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764B1 -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및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 - Google Patents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및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764B1
KR101461764B1 KR1020120154630A KR20120154630A KR101461764B1 KR 101461764 B1 KR101461764 B1 KR 101461764B1 KR 1020120154630 A KR1020120154630 A KR 1020120154630A KR 20120154630 A KR20120154630 A KR 20120154630A KR 101461764 B1 KR101461764 B1 KR 101461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ss
plating
port
plating por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4778A (ko
Inventor
권용훈
장태인
지창운
김정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4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76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06Charging or discharg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4Charging or discharging liquid or molten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는, 도금포트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도금포트의 탕면에 부유하는 상부 드로스를 밀어서 이동시켜 포집시키는 드로스 포집수단; 및 포집된 상부 드로스를 회수하여, 도금포트에 도금액을 공급하는 예비도금포트로 이송시키는 드로스 회수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드로스를 포집하는 드로스 포집수단과 드로스를 회수하는 드로스 회수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도금포트의 탕면에 부유하는 상부 드로스를 밀어서 이동시켜 포집시킨 후, 포집된 상부 드로스를 회수하여 도금포트에 도금액을 공급하는 예비도금포트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부 드로스를 조업자가 수동으로 제거하는 것을 자동화함으로써 고속조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도금강판의 생산량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된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 연속적으로 회수된 상부 드로스를 드로스용융포트에서 바로 용융하여 융융된 도금액을 예비도금포트로 공급함으로써, 상부 드로스를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재활용함에 따라 강판을 도금하는데 사용되는 도금원료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종래에 재활용하는데에 부수적으로 사용 및 지출되는 재처리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및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Apparatus for deleting top dross of plating pot and Method for recycling the top dross}
본 발명은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및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으로서, 상부 드로스를 제거하는 것을 자동화함으로써 고속조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도금강판의 생산량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 포집된 상부 드로스를 실시간 연속적으로 회수하여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재활용하도록 구성되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및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강판의 도금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스와이핑 장치에 의해 아연이 비산되어 상부 드로스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또한, 도 3(a)는 도금포트 내에 상부 드로스가 생성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도금포트 내의 상부 드로스가 생성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강판(1)의 도금공정 즉, 아연도금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코일의 강판(1)이 잔류 응력을 제거하도록 연속하여 가열로에서 열처리되어 아연도금에 적당한 온도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도금포트(2)의 용융아연(Z)를 통과하여 도금된다.
즉, 융용아연(Z)이 충진된 도금포트(2)의 싱크롤(3)과 안정화롤(스테빌라이징 롤)(4)들을 통과하여 도금된 강판(1)은 도금포트 상부에 배치되는 가스와이핑 장치(예컨대, 에어 나이프)(5)에서 수요가가 원하는 도금량으로 조정된다. 이때, 도 1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7, 8은 각각 도금량 측정기기 및 이송롤이다.
여기에서, 상기 가스와이핑 장치(5)는 작동유체로 압축공기나 압축질소가스를 사용하며, 노즐(6)로부터 가스를 분사하여 강판의 표면에 부착된 용융아연층에 충돌시킴으로써 도금 부착량을 조절한다.
상기 가스와이핑 장치(5)의 노즐(6)에서 분사된 가스가 용융아연층에 충돌할 때, 아연입자가 비산하며 비산된 아연입자가 도금강판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표면결함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가스와이핑 장치(5)의 노즐(6) 막힘을 발생시켜 조업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유출된 가스가 도금포트의 융용아연과 접촉됨으로써 용융아연의 산화작용으로 도금포트의 탕면에는 상부 드로스(9)를 생성시킨다
이와 같은 아연비산 및 상부 드로스(9)의 생성은 고속 박도금 조업시 더욱 심각해지며, 결과적으로 고속조업의 한계성으로 인하여 도금강판의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품질의 아연도금강판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고, 고속 박도금 조업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조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부 드로스(9)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야 한다.
