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1665A - 편향 요크 및 편향 요크 코어 - Google Patents

편향 요크 및 편향 요크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665A
KR19980071665A KR1019980005852A KR19980005852A KR19980071665A KR 19980071665 A KR19980071665 A KR 19980071665A KR 1019980005852 A KR1019980005852 A KR 1019980005852A KR 19980005852 A KR19980005852 A KR 19980005852A KR 19980071665 A KR19980071665 A KR 19980071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group
deflection
magnetic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4755B1 (ko
Inventor
히데오 히시키
츠토무 야시로
다카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스즈이 다케오
닛폰 비쿠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964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3317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545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474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545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47461A/ja
Application filed by 스즈이 다케오, 닛폰 비쿠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즈이 다케오
Publication of KR1998007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1Cores for field producing elements, e.g. ferrite

Landscapes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RT(음극선관)의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하기 위한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편향요크는 CRT의 소경부를 갖는 네크 튜브와 CRT의 대경부를 갖는 퍼널 사이의 위치에서 CRT에 장착된다. 편향요크는 CRT에서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기 위한 수평 편향코일과, CRT에서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기 위한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을 덮기 위하여 퍼널(funnel)의 측면에 있는 한 단부에서 대경부를 가지고 네크 튜브의 측면의 다른 단부에서 소경부를 갖는 콘(cone)형의 요크 코어를 포함한다. 상기 요크 코어는 가열에 의해 경화된 성형 자성체로 제조된다. 성형 자성체는 구성단위로서 아미노퀴논족을 갖는 혼합물로된 표면처리제로 처리된 자성 파우더와 수지로서 구성된 바인더(binde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편향 요크 및 편향 요크 코어
본 발명은 CRT(음극선관)에서 사용되는 편향요크와, 이 편향요크에 사용되는 요크 코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수렴(misconvergence)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는 편향요크 및 와류 손실과 같은 코어 손실이 적은 특성과, 정밀한 치수 및 우수한 자성을 갖는 요크 코어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및 컴퓨터 네트웍과 같은 컴퓨터의 표시장치나 또는 고선명 화상용 표시장치로서 사용되는 컬러 CRT 표시장치에서는 컬러 편차가 적고 기하학적 왜곡이 적은 고정밀 표시성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하여 자계를 만드는 편향 요크 시스템(이하 편향요크 라고 한다)에서는 필요한 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해 발생된 자계의 고정밀 성능을 필요로 한다.
도 1은 편향요크를 장착한 CRT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쇄된 관으로서의 CRT는 대체로 패널(1; panel), 퍼널(2; funnel) 및 네크 튜브(3; neck tube)를 포함한다. 또한, 편향요크(4)는 대체로 수평 편향코일(도시되지 않음), 플라스틱제의 분리기(도시되지 않음), 수직 편향코일(도시되지 않음) 및 편향요크 코어(5; 이하 요크 코어라고 한다)를 포함한다. 상기 요크 코어(5)는 수직 및 수평코일의 외부를 덮도록 장착된다.
편향요크(4)는 네크 튜브(3)의 말단부에서 삽입되는 퍼널(2)에 장착된다. 편향요크(4)는 네크 튜브(3)에 설치된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킨다.
네크 튜브(3)의 말단부 부근의 퍼널(2)은 CRT의 양호한 생산성을 허용하도록 원추형이다. 퍼널(2)의 단면은 어느 위치에서도 원형이 되고, 이 단면의 중심은 CRT의 축선과 일치한다.
일반적으로, 퍼널(2)에 장착되는 편향요크(4)의 요크 코어(5)는 퍼널(2)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추형을 가진다.
원추형 형상을 갖는 요크코어(5)는 하기와 같이 형성된다.
도 2는 요크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금속 주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금속 주형의 하부 금속금형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구멍(9)을 한정하는 지지베이스(10)에는 하부 금속 주형(11)이 부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 코어(5)를 성형한 후에 두 부품으로 분할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한 쌍의 돌출리브(15)가 하부 금속주형(11)의 내부벽에 형성되어 요크 코어(5)에 분리홈(14)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 금속금형(11)의 원형단면의 중심선(11a)에 관하여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한, 각 돌출리브(14)의 양측면에는 요크 코어(5)에 한쌍의 부착홈을 형성하기 위한 한쌍의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중심에 형성된 수용구멍(9)에는 상부 금속 주형(13)의 한 부분이 알맞게 끼워진다.
하부 금속 주형(11)과 상부 금속 주형(13) 사이에는, Mg-Zn, Ni-Zn 또는 Mn-Zn으로 제조된 페라이트 자성 파우더(12)가 주입되고, 상기 자성 파우더(12)는 상부 금속 주형(13)을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A1의 방향으로 하부로 미는 것에 의하여 소정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술한 요크 코어(5)를 위한 일차 제품은 이하에서 성형품(5')이라고 말한다.
도 4는 요크 코어를 위한 성형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성형품(5')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소결한 후에 성형품(5')은 요크 코어(5)로 바뀐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성형품(5')이 소결되면 그 치수는 수축때문에 약간 줄어든다. 도 4에서, 요크 코어(5) 및 성형품(5')은 소결후의 치수 변화를 무시하고 동일한 그림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분리홈(6)이 형성되어 있고, 성형품(5'; 요크 코어(5))에 금속 피팅(8)을 부착하기 위한 각각의 분리홈(6)의 양측면에 부착홈(7)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품(5'; 요크 코어(5))의 내부벽(5a'; 5a)은 원추형이다.
소결후에, 성형품(5'; 요크 코어(5))은 분리홈(6)을 사용하여 두 부품으로 분리된다. 다음에, 두 부품은 아래에 설명된 원추형의 분리기(도시되지 않음)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 장착된 수평 및 수직 코일의 조립체의 외부면에 장착되고, 또 금속 피팅(8)을 성형품(5')에 삽입함으로써 일체로 결합된다.
다음에, 성형품(5')을 소결함으로써 요크 코어(5)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소결하기 전의 성형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소결 후의 성형품의 단면도이고, 도 8은 소결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품(5')은 소결 홀더(16)에 장착되어서 성형품(5')이 소결홀더(16)의 홀더부로서 규정된 구멍(16a)을 형성하는 엣지(16a1)에 의해 원추형의 소직경을 갖는 주변부(B)에서 선접촉으로 지지되는 방법으로 소결된다.
소결된 후에, 상기 성형 제품(5')의 치수는 수축으로 인하여 15-20%로 감소된다. 그래서, 상기 성형된 제품(5')은 개구(16a) 엣지(16a1)와 접촉하게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것은 상기 성형 제품(5')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16a1)에 의하여 큰 직경을 구비하는 원주부(C)에서 지지된다.
상술된 요크 코어(5)에서는 하기의 문제점이 있다.
1) 정밀한 크기를 가지는 요크 코어(5)를 얻는 것이 어렵다.
2) 타원 원추형, 직사각형 원추형 및, 원형 원추형를 제외하고 내부벽에서 불규칙한 벽을 가지는 것과 같은 복잡한 형상을 구비하는 요크 코어(5)를 얻는 것이 어렵다.
상기 1)에서와 같이, 정밀한 크기를 얻는 것이 어려운 것은 상기 성형 제품(5')이 분리 홈(6)과 부착 홈(7)을 갖기 때문이다. 도 2에 설명된 바와같이, 성형 제품(5')이 하부 및 상부 금속 주형(11,13)사이에서 자성 파우더(12)를 붓고, 상부 금속 주형(13)으로 가압하여 성형될 때, 자성 파우더(12)에서 불균일한 밀도 분포가 발생되는데, 왜냐하면 상기 분리 홈(6)과 부착 홈(7)근처 부분의 밀도는 다른 부분의 밀도와는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기 성형 제품(5')이 소결될 때, 상기 분리 홈(6)과 부착 홈(7)근처의 부분과 불균일한 밀도에 의하여 발생되는 부분사이에는 응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점은 상기 요크 코어(5)가 상술된 방법에서 응력이 하나의 방향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타원형으로 되어 정원형(true circle)과는 다른 형상을 가진다.
다른 이유는 소결 홀더(16)로 인하여 정밀한 치수가 얻어지지 않게 된다.
특히 소결될 때, 상기 성형 제품(5')의 치수는 재료의 수축으로 인하여 15-20%로 감소된다. 그래서, 상기 성형 제품(5')은 개구부(16a)의 엣지(16a1)에 수축이 발생하면서 아래로 가열 미끄럼되어 연화된다. 그래서, 상기 성형 제품(5')의 원추형상은 소결 홀더(16)의 개구부(16a) 엣지(16a1)의 형상과 거의 같게 된다.
상기 소결 홀더(16)는 1300℃ 이하의 열 저항 온도를 가지는 세라믹으로 제조되어, 고온에서 상기 성형 세라믹 파우더를 소결함으로서 성형된다. 그래서, 상기 소결 홀더(16)는 소결후에 부가의 가공을 하지 않고 사용되는데, 왜냐하며 높은 경도를 가지고, 그래서 가공하게 되면 가격이 비싸지기 때문이다.
도 10은 소결 홀더에서 유지 단면으로 형성된 개구부의 엣지 형상을 도시한다.
도 10에서, 상기 개구부(16a)의 엣지(16a1)의 형상은 실선으로 도시되고, 상기 엣지의 이상적인 형상은 점선으로 도시된다. 도 10에서, 다중 스케일이 유지 단면(개구부; 16a)의 중심(O)으로 부터의 거리를 도시하기 위하여 방사형으로 제공되는데, 하나의 스케일이 20㎛의 거리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엣지(16a1)의 형상은 이상적인 것으로 부터 벗어난다.
성형시의 성형 제품(5')의 원추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6a)의 엣지(16a1)의 형상에 크게 노출되게 된다.
도 11a는 요크 코어가 장착된 CRT의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 코어의 작은 직경 근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1b는 도 6에 도시된 방법으로 소결된 후에 상기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 코어의 B로써 도시된 위치 근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1c는 도 7에 도시된 방법으로 소결된 후에 상기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 코어의 C로써 도시된 위치 근처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같이, 결과적으로, 요크 코어(5)의 단면 형상은 이들의 위치에서 서로 다르고, 규칙성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요크 코어(5)를 구비하는 편향 요크로 부터 발생된 자기장은 각각 다르고, 이것은 상기 영상의 색편향을 발생시킨다.
상기 소결 제품(5')을 단지 소결시킴으로써 정밀한 치수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요크 코어(5)는 이것이 가공되도록 허용하는 실질적인 치수보다 더 크게 이미 성형되고, 이것은 제조가격을 상승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공보 제 57-11092 호와, 일본 특허공보 제 5-15023 호와,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6-215970 호와,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6-325961 호에는 이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실질적인 해결책과는 거리가 멀고, 특히, 고선명도 영상 표시장치분야에서는 거리가 멀게 된다.
또한, 다중 전자총을 직선으로 가지는 CRT위에 장착된 편향 요크에서, 상기 수평 편향 코일에 의한 수평방향 편향 자기장은 바늘겨레(pincushion)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한 수직 편향 자기장은 배럴형상을 가진다. 그럼으로써, 상기 오수렴은 이론적으로 제거되어야만 한다.
상기 편향 요크는 자체 수렴 편향요크라고 불리어진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상기 CRT의 구성과, 편향 요크의 구성제한과, 생산의 분산으로 인한 이론을 기초로 하는 실질적인 특징을 얻는 것이 어렵고, 이것은 많은 종류의 오수렴을 발생시킨다.
상기 오수렴의 예로써는, 소위 XH및 YH이 있다.
도 12는 오수렴(XH및 YH)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VCR의 좁은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렴 XH은 B(푸른 컬러)와 R(적색 컬러) 전자 비임이 수평 방향으로 축 편차를 발생시키면서 화상의 X축 방향(수평 방향)으로 화상의 말단 측부의 동일 지점에서 수렴되지 않는 현상으로 정의된다. 오수렴(YH)은 각각의 컬러(R,G,B) 전자 비임이 수직 방향으로 축 편차를 발생시키면서 화상의 Y축 방향(수직 방향)으로 화상의 말단 측부의 동일 지점에서 수렴되지 않는 현상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오수렴(XH,YH)은 퍼멀로이 또는 실리콘 강철로 제조된 보상 자기판을 사용함으로써 보상되며, 이 보상 자기판은 전자총의 배열에 직각(X축) 또는 평행(Y축)하도록 전자총의 측면 상에 제공된 격리판 상에 부착된다.
