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817A - 재봉틀후크 - Google Patents

재봉틀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817A
KR19980070817A KR1019980002194A KR19980002194A KR19980070817A KR 19980070817 A KR19980070817 A KR 19980070817A KR 1019980002194 A KR1019980002194 A KR 1019980002194A KR 19980002194 A KR19980002194 A KR 19980002194A KR 19980070817 A KR19980070817 A KR 19980070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inner loop
loop take
chamb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2670B1 (ko
Inventor
히로세토크죠
Original Assignee
히로세토크죠
히로세세이사끄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31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8242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773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824251B2/ja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토크죠, 히로세세이사끄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토크죠
Publication of KR19980070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측루프테이크(30)에 수납된 보빈(40)은, 보빈케이스(31)의 주벽(60)에 의해 탄발적으로 눌러져서 보지된다. 이 보빈(40)으로 회전하여 감기는 보빈실(62)은, 내측루프테이크(30)의 개구 끝단쪽으로 배치되는 보빈(40)의 플랜지(92b)의 가장 바깥 주부와 보빈케이스(31)의 주벽의 내주면과의 사이 및 상기 내측루프테이크(30)의 개구 끝단쪽으로 배치되는 보빈(40)의 플랜지(97b)와 보빈케이스(31)의 끝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122)을 통과해서, 보빈케이스(31)의 끝벽(61)에 형성되는 보빈실취출공(70)으로부터 외부로 도입된다. 재봉동작의 개시에 의해 상기 보빈실(62)이 인출되면, 상기 보빈(40)은 내측루프테이크(30)내에서 보빈케이스(31)의 주벽(60)에 의해서 탄발적으로 눌러져서 보지되기 때문에, 보빈실(62)의 장력에 의해 보빈(40)이 내측루프테이크(30)에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실마무리의 뭉침이 발생하지 않으며, 재봉질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재봉틀후크
본 발명은 수직전회전후크의 내측루프테이크 내로 보빈실이 회전해서 감기는 보빈을 보지하기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형적인 종래 기술의 수직전회전후크(22)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보빈케이스(1)에 의해서 보빈(2)이 내측루프테이크(3) 내로 보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의 수평단면도이다. 수평인 회전축선 L1 둘레로 회전구동되는 외측루프테이크(4)에는, 내측루프테이크(3)가 회전해서 멈춘 상태로 수납되며, 내측루프테이크(3)에는 보빈케이스(1)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보빈케이스(1)에는 보빈실(5)이 회전해서 감기는 보빈(2)이 수납된다.
보빈케이스(1)는 도 1의 윗쪽으로 개구한 대략 C자 형태의 주벽(6)과, 주벽(6)의 축선방향의 일끝단부를 막는 끝벽(7)과, 끝벽(7)에서 일 지름선을 따라서 결합결되는 A1 및 그 결합방향과 역방향인 해제방향 A2로 자유롭게 접동되게 장착되는 래치(8)와, 래치(8)를 상기 일 지름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편(9)을 갖는다. 래치(8)는, 도시하지않은 스프링에 의해, 결합방향 A1으로 스프링력이 전달되어 있다. 이 보빈케이스(1)의 주벽(6)에는, 보빈실용스피링(l0)이 설치되며, 보빈케이스(1)로 수납된 보빈(2)의 보빈실(5)은, 실선 5a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주벽(6)과 보빈실용스프링(10)과의 사이를 통해서 인출되며, 보빈실(5)로 장력을 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보빈케이스(1)로 수납되는 보빈(2)은, 한 쌍의 플랜지(lla, llb)와, 각 플랜지(1la, 1lb)를 연결하는 직원통상의 권통(1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내측루프테이크(3)는, 주벽(13)과, 주벽(13)의 축선방향 일 끝단부에서 일 지름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닥부(l4)와, 바닥부(14)에 개구 끝단쪽을 향해서 수직하게 배치된 간주(stud)(15)를 갖는다. 간주(15)의 유단부에는, 환상의 결합요부(16)가 형성된다.