조업속도가 140mpm에서 180mpm으로 증가하면, 상부 드로스(9) 발생량은 기존보다 2배 정도 대폭적으로 증가한다.
이때, 상부 드로스(9)의 제거작업은 현장 조업자의 전체 업무 중에서 60% ~ 70%를 차지할 정도로 조업성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원인이다.
도 4는 도금포트 내에 상부 드로스가 분포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드로스 제거작업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A영역은 상부 드로스 제거용 로봇(R)에 의해서 드로스 제거작업이 이루어지는 영역이며, B영역은 조업자(미도시)에 의해서 제거작업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나타낸다.
로봇(R)에 의한 제거작업은 고정용 로봇의 특성상 작업범위가 협소할 뿐만 아니라, 로봇(R)의 설치로 인하여 도금포트(2) 주변에 조업자의 활동공간을 제한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B영역은 로봇(R)의 작업이 불가능하여, 조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상부 드로스(9)를 수집하여, 드로스 수거박스에 모으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드로스 수거박스에 모아진 드로스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외부로 이동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부 드로스(9)를 조업자가 수동으로 제거함으로써 조업의 속도가 느림에 따라 도금강판의 생산량이 감소하는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조업자가 상부 드로스(9)를 드로스 수거박스에 모은 후, 수거된 상부 드로스(9)를 별도의 업체에 보내서 잉곳 상태로 재가공 처리하고 있는데, 재처리 시간 및 비용이 부수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상부 드로스를 제거하는 것을 자동화함으로써 고속조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도금강판의 생산량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로스 포집수단과, 포집된 상부 드로스를 실시간 연속적으로 회수하여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재활용하도록 드로스 회수수단이 구성되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및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는, 도금포트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도금포트의 탕면에 부유하는 상부 드로스를 밀어서 이동시켜 포집시키는 드로스 포집수단; 및 포집된 상부 드로스를 회수하여, 도금포트에 도금액을 공급하는 예비도금포트로 이송시키는 드로스 회수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드로스 포집수단은, 도금포트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스크류축; 상기 프레임에 설치고정되며 상기 스크류축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모터; 및 상기 스크류축에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축이 회전시 이동되면서 드로스를 포집하는 포집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포집부재는, 상기 스크류축에 체결된 이동블록; 상기 도금포트 측으로 상기 이동블록에 연장체결되되 실린더 구조로서 신축가능한 버킷암; 및 상기 버킷암의 단부에 체결되어 탕면의 드로스를 밀어서 포집하는 드로스버킷;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로스 포집수단은, 상기 포집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스크류축과 나란하게 배치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고정된 가이드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스 회수수단은, 포집된 상부 드로스를 상기 도금포트로부터 회수하는 회수부재; 및 상기 회수부재와 상기 예비도금포트로 연결된 연결라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회수부재는, 상기 도금포트 일측의 탕면에 접하여 상방연장된 회수관; 상기 회수관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스크류; 및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수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라인은, 상기 회수부재와 드로스 이송관에 의해 연결되며, 인덕션 히터가 내장되어 드로스를 도금액으로 용융시키는 드로스용융포트; 및 상기 도금액이 상기 예비도금포트로 수송되도록 상기 드로스용융포트와 예비도금포트를 연결하는 수송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송관은, 도금액을 수송되는 수송내관; 상기 수송내관을 감싸며 도금액을 용융점 이상으로 유지시키도록 유도가열하 는 유도코일; 및 상기 유도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수송내관을 감싸는 내화물;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도금포트의 탕면에 부유하는 드로스를 포집하는 드로스 포집단계; 및 포집된 상부 드로스를 회수하여 용융시켜 도금포트에 도금액으로 다시 공급하는 드로스 재활용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로스 재활용단계는, 포집된 상부 드로스를 드로스용융포트로 이송시키는 이송공정; 상기 드로스용융포트에서 이송된 상부 드로스를 도금액으로 용융시켜는 용융공정; 용융된 도금액을 상기 드로스용융포트에서 예비도금포트로 수송시키는 수송공정; 및 상기 예비도금포트에서 도금액을 도금포트로 다시 공급하는 재공급공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는, 드로스를 포집하는 드로스 포집수단과 드로스를 회수하는 드로스 회수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도금포트의 탕면에 부유하는 상부 드로스를 밀어서 이동시켜 포집시킨 후, 포집된 상부 드로스를 회수하여 도금포트에 도금액을 공급하는 예비도금포트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부 드로스를 조업자가 수동으로 제거하는 것을 자동화함으로써 고속조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도금강판의 생산량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상술된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 연속적으로 회수된 상부 드로스를 드로스용융포트에서 바로 용융하여 융융된 도금액을 예비도금포트로 공급함으로써, 상부 드로스를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재활용함에 따라 강판을 도금하는데 사용되는 