 살색 성분과 다른 색 성분을 검출하여 검출된 결과에 의거해 영상 신호의 색 성분에 대한 이득이 제어된다. 그때문에 살색의 영역과 다른 색의 영역으로 영상 신호의 색 성분에 대한 이득을 다르게 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텔레비젼 수상기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 는 GCA 의 이득이 증감되는 영역의 한 예를 x-y 색도 도면 위치에서 나타낸 도면.
도 3 은 전압 E skin 및 전압 E other 의 생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도 4 는 전압 E skin 및 전압 E other 의 생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도 5 는 진출색 및 후퇴색을 강조하는 경우의 색 성분 검출 회로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은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장치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좌측 눈 사용 및 우측 눈 사용의 영상 신호를 각각 공급하고 입체적인 표시를 하는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시킨 예.
도 7 은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장치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좌측 눈용 및 우측 눈용의 영상 신호를 쉬켄샬에 공급하여 입체적인 표시를 하는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시킨 예.
도 8 은 필드 배속 회로에 의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GCA 17, 17L, 17R : 매트릭스 회로
18, 18L, 18R : 매트릭스 회로 19, 19L, 19R : 살색 검출 회로
20, 20L, 20R : 색성분 검출 회로 21, 21L, 21R : 감산기
51 : 필드 배속 회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영상 신호중의 특정한 각 성분 예를들자면 살색 성분을 검출하여 검출된 색 성분에 의거해 다른 색의 이득을 제어하므로서 보다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텔레비젼 수상기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한다. 안테나(11) 및 튜너(12)에 의해 희망하는 채널의 텔레비젼 신호가 수신된다. 텔레비젼 방송 신호는 영상 신호 소스의 한 예로서 아나로그 위성방성, 디지탈 방송, 디스크, 테이프 등의 매체를 사용한 영상 신호 재생 장치에서 영상 신호를 얻도록 해도 된다.
튜너(12)의 출력이 VIF 회로(13)에 의해 복합 텔레비젼 신호로 변환된다. VIF 회로(13)의 출력이 Y/C 분리 회로(14)에 공급되고 휘도신호 Y 및 색신호(반송색 신호) C 가 분리된다. 휘도 신호 Y 가 매트릭스 회로(17)에 공급된다. 색 신호 C 가 색 복조 회로(15)에 공급되어 색이 복조된다. 색 복조회로(15)로부터의 2 개의 색차 신호 R-Y, B-Y 가 이득ㆍ제어ㆍ증폭기(GCA)(16)를 거쳐서 매트릭스 회로(17)에 공급된다. GCA(16)는 소정의 제어전압에 의거해 이득이 제어되어 공급된 색차 신호 R-Y, B-Y 의 레벨을 변화시킨다.
매트릭스 회로(17)에 의해 3 원색 신호 R, G, B 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신호 처리는 주지의 텔레비젼 수신기와 같다. 또 간단히 하기 위해 음성 신호 처리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있다. 매트릭스 회로(17)에서 형성된 3 원색 신호 R, G, B 는 전치증폭기(22)에서 예를들자면 γ보정이란 소정의 처리가 행해지고 도시되지 아니한 CRT 구동 회로에 공급되어 CRT(23)가 구동되어 영상이 CRT(23)에 대해서 영출된다.
그런데 휘도 신호 Y 및 색차 신호 R-Y, B-Y 는 매트릭스 회로(18)에도 공급된다. 이 매트릭스 회로(18)는 상술한 매트릭스 회로(17)와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어서 공급된 신호 Y 및 신호 R-Y, B-Y 에서 3 원색 신호 R, G, B 를 형성한다.
매트릭스 회로(18)에서 출력된 3 원색 신호 R, G, B 는 살색 검출 회로(19)에 공급됨과 동시에 색 성분 검출회로(20)에 공급된다. 살색 검출 회로(19)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공급된 3 원색 신호 R, G, B 가 살색 성분인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되나, 3 원색 신호 R, G,B 가 소정의 비율인 때, 그 신호 R, G, B 가 표시하는 색이 살색으로 되고 신호 R, G, B 가 살색 성분으로 된다. 검출된 살색 성분은 예를들자면 전압으로 변환되어 전압 Eskin으로 되어 출력된다. 즉 살색 성분인가 아닌가는 신호 R, G, B 의 비율에 의존하여 절대값에는 미치지 아니하기 때문에 보다 어두운 살색인 경우에는 전압 Eskin의 값도 낮아진다. 이 전압 Eskin은 감산기(21)의 한편의 입력단에 공급됨과 동시에 색성분 검출 회로(20)에 공급된다.
