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3186A -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부터 아연회수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부터 아연회수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3186A
KR19980073186A KR1019970008337A KR19970008337A KR19980073186A KR 19980073186 A KR19980073186 A KR 19980073186A KR 1019970008337 A KR1019970008337 A KR 1019970008337A KR 19970008337 A KR19970008337 A KR 19970008337A KR 19980073186 A KR19980073186 A KR 19980073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er
air cylinder
fixed
dross
zin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127B1 (ko
Inventor
지교환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1019970008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127B1/ko
Publication of KR19980073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9/00Obtaining zinc or zinc oxide
    • C22B19/30Obtaining zinc or zinc oxide from metallic residues or scrap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44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chem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4Details related to elements immersed in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 부터 아연회수방법 및 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실린더(66)에 의해 전후진되는 푸셔(69)가 아연도금조(2)의 부유드로스를 주입구(10)를 통해 교반기(7)내로 모으는 드로스포집단계와; 상기 드로스포집단계에서 포집된 교반기(7)내의 드로스에 플럭스박스(18)의 플럭스를 주입한 후, 상기 교반기(7)내의 드로스와 플럭스를 임펠러(8)의 상하 교반운동을 이용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게 하여 순수아연과 재(Ash)로 변화시키고, 상기 화학반응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배출구(11)로 흡입된 다음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 상태로 배출관(72)를 통해 대기로 방출되는 화학반응단계와; 상기 화학반응단계에서 발생되는 상기 교반기(7)의 부유재(Ash)를 버킷(61)으로 제거하여 박스(65)에 폐기하는 재제거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 부터 아연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용융도금설비의 아연도금조(2)에 교반기(7)가 고정판(6)에 의해 주입구(10)의 상단까지 잠기게 되고, 상기 고정판(6)의 상면에 수직 고정되는 몸체(27)의 좌측면에 이동판(13)이 상기 에어실린더(30), 와이어로프(32), 회전롤(33,26)에 의해 상하이동되도록 수평 결합되며, 상기 이동판(13)에 설치된 에어실린더(16)에 의해 임펠러(8)가 상기 교반기(7)내를 상하이동되고, 상기 이동판(13)의 상면에 고정되는 박스(18)의 플럭스가 개폐되는 플럭스주입홀(13-2)을 통해 상기 교반기(7)에 투입되며, 상기 교반기(7)의 화학가스가 배출구(11)를 통해 흡입되면서 냉각된 상태로 배출관(72)를 통해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화학반응부(4)와; 경사판(70-2)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66)의 푸셔(69)가 상기 아연도금조(2)의 부유드로스를 상기 교반기(7)의 주입구(10)를 통해 상기 교반기(7)내로 포집하도록 고정판(70-1)이 상기 교반기(7)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는 드로스포집부(71)와; 모터(36)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38)와 치결합되는 종동기어(35)가 상기 교반기(7)의 상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종동기어(35)의 상면에 수직 고정되는 몸체(95)의 일측면에 이동판(52)이 에어실린더(39), 회전롤(43), 와이어로프(42)에 의해 상하이동되도록 수평 결합되며, 상기 이동판(52)의 일측단 하부에 고정스틸(57), 이동스틸(60)에 의해 지지되는 버킷(61)이 에어실린더(48), 와이어로프(56)에 의해 시소운동되고, 클램프(63)에 의해 고정되는 에어실린더(62)의 상단에 부착되는 임팩트(64)가 상기 버킷(61)의 후방부를 타격하도록 전후진되는 재제거부(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 부터 아연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 부터 아연회수방법 및 그장치
본 발명은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 부터 아연회수방법 및 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융도금설비의 아연도금조의 아연에 도금작업중 발생되는 아연드로스(Dross)가 부유할 경우 이 아연드로스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순수 아연을 회수할 수 있는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 부터 아연회수방법 및 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용융도금설비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아연도금조(2)에 100∼300Ton의 용융아연이 담겨져 있고, 이 아연도금조를 통과하는 가열로(1)의 스트립(5)에 의해 소모되는 용융아연량만큼 아연잉곳(Zinc Ingot)을 투입하여 아연도금조에 항상 일정량의 용융아연이 담기도록 한다.
이때 아연도금조(2)를 통과하는 스트립(5)이 에어나이프(3)의 에어에 의해 적정도금량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스트립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용융아연이 에어나이프에서 분사되는 에어중의 O2와 결합되어 산화아연인 아연드로스(Zinc Dross)로 변하게 되고, 이 아연드로스는 아연도금조로 낙하하여 용융아연의 표면에 부유하게 된다.
