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1058A -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058A
KR19980071058A KR1019980003029A KR19980003029A KR19980071058A KR 19980071058 A KR19980071058 A KR 19980071058A KR 1019980003029 A KR1019980003029 A KR 1019980003029A KR 19980003029 A KR19980003029 A KR 19980003029A KR 19980071058 A KR19980071058 A KR 19980071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vehicle occupant
tensioner
tensioners
restrai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츠비어
Original Assignee
요아힘베.히르쉬
테에르베오커판트레스트레인트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03562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8007105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요아힘베.히르쉬, 테에르베오커판트레스트레인트시스템즈 filed Critical 요아힘베.히르쉬
Publication of KR19980071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05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04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in vehicle or relative to seat belt
    • B60R2022/4609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in vehicle or relative to seat belt using a plurality of tensio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85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with means to adjust or regulate the tensioning force in relation to external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은 벨트 웨브(3)와, 벨트 리트랙터(5)와, 벨트 버클(13)과, 삽입 텅(11, tongue)과, 하나는 리트랙터 인장기(7)이고 다른 하나는 버클 인장기(17)인 두 개의 벨트 인장기와, 벨트 인장기(7, 17)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유닛(21)을 구비하며, 이 제어 유닛(21)은 구속 상태의 벨트 인장기(7, 17)를 작동시킨다. 버클 인장기 대신에 말단 장착 인장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좌석 벨트를 구비하는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에는, 심지어 소형차에서 조차도, 벨트가 차량 탑승자의 몸과 편안하게 접촉하도록 구속 상태의 벨트 버클을 인장하는 벨트 인장기가 종종 설치되고 있다. 이전까지의 종래 기술의 벨트 인장기는 차량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그들 인장기들에 의하여 가해진 하중을 그에 상응하게 벨트 시스템의 다른 위치로 전달하는 리트랙터 인장기, 버클 인장기 또는 말단 장착 인장기로서 이용할수 있다.
본 발명은 구속 효과가 이전까지의 종래 기술의 구속 시스템의 그것 보다 훨씬 양호한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리트랙터 인장기 및 버클 인장기를 채택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리트랙터 인장기 및 말단 장착 인장기를 채택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벨트 웨브
4: 말단 장착부
5: 벨트 리트랙터
7: 리트랙터 인장기
11: 삽입 텅
13: 벨트 버클
17: 버클 인장기
21: 제어 유닛
31: 말단 장착 인장기
33, 35: 하중 제한기
이것은 벨트 웨브와, 벨트 리트랙터와, 벨트 버클과, 삽입 텅과, 하나는 리트랙터 인장기이고 다른 하나는 버클 인장기인 두 개의 벨트 인장기와, 벨트 인장기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이 제어 유닛은 구속 상태의 벨트 인장기를 작동시키는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에 의하여 성취된다.
또한, 전술한 장점은 벨트 웨브와, 벨트 리트랙터와, 벨트 버클과, 삽입 텅과, 하나는 리트랙터 인장기이고 다른 하나는 버클 인장기인 두 개의 벨트 인장기와, 벨트 인장기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이 제어 유닛은 구속 상태의 벨트 인장기를 작동시키는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에 의하여 성취된다.
이전까지 공지된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과는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은 하나의 벨트 웨브에 작용하는 두 개의 벨트 인장기로 작동하는데, 상기 벨트 인장기 중의 하나는 주로 어깨 부분의 벨트 요소를 인장하는 역할을 하고 다른 하나는 주로 골반 부분의 벨트 요소를 인장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리트랙터 인장기의 경우에 B-필러(pillar) 영역의 전향 장치에서의 벨트 웨브의 전향에 기인하여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마찰 손실과 삽입 텅에서의 마찰 손실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에 있어서는 대부분 회피된다. 제공되는 두 벨트 인장기 각각은 벨트 인장기를 차량에 수용하는 장점이 실현되도록 통상적인 벨트 인장기의 경우보다 소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러 개의 벨트 인장기가 설치됨에 기인하여, 인장 작용에 필요한 시간이 감소된다. 특히, 리트랙터 인장기는 골반 부분의 벨트 요소에 도달하기까지의 힘의 긴 경로 및 벨트 웨브의 탄성에 기인하여 골반 부분의 벨트 요소가 자주 부적절하게 인장되는 단점이 있다. 인장력이 분리되어 져서 골반 부분의 벨트 요소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인장 작용 후에 이 영역에서 발생하는 벨트의 이완이 방지되며, 탑승자가 골반 부분의 벨트 요소 아래로 미끄러지는것 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하체가 비틀리는 것도 방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벨트 인장기중 적어도 하나는 구속 작용을 하는 동안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최대 하중도 또한 제한되도록 하중 제한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리트랙터 인장기중 적어도 하나에는 탑승자의 상체 및 머리 부분의 소위 HIC 값을 줄이기 위하여 하중 제한기가 제공된다.