수평 및 수직 굴절 코일로써 새들 굴절 코일을 사용하는 셀프-수렴 새들 굴절 요크에 있어서, 수직 굴절 자기장은 배럴 자기장을 형성한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G 전자 비임의 굴절량이 R 및 B 전자 비임의 굴절량에 비교하여 감소되는 소위 VCR 병목 현상이 발생한다. 이 오수렴은 구성상의 한계 때문에 CRT와 굴절 코일의 조합에 의해서 보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오수렴은 VCR 보상(콤마 보상) 코일로 흐르는 보상 전류에 의해 보상된다.
여기서는 도 14와 도 15와 연관된 종래 기술의 굴절 요크의 구성에 대해 기술된다.
도 14는 CRT에 설치된 굴절 요크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우측면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굴절 요크(108)는 통상적으로 격리판(101)과, 이 격리판(101)의 내면 상에 제공된 한 쌍의 새들 타입의 수평 굴절 코일과, 격리판(101)의 외면 상의 한쌍의 새들 타입의 수직 굴절 코일(103) 및 요크(104)를 포함하므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및 수직 굴절 코일(102,103)을 모두 커버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판(101)은 CRT(109)의 넥 튜브(109N)의 측부로부터 전방 퍼널(109F)까지 점점 넓어지도록 연장된 원뿔 형태를 가진다. 격리판(101)은 수평 굴절 코일(102)의 후방 굽힘부를 수용하기 위해 말단부에서 후방 원통형 부분(101R)과, 이 원통형 부분(101R)으로부터 연장된 부착 부분(101P) 및 수평 굴절 코일(102)의 전방 굽힘부를 수용하기 위해 전방 퍼널(109F)의 측부에서 전방 원통형 부분(101F)을 포함한다. 굴절 요크(108)는 전방 퍼널(109F)과 네크 튜브(109N) 사이에서 CRT 상에 설치되어서 밴드(105) 및 부착 부분(101P)을 사용하여 CRT(109)에 고정된다. 네크 튜브(109N)에 제공된 전자총(110)으로부터 방출된 R,G,B 전자 비임은 굴절 요크(108)에 의해 굴절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판(101)의 후방 원통형 부분(101R)의 뒷면(101RP) 상에는 오수렴 XH을 보상하기 위해 한 쌍의 제 1 보상 자기판(106)을 삽입할 목적으로 CRT(109N)의 X축 상에 삽입된 네크 튜브(109N)에 인접한 위치에서 한쌍의 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VCR 보상 코일(107)은 CRT(109)의 Y축 상에 삽입된 네크 튜브(109N)에 인접한 위치에 제공된다.
도 16은 비대칭 수평 자기장의 보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7은 비대칭 수평 자기장의 다른 보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비대칭 수평 자기장에 따른 오수렴 XH의 보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비대칭 수평 자기장에 따른 오수렴 XH의 다른 보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는 우측 및 좌측 방향에 대한 비대칭 자기장의 보기가 도시되어 있다. B 전자 비임과 R 전자 비임이 도 18,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방향으로 축 편차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우측부에서 B 전자 비임과 R 전자 비임 사이의 편차량이 좌측부에서의 상기 편차량과 다른 결과를 발생시키면서 X축 방향으로 화상의 말단부에 있는 동일 지점에서 수렴되지 않는 방식으로 오수렴 XH이 발생한다.
도 20은 보상 자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오수렴 XH이 보상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멀로이 또는 실리콘 강철로 제조된 보상 자기판(106)은 도 15에 도시된 A 방향 또는 B 방향으로부터 X 축을 따라 제공된 홈(111) 안으로 삽입된다. 자기판(106)의 두 조간은 A 및 B 방향으로부터 홈(111) 안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수평 자기장 분포의 불균일은 보상 자기판(106)에 의해 유발된 자기장 분포의 국부적인 소거 또는 변화를 이용함으로써 우측 및 좌측 방향에 대해 보상된다.
그에 의해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렴 XH은 B와 R 전자 비임이 X축의 양 말단부에 있는 동일 지점에서 수렴되도록 보상된다.
여기서, 보상 자기판(106)에 의해 유발된 보상 자기장은 보상 자기판(106)의 체적에 따라 좌우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체적이 커질수록, 보상 자기장도 더욱 커진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 자기판(106)은 직사각형 형상의 긴쪽(106B) 및 짧은쪽(106C) 및 짧은 아래쪽(106D)을 갖고, CRT(109)의 목(109N)의 반경과 같은 곡률반경의 아치면(106A)을 갖는다. 그리하여, 수평 편향 자계를 효과적으로 상쇄 또는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오수렴(YH) 및 VCR 내로우는 보상 코일(107) 및 VCR 보상 회로(도시않됨)의 결합에 의해 보상될 수 있고 그리하여 VCR 보상 코일(107)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보상하게 된다.
또한, 오수렴(YH)은 세퍼레이터(101)의 뒤 원통부(101R)의 후면(101RP)상에 X 축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의 소정 위치에서 규소강으로 제조된 연질 강자성판(112)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도 22는 도 16에 도시된 수평 편향 자계 분포에 의해 야기된 a R, G, B 오수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3은 보상 자석판이 B 전자빔에 차단되도록 배치될 때 수평 자계 분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오수렴(XH)이 발생할 때, 수평 편향자계 분포는 도 16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때 B 전자 빔쪽의 자계는 R 전자빔쪽의 자계보다 강한 핀쿠션 타입을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X축을 따라 화상의 원거리 양단부에 G 전자빔을 포함하는 오수렴 패턴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보상 자기판(106)을 사용하여 도 22에 도시된 오수렴(XH) 를 보상하기 위해, 보상 자기판(106)은 B 방향으로 그루브(111)내에 삽입된다. 그 후,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전자빔쪽의 수평 편향 자속(ψH)의 일부가 보상 자기판(106)에 분포된다. 그리하여, B 전자빔쪽의 자속은 R 전자빔쪽의 자속에 비해 감소된다. 대체로, 자속분포는 R 및 B 전자빔쪽에 대하여 균형을 이루고 그리하여 오수렴(XH) 보상의 원인이 되는 R/B 전자빔의 편차가 제거된다.
도 24는 오수렴(XH)이 보상 자기판에 의해 보상될 때 와전류손실의 영향을 무시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5는 오수렴(XH)이 보상 자기판에 의해 보상될 때 와전류손실의 영향을 고려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 경우에,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G 전자빔(중심 전자빔)은 X축 방향에서 화상의 원거리 양단부의 바깥쪽에 R/B 전자빔으로 부터 유도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실제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G 전자빔은 R/B 전자빔으로부터 오른쪽으로 편향된다. 게다가, 왼쪽에 G 전자빔의 편향은 오른쪽에 G 전자빔의 편향보다 크다. 이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26은 수평 편향 코일을 통해 흐르는 톱니파 전류를 도시한 챠트이고,
도 27은 보상 자기판에 발생되는 와전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톱니파 전류는 수평 편향 코일(102)을 통해 흐른다. 톱니파 전류는 화상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전자빔을 주사하기 위한 주사 기한(ts)과 전자빔을 왼쪽으로 복귀하기 위한 리턴 트레이스 기한(ts)를 조합하여 반복 기간(T)을 갖는다.
반복 기간(T)은 수평 편향 주파수에 의해 결정된다. 고품위 표시장치에서는 고 수평 편향 주파수가 선택된다. 전자빔은 화상의 왼쪽으로 신속하게 복귀되기 때문에 리턴 트레이스 기한(tr)의 값은 주사 기한(ts)의 값의 1/5만큼 작고, 즉 주사 주파수는 리턴 트레이스 주파수의 5배 크다.
따라서, 와전류는 리턴 트레이스 기한(tr)에 보상 자석판(106)에서 발생된다. 리턴 트레이스 기한(tr)에서 발생된 와전류의 값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와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계(øe)의 원인이 되고, 그리하여 보상 자기판(106)에 의해 야기된 오수렴의 보상 효과는 약화된다.
특별히, 수평 편향 자계는 중간부 근처에 비해 강한 핀쿠션 자계를 갖는 편향 요크의 단부에 근접한다. 그리하여, 화상의 왼쪽에서 G 전자빔은 오른쪽으로 편향된다.
따라서, G 전자빔이 오른쪽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상 자기판(106)에 의해 야기되는 와전류의 발생을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른 방법은 오수렴(XH)을 제거하는 것이 요구된다.
와전류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 주파수 대역에서 낮은 와전류 손실을 갖는 자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면, Mg-Zn 페라이트는 기계적 강도가 약해지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형상 제한의 원인이 되는, 퍼멀로이 및 규소강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져야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Mg-Zn 페라이트의 보상 자기판의 값은 보다 고가이다.
또다른 방법으로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보상 전류가 수렴 요크에 첨가되는 수렴 요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오수렴을 보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편향 요크 및 보상 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가의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 사용시에 사용되는 편향 요크에서 그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불가능하다.
다음으로, 종래 기술에서 VCR의 협소한 보정에 대한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극성 코일들이 전자총 정렬의 연장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식으로, 주위에 코일이 감겨진 복수의 레그를 구비한 E형상의 자기 코어를 갖는 한 쌍의 다극성 코일이 CRT의 전자총의 측면에 제공된 절연체상에 정렬된다. 쌍을 이루는 다극성 코일의 코일들은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그들은 수직 편향 전류가 다극성 코일들의 코일을 통하여 유동하여 VCR 보상(콤마 보상)이 수행되도록 수직 편향 코일에 연결된다.
도 28은 도 14 구역에 수직한 부분 파단면도이며, 이것은 CRT상에 장착된 편향 요크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29는 도 28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8에 관하여 설명하면, 편향 요크(207)는 일반적으로 세퍼레이터(201)와, 상기 세퍼레이터(201)의 내면상에 제공된 한 쌍의 안장 형태의 수평 편향 코일(202)과, 세퍼레이터(201)의 외면상에 제공된 한 쌍의 안장 형태의 수직 편향 코일(203)과,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코일(202)과 수직 코일(203)들 둘 다를 덮기 위한 요크 코어(204)를 포함한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기(201)는 CRT(208)의 네크 튜브(208N)의 측면으로부터 CRT(208)의 전방 퓨넬(208F)까지 더 넓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연장된 원추 형상을 갖는다. 분리기(201)는 수평 편향 코일(202)의 후방 벤트-업부(bent-up portion)를 수용하기 위하여 말단에 후방 실린더부(201R)를 포함하며, 접근부(201P)는 수평 편향 코일(202)의 전방 벤트-업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전방 퓨넬(208F)의 측면에서 후방 실린더부(201R)와 전방 실린더부(201F)로부터 연장된다. 전방 퓨넬(208F)과 네크 튜브(208N) 사이의 CRT상에 편향 요크(207)가 장착되어 밴드(205)와 접근부(201P)를 이용하여 CRT(208)에 고정된다. 네크 튜브(208N)에 제공된 전자총(209)으로부터 방출된 R, G, B 전자빔은 편향 요크(207)에 의하여 편향된다.
추가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기(201)의 후방 실린더부(201R)의 후면(201RP)상에서, 즉 오수렴 상태인 VCR을 보상하기 위하여 다극성 코일(206, 206`) 사이에 배치된 네크 튜브(208N)에 밀접한 위치에 분리기(201)의 후방 실린더부(201R)의 후면(201RP)상에 다극성 코일(VCR 보상 코일;206, 206`)이 배치된다.
각각의 다극성 코일(206, 206`)은 E형상 자기 코어(211)와, 각각 E형상 자기 코어(211)의 레그 주위에 감겨진 코일(212a 내지 212c)(212d 내지 12f)을 포함한다.
도 30은 다극성 코일의 E형상 자기 코어에서 사용되는 소프트 자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1은 다극성 코일의 평면도이다.
도 3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E형상을 갖는 소프트 자기판(210)는 펀칭으로 실리콘 스틸 플레이트나 퍼멀로이 판으로부터 형성된다. E형상 자기 코어(211)는 복수의 소프트 자기판(210)을 뭉쳐서 만든다.
도 3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코일(206(206`))은 E형상 자기 코어(211)의 레그 주위에 코일(212a, 212b, 212c, 212d, 212e, 212f)을 감아서 만든다.
도 32는 다극성 코일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편향 요크의 개략적인 후면도이며, 여기서 전자빔의 편향은 도면의 위쪽 절반에 대하여 수행된다.
