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078A -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078A
KR20040073078A KR1020030009026A KR20030009026A KR20040073078A KR 20040073078 A KR20040073078 A KR 20040073078A KR 1020030009026 A KR1020030009026 A KR 1020030009026A KR 20030009026 A KR20030009026 A KR 20030009026A KR 20040073078 A KR20040073078 A KR 20040073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coil
cathode ray
vertical deflection
ray tub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일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to KR1020030009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3078A/ko
Publication of KR20040073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07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16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wires or other anchoring means, specially for U-shaped bristle tuf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4Machines for inserting or fixing bristles in bodies
    • A46D3/047Machines for inserting or fixing bristles in bodies for clamping or gluing bristles into rings, e.g. paint brushes, broo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2Br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 전자총에서 방사된 전자빔을 수평 편향시키기 위한 수평 편향코일, 상기 전자빔을 수직 편향시키기 위한 수직 편향코일,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을 지지함과 동시에 서로를 절연시키는 홀더, 누설 자속을 감소시키고 자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페라이트 코아를 구비한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 개구부 플랜지에 만곡부를 형성하며, 상기 만곡부는 음극선관 관축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형성된 플랜지 상부와 플랜지 상부보다 코일 도체가 전자총 측에 경사 및 만곡하고 늘어진 형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COLOR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칼라 음극선관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플랜지에 만곡부를 형성하여 수직 편향 코일의 개구부 측의 자장에 국부적인 변화를 주도록 함으로써 수직 편향 감도의 향상 및 상,하 횡선 왜곡현상의 용이한 조정과 미스 컨버젼스 조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1에 단면도로 나타내었다. 음극선관은 진공관 전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구비되고 이 것과 대향하는 목 부분에 전자총과 편향장치를 구비하여, 전자총에서 출력된 전자빔을 편향시켜서 전자빔이 형광체 스크린을 타격하도록 함으로써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은 패널(11)과 펀넬(12)이 결합되고 밀봉되어 그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며 하나의 진공관을 이룬다.
상기 패널(11)의 내면에는 형광체 스크린(13)이 형성되고 이 스크린(13)에 대향하는 펀넬 넥크 부분에 전자총(14)이 설치된다. 상기 형광체 스크린(13)과 전자총(14) 사이에는 형광체 스크린에 근접하여 색선별 작용을 하는 섀도우 마스크(15)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펀넬의 넥크 부분에는 전자총(14)에서 방출된 전자빔(16)의 편향을 위한 편향요크(17)가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칼라 음극선관의 동작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전자총(14)에서 출력된 전자빔(16)은 편향요크(17)에 의해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적당하게 편향되고, 수평 및 수직으로 편향된 전자빔(16)은 섀도우 마스크(15)의 빔 통과공을 통과하여 전면의 형광체 스크린(13)을 타격함으로써 소정의 칼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편향요크(17)는,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수평 편향코일(171)과, 전자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수직 편향 코일(172)과, 상기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과 코아를 지지해 주고 또 상호간에 절연을 확보해 주기 위한 홀더(173)와, 상기 편향 코일에서 생성된 자계의 귀환 경로 상에서의 손실을 줄여주기 위한 코아(174)와, 상기 편향요크의 개구부(스크린부)에 설치되는 보정 마그네트(1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도2는 종래의 수직 편향코일(172)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개구부(172a) 측에 플랜지부(172b)가 형성되어 있고 넥크부(172c) 측에도 플랜지부(172d)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간은 대략 원추형의 권선부(172e)가 이루어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 편향코일(171)에는 일반적으로 15.75kHz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수평 편향 전류를 흘려주고, 이 수평 편향 전류에 따라 수평 편향코일(171)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음극선관 내부의 전자빔(16)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켜 주며, 수직 편향코일(172)에는 일반적으로 60Hz의 주파수를 갖는 수직 편향 전류를 흘려주고, 이 수직 편향 전류에 따라 수직 편향코일(172)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음극선관 내부의 전자빔(16)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켜 준다. 이와 같이 전자빔(16)을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켜 화면상의 한 점에 모아지도록 함으로써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해준다.
