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135B1 - 스마트 지골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지골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135B1
KR101697135B1 KR1020160102078A KR20160102078A KR101697135B1 KR 101697135 B1 KR101697135 B1 KR 101697135B1 KR 1020160102078 A KR1020160102078 A KR 1020160102078A KR 20160102078 A KR20160102078 A KR 20160102078A KR 101697135 B1 KR101697135 B1 KR 101697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s
toe
acceleration sensor
walking posture
corr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숙경
Original Assignee
이숙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숙경 filed Critical 이숙경
Priority to KR1020160102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03Kinematic accelerometers, i.e. measuring acceleration in relation to an external reference frame, e.g. Ferratis accelerometers

Abstract

지골 교정 장치가 개시된다.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발가락이 올려져 발가락의 하면과 접하여 발가락을 지지하며, 올려진 발가락 관절의 펴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닥지지부(100); 바닥지지부(100)의 상부면에 상부 방향으로 복수개돌설되어 형성되며, 발가락들 사이에 끼워져 발가락의 측면과 접하여 발가락을 지압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교정돌기(200); 교정돌기(200)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 측부의 상면을 지압하는 측면날개(300); 및 측면날개(300)들을 연결하고, 발가락의 상부에 접하여 발가락을 고정시키는 측면날개연결부(400)를 포함하는 지골 교정 장치에 있어서, 바닥지지부(100)에 포함되는 가속도 센서; 및 양발의 가속도 센서 신호를 처리하여 다리 움직임을 계산하고 다리 움직임에 따른 보행 자세를 판단하고 정상 보행 자세가 아닌 경우 경고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따라서 다리 움직임을 감지하여 보행 자세를 판단하고 교정 정도를 수치화함으로써 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지골 교정 장치{TOE PRESSURE IMPLEMENT}
본고안은 지골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양발의 가속도 센서 신호를 처리하여 다리 움직임을 계산하고 다리 움직임에 따른 보행 자세를 판단하고 정상 보행 자세가 아닌 경우 경고하는 지골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골 교정 장치는 발가락을 교정하여 자세를 교정하는 장치이다. 지골 교정 장치를 이용하면 지골 스트레칭으로 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어 근래 많이 이용되고 있다. 지골 교정 장치는 양발에 착용하고 걸음을 걷는다. 지골 교정 장치에 가속도 센서를 포함시켜 다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다리 움직임에 의한 보행 자세를 계산하여 올바른 보행 자세를 취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지골 교정 장치를 이용할 때 보행 자세 교정 정도를 수치로 판단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290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리 움직임을 감지하여 보행 자세를 판단하고 교정 정도를 수치화하는 지골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발가락이 올려져 발가락의 하면과 접하여 발가락을 지지하며, 올려진 발가락 관절의 펴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닥지지부(100); 바닥지지부(100)의 상부면에 상부 방향으로 복수개돌설되어 형성되며, 발가락들 사이에 끼워져 발가락의 측면과 접하여 발가락을 지압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교정돌기(200); 교정돌기(200)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 측부의 상면을 지압하는 측면날개(300); 및 측면날개(300)들을 연결하고, 발가락의 상부에 접하여 발가락을 고정시키는 측면날개연결부(400)를 포함하는 지골 교정 장치에 있어서, 바닥지지부(100)에 포함되는 가속도 센서; 및 양발의 가속도 센서 신호를 처리하여 다리 움직임을 계산하고 계산된 다리 움직임에 따른 보행 자세를 판단하고 정상 보행 자세가 아닌 경우 경고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 센서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폰은 다리 길이를 입력받아 다리 움직임을 보정하고 스마트폰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세 개의 가속도 센서 신호를 처리하여 다리 움직임에 따른 보행 자세를 판단하는 프로세서; 및 정상 보행 자세가 아닌 경우 경고하는 스피커 또는 진동기를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폰으로 측정된 보행 자세를 수집하여 의료 데이터로 가공하는 서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지골 교정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다리 움직임을 감지하여 보행 자세를 판단하고 교정 정도를 수치화함으로써 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도.