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6638A - 펜과 터치패널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시동장치 및 시동방법 - Google Patents

펜과 터치패널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시동장치 및 시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6638A
KR19980076638A KR1019970013423A KR19970013423A KR19980076638A KR 19980076638 A KR19980076638 A KR 19980076638A KR 1019970013423 A KR1019970013423 A KR 1019970013423A KR 19970013423 A KR19970013423 A KR 19970013423A KR 19980076638 A KR19980076638 A KR 19980076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pressed
pen
information terminal
portab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5685B1 (ko
Inventor
이제형
오재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3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685B1/ko
Priority to GB9800930A priority patent/GB2324178B/en
Priority to CN98104040A priority patent/CN1196529A/zh
Priority to US09/019,738 priority patent/US6091031A/en
Priority to JP4388098A priority patent/JPH10320085A/ja
Publication of KR19980076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ower Sour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단말기 및 이를 가동하기 위한 시동방법이 개시된다.
펜과 터치패널를 입력수단으로 하는 이용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있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의 시동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스템 시동영역의 터치패널 좌표값이 눌러졌는지를 인식하는 터치패널 좌표 인식부;, 상기 터치패널 인식부에서 인식된 좌표를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동안 누르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터치패널 눌림시간 체크부; 및 상기 터치패널 좌표 인식부와 상기 터치패널 눌림시간 체크부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패널의 영역을 선택하기 용이한 크기로 함과 동시에 일정시간 눌러져야 시스템이 켜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스템이 켜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불필요한 전원공급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펜과 터치패널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시동장치 및 시동방법
본 발명은 펜과 터치패널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시동장치 및 그 시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패널의 일정영역을 소정시간동안 누를 때에만 전원이 켜지도록 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시동장치 및 시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시스템을 켜기 위한 시동장치는 하드웨어적인 스위치를 이용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인 수단을 이용한다. 여기서 소프트웨적인 수단이란 소정의 펜을 이용하여 액정화면의 소정좌표에 위치하는 시스템 시동용 터치패널(Touch Sensate Panel ; TSP)을 누르면, 시스템이 켜지고, 사용 중 메뉴에서 끄기명령을 인가하면 시스템이 오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수단을 이용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 중, 액정화면위에 설치된 터치패널의 선택영역에 아이콘 이미지 정도의 작은 영역( 대략 50 * 50 픽셀)을 시스템 온 영역으로 설정할 경우, 이 영역이 작아서 사용자가 정확한 선택을 하려면 주의를 하여야 하는 제품도 있고, 터치패널의 선택영역을 화면전체로 하여 아무데나 눌러도 시스템이 켜지도록 하는 제품의 경우 이 제품을 가방 안에 넣고 다닐 때 터치패널 보호덮개와 터치패널이 맞닿아서 펜이 계속적으로 눌린 것으로 시스템이 판단하여 이를 수행하느라 전원을 계속 소모하는 문제가 발생되는 제품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터치패널의 일정영역을 소정시간 누를 때에만 시스템이 켜지도록 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그 시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펜과 터치패널을 입력수단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액정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있어, 시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최초 구동에서부터 실제 사용할 때 처리되는 일련의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부 인터럽트 발생의 일 실시예로서 펜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되는 전원관리모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펜과 터치패널를 입력수단으로 하는 이용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있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의 시동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스템 시동영역의 터치패널 좌표값이 눌러졌는지를 인식하는 터치패널 좌표 인식부;
상기 터치패널 인식부에서 인식된 좌표를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동안 누르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터치패널 눌림시간 체크부; 및