편향요크를 살펴볼 때, 상기 수평 편향코일(171)과 수직 편향코일(172)에 의한 비균일 자계를 이용해서 R,G,B 3개의 전자빔이 별도의 부가회로 및 부가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면에서 컨버젼스를 이룰 수 있도록 해주는 셀프 컨버젼스 형태의 편향요크가 주로 개발되고 있다. 즉, 수평 편향코일(171) 및 수직 편향코일(172)의 권선 분포를 조정해서 개구부, 중간부, 넥크부 각각의 부위별로 바렐 혹은 핀-쿠션형 자계를 만들어 줌으로써 3개의 전자빔(16)이 위치에 따라서 각각 다른 편향력을 경험하게 해주어 전자빔의 출발지점으로부터 도착 지점인 화면까지의 각각 다른 거리에서도 동일한 지점으로 3개의 전자빔이 모아져서 해당 형광체를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편향코일(171,172)에 전류를 흘려주어 자계를 만들어 주는 경우 코일의 자계만으로는 전자빔(16)을 화면의 전면에 편향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고 투자율의 페라이트 코아(174)를 사용하여 자계의 귀환 경로 상에서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계 효율을 높이고 자기력 증대를 기하고 있다.
즉, 편향코일(171,172)에 전류를 흘려주어 자계를 만들어 주는 경우 코일의 자계만으로는 전자빔(16)을 화면의 전면에 편향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고 투자율의 페라이트 코아(174)를 사용하여 자계의 귀환 경로 상에서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계 효율을 높이고 자기력 증대를 기하고 있다.
따라서, 페라이트 코아(174)는 고투자율 확보를 위해 기본적으로 산화철(Fe203)과 몇 가지의 첨가물(Mn, Mg 등)로 구성된다. 페라이트 코아(174)의 형상은 대부분 음극선관 제품에 사용되는 원추형 코아와 , 최근에 효율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각형 모양의 코아도 사용하고 있으며 페라이트 코아(174)의 두께와 위치는 편향요크의 감도와 누설자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적절하게 설계하는 것은 편향요크의 품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페라이트 코아(174)를 설치하게 되면 자계를 차폐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편향요크의 편향효율이 증가하고 누설자계가 감소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그 형상은 편향요크를 둘러싼 닫혀진 형태가 된다. 이러한 페라이트 코아(174)의 좋은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투자율이 높아야 하며(μ0300이상), 와전류(Eddy Current)에 의한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높은 전기 저항을 가져야 한다.
도3은 음극선관의 편향요크에서 야기되는 축상의 종선 미스 컨버젼스 및 라스터에서의 왜곡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에 의한 수직 편향력은 수직 편향코일 및 자성을 가진 보정물에 의해서 만들어져서 도3의 부호 21로 표현한 바와 같은 미스 컨버젼스의 축상 종선의 어긋남 또는 부호 22 및 23으로 표현한 바와 같은 라스터 상의 횡선 왜곡현상을 보정하고 있다.