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지압기의 착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골 교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세라믹볼을 이용한 지골 교정 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지압기의착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지압기는바닥지지부(100)와, 교정돌기(200)와, 측면날개(300) 및 측면날개연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에 대하여 발뒤꿈치 부위인 후족부, 발의 중앙 부위로써 상측으로 함몰된 아치를 포함하고 발가락 관절과 연결되는 중족부 및 발의 전방부위로써 발가락을 포함하는 전족부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방은 발가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발가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발가락 지압기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발가락이 올려져 발가락의 하면과 접하며 발가락을 지지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지지부(100)에 올려진 발가락의 관절이 구부러지지 않고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사용자의 전족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상부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복수의 교정돌기(200)가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교정돌기(200)에 의해 발가락이 위치되는 복수의 구획공간인 발가락위치부(260)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상부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지지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발가락 지압기를 발에 끼웠을 때 상기 돌출지지부(110)가 발가락들의 하부 피부에 접하도록 위치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돌출지지부(110)는 발가락을 지지하면서 접촉이 이루어져 지압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바닥공간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지지부(110)가 솟아오르며 형성됨으로써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하부면에는바닥공간부(120)가 더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공간부(120)는 상기 발가락 지압기를 끼운 상태에서 보행할 경우 탄성을 통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써, 이를 통해 발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공간부(120)는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발가락과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밀착됨을 높일 수 있어 발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지압 및 교정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지지부(110) 및 바닥공간부(120)에 의해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쿠션감을 형성하여 충격완화의 기능을 함으로써 하중을 지지하는 발가락을 지지하여 발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작용을 하여 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고, 지속적인 지압 효과를 주게 되어 보행시 발의 피로를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상기 발가락위치부(260)의 전방에 발가락들의 하부 형상에 맞게 후방을 향하여 오목 형성된 오목홈부(130)가 더 형성되어 발가락 말단의 근육이 상기 바닥지지부(100)와 접촉되지 않아 보행 시 발가락을 통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지지부(110) 후방에서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하측을 향하며 경사지도록 형성된 후방경사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후방경사부(140)는 상기 발가락 지압기를 끼웠을 때 상기 후방경사부(140)가 발가락과 이어지는 중족부의 전단에 접촉하면서 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을 이루고 있으므로 발의 중족부의 지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지지부(100)는 상기 돌출지지부(110) 전방에서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하측을 향하며 경사지도록 형성된 전방경사부(150)가 더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방경사부(150)는 상기 오목홈부(130)가 형성된 부위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들이 개별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전방경사부(150)는 상기 발가락 지압기를 끼웠을 때 상기 전방경사부(150)가 발가락의 하부, 즉 발가락 말단의 하측 근육에 접촉하면서 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교정돌기(200)는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상부면에 상부 방향으로 복수개돌설되어 형성되며, 발가락들 사이에 끼워져 발가락의 측면과 접하여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교정돌기(200)는 바람직하게는 4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교정돌기(200)는 제1교정돌기(210), 제2교정돌기(220), 제3교정돌기(230), 제4교정돌기(240)를 포함한다.
상기 발가락 지압기는 상기와 같이 4개의 상기 교정돌기(200)가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상부면에서돌설되어 상기 교정돌기(200)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발가락위치부(260)에 사용자의 발가락이 끼워지는데, 도면을 참조하면, 엄지와 검지발가락 사이에는 제1교정돌기(210)가 끼워지고, 검지와 중지발가락 사이에는 제2교정돌기(220)가 끼워지고, 중지와 약지발가락 사이에는 제3교정돌기(230)가 끼워지고, 약지와 새끼발가락 사이에는 제4교정돌기(240)가 끼워진다.