그리고 아연도금조(2)의 용융아연 표면에 부유하는 아연드로스는 아연도금조를 통과하는 스트립(5)의 표면에 부착되어 자국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치공구를 이용하여 아연도금조(2)의 용융아연 표면에 부유하는 아연드로스를 퍼내는 작업을 통해 제거하였으나, 이 아연드로스 제거과정에서 다량의 순수아연이 함께 버려지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고열에 노출된 상태로 작업을 하기 때문에 화상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드로스포집부, 화학반응부, 재제거부로 구성되어 아연도금조로 부터 분리되는 드로스에서 80%이상의 순수아연을 회수할 수 있는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 부터 아연회수방법 및 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용융도금설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아연회수장치가 장착된 아연도금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
도3는 본 고안에 따른 아연도금조의 아연회수장치중 드로스포집부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
도4은 본 고안에 따른 아연도금조의 아연회수장치중 화학반응부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아연도금조의 아연회수장치중 재제거부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사용된부호설명
1: 가열로 2: 아연도금조 3: 에어나이프 4: 화학반응부 5: 스트립 6: 고정판7: 교반기 8: 임펠러 9: 샤프트 10: 주입구 11: 배출구 12: 조인트 13: 이동판 13-1: 홀 13-2: 플럭스주입홀 14: 재제거부 15: 고정박스 16: 에어실린더 17: 클램프 18: 플럭스박스 18-1: 사각홀 19: 사각스틸 20: 에어실린더 21: 클램프 22: 가이드레일 23: 고리 24; 레일 25: 지지대 26: 회전롤 27: 몸체 28: 서포트 29: 클램프 30: 에어실린더 31: 고리 32; 와이어로프 33: 회전롤 34: 지지대 35: 종동기어 36: 전기모터 37: 지지대 38: 구동기어 39: 에어실린더 40: 클램프 41: 고리 42: 와이어로프 43: 회전롤 44: 지지대 45: 가이드레일 46: 고리 48: 에어실린더 49: 클램프 50: 지지대 51: 고리 52: 이동판 53: 회전롤 54: 지지대 55: 홀 56: 와이어로프 57: 고정스틸 58: 연결핀 59: 고리 60: 이동스틸 61: 버킷 62; 에어실린더 63; 클램프 64: 임팩트 65: 박스 66: 에어실린더 66-1; 작동로드 67: 클램프 69: 푸셔 70: 베이스 70-1: 고정판 70-2; 경사판 71: 드로스포집부 72; 배출관 73; 냉각박스 92: 냉각수노즐 93: 진공펌프 94: 전기모터 95: 몸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에어실린더에 의해 전후진되는 푸셔가 아연도금조의 부유드로스를 주입구를 통해 교반기내로 모으는 드로스포집단계와; 상기 드로스포집단계에서 포집된 교반기내의 드로스에 플럭스박스의 플럭스를 주입한 후, 상기 교반기내의 드로스와 플럭스를 임펠러의 상하 교반운동을 이용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게 하여 순수아연과 재(Ash)로 변화시키고, 상기 화학반응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배출구로 흡입된 다음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 상태로 배출관를 통해 대기로 방출되는 화학반응단계와; 상기 화학반응단계에서 발생되는 상기 교반기의 부유재(Ash)를 버킷으로 제거하여 박스에 폐기하는 재제거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 부터 아연회수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융도금설비의 아연도금조에 교반기가 고정판에 의해 주입구의 상단까지 잠기게 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수직 고정되는 몸체의 좌측면에 이동판이 상기 에어실린더, 와이어로프, 회전롤에 의해 상하이동되도록 수평 결합되며, 상기 이동판에 설치된 에어실린더에 의해 임펠러가 상기 교반기내를 상하이동되고, 상기 이동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박스의 플럭스가 개폐되는 플럭스주입홀을 통해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며, 상기 교반기의 화학가스가 배출구를 통해 흡입되면서 냉각된 상태로 배출관를 통해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화학반응부와; 경사판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의 푸셔가 상기 아연도금조의 부유드로스를 상기 교반기의 주입구를 통해 상기 교반기내로 포집하도록 고정판이 상기 교반기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는 드로스포집부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와 치결합되는 종동기어가 상기 교반기의 상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종동기어의 상면에 수직 고정되는 몸체의 일측면에 이동판이 에어실린더, 회전롤, 와이어로프에 의해 상하이동되도록 수평 결합되며, 상기 이동판의 일측단 하부에 고정스틸, 이동스틸에 의해 지지되는 버킷이 에어실린더, 와이어로프에 의해 시소운동되고,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는 에어실린더의 상단에 부착되는 임팩트가 상기 버킷의 후방부를 타격하도록 전후진되는 재제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 부터 아연회수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아연회수장치가 장착된 아연도금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아연도금조의 아연회수장치중 드로스포집부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먼저 베이스(70)는 고정판(70-1)과 경사판(70-2)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고정판(70-1)은 아연도금조(2)의 상단면에 다수의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경사판(70-2)에는 에어실린더(66)가 클램프(6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에어실린더(66)의 작동로드(66-1) 하단에는 ㄷ자형관의 푸셔(69)가 고정되어 있고, 이 푸셔(60)는 작동로드(66-1)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주입구(10)내를 이동하게 되고, 이때 푸셔는 아연도금조(2)에 부유되는 드로스를 포집하여 교반기(7)의 주입구를 통해 교반기에 밀어 넣게된다.
