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542A -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 - Google Patents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542A
KR20220027542A KR1020200108529A KR20200108529A KR20220027542A KR 20220027542 A KR20220027542 A KR 20220027542A KR 1020200108529 A KR1020200108529 A KR 1020200108529A KR 20200108529 A KR20200108529 A KR 20200108529A KR 20220027542 A KR20220027542 A KR 20220027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bath
blade bar
bath
hot
d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722B1 (ko
Inventor
박태준
최소영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8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722B1/ko
Publication of KR2022002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atch coating of substrate
    • C23C2/00322Details of mechanisms for immersing or removing substrate from molten liquid bath, e.g. basket or lifting mechanis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5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생산 공정 중 용융아연이 수용된 도금조의 탕면에 부유하는 드로스를 제거할 수 있는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생산 공정 중 스트립(Strip)을 도금하는 용융아연이 수용된 도금조의 양측부에 상기 스트립의 공정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금조의 탕면에 부유하는 드로스(Dross)를 제거하는 블레이드 바와, 상기 블레이드 바를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Device for removing dross of galvanized bath and hot-dip galvanizing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생산 공정 중 용융아연이 수용된 도금조의 탕면에 부유하는 드로스를 제거할 수 있는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에 관한 것이다.
용융아연 도금설비는 고온의 스트립 표면에 아연 피막을 도금하기 위해 아연 잉곳을 450도 이상의 고온 용융상태로 용해시켜 고온의 스트립 표면에 아연 피막을 도금하는 용탕 설비이다. 이러한, 용융아연 도금설비는, 외기와의 온도차 및 수직스트립 표면에 충돌 후 용탕면으로 유동하는 에어나이프의 토출 와이핑 에어와의 접촉에 의한 아연산화 등으로 인해 도금조의 탕면에 응고 아연인 탑 드로스(Top Dross)가 상시 발생하게 된다. 특히, 도금 스트립의 내식성 강화와 표면 품질 개선 등을 위해 알루미늄, 망간, 실리콘 등 다양한 합금 원소 성분이 첨가되면서 외부 인자(온도차, 와이핑 가스접촉에 따른 산화 등)에 의한 탑 드로스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탑 드로스는, 도금조의 탕면에 부유하게 되고, 도금 스트립의 표면에 다시 응착되어 에어나이프의 가스 와이핑 과정에서 스트립 표면에 충돌하는 에어에 의한 비산으로 도금 표면에 결함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으며, 도금조의 하부로 침전된 드로스는 싱크롤과 스트립 사이에 침투되어 도금 표면 결함 발생 및 싱크롤 표면손상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는, 특정 부유 설비를 도금조의 탕면에 띄워 에어나이프 부근에 가이드를 설치함으로써 탑 드로스를 포집하는 등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었으나, 종래의 방법들은 도금조 상부의 공간을 협소하게 만들어 작업자의 스키밍(Skimming) 효율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포집 장비 또는 이물질 이송 장비에 탑 드로스가 굳어 설비 관리가 어려우며, 거대한 설비 구조로 인한 도금조 상부 조업 현황 파악 불가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금조에서 상대적으로 공간이 협소하여 드로스가 상대적으로 많이 고착되는 도금조 양측면 구간의 드로스를 도금조의 전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도금조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서 작업자 또는 로봇의 드로스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도와줄 수 있는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생산 공정 중 스트립(Strip)을 도금하는 용융아연이 수용된 도금조의 양측부에 상기 스트립의 공정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금조의 탕면에 부유하는 드로스(Dross)를 제거하는 블레이드 바; 상기 블레이드 바를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블레이드 바는, 상기 도금조에서 상기 스트립이 상기 도금조로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스나우트(Snout) 및 상기 도금조를 통과한 상기 스트립에 부착된 용융아연의 두께를 조절하는 에어나이프(Air knife)와, 상기 도금조의 측벽부 사이의 영역에서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금조의 탕면에 부유하는 드로스의 제거 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 바의 적어도 일부분이 탕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블레이드 바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 후, 작업자가 위치한 상기 도금조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로 상기 드로스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 바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레이드 바의 상기 도금조의 탕면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용융아연이 응고되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블레이드 바를 상기 도금조의 탕면 아래로 하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블레이드 바를 전후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평 구동체; 및 상기 도금조의 측벽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구동체를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직 구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도금조의 측벽부에 설치되고, 벨트 구동체 또는 체인 구동체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바를 폐 루프(Closed loop)로 순환 구동시키는 순환 구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블레이드 바는, 상기 도금조의 측벽부에 외팔보 형태로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블레이드 바는, 용융아연이 응고되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 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 바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용융아연 도금 설비가 제공된다. 