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612B1 -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편향코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편향코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612B1
KR100332612B1 KR1019990056662A KR19990056662A KR100332612B1 KR 100332612 B1 KR100332612 B1 KR 100332612B1 KR 1019990056662 A KR1019990056662 A KR 1019990056662A KR 19990056662 A KR19990056662 A KR 19990056662A KR 100332612 B1 KR100332612 B1 KR 100332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eflection
winding
deflection coil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449A (ko
Inventor
김규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56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612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6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for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 H01J2229/7033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에 사용되는 편향 요크의 편향 코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편향코일의 제조방법은 권형틀을 이용하여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편향 코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코일이 공급되는 권형틀에 대해 그 넥크부의 X축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착탈가능한 보조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보조가이드를 경유해서 권형틀에 코일이 권선되게 하여 편향 코일의 주편향부의 코일권선방향과 스타트선이 나란하게 권선되게 함으로써, 종래에 스타트선이 편향 코일의 권선방향과 나란하지 못하고 어긋나게 위치함으로 인해 편향 코일의 좌우가 서로 비대칭적으로 권선되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었고 편향코일의 좌우를 대칭되게 권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편향코일 및 그 제조방법{the Deflection coil of Deflection Yoke for Broun tu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브라운관에 사용되는 편향 요크(Deflection Yoke)의 편향 코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한쌍의 수평편향코일 또는 한쌍의 수직편향코일이 하프머슬형으로 구성된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에서 그 수평편향코일 또는 수직편향코일의 스타트선의 인출각도를 기준축(Y축)에 대하여 ±30°이내의 범위로 제작함으로써 코일의 넥크부 위에서 발생하는 각 코일간의 비대칭성을 제거할 수 있는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편향 코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라운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전자빔(7)을 방출하는 전자총(4)과, 이들 전자빔(7)이 형광면에 부딪혀 빛을 재현하는 스크린(1)과, 3개의 전자빔(11)을 구분해 주는 새도우 마스크(2)와, 그 전자 빔을 스크린(1)의 정해진 장소로 편향시켜주는 편향 요크(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도면에서 부재번호 3, 30은 공히 편향 요크를 지칭하며, 미설명 부호 5는 패널(panel), 6S는 펀넬(funnel)의 스크린부, 6N은 펀넬의 넥크부를 나타낸다.
이렇게 구성된 브라운관은 외부로부터 화상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빛의 신호로 바꾸어 스크린이라는 공간에 위치와 내용(색상)의 함수를 가진 화상으로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스크린에 나타나는 화상의 색상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내용신호는 전자총에 인가되어 R,G,B 전자빔의 적정한 색상조합을 통해 스크린에 그 원하는 색상을 나타내며, 화상의 위치신호는 편향 요크(3)에 인가되어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되는 R,G,B 전자빔이 스크린에 도착하는 위치를 조절하여 원하는 화상이 나타날 수 있게 한다.
도 2에 이러한 편향 요크(3)가 좀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요크(3)는 브라운관 내부에 있는 전자총(4)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켜주기 위한 수평편향코일(31)과,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수직편향코일(33)과, 이 수평편향코일(31)과 수직편향코일(33)에서 발생된 자기력의 손실을 줄여 주어 자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되는 원추형 페라이트 코아(34)와, 이들 수평,수직편향코일들(31, 32)과 페라이트 코아(34)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켜 주며 수평편향코일(31)과 수직편향코일(33) 사이의 절연을 시키기 위한 홀더(32)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편향 요크(3)를 브라운관의 네크부에 장착하고 수평편향 코일 및 수직편향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면 스크린에 원하는 화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편향 요크(3)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편향 요크의 수평편향코일(31)에는 15.75KHz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흘려주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브라운관 내부의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켜 준다. 또한 수직편향코일(33)에는 보통 60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흘려주어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해서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켜주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그 수평편향코일(31)과 수직편향코일(33)에 의한 비균일 자계를 이용해서 3개의 전자빔이 별도의 부가회로 및 부가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면에서 컨버젼스(convergence)를 이룰 수 있도록 해주는 셀프 컨버젼스 형태의 편향 요크(3)도 개발되고 있다.
