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850B1 -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850B1
KR100351850B1 KR1020000053490A KR20000053490A KR100351850B1 KR 100351850 B1 KR100351850 B1 KR 100351850B1 KR 1020000053490 A KR1020000053490 A KR 1020000053490A KR 20000053490 A KR20000053490 A KR 20000053490A KR 100351850 B1 KR100351850 B1 KR 100351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ite core
core
juferrite
cathode ray
deflection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405A (ko
Inventor
이석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0125158A priority Critical patent/EP1102301A1/en
Priority to US09/714,139 priority patent/US6633116B1/en
Priority to CNB00137110XA priority patent/CN1136600C/zh
Priority to JP2000353047A priority patent/JP3523185B2/ja
Publication of KR20010050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1Cores for field producing elements, e.g. ferr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 원형의 페라이트 코어에 비해 편향감도를 개선할 수 있는 사각 페라이트 코어의 장점을 유지함과 아울러 사각 페라이트 코어에 비해 내면에 대한 연마가공이 용이하고 내면치수의 산포가 개선된 새로운 구조의 페라이트 코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자총(5)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코일(41) 및 수직편향코일(42)과, 상기 수평편향코일(41) 및 수직편향코일(42)로부터 발생된 자기력이 손실되는 것을 줄여 자기 효율을 높이기 위한 페라이트 코어(50)와, 상기 수평편향코일(41)과 수직편향코일(42) 및 페라이트 코어(50)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수평편향코일(41)과 상기 수직편향코일 사이(42)의 절연을 위한 홀더(43)로 구성된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있어서; 그 페라이트 코어(50)는 곡면을 갖는 주페라이트 코어(51)와 평판형의 보조페라이트 코어(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 {Ferrite core in Deflection Yoke for Braun tube}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편향요크(Deflectlon Yok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편향감도를 향상시켜 주기 위해 적용하는 알·에이·씨(RAC)타입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음극선관은 통상 인라인(IN-LINE)형 전자총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라인형 전자총을 구비하는 음극선관에서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전자빔이 수평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방사되기 때문에, 3개의 전자빔을 형광면의 어느 한 점에 수렴시키기 위해서 비균일 자계를 이용한 자기 집중형(self- converging type) 편향요크를 적용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종래의 칼라음극선관 및, 이에 적용되는 알·에이·씨(RAC) 타입 편향요크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종래의 칼라음극선관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장착되는 패널(1)과, 상기 패널(1)의 내면에 적색(R), 녹색(G), 청색(B)의 형광체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형광면(3)과, 이 형광면(3)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형광면(3)으로 입사되는 전자빔의 색선별 기능을 갖는 섀도우 마스크(2)와, 상기 패널(1)의 후면에 결합되는 펀넬(6)과, 상기 펀넬(6) 후방의 넥크부 내부에 장착되어 전자빔(7)을 방사(放射)하는 전자총(5)과, 상기 펀넬(6) 후방의 넥크부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알·에이·씨(RAC) 타입 편향요크(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알·에이·씨(RAC) 타입 편향요크(4)에는,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극선관 내부에 있는 전자총(5)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한 쌍의 수평편향코일(41)과,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한 쌍의 수직편향코일(42)과, 상기 수평편향코일(41) 및 수직편향코일(42)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된 자기력이 손실되는 것을 줄여주어 편향 효율을 향상시켜 주기 위한 페라이트 코어(44)와, 상기 수평편향코일(41)과 수직편향코일(42) 그리고 페라이트 코어(44)등의 상대위치를 결정해주면서 기구적으로 고정, 결합시켜 주며 수평편향코일(41)과 수직편향코일(42) 사이를 절연시키고, 음극선관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홀더(43)와, 상기 홀더(43)의 넥크측에 주로 설치되어 수직 배럴형 자계에 의해서 발생하는 콤마수차를 개선해 주기 위한 콤마프리코일(COMA free coil)(45)과, 상기 홀더(43)의 넥크측 끝에 설치되어 음극선과 편향요크(4)를 기구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링밴드(Ring band)(46)와, 편향요크의 개구부쪽에 설치되어 화면상의 라스터 왜곡(이하, "디스토션"이라 함)을 보정하는데 사용하는 마그네트(47)등이 구비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종래의 알·에이·씨(RAC) 타입 편향요크를 구성하는 사각형 페라이트 코어 및, 이에 기구적으로 결합되는 수직편향코일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a의 사각형 페라이트 코어의 사시도로서, 종래의 페라이트 코어(44)는, 음극선관의 형상과 대비할 때 음극선관의 넥크부와 같이 면적이 좁은 넥크부(44c)와, 음극선관의 스크린측과 같이 상기 넥크부(44c)에 비해 면적이 넓은 개구부(44a)와, 그 중간영역인 중간부(44b)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페라이트 코어는 넥크부(44c)의 형상은 원형이고, 중간부(44b)를 거치면서 개구부로 전이될수록 점점 비원형화 되며, 개구부(44a)의 형상은 사각형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중간부(44b)는 원형에서 사각형으로 변형되는 비원형화 영역으로서, 도 3의 중간부(44b)에 도시된 파선은 비원형화가 시작되는 지점(P)을 나타낸것이다.