상기 용융아연 도금 설비는, 용융아연이 수용된 도금조; 일측이 가열 설비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도금조의 탕면에 침지되어, 상기 가열 설비에서 열처리된 스트립을 상기 도금조로 도입시키는 스나우트; 상기 도금조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도금조를 통과한 상기 스트립에 부착된 용융아연의 두께를 조절하는 에어나이프; 및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금조에서 상대적으로 공간이 협소하여 드로스가 상대적으로 많이 고착되는 도금조 양측면 구간의 드로스를 도금조의 전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도금조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서 작업자 또는 로봇의 드로스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수동 스키밍 영역 축소로 인한 도금조의 레벨 편차를 저감시키고, 작업자가 상대적으로 작업 공간이 넓은 도금조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서만 스키밍 작업을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의 설비로 저비용으로 고효율의 드로스 제거 효과를 가지는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제조 공정에서의 용융아연 도금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용융아연 도금 설비에 설치된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정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제조 공정(10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제조 공정(1000)에서의 용융아연 도금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용융아연 도금 설비에 설치된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100, 200)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정면도들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제조 공정의 설비는, 크게, 용접 설비(600)와, 가열 설비(700)와, 압연 설비(800)와, 후처리 설비(900) 및 도금조(300)와 스나우트(400) 및 에어나이프(500)로 구성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간압연 또는 열간 압연된 후 코일링된 강판을 페이오프릴(C1)에 장착하고 용접 설비(600)를 통해 선행과 후행 스트립(S) 간의 용접을 완료하고, 스트립(S)을 원하는 재질강도와 용융아연도금 시 도금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열 설비(700)에서 열처리를 할 수 있다.
이어서, 열처리가 완료된 스트립(S)은 용융아연도금 공정에 적당한 온도로 유지된 채 용융아연 도금 설비의 도금조(300)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고온으로 열처리된 스트립(S)이 대기에 노출됨으로써 발생되는 스트립(S) 표면의 산화와 이로 인한 도금박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트립 유도 설비인 스나우트(400)를 통해 인입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스나우트(400)는, 일측이 가열 설비(700)와 연결되고 타측이 도금조(300)의 탕면에 침지되어, 가열 설비(700)에서 열처리된 스트립(S)을 도금조(300)로 도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나우트(400)의 내부에는, 스트립(S) 표면의 산화에 의한 도금박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불활성가스(HNx)가 충진될 수 있다.
이어서, 스나우트(400)를 통과한 스트립(S)은 용융아연(Z)이 수용된 도금조(300)에서 도금된 후, 도금조(300)의 상방에 설치되어 스트립(S)에 부착된 용융아연(Z)의 두께를 조절하는 에어나이프(500)에 의해 미리 설정된 두께로 도금 부착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금이 완료된 스트립(S)은, 압연 설비(800)에서 조질 압연을 거쳐 표면이 미려한 상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후, 형상교정기와 내식성 확보를 위한 후처리 및 절단기를 포함하는 후처리 설비(900)를 거쳐 텐션릴(C2)에 권취됨으로써 최종 제품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제조 공정에서의 용융아연 도금 설비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설비(700)와 연결되고 도금조(300)의 탕면에 침지되는 스나우트(400)를 통해 용융아연(Z)이 수용된 도금조(300)로 스트립(S)이 도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금조(300) 내부에 침지된 싱크롤(Sink Roll)(R1)과 그 직상부에 설치된 스테빌라이징롤(Stabilizing Roll)(R2)에 의해 스트립(S)은 그 패스라인이 도금조(300)의 직상부로 수직하게 변경되면서 연속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금조(300) 내부에 수용된 용융아연(Z)이 스트립(S)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후, 싱크롤(R1)을 통과한 스트립(S)은, 그 직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스테빌라이징롤(R2) 사이를 통과하면서 휨이 교정되고, 에어나이프(500)를 통과하면서 용융아연(Z)의 표면 부착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용융아연 도금 설비는, 외기와의 온도차 및 수직 방향으로 이송되는 스트립(S) 표면에 충돌 후 도금조(300)의 탕면으로 유동하는 에어나이프(500)의 에어와의 접촉에 의한 금속산화 등으로 인해 도금조(300)의 탕면에 드로스(Dross)가 발생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나우트(400)의 양측면에는 메탈펌프(41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메탈펌프(410)는, 도금조(300)의 탕면에 일부가 잠겨서 가동되며, 스트립(S)이 용융아연을 도금하는 과정에서 도금조(300)에 담겨있는 용융아연(Z)을 다른 도금조로 옮긴다던지 공정 중에 애쉬(Ash)와 같은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융아연 도금 설비에서 스나우트(400)와 그 양측에 설치된 메탈펌프(410)에 의해 도금조(300)의 양측부는 상대적으로 공간이 협소하여 드로스(D)가 상대적으로 많이 고착될 수 있다.