상기 제1교정돌기(210) 및 제2교정돌기(220)는 상기 제3교정돌기(230) 및 제4교정돌기(240)에 비하여 1.5~4배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교정돌기(230) 및 제4교정돌기(240)의 두께는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이 벌어진 간격을 고려하여 2~4mm로 형성되는데, 이 두께에 비하여 1.5~4배 두꺼운 폭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교정돌기(210)는 상기 제2교정돌기(220)보다 2~2.5배 두껍게 형성된다. 이는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의 사이가 가장 넓은 것을 고려하여 형성한 것이며, 이와 같이 발가락들의 사이 공간의 넓이를 고려하여 상기 교정돌기(200)의 두께를 형성함으로써 발가락과 상기 교정돌기(20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 밀착되도록 하여 발가락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발가락이 틀어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을 지압하는 동시에 올바른 모양으로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발가락은 벌어지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너무 과도하게 벌어지게 되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범위 내에서 상기 교정돌기(200)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정돌기(200)는 발가락 사이 공간의 형상을 고려하여 후방보다 전방의 두께가 얇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할 때 상기 교정돌기(200) 중간부분의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어 발가락마디지압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가락마디지압부는 발가락의 두번째마디를 지압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충 설명하면, 발의 형상에 따라 중족부와 발가락이 연결되는 부위의 공간이 발가락의 말단 사이의 공간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감안하여, 상기 교정돌기(200)의 후방 단부가 전방 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후방 단부와 전방 단부가 이어지는 면, 즉 교정돌기(200)의 양측면에 상기 발가락마디지압부가 형성되어 상기 교정돌기(200)의 양측면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유선형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발가락의 측면과 상기 교정돌기(200)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교정돌기(200)를 통한 발가락의 교정 및 지압이 발가락의 형상에 상응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발가락 지압기의 사용시 이물감 내지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발가락과 상기 교정돌기(200)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감 있는 착용이 가능하고 발가락이 돌아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교정돌기(200)의 후방 단부의 두께는 전방 단부의 두께보다 1.5~2배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정돌기(200)의 전방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형상이 후방을 향하여 'C'자 형으로 오목하게 인입된전방인입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인입부(250)는 보행 시 발가락의 모양 변위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발가락 말단과 상기 발가락 지압기와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마찰에 의한 발가락 말단 피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측면날개(300)는 상기 교정돌기(200)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의 상면 일부를 가압하여 지압효과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측면날개(300)는 발가락의 관절 부위 상부 근육을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날개(300)는 발가락의 관절 부위 상부 근육에만 접촉,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발가락 지압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거부감 없이 정상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며, 발가락 측면 상부를 지지하여 발가락이 상기 발가락위치부(260)에서 움직이는 것을 잡아주어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고정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측면날개연결부(400)는 상기 측면날개(300)들을 연결하며, 발가락들의 상부에 접하여 상기 발가락위치부(260)에 끼워진 발가락이 고정되도록 하여 좌우로 움직이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측면날개연결부(400)는, 제1연결부(410), 제2연결부(420) 및 제3연결부(430)를 포함한다. 