색 성분 검출 회로(20)는 3 원색 신호 R, G, B 및 전압 Eskin에 의거해 살색 성분 이외의 다른색 성분을 검출한다. 검출된 다른 색 성분은 예를 들자면 전압으로 변환되어 전압 Eother으로 되어 출력된다. 검출을 하는 영역이 살색 성분인 경우에는 이 전압 Eother은 0 으로 되고, 살색 성분과는 다른색 성분인 경우에는 그 정도에 따라 전압 Eother이 발생한다. 전압 Eother은 감산기(21)의 다른편의 입력단에 공급된다.
감산기(21)에서는 전압 Eother에서 전압 Eskin이 감해진다. 이 감산 결과는 제어 전압으로서 GCA(16)에 공급된다. 검출이 행해진 영역의 색이 살색 성분인 경우에는 전압 Eother이 0 으로 되고 감산 결과는 전압(-Eskin)으로 된다. 한편, 검출 영역이 살색 이외의 색 성분인 경우에는 전압 Eother이 발생하여 감산기(21)에 의한 감산 결과가 전압 Eskin만의 경우에 비해 높은 값으로 된다. GCA(16)의 이득은 이 감산 결과에 의해 얻어지는 전압에 의해 변화된다. 즉, 감산 결과가 전압 Eskin인 경우에 이득은 1 로 되며, 전압 Eskin이상이면 전압값에 따라 이득을 증강한다.
도 2 는 x-y 색도 도면 위에서의 GCA(16)의 이득이 증강되는 영역의 한 예를 도시한다. 도면중에 살색으로 도시된 영역에서 이득은 1 로 된다. 검출된 색 성분이 이 살색 영역에서 색도 도면 위에서 분리됨에 따라 이득은 증강된다. 이 경우, 이득은 1 에서 1.5까지 증강된다. 또한, 이득의 증강 정도는 색도 도면 위에서 살색 영역에서 멀어질때의 방향에 의해 다르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화상중 살색과 검출된 영역에서는 칼러 이득이 1 로 되고 살색 영역 이외에서는 전압 Eother의 전압값에 의거해 칼러 이득이 상승된다. 그때문에 화상중에서 살색으로 검출된 영역 이외에서 칼러 이득을 상승시킬 수가 있고 그에 따라 살색의 영역 이외에서 칼러 콘트라스트를 강조할 수가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전압 Eskin및 전압 Eother의 생성 방법에 대해서 도 3 및 도 4 를 사용해서 설명을 한다. 임의의 색은 3 원색을 구성하는 R(적색), G(녹색), B(청색) 각각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예를들자면 3 원색의 각각의 신호로 형성되는 영상 신호에 있어서는 R, G, B 의 각각에 대응하는 전압 ER, EG, EB의 값에 따라 색의 결정이 행해진다.
한편 R, G, B 각 색이 어떤 특정한 관계에 있는 경우에 그 색이 살색으로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들자면 R, G, B 각색의 비율이 1.64 : 1.51 : 1 인 때 그 색이 살색으로 된다. 다른 예에서는 R : G : B 이 1.43 : 1 : 1 인 때 그 색이 살색이 된다. 여기에서는 R : G : B = 1.64 : 1.51 : 1 를 살색으로 정의한다. 즉 영상 신호에 있어서는 전압 ER, EG, EB의 비가 1.64 : 1.51 : 1 인 때에 영출되는 색이 살색으로 느껴진다.
여기에서 보는 법을 바꾸어서 임의의 색이 살색 성분과 그 밖의 색 성분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살색 성분을 Cskin로 하고 그밖의 색 성분을 Cother1및 Cother2로 하면, 임의의 색 R, G, B 에서 살색 성분에 의거한 색 Cskin, Cother1, Cother2로의 변환이 성립한다. 이것을 영상 신호에 맞춘 경우 살색 성분의 전압을 Eskin로 하고 그밖의 색 성분의 전압을 Eother1, Eother2로 하면 임의의 색에 대응하는 전압 ER, EG, EB을 살색 성분에 의거한 전압 Eskin, Eother1, Eother2으로 변환딜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살색 성분은 살색 검출 회로(19)에서 구해진다. 살색 검출 회로(19)는 예를들면 아나로그 연산기로 형성되고, 살색 성분의 검출은 예를자면 다음과 같이 된다. 살색 때의 각 색의 전압 ER, EG, EB을, KR, KG, KB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살색 성분의 R : G : B 의 비율이 1.64 : 1.51 : 1 로 되어 있기 때문에, KRKGKB로 된다. 이때문에, 진폭이 최소로되는 KB 로 정규화하여 KR: KG: KB= KR': KG': 1 로 한다.
이 KR', KG'에서 ER, EG, EB를 정규화하여 ER', EG', EB'라 하면
ER'= ER/KR'
EG'= EG/KG'
EB'= EB
로 된다. 즉 살색인때 ER': EG': EB'= 1 : 1 : 1 로 된다. 도 3 은 도면의 좌측에 도시된 살색의 3 원색 신호 ER, EG, EB를, KR', KG'로 정규화해서 ER', EG', EB'로 한 예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임의의 색을 살색에 대해서 R, G, B 각 색의 비율 KR', KG', KB'(=1)로 정규화하여 얻어진 값중 최소값을 살색 성분으로 한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색 성분에 대응하는 전압값 Eskin는, Eskin= min(ER': EG': EB')로서 구한다. 대상으로 되는 색이 살색인 경우에는 상기 도 3 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kin= ER'= EG'= EB'로 된다.