이러한, 협소 구간(A)에 드로스(D)가 고착될 경우에는, 작업자(W)가 도금조(300)의 측벽부(310)로 이동해서 스키밍 작업을 해야할 수 있다. 그러나, 도금조(300)의 전면부(320) 및 후면부(330)의 경우 작업 공간이 넓어 작업자(W)의 접근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로봇을 활용하여 도금조(300) 전면부(320) 및 후면부(330)의 드로스(D)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나, 도금조(300)의 측면부(310)는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자(W)의 진입이 어려우며 로봇의 활용 또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100)를 이용하여 드로스(D)가 상대적으로 많이 고착되는 도금조(300)의 측면부(310) 구간의 드로스(D)를 도금조(300)의 전면부(320) 또는 후면부(330)로 밀어냄으로써, 작업자(W) 또는 로봇의 드로스(D)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도와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100)는, 크게, 블레이드 바(110)와 구동부(12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바(110)는, 일자형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생산 공정 중 스트립(S)을 도금하는 용융아연(Z)이 수용된 도금조(300)의 양측부에 스트립(S)의 공정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금조(300)의 탕면에 부유하는 드로스(D)를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블레이드 바(110)는, 도금조(300)의 측벽부(310)에 후술될 구동부(120)에 의해 외팔보 형태로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바(110)는, 도금조(300)의 음영 구역인 스나우트(400) 및 에어나이프(500)와, 도금조(300)의 측벽부(310) 사이의 영역(A)에서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을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 바(110)는, 사용 수명의 향상을 위해 STS316급의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가적인 W/C코팅 등을 통해 사용 수명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생산 라인마다 도금조(300) 양측면의 협소 구간의 면적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 바(110)의 길이는 각 생산 라인의 실정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20)는, 블레이드 바(110)를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고, 구동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는,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구동부(120)는, 블레이드 바(110)를 전후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평 구동체(121) 및 도금조(300)의 측벽부(310)에 설치되어 수평 구동체(121)를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직 구동체(122)에 의해, 블레이드 바(110)를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수평 구동체(121) 및 수직 구동체(122)는, 리니어 액츄에이터 등 블레이드 바(110)를 일직선 방향으로 왕복시킬 수 있는 매우 다양한 구동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도금조(300)의 탕면에 부유하는 드로스(D)의 제거 시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블레이드 바(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탕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블레이드 바(1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 후, 작업자(W)가 위치한 도금조(300)의 전면부(320) 또는 후면부(330)로 드로스(D)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블레이드 바(1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소정 시간 간격으로 블레이드 바(110)를 도금조(300)의 탕면 아래로 하강시킨 후 일정 시간 후 다시 상승시킴으로써, 블레이드 바(110)의 도금조(300)의 탕면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용융아연(Z)이 응고되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시되진 않았지만 블레이드 바(110)의 내부에 히터가 설치되어 블레이드 바(110)를 소정의 가열 온도로 계속해서 유지시킴으로써, 블레이드 바(110)에 용융아연(Z)이 응고되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200)와 같이, 구동부(120)는, 도금조(300)의 측벽부(310)에 설치되고, 롤러 부재(123a)에 의해 폐 루프(Closed loop)를 가지는 벨트 구동체 또는 체인 구동체로 형성되어 블레이드 바(110)를 폐 루프로 순환 구동시키는 순환 구동체(120)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 바(110)가 순환 구동체(120)에 의해 폐 루프로 순환 구동할 경우, 상기 제어부의 별도 제어가 없이도 블레이드 바(110)가 전진방향 또는 후진방향으로 구동하면서 주기적으로 도금조(300)의 탕면 아래로 하강됨으로써, 블레이드 바(110)에 용융아연(Z)이 응고되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 들에 따른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100, 200)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는, 도금조(300)에서 상대적으로 공간이 협소하여 드로스(D)가 상대적으로 많이 고착되는 도금조(300) 양측면 구간의 드로스(D)를 도금조(300)의 전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도금조(3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서 작업자(W) 또는 로봇의 드로스(D)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도와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 들에 따른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100, 200)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는, 작업자(W)의 수동 스키밍 영역 축소로 인한 도금조(300)의 레벨 편차를 저감시키고, 작업자(W)가 상대적으로 작업 공간이 넓은 도금조(300)의 전면부(320) 또는 후면부(330)에서만 스키밍 작업을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의 설비로 저비용으로 고효율의 드로스 제거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110: 블레이드 바
120: 구동부
300: 도금조
310: 측벽부
320: 전면부
330: 후면부
400: 스나우트
500: 에어나이프
600: 용접 설비
700: 가열 설비
800: 압연 설비
900: 후처리 설비
D: 드로스
Z: 용융아연
S: 스트립
1000: 용융아연도금 강판 제조 공정

Claims (9)

  1.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생산 공정 중 스트립(Strip)을 도금하는 용융아연이 수용된 도금조의 양측부에 상기 스트립의 공정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금조의 탕면에 부유하는 드로스(Dross)를 제거하는 블레이드 바;
    상기 블레이드 바를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바는,