한편, 도 4a는 도 2a의 수직편향코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정면도이고, 도 4c는 도 4a의 상면도로서, 수직편향코일(42)은 전술한 사각 페라이트 코어(44)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그 윤곽(contour)은 대략 전술한 사각 페라이트 코어의 형태와 유사하다.
즉, 상기 수직편향코일(42) 역시 사각페라이트 코어(44)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음극선관의 넥크부 형상과 대략 유사하게 그 면적이 좁은 넥크부(42c)와, 음극선관의 스크린측의 형상과 대략 유사하게 면적이 넓은 개구부(42a)와, 그 중간영역인 중간부(42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직편향코일(42)의 넥크부(42c)의 내주면 형상은 원형이고, 중간부(42b)를 거치면서 개구부쪽으로 올수록 점점 비원형화되어, 개구부(42a)에 이르면 사각형상을 띠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편향코일(42) 역시, 원형에서 사각형으로 변형되는 비원형화 지점(P) 및, 상기 비원형화 지점(P)으로부터 시작되는 비원형화 영역인 중간부(42b)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사각 페라이트 코어(44)와 수직편향코일(42)의 비원형화 영역은 넥크부 측에서 개구부쪽으로 전이(轉移)됨에 따라, 비원형화율이 점점 커지게 되는데, 여기서 비원형화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의 대각축 방향의 길이가 외경에 대응하도록 원(C)을 그린 상태에서, 그 원의 반경을 R이라 하고, 사각형의 수평축(H) 방향의 길이를 HL, 사각형의 수직축(V) 방향의 길이를 VL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원의 반경R과 사각형의 수평축방향 길이 HL과의 차이를 ΔH, 상기 원의 반경R과 사각형의 수직축방향 길이 VL과의 차이를 ΔV라고 한다.
이 때, 이들 ΔH와 ΔV의 합(가산량)은 ΔHV, 즉,ΔHV=ΔH+ΔV라고 하며, ΔHV/R를 비원형화율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정원(正圓)의 경우에는 ΔH와 ΔV가 "0"이므로 비원형화율이 "0"이고,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비원형화율이 약 "0.6"정도가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알·에이·씨(RAC) 타입 편향요크(4)의 작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41)에는 15.75KHz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흘려주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음극선관 내부의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켜준다.
또한, 수직편향코일(42)에는 보통 60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흘려주어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켜준다.
한편, 최근에는 수평편향코일(41)과 수직편향코일(42)에 의한 비균일 자계를 이용해서 3개의 전자빔이 별도의 부가회로 및 부가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면에서 컨버젼스(convergence)를 이룰 수 있도록 해주는 셀프 컨버젼스 형태의 편향요크(4)가 주로 개발되고 있다.
즉, 수평편향코일(41) 및 수직편향코일(42)의 권선 분포를 조정해서 각 부위별(개구부, 중간부, 넥크부)로 자계가 바렐(barrel) 혹은 핀-쿠션형 자계가 되도록하여, 3개의 전자빔이 위치에 따라서 각각 다른 편향력을 받게 하므로써, 출발지점에서부터 도착지점까지의 거리가 각기 다른 3개의 전자빔을 동일한 지점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수평편향코일(41) 및 수직편향코일(42)에 전류를 흘려주어 자계를 만들어 주는 경우, 상기 수평편향코일(41) 및 상기 수직편향코일(42)에 의한 자계만으로는 전자빔을 화면의 전면(全面)에 걸쳐 편향시키기 어려우므로, 고투자율의 페라이트 코어(44)를 사용하여 자계의 귀환 경로 상에서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계의 효율을 높여 자기력을 증대시키고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요크(4)에서 수평편향코일(41)은 상측 및 하측 수평편향코일(41U)(41L)을 병렬로 연결한 후, 톱니파 형상의 수평편향전류를 흘려줌으로써 핀-쿠션 형상의 수평편향자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전자총(5)에서 방사된 세 개의 전자빔(즉, 적색, 녹색, 청색 3개의 전자빔)이 수평편향자계 영역을 통과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전자빔이 받는 힘은 수평편향코일의 내면과 전자빔간의 거리에 3제곱에 반비례하여 수평방향으로 편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편향요크의 작용시, 알·에이·씨(RAC) 타입 편향요크(4)는 편향코일(41,42)과 페라이트 코어(44)가 사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자빔과의 거리가 기존의 원형 편향요크에 비해 가까워지기 때문에, 원형의 편향요크에 비해 편향감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와,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의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구성된 경우, 전자빔과 편향코일간의 거리가 종래의 원형의 편향요크에 비해 20%정도 짧아지기 때문에 수평 및 수직편향감도가 약 20-30% 정도 개선된 편향요크 특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사각 페라이트 코어는, 재질의 수축율이 20%에 달하므로 인해, 이에 따른 가공 공차가 ±2% 수준에 이르고 있다.