즉, 수평편향코일(31) 및 수직편향코일(33)의 권선 분포를 조정해서 각 부위별(개구부, 중간부, 넥크부)로 바렐(barrel) 혹은 핀-쿠션형 자계로 만들어 주어서 3개의 전자빔이 위치에 따라서 각각 다른 편향력을 받게 하여 전자빔의 출발지점에서부터 도착지점인 스크린(1)까지의 각각 다른 거리에서 동일한 지점으로 모아질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또한, 이렇게 수평,수직편향코일(31, 33)에 전류를 흘려주어 자계를 만들어 주는 경우, 이러한 수평,수직편향코일(31, 33)에 의한 자계만으로는 전자빔을 화면의 전면에 편향시키기 어려우므로 고투자율의 페라이트 코아(34)를 사용하여 자계의 귀환 경로상에서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계의 효율을 높여 자기력을 증대시키고 있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편향감도를 높이기 위해 편향코일을 전자총 측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런 경우, 넥크 새도우(BSN이라고 하며 빔이 펀넬 내면에 부딪혀 스크린의 형광체를 발광시키지 못하는 현상) 거리가 짧아지는 문제가 생긴다. 그 반대로 넥크 새도우의 거리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편향 코일을 스크린 쪽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런 경우에는 편향감도가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편향감도와 넥크 새도우는 양립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코일 권선 타입이 플랜지형 코일과 머슬형 코일의 중간형상인 하프 머슬형 코일이다.
도 3 및 도 4(a) - (c)에 하프 머슬형 코일의 수평편향코일(31) 또는 수직편향코일(33)이 좀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 머슬형 코일의 수평편향코일(31) 또는 수직편향코일(33)은 편향감도와 넥크 새도우(편향된 전자빔이 펀넬 부분에 부딪혀서 화면에 도달하지 못하는 영역을 만들어 주어 스크린 주변 코너부의 형광체를 발광시키지 못하는 현상)를 적절히 최적화시킬 수 있는 편향코일의 형태로서, 스크린 플랜지부 코일(31a)과, 제 1 넥크 플랜지 코일(31b)과, 제2 넥크 플랜지 코일(31c)과, 주편향부 코일(31d)를 구비하여 하프머슬(Half mussel)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편향코일을 제작하는 공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는 종래의 권형 틀(11)의 정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코일의 권선을 위해 회전할 때의 가상의 회전축을 Y축으로 하고, 그 Y축에 수직인 방향을 X축을 설정할 때, 이 X, Y축의 수직방향으로 권형코아(10)가 위치하여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코일을 제작하는 본 발명의 권형 틀은 틀(11)에서 기준축(Y축)을 회전축으로 해서 화살표의 방향으로 틀(11)을 회전시키면서 권형코아(10)의 주위로 코일을 권선하게 된다. 즉, 고정점(12)에서 코일을 잡은 상태에서 권형 틀(11)을 기준축(Y)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권형코아(10)의 주위로 코일을 권선하면 편향코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제 2 넥크부의 스타트선( 31e)이 고정점(12)에서 시작하여 이 권형 틀(11)의 넥크부(11a)에 처음 권선될 때 가상의 회전축(Y)에 대하여 경사지게 삽입되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5에서 미설명 부호 11b는 권형 틀의 스크린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권선하여 제작된 편향코일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트선(31e)이 제 2 넥크 플랜지부(31c)의 전체적인 권선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수평편향코일 또는 수직편향코일을 각각 1쌍으로 결합시켜 이들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 도 6에서 미설명 부호 31f는 피니시선을 나타낸다.