보빈케이스(1)의 끝벽(7)에는 또, 주벽(6)의 개구 끝단쪽을 향해서, 그 주벽(6)의 축선을 따라서 직원통상의 원통부(17)가 형성되며, 이 원통부(l7)에는, 보빈케이스(1)가 내측루프테이크(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간주(15)가 삽입하고, 끝벽(7)에 형성되는 중앙구멍(18)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래치(8)에 형성되는 제 1투공(19)을 삽입통과시켜, 조작편(9)에 형성되는 제 2투공(20)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어있다.
이와 같이 보빈케이스(1)를 내측루프테이크(3)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래치(8)의 제 1투공(19)에 면하는 주선부(21)가 간주(15)의 결합요부(16)에 결합하며, 이렇게 해서 내측루프테이크(3)와 보빈케이스(1)가 결합되어, 보빈케이스(1)가 내측루프테이크(3)로 빠져서 멈추게된다. 이 보빈케이스(l)로 수납되는 보빈(2)은, 보빈케이스(1)의 원통부(17)가 보빈(2)의 권통(12)으로 삽입통과된 상태로서, 보빈케이스(1)에 수납되어 있으며, 이 보빈(2)의 보빈실(5)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빈실용용수철(10)과 주벽(6)과의 사이를 통해서 실선 5a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외부를 향해 인출되며, 소정의 장력으로 재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빈(2)이 보빈케이스(1)에 의해서 내측루프테이크(3) 내에 보지된 상태이며, 내측루프테이크(3)의 간주(15)는 보빈케이스(l)의 원통부(17)내로 삽입하며, 원통부(17)는 보빈(2)의 권통(12)내로 삽입하여, 상기 보빈(2)이 원통부(17)의 축선에 거의 동축을 이루는 회전축 둘레로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보빈(2)의 내측루프테이크(3)의 바닥부(14)측(도 2의 좌측)으로 배치되는 일방의 플랜지(1la)와 상기 바닥부(14)와의 사이에, 또는 보빈(2)의 내측루프테이크(3)의 개구끝단(21)측(도 2의 우측쪽)으로 배치되는 타방의 플랜지(1lb)와 보빈케이스(l)의 끝벽(7)과의 사이에 보빈(2)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는 작은 0.2∼0.5mm 정도의 빈틈 T가 형성되기 때문에, 재봉시에 보빈케이스(1)로부터 인출된 보빈실(5)의 장력에 의해, 상기 보빈(2)은 회전하면서 축선방향으로 빈틈 T의 범위에서 이동되어 버린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서 보빈실(5)의 장력에 격차가 생기며, 그 결과, 실마무리가 균일하지 않으며, 재봉의 질이 저하하여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의 후크(22)에 있어서, 보빈(2)의 권통(12)으로 회전하여 감기는 보빈실량을 증가하기 위해서는, 보빈(2)의 권통구의 길이(H)를, 내측루프테이크(3)의 개구끝단쪽 또는 바닥부(14)쪽으로 크게 하는 것, 및 권통(12)의 지름(D)를 작게 하는 구성의 변경이 고려된다. 그렇지만 보빈(2)을, 내측루프테이크(3)의 개구끝단쪽으로 늘리어, 보빈(2)의 권통(12)의 길이(H)를 크게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바늘(23)의 이동경로에 있어서, 바늘끝이 플랜지(116b) 또는 권통(12)으로 회전하여 감기는 보빈실(2)에 충돌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내측루프테이크(3)의 바닥부(l4)를 외측루프테이크(4)쪽으로 늘리어, 보빈(2)의 권통(12)의 길이(H)를 내측루프테이크(3)의 바닥부(14)쪽으로 늘리는 구성의 경우에는, 내측루프테이크(3)의 축선방향의 길이가 켜져버린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바늘실이 내측루프테이크(3)의 바닥부(14)에 걸려버려서, 실넘김이 불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권통(l2)의 지름(D)를 작게 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권통(l2) 내로 보빈케이스(1)의 원통부(17) 및 내측루프테이크(3)의 간주(15)가 삽입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권통(12)의 지름(D)는 제한되고, 권통(2)의 지름(D)를 작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빈실의 장력을 안정시켜서 실마무리의 뭉침을 방지하고, 재봉질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재봉틀 후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빈실의 장력을 안정시켜서 실마무리의 뭉침을 방지하고, 재봉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보빈실량을 증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수직선회전후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전형적인 종래 기술의 수직전회전후크(2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수직전회전후크(22)의 보빈(2)의 보지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의 확대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직전회전후크(32)의 일부를 표시하는 아래쪽에서 본 수평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수직전회전후크(32)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내측루프테이크(30)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보빈케이스(31)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보빈케이스(3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수직전회전후크(32a)의 일부를 아래쪽에서 본 평단면도이며,
도 9는 판스프링(130)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원추코일스프링(135)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수직전회전후크(232)의 연직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절단면선 ⅩⅡ∼ⅩⅡ 로부터 본 일부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내측루프테이크(230)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보빈케이스(231)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보빈케이스(23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수직전회전후크(32a)의 연직단면도이다.