특히, 편향요크(4)의 감도를 향상시켜 주기 위해서는 종래의 원형 코어와는 달리 특이한 형태를 띠는 사각 페라이트 코어 형상으로 가공되어야 하므로 인해 가공오차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사각 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44a)는 좌우 길이와 상·하 길이가 다르게 가공되어야 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사각 페라이트 코어는 전체적으로 볼 때, 넥크부(44c)에서는 내외면이 원형이나 중간부(44b)를 거쳐 개구부(44a)에 이르면 사각형상을 이루는 구조로 가공되어야 함에 따라, 페라이트 코어의 연마 가공시 가공오차가 기존의 원형코어에 비해 최고 3배 이상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각 페라이트 코어는 비원형화율이 변화하는 중간부(44b)를 지니고 있으므로 인해, 비원형화율에 따른 연마 가공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정밀한 치수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사각 페라이트 코어는, 생산수율에 있어서는 기존 원형 페라이트 코어에 비하여 약 50% 수준에 지나지 않게 되는 반면, 단가는 종래 원형 코어 대비 약 200% 이상 상승하게 되는등, 생산수율 및 제조원가 측면에서 많은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편향감도를 개선할 수 있는 사각 페라이트 코어의 장점을 고스란히 유지한 채, 내면의 연마가공이 용이하고 내면치수의 산포가 개선되는 새로운 구조의 페라이트 코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음극선관의 개략도
도 2a는 도 1의 음극선관에 구비되는 알·에이·씨(RAC)타입 편향요크의 정면도
도 2b는 도 2a의 측면도
도 3은 도 2a의 사각형 페라이트 코어의 사시도
도 4a는 도 2a의 수직편향코일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c는 도 4a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
도 5a는 종래 편향요크의 수평편향 회로도
도 5b는 종래 편향요크의 편향전류의 파형도
도 6은 비원형화율의 정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가 적용된 편향요크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페라이트 코어의 사시도
도 9a는 도 8의 분해 사시도
도 9b는 도 8의 정면도
도 9c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의 사시도
도 13a는 도 12의 분해사시도
도 13b는 도 12의 정면도
도 13c는 도 12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의 사시도
도 15a는 도 14의 분해사시도
도 15b는 도 14의 정면도
도 15c는 도 14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의 사시도
도 17a는 도 16의 분해사시도
도 17b는 도 16의 정면도
도 17c는 도 16의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페라이트 코어를 통과하는 수평편향 자계의 패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패널 2:새도우 마스크
3:형광면 4:편향요크
5:전자총 6:펀넬
41:수평편향코일 42:수직편향코일
43:홀더 44:페라이트 코어
44a: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 44b:페라이트 코어의 중간부
44c:페라이트 코어의 넥크부 45:콤마프리 코일
46:링밴드 47:마그네트
50:페라이트 코어 51:주페라이트 코어
51a: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
51b:주페라이트 코어의 중간부
51c:주페라이트 코어 넥크부
51d:주페라이트 코어 평탄면
52:보조페라이트 코어 53:보조페라이트 코어 지지용 보조홀더
52a:보조페라이트 코어의 돌출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로부터 발생된 자기력이 손실되는 것을 줄여 자기 효율을 높이기 위한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 및 페라이트 코어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수직편향코일 사이를 절연(絶緣)하는 홀더로 구성된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가, 곡면을 갖는 주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에 결합되는 평판형의 보조페라이트 코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 쪽에 보조페라이크 코어 부착을 위한 평탄면이 구비되며, 상기 평탄면은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평탄면이, 개구부에서 시작하여 넥크부쪽을 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평탄면의 관축방향 길이는 주페라이트 코어의 관축방향의 전체 길이에 대비할 때 5%∼70%에 해당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에서 시작하여 넥크부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평탄면이,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를 스크린쪽에서 바라 볼 때, 호(弧)모양을 이룬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측 전면 내측 끝단으로부터 주페라이트 코어의 반경 중심까지를 이은 선과,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이 이루는 사이각(α)이 20∼80°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탄면이, 상기 호(弧)모양을 이룬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측 전면 내측 끝단으로부터 주페라이트 코어의 반경 중심까지를 이은 선과,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이 이루는 사이각이 36.7°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평탄면의 