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5447A -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5447A
KR20010055447A KR1019990056659A KR19990056659A KR20010055447A KR 20010055447 A KR20010055447 A KR 20010055447A KR 1019990056659 A KR1019990056659 A KR 1019990056659A KR 19990056659 A KR19990056659 A KR 19990056659A KR 20010055447 A KR20010055447 A KR 20010055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coil
neck flange
horizontal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5447B1 (ko
Inventor
김규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56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447B1/ko
Priority to US09/730,730 priority patent/US6522060B2/en
Priority to CNB00134174XA priority patent/CN1280867C/zh
Publication of KR20010055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 H01J2229/7033W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03Neck or cone portions of the CRT vessel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에 사용되는 편향 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린 플랜지부와, 플랜지가 형성된 제 1 넥크부 및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넥크부로 이루어진 넥크부와, 스크린 플랜지부와 제 1 넥크부를 연결하는 주편향부로 이루어지는 수평편향코일을 구비하는 편향요크에서, 편향감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고, 브라운관의 R빔과 B빔간의 좌우 비대칭을 조정하기 위한 적절한 누설자계를 발생시키도록, 제 1 넥크의 수직폭과 제 2 넥크부의 수평폭을 소정의 비로 하되, 제 1 넥크부의 수직폭(h)에 대한 제 2 넥크부의 수평폭(l)의 비(A=l/h)가 0.5 < A< 2.0으로 함으로써 머슬형 코일의 단점을 보완하여 브라운관과 편향요크간의 lTC조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deflection Yoke of Broun tube}
본 발명은 브라운관에 사용되는 편향 요크(deflection Yok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쌍의 수평편향코일 또는 한쌍의 수직편향코일이 하프머슬형으로 구성된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에서 수평편향코일의 제 1 넥크 플랜지 코일의 수직폭을 제 2 넥크 플랜지코일의 수평폭에 대해 일정 비율로 제작함으로써 머슬형 코일의 단점을 보완하여 브라운관과 편향요크간의 lTC조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 주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라운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전자빔(11)을 방출하는 전자총(4)과, 이들 전자빔(7)이 형광면에 부딪혀 빛을 재현하는 스크린(1)과, 3개의 전자빔(7)을 구분해 주는 새도우 마스크(2)와, 그 전자 빔을 스크린(1)의 정해진 장소로 편향시켜주는 편향 요크(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도면에서 부재번호 3, 30은 공히 편향요크를 지칭하며, 미설명 부호 5는 패널(panel), 6S는 펀넬의 스크린부, 6N은 펀넬의 넥크부를 나타낸다.
이렇게 구성된 브라운관은 외부로부터 화상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빛의 신호로 바꾸어 스크린이라는 공간에 위치와 내용(색상)의 함수를 가진 화상으로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스크린에 나타나는 화상의 색상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내용신호는 전자총에 인가되어 R,G,B 전자빔의 적정한 색상조합을 통해 스크린에 그 원하는 색상을 나타내며, 화상의 위치신호는 편향요크(3)에 인가되어 전자총(4)으로부터 방사되는 R,G,B 전자빔이 스크린에 도착하는 위치점을 조절하여 원하는 화상이 나타날 수 있게 한다.
도 2에 이러한 편향 요크(3)가 좀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요크(4)는 브라운관 내부에 있는 전자총(4)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켜주기 위한 수평편향코일(31)과,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수직편향코일(33)과, 이 수평편향코일(31)과 수직편향코일(33)에서 발생된 자기력의 손실을 줄여 주어 자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되는 원추형 페라이트 코아(34)와, 이들 수평,수직편향코일들(31, 33)과 페라이트 코아(34)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켜 주며 수평편향코일(31)과 수직편향코일(33) 사이의 절연을 시키기 위한 홀더(32)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편향요크(3)를 브라운관의 넥크부에 장착하고 수평편향 코일 및 수직편향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면 스크린에 원하는 화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편향 요크(3)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편향 요크의 수평편향코일(31)에는 15.75KHz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흘려주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브라운관 내부의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켜 준다. 또한 수직편향코일(33)에는 보통 60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흘려주어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켜주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그 수평편향코일(31)과 수직편향코일(33)에 의한 비균일 자계를 이용해서 3개의 전자빔이 별도의 부가회로 및 부가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면에서 컨버젼스(convergence)를 이룰 수 있도록 해주는 셀프 컨버젼스 형태의 편향 요크(3)도 개발되고 있다.
