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2903A -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2903A
KR20040072903A KR1020030008562A KR20030008562A KR20040072903A KR 20040072903 A KR20040072903 A KR 20040072903A KR 1020030008562 A KR1020030008562 A KR 1020030008562A KR 20030008562 A KR20030008562 A KR 20030008562A KR 20040072903 A KR20040072903 A KR 20040072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coil
vertical deflection
flange
horizontal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도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to KR1020030008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2903A/ko
Publication of KR2004007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90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내면에 적색(R), 녹색(G), 청색(B)의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면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치된 펀넬과, 상기 펀넬의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는 관형상의 네크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발사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설치된 편향요크를 갖는 음극선관에서, 상기 편향요크는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된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수평/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수평/수직 편향코일로부터 발생된 자기력의 손실을 줄여 자기효율을 높이기 위한 페라이트 코아와, 상기 수평 편향코일, 수직 편향코일 및 페라이트 코아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수평 편향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코일 사이의 절연을 위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편향코일은 개구부 및 네크부에 프렌지를 형성하고, 상기 네크부 프렌지는 프렌지 중앙 및 좌/우 대칭으로 다수개의 공간을 갖으며, 네크부 프렌지 좌/우 및 중앙에 중앙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랜딩 및 미스 컨버전스를 동시에 조정함으로써 랜딩 및 미스 컨버전스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새들형 편향요크를 가지는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수상기 또는 모니터의 음극선관(CRT)에 사용되는 편향 요크는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되는 3색 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히 편향시키도록 하기 위해 편향 요크를 구비하며, 이러한 편향 요크는 음극선관의 자기장치 중 가장 중요한 일 요소로 시간계열(時間系列)로 전송된 전기신호가 음극선관의 스크린상에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은 고전압에 의해 스크린상으로 직진하게 됨에 따라 단순히 화면의 중앙 형광체만을 발광시키게 되므로, 외부에서 전자빔을 주사순서대로 스크린상에 도달하도록 편향시키는 것이 편향 요크이며, 이러한 편향 요크는 자계를 형성하여 전자빔이 이 자계를 통과할 때 힘을 받아서 그 진행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전자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에 도포 된 형광막으로 정확하게 편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 및 편향 요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편향 요크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일반적인 음극선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G, B 3개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3)과, 상기 전자총(3)에서 출력되는 전자빔이 부딪혀서 빛을 재현하는 스크린(2)과, 상기 R, G, B 3개의 전자빔을 구분해 주는 섀도우 마스크(2a)와, 상기 전자빔을 상기 스크린(2)의 정해진 위치로 편향시켜주는 편향 요크(4)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총(3)은 통상 인라인(In-Line)형 전자총을 이용하고 있으며, 상기 인라인형 전자총을 이용하는 음극선관에서는 적색(R), 녹색(G), 청색(B) 의 전자빔이 수평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3개의 전자빔을 형광면의 한점에 수렴시키기 위해서 음극선관의 편향요크는 비균일자계를 이용한 자기집중형(Self-Converging)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상기 편향 요크(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 내부에 있는 상기 전자총(3)으로부터 발사된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한쌍의 수평 편향코일(15)과, 상기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한쌍의 수직 편향코일(16)과, 상기 수평 편향코일(15)과 상기 수직 편향코일(16) 사이의 절연을 시키기 위한 홀더(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10)는 수평 편향코일(15)과 수직 편향코일(16)을 절연시킴과 동시에 이들의 위치를 정도있게 조립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음극선관(1)의 스크린면(2)측으로 결합되는 스크린부(11a)와, 리어커버(11b) 및 상기 리어커버(11b)의중심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에 결합되는 네크부(1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홀더(10)의 내/외주면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수평 편향자계와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편향코일(15) 및 수직 편향코일(16)이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편향코일(16)을 감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수직 편향코일(16)에서 발생되는 수직 편향자계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자성체로 형성되는 한쌍의 페라이트 코어(14)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편향 요크(4)는 음극선관(1)의 네크부(11b)에 장착되어 상기 수평 편향코일(15) 및 수직 편향코일(16)에 톱니파 펄스가 인가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거하여 자계가 발생되어 브라운관(CRT)의 전자총(3)에서 방사되는 R, G, B의 전자빔을 소정각도 편향시켜 화면상에 주사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편향요크(4)는 음극선관의 튜브 형상에 따라 상기 홀더(10)를 비롯하여 편향코일 및 페라이트 코어(14)의 설계가 결정된다.