    상기 도금조에서 상기 스트립이 상기 도금조로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스나우트(Snout) 및 상기 도금조를 통과한 상기 스트립에 부착된 용융아연의 두께를 조절하는 에어나이프(Air knife)와, 상기 도금조의 측벽부 사이의 영역에서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금조의 탕면에 부유하는 드로스의 제거 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 바의 적어도 일부분이 탕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블레이드 바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 후, 작업자가 위치한 상기 도금조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로 상기 드로스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 바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레이드 바의 상기 도금조의 탕면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용융아연이 응고되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블레이드 바를 상기 도금조의 탕면 아래로 하강시키는,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블레이드 바를 전후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평 구동체; 및
    상기 도금조의 측벽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구동체를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직 구동체;
    를 포함하는,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도금조의 측벽부에 설치되고, 벨트 구동체 또는 체인 구동체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바를 폐 루프(Closed loop)로 순환 구동시키는 순환 구동체;
    를 포함하는,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바는,
    상기 도금조의 측벽부에 외팔보 형태로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바는,
    용융아연이 응고되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 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 바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
    를 포함하는,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9. 용융아연이 수용된 도금조;
    일측이 가열 설비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도금조의 탕면에 침지되어, 상기 가열 설비에서 열처리된 스트립을 상기 도금조로 도입시키는 스나우트;
    상기 도금조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도금조를 통과한 상기 스트립에 부착된 용융아연의 두께를 조절하는 에어나이프; 및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
KR1020200108529A 2020-08-27 2020-08-27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 KR102466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529A KR102466722B1 (ko) 2020-08-27 2020-08-27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529A KR102466722B1 (ko) 2020-08-27 2020-08-27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542A true KR20220027542A (ko) 2022-03-08
KR102466722B1 KR102466722B1 (ko) 2022-11-15

Family

ID=8081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529A KR102466722B1 (ko) 2020-08-27 2020-08-27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6715A (zh) * 2022-05-07 2022-10-21 徐春生 一种热镀锌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232B1 (ko) * 2006-12-06 2007-06-25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시스템
KR101461764B1 (ko) * 2012-12-27 2014-11-13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및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
KR101535536B1 (ko) * 2014-12-08 2015-07-10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탑 드로스 포집 및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232B1 (ko) * 2006-12-06 2007-06-25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시스템
KR101461764B1 (ko) * 2012-12-27 2014-11-13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및 상부 드로스 재활용방법
KR101535536B1 (ko) * 2014-12-08 2015-07-10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탑 드로스 포집 및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6715A (zh) * 2022-05-07 2022-10-21 徐春生 一种热镀锌系统
CN115216715B (zh) * 2022-05-07 2024-05-03 山东誉诚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热镀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722B1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6145A (en) Method for coating one side only of steel strip with molten coating metal
US9689063B2 (en) Electromagnetic wiping device, plated steel sheet wiping apparatus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ted steel sheet
KR101353197B1 (ko) 강판 도금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JP5947905B2 (ja) 鋼帯材に熱浸漬被覆する方法およびそれを実現する設備
RU2237743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протяженного изделия, ли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220027542A (ko)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
JP2010202951A (ja) 溶融金属めっき鋼線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RU2590787C2 (ru)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покрытия на стальной ленте
RU233880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на металл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погружением в расплав
JP3979955B2 (ja) ボトムドロス除去装置
JPH10226864A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2842204B2 (ja) 連続溶融めっき方法及びその装置
JP3470416B2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装置のスナウト
JPH11172400A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装置及び連続溶融金属めっき方法
JP3264846B2 (ja) 溶融金属めっき方法
JP3745730B2 (ja) 美麗な表面外観を有する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H04154948A (ja) 溶融亜鉛浴槽
JP3497353B2 (ja) 溶融金属めっき方法および溶融金属めっき装置
JP2897583B2 (ja) 溶融亜鉛めっき浴中のドロスの除去方法および装置
JP4912831B2 (ja)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装置および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4005841B2 (ja)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H0623561Y2 (ja) ガルバニール炉内の酸化亜鉛除去装置
JPH05156417A (ja) 溶融金属メッキ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焼鈍炉
JP3302280B2 (ja) 溶融金属めっき装置および溶融金属めっき方法
JPH0266145A (ja) メッキ鋼板,冷延鋼板兼用製造設備の消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