형성 위치를 수직편향코일과의 관계를 통해 정의하면, 상기 평탄면이, 주페라이트 코어의 관축방향 전체 길이 중,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비원형화가 시작되는 지점들을 주페라이트 외주면상에 투영했을 때,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외주면에 투영된 지점들의 전방에서부터 형성되기 시작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평탄면이, 주페라이트 코어의 관축방향 전체 길이 중,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비원형화율이 0.3이 되는 지점들을 주페라이트 외주면상에 투영했을 때,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외주면에 투영된 지점들의 전방에서부터 형성되기 시작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평탄면은 관축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관축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형상이,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를 관축방향을 따른 임의의 지점에서 상기 개구부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게 절단할 경우, 그 절단면의 형태는 동심(同心)을 갖는 원 또는 원호 모양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조페라이트 코어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 형태로서, 평면에서 볼 때 동일한 폭을 갖는 사각형 구조를 이루거나,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측에 위치하는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측에 위치하는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보조페라이트 코어는, 평면에서 볼 때 반원형 또는 사다리꼴을 이루게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에는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평탄면에 안착되도록 돌출된 받침부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주페라이트 코어의 평탄면과 형합하도록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평탄면이, 원추형의 주페라이트 코어를 소결 성형한 후,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측 상·하단부를 절취함에 따라 형성되거나,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소결 성형에 의해 별도의 가공없이 직접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 전면과,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의 전면이 동일 수직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관축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의 전면이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 전면에 비해 관축방향을 따라 후퇴하여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 및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의 전방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보조홀더가 더 구비되어,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 및 보조페라이트 코어의 전방부가 상기 보조홀더의 통공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 7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가 적용된 편향요크의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가 적용된 편향요크는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알에이시 타입의 수평편향코일(41) 및 수직편향코일(42)과, 상기 수평편향코일(41) 및 수직편향코일(42)로부터 발생된 자기력의 손실을 줄여 자기 효율을 높이는 작용을 하며 곡면을 갖는 주페라이트 코어(51) 및 평판형의 보조페라이트 코어(52)로 이루어진 페라이트 코어(50)와, 상기 수평편향코일(41)과 수직편향코일(42) 및 페라이트코어(50)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수평편향코일(41)과 수직편향코일(42) 사이를 절연하는 홀더(43)로 구성된다.
한편, 도 8은 도 7의 페라이트 코어의 사시도이고, 도 9a는 도 8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b는 도 8의 정면도이고, 도 9c는 도 8의 측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50)는 내외면이 원형을 이루는 주페라이트 코어(51)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형의 보조페라이트 코어(52)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51)는 개구부(51a)와 중간부(51b) 및 넥크부(51c)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51a)에서 넥크부(51c)까지 그 수직단면이 원형을 유지하되, 개구부에서 넥크부로 전이(轉移)됨에 따라 그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형태를 띠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52)는, 평면상에서 볼 때 사각형을 이루는 평판도 물론 가능하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평면상 사다리꼴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51) 개구부(51a) 상부측과 하부측에는 평탄면(51d)이 형성되고, 상기 평탄면(51d)상에는 보조페라이트 코어(52)가 각각 결합된다.