또, 살색 이외의 다른 색 성분은 색성분 검출 회로(20)에서 구해진다. 색성분 검출 회로(20)는, 예를들면 아나로그 연산기로 형성되고, 살색 이외의 다른 색 성분의 검출은 ER', EG', EB'각각에서 Eskin를 감하고 감산 결과를 각각 더해 합치므로서 행해진다. 즉, 다른 색성분에 대응하는 전압 Eother은, Eother= ER'+ EG'+ EB'- 3min(ER', EG', EB')로서 구해진다.
또한, 아래에서는「살색 성분에 대응하는 전압값 Eskin」을 「살색 성분 Eskin」으로, 「다른 색 성분에 대응하는 전압값 Eother」을 「다른 색 성분 Eother」으로 칭한다.
도 4 는 실제의 색에 있어서 살색 성분 Eskin및 다른색 성분 Eother과의 예를 도시한다. 도 4a 는 백색의 예이고 도 4a 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ER, EG, EB은 서로 같다. 이 백색을 KR', KG', KB'에서 정규화하면 도 4a 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ER'이 가장 작아진다. 이때 살색 성분 Eskin및 다른 색 성분 Eother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먼저 정규화 후에 최소의 값으로 되는 성분이 살색 성분 Eskin으로 된다. 이 도 4a 의 예에서는 ER' 이 살색 성분 Eskin으로 된다. 또, 정규화 후의 다른 성분 EG'및 EB'의 각각에서 살색 성분 Eskin이 감해지고 다른 성분 EG'및 EB'가 Eother1: 및 Eother2로 변환된다. 즉, Eother1= EG'-min(ER', EG', EB') 및 Eother2= EB'-min(ER', EG', EB')로 변환된다. 이들에 의거해서 다른 색 성분 Eother은 Eother= Eother1+ Eother2로서 생성된다.
도 4b 및 도 4c 에 도시된 예에서도 같은 개념 의거해 살색성분 Eskin및 다른 색 성분 Eother이 얻어진다. 도 4b 에 도시된 청색 단색의 예에서는 살색 성분 Eskin이 0 으로 되고, 다른 색 성분 Eother이 단색의 색 성분의 색 성분의 값으로 된다. 또,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의의 색의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규화 후의 최소값(이 예에서는 EG')이 살색 성분 Eskin으로 되고, 정규화 후에 이 Eskin를 상회하는 값을 표시하는 성분(이 예에서는 ER'및 EB')의, Eskin와의 차는 각각 Eother1및 Eother2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살색 검출 회로(19) 및 색 성분 검출 회로(20)에서 각각 얻어진 2개의 출력인 살색 성분 Eskin과 다른 색 성분 Eother은 각각 감산기(21)의 한편 및 다른편의 입력단에 공급되어 감산이 행해진다. 즉, 감산기(21)에서 Eother-Eskin의 감산 출력이 생성된다. 이 감산 출력을 사용해서 GCA(16)의 이득을 제어한다.
즉, 살색으로 검출된 영역에서는 전압 Eother이 0 으로 되기 때문에 감산기(21)의 감산 출력은 -Eskin로 된다. 이 살색으로 검출된 영역의 전압, 즉 -Eskin인 때에 GCA(16)의 이득을 1 로 한다. 이에 따라 살색 영역의 칼러 이득은 1 로 된다. 한편, 살색 영역 이외에서는 전압 Eother이 발생하기 때문에, 감산기(21)의 감산출력(Eother-Eskin)이 상승한다. 따라서, GCA(16)에 있어서 칼러 이득은 전압 Eother의 값에 따라 상승한다. 또, 살색 성분이 작을 수록 그 영역의 감산 출력은 상승하여 칼러 이득이 상승한다. 이와 같이 살색으로 검출된 이외의 영역의 칼러 이득은 상승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GCA(16)에 있어서 칼러 이득의 제어를 감산기(21)에서 다른 색 성분 Eother에서 살색 성분 Eskin을 감소시키므로서 얻어지는 감산 출력에 의거해서 행해지나, 이것은 이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감산기(21) 대신에 제산기를 설치하고 다른 색 성분 Eother을 살색 성분 Eskin으로 제한 제산 출력으로서 GCA(16)에 있어서 칼러 이득의 제어를 행하도록 된다. 이 경우에는 살색 성분 Eskin이 0 또는 0 부근의 값으로 되어도 이 제산 출력이 유효하게 작용하도록 이 제산 출력에 대해서 리미터를 곱해서 소정의 값을 최대값으로 해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Eother1및 Eother2에 소정의 계수 α 및 β 를 각각 곱하도록 해도 된다. 즉,
Eother= α×Eother1+β×Eother2
로 한다. 계수 α 및 β를 적당한 값으로 설정하여 GCA(16)에 있어서 즐기는 색의 이득을 올리도록 설정한다. 예를들면, 즐기는 색이 선택되도록 3원색 신호 R, G, B의 각각에 대해서 계수 p, q, r를 설정하여 Eother1및 Eother2에 대응하는 색성분의 계수를 각각 α 및 β로 한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살색의 이득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즐기는 색의 칼러 이득을 통상보다 높일 수도 있게 된다.
