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251B1 -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251B1
KR100532251B1 KR10-2003-0048644A KR20030048644A KR100532251B1 KR 100532251 B1 KR100532251 B1 KR 100532251B1 KR 20030048644 A KR20030048644 A KR 20030048644A KR 100532251 B1 KR100532251 B1 KR 100532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coil
ferrite core
horizontal
screen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782A (ko
Inventor
이규형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67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1Cores for field producing elements, e.g. ferrite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페라이트 코아의 단면의 형상을 변경하여 화면 대각방향의 미스컨버젼스를 개선하고 편향효율을 높이며 제조공정을 단순화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된 펀넬과, 상기 펀넬의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는 네크부에 장착되며 전자빔이 방출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하는 편향요크가 포함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측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이 절연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홀더와, 상기 수직 편향코일의 외측에 결합되고 네크측 단면의 외면과 내면이 원형의 형상이며 스크린측 단면의 외면과 내면이 원형의 형상이되 대각측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작게 형성된 페라이트 코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Cathod Ray Tube}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페라이트 코아의 단면의 형상을 변경하여 화면 대각방향의 미스컨버젼스를 개선하고 편향효율을 높이며 제조공정을 단순화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은 전면유리인 패널(1)과, 상기 패널(1)과 결합되는 후면유리인 펀넬(2)이 결합되고 밀봉되어 그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며 하나의 진공관을 이룬다.
상기 패널(1)의 내면에는 형광체 스크린(13)이 형성되고 상기 형광체 스크린(13)에 대향하는 펀넬(2)의 네크부에는 전자총(8)이 설치된다.
상기 전자총(8)에서 방출된 전자빔의 편향을 위한 편향요크(9)는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한쌍의 수평 편향코일(21)과, 발사된 전자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한쌍의 수직 편향코일(22)과, 상기 수평 편향코일(21) 및 수직 편향코일(22)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된 자계의 손실을 줄여주어 편향 효율을 향상시키는 원추형의 페라이트 코아(24)가 설치되며, 직접적으로 상기펀넬(2)의 네크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 편향코일(21)과 수직 편향코일(22)이 절연되도록 하는 홀더(23)가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칼라 음극선관의 작동을 설명하면, 전자총(8)에서 방출된 전자빔은 편향요크(9)에 의해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편향되고, 편향된 전자빔은 전면의 형광체 스크린(13)을 타격함으로써 소망하는 소정의 칼라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종래의 편향요크에서 'A-A'선에 해당하는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편향요크(9)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홀더(23)를 중심으로 그 내면에는 원형의 수평 편향코일(21)이 구비되고 그 외면에는 원형의 수직 편향코일(2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직 편향코일(22)의 외면에는 편향효율이 증대되도록 원형의 페라이트 코아(24)가 결합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편향 요크(9)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수평 편향코일(21)에 15.75KHz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전류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키며, 수직 편향코일(22)에는 60Hz의 주파수를 갖는 전류를 인가하여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전자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자빔의 편향은 비균일 자계를 이용해서 세 전자빔이 별도의 부가회로 및 부가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화면의 컨버젼스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셀프 컨버젼스 방식에 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셀프 컨버젼스 방식이란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22)의 권선분포를 조정해서 편향 요크(9)의 스크린측, 중간측, 네크측의 각 부위별로 바렐 혹은 핀쿠션형 자계를 생성하여 R,G,B 전자빔이 위치에 따라 다른 편향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전자빔이 동일한 지점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해 주는 방식을 말한다.
셀프 컨버젼스 방식에서는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21)(22)의 자계만으로는 전자빔을 원하는 곳으로 편향시키기가 어려우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고투자율의 페라이트코아(24)를 사용해서 자계의 귀환 경로상에서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자기력을 증대시키고 있다.