이 때, 상기 평탄면(51d)은, 주페라이트 코어(51)의 개구부(51a)에서 시작하여 넥크부쪽을 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평탄면(51d)의 관축방향 길이(l)는 주페라이트 코어의 관축방향의 전체 길이(L)에 대비할 때 5%∼70%에 해당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평탄면(51d)의 형성 위치를 수직편향코일(42)과의 관계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평탄면(51d)은 수직편향코일(42)의 외면의 비원형화가 시작되는 지점(P)이 존재하는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중간부(51b)에서 개구부(51a)까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51) 개구부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평탄면(51d)은, 평탄면 형성후, 상기 평탄면(51d)의 개구부 내측 끝단과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 중심(O)을 이은 선과 상기 개구부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X)이 이루는 각(α)이 적어도 20∼80°가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각(α)은 36.7°이상이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평탄면(51d)이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51)의 중심(O)에 대해 수직축선 방향에 있어서 너무 가깝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면, 상기 페라이트 코어(50)를 수직편향코일(42)에 결합할 경우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51)의 평탄면(51d)에 결합되는 보조페라이트 코어(52)과 상기 수직편향코일(42) 사이에 간섭이 일어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52)의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형 또는 반원형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51)와 동일 또는 그 이상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51)의 평탄면(51d)의 관축방향 길이(l)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그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페라이트 코어(52)는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51)의 평탄면(51d) 내측의 개방된 부분을 차폐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도 무방하며, 그 두께 및 길이 역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의 조립 과정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에 있어서는, 도 9a에 나타낸 바 같이, 중간부(51b)로부터 개구부(51a)까지 관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주페라이트 코어(51)의 상부측과 하부측 평탄면(51d)에 각각 보조페라이트 코어(52)를 정확하게 부착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작용면에 있어서,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5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페라이트 코어(51)를 통과하는 수평편향자계가 평판형의 보조페라이트 코어(52)가 부착된 곳에서 보조페라이트 코어(52)의 형상을 따라 편향되어 통과하므로써, 기존의 사각형상의 페라이트 코어에서와 동일한 형태의 수평편향자계를 구현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수직편향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기력이 손실되는 것을 페라이트 코어가 줄여주어 편향 효율을 향상시킴에 있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50)는 평판형인 보조페라이트 코어(52)와 수직편향코일(42)간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종래 사각형상의 페라이트 코어와 마찬가지로 원형의 편향요크에 비해 수직편향감도가 약 20-30% 정도 개선된 편향요크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50)는, 종래의 사각 페라이트 코어(44)의 경우에는 내면 치수 편차가 커서, 컨버젼스 및 디스토션 에러가 발생하기 쉬웠으나, 본 발명의 페라이트 코어는 가공이 용이하여 내면 치수의 산포가 개선되므로 인해 기존의 사각코어에 비해 컨버젼스 및 디스토션 에러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각 페라이트 코어(44)에 비해 내면 치수 편차가 줄어듦에 따라, 페라이트 코어 제작에 소요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50)는 주페라이트 코어(51)가 종래의 사각 페라이트 코어와는 달리 원형으로 이루어져, 관축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의 내면 직경이 동일하기 때문에, 페라이트 코어의 제작과정에서 내면 연마공정을 통해서 내면 편차를 0.2mm 이하로 줄여, 높은 정밀도를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세(高精細)용 페라이트 특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수율 측면에서도 종래의 사각 페라이트 코어에 비해 3배 정도의 수율 향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페라이트 코어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전체적인 구성은 동일하나, 주페라이트 코어(51)의 상·하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보조페라이트 코어(52)를 더욱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52)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 홀더(53)를 더 구비토록 한 것이다.
상기 보조홀더(53)는 주페라이트 코어(51)의 개구부측 끝단부와 보조페라이트 코어(52) 전방측 끝단부가 모두 끼워지는 통공(53a)이 면상에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보조홀더(53)의 통공(53a) 중앙부로 주페라이트 코어(51)를 먼저 삽입한 상태에서, 주페라이트 코어 상·하부측의 통공(53a) 가장자리 남는 공간(53b)을 통해 보조페라이트 코어(52)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51)와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52)의 결합을 더욱 손쉽고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50)는 보다 안정된 편향자계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작되어진 편향요크가 제품에 내장된 후에 운반 또는 기타 내외적인 충격으로부터 편향요크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도 12 내지 도 1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의 사시도이고, 도 13a는 도 1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3b는 도 12의 정면도이고, 도 13c는 도 12의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50)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와 그 전체적인 구성은 유사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보조페라이트 코어(52)의 하부면에, 주페라이트 코어의 평탄면(51d)에 형합하는 