코일(212a 내지 212f)의 각각은 다음과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자빔의 편향이 도면의 위쪽 절반에 대하여 수행될 때, 다극성 코일(206)의 E형상 자기 코어(211)의 자기 극들은 아래쪽으로 향하면서 S극(남), N극(북), S극 순서대로 제작되며, 다극성 코일(206`)의 E형상 자기 코어(211)의 자기 극들은 아래쪽으로 향하면서 N극, S극, N극 순서데로 제작된다. 수직 편향 자기계가 0일 때, 측방향(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R, G, B 전자빔들이 다극성 코일(206, 206`)의 E형상 자기 코어(211)의 양 중앙 자기 극들 사이에 위치한다.
전자빔들의 편향이 도면의 위쪽 절반에 대하여 수행될 때, 포지티브 다이렉트 수직 편향 전류는 수직 코일(203)과 다극성 코일(206, 206`)을 통하여 유동한다. 다극성 코일(206, 206`)을 통하여 유동하는 전류로 인하여, 화살표(216)로 도시한 방향으로 중앙 극(N극)과 양 끝쪽의 극(S극) 사이에서 제 1 자기계가 발생하며, 화살표(217)로 도시한 방향으로 양 끝쪽의 극(N극)과 중앙 극(S극) 사이에 제 2 자기계가 발생한다.
그리하여, 전자빔 R, G, B는 상기 자기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행동한다.
R, B 전자빔은 각각 다극성 코일(206, 206`)의 중앙 극에 밀접하게 위치한다. R 전자빔은 다극성 코일(206)의 중앙 극(코일(201b))에 의하여 발생된 제 1 자기계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B 전자빔은 다극성 코일(206`)의 중앙 극(코일(212e))에 의하여 발생된 제 2 자기계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그리하여 R 전자빔은 화살표(213)로 도시한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또한 B 전자빔은 화살표(214)로 도시한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추가로, 화살표(218, 219)로 도시한 방향으로 양 끝쪽의 극(N극:코일(212d, 212f))과 양 끝쪽의 극(S극:212a, 212c) 사이에 제 3 전자계가 발생한다. 코일(212b)의 중앙 N극과 코일(212e)의 중앙 S극 사이에 발생된 자기계는 화살표(218, 219)로 도시한 제 3 자기계에 의하여 제거된다.
그리하여, G 전자빔은 단지 제 3 자기계에 의하여서만 영향을 받으며, 그 결과 G 전자빔은 화살표(215)로 도시한 방향으로 위쪽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R,G,B 전자빔은 수평방향으로 발생된 전기장에만 영향을 미친다.그러므로 R,G,B 전자빔은 상하 방향으로 편향된다.이로 인해 오수렴 VCR 협소를 보상하게 된다.
VCR 협소 보상시에 G전자빔이 3개의 전자빔의 중심에 놓일 때 편향의 양은 작아지게 된다.그러므로 소위 그린 루프(green loof)같은 다른 오수렴이 발생될수 있으며,그 중심에서의 편향의 량은 주변부에서의 편향의 양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G 컬러라인은 R,B컬러 라인과 비교해볼 때 활형상이 된다.이런 오수렴은 수직 편향 주기에 의해 변조된 수평 편향 주기를 가지는 포물선 전류를 개입 시킴으로서 보상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같이, 다중 전극 코일(206,206')은 다중 전극 코일(206,206')사이에 삽입된 네크 튜브(208N)에 인접한 위치에서 분리기(201)의 후방 원통형 부분(201R)의 후방면(201 RP)에 제공된다.그러므로 수평 편향 자기장(플럭스)의 부분은 각각 E형 자기 코어(211)에 분배되어 각각 E형 자기 코어(211)에 와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수평 편향 자기장은 도26에 도시한 톱니 전류가 수평 편향 코일(202)를 통하여 흐름 으로서 발생된다.
톱니 전류의 반복 주기(T)는 수평 편향 주파수에 의해 결정된다. 고한정 배열에서 고 수평 편향 주파수가 선택된다.귀한 추적 기간(tr)의 값은 주사기간(ts)의 값만큼 작다.즉 전자빔이 픽쳐의 좌측으로 신속히 귀환하기 때문에 주사 주파수는 귀한 추적 주파수 보다 5배 크다.그러므로 E형 코어(211)에 발생된 와전류의 값은 귀한 추적 기간(tr)의 시작 및 종료에서 최대로 되며,전류가 픽쳐의 중심에서 0으로 될 때 점차 감소한다.그리하여 와전류의 값은 전류가 픽쳐의 우측에서 최대로 될 때 점차 증가한다.
도33은 E형 자기 코어의 와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전자빔이 픽쳐의 좌측에서 중심으로 편향될 때 도33의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의 자기장(ФE)은 E형 자기코어(211)로 인한 와전류에 의해 발생된다.자기장(ФE)은 그 동일 방향으로 수평 편향 코일(202)에 의해 발생된 수평 편향 자기장에 겹쳐진다.그러므로 픽쳐의 말단에 인접한 위치에 오게될 때 후방부에서 수평편향 자기장 분포는 전방부에서의 자기장 분포와 비교해볼 때 강력한 핀쿠션을 각게된다.특히 이러한 경사는 다른 부분 보다 픽쳐의 좌측(전자빔 스캔의 시작부)에서 강하다.
따라서 X축의 방향에서 픽쳐의 각 단부에서 발생된 수직 라인(B)으로 부터 수직라인(R)의 편차(오수렴 XH)가 보상될 때 수직라인(G)은 도25로 도시된 바와같이 픽쳐의 각 단부에서 수직 라인(R/B)으로 부터 벗어난다.또한 픽쳐의 좌측에서의 편차량은 우측에서 보다 크게 되어 오수렴의 보상 특성을 저하시키게 된다.이 현상은 E형 자기 코어 와는 다른 형태의 자기 코어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본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제거하는 편향 요크와 요크 코어를 제공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CRT(음극선관)의 전자총 으로 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 시키기 위한 편향 요크를 제공 하는 것으로 편향 요크는 소 직경부를 가지는 넥크 튜브와 CRT의 대직경부를 가지는 깔때기 사이의 부분 상에 장착되며,상기 편향 요크는 CRT의 수평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 시키기 위한 수평 편향 코일과, CRT의 수직 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 시키기 위한 수직 편향 코일과, 요크 코어가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을 커버 하도록 깔때기의 일측에서의 한단부에서의 대 직경부와 넥크 튜브에서의 일측에서의 다른 단부에서의 소 직경부를 가지는 원추 형상을 구비하는 요크코어를 포함하며,상기 요크 코어는 열경화된 성형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성형 재료는 구성 단위로서 아미노퀴논 그룹을 가지는 복합물을 가지는 표면 처리제로 처리된 수지와 자기파우더를 구비하는 결합제를 포함하며, 상기 아미노퀴논 그룹은 하기 화학식 1 및 2로 도시된 아미노퀴논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다.
여기서, Y는 수소 원자, 직선형 체인, 환형 체인 또는 분기형 체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C1- C6알킬 그룹, 아랄킬 그룹 또는, 페닐 그룹,
Z1은 C2- C16알킬렌 그룹, 페닐렌 그룹, 아랄킬 그룹, 알카릴렌 그룹, -(CH2CH2-O)n -CH2CH2- (n은 1 내지 50의 정수),
Z2는 직선형 체인과 분기형 체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C1- C6의 알킬렌 그룹.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CRT(음극선관)의 전자총으로 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 시키기위한 편향 요크에 사용된 요크 코어를 제공하는 것으로,상기 요크 코어는 넥크 튜브와 CRT의 깔때기 사이의 일부분 상에 장착되며,상기 요크 코어가 요크 코어를 수평 및 수직 방향 코일을 커버 하도록 깔때기의 한측의 한 단부에서 대직경부와 넥크 튜브의 일측의 다른 단부에서의 소직경부를 가지는 원추 형상을 가지며,상기 요크 코어는 가열에 의해 경화된 성형 자기 물질로 제조되며,상기 성형 물질은 구성 단위로서 아미노퀴논 그룹을 가지는 복합물을 구비하는 표면 처리제로 처리된 수지와 자성 파우더를 포함하며,아미노 퀴논 그룹은 화학식 1 및 2로 도시된 아미노퀴논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컬러CRT와 정렬하여 배디된 전자총으로 부터 방출된 다수의 전자빔을 평향시기 위한 컬러CRT상에 장착된 편향 요크를 제공하는 것이며,상기 편향 요크는 CRT의 표시 패녈상에 발생된 오수렴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자기판으로 설치되며,상기 보상 자기판은 가열에 의해 경화된 성형 자기 제품으로 제조되며,성형 자기 제품은 구성단위로서 아미노퀴논 그룹을 가지는 복합물을 가지는 표면처리제로 처리된 수지와 자성 파우더를 구비하는 결합제를 포함하며,아미노퀴논 그룹은 상기 화학식 1 및 2로 도시된 아미노퀴논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별한 목적은 컬러 CRT 내의 라인내에 배치된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되는 다수의 전자빔을 편향 시키기위한 컬러 CRT (음극선 관)상에 고정되는 편향 요크를 위해 사용되는 요크 코어를 제공하는 것으로, 마그네틱 코어를 장비하는 편향 요크의 코일는 CRT의 표시 패널상에 발생되는 오수렴을 보상하기위해 권취되며, 마그네틱 코어는 성형된 마그네틱으로 제조된 생산품이 히팅에의해 경화되며, 성형된 마그네틱 생산품은 레진으로 구성된 바인더와, 구조상 유닛으로서 아미노퀴논 그룹을 가지는 컴파운드를 구성하는 표면처리제로 처리되는 자성 파우더로 구성되며, 아미노퀴논 그룹은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도시된 아미노퀴논 그룹의 그룹으로부터 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추후 특징은 따르는 상세한 설명에 나타난다.
도 1은 편향 요크가 고정된 CRT의 사시도.
도 2는 요크 코어용 금속 주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금속 주형의 하부 금속 주형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요크 코어용 성형된 마그네틱 생산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 라인을 취한 단면도.
도 6은 소결이전의 성형된 마그네틱 생산품의 단면도.
도 7은 소결이후 성형된 마그네틱 생산품의 단면도.
도 8은 소결 홀더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B-B 라인을 취한 단면도.
도 10은 소결 홀더내의 홀딩 단면으로서 개구의 에지의 측정된 형상을 한정하는 도면.
도 11a는 요크 코어가 장착된 CRT의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 코어의 작은 직경 근처의 단면도.
도 11b는 도 6에 도시된 방법으로 소결된 후에 상기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 코어의 B로써 도시된 위치 근처의 단면도.
도 11c는 도 7에 도시된 방법으로 소결된 후에 상기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 코어의 C로써 도시된 위치 근처의 단면도.
도 12는 오수렴 지점 XH및YH를 설명하기위한 개략도.
도 13은 좁은 폭 VCR 을 설명하기위한 개략도.
도 14는 CRT 상에 고정된 편향 요크를 도시하는 부분파단한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우측면도.
도 16은 비대칭 수평 자계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7은 비대칭 수평 자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8은 도 16의 비대칭 수평 자계를 따른 오수렴 XH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9는 도 17의 비대칭 수평 자계를 따른 오수렴 XH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0은 보상 자기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은 오수렴 XH가 보상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2는 도 16에 도시된 수평 편향 마그네틱 자계 분배에의한 원인이되는 오수렴 R, G, B 를 도시한 개략도.
도 23은 보상 자기판이 B 전자빔에 근접 배치될 때 수평 자계 분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4는 오수렴 XH가 보상 자기판에 의해 보상될 때 와상 전류 손실에 영향을 무시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5는 오수렴 XH가 보상 자기판에 의해 보상될 때 와상 전류 손실에 영향을 고려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6은 수평 편향 코일을 통해 톱니 전류 흐름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7은 보상 자기판을 통하는 와상 전류의 흐름에의한 결과인 자계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8은 CRT 상에 고정된 편향 요크를 나타내는 도 14의 단면에 대한 수직으로 부분적으로 파단한 단면도.
도 29는 도 28의 우측면도.
도 30은 다중 전극 코일의 E 형상 마그네틱 코어에 사용되는 소프트 마그네틱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1은 다중 전극 코일의 평면도.
도 32는 일렉트론 빔의 편향은 사진의 상부 절반에 대해서 수행되며, 다중 전극 코일의 작용을 설명하는 편향 요크의 배면 개략도.