도금원료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종래에 재활용하는데에 부수적으로 사용 및 지출되는 재처리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강판의 도금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스와이핑 장치에 의해 아연이 비산되어 상부 드로스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a)는 도금포트 내에 상부 드로스가 생성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도금포트 내의 상부 드로스가 생성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금포트 내에 상부 드로스가 분포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드로스 제거작업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및 공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에서 드로스 포집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7의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에서 드로스 회수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의 도 9의 드로스 회수수단에서 수송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는, 상부 드로스를 제거하는 것을 자동화함으로써 고속조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도금강판의 생산량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로스 포집수단과, 포집된 상부 드로스를 실시간 연속적으로 회수하여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재활용하도록 드로스 회수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및 공정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후술되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상부 드로스(9)를 포집하는 드로스 포집단계와, 포집된 상부 드로스(9)를 회수하는 드로스 재활용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드로스 포집단계는 도금포트(2)의 탕면에 부유하는 드로스를 포집하는 단계로서, 후술되는 드로스 포집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스 재활용단계는 포집된 상부 드로스를 회수하여 용융시켜 도금포트(2)에 도금액으로 다시 공급하는 예비도금포트(63)에 이송시키는 단계로서, 후술되는 드로스 회수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스 재활용단계는 포집된 상부 드로스(9)를 드로스용융포트(61)로 이송시키는 이송공정과, 상기 드로스용융포트(61)에서 이송된 상부 드로스(9)를 도금액으로 용융시켜는 용융공정, 그리고 용융된 도금액을 드로스용융포트(61)에서 아연잉곳(I)을 용융시키는 예비도금포트(63)로 수송시키는 수송공정, 마지막으로 상기 예비도금포트(63)에서 도금액을 도금포트(2)로 다시 공급하는 재공급공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드로스 재활용단계를 통하여, 도금포트(2)의 상부 드로스(9)를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재활용하여 사용함으로써 강판을 도금하는데 사용되는 도금원료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참고로, 종래에는 조업자가 상부 드로스(9)를 드로스 수거박스에 모은 후, 수거된 상부 드로스(9)를 별도의 업체에 보내서 잉곳 상태로 재가공 처리하고 있는데, 재처리 시간 및 비용이 부수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술된 본 발명의 상부 드로스(9) 재활용방법에서 사용되는 도금욕조의 상부 드로스(9) 제거장치에 대해,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9)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9) 제거장치에서 드로스 포집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7의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9) 제거장치에서 드로스 회수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의 도 9의 드로스 회수수단에서 수송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드로스 포집수단은 도금포트(2)의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되어, 도금포트(2)의 탕면에 부유하는 상부 드로스(9)를 밀어서 이동시켜 포집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금포트(2)의 프레임은 위치고정된 부재로서 어떠한 구조물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스 포집수단은 도금포트(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스크류축(10)과, 상기 스크류축(10)을 회전구동시키는 스크류모터(20), 및 상기 스크류축(10)에 체결된 포집부재(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류축(10)은 포집부재(30)가 도금포트(2)의 상부 드로스(9)를 포집할 수 있도록 도금포트(2)로부터 적정거리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모터(20)는 프레임에 설치고정되면서 스크류축(1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스크류축(10)의 일측 단부에 연결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체결되는 포집부재(30)를 도금포트(2)의 둘레를 따라 이동시키는 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는 부재라면 어떠한 부재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일례로서 리니어 레일시스템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재(30)는 스크류축(10)에 체결되어 스크류축(10)이 회전시 이동되면서 드로스를 포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포집부재(30)는 스크류축(10)에 체결된 이동블록(31), 상기 이동블록(31)에 체결된 버킷암(32), 및 상기 버킷암(32)의 단부에 체결된 드로스버킷(33)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블록(31)은 내부에 스크류축(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볼베어링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버킷암(32)은 도금포트(2) 측으로 상기 이동블록(31)에 연장체결되되 실린더 구조로서 신축가능한 구성을 지닌다.