즉, 수직 편향 코일에 있어서 종래에는 음극선관과 편향요크에서 야기되는 종선 미스 컨버젼스 및 라스터 왜곡 패턴(21)이 나타나게 되는데, 왜곡 패턴(21)에서 보여지듯이 R/G와 B 사이가 서로 어긋나는 미스 컨버젼스일 경우는 라스터 왜곡 패턴이 부호 22로 표현한 바와 같이 나타나면 수직 편향 코일(172)의 자계를 조정하여 보정이 가능하지만, 상기 미스 컨버젼스에서 라스터 왜곡 현상이 부호 23으로 표현한 바와 같이 나타나는 경우는 수직 편향코일의 자계 조정만으로 보정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의 왜곡 보정을 위하여 마그네트(175) 또는 철편을 편향요크의 편향 코일 근방에 부가적으로 설치하고, 이 마그네트 또는 철편을 이용해서 자기장에 변화를 주어 왜곡을 보정하도록 하였으나, 도3의 미스 컨버젼스 패턴(21)이나 라스터 상의 왜곡 현상을 갖는 패턴(23)이 함께 나타나게 되면 자성을 가진 보정물의 특성 재조정 및 처음부터 편향력 설정을 위한 제반 요소들의 재개발과 설계가 따라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나 철편과 같은 자성체를 사용할 경우 부호 21로 표현한 바와 같은 패턴에서 R/G와 B 사이가 더 커지게 되므로 음극선관의 백색 균일도(White Uniformity)의 품위에 중요한 미스랜딩(mis-landing)에서 R/B 빔의 불균형(unbalance)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오히려 백색 균일도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높다. 더구나 보정을 위한 여러가지 부가적인 부품과 장치가 추가로 소요되어 작업성을 떨어뜨리고 비용을 상승시키게 되는 것은 물론, 조정 작업 자체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악화된다. 특히 종래의 도2와 같은 구조의 수직 편향코일만으로는 수직 편향 감도의 향상에 한계가 있고 이러한 점은 수직 편향감도 향상을 통한 종선 미스 컨버젼스 및 라스터 왜곡 보정을 고품위로 수행할 수 없게 하는 제약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요크에서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부근에서 생성되는 자장을 국부적으로 변화시켜 줌으로써 미스 컨버젼스에 따른 라스터 왜곡을 방지하고 수직 편향감도를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요크에서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플랜지부에 만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만곡부에 의해 수직 편향코일 개구부 부근의 자장에 국부적인 변화를 야기시켜 미스 컨버젼스 보정을 용이하게 하고 수직 편향감도의 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칼라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종래의 수직 편향 코일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3은 칼라 음극선관의 왜곡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편향 코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편향 코일을 개구부에서 바라본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수평 편향코일 32: 수직 편향코일
33: 홀더 34: 페라이트 코아
35: 보정 마그네트 321,322: 만곡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은 패널과 펀넬 및 전자 방출수단을 갖고, 상기 전자 방출수단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수평 및 수직편향 코일과 상기 편향코일 홀더 및 페라이트 코아로 이루어진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전자빔의 수평 편향을 위한 수평 편향코일과, 개구부 측에 전자빔 방출수단 측으로 소정 폭만큼 후퇴하여 연장되는 만곡부가 형성된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을 지지함과 동시에 서로를 절연시키는 홀더와, 상기 편향 코일에서 생성된 자계의 귀환 경로 상에서의 누설 자속을 감소시키는 페라이트 코아로 이루어진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 편향코일에서 상기 만곡부는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측에서 생성되는 자장에 대하여 국부적인 변화를 가하여 미스 컨버젼스 및 라스터 왜곡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 편향코일에서 상기 만곡부는 음극선관의 관축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형성된 플랜지 상부와 상기 플랜지 상부보다 각각의 코일 도체가 전자총 측을 향하여 만곡진 상태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 편향코일에서 상기 만곡부는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측에 형성된 플랜지 상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1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 편향코일에서 상기 만곡부는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측에 형성된 플랜지 상부에서 전자총 측을 향하여 소정 폭만큼 후퇴하여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만곡부의 최대 내경의 곡률반경이 R2이고, 상기 만곡부의 전자총 네크측 외면 경사부의 곡률반경이 R1일 때, R1 > R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 편향코일에서 상기 만곡부는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측에 형성된 플랜지 상부에서 전자총 측을 향하여 거의 일정한 두께이거나 쐐기형으로 소정 폭만큼 후퇴하여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 편향코일에서 상기 만곡부는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측에 형성된 플랜지 