한편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아연도금조의 아연회수장치중 화학반응부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먼저 화학반응부(4)는 아연도금조(2)의 아연에 잠기게 설치되는 교반기(7)가 사각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이 교반기(7)의 전면 중단에 드로스주입구(10)가 상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으며, 교반기의 좌측면 상단에 가스배출구(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교반기(7)의 하면에는 홀(7-1)이 형성되어 아연도금조(2)의 용융아연이 교반기 내로 유입된다.
여기서 교반기(7)에서의 드로스와 플럭스의 화학반응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구(11)에는 냉각박스(73)가 연결되어 있고, 이 냉각박스(73)에는 전기모터(94)에 의해 구동되는 진공펌프(93)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냉각박스(73)의 상부에 설치되는 냉각수노즐(92)는 냉각수박스내를 통과하는 화학가스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대기의 온도와 거의 같은 수준으로 냉각시키고, 이처럼 냉각된 화학가스는 진공펌프(93)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관(72)을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
그리고 교반기(7)의 우측면 상단에 수평되게 용접되는 고정판(6)은 우측 상면에 사각판의 몸체(27)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고, 이 몸체(27)의 우측면 상단에 서포트(28)가 다수의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서포트(28)의 우측면 중앙에 클램프(29)에 의해 수직으로 부착되는 에어실린더(30)는 하부에 형성되는 로드의 하단에 고리(31)에 의해 와이어로프(32)의 우측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와이어로프(32)가 ∪자형으로 감겨져 있는 회전롤(33)은 지지대(34)에 의해 몸체(27)의 우측에 위치되도록 고정판(6)의 상면 우측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27)의 우측면 중앙에는 수직으로 레일(24)이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레일(27) 및 몸체(27)의 상면에 걸쳐 지지대(25)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지지대(25)에는 회전롤(26)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우측단이 에어실린더(30)의 하단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32)는 회전롤(33,26)에 차례로 감기면서 좌측단이 고리(23)에 의해 가이드레일(22)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레일(24)상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레일(22)은 에어실린더(30)의 상하작동이 와이어로프(32)에 전달되면서 이 와이어로프(32)를 따라 레일(24)상을 상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우측단이 가이드레일(22)의 하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이동판(13)에는 중앙부에 플럭스박스(18)와 에어실린더(20)가 좌우 이격되도록 각각 볼트와 클램프(21)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에어실린더(20)의 로드 선단에 고정되는 사각스틸(19)은 사각홀(18-1)을 통해 전후진되면서 플럭스박스(18)의 중앙에 형성되는 플럭스주입홀(13-2)을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판(13)의 좌측 상면에는 고정박스(15)가 용접되어 있고, 이 고정박스(15)의 상면 중앙에는 에어실린더(16)가 원형클램프(17)에 의해 수직으로 관통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단이 고정박스(15)에 내장되는 에어실린더(16)의 하단에 조인트(12)에 의해 결합되는 샤프트(9)는 고정박스(15)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홀(13-1)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되면서 고정박스(15)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에 사각의 임펠러(8)가 용접되어 있고, 이 임펠러(8)는 에어실린더(16)의 작동에 의해 상하 이동되면서 교반기(7)의 드로스 및 용융아연의 혼합물과 플럭스박스(18)로 부터 주입되는 플럭스(Flux)를 교반하게 된다.