도 33은 E 형상 코어의 와상 전류에의해 발생되는 자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34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의 부분 횡단면의 측면도.
도 35는 새들타입 편향 코일의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의 분리도.
도 37은 요크 코어가 편향 요크내에 제공되지 않을 때 수평 편향 코일의 수평 편향 자계 분배를 도시하는, 도 34의 C-C 라인을 취한 단면도.
도 38은 수평 편향 요크 코어가 편향 요크내에 제공되지 않을 때 수평 편향 코일의 수평 편향 자계 분배를 도시하는, 도 34의 C-C 라인을 취한 단면도.
도 39a는 본 발명의 AQ 본드 자성 재료로 제작된 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9b는 본 발명의 AQ 본드 자성 재료로 제작된 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0은 AQ 본드 자성 재료의 코어 손실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41은 AQ 본드 자성 재료의 측정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2는 시편 1 내지 5 로부터 선정된 예에 관해 측정된 내측 직경 및외측 직경값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43은 통상 원형 원뿔 편향 요크 코어의 전형적인 배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원형 원뿔 편향 요크 코어의 치수 및 전형적인 배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5는 본 발명 요크 코어의 다른 쌍중의 하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6은 도 45에 도시되며 고정된 요크 코어내의 편향 요크의 단면도.
도 47은 요크 코어가 제거되는 곳에서, CRT(편향 요크 조립체)의 편향 요크의 네크에 근접된 단면도.
도 48 은 도 47 에 도시된 편향 요크에 장착된 그것의 내부면의 볼록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요크 코어의 일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9 는 본 발명에 따라 도 48 에 도시된 요크 코어를 갖는 편향 요크의 단면도.
도 50 은 그 안에 한 쌍의 다른 요크가 구비된 도 47 에 도시된 편향 요크의 단면도.
도 51 은 그것의 내부면에 볼록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쌍의 요크들 중 하나의 사시도.
도 52 는 직사각형 원뿔을 갖는 컬러 CRT를 나타낸 사시도.
도 53 은 도 52 에 도시된 직사각형 원뿔부의 확대도면.
도 54 는 원형 원뿔과 직사각형 원뿔 사이의 참조표면 Rf 에 대한 형태상의 비교를 나타낸 다이어그램.
도 55 는 도 52 에 도시된 인-라인 건 시스템(RIS) 형태 컬러 CRT 에 사용되는 요크의 사시도.
도 5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요크 코어의 사시도.
도 5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요크 코어의 사시도.
도 5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편향 요크의 배면도.
도 59 는 도 58 에 도시된 편향 요크에 사용되는 보상 자기판의 평면도.
도 60 은 도 59 에 도시된 것으로 그 주위에 코일이 감겨진 보상 자기판의 평면도.
도 61 은 비교예로서 편향 요크에 사용되는 보상 자기판의 평면도.
도 62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편향 요크의 배면도.
도 63 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 사용되는 E-형태 자기 코어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V : 수직 편향 코일 23h : 수평 편향 코일
24 : 분리기 31, 32 : 편향 요크
본 명세서에는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편향 요크 코어와 편향 요크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먼저, 본 명세서에는 편향 요크 코어로서 사용되는 본드 자기 재료의 자기 파우더 제조 방법이 기술된다.
표면 처리 작용제로서, 조직 유닛으로서 이하 화학식 1 과 화학식 2로서 나타내지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퀴논계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있다. 그리고, 자기 파우더는 표면 처리 작용제로서 취급된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1에서,
Y는 수소 원자, 직선형 체인, 환형 체인 또는 분기형 체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C1- C6알킬 그룹, 아랄킬 그룹 또는, 페닐 그룹.
Z1은 C2- C16알킬렌 그룹, 페닐렌 그룹, 아랄킬 그룹, 알카릴렌 그룹, -(CH2CH2-O)n -CH2CH2- (n은 1 내지 50의 정수).
상기 화학식 2에서, Z2는 직선형 체인과 분기형 체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C1- C6알킬렌 그룹.
특히, 표면 처리 작용제는 바람직하게는 공액이중걸합이 2개인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폴리우레탄과 상기 화학식 1과 2에 의해 나타내지는 아미노퀴논계를 포함하는 아이소시안산염과 같은 중합체이다.
자성 파우더의 100% 중량비에 대한 아미노퀴논계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중량비는 10 중량%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화합물의 중량비는 0.1 내지 10 중량%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이다.
상기 화학식 1과 2로 내타내지는 아미노퀴논계 또는 그들 둘 모두는 화합물안에 포함될 수 있다. 아미노퀴논계를 포함하는 화합물에서, 단량체로서 아미노퀴논계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상이다.
상술된 목적을 위해서는 단량체로서 아미노퀴논계의 중량비를 증가시키는 것은 효과가 있지만, 과도한 중량비는 단량체의 중합반응을 어렵게한다. 따라서, 아미노퀴논계 중량비의 상한은 최대 50 중량% 이다.
본 발명에서는, 단량체로서 아미노퀴논계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이다.
자기 파우더용 표면 처리 작용제는 아미노퀴논계가 함유된 화합물을 솔벤트예 풀어주므로서 적절하게 얻을 수 있다.
수산기계를 상기 화학식 1과 2로 나타내지는 아미노퀴논계의 원거리 양단부에 그리고 공액이중결합이 2개인 다른 종류 그리고 이중아이소시안산염에 적용시켜 얻는 공액이중결합이 2개인 단량체를 유발시키므로서 적절하게 얻을수 있다.
상술된 공액이중결합이 2개인 다른 종류는 부탄 다이올, 부틸렌 애디페이트, 카프로락탐, 폴리에스터, 폴리에터, 글리콜, 폴리카프로락탐, 폴리에스터 아미드, 폴리알칼리애디놀, 폴리부탄 다이올 및 폴리아세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아이소시안산염, 메틸렌 이중아이소시안산염, 톨루엔 아이소시안산염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자성 파우더용 표면 처리제는 상술된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솔벤트에 풀어주므로서 얻을 수 있다.
특히, 아미노퀴논(AQ) 단량체에는, 조직 유닛으로서 하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내지는 다이올 단량체(AQ-01)계와 하기 화학식 4로 나타내지는 다른 다이올 단량체(AQ-02)계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합물이 사용된다.
표면 처리제는 이하와 같이 제조된다.
먼저, 상술된 화합물을 발생시켜 분자 중량이 5000 내지 50000 인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분자 중량이 500 내지 5000 인 다이올과 이중아이소시안산염에 반응시킨다. 그때, 표면 처리제의 솔벤트 밀도는 적절히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폴리우레탄의 중량비는 자기 파우더 중량 100% 에 대해 0.1 내지 10.0 중량%가 되므로서 표면 처리제가 얻어진다.
250g의 표면 처리제는 1kg의 자기 파우더 안으로 분산된다. 그때, 그 안의 솔벤트는 증발된다. 따라서, 자성 파우더 표면 처리가 완성되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자성 파우더는 열경화성수지와 혼합되는데,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와 같은 수지와 혼합되어 그 결과 소정의 그레인 직경을 갖는 입자모양의 파우더가 얻어진다. 입자모양 파우더는 금속 주형으로 주조되기 때문에 본드 자기 재료가 가열된 후에 소정의 형상을 갖게된다.
여기에서는, 본드 자기 재료는 패라이트 재료와 같이 소결될 필요는 없지만 비교적 낮은 온도로 1 내지 2 시간동안 가열된다.
그 결과, 아미노퀴논계를 함유하는 표면 처리제와 함께 처리되는 본드 자기 재료의 특정 저항값은 표면 처리제와 합께 처리되자 않는 본드 자기 재료의 그것보다 6 내지 2600배가 높다.
아미노퀴논계를 함유하는 표면 처리제와 함께 처리되는 본드 자기 재료의 특정 저항값은 아미노퀴논계를 함유하지 않은 본드 자기 재료의 그것보다 3 내지 1300배가 높다.
달리말해, 상기 처리를 받은 접착 자성체는 108내지 109[μΩ·㎝]의 높은 특정 저항치를 갖는다. 이것은 10 내지 100[μΩ·㎝]의 낮은 특정 저항치를 갖는 소프트 자성 파우더의 단점을 개선시킨다. 결과적으로, 소프트 자성 파우더 자체가 고주파수 영역에 있더라도 우수한 자기 특성의 장점을 갖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접착 자성체의 특정 저항치를 증가시키고 그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미노퀴논 그룹을 함유하는 콤파운드의 표면 처리 용제로 표면 처리하기에 앞서 실란 결합제로 자성 파우더를 표면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 후에 자성 파우더는 다시 실란 결합 용제로 표면-처리될 수 있다. 대신에, 0.1 내지 6%의 실란 결합 용제가 전체적으로 혼합된 표면 처리제로 사용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아미노퀴논 그룹 및 실란 결합 용제의 영향 때문에 표면 처리제를 자성 파우더의 미립자 표면에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어서, 10배이상의 접착 자성체의 특정 저항치의 더한 증가가 초래된다.
또한, 결합 자성체의 주조용 바인더로서 실란 결합 용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실란 결합 용제가 사용될 때, 접착 자성체의 기계적 강도가 자성 파우더와 중합체 수지 사이의 결합력의 증가로 인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에, 편향 요크 및 편향 요크 코어(요크 코어로서 참조됨)의 실시예가 서술된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의 부분적으로 단면인 측면도이며, 도 35는 새들 형태의 편향 요크의 사시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의 분해 조립도이다.
일반적으로, 고선명도 표시용 편향 요크는 그 한쌍의 세트로서 새들 형태의 편향 코일(23)이 구비된다. 각각의 새들 형태의 편향 코일(23)은 각각 컬러 CRT의 축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컬러 CRT, 소경부(23c) 및 대경부(23d)의 축(도시 않음)에 대략 평행한 중간부(23a, 23b)를 가지며, 한정된 창(23w)은 중간부(23a, 23b), 소경부(23c) 및 대경부(23d)에 의해 둘러싸인다.
또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요크는 각각 새들 형태의 편향 코일(23)로 제조되는 한 쌍의 수평 편향 코일(23h)과 한 쌍의 수직 편향 코일(23v)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 편향 코일(23h)은 분리기(24)의 내측상에 고정되고, 수직 편향 코일(23v)은 분리기(24)의 외측상에 고정된다. 또한, 수직 편향 코일(23v)은 한 쌍의 요크 코어(25, 25)로 덮혀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새들 형태의 편향 요크(30)가 결과로서 생긴다.
새들-새들 형태의 편향 요크(30)에 있어서, 각각의 코일(23h, 23v)의 중간부(23a, 23b)의 인덕턴스치는 그 구성형태에 기인한 요크 코어(25)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지만, 소경부(23c)와 대경부(23d)의 인덕턴스치는 그렇게 많은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도 37은 요크 코일이 편향 요크에 제공되지 않을 때 수평 편향 코일의 수평 편향 자장 분포를 도시하는 도 34의 선 C-C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8은 요크 코일이 편향 요크에 제공되었을 때 수평 편향 코일의 수평 편향 자장 분포를 도시하는 도 34의 선 C-C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7 및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4에 도시된 편향 요크(30)에 있어서, 편향 코일의 편향 자장 분포는 요크 코어(25)의 존재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요크(30)내부에 흐르는 자기 유량이 Φ이고 편향 요크내부의 자장이 H일 때, 1/2Φ + 1/2Φ의 자기 유량이 편향 요크로부터 누출되어 편향 요크(30)의 외측으로 흐른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 코어(25)가 평향 요크(30)에 제공될 때, 상술된 1/2Φ + 1/2Φ의 자기 유량이 요크 코어(25)를 거쳐 흘러서, 그 결과로서 편향 요크(30)내에 큰 편향 자장(H)이 생긴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데 필요한 전류, 즉 편향 자장의 강도는 요크 코어(25)의 인덕턴스보다 요크 코어(25) 자체에 의해 더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편향 요크에서의 편향 자장 분포의 대칭은 요크 코어(25)의 내부 지름 및 두께와 같은 수치 편향과 요크 코어(25)에서의 자기 투자율의 분포 편향과 같은 물리적 편향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요크 코어(25)의 투자율에 대해서는, 예정치보다 더 큰 값이 필요하지만, 코어의 균일 분포가 값 자체보다 더 중요하다.