즉, 일반적인 원형 편향요크(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갖는 홀더(10)를 중심으로 그 내주면으로 수평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편향코일(15)이 마련되고, 외주면으로는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직 편향코일(16)이 마련되며, 이들 수평 편향코일(15)과 수직 편향코일(16)은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권선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 편향코일(16)의 외주면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 편향코일(16)에서 발생되는 수직 편향 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 코어(14)가 구비되며, 상기 페라이트 코어(14) 역시 원형의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원형 편향요크(4)는 상기 수평 편향코일(15)에 15.75㎑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흘려주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음극선관 내부의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켜주며, 또한 상기 수직 편향코일(16)에는 보통 60㎐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흘려주어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켜주고 있다.
즉, 상기 수평 편향코일(15) 및 수직 편향코일(16)의 권선분포를 조정해서 각 부위별(개구부, 중간부, 네크)로 배럴 혹은 핀쿠션형 자계로 만들어 주어서 3개의 전자빔이 위치에 따라서 각각 다른 편향력을 경험하게 해 주어 전자빔의 출발지점에서부터 도착지점인 스크린(2) 까지의 각각 다른 거리에서 동일한 지점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또한, 편향 코일에 전류를 흘려주어 자계를 만들어 주는 경우 코일에 의한 자계만으로는 전자빔을 화면의 전면에 편향시키기 어려워 고 투자율의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여 자계의 귀환 경로상에서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계의 효율을 높여 자기력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형 편향요크(4)는 음극선관(1)의 스크린(2)면의 형상이 4:3 또는 16:9의 가로 세로비를 갖는 직사각 형상이 대부분임에도 불구하고, 편향 요크(4)를 부착하는 음극선관(1)의 부위의 형상이 제조상의 곤란성으로 인하여 원형으로 제작됨으로써 전자빔의 편향감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즉, 근래에 들어 TV 수상기 또는 모니터의 음극선관(CRT)이 평면화 및 대형과 됨에 따라 저소비전력에서 고감도의 편향감도를 보장할 수 있는 편향 요크(4)가 요구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편향 요크(4)는 그 형상이 원형단면을 갖기 때문에 전자빔의 궤적에 따른 편향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15)(16)이 사각 형상이면 상기 페라이트 코어(14) 또한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형상인 알에이씨(RAC)형 편향요크가 도 4와 같이 제안되었다.
특히, 알에이씨형 편향요크는 상기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개구부 단부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전자빔과의 거리가 원형 편향요크(4)에 비해 가깝기 때문에 편향 감도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알에이씨형 편향요크는 상기 전자총(3)에서 발사된 세 개의 전자빔 즉, R, G, B 세 빔이 상기 수평 편향 자계 영역을 통과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상기 전자빔이 받는 힘은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내면과 전자빔간의 거리의 상승에 반비례하여 수평방향으로 편향하게 된다.
따라서,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구성된 경우 전자빔과 편향 코일간의 거리가 종래의 원형형상의 편향요크에 비해 20% 정도 짧아지기 때문에 수평 및 수직 편향감도가 약 20~30% 정도 개선된 편향요크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원형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16)은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편향코일(16) 후면의 네크측 프렌지(166)의 중앙에 홈이 있는 형상또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이 없는 형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상기 홈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 되도록 복수개의 핀칭을 함으로써 복수개의 공간(21)(22)이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16)에 있어서 수직 코일의 코일 편향중심과 가장 가까운 네크부의 프렌지 형상을 후면의 길이나 권선 분포에 의해 랜딩 및 미스 컨버전스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네크부의 프렌지 자계가 강해지면 미스 컨버전스 용어인 브이씨알(VCR) 와이드(Wide)로 가면서 랜딩은 내향(Narrow)으로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랜딩은 내향(Narrow)으로 보내면서 브이씨알(VCR) 또한 내향(Narrow)으로 보내야 하는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 요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네크측 프렌지부의 자계가 강해지면 랜딩이 내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이나, 랜딩은 내향으로 가면서 브이씨알은 내향으로 가는 방법이 없었으므로, 미스 컨버젼스와 랜딩 조정시 항상 반대방향으로 움직임을 가지고 있으므로, 미스 컨버전스 조정시 랜딩이 틀어지고 랜딩 조정시 미스 컨버전스가 틀어졌다.
둘째, 네크측 프렌지부 사용시 프렌지부의 길이를 길게 또는 짧게 하려면 생산중인 권선기를 정지시키고 프렌지부를 수직 편향코일의 권형에서 탈착하여 다시 그 길이를 조정하거나, 자계가 틀어지므로 랜딩 및 미스 컨버전스를 다시 조정해야하는 악순환이 계속되었다.
셋째, 랜딩 및 미스 컨버전스를 다시 조정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생산 중 생산라인의 가동을 중단한 후 조정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현격히 저하되었다.