한편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아연도금조의 아연회수장치중 재제거부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아연도금조(2)의 외부에 설치되는 재(Ash)제거부(14)는 바닥에 지지대(37)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고, 이 지지대(37)의 상단에는 전기모터(36)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전기모터(36)의 하단에는 구동기어(38)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모터(36)에 의해 구동되는 작은직경의 구동기어(38)와 치결합되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바닥에 지지되는 큰직경의 종동기어(35)는 상면에 사각빔의 몸체(95)가 수직으로 용접되어 있다.
또한 몸체(95)의 우측면에는 레일(47)이 상하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몸체의 좌측면 중단부에는 에어실린더(39)가 클램프(4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몸체의 상면에는 지지대(4)에 의해 회전롤(43)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레일(47)을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레일(45)에는 사각의 이동판(52)이 수평되게 고정되어 있고, 회전롤(43)에 ∩자형으로 감겨져 있는 와이어로프(42)는 좌측단이 에어실린더(39)의 상단에 고리(41)에 의해 체결되면서 우측단이 고리(46)에 의해 이동판(52)의 좌측단 상면 중앙에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판(52)의 상면 좌측부에는 사각판의 지지대(50)가 용접되어 있고, 이 지지대(50)의 상면에는 에어실린더(48)가 클램프(49)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이동판(52)의 상면 우측부에는 회전롤(53)이 지지대(54)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롤(53)에 ㄱ자형으로 감겨져 있는 와이어로프(56)는 좌측단이 고리(51)에 의해 에어실린더(48)의 우측단에 체결되어 있고, 하단이 이동판(52)의 홀(55)을 통해 고리(59)에 의해 버킷(61)의 좌측단 중앙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대략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스틸(57)은 상단이 이동판(52)의 하면 우측단에 고정되어 있고, 대략 쓰레기받이형상으로 형성되는 버킷(61)은 전후측면의 중단에 각각 이동스틸(60)의 하단이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대략 고정스틸(57)의 반대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스틸(60)은 상단이 각각 고정스틸(57)의 하단에 연결핀(58)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이로써 버킷(61)은 와이어로프(56)의 상하이동에 따라 연결핀(58)을 중심으로 좌우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버킷(61)의 좌측편에는 에어실린더(62)가 클램프(63)에 의해 우측상향되게 바닥에 고정되어 있고, 에어실린더(62)의 우측단에 임팩트(64)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때 에어실린더(62)가 전후진되면 임팩트(64)가 버킷의 좌측면을 타격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가열로(1)를 통과한 스트립(5)을 아연도금조(2)에서 아연도금되면서 아연도금조의 용융아연 상부로 드로스가 부유하게 되는데, 이때 드로스포집부(71)의 에어실린더(66)가 20회 반복 전후진되면서 푸셔(69)가 부유상태의 드로스를 드로스주입구(10)를 통해 교반기(7)에 모은다.
그리고 교반기(7)에 드로스가 모아진 상태에서 에어실린더(20)가 1회 전후진하게 되면 사각스틸(19)에 의해 플럭스주입홀(13-2)이 개폐되면서 플럭스박스(18)내의 플럭스(NH4Cl)가 교반기 내부로 투입된다.
또한 에어실린더(30)가 하강되면 이동판(13)이 와이어로프(32)에 의해 고정판(6)에 밀착될 때까지 하향이동하게 되고, 이동판(13)이 고정판(6)의 상면에 얹히면 에어실린더(16)가 전후진 작동되면서 임펠러(8)가 교반기(7)의 내부에서 상하이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상하이동을 반복하는 임펠러(8)의 교반작용에 의해 교반기(7)내의 드로스와 플럭스가 혼합되면서 화학반응을 일으키게 되고, 그 화학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즉, 드로스와 플럭스가 화학반응을 일으키면,
상기한 바와같이 교반기(7)의 아연드로스와 플럭스는 임펠러(8)의 교반운동에 의해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순수아연과 재로 분리되고, 이때 재는 순수아연에 부유하게 된다.