아울러, 상기 드로스버킷(33)은 버킷암(32)의 단부에 체결되어 탕면의 드로스를 밀어서 포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일례로서 적정 너비의 판재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드로스 포집수단은 프레임에 설치고정된 가이드바(4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바(40)는 포집부재(3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스크류축(10)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드로스 포집수단에 의해 포집된 상부 드로스(9)를 회수하기 위해 드로스 회수수단이 구성되는데, 이러한 드로스 회수수단은 포집된 상부 드로스(9)를 회수하여 도금포트(2)에 도금액을 공급하는 예비도금포트(63)에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스 회수수단은 포집된 상부 드로스(9)를 도금포트(2)로부터 회수하는 회수부재(50)와, 상기 회수부재(50)와 예비도금포트(63)로 연결된 연결라인(6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수부재(50)는 도금포트(2) 일측의 탕면에 접하여 상방연장된 회수관(51)과, 상기 회수관(51)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스크류(52), 및 상기 회전스크류(52)의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수모터(5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라인(60)은 회수부재(50)와 드로스 이송관에 의해 연결된 드로스용융포트(61), 및 상기 드로스용융포트(61)와 예비도금포트(63)를 연결하는 수송관(6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로스용융포트(61)는 인덕션 히터가 내장되어 드로스를 도금액으로 용융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수송관(62)은 도금액을 예비도금포트(63)로 수송하도록 드로스용융포트(61)와 예비도금포트(63)를 연결하는 구조를 취한다.
나아가, 상기 수송관(62)은 도금액을 수송되는 수송내관(62a)과, 상기 수송내관(62a)을 감싸는 유도코일(62b), 및 상기 수송내관(62a)을 감싸는 내화물(62c)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코일(62b)은 도금액이 수송되는 과정에서 굳어서 수송내관(62a)을 막지 않도록 도금액을 용융점 이상으로 유지시키도록 유도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내화물(62c)은 유도코일(62b)을 포함하여 수송내관(62a)을 감싸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부 드로스(9) 제거장치는, 드로스를 포집하는 드로스 포집수단과 드로스를 회수하는 드로스 회수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도금포트(2)의 탕면에 부유하는 상부 드로스(9)를 밀어서 이동시켜 포집시킨 후, 포집된 상부 드로스(9)를 회수하여 도금포트(2)에 도금액을 공급하는 예비도금포트(63)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부 드로스(9)를 조업자가 수동으로 제거하는 것을 자동화함으로써 고속조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도금강판의 생산량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된 상부 드로스(9)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 연속적으로 회수된 상부 드로스(9)를 드로스용융포트(61)에서 바로 용융하여 융융된 도금액을 예비도금포트(63)로 공급함으로써, 상부 드로스(9)를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재활용함에 따라 강판을 도금하는데 사용되는 도금원료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종래에 재활용하는데에 부수적으로 사용 및 지출되는 재처리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스크류축 20 : 스크류모터
30 : 포집부재 31 : 이동블록
32 : 버킷암 33 : 드로스버킷
40 : 가이드바 50 : 회수부재
51 : 회수관 52 : 회전스크류
53 : 회수모터 60 : 연결라인
61 : 드로스용융포트 62 : 수송관
62a : 수송내관 62b : 유도코일
62c : 내화물 63 : 예비도금포트

Claims (10)

  1. 도금포트(2)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도금포트(2)의 탕면에 부유하는 상부 드로스(9)를 밀어서 이동시켜 포집시키는 드로스 포집수단; 및 포집된 상부 드로스(9)를 회수하여, 도금포트(2)에 도금액을 공급하는 예비도금포트(63)로 이송시키는 드로스 회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드로스 회수수단은, 포집된 상부 드로스(9)를 상기 도금포트(2)로부터 회수하는 회수부재(50); 및 상기 회수부재(50)와 상기 예비도금포트(63)로 연결된 연결라인(60);을 구비하며,