코어 손실에 대해서는, 코어 손실이 적을수록 자기 특성은 더 좋아진다. 그러나, 편향 코일(23)에 의해 생긴 열전달량은 코어 손실에 의해 생긴 것보다 더 크다. 따라서, 그 전체량에 대해 코어 손실에 의해 생긴 열전달의 분포는 비교적 작다. Ni-Zn 페라이트 코일을 Mn-Zn 페라이트 코일로 대체할 때, Mn-Zn 페라이트 코일의 코어 손실은 Ni-Zn 페라이트 코일의 코어 손실보다 3배 더 크다. 그러나, 편향 요크의 최대 온도는 단지 15% 상승한다. 그러므로, 코어 손실에 대해서는, 대개 사용되는 Mn-Zn 페라이트 코일의 것보다 작거나 동일한 정도면 충분하다.
도 39a와 39b는 본 발명의 AQ 접착 자성체로 제조된 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접착 자성체의 자기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도 39a에 도시된 다수의 링 코어가 제조되어 하기와 같이 시험된다.
여기에서, 70㎛의 평균 미립자를 갖는 축소 철 파우더가 자기 파우더로서 사용된다.
축소 철 파우더는 다음과 같이 예처리된다.
축소 철 파우더 : 1 ㎏
표면 처리 용제 : 40 g (30%의 AQ 모노머를 함유한 폴리우레탄)
다음에, 20g의 에폭시(경화 용제 함유)가 1 ㎏의 예처리된 축소 철 파우더에 가해져서 분산되도록 혼합되며 그 결과로서 평균 입경이 74㎛인 입자 파우더가 생긴다.
입자 파우더는 금속 주물에 의해 주조되며 주조된 자기 제품은 160℃의 온도하에서 1시간동안 가열되어 경화된다. 결과적으로, 도 3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Q 접착 자성체의 다수 실험 피스(20)(외경:23㎜, 내경:20㎜ 및 높이:7.5㎜)가 얻어진다.
도 39b에 있어서, 기준 특징 22는 코일을 가진 AQ 결합 자성체(20)의 테스트 피스를 나타내고, 13 자성 와이어의 리쯔 와이어(21; Ø 0.1mm, 2 UEW(우레탄 에나멜 와이어)를 각각 가짐)는 10 회전에 의해 AQ 결합 자성체(20) 둘레에 감싸진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피스(22)의 코어 손실은 1∼100 kHz의 주파수 범위에 측정된다.
소정의 위치에서 테스트 피스(22)의 치수는 표 1a, 1b에 도시되어 있다.
번 호 Ød (mm) ØD (mm)
a b c a b c
1 19.96 19.96 19.97 22.96 22.97 22.97
2 19.96 19.96 19.97 22.96 22.96 22.97
3 19.96 19.96 19.97 22.96 22.97 22.97
4 19.96 19.96 19.97 22.96 22.96 22.96
5 19.96 19.96 19.97 22.96 22.97 22.97
번 호 h (mm)
90° 180° 270°
1 7.51 7.51 7.51 7.51
2 7.51 7.52 7.51 7.51
3 7.51 7.51 7.51 7.51
4 7.51 7.51 7.51 7.51
5 7.51 7.51 7.51 7.51
도 41은 AQ 결합 자성체의 측정 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표 1a에 있어서,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특성 a, b, c는 AQ 결합 자성체(20)의 말단부(기준면)와 멀리 떨어진 1 mm, 3.5 mm, 7 mm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고, 기준 특성 Ød, ØD는 AQ 결합 자성체(20)의 내경 및 외경을 각각 나타낸다. 테스트 피스(1∼5)의 내경 및 외경은 상술된 위치에 도시된다.
표 1∼2에 있어서, 특성 h는 AQ 결합 자성체(20)의 높이를 나타낸다. 테스트 피스(1∼5) 각각의 높이(h)는 90。 간격으로 나타내어진다.
도 42는 테스트 피스(1∼5)로부터 선택된 샘플에 대하여 측정된 내경 및 외경값을 나타낸다. 표 1a, 1b 및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Q 결합 자성체(20)는 각 부분에서 작은 치수 편향을 가지고, 정확한 원통형을 가진다.
부수적으로, 가압 파우더의 밀도는 6.95 [g/㎥] 이고 그 투과율은 72이다.
도 40은 AQ 결합 자성체의 코어 손실 특성을 나타낸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자성체(20)의 코어 손실 특성은 요크 코어로서 널리 사용된Mg-Zn의 그것과 비교될 수 있다. 그러므로, 결합 자성체(20)는 고선명도 표시 CRT에 사용된 수평 스캐닝 주파수가 주로 24∼100 kHz 범위이므로 결합 자성체(20)는 고선명도 표시 CRT를 위한 요크 코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거감 철 파우더가 사용되고, Fe-Al 합금, Fe-Si-Al 합금, Ni-Fe 합금, Fe-Si 합금, Fe-Si 합금 및 연질 페로 자성체의 조합과 같은 다른 인질 페로 자성체가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자성 파우더의 평균 입자 크기는 70 μm에 제한되지 않지만 그것은 사용된 주파수 영역의 코어 손실 특성, 자성 포화 및 내구성과 같은 요구된 자성 특성을 직면하기 위해 최적으로 사용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요크 코어는 새들-새들형 편향 요크 뿐만 아니고 반-환상 편향 요크와 환상 편향 요크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요크 코어의 에폭시 무게율이 작을 때조차 바인터로서 사용된 에폭시 수지와 표면 처리된 자성 파우더 사이의 강한 결합력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요크 코어는 비교적으로 작은 코어 손실을 가지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다.
그러므로, 경화에 의해 발생된 수축 퍼센트의 줄어드는 결과로 요크 코어의 자성 파우더의 팩킹 비율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요크 코어는 매 위치에서 내구성의 작은 편향을 유지하고, 부가적인 절삭 및 그라인딩 공정없이 편향 요크의 안정된 자기장 분포가 실현되는 정확한 치수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는 실현될 수 없는 다양한 종류의 형태를 가지는 요크 코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에 의거하여 요크 코어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 1 실시예
도 43은 원래 원형 원뿔 편향 요크 코어의 예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원형 원뿔 편향 요크 코어의 예 형태 및 치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원형 원뿔 편향 요크 코어(요크 코어로서 언급함)의 예 형태는 소직경 섹션의 말단부의 내경(Фd1)과 외경(ФD1) 및 요크 코어의 높이(H) 및 대직경 섹션의 말단부의 내경(Фd1) 및 외경(ФD2)에 의해 일반적으로 결정된다. 부가적으로, h 길이를 가지는 원통부(C1)는 요크 코어의 중심 축선과 평행하도록 외경(ФD2)의 말단부로 한정된다. 원뿔 섹션의 두께(t)는 원통부(C1)와 원뿔부의 연장선으로 한정된 각도(θ)로 결정되고, 기준 특성(ФdH)은 원통부(C1)의 연장선과 원뿔부의 연장선의 교차점(A)에서 내경을 나타낸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각도(θ)는 원뿔부의 두께(t)가 균일하도록 결정된다.
그러므로, 편향 작동은 편향 코일을 통하여 수평 및 수직 전류를 통전함으로써 형성되고, 요크 코어를 통하여 통전되는 최대 자속 밀도는 자속이 소직경 섹션으로부터 대직경 섹션에 근접될 때 더욱 유도된다.
부가적으로, 요크 코어의 독단적인 높이에서 원주 방향의 자기 밀도는 서로 다르다.
측정된 높이위치 새들-새들형 반 환상형
최대 자속 밀도 비교 최대 자속 밀도 비교
*1 80 mT 1 151 mT 1
*2 72 0.9 129 0.85
*3 65 0.81 101 0.67
*4 57 0.71 90 0.60
*1 : 소직경부의 말단부에서
*2 : 소직경부와 근접 위치에서
*3 : 대직경부와 근접 위치에서
*4 : 대직경부의 말단부에서
표 2는 요크 코어의 높이(h) 방향의 특정 위치에서 최대 자속 밀도를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새들-새들형 편향 요크에 있어서, 대경부 근방 위치에서의 최대 자속밀도는 소경부의 말단부에서의 자속밀도에 비해 80%가 되도록 감소되고,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이 토로이달 형태로 요크코어주위에 직접 감기는 세미-코로이달 편향 요크에 있어서, 대경부 근방위치에서의 최대 자속밀도는 소경부의 말단부에서의 자속밀도에 비해 70%를 넘지 않도록 감소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요크 코어는 단지 선택 형상을 가진 자성 파우더 성형 재료가 160℃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에폭시 수지를 경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 상기 자성 파우더 분말 처리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제조된다. 따라서, 제조공정에서 치수 편차가 작고 두께가 소경부로부터 대경부로 높이 방향에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요크 코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요크 코어를 통한 자속밀도는 요크 코어의 두께 t를 제어함으로서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
도 44는 본 발명의 요크 코어의 예시적인 치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특히, 도 4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새들-새들형 편향 요크(31)에 있어서, 대경부의 말단부 근방의 위치에서의 두께 t 대 소경부의 두께의 비는 80%가 되게 하고, 세미 토로이달 편향 요크에 있어서, 대경부의 말단부 근방의 위치에서의 두께 t 대 소경부의 두께의 비는 70%가 되게 한다.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쌍의 요크 코어중 하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에 도시된 요크 코어가 장착되는 편향 요크의 단면도이다.
도 4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험프(32t)의 높이가 소경부로부터 요크 코어(32)의 대경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요크 코어(32)는 소경부 단면위에 CRT의 표시면에 대해 한쌍의 대각선 Ld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원뿔형 표면위에 4개의 험프(32t)를 가진다. 그러므로, 요크 코어(32)에서의 자속 밀도는 요크 코어의 임의의 단면에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험프(32t)의 높이는 대경부에 도달하기 전에 0으로 된다.
도 45에 있어서, 대각선 Ld과 요크 코어(32)의 수평축 Ah사이에 형성된 각 α1 내지 α4이 도시되어 있다. 애스펙트비 4:3을 가진 CRT에 있어서, 각각의 각 α1 내지 α4는 37°로 된다. 도 46에 있어서, 도45에 도시된 요크 코어(32)가 장착된 편향 요크(33)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4 및 도 45에 도시된 편향 요크(31,32)에 따르면, 작동시 요크 코어의 자속밀도는 소경부로부터 대경부로 높이방향(CRT의 길이축 방향) 및 요크 코어의 단면에서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된 자성 파우더의 양, 요크 코어의 무게, 편향 전력, 및 요크 코어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7은 요크 코어가 제거된 CRT(편향 요크조립체)의 편향 요크 목부분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48은 도 47에 도시된 편향 요크 조립체위에 장착되도록 내면에 볼록부를 가진 본 발명의 요크 코어중 하나의 사시도이다.
다음에, 요크 코어를 개량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편향 요크 조립체는 분리기(24), 그 쌍사이에서 윈도(23Vw)를 형성하는 한쌍의 수직 편향 코일(23v,23v), 그 쌍사이에서 윈도(23hw,23hw)를 형성하는 한쌍의 수평 편향 코일(23h,23h)를 포함한다. 수직편향 코일(23v,23v)은 분리기(24)의 외면위에 제공되고 수평 편향 코일(23h, 23h)은 분리기(24)의 내면위에 제공된다. 도 47에 있어서, 참조 부호(24Vs,24Vs)는 수직 편향 코일(23h, 23h)을 분리기(24)의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돌출부를 나타낸다.
도 49는 본 발명의 도 48에 도시된 요크 코어를 가진 편향 요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9에 도시된 편향 요크위에, 도 48에 도시된 요크 코어(34)가 장착된다. 요크 코어(34)는 중심선(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소경부로부터 대경부로 요크 코어(34)의 내면위에 리브(34')를 가진다. 도 4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쌍의 요크 코어(34,34)가 편향 요크(35)위에 장착될 때, 리브(34',34')는 수직 편향 코일(23v,23v)의 윈도(23Vw,23Vw)에 위치되고, 요크 코어(34, 34)와 수직 코일(23v, 23v)사이에 갭(35g, 35g)을 형성한다.
도 50은 도 47에 도시된 편향 요크의 단면도이며, 여기서 편향 요크위에는 한쌍의 다른 요크 코어가 장착된다.