그리고 교반기(7)에서의 화학반응이 완료되면 에어실린더(30)가 후진되면서 이동판(13)이 와이어로프(32)에 의해 상향 이동하게 되어 화학반응부(4)의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교반기(7)로 부터 발생되는 화학가스는 진공펌프(93)의 흡입력에 의해 배출구(11)로 흡입되고, 냉각박스(73)를 거치면서 냉각수노즐(92)로 부터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 상태로 배출관(72)을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한편 이동판(13)이 상승되어 원위치되면 교반기(7)의 순수아연에 부유되는 재를 제거하는 재제거부(14)의 전기모터(36)가 작동되면서 치결합되어 있는 기어(38,35)가 회전되고, 이 기어(35)의 회전에 의해 몸체(95)가 90。선회하게 되며, 이로써 버킷(61)이 교반기(7)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에어실린더(48)이 후진하게 되면 와이어로프(56)가 상승되면서 버킷(61)이 연결핀(58)을 중심으로 80。정도 회전되고, 에어실린더(39)를 전진시키면 와이어로프(42)에 의해 이동판(52)이 레일(47)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하향이동되는 이동판(52)에 의해 경사진 버킷(61)이 교반기(7) 내부에 들어가게 하고, 다시 에어실린더(48)를 전진시키어 경사진 버킷(61)을 수평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재가 버킷에 담기도록 한다.
또한 에어실린더(39)를 하강시키어 와이어로프(42)를 밑으로 잡아당기면 이동판(52)이 레일(47)을 따라서 상승되면서 버킷(61)이 교반기(7)로 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전기모터(36)를 다시 작동시켜 기어(38,35)를 회전시키면 몸체(95)가 역방향으로 90。선회되어 재가 담긴 버킷(61)이 박스(65)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에어실린더(48)가 후진되면 버킷(61)은 와이어로프(56)에 의해 후방측이 상승되면서 45。정도 기우러지고, 이때 버킷에 담겨져 있던 재가 박스(65)로 떨어지게 된다.
더욱이 에어실린더(62)를 전후진시키면서 임팩트(64)로 하여금 버킷(61)의 하면에 타격을 가하게 되면 버킷의 재(Ash)는 버킷의 요동에 의해 박스(65)로 완전히 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드로스포집부, 화학반응부, 재제거부로 구성되어 아연도금조로 부터 분리되는 드로스에서 80%이상의 순수아연을 회수할 수 있음으로써 원가절감이 가능하고,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에어실린더(66)에 의해 전후진되는 푸셔(69)가 아연도금조(2)의 부유드로스를 주입구(10)를 통해 교반기(7)내로 모으는 드로스포집단계와;
    상기 드로스포집단계에서 포집된 교반기(7)내의 드로스에 플럭스박스(18)의 플럭스를 주입한 후, 상기 교반기(7)내의 드로스와 플럭스를 임펠러(8)의 상하 교반운동을 이용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게 하여 순수아연과 재(Ash)로 변화시키고, 상기 화학반응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배출구(11)로 흡입된 다음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 상태로 배출관(72)를 통해 대기로 방출되는 화학반응단계와;
    상기 화학반응단계에서 발생되는 상기 교반기(7)의 부유재(Ash)를 버킷(61)으로 제거하여 박스(65)에 폐기하는 재제거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 부터 아연회수방법.
  2. 용융도금설비의 아연도금조(2)에 교반기(7)가 고정판(6)에 의해 주입구(10)의 상단까지 잠기게 되고, 상기 고정판(6)의 상면에 수직 고정되는 몸체(27)의 좌측면에 이동판(13)이 상기 에어실린더(30), 와이어로프(32), 회전롤(33,26)에 의해 상하이동되도록 수평 결합되며, 상기 이동판(13)에 설치된 에어실린더(16)에 의해 임펠러(8)가 상기 교반기(7)내를 상하이동되고, 상기 이동판(13)의 상면에 고정되는 박스(18)의 플럭스가 개폐되는 플럭스주입홀(13-2)을 통해 상기 교반기(7)에 투입되며, 상기 교반기(7)의 화학가스가 배출구(11)를 통해 흡입되면서 냉각된 상태로 배출관(72)를 통해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화학반응부(4)와;
    경사판(70-2)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66)의 푸셔(69)가 상기 아연도금조(2)의 부유드로스를 상기 교반기(7)의 주입구(10)를 통해 상기 교반기(7)내로 포집하도록 고정판(70-1)이 상기 교반기(7)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는 드로스포집부(71)와;
    모터(36)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38)와 치결합되는 종동기어(35)가 상기 교반기(7)의 상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종동기어(35)의 상면에 수직 고정되는 몸체(95)의 일측면에 이동판(52)이 에어실린더(39), 회전롤(43), 와이어로프(42)에 의해 상하이동되도록 수평 결합되며, 상기 이동판(52)의 일측단 하부에 고정스틸(57), 이동스틸(60)에 의해 지지되는 버킷(61)이 에어실린더(48), 와이어로프(56)에 의해 시소운동되고, 클램프(63)에 의해 고정되는 에어실린더(62)의 상단에 부착되는 임팩트(64)가 상기 버킷(61)의 후방부를 타격하도록 전후진되는 재제거부(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 부터 아연회수장치.