넷째, 네크측 프렌지가 없는 타입의 수직 편향코일은 권선 분포로만 조정이 가능했으므로 랜딩 및 미스 컨버전스를 동시에 만족하는 편향요크 제작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수직 편향코일로 미스 랜딩 및 미스 컨버전스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편향요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편향 요크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선에 해당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 요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알에이씨형 편향요크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직 편향코일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
도 6은 일반적인 편향요크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B' 선에 해당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알티씨형 편향 요크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편향코일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편향요크 110 : 홀더
120 : 수평 편향코일 130 : 수직 편향코일
130a : 수직 편향코일 개구부 프렌지
130b : 수직 편향코일 네크부 프렌지
131a ∼131c : 수직 편향코일 네크부 프렌지에 형성되는 공간
140 : 페라이트 코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내면에 적색(R), 녹색(G), 청색(B)의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면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치된 펀넬과, 상기 펀넬의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는 관형상의 네크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발사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설치된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서, 상기 편향요크는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된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수평/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수평/수직 편향코일로부터 발생된 자기력의 손실을 줄여 자기효율을 높이기 위한 페라이트 코아와, 상기 수평 편향코일, 수직 편향코일 및 페라이트 코아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수평 편향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코일 사이의 절연을 위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개구부 및 네크부에 프렌지를 형성하고, 상기 네크부 프렌지는 다수개의 공간을 갖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크부 프렌지는 상기 프렌지의 좌/우 측에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프렌지 중앙에 형성되는 공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프렌지 중앙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수직 편향코일 개구부의 길이 중심과 네크부 길이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이내에 네크부 프렌지 중앙에 핀이 슈팅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단면형상은 대략 사각형상이며, 상기 페라이트 코아의 개구부 단부 단면형상이 대략 사각형상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단면형상은 대략 사각형상이며, 상기 페라이트 코아의 개구부 단부 단면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 편향코일의 네크부 프렌지는 소정 위치에 홈이 형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소정위치는 상기 수직 편향코일 네크부 프렌지 배면측 중앙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 편향코일 네크부 프렌지는 홀수개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을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도 6은 일반적인 편향요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B'선에 해당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편향코일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의 (b) 및 (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편향코일의 네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편향 요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대칭 되게 분리되어 일체로 조립되는 홀더(1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홀더(110)는 음극선관(도시생략)의 개구부으로 결합되는 스크린부(112)와, 음극선관(도시생략)의 전자총부(도시생략)에 결합되는 네크부(111)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홀더(110)는 내/외주면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수평 편향자계와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편향코일(120) 및 수직 편향코일(130)이 각각 마련되며, 이들 편향코일을 절연시킴과 동시에 위치를 정도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 편향코일(130)의 외측면에는 수직 편향코일(130)을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수직 편향 자계를 강화시키는 자성체로 형성된 페라이트 코어(140)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편향요크는 상기 수평 편향코일(120)에 일반적으로 15.75㎑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흘려주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음극선관 내부의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켜주며, 상기 수직 편향코일(130)에는 보통 60㎐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흘려주어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켜 주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편향코일(120) 및 수직 편향코일(130)에 의한 비균일 자계를 이용해서 세 전자빔이 별도의 부가회로 및 부가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면에서 컨버전스를 이룰 수 있도록 해주는 셀프 컨버전스 형태의 편향요크가 주로 개발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티씨형 편향요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00)와 수평 편향코일(120) 및 수직 편향코일(130)의 단면이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며, 페라이트 코어(140)는 그 단면이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알티씨 타입의 편향요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100)는 네크부(111)측에서 스크린부(112)측으로 확경 되면서, 그 개구단면이 사각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며, 그 내/외측면으로 전술한 수평 편향코일(120) 및 수직 편향코일(13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 편향코일(120) 및 수직 편향코일(130)은 상기 홀더(110)의 내/외측면에 각각 인접되게 구비됨으로써 각형 구조를 갖게된다.
한편, 상기 페라이트 코어(140)는 상기 수직 편향코일(130)을 감싸도록 장착되며, 상술한 홀더(110)가 각 각형의 단면을 갖는데 반하여 상기 페라이트 코어(140)는 그 개구 단면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홀더(110)와 수평 편향코일(120) 및 수직 편향코일(130)의 단면 형상이 각형이 되도록 성형시키면, 상기 편향코일의 자계 특성에 의하여 전자빔의 궤적에 따른 편향효율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편향 감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 적용되는 수직 편향코일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부와 네크부에 모두 프렌지(130a)(130b)를 형성하고, 상기 네크부 프렌지(130b)에 중앙에 핀을 추가하여 기존에는 조정이 불가능했던 권선분포의 양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핀 슈팅 방법은 권선기의 프로그램 수정으로써 랜딩 및 미스 컨버전스를 보다 빨리 해결할 수 있다.