상기 터치패널 좌표 인식부와 상기 터치패널 눌림시간 체크부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신호는 일정의 약속된 신호로서,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영역의 터치패널이 눌러졌다는 신호와 상기 터치패널이 눌러진 시간이 소정시간동안 경과되었다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펜과 터치패널을 입력수단으로 하고, 상기 입력수단의 조작으로 시스템의 전원을 켜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시동시키는 방법은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가 정지 모드 상태에서 상기 펜을 이용하여 시스템 시동 영역의 터치패널을 눌러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면, 펜이 눌러진 터치패널의 좌표값을 구하고, 펜이 눌러졌다는 정보와 눌러진 좌표값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상기 제공된 정보가 미리 설정한 영역내의 좌표값인지를 판단하는 제1판단과정; 펜이 눌러지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판단과정; 및 상기 제1과 제2 판단과정의 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펜과 터치패널을 입력수단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정면도로서, 참조부호 10은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액정화면을, 참조부호 12는 액정화면(10)의 좌측에 인접한 시스템 시동영역(12)을, 참조부호 14는 액정화면(10)과 시스템 시동영역(12)을 덮도록 장착한 터치패널을, 참조부호 16은 시스템 시동영역(12)을 선택하는 펜(18)을, 참조부호 20은 펜(18)을 보관하기 위한 펜홀더를, 참조부호 22는 터치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덮개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시스템 시동영역(12)은 시스템이 정지상태일 때에만, 시스템을 시동시키기 위한 시동영역으로 사용되고, 일단 시스템이 시동된 후에는 이 시동영역(12)을 세분한 좌표값에 따라 서로 다른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프로그램 선택영역이 된다. 즉, 프로그램의 특성에 맞는 이미지 아아콘 표시 스티커가 각각 다른 좌표값으로 설정되어 부착된 후, 그 위에 터치패널이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있어, 시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시동장치는 펜(18)과 터치패널(14)로 이루어진 입력부(200), 시스템 시동영역의 터치패널(14)이 눌러졌음을 인식하는 터치패널 좌표 인식부(202), 터치패널 좌표인식부(202)에서 인식된 좌표는 소정시간동안 누르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터치패널 눌림시간 체크부(204), 터치패널 좌표 인식부(202)와 터치패널 눌림시간 체크부(204)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8)를 제어하는 제어부(206)를 포함한다. 여기서, 소정의 신호는 일정의 약속된 신호로서,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터치패널의 시동영역이 눌러졌다는 신호와 이 영역의 터치패널이 눌러진 시간이 소정시간동안 경과되었다는 신호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터치패널이 눌러진 소정시간을 0.5초로 설정하였다.
이어서,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전용 펜(18)을 가지고 시스템 시동영역의 터치패널을 선택하면, 터치패널 좌표 인식부(202)에서는 시스템 시동영역의 터치패널 좌표값을 눌렀는지를 인식한 경우에만 인식신호를 출력하고, 터치패널 눌림시간 체크부(204)에서는 눌러진 터치패널의 눌림시간이 소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이 때 제어부(206)에서는 원하는 터치패널의 좌표가 정확히 눌러지고 눌림시간이 소정 설정된 시간동안이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8)를 제어하여 전원이 시스템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최초 구동에서부터 실제 사용할 때 처리되는 일련의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시스템에 최초 전원이 인가되어 수행되는 부팅작업, 즉 시스템의 각종 구성요소를 초기화한다(300 단계). 300 단계의 결과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의 시스템 운용상태를 나타내는 정상모드가 된다(302 단계). 시스템이 정지 모드가 되기 위한 조건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304 단계) 여기서, 정지모드가 되기 위한 조건은 (1) 사용자가 시스템 끄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 (2) 아무런 입력없이 일정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 (3) 기타 시스템의 중대한 상황(예로, 밧데리 전압의 급격한 감소)이 발생했는지의 여부 등이다. 304 단계의 조건이 발생되면 즉시 시스템이 오프된다.(306 단계) 여기서는 액정화면의 오프, 시스템의 동작모드를 전원 절약모드로 변경, 기타 구성요소들의 전원공급을 오프시킨다. 즉 정지모드가 된다.(308 단계) 이후, 외부 인터럽트가 발생하면(310 단계) 해당 인터럽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시스템을 온시켜(312 단계) 정상모드를 유지하든지(302단계), 또는 계속 정지모드를 유지한다.(308 단계) 즉 정상모드에서는 시스템의 구성장치를 필요에 따라 구동시키고 사용자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부 인터럽트 발생의 일 실시예로서 펜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시스템이 정지 모드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용 펜을 이용하여 시동영역의 터치패널 좌표값을 눌러 펜 터치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400 단계)
400 단계의 펜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펜이 눌러진 좌표값을 구하고(402 단계), 펜이 눌러졌다는 정보와 눌러진 좌표값 정보를 전원관리모듈에 제공한다.(404 단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되는 전원관리모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상태에서(500 단계), 수신된 정보가 정지모드상태와 펜입력에 의한 인터럽트 정보인지를 판단한다.(502 단계) 502 단계의 판단결과, 조건에 만족한 정보가 아니면 해당되는 다른 처리 수순을 진행한다.(512 단계) 다른 처리 수순은 본 발명과 무관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반면, 502 단계의 판단결과, 만족한 조건하면 펜이 눌러진 좌표가 미리 설정한 시스템의 시동영역내의 좌표값인지를 판단하고(504 단계), 펜이 계속 눌러지고 있는지를 판단한다.(506 단계), 504 단계와 506 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면, 터치패널이 눌러지는 시간이 정해진 조건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508 단계). 508 단계의 판단결과, 그 조건을 만족하면 시스템을 온상태로 변환시킨다.(510 단계) 여기서, 정해진 조건의 시간은 설계자에 의해 정해지는 값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서 0.5초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와 510 단계에서 시스템 구동이 완료되면 정보 수신 대기 상태(500 단계)로 복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단말기 및 이를 가동하기 위한 시동방법에 의하면, 터치패널의 영역을 선택하기 용이한 크기의 시동영역을 구비함과 동시에 일정시간 눌러져야 시스템이 켜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스템이 켜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원이 시스템에 공급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펜과 터치패널를 입력수단으로 하는 이용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있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의 시동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시스템 시동영역의 터치패널 좌표값이 눌러졌는지를 인식하는 터치패널 좌표 인식부;