도 3은 음극선관의 편향요크가 장착되는 펀넬의 요크장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펀넬(2)은 단면의 내면 또는 내면 및 외면의 형상이 네크측에서 스크린측으로 갈수록 점차 원형에서 비원형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것은 전자빔이 형광체 스크린상에 장방형의 래스터(raster)를 그리는 경우 펀넬의 요크장착부을 지나는 전자빔의 통과영역도 거의 장방형이 된다는 것에 기초한 것으로서 전자빔의 편향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편향요크의 스크린측 단면 형상도 장방형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요크장착부와 편향요크(9)에 있어서 소비전력의 감소를 목적으로 제안된 것이 장방형의 단면의 형상을 가진 편향요크(9)와 페라이트 코아(24)이다.
도 4는 종래의 장방형의 단면의 형상을 가진 편향요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같이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편향요크(9)는 페라이트 코아(24)의 스크린측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으로 수평 편향코일(21)과 수직 편향코일(22)의 단면도 장방형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페라이트 코아(24)의 스크린측에서의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수평 편향코일(21)과 수직 편향코일(22)은 도 2에 도시된 단면이 원형의 형상인 편향요크(9)에 형성된 단면이 원형의 형상인 수평 편향코일(21)과 수직 편향코일(22)과 대비하여 전자빔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동일한 크기의 화면에 보다 적은 전류로 전자빔을 편향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자빔과 수평 편향코일(21), 수직 편향코일(22)의 간격이 종래의 원형형상의 단면을 가진 편향요크(9)에 형성된 수평 편향코일(21), 수직 편향코일(22)에 비해 20%정도 작기 때문에 편향효율이 대략 15~20% 이상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편향요크(9)와 결합되는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24)는 편향효율이 향상되는 반면에 내면 치수를 보다 정밀하게 가공하여야 한다.
그런데,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24)는 좌우측과 상하측의 내면 직경이 다르기 때문에 내면곡률의 치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연마(Grinding)비용과 연마시간이 증가되고, 따라서 이에 따른 생산수율이 단면이 원형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24)에 비하여 50%수준에 이르고 있다.
즉,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24)는 제조단가가 종래의 단면이 원형의형상인 페라이트 코아(24)에 비하여 2배이상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 일명 RTC형 편향요크이다.
RTC는 Round ferrite core Tetra Coil의 약어로써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수평 편향코일과 수직 편향코일에 단면이 원형의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를 결합한 것이다.
상기 RTC형 편향요크(9)는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24)가 결합된 편향요크(9)에 비하여 편향효율은 4~5%가량 떨어지지만,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24)의 가공상의 어려움을 보완하여 원가 절감의 장점이 있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도 5는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와 수평 편향코일, 수직 편향코일,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단면이 원형의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와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수평 편향코일, 수직 편향코일,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크린측에서의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24)는 수직방향으로 페라이트 코아(24)와 수직 편향코일(22)의 간격(31), 대각방향으로 페라이트 코아(24)와 수직 편향코일(22)의 간격(33), 수평방향으로 페라이트코아(24)와 수평 편향코일(21)의 간격(32)이 거의 동일하다.
반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면이 원형의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24)와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수평 편향코일, 수직 편향코일이 형성된 RTC형 편향요크(9)에서 페라이트 코아(24)는 수직방향으로 페라이트 코아(24)와 수직 편향코일(22)의 간격(31)과 수평방향으로 페라이트 코아(24)와 수평 편향코일(21)의 간격(32)이 거의 동일한 반면에 대각방향으로 페라이트 코아(24)와 수직 편향코일(22)의 간격(33)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인하여 화면 대각방향으로의 자계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자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하게 작용하게 되고, 화면의 대각방향에서 R, G, B 전자빔이 어긋나는 현상인 미스컨버젼스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게 된다.