청구항 1기재의 본 발명은, 내측루프테이크의 바닥부쪽에 배치되는 보빈의 플랜지를, 그 내측루프테이크로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시키는 보빈케이스의 주벽에 의해서 탄발적으로 눌러서, 보빈을 내측루프테이크 내에 보지하여,
내측루프테이크의 개구끝단쪽으로 배치되는 보빈의 플랜지의 가장 바깥 주부와 보빈케이스의 주벽의 내주면과의 사이 및 상기 내측루프테이크의 개구끝단측에 배치되는 보빈의 플랜지와 보빈케이스의 끝벽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보빈으로 회전하여 감기는 보빈실이 통과하는 틈이 형성되며,
보빈케이스의 끝벽에는, 상기 틈으로 연결하는 보빈실취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후크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루프테이크 내로 수납된 보빈은, 보빈케이스의 주벽에 의해서 탄발적으로 눌려져서 보지된다. 이 보빈으로 회전하여 감기는 보빈실은, 내측루프테이크의 개구단측으로 배치되는 보빈의 플랜지의 가장 바깥 주부와 보빈케이스의 주벽의 내주면과의 사이 및 상기 내측루프테이크의 개구끝단쪽으로 배치되는 보빈의 플랜지와 보빈케이스의 끝벽의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과하여, 보빈케이스의 끝벽에 형성되는 보빈실취출공으로부터 외부로 인도된다. 재봉동작의 개시에 의해서 상기 보빈실이 인출되면, 상기 보빈은 내측루프테이크 내에서 보빈케이스의 주벽에 의해서 탄발적으로 눌려서 보지되기 때문에, 보빈실의 장력에 의해서 보빈이 내측루프테이크 내에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보빈실의 장력에 격차가 생기는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가 방지되며, 실마무리의 뭉침이 생기지 않고, 재봉질을 향상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과 보빈케이스와의 사이에는, 보빈실이 통과할 수 있는 틈이 형성되기 때문에, 보빈실취출공으로부터 상기 개구끝단쪽의 플랜지의 외주부에 걸쳐서 늘려서 걸쳐놓은 상태로서, 상기 플랜지의 외주부를 원활하게 회전하여 감기는 정도로 자른다. 이와 같이 보빈의 보빈실의 인출에 의한 회전이 저지되기 때문에, 이 보빈의 관성에 의한 회전에 의하여 재봉동작이 정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빈케이스내에서 보빈실이 느슨해지며, 보빈실이 얽히지 않고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빈은 내측루프테이크 내로 보빈케이스의 주벽에 의해서 탄발적으로 눌러지기 때문에, 보빈실이 인장되는 등으로 해서 큰 장력을 만든 경우에, 내측루프테이크 내의 보빈은 내측루프테이크의 개구끝단쪽으로 상기 탄발적인 압력에 저항해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에 의해서 보빈실의 절단을 방지하고, 보빈실을 소정의 경로로 통과시키기 위해서 재봉작업을 중단해야 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방지된다.
청구항 2기재의 본 발명은, 내측루프테이크의 바닥부에는, 내측루프테이크 내의 보빈을 내측루프테이크의 개구끝단쪽을 향해서 탄발적으로 누르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루프테이크로 스프링이 설치되기 때문에, 내측루프테이크로 수납된 보빈을 내측루프테이크의 개구끝단쪽을 향해서 탄발적으로 눌러진 상태로서 보빈케이스의 주벽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서 내측루프테이크 내의 보빈을 보빈케이스의 주벽에 의해서 큰 탄발력으로 누를 필요가 없게되며, 이 탄발력에 힘을 부가하기 위한 스프링력을 크게해서, 보빈케이스와 내측루프테이크와의 결합부의 구성을 보빈케이스의 주벽에서 보빈이 알맞은 탄발적인 압력이 얻어지도록 조정할 필요가 없어지며, 제조상의 노력이 삭감된다.