    상기 터치패널 인식부에서 인식된 좌표를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동안 누르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터치패널 눌림시간 체크부; 및
    상기 터치패널 좌표 인식부와 상기 터치패널 눌림시간 체크부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신호는 일정의 약속된 신호로서,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영역의 터치패널이 눌러졌다는 신호와 상기 터치패널이 눌러진 시간이 소정시간동안 경과되었다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를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시동장치.
  3. 소정의 펜과 터치패널을 입력수단으로 하고, 상기 입력수단의 조작으로 시스템의 전원을 켜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시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가 정지 모드 상태에서 상기 펜을 이용하여 시스템 시동 영역의 터치패널을 눌러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면, 펜이 눌러진 터치패널의 좌표값을 구하고, 펜이 눌러졌다는 정보와 눌러진 좌표값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상기 제공된 정보가 미리 설정한 영역내의 좌표값인지를 판단하는 제1판단과정;
    펜이 눌러지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판단과정; 및
    상기 제1과 제2 판단과정의 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시동시키는 방법.
KR1019970013423A 1997-04-11 1997-04-11 펜과 터치패널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시동장치 및 시동방법 KR100275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423A KR100275685B1 (ko) 1997-04-11 1997-04-11 펜과 터치패널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시동장치 및 시동방법
GB9800930A GB2324178B (en) 1997-04-11 1998-01-19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activating method thereof
CN98104040A CN1196529A (zh) 1997-04-11 1998-01-24 便携式信息终端及其起动方法
US09/019,738 US6091031A (en) 1997-04-11 1998-02-06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an activating method thereof
JP4388098A JPH10320085A (ja) 1997-04-11 1998-02-25 携帯用情報端末器及びその始動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423A KR100275685B1 (ko) 1997-04-11 1997-04-11 펜과 터치패널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시동장치 및 시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638A true KR19980076638A (ko) 1998-11-16
KR100275685B1 KR100275685B1 (ko) 2000-12-15

Family

ID=19502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423A KR100275685B1 (ko) 1997-04-11 1997-04-11 펜과 터치패널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시동장치 및 시동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91031A (ko)
JP (1) JPH10320085A (ko)
KR (1) KR100275685B1 (ko)
CN (1) CN1196529A (ko)
GB (1) GB232417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1406B2 (en) 2004-10-23 2011-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of portable information device
KR101369429B1 (ko) * 2012-02-23 2014-03-06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KR101415184B1 (ko) * 2012-02-23 2014-07-07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218B1 (ko) * 1999-03-18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해 입력된 터치스크린 패널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US6335725B1 (en) * 1999-07-14 2002-01-01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of partitioning a touch screen for data input
KR100334817B1 (ko) * 2000-03-22 2002-05-03 윤종용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표시방법
SE0001771D0 (sv) * 2000-05-15 2000-05-15 Ericsson Telefon Ab L M A portable phone
KR100395941B1 (ko) * 2000-09-06 2003-08-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글래스 터치 시스템의 신호인식방법
US6753853B1 (en) * 2000-09-29 2004-06-22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Low power dissipation touch plane interface circuit
US20020188880A1 (en) * 2001-04-26 2002-12-12 Lowles Robert J.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 liquid crystal display
TWI238348B (en) * 2002-05-13 2005-08-21 Kyocera Corp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a
US20040173978A1 (en) * 2003-03-06 2004-09-09 Christopher Bowen PTFE membranes and gaskets made therefrom
US7221964B2 (en) * 2004-02-27 2007-05-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LCD backlight duration proportional to amount of information on the LCD display screen
CN100504213C (zh) * 2004-09-24 2009-06-2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输入系统的控制方法
KR100827150B1 (ko) * 2006-07-10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KR20080042354A (ko) * 2006-11-09 200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대기 화면 전환 방법 및 대기 화면회전 방법과 그 이동 통신 단말기
US20080231604A1 (en) * 2007-03-22 2008-09-25 Cypress Semiconductor Corp. Method for extending the life of touch screens