즉, 수평편향코일(31) 및 수직편향코일(33)의 권선 분포를 조정해서 각 부위별(개구부(스크린 플랜지부), 중간부, 넥크부)로 바렐(barrel) 혹은 핀-쿠션형 자계로 만들어 주어서 3개의 전자빔이 위치에 따라서 각각 다른 편향력을 받게 하여 전자빔의 출발지점에서부터 도착지점인 스크린(1)까지의 각각 다른 거리에서 동일한 지점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또한, 이렇게 수평,수직편향코일(31, 33)에 전류를 흘려주어 자계를 만들어 주는 경우, 이러한 수평,수직편향코일(31, 33)에 의한 자계만으로는 전자빔을 화면의 전면에 편향시키기 어려우므로 고투자율의 페라이트 코아(34)를 사용하여 자계의 귀환 경로상에서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계의 효율을 높여 자기력을 증대시키고 있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편향감도를 높이기 위해 편향코일을 전자총 측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런 경우, 넥크 새도우 거리가 짧아지는 문제가 생긴다. 그 반대로 넥크 새도우의 거리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편향 코일을 스크린 쪽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런 경우에는 편향감도가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편향감도와 넥크 새도우는 양립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코일 권선 타입이 플랜지형 코일과 머슬형 코일의 중간형상인 하프 머슬형 코일이다.
도 3 및 도 4(a) - (c)에 하프 머슬형 코일의 수평편향코일(31) 또는 수직편향코일(33)이 좀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 머슬형 코일의 수평편향코일(31) 또는 수직편향코일(33)은 편향감도와 넥크 새도우(편향된 전자빔이 펀넬 부분에 부딪혀서 화면에 도달하지 못하는 영역을 만들어 주어 스크린 주변 코너부의 형광체를 발광시키지 못하는 현상)를 적절히 최적화시킬 수 있는 편향코일의 형태로서, 스크린 플랜지부 코일(31a)과, 플랜지가 형성된 제 1 넥크 플랜지 코일(31b)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넥크 플랜지 코일(31c)와, 스크린 플랜지 코일(31a)와 제 1 넥크 플랜지 코일(31b)을 연결하는 주편향부 코일(31d)를 구비하여 하프머슬(Half mussel)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한 쌍의 수평편향코일(31,33)을 서로 마주보게 결합하고 전류를 인가하고 브라운관에 lTC를 진행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브라운관과 편향요크는 공히 제조시 산포를 가지게 되며, 그 밖에 브라운관에 사용되는 많은 구성요소들의 순제조 공차 및 각 구성요소들간의 조립오차등 여러 가지로 인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좌우에 발생하는 R 빔과 B빔간의 좌우 비대칭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좌우 비대칭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편향요크의 넥크부에 자성체 재질을 부착한다.