도 7, 도 8 및 도 9은 종래의 RTC형 편향요크에 있어서 미스컨버젼스가 발생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면 대각방향으로의 상대적으로 강한 자계에 의하여 화면 대각부의 수직방향 미스컨버젼스인 PQV(-)경향과 S3V(+)경향이 크게 나타나고, 화면 대각부의 수평방향 미스컨버젼스인 PQH(-)경향이 크게 나타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8과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라인으로 정렬된 세 개의 전자총의 위치 차이로 인하여 각각의 전자빔이 수평편향자계 및 수직편향자계에 의한 영향을 다르게 받기 때문에 화면 주변부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에서 미스컨버젼스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가 가지는 가공상의 어려움으로 인한 제조단가의 상승과 RTC형 편향요크에 있어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편향요크가 포함되는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된펀넬과, 상기 펀넬의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는 네크부에 장착되며 전자빔이 방출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하는 편향요크가 포함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측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이 절연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홀더와, 상기 수직 편향코일의 외측에 결합되고 네크측 단면의 외면과 내면이 원형의 형상이며 스크린측 단면의 외면과 내면이 원형의 형상이되 대각측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작게 형성된 페라이트 코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된 펀넬과, 상기 펀넬의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는 네크부에 장착되며 전자빔이 방출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하는 편향요크가 포함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측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이 절연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홀더와, 상기 수직 편향코일의 외측에 결합되고 네크측 단면의 외면과 내면이 원형의 형상이며, 스크린측 단면의 외면이 원형의 형상이고 내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된 펀넬과, 상기 펀넬의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는 네크부에 장착되며 전자빔이 방출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하는 편향요크가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측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수평 편향코일및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이 절연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홀더와, 상기 수직 편향코일의 외측에 결합되고 네크측 단면의 외면과 내면이 원형의 형상이며, 스크린측 단면의 외면이 원형의 형상이고 내면이 거의 원형의 형상이되 대각 곡률반경이 수평 또는 수직 곡률반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 페라이트 코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된 펀넬과, 상기 펀넬의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는 네크부에 장착되며 전자빔이 방출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하는 편향요크가 포함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는 스크린측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이 절연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홀더와, 상기 펀넬의 네크부와 접촉되는 직선부, 상기 펀넬의 스크린측과 접촉되는 경사부 및 사기 직선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를 잇는 중간부로 구분되어 상기 수직 편향코일의 외측에 결합되는 페라이트 코아를 포함하며, 상기 페라이트 코아는 상기 중간부부터 상기 경사부까지의 외면과 내면은 원형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면의 대각측 곡률이 상기 내면의 수직/수평측 곡률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서 페라이트 코아의 네크측에서의단면과 스크린측에서의 개구부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때, 페라이트 코아의 스크린측에서의 개구부 단면이란 페라이트 코아의 스크린측 끝단의 단면을 의미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같이 페라이트 코아(24)의 네크측에서 단면의 내면은 펀넬의 네크부의 형태에 따라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네크측에서 단면의 외면은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으나, 페라이트 코아(24)의 가공상의 용이함을 고려할 때 원형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라이트 코아(24)의 스크린측 개구부 단면의 외면은 가공상의 용이함을 고려할 때 원형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면은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대각측의 두께(39)가 수직방향의 두께(37) 또는 수평방향의 두께(38)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페라이트 코아(24)의 스크린측 개구부 단면의 대각방향 두께(39)는 페라이트 코아(24)의 구조적 강도를 고려할 때 1.5mm~6mm이고, 수직방향의 두께(37) 또는 수평방향의 두께(38)는 4mm~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린측 개구부 단면의 외면이 원형의 형상이고 내면이 거의 원형의 형상이되 대각 곡률반경이 수평 또는 수직 곡률반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라이트 코아(24)의 스크린측 개구부 단면의 