JP4444310B2 (ja) * 2007-05-30 2010-03-31 株式会社東芝 携帯電話機
WO2009071123A1 (en) * 2007-12-06 2009-06-11 Nokia Corporation Power reduction for touch screens
JP2009223474A (ja) * 2008-03-14 2009-10-01 E-Lead Electronic Co Ltd アイコンインタフェース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1160681B1 (ko) 2011-10-19 2012-06-28 배경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시에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296869B1 (ko) * 2012-02-23 2013-08-14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FR3011649B1 (fr) * 2013-10-03 2015-12-0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ontrole de l'allumage d'un ecran tactile pour l'utilisation de moyens de fourniture d'informations, par appui continu sur une zone tactile
CN104615377B (zh) * 2015-02-28 2018-06-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3823A (ja) * 1987-10-28 1989-05-02 Toshiba Corp タッチパネル式キーボード
JP2739001B2 (ja) * 1991-11-01 1998-04-08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式入力装置
US5451724A (en) * 1992-08-05 1995-09-19 Fujitsu Limited Touch panel for detecting a coordinate of an arbitrary position where pressure is applied
DE69330026T2 (de) * 1993-05-28 2001-10-31 Sun Microsystems Inc Leistungssteuerung durch einen Berührungsbildschirm in einem Computersystem
JPH0744308A (ja) * 1993-07-29 1995-02-14 Sharp Corp ワードプロセッサ
JP2813728B2 (ja) * 1993-11-01 1998-10-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ズーム/パン機能付パーソナル通信機
US5584054A (en) * 1994-07-18 1996-12-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able front cover for expo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JP3305535B2 (ja) * 1995-03-16 2002-07-22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抵抗感圧型タブレット
JPH08320745A (ja) * 1995-05-25 1996-12-03 Tokyo Gas Co Ltd 情報処理装置のスリープ方法
JPH0944293A (ja) * 1995-07-28 1997-02-14 Sharp Corp 電子機器
GB2320591B (en) * 1996-12-12 1998-11-18 John Quentin Phillipps Portable computer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1406B2 (en) 2004-10-23 2011-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of portable information device
KR101369429B1 (ko) * 2012-02-23 2014-03-06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KR101415184B1 (ko) * 2012-02-23 2014-07-07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20085A (ja) 1998-12-04
GB2324178A (en) 1998-10-14
GB9800930D0 (en) 1998-03-11
CN1196529A (zh) 1998-10-21
GB2324178B (en) 1999-02-24
KR100275685B1 (ko) 2000-12-15
US6091031A (en) 2000-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685B1 (ko) 펜과 터치패널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시동장치 및 시동방법
US200500717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 saving control method
EP4102848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236132A1 (en) Power-managing key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CN102981643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H08241150A (ja) 携帯型コンピューターにおけるハードウェアカーソルを利用したピーエムエスレベル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US9906661B2 (en) Apparatus having power-saving mode, control method of th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08069230A1 (ja) 表示システ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30132752A1 (en) Power supplier of computer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US20060174147A1 (en) Electronic equipment, sensor,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electronic equipment
US20080094258A1 (en) Electronic system with user-operable keys and capability of prompting keys being touched
JP3684904B2 (ja) 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JP2001125556A (ja) 電子機器
JPH05173524A (ja) Lcd/crt切替方式
JPS60225924A (ja) 情報処理装置
JPH06222878A (ja) 情報処理装置
US7308585B2 (en) Low power residual remaining power indicator
JPH0623086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電源制御方式
JPH08263179A (ja) 電源制御方法並びに電子機器
EP1717663A1 (en) Power-managing key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US62826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an electronic system between an operating mode and stand-by mode
JPH06337739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H04205020A (ja) 情報処理装置の節電制御装置
JP3124889B2 (ja) 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ペンスイッチの電源制御回路
US20070030281A1 (en) Serial memory script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1218

Effective date: 200007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