그러나, 하프머슬형 수평편향코일(31)에 있어서, 네크새도우의 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 2 넥크 플랜지의 길이(l)를 스크린쪽으로 확장하다보면 제 1 넥크 플랜지의 높이(수직폭)(h)가 낮아지고, 이에 따라 편향 요크의 제 1 넥크플랜지에 의한 누설자계가 줄어들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 누설자계가 줄어들면 종래와 같이 바(Bar)형의 자성체를 부착해도 화면의 좌우에 발생하는 R빔과 B빔간의 좌우 비대칭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브라운관에 사용되는 편향요크와 브라운관의 lTC시 좋은 조정성을 갖도록 R빔과 B빔간의 좌우 비대칭을 조정하고 편향감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누설자계를 발생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는 편향요크에 삽입되는 수평편향코일의 제 1 넥크 플랜지와 제 2 넥크 플랜지의 코일의 권선비를 소정의 비로 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편향요크에 삽입되는 하프 머슬형 수평편향코일의 제 1 넥크 플랜지의 수직폭과 제 2 넥크 플랜지의 수평폭을 소정의 비로 조정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하프머슬형 수평편향코일을 권선시에 제 1 넥크 플랜지의 수직폭(h)에 대한 제 2 넥크 플랜지의 수평폭(l)의 비를 A=l/h 라고 두었을때 0.5<A<2.0 의 범위로 제작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브라운관의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편향 요크의 개략도,
도 3은 본원 발명에 의한 하프머슬형 편향코일의 사시도,
도 4(a)-(c)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프머슬형 편향코일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도 5는 편향코일에 의한 화면의 미스컨버젼스의 패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크린 2 : 새도우 마스크
3,(30) : 편향요크 4 : 전자총
5 : 패널(panel) 6S : 펀넬의 스크린부
6N : 펀넬의 넥크부 7 : 전자빔
31 : 수평편향 코일 31a : 수평/수직편향코일의 개구부 플랜지코일
31b : 수평/수직편향코일의 제 1 넥크 플랜지 코일
31c : 수평/수직편향코일의 제 2 넥크 플랜지 코일
31d : 수평/수직편향코일의 주편향부 코일
32 : 홀더 33 : 수직편향코일
34 : 코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편향요크에 삽입되는 하프 머슬형 수평편향코일의 제 1 넥크 플랜지와 제 2 넥크 플랜지의 성형비율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제 1 넥크 플랜지의 수직폭(h)과 제 2 넥크 플랜지의 수평폭(l)을 소정의 성형비율로 조정하여 최적의 성형비로 제작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해 주기 위해 설정해 준 영역 즉, 수평편향코일(31)의 제 1 넥크 플랜지(31b)의 수직폭(h)은 제 2 넥크 플랜지의 수평폭(l)의 비를 상술한 바와 같이 A(=l/h)로 두었을 때 A < 0.5의 값을 가지는 경우, 제 1 넥크 플랜지(31b)의 수직폭(h)이 길게 설정되면, 제 2 넥크 플랜지(31c)의 수평폭(l)이 너무 짧아져 편향 감도 보완능력이 없어지게 된다.
또한, A>2.0으로 설정해 주는 경우 제 2 넥크 플랜지(31c)의 수평폭(l)이 길게 설정되어 편향감도를 좋게 해 줄 수는 있으나 제 1 넥크 플랜지(31b)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이에 따른 제 1 넥크 플랜지(31b)가 만들어 주는 인덕턴스 성분의 비율이 매우 낮게 되고, 이로 인한 누설자계의 약화로 종래에 바형 자성체의 부착에 의한 방식으로 APH 비대칭성을 보정해 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하프머슬형 수평편향코일을 권선시에 제 1 넥크 플랜지(31b)의 수직폭(h)은 제 2 넥크 플랜지(31c)의 수평폭(l)의 비를 A=l/h 라고 두었을 때 제 1 넥크 플랜지의 수직폭(h)과 제 2 넥크 플랜지의 수평폭(l)의 최적의 성형비율(A)은 0.5<A<2.0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 1 넥크 플랜지와 제 2 넥크 플랜지의 성형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각 코일의 면적을 계산하여 정량적인 값에 의한 소정의 성형비율로 하여 제작한 경우를 나타낸다.
즉, 제 2 넥크 플랜지(31c)에 권선되는 코일의 양은 그 부분의 단면이 만들어 주는 면적에 비례하는데 제 2 넥크 플랜지부(31c)의 코일의 양을 길이가 22mm이고 높이가 1.5mm이 되도록 해 주는 경우, 면적은 33㎟이고 제 1 넥크 플랜지(31b)의 코일의 양은 길이가 6mm, 높이가 10mm로 설정해 주면 면적은 60㎟이어서, 이 두 개 부분의 비율 A=33/60=0.55로 설정해 줄 수 있는데 이 경우 편향감도는 15mHA2수준이면서 종래의 바(Bar)형 자성체를 이용해서 APH 비대칭을 0.4mm 수준으로 보정해 줄 수 있게 된다.