이때, 제1연결부(410)는 제1교정돌기(210)와 제2교정돌기(220)에 형성된 상기 측면날개(300)를 연결하고, 제2연결부(420)는 제2교정돌기(220)와 제3교정돌기(230)에 형성된 상기 측면날개(300)를 연결하며, 제3연결부(430)는 제3교정돌기(230)와 제4교정돌기(240)에 형성된 상기 측면날개(300)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측면날개연결부(400)가 형성되어 발가락이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발가락위치부(260)에 상기 교정돌기(200)와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좌우로 움직이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발가락 지압기 사용시 지압과 동시에 발가락들이 구부러지는 것을 막고 관절이 펴지도록 유도하여 몸 전체의 체중을 발가락으로 분산시켜 몸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게 발의 모양을 바르게 잡아줌으로써 올바른 걸음걸이로 교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몸 전체의 균형 특히 척추와 다리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발가락 지압기는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상부면 전반 또는 상기 교정돌기(200)의 둘레 또는 상기 측면날개(300)의 하부면 또는 상기 측면날개연결부(400)의 하부면 또는 이들 모두에 별도의 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발가락 지압기와 사용자의 발가락이 접촉하는 모든 부위에 지압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발가락 지압기를 끼우게 되면 발가락들을 강제로 벌려주면서 지압하는 동시에 올바른 발의 모양으로 교정이 이루어지고, 특히 제1교정돌기(210) 및 제2교정돌기(220)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엄지발가락이 검지 발가락 쪽으로 심하게 휘는 무지외반증의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발가락 지압기를 끼운 상태로 보행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교정돌기(200) 및 바닥지지부(100)가 발가락 및 중족부 발바닥 등을 가압하여 지압이 이루어지는데, 특히 실리콘 재질의 특성상 수축과 이완이 자유로워 걸을 때마다 전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수축과 이완이 반복되면서 상시적인 지압이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바닥공간부(120)는 상기 바닥지지부(100)가 쉽게 수축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 시 전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발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지외반증이 아니더라도 하이힐 착용과 같이, 과도하게 발을 사용하거나 장시간 걷거나 선 상태로 생활하면서 발가락이 기형적으로 변형된 경우에 교정 효과가 발휘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골 교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지골 교정 장치는 양발에 가속도 센서를 구성하여 다리 움직임을 계산하고 보행 자세의 변화를 기록한다. 지골 교정 장치는 보행 자세 변화를 기록해서 교정 효과를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바닥지지부(100)에 포함되는 가속도 센서(500); 및 양발의 가속도 센서 신호를 처리하여 다리 움직임을 계산하고 계산된 다리 움직임에 따른 보행 자세를 판단하고 정상 보행 자세가 아닌 경우 경고하는 스마트폰(6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골 교정 장치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가속도 센서(500)는 바닥지지부(100)에 포함된다. 가속도 센서(50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 레벨이 낮아진 경우 무선 충전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500)는 스마트폰으로 가속도 센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송신기는 무선으로 가속도 센서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송신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500)는 양발의 운동에 따른 가속도 값을 스마트폰으로 송신할 수 있다. 양발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500)는 양발 운동에 따라 변화되는 가속도 센서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600)은 양발의 가속도 센서 신호를 처리하여 다리 움직임을 계산하고 다리 움직임에 따른 보행 자세를 판단하고 정상 보행 자세가 아닌 경우 경고한다. 스마트폰(600)은 양발의 가속도 센서 신호를 수신해서 신호 처리하여 양발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스마트폰(600)은 양발의 움직임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스마트폰(600)은 사용자의 키를 입력받고양발의 가속도 센서 신호를 처리해서 양발의 움직임을 계산할 수 있다. 스마트폰(600)은 다리 관절 모델에 양발로부터 수신되는 가속도 센서 신호를 적용해서 양발의 움직임에 따른 다리 관절 운동을 계산할 수 있다. 다리 관절 모델은 양발의 움직임에 따라 다리 관절이 어느 위치에 놓이는지를 예측한다.