그런데, 심리적으로 특별한 의미를 갖는 색으로서 상술한 살색외에 예를들면 진출색 및 후퇴색이 있다. 이들의 색이 다른 색중에 배치된 경우 진출색은 전방으로 강조되고 후퇴색은 가라앉는 것 같이 보인다. 따라서, 이들 진출색 및 후퇴색을 강조하므로서 화상에 입체감을 갖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진출색으로서는 적색이 후퇴색으로서는 청색이 각각 대표적이다.
상술한 도 1 에 도시된 색성분 검출회로(20)를 도 5 에 한 예가 도시된 회로(20')의 구성으로 하므로서 이들 진출색 및 후퇴색을 강조할 수가 있다. 공급된 각색의 전압 ER, EG, EB이 도시되지 아니한 아나로그 연산기에 의해 각각 전압 ER', EG', EB'으로 된다. 이들 전압 ER', EG', EB'이 각각 감산기(60, 61 및 62)의 한편의 입력단에 공급된다. 이들 감산기(60, 61 및 62) 각각의 다른편의 입력단에는 살색 검출회로(19)에서 얻어진 살색성분 Eskin이 공급된다.
감산기(60, 61 및 62)에서 각각 ER-Eskin, EG-Eslom. EB-Eskin이 구해진다. 감산 출력은 증폭기(63, 65 및 67)에 각각 공급된다. 이들 증폭기(63, 65 및 67)는, 예를들면 가변 저항으로 형성되는 이득 가변수단(64, 66 및 68)을 각각 갖는다. 이들 이득 가변수단(64, 66 및 68)을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므로서 증폭기(63, 65 및 67)의 이득을 설정할 수가 있다. 증포기(63, 65 및 67)의 출력은 각각 가산기(69)에 공급되어 가산된다. 가산 출력이 전압 Eother으로서 출력되어 감산기(21)에 대해서 공급된다.
여기에서 이득 가변수단(63 및 68)에 의해 증폭기(63 및 67)의 이득을 올려줌으로써 적색과 청색이 증강되어 진출색 및 후퇴색의 강조가 행해진다. 즉, ER'-min(ER', EG', EB') 및 EB'-min(ER', EG', EB')의 성분을 증가해서 전압 Eother을 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 5 에 도시된 회로(20')를 사용하므로서 상술한 즐기는 색의 칼러 이득을 증강시키는 일이 실현된다. 또한, 증폭기(63, 65 및 67)의 이득을 각각 1로 하므로서 최초로 표시한 살색 이외의 칼러 이득을 강조하는 것이 실현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 은 좌안용 영상 신호(30L) 및 우안용 영상 신호(30R)로 형성되는 입체 영상 신호가 입력되고 이것을 스크린(34) 등에 영출시켜 입체화상을 얻는 영상 장치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시킨 예이다. 또한, 도면중에 도시된 L 및 R 의 참조 기호는 좌안의 영상 및 우안의 영상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도 6 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과 공통인 부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좌안용 영상 신호(30L) 및 우안용 영상 신호(30R)는, 예를들면 2 대의 카메라 사용 인간의 시각과 거의 동일한 시각으로서 촬영을 하므로서 얻어진 영상 신호이다. 이것은 촬영된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컴퓨터그래픽에 의한 것이라도 좋다. 좌안용 영상 신호(30L) 및 우안용 영상 신호(30R)에 대한 Y/C 분리 회로(14L, 14R)에서 전치증폭기(22L, 22R) 까지의 처리는 상술한 도 1 에 도시된 구성에서의 처리와 각각 같은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치증폭기(22L, 22R)에서 출력된 3 원색 신호 R, G, B 는 각각 프로젝터(31L, 31R)에 공급된다. 프로젝터(31L, 31R)는 예를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LCD 구동 회로를 구비하여 공급된 3 원색 신호 R, G, B 를 LCD 구동 회로로서 LCD 에 영출시켜 이 LCD 에 대해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조사하여 스크린(34)에 투영한다.
좌안용 영상 신호 및 우안용 영상 신호가 각각 공급되어 투영되는 이 장치에서는 프로젝터(31L)와 스크린(34) 사이에 예를들면 수평방향으로 편광면을 갖는 수평필터(32)가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프로젝터(31R)와 스크린(34) 사이에는, 예를들면 수직 방향으로 편광면을 갖는 수직 필터(33)가 삽입된다. 이들 프로젝터(31L 및 31R)로부터의 영상을 스크린(34)위에서 합성한다.
