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2117A -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2117A
KR20050082117A KR1020040010496A KR20040010496A KR20050082117A KR 20050082117 A KR20050082117 A KR 20050082117A KR 1020040010496 A KR1020040010496 A KR 1020040010496A KR 20040010496 A KR20040010496 A KR 20040010496A KR 20050082117 A KR20050082117 A KR 20050082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coil
holder
coil
cathode ray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2117A/ko
Publication of KR2005008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1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01J29/762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using saddle coils or 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1Cores for field producing elements, e.g. ferr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 동작시 디스플레이 된 화면을 전체적으로 회전시켜 주며 동시에 화면의 디스토션을 개선시켜주도록 코일이 권선된 회전홀더를 포함한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된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로부터 발생된 자기력의 손실을 줄여 자기효율을 높이기 위한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와, 상기 수평편향코일, 수직편향코일 및 페라이트 코어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며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 사이의 절연을 위한 메인 홀더와 상기 메인홀더 개구부측에 형성된 회전홀더(Rotation Holder)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메인홀더와 회전홀더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편향요크{Deflection Yoke of CRT}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향요크의 홀더 구조를 변형하여 제조비용 및 생산수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음극선관은 통상 인라인(IN-LINE)형 전자총을 이용하고 있으며, 상기 인라인형 전자총을 이용하는 음극선관에서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전자빔이 수평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3개의 전자빔을 형광면의 한 점에 수렴시키기 위한 음극선관의 편향요크는 비균일 자계를 이용한 자기 집중형(self-converging)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과 같다.
도 1은 종래 칼라 음극선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칼라 음극선관은 음극선관의 전면에 장착되는 패널(1)과, 상기 패널의 내면에 적색(R), 녹색(G), 청색(B)의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면(3)과, 상기 형광면의 후방에 형광면으로 입사되는 전자빔의 색선별 기능을 갖는 섀도우마스크(2)와, 상기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치된 펀넬(6)과, 상기 펀넬(6)의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는 관 형상의 네크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발사하는 전자총(5)과, 상기 펀넬(6)의 외측을 둘러싸며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설치된 편향요크(4)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술한 종래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편향요크는 도 2와 같다.
도 2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는 음극선관 내부에 있는 상기 전자총(5)으로부터 발사된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한 쌍의 수평편향코일(41)과 상기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한 쌍의 수직편향코일(42)과 상기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된 자기력의 손실을 줄여 주어 편향 효율을 향상시켜 주기 위해 사용되는 페라이트 코아(44)와, 상기 수평편향코일(41)과 수직편향코일(42) 그리고 페라이트 코아(44) 등의 기구적인 상대위치를 결정해 주면서 기구적으로 고정, 결합시켜주며 상기 수평편향코일(41)과 수직편향코일(42)사이의 절연을 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고 동시에 적용할 음극선관과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홀더(Holder,43)와, 상기 홀더(43)의 네크측에 주로 설치되는 수평형 베럴 자계에 의해서 발생되는 콤마 수치를 개선 해 주는 콤마프리코일(45)과, 상기 홀더(43)의 네크측 끝에 설치되어 상기 음극선관과 상기 편향요크(4)를 기구적으로 결합시켜주는 링 밴드(46)와, 상기 편향요크(4)의 개구부 끝단에 주로 설치되어 화면상의 라스터 디스토션을 보정하는데 사용하는 마그네트(47)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상기 편향요크(4)의 동작원리는 상기 수평편향코일(41)에 일반적으로 15.75KHz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흘려주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음극선관 내부의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켜 주며 또한 상기 수직편향코일(42)에는 보통 60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흘려주어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켜 주고 있다.
최근에 상기 편향요크는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41)(42)는 비균일 자계를 이용해서 R, G, B 3색의 전자빔이 별도의 부가회로 및 부가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면에서 컨버젼스를 이룰 수 있도록 해주는 셀프 컨버젼스 형태의 편향요크(4)가 주로 개발되고 있다. 즉, 수평편향코일(41) 및 수직편향코일(42)의 권선분포를 조정해서 각 부위별(개구부, 중간부, 네크부)로 바렐 혹은 핀-쿠션형 자계로 만들어 주어서 R, G, B 3색의 전자빔(7)이 위치에 따라서 각각 다른 편향력을 경험하게 해주어서 전자빔의 출발지점에서부터 도착지점인 스크린(1)까지의 각각 다른 거리에서 동일한 지점으로 모아 질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또한, 수평편향코일(41) 및 수직편향코일(42)에 전류를 흘려주어 자계를 만들어 주는 경우, 수평편향코일(41) 및 수직편향코일(42)에 의한 자계만으로는 화면의 전면에 편향시키기 어려워 고투자율의 페라이트 코아(44)를 사용하여 자계의 귀환 경로상에서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계의 효율을 높여 자기력을 증대시키고 있다.
한편, 종래 칼라 음극선관 동작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전체적으로 회전(Rotation) 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회전코일(Rotation Coil)은 원형 모양으로 회전홀더(Rotation Holder)에 권선되어 샤시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자계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형성된 자계는 화면의 L/R 디스토션을 개선시키고, 상기 자계의 세기는 코일의 직경과 권선 수, 그리고 코일이 권선되는 홀더의 형상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도 3은 종래 회전홀더(Rotation Holder)가 부착된 편향요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종래 코일이 권선된 회전홀더(43a)는 편향요크의 메인 홀더(43)의 개구부 방향에 삽입되어 화면의 디스토션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홀더(43a)는 상, 하가 서로 대칭성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메인홀더(44)에 상, 하 반대 방향으로 삽입되어 부착 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회전홀더가 메인홀더에 역 방향으로 부착이 되지 않도록 역 삽입 방지 수단을 추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종래 편향요크의 홀더를 메인홀더와 회전홀더를 따로 구분하여 제조함에 따라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과 조립공정 수의 증가로 생산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일형상이 머슬 구조를 갖는 새들형 편향요크에서 음극선관 동작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전체적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화면의 디스토션을 개선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코일이 권선된 회전홀더를 메인홀더와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조립공정 수 감소에 따른 생산수율 향상과 동시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된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로부터 발생된 자기력의 손실을 줄여 자기효율을 높이기 위한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와, 상기 수평편향코일, 수직편향코일 및 페라이트 코어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며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 사이의 절연을 위한 메인 홀더와 상기 메인홀더 개구부측에 형성된 회전홀더(Rotation Holder)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메인홀더와 회전홀더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수단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향요크는 음극선관 내부에 있는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된 전자빔을 수직, 수평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한 쌍의 수직, 수평편향코일(미도시)과 상기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된 자기력의 손실을 줄여 주어 편향 효율을 향상시켜 주기 위해 사용되는 페라이트 코아(54)와, 상기 수평편향코일, 수직편향코일 및 페라이트 코아(54) 등의 기구적인 상대위치를 결정해 주면서 기구적으로 고정, 결합시켜주며 상기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 사이의 절연을 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고 동시에 적용할 음극선관과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메인 홀더(Main Holder,53)와, 상기 메인 홀더 개구부측에 음극선관 동작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전체적으로 회전시켜주면서 화면의 디스토션을 보정하는 회전홀더(Rotation Holder,53a)가 상기 메인홀더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은 플랜지부를 구성하는 머슬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페라이트 코어(54)는 미 분할식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편향요크에 상기 회전홀더를 형성하는데 있어 구조적인 어려움을 없애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편향요크는 상기 회전홀더와 메인홀더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종래 회전홀더를 따로 구비하여 메인홀더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형성하는 공정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홀더와 종래 편향요크의 홀더 구조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홀더(43a)가 따로 구비되어 메인홀더(43)에 삽입되는 종래의 회전홀더의 내경(R1)은 필연적으로 상기 메인홀더의 내경(R2) 치수보다 크고,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홀더(53a)는 메인홀더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경(R3)치수가 종래 회전홀더의 내경(R1)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홀더에 권선되는 코일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편향요크의 회전홀더는 원형상을 이루며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는 코일(53a')이 권선되어 음극선관의 화면의 디스토션을 보정하게 된다. 상술한 회전홀더에 형성된 코일의 권선과정을 살펴보면 다음 도 6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홀더에 코일이 권선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홀더(53a)의 코일(53a')은 먼저, (a)에서와 같이 원형상의 권형에 코일을 권선한 다음 상기 권선된 코일에 소량의 전류를 흘려 통전시키면 본딩(bonding)층이 녹아 코일 상호간에 융착된 상태의 형상을 갖추게 된다. 이후, (b)에서처럼 상기 원형의 융착된 코일의 폭이나 길이를 변형하여 상기 회전홀더의 좌, 우측에 형성된 코일 유동 방지부(53b)를 통해 끼워 결합하게 되면 상기 회전홀더에 코일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음극선관 동작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전체적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화면의 디스토션을 개선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회전홀더를 메인홀더와 일체형으로 하여 조립공정 수 감소에 따른 생산수율 향상과 동시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칼라 음극선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도 2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도 3은 종래 회전홀더(Rotation Holder)가 부착된 편향요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구조를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홀더와 종래 편향요크의 홀더 구조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홀더에 코일이 권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패널 2: 새도우 마스크
3: 형광면 4: 편향요크
5: 전자총 6: 펀넬
41: 수평편향코일 42: 수직편향코일
43: 홀더 44: 페라이트 코아