스마트폰(600)은 보행 자세를 판단하여 교정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 스마트폰(600)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보행 자세를 판단하여 교정 정도를 수치화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수치화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600)은 지골 교정 장치를 착용한 이후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보행 자세를 기록할 수 있다. 스마트폰(600)은 다리 관절 모델에 의해 계산되는 보행 자세에 기반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보행 자세를 통계 처리할 수 있다. 스마트폰(600)은 보행 자세의 변화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스마트폰(600)은 다리 길이를 입력받아 다리 움직임을 보정하고 스마트폰(600)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세 개의 가속도 센서 신호를 처리하여 다리 움직임에 따른 보행 자세를 판단하는 프로세서; 및 정상 보행 자세가 아닌 경우 경고하는 스피커 또는 진동기를 포함한다. 스마트폰(600)은 내장된 가속도 센서와 지골 교정 장치에 구성된 두 개의 가속도 센서를 종합한 세 개의 가속도 센서 신호로 사용자의 보행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폰(600)은 사용자의 움직임과 다리 움직임을 통해 보행 자세를 더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서버(700)는 스마트폰(600)으로 측정된 보행 자세를 수집하여 의료 데이터로 가공한다. 서버(700)는 스마트폰(600)으로부터 다수의 사용자의 보행 자세를 수집하고 의료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서버(700)는 스마트폰(600)에 비식별 인증을 통해 개인 정보를 비식별하고 보행 자세를 수집한다. 서버(700)는 보행 자세 빅 데이터를 수집하고 의료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공한다.
서버(700)는 수집된 보행 자세를 분석하여 교정 정도를 판단할 수 있고 의료 데이터로 가공하여 보험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서버(700)는 지골 교정 장치에 의한 보행 자세 교정 정도를 수치화해서 보험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보험 서비스는 사용자 개인에 대한 건강 정도를 수치로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이에 발맞춰 지골 교정 장치의 보행 자세 교정 정도를 수치화된 데이터를 보험 회사에 제공해서 지골 교정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건강 통계를 반영한 보험료 산정에 반영할 수 있다.
도 8은 세라믹볼을 이용한 지골 교정 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세라믹볼의 성분은 은나노, 네오디뮴(자성물질), 흑운모, 자수정 천연 광물질 함유로 항균, 항염, 제습, 음이온 발생과 원적외선 방사로 인한 기혈순환의 원활성과 발가락 말초혈관 확장에 도움을 주고 혈액순환에 도움이 된다.
다른 실시예로, 지골 교정 장치는 형상기억합금패치를 발가락이 끼워지는 바닥에 삽입하여 일정 온도 또는 미세전류의 공급으로 발가락에 직접 스트레칭 동작으로 지골 운동에 도움을 주며 하루종일 앉아서 일하는 사무직 종사자들의 발가락 건강에 매우 도움이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바닥지지부 110: 돌출지지부
120: 바닥공간부 130: 오목홈부
140: 후방경사부 150: 전방경사부
200: 교정돌기 210: 제1교정돌기
220: 제2교정돌기 230: 제3교정돌기
240: 제4교정돌기 250: 전방인입부
260: 발가락위치부 300: 측면날개
400: 측면날개연결부 410: 제1연결부
420: 제2연결부 430: 제3연결부
500: 가속도 센서 600: 스마트폰
700: 서버

Claims (4)

  1.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발가락이 올려져 발가락의 하면과 접하여 발가락을 지지하며, 올려진 발가락 관절의 펴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닥지지부(100);
    상기 바닥지지부(100)의 상부면에 상부 방향으로 복수개돌설되어 형성되며, 발가락들 사이에 끼워져 발가락의 측면과 접하여 발가락을 지압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교정돌기(200);
    상기 교정돌기(200)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 측부의 상면을 지압하는 측면날개(300); 및
    상기 측면날개(300)들을 연결하고, 발가락의 상부에 접하여 발가락을 고정시키는 측면날개연결부(400)를 포함하는 지골 교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부(100)에 포함되는 가속도 센서; 및
    양발의 가속도 센서 신호를 처리하여 다리 움직임을 계산하고 계산된 다리 움직임에 따른 보행 자세를 판단하고 정상 보행 자세가 아닌 경우 경고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 센서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다리 길이를 입력받아 다리 움직임을 보정하고 스마트폰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세 개의 가속도 센서 신호를 처리하여 다리 움직임에 따른 보행 자세를 판단하는 프로세서; 및
    정상 보행 자세가 아닌 경우 경고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측정된 보행 자세를 수집하여 의료 데이터로 가공하고,
    수집된 보행 자세를 분석하여 교정 정도를 판단하고 의료 데이터로 가공하여 보험 서비스에 활용하고,