외면의 곡률반경을 Ro, 내면의 대각 곡률반경을 Rd, 내면의 수직 곡률반경을 Rv, 내면의 수평 곡률반경을 Rh라고 할 때, 상기 각각의 곡률반경은 Ro≤Rh의 관계와, Ro≤Rv의 관계와, Rd<Rh 또는 Rd<Rv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평축을 기준으로 30°~ 60°사이의 곡률반경이 수평 곡률반경과 수직 곡률반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페라이트 코아(24)의 스크린측 단면의 내면의 수직 곡률반경을 Rv, 수평 곡률반경을 Rh라고 할 때, 상기 수직 곡률반경과 수평 곡률반경은 Rh=Rv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음극선관에서 페라이트 코아의 네크측에서의 단면과 스크린측에서의 단면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페라이트 코아(24)는 네크측 단면의 외면과 내면이 원형의 형상이고, 스크린측 단면의 외면이 원형의 형상이고 내면이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페라이트 코아(24)의 스크린측 개구부 단면의 외면은 가공상의 용이함을 고려할 때 원형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면은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대각측의 두께(39)가 수직방향의 두께(37) 또는 수평방향의 두께(38)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페라이트 코아(24)의 스크린측단면의 대각방향 두께(39)는 페라이트 코아(24)의 구조적 강도를 고려할 때 1.5mm~6mm이고, 수직방향의 두께(37) 또는 수평방향의 두께(38)는 4mm~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린측 단면의 외면이 원형의 형상이고 내면이 거의 원형의 형상이되 대각 곡률반경이 수평 또는 수직 곡률반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라이트 코아(24)의 스크린측 단면의 외면의 곡률반경을 Ro, 내면의 대각 곡률반경을 Rd, 내면의 수직 곡률반경을 Rv, 내면의 수평 곡률반경을 Rh라고 할 때, 상기 각각의 곡률반경은 Ro≤Rh의 관계와, Ro≤Rv의 관계와, Rd<Rh 또는 Rd<Rv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평축을 기준으로 30 ~ 60°사이의 곡률반경이 수평 곡률반경과 수직 곡률반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페라이트 코아(24)의 스크린측 단면의 내면의 수직 곡률반경을 Rv, 수평 곡률반경을 Rh라고 할 때, 상기 수직 곡률반경과 수평 곡률반경은 Rh=Rv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서 페라이트 코아의 네크측과 스크린측에서의 개구부의 단면도로서 수평 편향코일, 수직 편향코일, 홀더가 결합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페라이트 코아(24)의 네크측에서의 단면을 보면, 내면과 외면이 원형의 형태이고 내면의 수평 편향코일(21)과 수직 편향코일(22), 홀더(23)의 단면도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페라이트 코아(24)의 스크린측에서의 개구부 단면을 보면, 외면과 내면이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대각측의 내면이 외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대각측의 두께(39)가 수직측의 두께(37) 또는 수평측의 두께(38)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수평 편향코일(21)과 수직 편향코일(22)의 스크린측 단면은 편향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장방형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대각측의 내면이 외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대각측의 두께(39)가 감소되어 대각측의 자계의 손실이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서 페라이트 코아의 네크측과 스크린측에서의 개구부 단면도로서 수평 편향코일, 수직 편향코일, 홀더가 결합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과 대부분의 특징에 있어서 유사하나 수직 편향코일(22)의 스크린측 단면의 형상이 거의 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 편향코일(21) 또는 수직 편향코일(22) 중 적어도 하나는 스크린측 단면이 장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 편향코일(21)의 스크린측 단면 형상은 장방형이고 수직 편향코일(22)의 스크린측 단면의 형상은 거의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음극선관에서 페라이트 코아의 네크측에서의 단면과 스크린측에서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4b는 도 14a의 B-B선에 해당하는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와 도 14b 참조하면, 페라이트 코아(24)의 네크측에서 단면의 내면은 펀넬의 네크부의 형태에 따라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네크측에서 단면의 외면은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으나, 페라이트 코아(24)의 가공상의 용이함을 고려할 때 원형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페라이트 코아(24)를 펀넬의 네크부와 접촉되는 직선부(24-1), 펀넬의 스크린측과 접촉되는 경사부(24-2) 및 직선부(24-1)와 경사부(24-2) 사이를 잇는 중간부(24-3)로 구분할 때, 상기 페라이트 코아(24)의 직선부(24-1)를 제외한 중간부(24-3)부터 경사부(24-2)에 이르는 외면과 내면은 가공상의 용이함을 고려할 때 원형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면 대각측의 곡률(R1)은 수직방향의 곡률 또는 수평방향의 곡률(R3)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페라이트 코아와 도 10의 페라이트 코어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페라이트 코아의 경우 대각측의 두께(39)가 수직방향의 두께(37) 또는 수평방향의 두께(38)보다 작게 형성되는 영역이 스크린측 개구부 대각측이지만, 도 14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코아의 경우 대각측의 두께(39)가 수직방향의 두께(37) 또는 수평방향의 두께(38)보다 작게 형성되는 영역은 직선부(24-1)를 제외한 중간부(24-3)로부터 경사부(24-2)에 이르는 영역이다.