KR1019970008337A 1997-03-12 1997-03-12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부터 아연회수방법 및 그 장치 KR100312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337A KR100312127B1 (ko) 1997-03-12 1997-03-12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부터 아연회수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337A KR100312127B1 (ko) 1997-03-12 1997-03-12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부터 아연회수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186A true KR19980073186A (ko) 1998-11-05
KR100312127B1 KR100312127B1 (ko) 2001-12-12

Family

ID=3753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337A KR100312127B1 (ko) 1997-03-12 1997-03-12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부터 아연회수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1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473B1 (ko) * 2008-03-21 2008-10-31 동부제철 주식회사 아연드로스의 아연 재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802B1 (ko) * 2002-04-02 2004-06-04 문병원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장치
KR101461764B1 (ko) * 2012-12-27 2014-11-13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및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
KR20160069579A (ko) 2014-12-08 2016-06-17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탑 드로스 포집 및 제거장치
KR101633023B1 (ko) 2014-12-08 2016-06-24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탑 드로스 포집 및 제거장치
KR101696642B1 (ko) 2016-01-21 2017-01-18 (주)엠솔루션 도금욕조의 부유물질 부착방지부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3559A (en) * 1975-04-24 1977-01-18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Apparatus for recovery of metallic zinc from dross
US4165866A (en) * 1978-03-31 1979-08-28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Device for skimming floating material from a body of liquid
JPS5952939B2 (ja) * 1981-09-14 1984-12-22 日本鋼管株式会社 溶融亜鉛メツキ中に発生する浮遊ドロスから亜鉛を回収する方法
JPH0432544A (ja) * 1990-05-29 1992-02-04 Nippon Steel Corp 溶融亜鉛めっき浴浮遊ドロス中の亜鉛金属分離方法
JP3011022B2 (ja) * 1994-07-19 2000-02-21 日本鋼管株式会社 溶融金属めっき槽内ドロス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473B1 (ko) * 2008-03-21 2008-10-31 동부제철 주식회사 아연드로스의 아연 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2127B1 (ko) 200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127B1 (ko)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부터 아연회수방법 및 그 장치
CN106894033A (zh) 一种钢丝绳用酸洗溶液配制设备
CN112226628A (zh) 一种铝棒的熔炼工艺
CN106395274A (zh) 一种新型高温铝渣快速处理设备
CN211849309U (zh) 一种水利工程用污泥刮除装置
CN211199356U (zh) 一种铅膏泥中回收金属铅装置
CN218561558U (zh) 一种铝灰分离设备
CN106222433B (zh) 一种铝熔炼炉热铝渣快速处理与回收工艺及设备
CN206887251U (zh) 一种冶炼用湿法冶金装置
KR100504367B1 (ko) 용융아연 도금설비에서 징크파우더 회수장치
CN212987993U (zh) 一种用于矿石冶金的高温熔炉
CN213708444U (zh) 一种真空铌镍合金制备还原炉
CN212857750U (zh) 电解炉用移动式往复捞渣机
CN113930809A (zh) 一种适用于低锂氧化铝的铝电解系统
CN208333123U (zh) 一种改进型自动捞渣装置
KR100870761B1 (ko) 아연 회수율이 우수한 리커버리 장치
CN209652179U (zh) 炉渣水淬系统
CN212223141U (zh) 挂架处理槽
CN112301228A (zh) 一种高温铝渣分离装置
CN207547826U (zh) 一种火焰切割机的小尺寸工件回收和熔渣清理装置
CN220767073U (zh) 一种铝合金淬火加工上下料装置
CN212077139U (zh) 一种新型热浸镀锌锅的快速捞锌装置
CN212842878U (zh) 一种铝合金静置炉
CN217483229U (zh) 一种磁材加工系统
CN219470145U (zh) 一种铝合金熔炼废渣快速冷却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