그러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권형 틀에서 제작되는 한쌍의 편향코일(31,33)을 서로 마주보게 결합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트선(31e)은 권형 틀의 고정점(12)과 권형코아(10)의 제일 먼저 닿는 면에 의해서 2번째, 3번째,... 그 다음번에 감겨지는 코일은 제 2 넥크 플랜지부(31c)에서 좌우가 달라지게 된다. 이는 제 2 넥크 플랜지부(31c)에서 스타트 선(31e)이 권선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방향으로 권선될 때, 회전축을 중심으로 코일의 제 2 넥크 플랜지(31c) 부분의 오른쪽은 왼쪽에 비해 스타트선의 저항에 의해 Y축(회전축)으로 코일이 가깝게 진행하기 못해 좌우에 권선된 코일은 비대칭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편향 요크에 구비되는 하프 머슬형 편향코일의 권선시 발생하는 권선 비대칭성을 해결할 수 있는 편향코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편향코일 제조방법은, 권형틀을 이용하여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편향 코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코일이 공급되는 권형틀에 대해 그 넥크부의 X축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착탈가능한 보조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보조가이드를 경유해서 권형틀에 코일이 권선되게 하여 편향 코일의 주편향부의 코일권선방향과 스타트선이 나란하게 권선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X축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홈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편향 코일의 권선을 위한 회전축(Y축)과 ±30°범위내에서 상호 대칭되게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편향코일은 코일이 공급되는 상기 권형틀에 대해 그 넥크부의 X축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착탈가능한 보조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보조가이드를 경유해서 권형틀에 코일이 권선되어 편향 코일의 주편향부의 코일권선방향과 스타트선이 나란하게 권선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브라운관의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편향 요크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프머슬형 편향코일의 사시도,
도 4(a)-(c)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프머슬형 편향코일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도 5는 종래의 보조가이드를 설치하지 않은 권형 틀의 정면사시도,
도 6은 종래의 보조가이드를 이용하지 않은 하프 머슬형 편향코일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가이드를 설치한 권형 틀의 정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가이드를 이용한 하프 머슬형 편향코일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크린 2 : 새도우 마스크
3,(30) : 편향 요크 4 : 전자총
5 : 패널(pannel) 6S : 펀넬의 스크린부
6N : 펀넬의 넥크부 7 : 전자빔
8 : 보조가이드 삽입용 홈 9 : 보조가이드
10 : 권형코아 11 : 권형 틀
11a : 권형 틀의 넥크부 11b : 권형 틀의 스크린부
12 : 고정점 31 : 수평편향 코일
31a : 수평/수직편향코일의 개구부 플랜지코일
31b : 수평/수직편향코일의 제 1 넥크 플랜지 코일
31c : 수평/수직편향코일의 제 2 넥크 플랜지 코일
31d : 수평/수직편향코일의 주편향부 코일
31e : 수평/수직편향코일의 스타트선
31f : 수평/수직편향코일의 피니시선
32 : 홀더 33 : 수직편향코일
34 : 코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b)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편향코일을 제조하기 위한 보조 가이드가 설치된 틀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권형 틀(11)의 권형코아(10)가 회전축(Y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권형 틀(11)의 넥크부에 X축방향으로 복수개의 홈(8)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홈(9)에 장착되어 스타트선이 회전축에 평행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보조 가이드(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권형 틀(11)의 넥크부(11a)에 스타트선(31e)이 처음에는 권선시 회전축(Y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삽입되지 않고 회전축(Y축)에 평행하게 삽입되도록 보조 가이드(9)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즉, 스타트선(31e)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가이드(9)를 거쳐 틀(11)에 감겨져 제 2 넥크 플랜지부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편향코일은 틀(11)에서 권선한 후 코일에 전류를 가하여 자기 융착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권형 틀(11)의 온도, 습도, 코일에 가해지는 전류에 의해 전후의 코일이 약간씩 달라지게 된다. 이때 틀의 제 2 넥크부에 X축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홈부(8)에 끼워지는 보조 가이드(9)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회전축(Y축)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면서 권선하면 권선 제조시의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범위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이 작업에 의한 경험적인 데이터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에 대하여 ±30°범위 내에서 조절해 주게 되면 권선 과정에서 권선 방향에 의한 스타트선(31e)의 위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권선분포의 비대칭성을 보완해 주는 것을 구조적인 측면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권형코아(10)에 1차 스타트선(31e)이 걸치고, 그 이후 권형의 플랜지 끝 부분에 스타트선(31e)이 2차 걸리게 됨으로써 권형의 내부에서는 권선 방향에 의한 비대칭 부분과 스타트선(31e)에 의한 권선시의 텐션 저항에 의한 비대칭 부분의 효과가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서로의 효과가 상쇄되는 것인데 상호 보완할 수 있는 각도가 ±30°이내에 있는 경우에 그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8에는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향코일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트선(31e)이 제 2 넥크 플랜지부(31c) 및 제 1 넥크 플랜지부(31b)에서 넥크부의 진행방향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작업에 의해 권선분포의 비대칭성을 개선한 것은 수평편향 코일(31)을 전기적인 특성 조정, 특히 권선된 코일의 고압 인가부와 저압인가부의 위치에 의해 발생하는 링잉(Ringing)의 권선방향 현상을 개선해 주기 위해 상측 수평편향 코일(31)과 하측 수평 편향코일(31)의 권선 방향을 반대로 해 주는 정, 역권으로 구성시켜주는 경우에 더욱 효과가 확실하게 나타난다.