상부에서 전자총 측을 향하여 음극선관의 관축 방향의 플랜지 폭보다 더 큰 폭으로 후퇴하여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편향요크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칼라 음극선관의 구성 및 그 작용효과를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는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수평 편향코일(31)과, 전자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수직 편향 코일(32)과, 상기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과 코아를 지지해 주고 또 상호간에 절연을 확보해 주기 위한 홀더(33)와, 상기 편향 코일에서 생성된 자계의 귀환 경로 상에서의 손실을 줄여주기 위한 코아(34)와, 상기 편향요크의 개구부(스크린부)에 설치되는 보정 마그네트(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편향코일(32)은 개구부 측의 플랜지부 상부에서 음극선관의 관축 방향에 대하여 전자총 측으로 하향 경사진 만곡부(321,322)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5 및 도6은 상기 본 발명의 수직 편향코일(32)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개구부(32a) 측에 플랜지부(32b)가 형성되어 있고 넥크부(32c) 측에도 플랜지부(32d)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간은 대략 원추형의 권선부(32e)가 이루어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 측의 플랜지부(32b)의 상부에는 음극선관의 관축 방향에 대하여 전자총 측(도면에서 볼 때 넥크부 측)으로 연장된 만곡부(321,3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만곡부(321,322)의 관축 방향의 최대 폭(D2)은 개구부 측의 플랜지부(32b)의 관축 방향의 폭(D1) 보다 큰 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만곡부(321,322)는 개구부 측의 플랜지부(32b)의 상부에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1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만곡부(321,322)는 수직 편향코일(32)의 개구부(32a) 측에 형성된 플랜지부(32b) 상부에서 전자총 측을 향하여 소정 폭(D2)만큼 후퇴하여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 때 그 개구부(32a)에서 볼 때 편향요크의 만곡부의 최대 내경의 곡률반경이 R2이고, 상기 만곡부의 잔자총 네크측 외면 경사부의 곡률반경이 R1일 때 R1 > R2를 만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만곡부가 형성된 수직 편향코일을 포함하는 편향요크는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되고 섀도우 마스크가 설치된 패널과 넥크 부분에 전자총이 장착된 펀넬을 융착하여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에 전자빔을 수평,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편향장치로 설치되어 칼라 음극선관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칼라 음극선관에서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자총에서 출력된 전자빔이 편향요크에 의해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적당하게 편향되고, 수평 및 수직으로 편향된 전자빔은 섀도우 마스크의 빔 통과공을 통과하여 전면의 형광체 스크린을 타격함으로써 소정의 칼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편향요크에서 수평 편향코일(31)에는 일반적으로 15.75kHz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수평 편향 전류를 흘려주고, 이 수평 편향 전류에 따라 수평 편향코일(31)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음극선관 내부의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켜 주며, 수직 편향코일(32)에는 일반적으로 60Hz의 주파수를 갖는 수직 편향 전류를 흘려주고, 이 수직 편향 전류에 따라 수직 편향코일(32)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음극선관 내부의 전자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켜 준다. 이와 같이 전자빔을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켜 화면상의 한 점에 모아지도록 함으로써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해준다.
여기서 편향요크를 살펴볼 때, 상기 수평 편향코일(31)과 수직 편향코일(32)에 의한 비균일 자계를 이용해서 R,G,B 3개의 전자빔이 별도의 부가회로 및 부가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면에서 컨버젼스를 이룰 수 있도록 해주는 셀프 컨버젼스 형태의 편향요크가 주로 개발되고 있다. 즉, 수평 편향코일(31) 및 수직 편향코일(32)의 권선 분포를 조정해서 개구부, 중간부, 넥크부 각각의 부위별로 바렐 혹은 핀-쿠션형 자계를 만들어 줌으로써 3개의 전자빔이 위치에 따라서 각각 다른 편향력을 경험하게 해주어 전자빔의 출발지점으로부터 도착 지점인 화면까지의 각각 다른 거리에서도 동일한 지점으로 3개의 전자빔이 모아져서 해당 형광체를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편향코일(31,32)에 전류를 흘려주어 자계를 만들어 주는 경우 코일의 자계만으로는 전자빔을 화면의 전면에 편향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고 투자율의 페라이트 코아(34)를 사용하여 자계의 귀환 경로 상에서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계 효율을 높이고 자기력 증대를 기하고 있다.