위의 실시예서는 제 1 넥크 플랜지와 제 2 넥크 플랜지간에 소정의 성형비율을 가지고 형성함에 있어 제 1 넥크 플랜지의 수직폭(h)와 제 2 넥크 플랜지의 수평폭(l)을 조절하거나, 그 면적비를 조절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누설자계 또는 편향감도를 적정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해 제 1 넥크 플랜지와 제 2 넥크 플랜지간의 형상 변화 및 권선의 방법의 다양한 변화에 대하여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개시하는 수평 편향코일의 제 1 넥크 플랜지의 수직폭(h)에 대한 제 2 넥크 플랜지의 수평폭(l)의 성형비율(A)에 의하면, 편향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누설자계의 세기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종래에 넥크부 플랜지의 누설자계를 이용한 APH 좌우 비대칭 현상의 보완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면서 편향감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 주며, 이로 인한 브라운의 생산성 및 lTC 조정성을 향상키시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스크린 플랜지부와, 플랜지가 형성된 제 1 넥크부 및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넥크부로 이루어진 넥크부와, 상기 스크린 플랜지부와 상기 제 1 넥크부를 연결하는 주편향부로 이루어지는 수평편향코일을 구비하는 편향요크에서, 상기 제 1 넥크부의 수직폭과 제 2 넥크부의 수평폭을 소정의 비로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넥크부의 수직폭(h)에 대한 상기 제 2 넥크부 수평폭(l)의 비율(A=l/h)이 0.5 < A< 2.0의 범위내로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KR1019990056659A 1999-12-10 1999-12-10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KR100355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659A KR100355447B1 (ko) 1999-12-10 1999-12-10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US09/730,730 US6522060B2 (en) 1999-12-10 2000-12-07 Deflection yoke for Braun tube
CNB00134174XA CN1280867C (zh) 1999-12-10 2000-12-07 用于布劳恩管的偏转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659A KR100355447B1 (ko) 1999-12-10 1999-12-10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447A true KR20010055447A (ko) 2001-07-04
KR100355447B1 KR100355447B1 (ko) 2002-10-11

Family

ID=1962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659A KR100355447B1 (ko) 1999-12-10 1999-12-10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4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933B1 (ko) * 2000-03-06 2003-09-03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편향 요크
US10208624B2 (en) 2013-02-26 2019-02-19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Lubrication of journal bearing during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15306T2 (de) * 1994-06-22 1999-04-29 Thomson Tubes & Displays Ablenkjoch
JP3599802B2 (ja) * 1994-11-09 2004-12-08 富士精工株式会社 エアーコントロールバルブ
JP3865322B2 (ja) * 1994-11-30 2007-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偏向ヨーク装置
JPH08250039A (ja) * 1995-03-15 1996-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装置
JP3361702B2 (ja) * 1996-10-07 2003-01-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受像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933B1 (ko) * 2000-03-06 2003-09-03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편향 요크
US10208624B2 (en) 2013-02-26 2019-02-19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Lubrication of journal bearing during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5447B1 (ko)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5447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KR100332612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편향코일 및 그 제조방법
US6522060B2 (en) Deflection yoke for Braun tube
KR100418039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00471962B1 (ko) 음극선관용편향요크
KR100355448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KR100356962B1 (ko) 편향요크
KR100213783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266525Y1 (ko)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_
KR20010054542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356297B1 (ko) 편향요크
KR100410950B1 (ko) 편향 요크
KR19980075840A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KR20010003592A (ko) 편향요크
KR20060044156A (ko) 음극선관
KR20040073078A (ko) 칼라 음극선관
US20020041141A1 (en) Deflection yoke
EP1372182A1 (en) Colour picture tube device
KR20040009230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10017067A (ko) 음극선관용 컨버젼스 요크
KR20030072028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40007844A (ko) 칼라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40072903A (ko) 음극선관
KR19980011431U (ko) 편향 요크용 코마 코일
KR20040076055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