관찰자는 입체 화상을 즐길 때에는 좌안과 우안에 각각 수평 필터(36)와 수직 필터(37)를 설치한 전용의 안경(35)을 사용해서 스크린(34)을 관찰한다. 이에따라 프로젝터(31L 및 31R)로부터 각각 투영된 좌안용 영상 신호 및 우안용 영상 신호가 관찰자의 좌우의 눈에 각각 분리해서 보여 입체적인 영상을 즐길 수가 있다. 이 입체영상은 좌우 각각의 신호 계통에 독립해서 설치된 살색 검출 회로(19L, 19R)나 색성분 검출 회로(20L, 20R) 등으로 행해지는 처리에 의해 적절하게 칼러 강조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로는 프로젝터(31L, 31R)와 스크린과의 사이에는 수평필터(32) 및 수직필터(33)가 안경(35)에는 수평필터(36 및 37)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것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수평 필터(32 및 36) 대신에 우선 필터, 수직 필터(33 및 37) 대신에 좌선 필터를 사용하는 일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보는 자세를 바꾸어 예를들면 가로로 되어도 좌안용 영상 신호와 우안용 영상 신호를 분리하여 입체적인 영상을 즐길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 은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영상 장치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한다. 이 영상 장치도 상술한 제 2 실시 형태와 같이 좌안용 영상 신호 및 우안용 영상 신호로 형성되는 입체 영상 신호에 의해 관찰자에 대해서 입체적인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좌안용 영상 신호와 우안용 영상 신호가 필드마다 교대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도 7 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좌안용 영상 신호와 우안용 영상 신호가 필드 마다 시퀀셜에 삽입된 입체 영상 신호(50)가 Y/C 분리 회로(14)에 공급된다. Y/C 분리 회로(14)에서 분리된 휘도 신호 Y 및 Y/C 분리 회로(14)에서 분리되어 색 복조 회로에서 복조된 색차 신호 R-Y, B-Y 가 필드 배속 회로(51)에 공급된다. 필드 배속 회로(51)는 입력 영상 신호에서 필드 주파수가 2 배로 된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도 8 은 필드 배속회로(51)에 의한 처리를 도시한다. 도 7 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색차 신호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있다. 필드 주기 Tv(NTSC 방식이면 1/60초, CCIR 방식이면 1/50초)의 입력 휘도 신호 Y(도 8a)가 공급되면 필드 주기가 1/2ㆍTv 의 출력 휘도 신호(도 8b)에 형성된다. 즉, 입력 휘도 신호의 필드 A(좌안용 영상 신호)로부터 2 배의 필드 주파수의 필드 A1 이 형성되고, 그 필드 B(우안용 영상 신호)로부터 2 배의 필드 주파수의 필드 A1 이 형성되며, 그 필드 B(우안용 영상 신호)로부터 2 배의 필드 주파수의 필드 B1 이 형성된다. 필드 A1 은, 예를들면 지연되어 필드 B1 의 뒤에 다시 필드 A2 로서 출현된다. 마찬가지로, 필드 B1 는 예를들면 지연되어 필드 A2 의 뒤에 다시 필드 B2 로서 출현한다. 즉, 예를들면 도 8b 에 도시하는 필드 A1 는 도 8A 에 도시하는 필드 B 의 타이밍으로 개시된다. 도 8c 는 배속 필마다 레벨이 반전하는 펄스 신호(2V)이다. 이와 같은 배속화의 처리는 영상 신호를 디지탈화하여 디지탈 메모리에 의해 시간축 압축하는 구성에 의해 행할 수가 있다.
상기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배속 필드와 동기한 펄스 신호 2V가 하이 레벨인 필드(A1, A2, ...)를 좌안용 영상 신호로서 사용하고, 그것이 로우 레벨인 필드(B1, B2, ...)를 우안용 영상 신호로서 사용한다. 필드 배속화 회로(51)에서 필드 배속 휘도 신호(2Y)는 매트릭스 회로(17) 및 매트릭스 회로(18)에 각각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필드 배속 색차 신호 2(R-Y), 2(B-Y) GCA16 를 거쳐서 매트릭스 회로(17)에 공급됨과 동시에 매트릭스 회로(18)에 공급된다. 매트릭스 회로(17) 및 매트릭스 회로(18)에서는 이들 공급된 필드 배속 휘도 신호 2Y 및 필드 배속 색차 신호 2(R-Y), 2(B-Y)를 필드 배속 3 원색 신호 2R, 2G, 2B 로 변환한다.