발생하는 최대의 가속도 값을 더욱 줄이기 위하여, 제어 유닛이 좌석 및 차량의 구조에 종속하여 구속 상태의 두 개의 벨트 인장기를 시기적으로 엇갈리게 작동시키면 유리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예컨대 탑승자의 체중 또는 신장과 같은 체격, 탑승자의 좌석 위치 또는 차량 내,외부의 온도와 같은 주위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이러한 인자에 종속되어, 두 벨트 중의 하나 또는 두 벨트 모두가 작동된다. 다단 점화식 벨트 인장기가 제공되는 경우, 인장력은 1단 이상의 점화에 의해 구속 상태에 추가적으로 맞춰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 및 특징은 참조되는 이하의 설명 및 이하의 도면으로 부터 올바르게 인식될 것이다.
도 1에는, 도시된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에 의해 차체에 대해 구속 상태로 전방으로 향한 이동이 방지될 필요가 있는 차량 탑승자(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은 벨트 웨브(3)를 구비하는데, 이 벨트 웨브의 일 단부는 말단 장착부(4)를 통하여, 그리고 타 단부는 벨트 리트랙터(5)를 통하여 차량에 고정된다. 상기 벨트 리트랙터(5)에는 리트랙터 인장기(7)가 제공된다. 벨트 웨브(3)는 벨트 리트랙터(5)로 부터 높이를 조절하는 전향 장치(9)에 수직 상방으로 뻗고, 그곳으로부터 탑승자의 상체를 경유하여 벨트 버클(13)에 잠겨질 수 있는 삽입 텅(11)까지 경사져 있다. 상기 벨트 웨브(3)는 차량 탑승자(1)의 골반 부분의 앞에있는 삽입 텅(11) 내의 후프 부를 통하여 차량에 고정된 말단 장착부(4)에 이르도록 뻗어 있다.
상기 벨트 버클(13)은 버클 인장기(17)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 버클 인장기는 충격 인장기(7)와 마찬가지로 여러 개의 점화식 가스 발생제를 구비함으로써 다단 벨트 인장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버클 인장기(17)의 점화식 추진 장약은, 리트랙터 인장기(7)의 점화식 추진 장약과 마찬가지로, 구속 작용시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함께 점화될 수 있다. 이것 이외에도, 제어 유닛(21)은 여러 개의 센서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의 센서(23)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23)는 차량 탑승자의 좌석 위치 뿐만 아니라 신장 또는 체중과 같은 신체적인 체격, 즉 해당 차량 탑승자에 대하여 정해지는 최적의 구속력을 계산하는 데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도 탐지한다. 또한, 차체에 민감한 센서 예컨대, 충격 강도를 측정하는 충돌 센서가 제공된다. 온도 센서를 통하여 차량의 내,외부의 온도가 감지되므로, 구속 시스템이 차량의 탑승자가 입고 있는 옷에 관하여 높은 확률로 추단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낮은 온도에서는 차량 탑승자가 두꺼운 옷을 입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큰 인장 경로가 유리하게 된다.
벨트 인장기의 작동은, 구속 상태에서 상기 인자들에 종속되어 제어 유닛(21)에서 시작되며, 그리하여 예컨대 덜 심각한 사고에 있어서는 단지 하나의 단 즉, 단지 하나의 추진 장약만이 점화된다.