도 5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요크 코어(36)에는 그 내면위에 리브(36', 36')와 (36, 36)가 형성되고, 분리기(37), 수직편향 코일(23v, 23v) 및 수평 편향 코일(23h, 23h)을 가진 다른 편향 코일 조립체위에 장착된다. 리브(36',36')는 잘 알려진 것과 같이 윈도(23Vw, 23Vw)위에 위치되고, 리브(36, 36)는 도 47에 도시된 돌기부(24Vs, 24Vs)의 위치에 대응하는 공간(24Vs', 24Vs')에 고정된다. 즉, 분리기(37)에는 위치결정하기 위한 돌기부(24Vs, 24vS)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요크 코어(36)는 도 48에 도시된 갭(35g, 35g)이 제거되도록 하는 타원형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다른 쌍의 요크 코어중 하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목부(39)는 한쌍의 요크 코어(40)중 하나의 내면 소정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돌기부(34',36')와 오목부(39)가 그 내면위에 형성되어 있는 요크 코어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대응하는 부분의 자기장 강도를 증가 또는 약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사실은 편향 코일(23)의 권선 코일의 분포를 단지 변경함으로써 실현될 수 없는 수평 및 수직 자기장 분포의 부분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권선 코일 분포의 보상과 요크 코어 형상의 조합과 돌기부(34', 36', 36)와 오목부(39)의 선택적 조합을 채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색편차와 왜곡이 적은 우수한 편향 요크가 얻어져 원하는 자속 분포을 효과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대응하는 위치에서 내경을 짧게하기 때문에 수직 편향 코일(23v)의 윈도(23Vw)와 같은 권선을 가지지 않는 그와 같은 위치에서 돌기부(34', 36')를 제공함으로써 편향 감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 및 하 방향에서 내경이 짧아지는 요크 코어의 타원형상 때문에 수평 편향력은 요크 코어의 내면을 가능한 한 수직 편향 코일(23v, 23v)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직사각 원추형 요크 코어(yoke core)에 관한 것이다.
도 52는 사각 원추를 갖는 컬러(color) CRT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2에 도시된 것처럼, RIS형 컬러 CRT로서 사각 원추부(41)를 갖는 컬러 CRT(44)가 제시되어 있고, 상기 사각 원추부(41)는 대경부에서 컬러 CRT의 도시 표면(컬러 CRT의 도시 표면측부)에 유사한 직사각 형태를 갖고 소경부(네크 튜브측부)에서 대략 원통형이다.
도 53은 도 52에 도시된 직사각 원추부의 확대도이다.
도 54는 원통형 원추부와 직사각 원추부 사이의 기준 표면(Rf)에 관한 모양의 비교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54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 원추는 도 53에 도시된 기준 표면(Rf)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Rh의 반경을 갖는 원형 모양을 갖는다. 한편, 직사각 원추는 실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수평 방향으로 긴 선을 갖는 직사각 모양(46)을 갖고, 상기 기준 특성(47)은 수평 방향에서 각각 긴 선에 접촉하는 상부 및 저부의 직사각 모양의 반경(Rv)를 갖는 내접된 원을 나타낸다. 또한, Rv:Rh의 비는 대략 표시면(43)의 종방향 길이와 횡방향 길이와의 비에 의해 결정된다.
컬러 CRT의 직사각 원추부(41)는 직사각 원추 모양을 갖고, 사용된 편향 요크는 대경부에서의 직사각 원추와 소경부에서의 원통형 원추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된 요크 코어는 편향 요크의 코어와 동일한 모양이다.
도 55는 도 52에 도시된 RIS형 컬러 CRT에 사용된 요크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55에 도시된 것처럼, 요크 코어(49)의 모양은 대경부에서 직사각 원추를 갖도록 제조된다. 소경부에서의 모양은 종횡비, 빔 편향각, 네크 튜브의 직경 및 요구된 자계 분포에 따른 원통형 원추, 타원형 원추, 및 직사각 그룹으로부터 임의로 선택된다. 도 55에서, 기준 특성(48)은 요크 코어(49)의 분리 라인을 나타낸다.
종래 기술에서의 페라이트(ferrite) 코어에서, 소결시 균열이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낮은 비용으로 직사각 원추 모양의 요크 코어를 대량 생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낮은 비용으로 요크 코어(49)를 대량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직사각 원추 모양을 갖는 요크 코어(49)에서, 상향 및 하향(도 54)에서의 크기는 4:3인 종횡비에서 75%가 감소되고, 원통형 원추 모양을 갖는 요크 코어의 크기에 비교된 16:9의 종횡비에서 56%가 감소된다. 이것은 수평 편향 자계의 자극 거리가 상향 및 하향에서의 크기의 감소에 따라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요구된 수평 편향 전기력은 자극 거리에 비례해 증가되고, 요크 코어(49)의 전기력은 4:3인 종횡비에서 75%가 감소되고 원통형 원추을 갖는 요크 코어의 크기에 비교된 16:9의 종횡비에서 56%가 감소된다.
또한, 직사각 원추의 대각선은 원통형 원추 크기의 1.2배만큼 증가된다. 따라서, 원추에 대한 전자 빔의 끝을 맞대므로써 발생되는 네크 쉐도우는 증가된다. 따라서, 편향 코일의 길이를 증가시키므로써 편향 전기력을 감소시키는 것 또는 편향 전기력을 약간 증가시키므로써 편향 각을 약간 증가시켜 깊이 방향(또는 높이 방향)에서 CRT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제 3 실시예
도 5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크 코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6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요크 코어(52)는 초 고 선명도로 도시하기 위한 CRT에서의 편향 감도 및 자계 분포를 향상시키기 위해 튜브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요크 코어(52)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분포된 복수의 디치(ditch)(50) 및 리브(rib)를 갖는다. 디치(50)는 편향 코일을 감는데 사용된다.
도 5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크 코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7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요크 코어(56)는 튜브 축 방향으로 연장한 요크 코어(56)의 내부 표면상에 반지름 방향으로 분포된 복수의 디치(53)를 갖는다. 또한, 복수의 커트아웃(cutout)(55)은 디치(53)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54)를 원통형으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복잡한 형태를 갖는 요크 코어(52,56)는 초 고 선명도를 도시하기 위한 CRT의 요크 코어로서 사용된다.
100kHz이상의 높은 수평 편향 주파수 범위에서, 비정상적인 열 발생은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에서 와전류 손실과 표피 효과 손실에 의해 발생된 편향 요크의 다수의 부분에서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상기 요크 코어(52,56)는 비정상적인 열 발생을 방지한다.
종래 기술에서의 페라이트 요크 코어에서, 소결에 의해 발생되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크 코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했고, 정확한 크기를 갖는 것은 불가능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분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요크 코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사실은 상기에 언급된 것과 같은 복잡한 모양을 갖는 요크 코어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요크 코어(52,56)에 따르면, 상기 요크 코어(52,56)의 내부 표면과 CRT의 원추 부분(41)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 요크 코어(52,56)내의 자기 플럭스(flux)의 자기 경로는 편향 요크 감소의 결과로부터 얻어진다. 이것은 편향 요크(52,56)에서의 열발생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상술된 것처럼, 요크 코어는 요크 코어가 조직 유닛으로서의 아미노퀴논(aminoquinone) 그룹과 수지 접착제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표면 처리제로 표면 처리된 자성 파우더의 열경화된 성형 자기재로부터 얻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부가의 작업 과정 없이 많은 종류의 요크 코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요크 코어의 생산 비용을 떨어뜨린다. 또한, 요크 코어는 적은 와류 손실에 의해 뛰어난 자기 특성을 갖는다.
제 4 실시예
도 58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편향요크의 배면도이다.
도 59 는 도 58 에 도시된 편향요크에 사용된 보상 자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60 은 코일이 그 주위를 감싸고 있는, 도 59 에 도시된 보상 자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61 은 비교예로서 편향요크에 사용된 보상 자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58 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편향요크(308)는 분리기[301(101)], 분리기(301)의 내면에 제공된 새들형태의 한쌍의 수평 편향코일[302(102)], 분리기(301)의 외면상의 새들형태의 한쌍의 수직 편향코일(303) 및, 상술한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을 덮는 요크 코어(304)를 포함한다.
도 14 를 설명한 바와같이, 분리기(101)는 그 전방 깔대기(309F)를 향해 점차로 넓어지는 보어를 갖도록 연장된 원추형상을 갖는다. 분리기(301)는 수평 평향코일(302)의 후방 굴곡부를 수용하기 위한 그 후방부의 후방 원통형부(301R)와, 후방 원통형부(301R)로 부터 뒤로 연장된 부착부(301P)와, 수평 편향코일(302)의 전방 굴곡부를 수용하기 위한 분리기(301)의 전방부에 제공된 전방 원통형부(301F)를 포함한다. 편향요크(308)는 전방 깔대기(309F)와 네크부(309N) 사이의 CRT상에 장착되어, 밴드(305)와 부착부(301P)를 사용하여 CRT에 고정된다. 네크부(309N)에 제공된 전자빔(310)으로 부터 방사된 R,G,B전자빔은 편향요크(380)에 의해 편향된다.
더욱이, 도 58 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리기(301)의 후방 원통형부(301R)의 배면(301RP)상에는 이들사이에 개제된 네크 튜브(309N)에 밀접한 위치에 한쌍의 슬롯(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롯은 오수렴(XH)을 보정하기위해 한쌍의 제 1 보상 자기판(320)을 파지하기 위해 CRT(309)의 X축을 따라 연장된다. 더나아가, 한쌍의 VCR 보정 코일(307)은 이들사이에 개제된 네크 투브(309N)에 밀접한 배면(301RP)상에 제공되며, CRT의 Y축상에 배열된다.
더욱이, 한쌍의 제 2 보정자기판(324)은 이들사이에 개제된 네크 튜브(309N)에 밀접한 위치에 제공되며, 오수렴(YH)을 보정하기 위해 Y축상에 배열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편향요크에 사용되는 제 4 실시예의 주요부분인 보상 자기판(320)에 대해 설명한다.
보정자기판(3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언급한 동일한 본드 자성재료로 만들어진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드 자석재료의 자기특성을 구하기 위해, 도 59 에 도시된 복수의 보상 자기판(320)을 만들어 아래와 같이 시험하였다.
여기에서, 평균직경이 70㎛ 인 환원 철 파우더를 자석파우더로서 사용하였다.
환원 철 파우더는 아래와 같이 예비 처리하였다.
환원철 파우더: 1 kg
표면처리제: 40g
(처리제의 용해밀도와 30 중량퍼센트의 AQ 모노머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은 3 중량퍼센트)
다음으로, 20g의 에폭시(경화제 함유)를 1 kg 의 예비 처리된 환원철 파우더에 첨가하고, 이들을 분산하도록 혼합함으로서, 74 ㎛ 의 평균입경을 가진 미립파우더를 얻는다.
미립 파우더를 주형에서 성형하여 성형된 자성 재료를 160도의 온도하에서 1시간동안 가열하여 경화하였다.
그 결과, 0.8 mm 의 두께를 갖는 AQ 본드 자석재료의 보상 자기판(320)이 도 59 에 도시된 바와같이 얻어졌다.
각 보상 자기판(320) 주위에는 도 60 에 도시된 바와같이 0.3 mm 의 직경을 가진 2UEW의 자기 와이어(321; 폴리우레탄 에나멜선)을 권취함으로써 15 mm 의 길이를 갖도록 동일피치로 20 회전수의 코일(322)이 형성된다.
보상 자기판(320)의 효과적인 투자율은 코일(322)의 인덕턴스를 측정함으로서 계산하였다. 그 투자율은 또한, 퍼멀리로 만들어진 비교예 1 과 실리콘 스틸로 만들어진 비교예 2 에 대해 구하였고, 각각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한 동일방법으로 0.4 mm 의 두께를 갖는다.
그 결과를 표 3 에 도시하였다.
유효 투자율(μe) *저항치(종방향) **G빔 편차
emb. 8.5 1.8 ㏁/100V ***없음
예 1 7.4 0.7 mΩ 약 0.5 mm
예 2 9.8 3.1 mΩ 약 0.3 mm
* 종방향에서의 보정판의 말단부사이의 저항값.
** 우방향에서의 G(녹색)빔의 편차
***좌측방향에서.
유효 투자율(μe)이 아래와 같이 얻어졌다.
μe = 보상 자기판 주위를 감싸는 코일의 인덕턴스/ 보상 자기판없는 코일의 인덕턴스.
표 3 에서, 종방향의 시험편의 각각의 말단부사이의 저항값이 나타나 있으며, 그 저항값은 이들사이에 100V 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측정하였다.