Claims (4)

  1.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된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로부터 발생된 자기력의 손실을 줄여 자기효율을 높이기 위한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와, 상기 수평편향코일, 수직편향코일 및 페라이트 코어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며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 사이의 절연을 위한 메인 홀더와 상기 메인홀더 개구부측에 형성된 회전홀더(Rotation Holder)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메인홀더와 회전홀더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이 머슬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홀더의 홈에 코일이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는 미 분할식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20040010496A 2004-02-17 2004-02-17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50082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496A KR20050082117A (ko) 2004-02-17 2004-02-17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496A KR20050082117A (ko) 2004-02-17 2004-02-17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117A true KR20050082117A (ko) 2005-08-22

Family

ID=3726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496A KR20050082117A (ko) 2004-02-17 2004-02-17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21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93622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구조
KR20050082117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332612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편향코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471962B1 (ko) 음극선관용편향요크
KR100467831B1 (ko) 편향요크
KR100295453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418039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00400836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20050078067A (ko) 칼라 음극선관
EP1622183B1 (en) Velocity modulation coil apparatus and cathode-ray tube apparatus
KR20040009230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40072903A (ko) 음극선관
KR20010054542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KR20050087002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10017067A (ko) 음극선관용 컨버젼스 요크
KR20040076054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JP2004014501A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30072028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40074215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40076053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2001185055A (ja) 偏向ヨーク及び陰極線管受像機
KR20040074224A (ko) 편향요크를 갖는 음극선관
KR20030087392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40076056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40076055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