또한, 리트랙터 인장기(7) 및 버클 인장기(17)는 동시에 작동되지 않고 시기적으로 엇갈리게 작동되며, 이것은 차량 탑승자(1)가 벨트의 인장에 기인하는 과도하게 높은 하중에 노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리트랙터 인장기(7)는 전향 장치(9)와 삽입 텅(11) 사이에 뻗어 있는 어깨 부분의 벨트 요소(25)를 인장하도록 제공되며, 반면에 버클 인장기(17)는 어깨 부분의 벨트 요소(25)와, 말단 장착부(4) 및 삽입 텅(11) 사이에 뻗어 있는 골반 부분의 벨트 요소(27)에 같은 정도로 작용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므로, 동일 부분을 동일 참조 부호로 도시하고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는 이후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에서는 버클 인장기를 제공하는 대신에 말단 장착 인장기(31)가 설치되는데, 이 말단 장착 인장기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기 튜브의 원뿔형으로 테이퍼진 내측부로서 하중 제한기(33)가 합체되어 있다. 리트랙터 인장기(5)도 마찬가지로 합체된 하중 제한기(35)를 구비한다. 상기 하중 제한기(33, 35) 때문에, 구속 상태의 차량 탑승자(1)에게 가해지는 하중이 제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리트랙터 인장기(5)는 주로 어깨 부분의 벨트 요소(25)의 인장을 위하여 제공되는 반면에, 말단 장착 인장기(31)는 주로 골반 부분의 벨트 요소(27)의 인장을 위하여 제공된다.
특히, 골반 부분의 벨트 요소(27)가 차량 탑승자의 몸에 충분히 근접하게 조여지지 않는다면, 차량이 사선 방향으로 충돌(scewed impact)하는 동안 구속 상태의 탑승자의 골반부의 비틀림이 초래될 수도 있다. 이것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개의 벨트 인장기를 구비한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다.
좌석 위치 또는 좌석 및 차량의 구조가 탑승자가 골반 부분의 벨트 요소(27) 아래로 미끄러지게 즉, 쉽게 내려앉게 되어있다면, 이 때에는 버클 인장기(17) 또는 말단 장착 인장기(31)가 먼저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돌의 순간에 차량 탑승자가 상체가 굽혀지면, 먼저 리트랙터 인장기(5)가 작동하여 탑승자(1)의 상체 부분이 어깨 부분의 벨트 요소(25)에 의하여 가능한한 안정되고 그 다음에 밀착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은 탑승자가 골반 부분의 벨트 요소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 뿐만아니라 탑승자의 하체가 비틀리는 것도 방지하여 양호한 구속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9)

  1. 벨트 웨브(3)와, 벨트 리트랙터(5)와, 벨트 버클(13)과, 삽입 텅(11)과, 하나는 리트랙터 인장기(7)이고 다른 하나는 버클 인장기(17)인 두 개의 벨트 인장기와, 벨트 인장기(7, 17)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유닛(21)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유닛(21)은 구속 상태의 상기 벨트 인장기(7, 17)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
  2. 벨트 웨브(3)와, 벨트 리트랙터(5)와, 벨트 버클(13)과, 삽입 텅(11)과, 하나는 리트랙터 인장기(7)이고 다른 하나는 말단 장착 인장기(31)인 두 개의 벨트 인장기와, 벨트 인장기(7, 31)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유닛(21)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유닛(21)은 구속 상태의 상기 벨트 인장기(7, 31)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벨트 인장기(7, 31)중 적어도 하나는 하중 제한기(33, 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21)은 구속 상태의 상기 벨트 인장기(7, 17, 31)를 시기적으로 엇갈리게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인장기(7, 31) 중 적어도 하나는 다단 점화식 가스 인장기로서 구성되어 있고, 인장기의 단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21)은 상기 차량 탑승자(1)의 체격을 감지하는 센서(23)에 연결되어 있으며 감지된 값에 종속하여 상기 벨트 인장기(7, 17, 31)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21)은 상기 차량 탑승자(1)의 좌석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23)에 연결되어 있으며 감지된 값에 종속하여 상기 벨트 인장기(7, 17, 31)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21)은 차량에 민감한 센서(23)에 연결되고 감지된 값에 종속하여 상기 벨트 인장기(7, 17, 31)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21)은 차량 내,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23)에 연결되어 있으며 감지된 값에 종속하여 상기 벨트 인장기(7, 17, 31)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