매트릭스 회로(17)에서 출력된 필드 배속 3 원색 신호 2R, 2G, 2B 는 전치증폭기(22)를 거쳐서 CRT(23) 에 공급된다. CRT(23) 는 필드 배속의 칼러 영상 신호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CRT(23)의 수직 주사 주파수 및 수평 주사 주파수는 배속이 아닌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경우의 이들의 주파수의 2 배로 된다.
살색 검출 회로(19) 및 색 성분 검출 회로(20)에 있어서, 매트릭스 회로(18)에서 출력된 필드 배속 3 원색 신호 2r, 2G, 2B 에 의거해 각각 Eskin, Eother이 생성된다. 이들 Eskin, Eother는 감산기(21)의 한편 및 다른편의 입력단에 각각 공급되어 감산기(21)에 의한 감산 출력 출력이 GCA(16)에 공급된다. GCA(16)에서는 이 감산 출력에 의거해서 이득 제어가 행해지고 공급된 필드 배속 색차 신호 2(R-Y), 2(B-T)의 레벨이 제어된다. 따라서, CRT(23)에는 살색 이외의 칼러가 강조된 영상이 영출된다.
관찰자는 CRT(23)에 여출된 영상을 입체 영상으로서 볼때에는 좌우에 셧터(53L, 53R)가 설치된 안경(52)을 장착한다. 셧터(53L, 53R)로서는 전기적 ON/OFF 가 가능한 셔터, 예를들면 액정 셔터를 사용할 수가 있다. 셔터(53L, 53R)는 펄스 신호(2V)와 동기한 펄스 신호에 의해 ON/OFF 동작을 하도록 제어된다.
한 예로서 필드 배속 회로(51)에서 펄스 신호(2V)가 출력되어, 예를들면 도시되지 아니한 적외선 송신 회로에 공급된다. 펄스 신호(2V)가 이 적외선 송신 회로에서 적외선 변조되어 송신된다. 송신된 이 적외선 신호는 안경 동기용의 신호로서 후술하는 안경(52)에 수신된다. 안경(52)에서는 펄스 신호(2V)가 하이레벨의 기간에서 셔터(53L)를 ON 시킴과 동시에, 셔셔(53R)를 OFF 로 하여 펄스 신호(2V)가 로우 레벨의 기간에서는 ON/OFF 의 상태를 반전시킨다. 그에 따라 CRT(23)에 의해 표시되는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각각 좌측 눈 및 우측 눈이 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관찰자는 입체적인 영상을 즐길 수가 있다. 이 입체 영상은 살색 검출 회로(19)나 색성분 검출 회로(20) 등에서 행해지는 처리에 의해 적절하게 칼러 강조가 행해지고 있다.
필드 배속 회로(51)에서 영상 신호에 대해서 필드 배속화를 하는 것은 안경(52)으로서 셔터(53L, 53R)를 교대로 ON/OFF 할때에 발생하는 면 플리커를 제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필드 배속 회로(51)는 생략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다른 처리도 그것에 준한 것으로 된다.
또한, 상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이 아나로그 회로에 의해 구성이 되는 장치에 대해서 적용되도록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디지탈적으로 신호 처리를 하는 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즉, 예를들면 필드 메모리 혹은 후레임 메모리에 기입된 화상 데이타를 화소마다 끌어내어 끌어내어진 화소의 각각에 대해서 살색 성분의 검출 및 살색 이외의 색 성분의 검출을 하고 Eskin, Eother에 대응하는 값을 구한다. 그래서, 구해진 값에 의거 그 화소에 있어서의 R, G, B 각각의 값을 제어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살색 성분 이외의 색에 대한 이득 제어가 가능케 된다. 따라서, 보다 자연적으로 위화감 없이 칼러 콘트라스트를 증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는 요인의 하나로는 영상의 콘트라스트가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위화감 없이 증강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입체감을 느끼게 하기 쉬운 영상을 만들어 낼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살색 성분 이외의 색에 대한 이득 제어 때에 특정한 색을 지정하므로서 살색 성분의 이득은 그대로, 예를들면 관찰자의 즐기는 색의 이득을 증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색으로서 진출색 및 후퇴색을 지정하므로서 보다 입체감이 강조된 영상을 영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영상 신호가 입력되어 표시 장치에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의 살색 성분을 검출하는 제 1 검출 수단과,
    상기 영상 신호의 상기 살색 성분 이외의 다른 색 성분을 검출하는 제 2 검출 수단과,
    제 1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 및 제 2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 상기 영상 신호의 색 성분에 대한 이득을 제어하는 색 성분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 성분 제어 수단은 상기 영상 신호가 살색 성분인 경우에는 상기 이득을 통상의 이득으로 하고,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살색 성분 이외의 것인 경우에는 상기 통상의 이득 보다 크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특정한 색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수단을 더 갖추고, 상기 색 성분 제어 수단은 상기 영상 신호가 살색 성분인 경우에는 상기 이득을 통상의 이득으로 하고,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살색 성분 이외인 경우에는 상기 특정한 색의 이득을 상기 통상의 이득 보다 크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진출색과 후퇴색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수단을 더 갖추고, 상기 색 성분 제어 수단은 영상 신호가 살색 성분인 경우에는 상기 이득을 통상의 이득으로 하고,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살색 성분 이외인 경우에는 상기 진출색 및 상기 후퇴색의 상기 이득을 상기 통상의 이득 보다 크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에 의거해서 3 원색 신호를 출력하는 매트릭스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검출 수단은 매트릭스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3 원색 신호 각각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정규화 하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3 원색 신호중 가장 낮은 신호 레벨을 상기 살색 성분으로서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에 의거해서 3 원색 신호를 출력하는 매트릭스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검출 수단은 상기 매트릭스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3 원색 신호 각각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정규화 하는 수단과, 상기 정규화된 3 원색 신호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 1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살색 성분을 감산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 수단과 상기 제 2 검출 수단 및 상기 색 성분 제어 수단을 각각 2 계통 구비하고, 각각 우안용의 영상 신호와 좌안용의 영상 신호를 처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 수단과 상기 제 2 의 검출 수단 및 상기 색 성분 제어 수단은 시분할 처리에 의해 우안용의 영상 신호와 좌안용의 영상 신호를 처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9. 영상 신호가 입력되어 표시 장치에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의 살색 성분을 검출하는 살색 성분 검출 단계와,