청구항 l기재의 본 발명에서, 내측루프테이크의 축선은, 바늘에 가장 근접하는 보빈의 유단부가, 바늘의 이동경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측루프테이크의 회전축선에 대해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루프테이크의 축선은, 보빈의 유선부가 바늘의 이동경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측루프테이크의 회전축선에 대해서 경사지고 있기 때문에, 내측루프테이크로 보지되는 보빈의 권통을, 내측루프테이크의 개구끝단쪽으로 배치되는 플랜지, 또는 권통으로 회전하여 감기는 보빈실에 바늘끝이 충돌하는 일이 없으며, 내측루프테이크의 개구끝단쪽으로 신장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보빈의 권통으로 회전하여 감기는 보빈실량을 증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선행기술과 같이, 보빈은 내측루프테이크의 간주로 지지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보빈의 권통에는 보빈케이스의 원통부 및 내측루프테이크의 간주가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권통의 지름을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에 의해 보빈실량을 더욱 증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과 그 외의 목적, 특색,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한층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내측루프테이크(30) 및 보빈케이스(31)을 구비한 수직전회전후크(32)를 아래쪽에서부터 본 일부의 단면도이며, 도 4는 수직전회전후크(3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수평인 회전축선 Ll0 둘레로 회전구동되는 외측루프테이크(34)에는, 그 내주부(34a)의 둘레쪽으로 이어지는 트랙요홈(35)이 형성되며, 이 트랙요홈(35)에 내측루프테이크(30)의 외주부(37)에 형성된 트랙돌출부(36)가 결합된 상태로서, 내측루프테이크(30)가 외측루프테이크(34)에 대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수납되어 있다. 외측루프테이크(34)는, 예를 들면, 스틸 또는 스테인레스스틸 제재이다. 내측루프테이크(30)는, 회전하여 정지하는 요부(38)로 회전하여 정지하는 부재(39)가 결합되어 회전하여 정지한다. 이러한 내측루프테이크(30)에는, 보빈케이스(3l)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보빈케이스(31)에는 보빈실(62)이 회전하여 감긴 보빈(40)이 수납된다.
내측루프테이크(30)에는, 그 내주면(42)으로부터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움푹 팬 합체요부(43)가 형성되며, 보빈케이스(31)에는, 그 외주면(44)으로부터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탄발적으로 돌출하는 합체돌기(45)가 마련된다. 이 합체돌기(45)에는, 보빈케이스(31)가 내측루프테이크(30)로 장착된 상태이며, 합체요부(43)에 면하는 내측루프테이크 개구끝단쪽의 플랜지의 합체부분(46)에 탄발적으로 맞게 접하고, 보빈케이스(3l)의 개구부 근처(도 3의 좌측방향)를 따라서,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주벽(6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걸치셔 돌출하는 합체면(4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합체돌기(45)에는, 합체면(47)의 가장 바깥 둘레부분, 즉 가장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부분(48)으로부터 보빈케이스(31)의 개구부 근처를 따라서 보빈케이스의 반지름 방향 안쪽을 향해서, 적어도 합체부분(46)의 안쪽방향의 끝단(49)보다도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이어져서 삽입안내면(50)이 형성된다.
도 5는, 내측루프테이크(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더불어 참조한며, 내측루프테이크(30)는, 주벽(52)과, 이 주벽(52)의 축선방향 일끝단부를 막는 바닥부인 바닥벽(53)을 갖는다. 이 내측루프테이크(30)는, 예를 들면 스틸,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합성수지제이다. 주벽(52)에, 축선방향 중간부에서 외주면(37)으로부터 돌출하여,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트랙돌출부(36)가 형성된다. 또한 주벽(52)의 둘레 방향 1개소에는, 개구끝단부 근처에서,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바늘배치구멍(54)이 형성되며, 도시하지 않은 바늘의 왕복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더욱이, 주벽(52)에는 이 바늘배치구멍(54)과 둘레방향이 동일한 위치에서, 축선방향에서 바닥벽(53)쪽으로 인접하여, 내주면(42)으로부터 돌출하는 위치결정돌기(55)가 형성됨과 동시에, 바늘배치구멍(54)의 개구끝단쪽에 인접하여, 개구끝단쪽으로 개구한 회전해서 멈추는 요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합체요부(43)는, 주벽(52)에, 바늘배치구멍(54)과 둘레방향에서 개구끝단측으로부터 보아서 시계방향으로 약90도 벗어난 위치에서, 개구끝단부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합체요부(43)는, 주벽(52)에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투공을 형성함으로써 실현되어 있다.