    상기 회수부재(50)는, 상기 도금포트(2) 일측의 탕면에 접하여 상방연장된 회수관(51); 상기 회수관(51)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스크류(52); 및 상기 회전스크류(52)의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수모터(5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스 포집수단은,
    도금포트(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스크류축(10);
    상기 프레임에 설치고정되며 상기 스크류축(10)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모터(20); 및
    상기 스크류축(10)에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축(10)이 회전시 이동되면서 드로스를 포집하는 포집부재(3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재(30)는,
    상기 스크류축(10)에 체결된 이동블록(31);
    상기 도금포트(2) 측으로 상기 이동블록(31)에 연장체결되되 실린더 구조로서 신축가능한 버킷암(32); 및
    상기 버킷암(32)의 단부에 체결되어 탕면의 드로스를 밀어서 포집하는 드로스버킷(33);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스 포집수단은,
    상기 포집부재(3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스크류축(10)과 나란하게 배치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고정된 가이드바(40);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60)은,
    상기 회수부재(50)와 드로스 이송관에 의해 연결되며, 인덕션 히터가 내장되어 드로스를 도금액으로 용융시키는 드로스용융포트(61); 및
    상기 도금액이 상기 예비도금포트(63)로 수송되도록 상기 드로스용융포트(61)와 예비도금포트(63)를 연결하는 수송관(62);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관(62)은,
    도금액을 수송되는 수송내관(62a);
    상기 수송내관(62a)을 감싸며 도금액을 용융점 이상으로 유지시키도록 유도가열하 는 유도코일(62b); 및
    상기 유도코일(62b)을 포함하여 상기 수송내관(62a)을 감싸는 내화물(62c);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도금포트(2)의 탕면에 부유하는 드로스를 포집하는 드로스 포집단계; 및
    포집된 상부 드로스(9)를 회수하여 용융시켜 도금포트(2)에 도금액으로 다시 공급하는 드로스 재활용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스 재활용단계는,
    포집된 상부 드로스(9)를 드로스용융포트(61)로 이송시키는 이송공정;
    상기 드로스용융포트(61)에서 이송된 상부 드로스(9)를 도금액으로 용융시켜는 용융공정;
    용융된 도금액을 상기 드로스용융포트(61)에서 예비도금포트(63)로 수송시키는 수송공정; 및
    상기 예비도금포트(63)에서 도금액을 도금포트(2)로 다시 공급하는 재공급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
KR1020120154630A 2012-12-27 2012-12-27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및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 KR101461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630A KR101461764B1 (ko) 2012-12-27 2012-12-27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및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630A KR101461764B1 (ko) 2012-12-27 2012-12-27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및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778A KR20140084778A (ko) 2014-07-07
KR101461764B1 true KR101461764B1 (ko) 2014-11-13

Family

ID=5173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630A KR101461764B1 (ko) 2012-12-27 2012-12-27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및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7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542A (ko) * 2020-08-27 2022-03-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
KR20220068040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포스코 드로스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536B1 (ko) * 2014-12-08 2015-07-10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탑 드로스 포집 및 제거장치