    지골 교정 장치에 의한 보행 자세 교정 정도를 수치화해서 보험 서비스에 활용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지골 교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02078A 2016-08-11 2016-08-11 스마트 지골 교정 장치 KR10169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078A KR101697135B1 (ko) 2016-08-11 2016-08-11 스마트 지골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078A KR101697135B1 (ko) 2016-08-11 2016-08-11 스마트 지골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135B1 true KR101697135B1 (ko) 2017-01-17

Family

ID=5799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078A KR101697135B1 (ko) 2016-08-11 2016-08-11 스마트 지골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86U (ko) * 2019-11-27 2019-12-05 임화목 발가락 지압 교정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903A (ko) 2003-02-11 2004-08-19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
JP2008505688A (ja) * 2004-07-10 2008-02-28 ジ−ウグ キム 人体矯正方法及び装置
KR101583211B1 (ko) * 2014-05-27 2016-01-19 이진혁 양 발 무게 정보를 기반으로 양 발 사용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90528B1 (ko) * 2015-04-22 2016-02-18 김미숙 소건막류용 발가락 교정기
US9387359B2 (en) * 2003-10-17 2016-07-12 Fenf, Llc Foot-therapy and toe-align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903A (ko) 2003-02-11 2004-08-19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
US9387359B2 (en) * 2003-10-17 2016-07-12 Fenf, Llc Foot-therapy and toe-aligning device
JP2008505688A (ja) * 2004-07-10 2008-02-28 ジ−ウグ キム 人体矯正方法及び装置
KR101583211B1 (ko) * 2014-05-27 2016-01-19 이진혁 양 발 무게 정보를 기반으로 양 발 사용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90528B1 (ko) * 2015-04-22 2016-02-18 김미숙 소건막류용 발가락 교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86U (ko) * 2019-11-27 2019-12-05 임화목 발가락 지압 교정구
KR200491978Y1 (ko) 2019-11-27 2020-07-09 임화목 발가락 지압 교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dge et al. Walking in minimalist shoes is effective for strengthening foot muscles
US9005140B2 (en) Weight monitoring apparatus, weight monitor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thereof
US7998092B2 (en) Force sensor system for use in monitoring weight bearing
CA3022913C (en) Instrumented orthotic
Postema et al. Primary metatarsalgia: the influence of a custom moulded insole and a rockerbar on plantar pressure
EP2750601B1 (en) Device for monitoring bal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20080167580A1 (en) Rehabilitation System
EP3249362A1 (en) Insole with integrated nano-pedometer, step detection and counting method using said insole, and shoe equipped with the fixed or removable insole
KR101815007B1 (ko) 스마트 인솔 시스템
Choi et al. Effects of custom-made insoles on idiopathic pes cavus foot during walking
Hajizadeh et al. Can foot orthoses impose different gait features based on geometrical design in healthy subjec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himizu et al. Effect of heel height on the foot in unilateral standing
WO2019076461A1 (en) INNER SOLE WITH SENSORS
Cong et al. Regional plantar foot pressure distributions on high-heeled shoes-shank curve effects
US20220000392A1 (en) Load-detecting orthosis
KR101697135B1 (ko) 스마트 지골 교정 장치
TW201700025A (zh) 可即時評估跌倒風險之鞋墊裝置
KR101861912B1 (ko) 발가락 교정구
KR20180090548A (ko) 발가락 교정구
Vimal et al. An instrumented flexible insole for wireless COP monitoring
Burnie et al. Commercially available pressure sensors for sport and health applications: A comparative review
Permsombat et al. Effects of customized foot orthoses on lower limbs kinematics in adults with highly pronated foot
CN214283619U (zh) 一种基于量化数据的儿童正步鞋垫
Abou Ghaida et al. Plantar pressure cartography reconstruction from 3 sensors
JP2017144212A (ja) 足指間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