도 6은, 보빈케이스(3l)의 사시도이다. 상기 수직전회전후크(32)의 내측루프테이크(30)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보빈케이스(31)는, 둘레방향으로 분단된 약 C자 형의 주벽(60)과, 이 주벽(60)의 축선방향 일 끝단부를 막는 끝벽(61)을 갖는다. 이러한 보빈케이스(31)는, 스틸 또는 스테인레스스틸제이다. 상기 주벽(60)에는, 보빈실(62)이 끼워지는 보빈실결합요부(64)가 주벽(60)의 두께방향으로 삽입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주벽(60)의 외주면(44)에 탄발적으로 맞게 접하여 상기 보빈실결합요부(64)을 막는 보빈실용스프링(65)이 마련된다. 이 보빈실용스프링(65)의 초기끝단부(66)는, 고정볼트(67)에 의해서 주벽(60)에 고정됨과 동시에, 조정볼트(68)에 의하여 유단부(69)쪽의 주벽(60)으로의 누름압을 조정할 수가 있도록 구성된다.
끝벽(61)에는, 보빈실(62)이 삽입 통과하는 보빈실취출공(70)이 주벽(60) 및 끝벽(61)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중앙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보빈실취출공(70)으로부터 보빈케이스(31)의 외부쪽으로 인출된 보빈실(62)은, 상기 주벽(60)에 형성되는 보빈실안내구(7l)로 끼워지며, 보빈실결합요부(64)로 인도된다. 이러한 보빈실안내구(7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보빈실(62)에 작용하는 장력 또는 느슨해짐등에 의해, 보빈실(62)이 보빈실용스프링(65)과 주벽(60)의 외주면(44)과의 사이로부터 빠져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끝벽(61)에는 또, 상기 보빈실취출공(70)으로 연통하는 제 1투공(75)이 형성되는 래치(76)가, 그 긴 방향의 일끝단부를 상기 보빈실안내구(71)로, 보빈케이스(31)의 일 지름선 상에서 근접/멀어지는 방향 Bl, B2로,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마련되고, 래치(76)에는 이 래치에 겹친상태로 상기 제 1투공(75)으로 연통하는 제 2투공(77)이 형성되는 조작편(78)이 상기 래치(76)의 긴 방향의 일끝단부 근처를 각도를 중심으로 이동하는 화살표 C1, C2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연결된다. 상기 주벽(60)과 끝벽(61)에 의해, 대략적으로 바닥을 가지는 직원통상의 보빈케이스본체(79)가 형성되며, 이 보빈케이스본체(79), 상기 보빈용스프링(65), 래치(76), 조작편(78)을 포함하여 보빈케이스(31)를 구성한다.
도 7은, 보빈케이스(31)의 분해사시도이다. 보빈실용스프링(65)의 유단부(81)에는, 이 보빈실용스프링(65)을 주벽(60)에 설치한 것으로, 외측루프테이크 회전방향(A) 상류쪽을 따라서 외주면(4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도 θ1을 이루어서 경사지는 보빈실삽입부분(82)이 형성됨과 동시에, 끝벽(61)측에는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거의 직각으로 굴곡한 보빈실을 빼내어서 정지시키는 보빈실발지부분(83)이 형성된다. 이 보빈실발지부분(83)의 초기끝단부(66)쪽에는, 보빈실용스프링(65)을 주벽(60)에 설치한 상태로, 반지름 방향 내쪽 근처를 따라서 초기끝단부(66)로부터 유단부(81)쪽으로 각도 θ2를 이루어서 경사지어서 보빈실안내면(84)이 형성된다. 상기 각도 θ1은, 그 선단부분에서 0.2∼0.5mm 정도의 지름을 갖는 보빈실(62)을 삽입할 수 있는 각도, 예를 들면 3∼10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실안내면(84)의 각도 θ2는, 5∼30도에서 선택된다.