    상기 영상 신호의 살색 성분 이외의 다른 색 성분을 검출하는 다른 색 성분 검출 단계와,
    상기 살색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 및 다른 색 성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 상기 영상 신호의 색 성분에 대한 이득을 제어하는 색성분 제어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색 성분 제어 단계는 상기 영상 신호가 살색 성분인 경우에는 상기 이득을 통상의 이득으로 하고,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살색 성분 이외의 것인 경우에는 상기 통상의 이득 보다 크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특정한 색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갖추고, 상기 색 성분 제어 단계는 상기 영상 신호가 살색 성분인 경우에는 상기 이득을 통상의 이득으로 하고,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살색 성분 이외인 경우에는 상기 특정한 색의 이득을 상기 통상의 이득 보다 크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진출색과 후퇴색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갖추고, 상기 색 성분 제어 단계는 영상 신호가 살색 성분인 경우에는 상기 이득을 통상의 이득으로 하고,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살색 성분 이외인 경우에는 상기 진출색 및 상기 후퇴색의 상기 이득을 상기 통상의 이득 보다 크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에 의거해서 3 원색 신호를 출력하는 매트릭스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검출 단계는 매트릭스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3 원색 신호 각각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정규화 하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3 원색 신호중 가장 낮은 신호 레벨을 상기 살색 성분으로서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에 의거해서 3 원색 신호를 출력하는 매트릭스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검출 단계는 상기 매트릭스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3 원색 신호 각각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정규화 하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3 원색 신호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 1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살색 성분을 감산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 단계와 상기 제 2 검출 단계 및 상기 색 성분 제어 단계를 각각 2 계통 포함하고, 각각 우안용의 영상 신호와 좌안용의 영상 신호를 처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 단계와 상기 제 2 의 검출 단계 및 상기 색 성분 제어 단계는 시분할 처리에 의해 우안용의 영상 신호와 좌안용의 영상 신호를 처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KR1019980011115A 1997-03-31 1998-03-31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99800808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81297A JPH10285607A (ja) 1997-03-31 1997-03-31 映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JP97-081297 1997-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892A true KR19980080892A (ko) 1998-11-25

Family

ID=1374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115A KR19980080892A (ko) 1997-03-31 1998-03-31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76820B1 (ko)
JP (1) JPH10285607A (ko)
KR (1) KR19980080892A (ko)
CN (1) CN1207923C (ko)
MY (1) MY1179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7965B2 (ja) * 1998-07-30 2006-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3634730B2 (ja) 2000-09-18 2005-03-30 三洋電機株式会社 色調補正回路および色相補正回路
US6903782B2 (en) * 2001-03-28 2005-06-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segmentation-based enhancements of a video image
JP2003304558A (ja) * 2002-04-09 2003-10-24 Sanyo Electric Co Ltd ブルーストレッチ回路及びレベル検出回路
GB2396504B (en) * 2002-12-20 2005-11-23 Canon Kk Image processing
JP2005354372A (ja) * 2004-06-10 2005-12-22 Olympus Corp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7577291B2 (en) * 2005-03-07 2009-08-18 Oplus Technologies Ltd. Method of color correction
JP5338019B2 (ja) * 2006-02-10 2013-1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8369645B2 (en) * 2006-05-17 2013-02-05 Sony Corporation Image correction circuit, image correction method and image display
JP4304637B2 (ja) * 2007-06-06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液晶プロジェクタおよび液晶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
JP4760799B2 (ja) * 2007-08-07 2011-08-31 ソニー株式会社 液晶プロジェクタおよび液晶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
USD666663S1 (en) 2008-10-20 2012-09-04 X6D Limited 3D glasses
USD624952S1 (en) 2008-10-20 2010-10-05 X6D Ltd. 3D glasses
USD603445S1 (en) 2009-03-13 2009-11-03 X6D Limited 3D glasses
USRE45394E1 (en) 2008-10-20 2015-03-03 X6D Limited 3D glasses
US8542326B2 (en) 2008-11-17 2013-09-24 X6D Limited 3D shutter glasses for use with LCD displays