도 22 에 도시된 오수렴(XH)이 AQ 본드 자성재료, 퍼멀로이 또는 실리콘 스틸로 만들어진 보상 자기판(320)을 사용하여 보정하면, R/B 전자빔에 대한 G 전자빔의 편차방향은 예, 비교예 1 및 2 로서 표 3 에 나타나 있다. 보상 자기판의 실시예에서, 자성 파우더의 입자는 아민퀴논 그룹을 가진 혼합물을 포함하는 박층으로 균일하게 피복된다.
그래서, 표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시예의 종방향의 보상 자기판(320)의 양단부사이의 저항값은 퍼멀로이를 사용한 보상 자기판(323)의 비교예 1 의 경우보다 큰 109배로 증가된다.
그래서, 보정판(320)에 발생된 에디 전류는 고주파 범위로 상당히 감소됨으로써, R/B 전자빔에 대한 G 전자빔의 우측편차는 보상 자기판(323)이 사용된 경우와 비교하여 거의 제거된다. 또한, 오수렴의 대칭은 G 전자빔이 피쳐의 양 말단부에서 동일크기로 R/B 전자빔의 외측으로 편차되기 때문에 향상된다.
따라서, 아주 작은 오수렴이라도 남아 있다고 하더라도, 몇 가지의 보상 기법을 사용하여 매우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상 과정 중의 짧은 시간에 대해서 색상 변이가 없는 고품질의 CRT 편향 요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생산 수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도 낮아진다.
또한, 구조 단위로 사용된 아미노퀴논을 포함하는 복합물을 함유하는 표면 처리제는 바인더로써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폴리머에서 처럼 강한 결합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작은 양의 바인더를 사용하더라도 높은 기계적 강도와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보상 자기판이 갈라지거나 깍이는 일이 없이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자성 파우더가 높은 밀도로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보상 자기판의 두께 및 형태를 축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AQ 결합 자성 재료로 형성된 보상 자기판(320)에서, 마그네틱 분말의 평균 입자가 커짐에 따라서, 유효 투자율 값이 더 커지게 된다. 그러나, 반면에 와전류가 증가한다. 따라서, 자체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는 기계적인 강도 문제를 초래한다. 마그네틱 분말의 평균 입자 지름이 약 5 ㎛로 작아지는 경우, 소자장(demagnetizing field)이 증가하고 되고, 유효 투자율은 감소하게 된다. 이는 오수렴을 보상하기 곤란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보상 자기판(320)에 사용된 마그네틱 분말의 평균 입자 지름은 적합하게는 10 ㎛ 내지 200 ㎛이다.
본 실시예에서, 보상 자기판에서 사용된 마그네틱 분말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환원성 금속 분말을 사용하였지만, 퍼멀로이(Ni-Fe 합금), 실리콘 철 또는 실리콘 강(Fe-Si 합금), 센더스트(Fe-Si-Al 합금) 및 알펌(Fe-Al 합금) 분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된 마그네틱 분말은 본 명세서에 따라서 상술한 재료 중에서 임의로 선택될 수도 있다.
상기 재료는 모두 약 강자성체로 지칭되며, 보상 자기판에 사용되는 자성 재료는 철 파우더 또는 철 기반 자성 파우더와 같은 약 강자성체 중에서 선택된다.
또한, AQ 모노머의 농축 및 바인더나 자성 파우더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의 혼합비는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자성 파우더의 혼합비가 60 중량 퍼센트인 경우, 보상에 필요한 양을 유지하기에는 보상 자기판의 유효 투자율이 너무 작다. 따라서, 자성 파우더의 혼합비는 60 중량 퍼센트에서 99.5 중량 퍼센트까지가 적합하다.
사용된 바인더에 대해서, 액체 또는 고체와는 무관하게 에폭시 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상 자기판의 형상에 대해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의 동일한 조작 및 유효성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수렴(XH)용 보상 자기판(320)과 오수렴(YH)용 약 자기판(324)의 양자를 AQ 결합 마그네틱 재료로 형성하지만, 둘 중의 하나만을 AQ 결합 마그네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AQ 결합 마그네틱 재료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오수렴(YH)을 보상하도록 보상 자기판을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제 5 실시예
도 6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편향 요크의 후면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된 E 형 마그네틱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62에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편향 요크(470)는 분리기(401: 도 28의 201에 대응한다), 분리기(401)의 내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새들형 수평 편향 코일(402: 도 28의 202에 대응한다), 분리기(401)의 외측면 상의 한 쌍의 새들형 수직형 수평 편향 코일(403)과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의 양자를 덮는 요크 코어(404)를 포함한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마찬가지로, 분리기(401: 도 28의 201에 대응한다)는 전면 퍼넬(408F: 208F)를 향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보어를 가지는 원형 원뿔형상이다. 분리기(401: 201)는 후방부에서 수평 편향 코일(403)의 후방 만곡부를 수용하는 후방 실린더형 부분(401R)과, 후방 실린더형 부분(401R)에서 연장된 부착부(401P)와, 수평 편향 코일(402)의 전방 만곡부를 수용하는 분리기(401: 201)의 전면부에 형성된 전면 실린더형 부분(401F)을 구비한다. 편향 요크(470)는 전면 퍼넬(408F)과 네크 튜브(408N) 사이의 CRT(408: 208)에 장착되며, 밴드(405)와 부착부(401P)를 사용하여 CRT(408)에 고정된다. 네크 튜브(408N)에 형성된 전자총(409)에서 방출된 RGB 전자 빔은 편향 요크(470)에 의해 편향된다.
또한,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기(401: 201)의 후방 실린더형 부분(401R)의 후면(401RP) 상에는, 다극 코일(426, 426') 사이에 배치된 네크 튜브(408N)에 인접한 위치에서 분리기(401: 201)의 후방 실린더형 부분(401R) 상에 다극 코일(426, 426': VCR 보상 코일)이 배치되고 오수렴 VCR을 보상한다.
각 다극 코일(426, 426')은 E 형 마그네틱 코어(420)와, E 형 마그네틱 코어(420)의 다리(leg) 주위를 각각 감싸는 코일(412a 내지 412c: 412d 내지 412f)을 구비한다.
마그네틱 보상판(320)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63에 도시한 두께 2.0 mm의 E 형 자심(420)은 AC 결합 자성 재료로 형성된다.
E 형 자심(420)의 유효 투자율(μe)은 주파수 1 kHz에서의 인덕턴스를 측정하여 계산한다. 비교예로써,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E 형 코어(420)를 대신하여, 두께 0.5 mm의 실리콘강으로 형성된 네 개의 약 자기판을 적층하여 얻은 E 형 자심(441)을, 동일한 주파수에서 인덕턴스를 측정하여 유효 투자율(μe)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도시한다.
유효 투자율(μe) *저항값(길이방향) **G빔의 편이
본 실시예 9.5 0.9 MΩ/100 V ***없음
비교예 1 10.0 0.09 mΩ 약 0.7 mm
*. 길이 방향으로 E 형 마그네틱 코어의 원단부 사이의 저항값.
**. 오른쪽으로의 G(녹색) 빔의 편이.
***. 왼쪽으로.
유효 투과율(㎕)은 하기와 같이 얻을 수 있다.
㎕ = E-형 자기 코어 주위에 감겨진 코일의 인덕턴스/E-형 자기 코어가 없는 코일의 인덕턴스
표 4 에는 각각 세로 방향의 테스트 피스에 대한 말단 단부들 사이의 저항값을 도시하며, 상기 값은 그들 사이에 100V의 전압을 제공하므로써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5 에 도시된 오수렴(XH)이 AQ 본드 자기 물질의 E-형 자기 코어(420) 또는 실리콘강의 E-형 자기 코어(211)를 사용하므로써 보상될 때, R/B 전자빔에 대한 G 전자빔의 편이 방향 및 양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하여 표 4 에 도시되어 있다. E-형 자기 코어(420)의 실시예에 있어서, 자성 파우더의 미립자는 아미노키니네 그룹을 갖는 합성물을 포함하는 박층으로 균일하게 코팅된다.
따라서, 표 4 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상기 실시예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 E-형 자기 코어(420)의 양 단부들 사이의 저항값은 실리콘강을 채용한 E-형 자기 코어(211)의 것과 비교하여 109배 증가한다.
따라서, E-형 자기 코어(420)에서 발생된 와전류는 고주파수 영역에서 극도로 감소되며, 그 결과 R/B 전자빔에 대한 G 전자빔의 오른 방향의 편이는 실리콘강 플레이트로 제조된 E-형 자기 코어가 사용되는 것과 비교할 때 거의 제거된다.
따라서, 약간의 오수렴이 잔류할 때 조차도, 다양한 보상 방법을 사용하므로써 그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보상 과정에 있어서 짧은 시간동안 컬러 편이가 없는 고품질을 갖는 CRT의 편향 요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조 수율이 증가하므로, 생산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구성 단위로서 아미노키니네를 갖는 합성물을 포함하는 표면 처리제는 결합제를 사용하므로써 에폭시 수지와 같은 중합체와 함께 강한 결합력을 가지며, 그 결과 소량의 결합제가 사용될 때 조차 현격한 충격 저항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균열이나 파손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E-형 자기 코어(420)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자성 파우더의 높은 충전 농도로 인해 E-형 자기 코어의 두께 및 형태를 감소시킬 수 있게된다.
AQ 본드 자기 물질로 제조된 E-형 자기 코어(420)에 있어서, 자성 파우더의 평균 입자 직경이 커지면 커질수록, 유효 투과율의 값은 점점 커진다. 그러나, 대조적으로, 와전류는 증가된다. 따라서, 그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이는 기계적 강도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상기 자성 파우더의 평균 입자 직경이 약 5㎛ 이하일 경우, 반자계는 증가되며, 그 결과 유효 투과율은 감소된다. 이는 오수렴의 예정된 보상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E-형 자기 코어(420)에 사용된 자성 파우더의 평균 입자 직경은 10㎛ 내지 200㎛가 적합하다.
유효 투과율에 관하여, 유효 투과율이 8 이상일 때 오수렴을 충분히 보상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E-형 자기 코어(420)에 사용된 자성 파우더와 같이, 저감 철 파우더가 사용되었으나, 퍼어말로이(Ni-Fe 합금), 실리콘철 또는 실리콘강(Fe-Si 합금), 센더스트(Fe-Si-Al 합금) 및 알퍼름(Fe-Al 합금) 파우더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연질 강자성체로 불리며, E-형 자기 코어(420)에 사용된 자기 물질은 철-파우더 또는 철계 자성 파우더와 같은 연성 강자성체에서 선정된다.
또한, AQ 단량체의 농도 및 결합제 및 자성 파우더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의 혼합비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자성 파우더의 혼합비가 60 중량% 이하일 때, E-형 자기 코어(420)의 유효 투과율은 너무 작아서 필요한 보상량을 지속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자성 파우더의 혼합비는 60 중량% 이상 내지 99.5 중량% 이하가 적합하다.
사용된 결합제에 관하여, 액체든 고체든 관계없이 에폭시 수지로 제한되지 않는다. E-형 자기 코어(420)의 형상에 관하여는,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것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은 작동 및 효과을 갖는 것으로 응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E-형 자기 코어(420)와 함께 설치된 다극 코어(426,426')가 AQ 본드 자기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되나, 상기 자기 코어의 형상은 E-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AQ 본드 물질을 사용하므로써, U-형 또는 I-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Claims (30)

  1. CRT의 대경부를 구비한 펀늘(funnel)과 소경부를 구비한 네크 튜브 사이의 위치에서 CRT상에 장착되고, CRT(음극선관; cathode ray tube)의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요크에 있어서,
    CRT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수평 편향 요크와,
    CRT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수직 편향 요크와,
    요크가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을 덮는 것을 허용하도록 그 펀늘 측면의 단부에서 대경부를 구비하고, 그 네크 튜브 측면의 다른 단부에서 소경부를 구비하는 원추 형상을 가진 요크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 코어는 열경화된 성형 자성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성형 자성재료는 구성 유닛으로서 아미노퀴논(aminoquinone) 그룹을 갖는 콤파운드를 포함하는 표면처리제로 처리된 자성파우더 및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아미노퀴논 그룹은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도시된 아미노 퀴논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화학식 1
    화학식 2
    여기서, Y는 수소 원자, 직선형 체인, 환형 체인 또는 분기형 체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C1- C6알킬 그룹, 아랄킬 그룹, 페닐 그룹,
    Z1은 C2- C16알킬렌 그룹, 페닐렌 그룹, 아랄킬 그룹, 알카릴렌 그룹, -(CH2CH2-O)n -CH2CH2- (n은 1 내지 50의 정수),
    Z2는 직선형 체인과 분기형 체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C1- C6의 알킬렌 그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제는 실란(cylane) 결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실란 결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4. CRT의 펀늘(funnel)과 네크 튜브 사이의 위치에서 CRT상에 장착되고, CRT(음극선관)의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요크에 사용되는 요크 코어에 있어서,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을 덮는 것을 허용하도록 그 펀늘 측면의 단부에서 대경부를 갖고, 그 네크 튜브 측면의 다른 단부에서 소경부를 갖는 원뿔 형상을 구비하고,
    열경화된 성형 자성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성형 자성재료는 구성 유닛으로서 아미노퀴논 그룹을 갖는 콤파운드를 포함하는 표면처리제로 처리된 자성파우더 및 수지를 포함하는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아미노퀴논 그룹은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도시된 아미노 퀴논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코어.