주벽(60)에는 또한, 상기 보빈실발지부분(83)이 결합하는 요홈부(85)가 둘레방향으로 연장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보빈실용스프링(65)의 유단부(81)에는, 보빈실안내면(84)을 갖는 보빈실발지부분(83)이 형성되기 때문에, 보빈실(62)을 보빈실안내구(71)로부터 모서리부(86)에 걸린 상태로, 유단부(81)쪽으로 인도하며, 외주면(44)과 보빈실삽입부분(82)과의 사이에 개재시키며, 더욱이 보빈실(62)을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초기끝단부(66)측으로 인장한 때, 보빈실(62)을 도 6의 화살표 D로 표시되듯이, 보빈실안내면(84)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실이 보빈실발지부분(83)을 용이하게 넘도록 하여, 보빈실발지부분(83) 보다도 보빈실삽입부분(82)측으로 삽입 통과시킬 수 있으며, 그 후, 상술한 바와 같이 보빈실삽입부분(82)과 주벽(60)의 외주면(44)과의 사이를 통해서, 유단부(81)와 초기끝단부(66)와의 사이에서 맞게 접하는 부분(87)과, 주벽(60)의 외주면(44)과의 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다.
상기 보빈실(62)은, 보빈실안내구(71) 및 보빈실결합요부(64)내로 결합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보빈실용스프링(65)에 의해서 덮어진 상태로 배치하며, 다시 보빈실(62)을 보빈실용스프링(65)의 유단부(81)쪽으로 당겨서 되돌리는 것에 의해, 보빈실(62)을 보빈실결합요부(64)로부터 보빈실용스프링(65)의 유단부(81)에 걸쳐서 주벽(60)의 외주면(44) 상에 배치하여, 보빈실용스프링(65)에 의해서 탄발적으로 누를 수 있다. 이 때 보빈실(62)은, 보빈실안내구(71) 및 보빈실결합요부(64)내로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주벽(60)의 외주면(44)상에서 보빈실(62)이 맞게 접하는 부분(87)에 의하여 눌리지 않고, 따라서 보빈실(62)의 장력이 재봉중에 바람직하기 않게 변화지 않으며, 질이 좋은 바늘질목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보빈케이스본체(79)에는, 종래의 도 1에 표시되는 보빈케이스(1) 같은 원통부(17)(도 2참조)는 형성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합체돌기(45)를 갖는 래치(76)에는, 제 1투공(75)이 형성된다. 이 래치(76)의 상기 조작편(78)에 대향하는 외표면(89)에는, 제 1투공(75) 및 보빈실안내구(71) 사이에 일직선 상으로 연장되는 제 2의 보빈실안내구(90)가 형성된다. 이 제 2의 보빈실안내구(90)에 의해서, 래치(76)와 조작편(78)이 거의 평행으로 겹쳐서 배치되며, 래치(76)와 조작편(78)과의 사이에 보빈실(62)이 끼워져 버리는 것이 방지되며,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는 장력이든지 느슨해짐이 발생하지 않으며, 원활히 보빈실(62)을 주벽(60)의 보빈실안내구(71)로 인도할 수 있다.