따라서, 페라이트 코아(34)는 고투자율 확보를 위해 기본적으로 산화철(Fe203)과 몇 가지의 첨가물(Mn, Mg 등)로 구성된다. 페라이트 코아(34)의 형상은 대부분 음극선관 제품에 사용되는 원추형 코아와 , 최근에 효율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각형 모양의 코아도 사용하고 있으며 페라이트 코아(34)의 두께와 위치는 편향요크의 감도와 누설자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적절하게 설계하는 것은 편향요크의 품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페라이트 코아(34)를 설치하게 되면 자계를 차폐하는효과가 있기 때문에 편향요크의 편향효율이 증가하고 누설자계가 감소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그 형상은 편향요크를 둘러싼 닫혀진 형태가 된다. 이러한 페라이트 코아(34)의 좋은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투자율이 높아야 하며(μ0300이상), 와전류(Eddy Current)에 의한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높은 전기 저항을 가져야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빔을 수편 편향코일(31) 및 수직 편향코일(32)의 편향력에 의해서 수평,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켜 줌에 있어서, 수직 편향코일(32)의 플랜지부(32b)에 형성된 만곡부(321,322)는 개구부(32a) 측에서 발생되는 수직 편향 자계에 국부적인 변화를 주게 된다.
이 자계의 변화는 플랜지부(32b)의 관축 방향의 폭(D1)과 만곡부(321,322)의 관축 방향의 폭(D2)과의 관계에 따른 용적률에 의존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용적율 즉, D1과 D2의 관계를 적절하게 조정하게 되면 개구부(32a) 측에서의 자장에 국부적인 변화를 줄 수 있고 그 국부 변화는 수직 편향코일(32)에 의한 수직 편향자계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앞서 기술한 도3과 같은 미스 컨버젼스의 라스터 왜곡현상을 쉽게 보정할 수 있게 하며, 특히 수직 편향 감도의 개선과 편향 요크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위에 누설되는 누설 자장도 함께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도3의 음극선관의 편향요크에서 야기되는 축상의 종선 미스 컨버젼스 및 라스터에서의 왜곡 현상이 개선됨을 살펴본다.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에 의한 수직 편향력은 수직 편향코일 및 자성을 가진 보정물에 의해서 만들어져서 도3의 부호 21로 표현한 바와 같은 미스 컨버젼스의 축상 종선의 어긋남 또는 부호 22 및 23으로 표현한 바와 같은 라스터 상의 횡선 왜곡현상을 보정하고 있다.
즉, 수직 편향 코일에 있어서 음극선관과 편향요크에서 야기되는 종선 미스 컨버젼스 및 라스터 왜곡 패턴(21)이 나타나게 되는데, 왜곡 패턴(21)에서 보여지듯이 R/G와 B 사이가 서로 어긋나는 미스 컨버젼스일 경우는 라스터 왜곡 패턴이 부호 22로 표현한 바와 같이 나타나면 수직 편향 코일(172)의 자계를 조정하여 보정이 가능하지만, 상기 미스 컨버젼스에서 라스터 왜곡 현상이 부호 23으로 표현한 바와 같이 나타나는 경우는 기존에는 수직 편향코일의 자계 조정만으로 보정이 어렵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편향코일(32)은 개구부 측에 만곡부(321,322)를 가지기 때문에 이 만곡부(321,322)에 의해서 개구부 측의 수직 편향 자계에 국부적인 변화를 줄 수 있으므로, 도3의 미스 컨버젼스 패턴(21)이나 라스터 상의 왜곡 현상을 갖는 패턴(23)이 함께 나타나게 되더라도 이를 국부적인 수지 편향 자계의 조정을 통해서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직 편향코일에 만곡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미스 컨버젼스와 라스터 상의 왜곡 현상을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측 국부 자계 변화를 통해서 보정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한 만곡부(321,322)는 수직 편향코일(32)을 성형할 권형의 내형과 외형 사이에 코일의 형상을 규제할 수 있는 핀 슈팅 장치를 설치하여 그 크기와 길이를 쉽게 설정 및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수직 편향코일(32)의 플랜지부(32b)의 음극선관 관축 방향의 폭(D1)과 만곡부(321,322)의 관축 방향의 폭(D2)을 서로 변화시켜 도3과 같은 미스 컨버젼스에 따른 왜곡을 쉽게 보정할 수 있으며, 만곡부(321,322)의 폭(D2)을 크게 하여 줌으로써 수직편향 감도를 향상시켜 수직 코일의 소요량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측에 만곡부를 형성하여 개구부 부근에서 발생하는 자장을 국부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미스 컨버젼스에 따른 라스터 왜곡을 쉽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측에 형성된 만곡부와 플랜지의 폭간의 관계를 변화시켜 줌으로써 미스 컨버젼스에 따른 라스터 왜곡 현상에 적응적으로 보정이 가해질 수 있다.