이는 스타트선(31e)의 위치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스타트선(31e)의 인출각도를 제한하여 줌으로써 조립후의 권분포의 비대칭성과 이에 따른 자계의 비대칭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쌍의 하프머슬형 편향코일을 권선시 발생하는 각 코일들의 넥크부 특히 제 2 넥크 플랜지부에서 발생하는 좌우 비대칭성을 편향코일을 안정적으로 권선하여 수평편향 코일 또는 수직편향 코일의 비대칭에 의한 특성 비대칭으로 조정 작업을 해 주거나 혹은 조정불능의 비대칭 특성이 나옴에 따르는 생산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하프 머슬형 코일 채용에 의한 편향감도개선 효과를 그대로 가지면서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권형틀을 이용하여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편향 코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코일이 공급되는 상기 권형틀에 대해 그 넥크부의 X축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착탈가능한 보조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보조가이드를 경유해서 상기 권형틀에 상기 코일이 권선되게 하여 편향 코일의 주편향부의 코일 권선 방향과 상기 스타트선이 나란하게 권선되게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편향코일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축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홈은, 편향 코일의 권선을 위한 회전축(Y축)과 ±30°범위내에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편향코일 제조방법.
  3. 권형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편향 코일에 있어서,
    코일이 공급되는 상기 권형틀에 대해 그 넥크부의 X축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착탈가능한 보조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보조가이드를 경유해서 상기 권형틀에 상기 코일이 권선되어 편향 코일의 주편향부의 코일권선방향과 상기 스타트선이 나란하게 권선되어진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편향코일.
KR1019990056662A 1999-12-10 1999-12-10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편향코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332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662A KR100332612B1 (ko) 1999-12-10 1999-12-10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편향코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662A KR100332612B1 (ko) 1999-12-10 1999-12-10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편향코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449A KR20010055449A (ko) 2001-07-04
KR100332612B1 true KR100332612B1 (ko) 2002-04-17

Family

ID=1962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662A KR100332612B1 (ko) 1999-12-10 1999-12-10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편향코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6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770B1 (ko) * 2014-11-19 2016-03-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의 자동 정차 방법 및 정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449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954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구조
KR100332612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편향코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355447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KR100471962B1 (ko) 음극선관용편향요크
US6894430B2 (en) Color cathode-ray tube
KR10052884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528848B1 (ko)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00355448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KR100400836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00418039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9980075840A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KR20050003133A (ko) 음극선관의 편향 요크
KR20040072903A (ko) 음극선관
KR100366786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KR20010054542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KR19990071008A (ko) 칼라브라운관용 편향요크
KR20050078067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50082117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40076055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40072899A (ko) 편향 요크를 갖는 음극선관
KR20030022555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30072028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40072901A (ko) 편향요크를 갖는 음극선관
KR20040074215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60044156A (ko)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