    화학식 1
    화학식 2
    여기서, Y는 수소 원자, 직선형 체인, 환형 체인 또는 분기형 체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C1- C6알킬 그룹, 아랄킬 그룹, 페닐 그룹,
    Z1은 C2- C16알킬렌 그룹, 페닐렌 그룹, 아랄킬 그룹, 알카릴렌 그룹, -(CH2CH2-O)n -CH2CH2- (n은 1 내지 50의 정수),
    Z2는 직선형 체인과 분기형 체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C1- C6의 알킬렌 그룹.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제는 실란 결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코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실란 결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코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요크코어의 소경부 및 대경부의 두께는 각각 상기 요크코어의 소경부를 통해 흐르는 자속의 운용 자속 밀도가 상기 대경부를 통해 흐르는 운용 자속 밀도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코어의 소경부 및 대경부의 두께는 각각 상기 요크 코어의 소경부를 통해 흐르는 자속의 운용자속밀도가 대경부를 통해 흐르는 운용 자속 밀도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코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코어는 원추형의 원뿔면상에 네 개의 대각선 위치 각각에서 네 개의 험프(hump)를 구비하고,
    상기 네 개의 대각선 위치는 CRT의 표시면상의 한쌍의 대각선에 방사형으로 대응하며,
    상기 네 개의 험프는 상기 요크 코어를 통해 흐르는 자속밀도가 상기 네크 튜브의 축에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요크코어의 부분을 통해 대략 균일하게 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험프 각각의 높이가 상기 소경부로부터 대경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방식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코어는 상기 원추형의 원뿔면상에 네 개의 대각선 위치 각각에서 네 개의 험프를 구비하고,
    상기 네 개의 대각선 위치는 CRT의 표시면상의 한쌍의 대각선에 방사형으로 대응하며,
    상기 네 개의 험프는 상기 요크 코어를 통해 흐르는 자속밀도가 상기 네크 튜브의 축에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요크코어의 부분을 통해 대략 균일하게 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험프 각각의 높이가 상기 소경부로부터 대경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방식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코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코어의 내부면상에 돌출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코어의 내부면에 덴트(Dent)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코어의 내부면상에 돌출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코어.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코어의 내부면에 덴트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코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코어의 대경부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코어의 대경부의 형상은 대략 타원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1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코어의 대경부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코어.
  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의 대경부의 형상은 대략 타원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코어.
  19. 제 1 항에 있어서, 코일을 권선하기 위해 편향 요크의 내주면에 홈이 방사방향으로 형성되어 분포되어 있고, 이 홈은 편향 요크의 소경부로부터 대경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20. 제 4 항에 있어서, 코일을 권선하기 위해 편향 요크의 내주면에 홈이 방사방향으로 형성되어 분포되어 있고, 이 홈은 편향 요크의 소경부로부터 대경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코어.
  21. 제 19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컷아웃이 원형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인접한 홈 사이에 끼워진 돌출부에 컷아웃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22. 제 20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컷아웃이 원형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인접한 홈 사이에 끼워진 돌출부에 컷아웃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크 코어.
  23. 수지를 구비하는 바인더와 컬러 CRT(음극선관 ; cathode ray tube)에서 라인에 배치된 전자총으로부터 발광되는 복수의 전자 비임을 편향시키기 위해 컬러 CRT에 장착되고, CRT의 표시 패널에서 발생된 오수렴을 보정하기 위해 보상 자기판에 설치된 편향 요크에 있어서,
    상기 보상 자기판은 가열 경화된 성형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성형 자성 재료는 구성 단위와 같은 아미노퀴논 그룹을 갖는 화합물을 구비하는 표면 처리제로 처리된 자성 파우더와 수지를 구비하는 바인더를 포함하며, 상기 아미노퀴논 그룹은 하기 화학식1 및 2로 표시되는 아미노퀴논 그룹중 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화학식 1
    화학식 2
    여기서, Y는 수소 원자, 직선형 체인, 환형 체인 또는 분기형 체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C1- C6알킬 그룹, 아랄킬 그룹 또는 페닐 그룹,
    Z1은 C2- C16알킬렌 그룹, 페닐렌 그룹, 아랄킬 그룹, 알카릴렌 그룹, -(CH2CH2-O)n -CH2CH2- (n은 1 내지 50의 정수),
    Z2는 직선형 체인과 분기형 체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C1- C6의 알킬렌 그룹.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파우더의 평균 입경은 10㎛ 내지 200㎛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판에서 자성 파우더의 중량비는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파우더에 대한 구성 단위로서 아미노퀴논 그룹을 갖는 화합물의 중량비는 0.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27. 컬러 CRT(음극선관)에서 라인에 배치된 전자총으로부터 발광되는 복수의 전자 비임을 편향시키기 위해 컬러 CRT에 장착되고, CRT의 표시 패널에서 발생된 오수렴을 보정하기 위해 권회된 자기 코일에 설치된 편향 요크에 있어서,
    상기 자기 코일은 가열 경화된 성형 자성 재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성형 자성 재료는 구성 단위로서 아미노퀴논 그룹을 갖는 화합물을 구비하는 표면 처리제로 처리된 자성 파우더와 수지를 구비하는 바인더를 포함하며, 상기 아미노퀴논 그룹은 하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아미노퀴논 그룹중 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화학식 1
    화학식 2
    여기서, Y는 수소 원자, 직선형 체인, 환형 체인 또는 분기형 체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C1- C6알킬 그룹, 아랄킬 그룹 또는, 페닐 그룹,
    Z1은 C2- C16알킬렌 그룹, 페닐렌 그룹, 아랄킬 그룹, 알카릴렌 그룹, -(CH2CH2-O)n -CH2CH2- (n은 1 내지 50의 정수),
    Z2는 직선형 체인과 분기형 체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C1- C6의 알킬렌 그룹.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파우더의 평균 입경은 2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판에서 자성 파우더의 중량비는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파우더에 대한 구성 단위로서 아미노퀴논 그룹을 갖는 화합물의 중량비는 0.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KR1019980005852A 1997-02-17 1998-02-17 편향요크및편향요크코어 KR100304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49643 1997-02-17
JP4964397A JPH10233177A (ja) 1997-02-17 1997-02-17 偏向ヨーク及び偏向ヨークコア
JP97-065458 1997-03-04
JP97-065457 1997-03-04
JP6545897A JPH10247462A (ja) 1997-03-04 1997-03-04 偏向ヨーク
JP6545797A JPH10247461A (ja) 1997-03-04 1997-03-04 偏向ヨー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665A true KR19980071665A (ko) 1998-10-26
KR100304755B1 KR100304755B1 (ko) 2001-11-22

Family

ID=2729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852A KR100304755B1 (ko) 1997-02-17 1998-02-17 편향요크및편향요크코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46538A (ko)
EP (1) EP0859397A3 (ko)
KR (1) KR100304755B1 (ko)
CN (1) CN11965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278B1 (ko) * 1999-10-05 2006-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KR100839366B1 (ko) * 2001-04-09 2008-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조립체
KR101967864B1 (ko) * 2018-11-06 2019-04-10 디에스씨(주) 접착력이 개선된 내오염성 건축용 콜루게이트 패널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9508A (ko) * 1997-11-14 2000-11-25 사토 히로시 편향요크용 코어 및 편향요크
KR100371452B1 (ko) * 1999-03-31 2003-02-0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음극선관장치
JP3507836B2 (ja) * 2000-09-08 2004-03-15 Tdk株式会社 圧粉磁芯
US6380698B1 (en) * 2001-01-11 2002-04-30 Sony Corporation Deflection yoke with improved deflection sensitivity
TW553473U (en) 2001-03-16 2003-09-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Yoke ring, deflection unit and cathode ray tube
KR20040013916A (ko) * 2002-08-09 2004-0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50083575A (ko) * 2002-11-22 2005-08-2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편향 요크 및 음극선관장치
JP2004288464A (ja) * 2003-03-20 2004-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陰極線管装置
JP2005071859A (ja) * 2003-08-26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陰極線管装置
US20050218778A1 (en) * 2004-04-06 2005-10-06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Deflection yoke and picture tube apparatus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3208A (en) * 1982-12-27 1985-09-24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Magnetic cor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S59123141A (ja) * 1982-12-29 1984-07-16 Toshiba Corp 電磁偏向型ブラウン管用偏向ヨ−ク
JPH0611008B2 (ja) * 1983-11-16 1994-02-09 株式会社東芝 圧粉鉄心
JPS61124038A (ja) * 1984-11-20 1986-06-11 Toshiba Corp 電磁偏向型ブラウン管用偏向ヨ−ク及びその製造方法
EP0400716A1 (en) * 1989-05-26 1990-12-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oft magnetic magnesium-manganese-zinc-ferrite material and products thereof
US5198137A (en) * 1989-06-12 1993-03-30 Hoeganaes Corporation Thermoplastic coated magnetic powd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5475066A (en) * 1993-02-19 1995-12-12 The University Of Alablama Reactive amino-quinones, copolymers thereof and corrosion resistant information storage devices
JP3242748B2 (ja) * 1993-05-14 2001-12-25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高電気抵抗表面層を有するMn−Znフェライト磁性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325961A (ja) * 1993-05-17 1994-11-25 Tdk Corp フェライト磁心の焼成方法及びその焼成治具
JPH08180816A (ja) * 1994-12-26 1996-07-1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受像管の電子ビーム調整用軟磁性磁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278B1 (ko) * 1999-10-05 2006-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KR100839366B1 (ko) * 2001-04-09 2008-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조립체
KR101967864B1 (ko) * 2018-11-06 2019-04-10 디에스씨(주) 접착력이 개선된 내오염성 건축용 콜루게이트 패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6568A (zh) 1998-10-21
KR100304755B1 (ko) 2001-11-22
EP0859397A2 (en) 1998-08-19
US6046538A (en) 2000-04-04
EP0859397A3 (en)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755B1 (ko) 편향요크및편향요크코어
TWI260667B (en) Deflection yoke for a CRT
KR100464706B1 (ko)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 권선 공간을 구비한 새들형 편향 권선
JP2571225B2 (ja) カラ−表示管における電子ビ−ムのコンバ−ゼンスのずれを補正する方法及びカラ−表示管システム
US6633116B1 (en) Ferrite core in deflection yoke for Braun tube
CA2157443C (en) Deflection yoke and color cathode ray tube with the deflection yoke
US5864204A (en) Supplementary coil of deflection yoke for Braun tube
US4383233A (en) Television deflection yoke
JPH10233177A (ja) 偏向ヨーク及び偏向ヨークコア
JP3927461B2 (ja) 偏向ヨーク及び当該偏向ヨークを用いた陰極線管装置
KR100351850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
EP1501113A1 (en) Deflection yoke and catthode ray tube unit
KR100872919B1 (ko) 편향요크 및 당해 편향요크를 이용한 음극선관장치
KR20000073545A (ko) 편향요크 코아용 결합제
KR100356287B1 (ko) 편향요크
EP1585162A1 (en) Ferrite core, deflection yoke, and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KR0144201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코아
AU623227B2 (en) Magnetic shunt for deflection yokes
EP1349194A1 (en) Magnetic device for correcting image geometry defects for cathode-ray tubes
KR20000065943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코아
KR100313378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코아
KR100341691B1 (ko) 편향요크
KR0167071B1 (ko) 편향요크의 새들형 코일 성형용 유도금형
JP2007042661A (ja) 偏向ヨーク及び当該偏向ヨークを用いた陰極線管装置
JPS61211942A (ja) Crt用電磁偏向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