KR101650462B1 (ko) * 2014-12-26 2016-08-23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WO2016105047A1 (ko) * 2014-12-26 2016-06-30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KR101673546B1 (ko) 2015-10-02 2016-11-07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JP7008543B2 (ja) * 2018-03-07 2022-01-25 日本製鉄株式会社 ドロス除去装置及びドロス除去方法
KR102173274B1 (ko) * 2018-10-05 2020-11-03 주식회사 포스코 드로스 배출설비 및 배출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1430A (ja) * 1995-10-12 1997-04-28 Hitachi Ltd 溶融金属めっき浴再生方法及び設備
JPH10330859A (ja) * 1997-05-28 1998-12-15 Kawasaki Steel Corp 亜鉛回収装置
KR100312127B1 (ko) * 1997-03-12 2001-12-12 이구택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부터 아연회수방법 및 그 장치
KR100870761B1 (ko) * 2002-06-11 2008-11-26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 회수율이 우수한 리커버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1430A (ja) * 1995-10-12 1997-04-28 Hitachi Ltd 溶融金属めっき浴再生方法及び設備
KR100312127B1 (ko) * 1997-03-12 2001-12-12 이구택 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로부터 아연회수방법 및 그 장치
JPH10330859A (ja) * 1997-05-28 1998-12-15 Kawasaki Steel Corp 亜鉛回収装置
KR100870761B1 (ko) * 2002-06-11 2008-11-26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 회수율이 우수한 리커버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542A (ko) * 2020-08-27 2022-03-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
KR102466722B1 (ko) * 2020-08-27 2022-11-15 현대제철 주식회사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
KR20220068040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포스코 드로스 제거장치
KR102452449B1 (ko) 2020-11-18 2022-10-11 주식회사 포스코 드로스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778A (ko)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764B1 (ko)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및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
CN104411443A (zh) 使用激光束和丝从切割接头移除材料的方法和系统
WO2010123158A1 (ja) 溶融亜鉛めっき鋼管のブロー装置及びそのブロー装置を用いた溶融亜鉛めっき鋼管の製造方法
CN104827168B (zh) 大面积金属壁面现场修补堆焊方法
CN207873067U (zh) 一种铜杆连铸连轧生产线
CN109513892B (zh) 带材线整机
CN102086490B (zh) 分离锡渣的方法
TWI593805B (zh) 金屬回收方法
CN105861786B (zh) 铁屑制作轴承材料的方法
KR950008531B1 (ko) 용선표면 응고지금의 용해방법 및 용해장치
CN206122211U (zh) 清洁装置
JP5273581B2 (ja) ガラス板製造方法
CN117210782B (zh) 一种适用于钻头的等离子熔覆设备及其熔覆工艺
CN211588506U (zh) 一种熔炼震动浇筑装置
US99949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semi-finished copper products as well as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a wash
CN205290035U (zh) 中部槽等离子堆焊机
CN219746616U (zh) 一种大型结构件提升臂的焊接加固结构
CN217222213U (zh) 一种使水性胶黏剂涂胶均匀的装置
KR101586394B1 (ko) 절단장치
CN219944905U (zh) 一种大型结构件提升臂焊接结构、加热装置
CN212894931U (zh) 一种等离子熔覆机喷嘴的固定装置
CN219746615U (zh) 一种大型结构件提升臂的焊接加固结构
CN210878124U (zh) 角度可控型预应力钢棒倒角装置
CN220901842U (zh) 一种圆盘浇铸机补喷装置
KR20240047624A (ko) 슬라브 사이드 스케일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카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