KR1019980003029A 1997-02-07 1998-02-04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 KR199800710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702125U DE29702125U1 (de) 1997-02-07 1997-02-07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DE29702125.7 1997-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058A true KR19980071058A (ko) 1998-10-26

Family

ID=8035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029A KR19980071058A (ko) 1997-02-07 1998-02-04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79330B1 (ko)
EP (1) EP0858935B2 (ko)
JP (1) JPH10217912A (ko)
KR (1) KR19980071058A (ko)
DE (2) DE29702125U1 (ko)
ES (1) ES2121720T5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1111B1 (en) 1994-02-04 2005-05-10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Signal processing in a vehicle classification system
KR20010031876A (ko) 1997-11-12 2001-04-16 웰스 러셀 씨 차량 좌석 착석 승객의 중량과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시스템
DE19816277C1 (de) * 1998-04-11 1999-11-25 Audi Ag Sicherheitsgurt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DE29821272U1 (de) * 1998-11-27 1999-03-25 Trw Repa Gmbh Gurtsystem zum Zurückhalten eines Fahrzeuginsassen
US6447010B1 (en) 1999-06-30 2002-09-10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Seat belt force sensor system
JP4667549B2 (ja) * 1999-09-10 2011-04-13 オートリブ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DE10066401B4 (de) * 1999-09-10 2008-03-20 Nsk Autoliv Co, Ltd. Sicherheitsgurtvorrichtung
GB2354492B (en) * 1999-09-27 2002-10-23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belt arrangement
JP2001151076A (ja) * 1999-11-29 2001-06-05 Takata Corp 乗員拘束保護システム
DE10001991A1 (de) * 2000-01-19 2001-07-26 Volkswagen Ag Sicherheitsgurtanordnung für einen Fahrzeuginsassen
US6677538B2 (en) 2000-02-25 2004-01-13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Signal processing in a vehicle weight classification system
EP1280683B8 (en) * 2000-05-12 2010-02-17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Seat belt force sensor system
US6793032B2 (en) 2000-09-29 2004-09-21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Seatbelt force sensor assembly with guide member
US6636792B2 (en) * 2000-09-29 2003-10-21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Weight classification system
US6662670B2 (en) 2000-10-02 2003-12-16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Seatbelt force sensor with overload protection
DE10105500B4 (de) * 2001-02-07 2004-02-05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Lakeland Vorrichtung zum Straffen eines in einem Fahrzeugfond angeordneten Dreipunktsicherheitsgurtes
DE10112853A1 (de) * 2001-03-16 2002-10-02 Breed Automotive Tech Dreipunktsicherheitsgurtsystem für einen Kraftfahrzeugvordersitz
JP2002308045A (ja) 2001-04-12 2002-10-23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2047A1 (de) * 2002-01-18 2003-07-24 Siemens Ag Sicherheitsgurt
JP2004090667A (ja) * 2002-08-29 2004-03-25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JP3815428B2 (ja) * 2002-12-05 2006-08-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FR2855126B1 (fr) * 2003-05-19 2006-06-2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retenue pour un passager d'un vehicule, et vehicule pourvu d'au moins un tel dispositif de retenue.