받침부(52a)를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보조페라이트 코어(52) 하부면에 돌출된 받침부(52a)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받침부(52a)의 높이만큼 상기 평탄면(51d)을 수직축선상에 있어서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중심(O)에 가깝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평탄면(51d)에 결합되는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52)의 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52)가 작용하는 영역이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페라이트 코어(50)의 편향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편향요크에 인가되는 편향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주페라이트 코어(51)의 절단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평탄면(51d)을 수직축선상에 있어서 주페라이트 코어의 중심(O)에 가깝게 형성하려고 할 경우,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51)에 결합되는 보조페라이트 코어(52)가 수직편향코일(42)과 쉽게 간섭되므로 인해, 평탄면(51d)을 페라이트 코어의 중심(O)에 가깝게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평탄면(51d)을 수직축선상에 있어서 주페라이트 코어(51)의 중심(O)에 가깝게 형성하더라도, 보조페라이트 코어(52) 하부면에 돌출된 받침부(52a)로 인해, 실질적으로는 보조페라이트 코어(52)의 평판부의 위치가 수직편향코일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까지 높아진 셈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주페라이트 코어(51)의 평탄면(51d) 위치를 수직축선상에 있어서 주페라이트 코어(51)의 중심(O)에 가깝게 형성하여, 평탄면(51d)이 넓어지도록 함에 의해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52)의 작용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페라이트 코어(50)의 편향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편향요크에 인가되는 편향전력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51)의 평탄면(51d)은, 개구부 내측 끝단과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중심(O)을 이은 선과,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X)이 이루는 각(α)이 25°가 되도록 평탄면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보조페라아트 코어(52)의 형상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평면상에서 볼 때 사각형, 사다리꼴형, 반원형을 이루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1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면, 이해 가능하므로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보조페라이트 코어(52)가 작용하는 영역을 증가시켜, 페라이트 코어(50)의 편향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페라이트 코어(50)를 홀더(43)에 더욱 밀착시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해 도 14 내지 도 1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의 사시도이고, 도 15a는 도 14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5b는 도 14의 정면도이고, 도 15c는 도 14의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대략 동일하며, 특히, 주페라이트 코어(51)의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한편, 보조페라이트 코어(52)는 전술한 제3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하부면에 주페라이트 코어(51)의 평탄면(51d)과 대략 형합하는 받침부(52b)가 형성되나, 상기 받침부(52b)는 보조페라이트 코어(52)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즉, 코어의 관축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보조페라이트 코어(52)의 받침부(52b)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수직편향코일(42)과의 간섭을 없애 홀더(43)와의 결합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52)의 작용 면적을 증가시켜, 전술한 제3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해 도 16 내지 도 17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의 사시도이고, 도 17a는 도 16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7b는 도 16의 정면도이고, 도 17c는 도 16의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의 구성 또한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3,4실시예에서와 비슷하나, 주페라이트 코어(51)의 개구부(51a)측 상·하부에 코어의 관축 방향에 대해 경사진 평탄면(51e)이 형성되는 점이 다르다.
이 때, 상기 평탄면(51e)은 전방부가 하향하도록 관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52)에는 받침부(52c)가 형성되어 있어 받침부(52c)의 높이만큼 상기 평탄면(51e)을 수직축선상에 있어서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중심(O)에 가깝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평탄면(51e)이 경사진 구조에서는, 주페라이트 코어(51)에 형성되는 평탄면의 관축방향의 길이가 동일하다고 전제할 경우, 평탄면(51e)의 실제 면적이 전술한 제1내지 제4실시예에서의 평탄면(51d)에 비해 넓어지게 되어, 보조페라이트 코어(52)와의 결합면적 또한 증대됨으로써 보조페라이트 코어(52)의 작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탄면(51e)의 면적 및 이에 결합되는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52)의 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52)의 작용력이 커짐에 따라, 편향요크의 편향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편향요크에 인가되는 편향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평탄면(51d)이 관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면, 상기 평탄면(51e)이 주페라이트 코어(51)의 중심(O)에 대해 수직축선상에 있어서 가깝게 위치하게 되므로써, 보조페라이트 코어와 수직편향코일간에 간섭이 발생하기 쉽다.
이 경우, 주페라이트 코어(51)의 평탄면(51e)에 부착되는 보조페라이트 코어(52)를 편향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소정거리만큼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로부터 관축방향 후방으로 후퇴시켜 부착하여, 보조페라이트 코어(52)와 수직편향코일(42)간의 간섭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의 페라이트 코어(50)에도 전술한 제2실시예의 보조홀더(53)를 적용시켜 주페라이트 코어(51)와 보조페라이트 코어(52)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음은 분명하다.