이 때, 중간부(24-3)부터 경사부(24-2)까지의 대각 곡률(R1)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 곡률(R2)의 50% ~ 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부(24-3)부터 경사부(24-2)까지의 대각 곡률(R1)은 중간부(24-3)부터 경사부(24-2)까지의 장단축의 곡률(R3)의 35%~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부(24-3)부터 경사부(24-2)까지의 대각 두께(39)는 직선부(24-1) 두께(43)의 4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부(24-3)부터 경사부(24-2)까지의 대각 두께(39)는 수평축 및 수직축 두께(37,38)의 4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한정들은 페라이트 코아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범위들을 벗어나게 되면 페아리트 코아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된다.
이 때, 도 14a와 도 14b에서는 페라이트 코아(24)의 직선부(24-1)를 제외한 중간부(24-3)부터 경사부(24-2)에 이르는 외면과 내면은 원형형상이나 외면은 원형이고 내면은 장방형인 것에도 적용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0, 도 11,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라이트 코아(24)의 스크린측 단면의 형상에서 대각측의 내면이 외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대각측의 두께(39)가 감소되어 대각측의 자계의 손실이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도 7,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화면 대각측으로 상대적으로 강한 자계에 의하여 화면 대각부의 수직방향 미스컨버젼스인 PQV(-)경향과 S3V(+)경향이 크게 나타나고, 화면 대각부의 수평방향 미스컨버젼스인 PQH(-)경향이 크게 나타나는 현상이 개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면 주변부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에서 미스컨버젼스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각방향의 내면이 외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페라이트 코아(24)의 중심에서 내면까지의 대각방향의 거리(40)는 종래의 RTC형 편향요크와 동일한 반면에 내면까지의 수직방향의 거리(42)와 수평방향의 거리(41)는 종래에 비하여 감소되기 때문에 수직방향으로 페라이트 코아(24)와 수직 편향코일(22)의 간격(31)과 수평방향으로 페라이트 코아(24)와 수평 편향코일(21)의 간격(32)이 종래의 RTC형 편향요크에 비해 감소된다.