GB2402531B (en) * 2003-06-06 2006-02-08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arrangement
JP2007137259A (ja) * 2005-11-18 2007-06-07 Takata Corp タングプレートストッパー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07020920A1 (de) 2007-05-04 2008-11-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Gurtstraffungsvorrichtung und Sicherheitsanordnung mit einer solchen Gurtstraffungsvorrichtung
JP5100843B2 (ja) * 2007-10-20 2012-12-19 ベントレー モーターズ リミテッド 車両用シート
DE102009044951B4 (de) 2009-09-24 2019-10-1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r Ansteuerung eines reversiblen Gurtstraffers
DE102012004007A1 (de) 2012-02-25 2013-08-29 Daimler A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Sicherheitsgurtvorrichtung eines Fahrzeuges und Sicherheitsgurtvorrichtung
JP6636557B2 (ja) * 2018-03-29 2020-01-29 株式会社Subaru 車両の乗員保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496B2 (ja) * 1975-08-29 1984-03-23 カブシキガイシヤ ニツポンジドウシヤブヒンソウゴウケンキユウシヨ シ−トベルトシステム
JPS5249526A (en) * 1975-10-16 1977-04-20 Toyota Motor Corp Disposition of an apparatus for winding up seat belt
JPS5735503Y2 (ko) * 1978-07-10 1982-08-05
SE450758B (sv) * 1983-10-14 1987-07-27 Volvo Ab Sekerhetsbelte for motorfordon
DE3343325A1 (de) * 1983-11-30 1985-06-05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Personen-rueckhaltesystem
US4621835A (en) * 1985-06-05 1986-11-11 American Safety Equipment Corporation Two retractor passive restraint system
DE8525935U1 (ko) * 1985-09-11 1987-09-17 Autoflug Gmbh & Co Fahrzeugtechnik, 2084 Rellingen, De
JP3449500B2 (ja) * 1993-08-24 2003-09-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DE4332206C2 (de) * 1993-09-22 1997-08-14 Hs Tech & Design Antriebsvorrichtung
DE4422022A1 (de) * 1994-06-23 1996-01-04 Takata Europ Gmbh Sicherheitsgurtstraffer für Kraftfahrzeuge
US5547143A (en) * 1994-08-24 1996-08-20 Alliedsignal Inc. Seat belt retractor with integrated load limiter
US5615917A (en) * 1994-11-28 1997-04-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use in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5492368A (en) * 1995-02-23 1996-02-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Rollover seat system
US5566978A (en) * 1995-04-26 1996-10-2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seat belt system
GB2315985B (en) * 1996-08-13 2000-11-22 Alliedsignal Ltd Pretensioner
GB2320886B (en) * 1996-12-27 2001-04-11 Nhk Spring Co Ltd Seat belt pre-tensioner assembly
FR2758503B1 (fr) * 1997-01-23 1999-03-26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incluant un pretensionneur pour ceinture de securite
DE29717367U1 (de) * 1997-09-29 1998-02-12 Trw Repa Gmbh Pyrotechnischer Antrieb, insbesondere für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e
US6036274A (en) * 1997-11-13 2000-03-1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Drive pulley, compact buckle pretensioner
US5944350A (en) * 1997-11-14 1999-08-31 Takata Inc. Buckle pretens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58935B2 (de) 2005-06-08
ES2121720T3 (es) 2002-12-01
EP0858935A1 (de) 1998-08-19
EP0858935B1 (de) 2002-04-17
JPH10217912A (ja) 1998-08-18
ES2121720T1 (es) 1998-12-16
DE29702125U1 (de) 1997-06-05
US6179330B1 (en) 2001-01-30
DE59803808D1 (de) 2002-05-23
ES2121720T5 (es)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1058A (ko)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
US6959779B2 (en) Belt force sensor
US5333902A (en) Portable motor vehicle safety airbag
US5887897A (en) Apparatus for pretensioning a vehicular seat belt
US6301977B1 (en) Vehicle seat belt transducer for child's seat
US6705641B2 (en) Inflatable seat belt system
US6447011B1 (en) Safety belt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s
US6513616B2 (en) Occupant-restraining system
US6010151A (en) Inflatable seat belt control system
US20080001446A1 (e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EP1121275B1 (en) Seat belt pretensioner
JP3180713B2 (ja) 乗員頭部保護装置の制御システム
US6499763B1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US7222878B2 (e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6241280B1 (en) Motor vehicle passenger safety arrangement
US6128562A (en) Control unit actuating a triggering device for a seat belt pretensioner in a vehicle
KR100535883B1 (ko) 차량의 듀얼스테이지 시트벨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118513A3 (de) Sicherheitsgurtanordnung für einen Fahrzeuginsassen
KR100187861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
KR200141760Y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
KR100435338B1 (ko) 시트벨트용 버클 프리텐셔너
KR100534313B1 (ko) 차량의 2차 충돌 및 전복 사고에 대비한 시트벨트의포스트 텐셔너
KR0128075Y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20050061104A (ko)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제어 방법
KR19990001343A (ko) 차량충돌시 안전벨트 및 좌석등받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