이 때, 보조홀더(53)에 형성되는 통공(53a)은 주페라이트 코어와 보조페라이트 코어의 형상 변경에 대응하여 그 형태가 변형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2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페라이트 코어(50) 역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페라이트 코어(51)를 통과하는 수평편향자계가 평판형의 보조페라이트 코어(52)가 부착된 곳에서는 보조페라이트 코어(52)를 따라 편향되어 통과하므로써, 기존의 사각형상의 페라이트 코어에서와 동일한 형태의 수평편향자계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50)의 경우에도, 종래의 사각 페라이트 코어(44)의 내면 치수 편차로 인한 컨버젼스 및 디스토션 에러를 개선할 수 있으며, 페라이트 코어 제작에 소요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50)의 경우에도, 주페라이트 코어(51)의 내외면이 가공이 쉬운 원형을 이루기 때문에, 페라이트 코어의 제작과정에서 내면 연마공정을 통해서 내면 편차를 0.2mm 이하로 줄여, 높은 정밀도를 갖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페라이트 코어는, 내외면이 관축방향과 관계없이 원형인 주페라이트 코어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양한 형상의 보조 페라이트 코어로 페라이트 코어를 구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의 페라이트 코어는 원형인 넥크부와 사각형인 개구부, 그리고 그 중간에 존재하며 비원형화율이 변화하는 중간부가 존재함으로 인해, 페라이트 코어내면 연마가공이 어렵고, 내면반경이 수평축과 수직축선상을 따라 서로 다름으로 인해 내면 치수산포가 커지게 되어 생산수율이 감소하게 되며, 재료비 상승 및 생산 단가 상승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반면,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결된다.
즉, 본 발명의 주페라이트 코어는 내면 형상이 원형이기 때문에 내면 치수의 산포를 사각형상의 페라이트 코어에 비해 1/2 이상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밀한 치수를 요구하는 코어 내면의 연마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수율을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비를 종래에 비해 1/3이상 줄일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은 종래 편향요크에서 발생하던 컨버젼스 및 디스토션 에러를 큰 폭으로 개선할 수 있는 고정세용 편향요크 특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세째, 본 발명은 주페라이트 코어의 평탄면에 결합하는 보조페라이트 코어에 받침부가 구비되므로써,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의 작용 면적이 증대되어 페라이트 코어의 편향효율이 높아짐에 따라 편향요크에 인가되는 편향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넷째, 본 발명은 보조페라이트 코어 하부면에 받침부를 돌출시킬 경우, 주페라이트 코어의 평탄면 위치를 수직축선상에 있어서 주페라이트 코어의 중심(O)에 가깝게 형성하여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의 작용력을 증가시키므로써, 페라이트 코어의 편향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섯째, 본 발명은 보조홀더를 더 구비할 경우, 주페라이트 코어와 보조페라이트 코어의 조립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Claims (24)

  1.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수평편향코일 및 상기 수직편향코일로부터 발생된 자기력이 손실되는 것을 줄여 자기 효율을 높이기 위한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수평편향코일, 수직편향코일 및 페라이트 코어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수직편향코일 사이의 절연을 위한 홀더로 구성된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가,
    곡면을 갖는 주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에 결합되는 평판형의 보조페라이트 코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 쪽에 보조페라이크 코어 부착을 위한 평탄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은,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4.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은,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에서 시작하여 넥크부쪽을 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평탄면의 관축방향 길이는 주페라이트 코어의 관축방향의 전체 길이와 대비할 때 5%∼70%에 해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서 시작하여 넥크부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평탄면은,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를 스크린쪽에서 바라 볼 때,
    호(弧)모양을 이룬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측 전면 내측 끝단으로부터 주페라이트 코어의 반경 중심까지를 이은 선과,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이 이루는 사이각이 20∼80°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호(弧)모양을 이룬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측 전면 내측 끝단으로부터 주페라이트 코어의 반경 중심까지를 이은 선과,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이 이루는 사이각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36.7°를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은,
    주페라이트 코어의 관축방향 전체 길이 중,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비원형화가 시작되는 지점들을 주페라이트 외주면상에 투영했을 때,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외주면에 투영된 지점들의 전방에서부터 형성되기 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은,
    주페라이트 코어의 관축방향 전체 길이 중,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비원형화율이 0.3이 되는 지점들을 주페라이트 외주면상에 투영했을 때,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외주면에 투영된 지점들의 전방에서부터 형성되기 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9. 제 2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평탄면은 관축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10. 제 2 항 내지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평탄면은 관축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평탄면에 부착되는 보조페라이트 코어의 전면이,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 전면에 비해 관축방향을 따라 후퇴하여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를 관축방향을 따른 임의의 지점에서 상기 개구부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게 절단할 경우,
    그 절단면은 동심을 가지는 원 또는 원호 모양을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형태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는,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측에서 넥크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의 평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는, 평면에서 볼 때 반원형을 이루는 평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을 이루는 평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에는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평탄면에 안착되도록 돌출된 받침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주페라이트 코어의 평탄면과 형합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2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은,