따라서, 종래의 RTC형 편향요크에 비하여 편향효율이 4 ~ 5%가량 향상될 수 있으며,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가 결합된 편향요크와 편향효율에서 거의 동등한 수준이 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RTC형 편향요크의 경우에 단면이 원형인 페라이트 코아(24)와 수직 편향코일(22)이 대각방향에서 정확히 결합되지 못하여 조립과정에서 오차가 발생되는 원인이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페라이트 코아(24)의 대각방향의 내면이 수직 편향코일(22)의 대각방향의 외면과 거의 일치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페라이트 코아(24)의 유동을 방지하여 오차의 발생이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페라이트 코아(24)는 대각방향의 내면이 외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부분을 페라이트 코아(24)의 제조시 금형구조로 미리 만든 후에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내면을 종래의 원형형상의 페라이트 코아(24)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마하여 제조함으로써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24)가 가지는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장방형 형상의 페라이트 코아가 가지는 가공상의 어려움으로 인한 제조단가의 상승과 RTC형 편향요크에 있어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종래의 편향요크에서 'A-A'선에 해당하는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음극선관의 편향요크가 장착되는 펀넬의 요크장착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장방형의 단면의 형상을 가진 편향요크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와 수평 편향코일, 수직 편향코일,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단면이 원형의 형상인 페라이트 코아와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수평 편향코일, 수직 편향코일,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7, 도 8 및 도 9는 종래의 RTC형 편향요크에 있어서 미스컨버젼스가 발생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서 페라이트 코아의 네크측에서의 단면과 스크린측에서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음극선관에서 페라이트 코아의 네크측에서의 단면과 스크린측에서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서 페라이트 코아의 네크측과 스크린측에서의 단면도로서 수평 편향코일, 수직 편향코일, 홀더가 결합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서 페라이트 코아의 네크측과 스크린측에서의 단면도로서 수평 편향코일, 수직 편향코일, 홀더가 결합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음극선관에서 페라이트 코아의 네크측에서의 단면과 스크린측에서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b는 도 14a의 B-B선에 해당하는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2 ; 펀넬
8 ; 전자총 9 ; 편향요크
13 ; 형광체 스크린 21 ; 수평 편향코일
22 ; 수직 편향코일 23 ; 홀더
24 ; 페라이트 코아
31 ; 수직방향으로 페라이트 코아와 수직 편향코일의 간격
32 ; 수평방향으로 페라이트 코아와 수평 편향코일의 간격
33 ; 대각방향으로 페라이트 코아와 수직 편향코일의 간격
37 ; 페라이트 코아의 수직방향의 두께
38 ; 페라이트 코아의 수평방향의 두께
39 ; 페라이트 코아의 대각방향의 두께
40 ; 페라이트 코아의 중심에서 내면까지의 대각방향의 거리
41 ; 페라이트 코아의 중심에서 내면까지의 수평방향의 거리
42 ; 페라이트 코아의 중심에서 내면까지의 수직방향의 거리

Claims (16)

  1.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된 펀넬과, 상기 펀넬의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는 네크부에 장착되며 전자빔이 방출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하는 편향요크가 포함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측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이 절연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홀더와,
    상기 수직 편향코일의 외측에 결합되고 네크측 단면의 외면과 내면이 원형의 형상이며 스크린측 단면의 외면과 내면이 원형의 형상이되 대각측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작게 형성된 페라이트 코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스크린측 단면은 장방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넬은 단면의 내면 또는 내면 및 외면의 형상이 네크측에서 스크린측으로 갈수록 점차 원형에서 비원형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아는 스크린측 단면의 대각측의 두께가 1.5mm ~ 6mm이고, 수평측과 수직측의 두께가 4mm ~ 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편향코일의 스크린측 단면 형상은 장방형이고,상기 수직 편향코일의 스크린측 단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된 펀넬과, 상기 펀넬의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는 네크부에 장착되며 전자빔이 방출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하는 편향요크가 포함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는 스크린측 단면이 장방형의 형상인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이 절연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홀더와,
    상기 펀넬의 네크부와 접촉되는 직선부, 상기 펀넬의 스크린측과 접촉되는 경사부 및 상기 직선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를 잇는 중간부로 구분되어 상기 수직 편향코일의 외측에 결합되는 페라이트 코아를 포함하며,
    상기 페라이트 코아는 상기 중간부부터 상기 경사부까지의 외면의 형상은 원형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부부터 상기 경사부까지의 내면의 대각측 곡률이 상기 내면의 수직/수평측 곡률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아는 상기 중간부부터 상기 경사부까지의 대각측 곡률이 상기 직선부 내면의 곡률의 50% 이상에서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아는 상기 중간부부터 상기 경사부까지의 대각측 곡률이 상기 내면의 수직/수평축 곡률의 35% 이상에서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아는 상기 중간부부터 상기 경사부까지의 대각측 두께가 상기 직선부 두께의 40% 이상에서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5. 제 11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아는 상기 중간부부터 상기 경사부까지의 대각측 두께가 상기 수직/수평측 두께의 40% 이상에서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부터 상기 경사부까지의 내면의 형상이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2003-0048644A 2003-01-24 2003-07-16 음극선관 KR100532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4905 2003-01-24