즉, 수직 편향코일(130)의 개구부 및 네크부에 프렌지(130a)(130b)를 각각 형성하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크부 프렌지(130b)에 기존에 존재하던 복수개의 공간(131a)(131b) 이외 별도로 상기 네크부 프렌지(130b) 중간에 공간(131c)을 별도로 형성하며, 이때 상기 네크부 프렌지(130b)는 중앙에 홈이 있는 형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크부 프렌지(130b)에 기존에 존재하던 복수개의 공간(131a)(131b) 이외 별도로 상기 네크부 프렌지(130b) 중간에 공간(131c)을 별도로 형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네크부 프렌지(130b) 중앙에 홈이 없는 형상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크부 프렌지(130b) 의 중앙에 형성되는 공간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편향코일(130) 네크부 프렌지(130b) 중앙에 핀 슈팅을 하여 공간(131c)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네크부 프렌지(130b)의 권선 분포 양을 조정함으로써 프렌지의 신규제작 및 교체시간 생산중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를 갖는 음극선관은 상기 수직 편향코일의 네크 프렌지 모양에 있어서, 네크부 프렌지의 중앙 핀 위치가 수직 편향코일 개구부의 길이 중심과 네크부 길이 중심을 기준으로 개구부에서 네크 방향으로 ±15도의 각도 안에서 중앙에 핀을 슈팅하여 기존에 없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존에 수직 편향코일의 네크부 프렌지 로만 랜딩 및 미스 컨버전스를 조정해오던 것을 네크부 프렌지의 중앙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랜딩 및 미스 컨버전스를 동시에 조정함으로써 랜딩 및 미스 컨버전스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둘째, 프렌지가 없는 타입이 적용되었던 편향 요크에서 불가능했던 랜딩 및 미스 컨버전스를 동시에 만족하는 편향코일을 만들 수 있다.
셋째, 프렌지 길이를 길게 또는 짧게 하려면 생산중인 권선기를 정지시키고 프렌지를 탈착하여 그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생산중단 또는 제품 재 제작 등의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생산성 증가 및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8)

  1. 내면에 적색(R), 녹색(G), 청색(B)의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면을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치된 펀넬과, 상기 펀넬의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는 관형상의 네크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발사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설치된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서,
    상기 편향요크는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된 전자빔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수평/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수평/수직 편향코일로부터 발생된 자기력의 손실을 줄여 자기효율을 높이기 위한 페라이트 코아와, 상기 수평 편향코일, 수직 편향코일 및 페라이트 코아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수평 편향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코일 사이의 절연을 위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편향코일은 개구부 및 네크부에 프렌지를 형성하고, 상기 네크부 프렌지는 상기 프렌지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간과, 상기 프렌지 중앙에 형성되는 공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렌지 중앙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수직 편향코일 개구부의 길이 중심과 네크부 길이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이내에 네크부 프렌지 중앙에 핀이 슈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각도는 ±15도 정도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단면형상은 대략 사각형상이며, 상기 페라이트 코아의 스크린측 개구부 단부 단면형상이 대략 사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 편향코일의 스크린측 개구부 단면형상은 대략 사각형상이며, 상기 페라이트 코아의 개구부 단부 단면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편향코일의 네크부 프렌지는 소정 위치에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위치는 상기 수직 편향코일 네크부 프렌지 배면측 중앙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편향코일 네크부 프렌지에 형성되는 공간은 홀수개임을 특징으로하는 음극선관.
KR1020030008562A 2003-02-11 2003-02-11 음극선관 KR20040072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562A KR20040072903A (ko) 2003-02-11 2003-02-11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562A KR20040072903A (ko) 2003-02-11 2003-02-11 음극선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903A true KR20040072903A (ko) 2004-08-19

Family

ID=37360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562A KR20040072903A (ko) 2003-02-11 2003-02-11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29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135B1 (ko) 2016-08-11 2017-01-17 이숙경 스마트 지골 교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135B1 (ko) 2016-08-11 2017-01-17 이숙경 스마트 지골 교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93622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구조
KR20040072903A (ko) 음극선관
KR100475370B1 (ko) 편향 요크를 갖는 음극선관
US6894430B2 (en) Color cathode-ray tube
KR100332612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편향코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76012A (ko) 편향요크를 갖는 음극선관
KR100418039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00467831B1 (ko) 편향요크
KR20040072899A (ko) 편향 요크를 갖는 음극선관
KR20040074224A (ko) 편향요크를 갖는 음극선관
KR100192342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295453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9990071008A (ko) 칼라브라운관용 편향요크
KR20040076013A (ko) 편향요크를 갖는 음극선관
KR100400836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20040072901A (ko) 편향요크를 갖는 음극선관
KR20010054542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KR20040072900A (ko) 편향요크를 갖는 음극선관
KR20040076055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40076054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40072902A (ko) 편향요크를 갖는 음극선관
KR20030022555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10055447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KR20030071032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40076056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