    원추형의 주페라이트 코어를 소결 성형한 후,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측 상·하단부를 절취함에 따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2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은,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소결 성형에 의해 별도의 가공없이 직접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22.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 전면과,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의 전면이 동일 수직면상에 위치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 및 상기 보조페라이트 코어의 전방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보조홀더가 더 구비되어, 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 및보조페라이트 코어의 전방부가 상기 보조홀더의 통공에 삽입되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24.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수평편향코일 및 상기 수직편향코일로부터 발생된 자기력이 손실되는 것을 줄여 자기 효율을 높이기 위한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수평편향코일, 수직편향코일 및 페라이트 코어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수직편향코일 사이의 절연을 위한 홀더로 구성된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적어도 일측에 평탄면을 갖는 주페라이트 코어와,상기 주페라이트 코어의 평탄면에 결합되는 평판형의 보조페라이트 코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20000053490A 1999-11-19 2000-09-08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 KR100351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125158A EP1102301A1 (en) 1999-11-19 2000-11-17 Ferrite core in deflection yoke for braun tube
US09/714,139 US6633116B1 (en) 1999-11-19 2000-11-17 Ferrite core in deflection yoke for Braun tube
CNB00137110XA CN1136600C (zh) 1999-11-19 2000-11-19 用于布劳恩管的偏转系统中的铁氧体磁心
JP2000353047A JP3523185B2 (ja) 1999-11-19 2000-11-20 陰極線管用偏向ヨークのフェライトコア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51421 1999-11-19
KR1019990051421 1999-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405A KR20010050405A (ko) 2001-06-15
KR100351850B1 true KR100351850B1 (ko) 2002-09-11

Family

ID=19620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490A KR100351850B1 (ko) 1999-11-19 2000-09-08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931A (ko) * 2001-08-13 2003-02-20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상하 주사형 음극선관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38056A1 (en) * 1986-03-19 1987-09-23 Sanyo Electric Co., Ltd. Flat cathode-ray tube
EP0254338A1 (en) * 1986-07-10 1988-01-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lour picture tube with astigmatism correction means
JPH04120297U (ja) * 1991-04-11 1992-10-27 株式会社ナナオ Crtデイスプレイ装置の低周波漏洩磁界防止構造
US5317239A (en) * 1992-01-17 1994-05-31 Hitachi, Ltd. Deflection yoke for cathode ray tube
JPH07302557A (ja) * 1994-05-02 1995-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
JPH09283055A (ja) * 1996-04-16 1997-10-31 Hitachi Ltd 陰極線管表示装置
KR980005264U (ko) * 1996-06-05 1998-03-30 사각 자성코어 편향요크
KR19990001572A (ko) * 1997-06-16 1999-01-15 구자홍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38056A1 (en) * 1986-03-19 1987-09-23 Sanyo Electric Co., Ltd. Flat cathode-ray tube
EP0254338A1 (en) * 1986-07-10 1988-01-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lour picture tube with astigmatism correction means
JPH04120297U (ja) * 1991-04-11 1992-10-27 株式会社ナナオ Crtデイスプレイ装置の低周波漏洩磁界防止構造
US5317239A (en) * 1992-01-17 1994-05-31 Hitachi, Ltd. Deflection yoke for cathode ray tube
JPH07302557A (ja) * 1994-05-02 1995-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
JPH09283055A (ja) * 1996-04-16 1997-10-31 Hitachi Ltd 陰極線管表示装置
KR980005264U (ko) * 1996-06-05 1998-03-30 사각 자성코어 편향요크
KR19990001572A (ko) * 1997-06-16 1999-01-15 구자홍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931A (ko) * 2001-08-13 2003-02-20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상하 주사형 음극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405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6709B2 (en) Deflection yoke for a CRT
JP4240541B2 (ja) 偏向ヨークと幾何歪み補正
JP2001507161A (ja) 所定角度範囲内に巻線空間を有する鞍形偏向巻線
JP3523185B2 (ja) 陰極線管用偏向ヨークのフェライトコア
KR100351850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
KR100295452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313378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코아
US6894430B2 (en) Color cathode-ray tube
US6563259B2 (en) Deflection yoke of braun tube and method for fabricating auxiliary coil of deflection yoke
KR100532251B1 (ko) 음극선관
JP2757401B2 (ja) 偏向装置
KR100412224B1 (ko) 편향요크
JP2001176426A (ja) 偏向ヨーク用コア、偏向ヨーク及び陰極線管受像機
EP1329935B1 (en) Cathode ray tube
KR200258837Y1 (ko) 편향요크의수직편향코일
KR20020069422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KR200258828Y1 (ko) 편향요크의페라이트코어
KR20000065943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코아
KR20030014931A (ko) 상하 주사형 음극선관
JP2003051268A (ja) 偏向ヨーク
KR20030072887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40073901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30072686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10017067A (ko) 음극선관용 컨버젼스 요크
JPH0664353U (ja) 偏向ヨー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