조작편(78)에는, 제 2투공(77)이 형성된다. 이 조작편(78)에는, 제 2투공(77) 및 조작편(78)의 외측면(91) 사이에 걸쳐서 연통하는 보빈실삽입공(92)이 형성된다. 상기 보빈실삽입공(92)은, 본 실시예에서는 긴 방향에 대해서 각도 θ3를 이루어서 상기 제 2의 보빈실안내구(90)에 평행하고, 외면(93)으로부터 상기 래치(76)에 대향하는 내면(94) 근처를 따라서 겹치상태인 래치(76)의 제 2의 보빈실안내구(9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각도 θ4(도 4참조)를 이루어서 경사져있다. 상기 각도 θ3는 예를들면 30∼60도에서 선택되며, 상기 각도 θ4는 예를들면 45∼60도에서 선택된다. 이것에 의해서 보빈케이스(31)내에서 상기 보빈실취출공(70), 제 1투공(75) 및 제 2투공(77)을 매재해서 외부로 인출된 보빈실(62)을, 보빈실삽입공(92)으로 결합해서 눌러넣는 것에 의해 제 2의 보빈실안내구(90)로 용이하게 이끌수 있다. 따라서 조작편(78)을 래치(7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C1(도 6참조)으로 각을 이동시킨 상태로, 조작편(78)과 래치(76)와의 사이에 보빈실(62)을 삽입 통과하여 제 2의 보빈실안내구(90)로 결합시킬 필요가 없으며, 보빈실(62)의 제 2의 보빈실안내구(90)로의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해서, 보빈케이스(31)내에는, 보빈(40)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빈(40)은, 한 쌍의 플랜지(97a, 97b)와, 각 플랜지(97a, 97b)를 연결하는 원통상의 권통(98)을 갖는다. 보빈(40)은, 합성수지 또는 섬유강화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보빈(40)의 다른 재료로서, 예를 들면 스틸, 스테인레스스틸제, 또는 알루미늄제이어도 좋다. 이 보빈(40)에는, 각 플랜지(97a, 97b) 사이에서, 권통(98)으로부터 각 플랜지(97a, 97b)의 가장 바깥 주부 부근까지 보빈실(62)을 회전하여 감을 수 있다.
또한 보빈케이스(3l)의 보빈케이스본체(79)에는, 주벽(60)의 분단된 분단부(99)로부터 보빈케이스(31)를 끝벽(61)쪽에서 봐서 시계방향으로 약 90도 벗어난 위치에, 주벽(60)으로부터 끝벽(6l)에 걸쳐서, 주벽(60) 및 끝벽(61)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절결(10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끝벽(61)에는, 주벽(60)의 분단부(99)로부터, 둘레방향 양측으로 약 90도씩 각각 벗어난 위치, 즉 절결(100)이 형성되는 위치와 그 반대측을 연결하도록, 일 지름선 방향으로 이어지는 안내구(101)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구(l01)는, 그 긴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 양측부(102a, 102b)가, 돌출부(103a, l03b)에 의해서 보빈케이스(31)의 개구부와는 반대쪽으로부터 덮어지고 있다. 또한 끝벽(61)에는, 안내구(101)의 절결(l00)과는 반대쪽의 긴 방향 일끝단부 부근에서, 안내구(100)와 주벽(60)내의 공간을 연통하도록, 끝벽(6l)을 관통하는 계지공(104)이 형성되어, 이 계지공(l04)은, 안내구(101)의 긴방향 일 끝단부 근처의 폭이 좁은 부분인 폭협부(104a)와 안내구(10l)의 긴방향 타단부 근처의 폭이 넓은 부분인 폭광부(l04b)를 갖고 있다.
래치(66)는 판상이고, 긴방향 일 끝단부(105)로 합체돌기(45)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이 합체돌기(45)는, 두께방향 일방향 쪽으로 만곡하고 있다. 이 합체돌기(45)의 합체면(47) 및 삽입안내면(50)을 포함하는 외주면은,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래치(66)는, 합체돌기(45)가 보빈케이스(31)의 개구부쪽으로 만곡하도록한 상태로, 안내구(106)에 결합되어있다. 이 상태로, 래치(76)의 긴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 양측부(106a, 106b)는, 돌출부(103a, 103b)에 의해서, 결합하여 정지하며, 래치(76)는, 보빈케이스(31)의 축선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 상태로, 안내구(101)를 따라서, 합체돌기(45)가 반지름 방향 외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방향 B1 및 그 반대로 합체돌기가 반지름 방향 내쪽으로 들어가는 퇴피방향 B2로 자유로이 이동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래치(76)는, 긴방향 일 끝단부(105) 근처 폭방향 일측부(106a)에는, 폭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스프링수용부(10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끝벽(61)에는, 안내구(101)의 긴방향 타단부 근처에, 폭방향 일측부(102a)를 따라서, 스프링수납요소(108)가 형성되어, 압축코일스프링(109)이 수납되어 있다. 래치(76)는, 안내구(101)에 끼운 상태로, 압축코일스프링(109)에 의한 돌출방향 B1으로의 스프링을 수용해서, 합체돌기(45)를 주벽(60)의 외주면(44)으로부터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탄발적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한 래치(76)에는, 긴방향 타단부(110) 부근에,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계지편이 삽입통과하는 계지편삽통공(ll1)이 형성된다. 이 계지편삽통(111)은, 래치(76)의 긴방향 일 끝단부(105) 근처의 폭광부(11la)와 래치(76)의 긴방향 타단부(110) 근처의 폭협부(11lb)를 갖고 있다.