특히,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측에 형성된 만곡부의 폭을 크게 함으로써 수직 편향 감도를 개선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나타나는 누설 자장을 줄일 수 있는 고성능, 고품위의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7)

  1. 패널과 펀넬 및 전자 방출수단을 갖고, 상기 전자 방출수단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수평 및 수직편향 코일과 상기 편향코일 홀더 및 페라이트 코아로 이루어진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전자빔의 수평 편향을 위한 수평 편향코일과, 개구부 측에 전자빔 방출수단 측으로 소정 폭만큼 후퇴하여 연장되는 만곡부가 형성된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을 지지함과 동시에 서로를 절연시키는 홀더와, 상기 편향 코일에서 생성된 자계의 귀환 경로 상에서의 누설 자속을 감소시키는 페라이트 코아로 이루어진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측에서 생성되는 자장에 대하여 국부적인 변화를 가하여 미스 컨버젼스 및 라스터 왜곡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음극선관의 관축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형성된 플랜지 상부와 상기 플랜지 상부보다 각각의 코일 도체가 전자총 측을 향하여 만곡진 상태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측에 형성된 플랜지 상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1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측에 형성된 플랜지 상부에서 전자총 측을 향하여 소정 폭만큼 후퇴하여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만곡부의 최대 내경의 곡률반경이 R2이고, 상기 만곡부의 전자총 네크측 외면 경사부의 곡률반경이 R1일 때 R1 > R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측에 형성된 플랜지 상부에서 전자총 측을 향하여 거의 일정한 두께이거나 쐐기형으로 소정 폭만큼 후퇴하여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수직 편향코일의 개구부 측에 형성된 플랜지 상부에서 전자총 측을 향하여 음극선관의 관축 방향의 플랜지 폭보다 더 큰 폭으로 후퇴하여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20030009026A 2003-02-13 2003-02-13 칼라 음극선관 KR20040073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026A KR20040073078A (ko) 2003-02-13 2003-02-13 칼라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026A KR20040073078A (ko) 2003-02-13 2003-02-13 칼라 음극선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078A true KR20040073078A (ko) 2004-08-19

Family

ID=3736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026A KR20040073078A (ko) 2003-02-13 2003-02-13 칼라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30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73078A (ko) 칼라 음극선관
KR100355447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KR100471962B1 (ko) 음극선관용편향요크
KR100418039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00418041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510902B1 (ko) 음극선관용편향요크의컨버젼스요크구조및제어장치
KR100405210B1 (ko) 편향요크의 보정장치
US7183703B2 (en) Cathode ray tub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flection coil
KR100213783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270364B1 (ko) 음극선관의인너디스토션보정장치
KR100400836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00410950B1 (ko) 편향 요크
KR200266525Y1 (ko)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_
KR100403773B1 (ko) 보정용 마그네트를 갖는 컬러 음극선관
KR100581417B1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EP1372182A1 (en) Colour picture tube device
KR20040073077A (ko) 칼라 음극선관
KR19980075840A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KR20010054542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KR20010017067A (ko) 음극선관용 컨버젼스 요크
KR20030022555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50078067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30072886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40007844A (ko) 칼라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30092344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