KR1020030004905 2003-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782A KR20040067782A (ko) 2004-07-30
KR100532251B1 true KR100532251B1 (ko) 2005-11-30

Family

ID=3273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644A KR100532251B1 (ko) 2003-01-24 2003-07-16 음극선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979945B2 (ko)
KR (1) KR100532251B1 (ko)
CN (1) CN127034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7998B2 (en) * 2004-04-09 2007-01-02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Ferrite core, deflection yoke, and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846A (ja) * 1985-07-08 1987-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向ヨ−ク
JP2000106106A (ja) * 1998-07-30 2000-04-11 Hitachi Ltd 偏向ヨ―ク及びそれを用いた陰極線管装置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294165A (ja) * 1999-04-05 2000-10-20 Sony Corp 偏向ヨークおよび偏向ヨーク用コア
JP2002042690A (ja) * 2000-07-18 2002-02-08 Totoku Electric Co Ltd 磁性コア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0337A (en) * 1873-07-01 Improvement in compression-cocks
JPS4834349A (ko) 1971-09-07 1973-05-18
JPS5663757A (en) 1979-10-26 1981-05-30 Sony Corp Color picture receiving apparatus
JP3321994B2 (ja) 1994-06-20 2002-09-09 ソニー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
JPH09306388A (ja) 1996-05-14 1997-11-28 Toshiba Corp 陰極線管
KR100330146B1 (ko) 1998-09-19 2002-09-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EP1162643A4 (en) * 1999-03-15 2006-12-06 Tdk Corp BONDING NECK CORE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PROCESS
US6380698B1 (en) * 2001-01-11 2002-04-30 Sony Corporation Deflection yoke with improved deflection sensitivity
US6791252B2 (en) 2001-03-28 2004-09-14 Samsung Electric-Mechanics Co., Ltd. Deflection yoke with quadrangular separator
JP2002294165A (ja) 2001-03-30 2002-10-09 Nippon Paint Co Ltd カチオン電着塗料用ハジキ防止方法及びハジキ防止剤
US6914505B2 (en) * 2002-06-07 2005-07-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flection yoke and CR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846A (ja) * 1985-07-08 1987-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向ヨ−ク
JP2000106106A (ja) * 1998-07-30 2000-04-11 Hitachi Ltd 偏向ヨ―ク及びそれを用いた陰極線管装置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294165A (ja) * 1999-04-05 2000-10-20 Sony Corp 偏向ヨークおよび偏向ヨーク用コア
JP2002042690A (ja) * 2000-07-18 2002-02-08 Totoku Electric Co Ltd 磁性コ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0348C (zh) 2006-08-16
US20040145296A1 (en) 2004-07-29
KR20040067782A (ko) 2004-07-30
CN1518042A (zh) 2004-08-04
US6979945B2 (en) 2005-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954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구조
KR100532251B1 (ko) 음극선관
US6787977B2 (en) Electron gun for cathode-ray tub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1176427A (ja) 陰極線管用偏向ヨークのフェライトコア
US6756726B2 (en) Deflection yoke and cathode-ray tube apparatus with the same
JP2001155661A (ja) 偏向ヨーク
KR100295452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US6894430B2 (en) Color cathode-ray tube
KR100313378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코아
KR200289358Y1 (ko)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KR100351850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
KR100295453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562917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467830B1 (ko) 편향 요크 및 이를 이용한 인너 핀 개선방법
KR20030014931A (ko) 상하 주사형 음극선관
KR20020069422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KR20010017067A (ko) 음극선관용 컨버젼스 요크
KR20040032276A (ko) 음극선관용 펀넬
KR20050082117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20049517A (ko) 편향요크
KR20030072887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30072686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40084275A (ko) 편향요크의 4폴 마그네트
KR20010055449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및 그 편향코일의 제조방법
KR20050079501A (ko) 보빈형 코일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보빈형 편향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