CA2684513A1 (en) * 2008-11-17 2010-05-17 X6D Limited Improved performance 3d glasses
JP5532588B2 (ja) * 2008-11-18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D646451S1 (en) 2009-03-30 2011-10-04 X6D Limited Cart for 3D glasses
USD650956S1 (en) 2009-05-13 2011-12-20 X6D Limited Cart for 3D glasses
USD672804S1 (en) 2009-05-13 2012-12-18 X6D Limited 3D glasses
USD692941S1 (en) 2009-11-16 2013-11-05 X6D Limited 3D glasses
USD669522S1 (en) 2010-08-27 2012-10-23 X6D Limited 3D glasses
USD671590S1 (en) 2010-09-10 2012-11-27 X6D Limited 3D glasses
US8244003B2 (en) * 2010-01-25 2012-08-14 Apple Inc. Image preprocessing
US8358812B2 (en) * 2010-01-25 2013-01-22 Apple Inc. Image Preprocessing
US8244004B2 (en) * 2010-01-25 2012-08-14 Apple Inc. Image preprocessing
US8254646B2 (en) 2010-01-25 2012-08-28 Apple Inc. Image preprocessing
USD662965S1 (en) 2010-02-04 2012-07-03 X6D Limited 3D glasses
USD664183S1 (en) 2010-08-27 2012-07-24 X6D Limited 3D glasses
JP5251947B2 (ja) * 2010-09-17 2013-07-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画像表示装置
USD711959S1 (en) 2012-08-10 2014-08-26 X6D Limited Glasses for amblyopia treatment
JP2018085008A (ja) 2016-11-25 2018-05-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画像処理方法
FR3068484B1 (fr) * 2017-06-29 2019-11-22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Projecteur couleur a deux ecrans emissif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7228A (en) * 1983-10-14 1987-05-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4839718A (en) * 1984-04-27 1989-06-13 Utah Scientific Advanced Development Center, Inc. Luminance selection apparatus for video signal control system
US4953008A (en) * 1986-09-08 1990-08-28 Encore Vide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orm saturation, hue and luminance correction
US5119074A (en) * 1988-09-26 1992-06-02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for converting an RGB signal into a composite video signal and its use in providing computer generated video overlays
JP3370770B2 (ja) * 1994-04-15 2003-01-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信号の肌色再生回路
JPH0829725A (ja) * 1994-05-10 1996-02-02 Canon Inc 複眼式画像表示装置
JPH0879782A (ja) * 1994-08-31 1996-03-22 Nippon Denki Syst Kensetsu Kk パソコン用動画像処理装置
JP2716388B2 (ja) * 1994-12-26 1998-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立体画像用ディスプレイ装置
US5808630A (en) * 1995-11-03 1998-09-15 Si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Split video architecture for personal compu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76820B1 (en) 2002-11-05
JPH10285607A (ja) 1998-10-23
CN1198065A (zh) 1998-11-04
MY117954A (en) 2004-08-30
CN1207923C (zh)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089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US6335755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3-dimensional images
KR100358021B1 (ko) 2차원영상을3차원영상으로변환시키는방법및입체영상표시시스템
US4399456A (en) Three-dimensional television picture display system and picture pick-up device and picture display device suitable therefor
US3697675A (en) Stereoscopic television system
JPS63198485A (ja) キー信号発生器
KR20070111381A (ko) 화상 보정 회로, 화상 보정 방법, 및 화상 디스플레이
US4635101A (en) Image conversion apparatus for television signals
US4641177A (en) Process and device for producing a screen image with a three-dimensional effect in a television receiver
US47219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lor video signals
US70430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mbedding three dimensional information into two-dimensional images
US7630017B2 (en) On-screen display circuit
US5640205A (en) Video camera apparatus and a camer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ideo camera apparatus
JPH07768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5912702A (en) Video camera and image enhancing apparatus
JPH10224822A (ja) 映像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H0443478B2 (ko)
US4979024A (en) Vertical contour enhancement suppression circuit
US79958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tering two-dimensional images using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JPS62213395A (ja) アナグリフ式立体画像表示装置
JPH074022B2 (ja) 色検出回路
JPH01279696A (ja) 表示装置
JP3067342B2 (ja) テレシネ装置
KR100562823B1 (ko) 수직 샤프니스 조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tv 수상기
SU788445A1 (ru) Цветной стерео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