조작편(78)은, 긴방향 일 끝단부(112)에 계지편(113)를 가지며, 이 계지편(113)은, 두께방향 일방측으로 만곡하여, 폭이 좁은 연출부(113a)와, 그 선단의 폭이 넓은 계지부(113b)를 갖는다. 이 계지편(113)의 연출부(113a)의 폭은, 래치(76)의 계지편삽통공(ll1)의 폭협부(1llb)의 폭보다도 작게 선택됨과 동시에, 계지편(113)의 계지부(113b)의 폭은, 래치(76)의 계지편삽통공(lll)의 폭협부(11lb)의 폭보다도 크고, 또한 폭광부(113a)의 폭보다도 작게 선택되고 있다. 또한 계지편(113)의 연지부(113a)의 폭은, 끝벽(61)의 계지공(l04)의 폭협부(104a)의 폭보다도 작게 선택됨과 동시에, 계지편(113)의 계지부(113b)의 폭은, 끝벽(61)의 계지공(l04)의 폭협부(104a)의 폭보다도 크고, 또한 폭광부(l04b)의 폭보다도 작게 선택되고 있다.
이러한 계지편(113)은, 그 긴방향 일 끝단부(112)의 계지부(113b)가, 래치(76)의 계지편삽통공(111)을 삽입통과하고, 끝벽(61)의 계지공(l04)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계지편(113)을 삽입통과한 상태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계지편(l13)은, 계지부(113b)가 계지공(104)의 폭광부(104b)에 결합하며, 연출부(113a)는 계지편삽통공(l11)의 폭협부(11lb)를 삽입통과한 상태로 되어있다. 이것에 의해서, 래치(76)는, 계지부(1l3b)가 계지공(l04)의 주선부(114)로 결합되어 멈춘 상태인 조작편(78)의 게지편(113)의 계출부(113a)와 맞게 접하여, 압축코일스프링(109)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돌출방향 B1으로의 이동이 방지됨과 동시에, 조작편(78)은, 계지편(113)의 계지부(113b)가 래치(76)의 계지편삽통공(111)의 폭협부(11lb)의 양측 주선부에 맞게 접하여,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호 발지되어서, 조작편(78)은, 래치(76)에 겹친 상태로, 계지편(113)의 계지부(113b)의 긴 방향 일끝단부(112)측의 끝단부를 모서리 중심으로 이동하여, 긴방향 타단부(ll5)가 래치(76)로부터 멀어져서 발생하는 방향 C1 및 그 역으로 긴방향 타단부(115)가 래치(76)에 근접하는 엎드리는 방향 C2로 자유로이 모서리 이동하게, 래치(76)로 연결된다.
보빈케이스(31)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은 상태로서는, 래치(76)가 돌출방향 B1으로 스프링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래치(76)는, 조작편(78)의 계지편(113)의 연출부(113a)를 누른 상태로, 합체돌기(45)를 주벽(60)의 외주면(44)에서 탄발적으로 돌출하며, 이 때 조작편(78)은, 래치(76)를 따라서 엎드린 상태로 있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편(78)을 일으키는 방향 C1으로 모서리 이동을 조작하면, 조작편(78)은 계지편(113)의 계지부(113b)의 긴방향 일 끝단부(112)쪽의 끝부를 모서리중심으로 이동하여, 일으키는 방향 C1으로 모서리 이동하기 때문에, 계지편(1l3)의 연출부(113a)가 퇴피방향 B2와 동일방향으로 이동하며, 이것에 의해서 래치(76)를 퇴피방향 B2로 이동시킬수있다. 이 때, 주벽(60)으로부터 끝벽(61)에 걸쳐서 절결(100)이 형성되어 있고, 합체돌기(45)가 들어가는 것을 허용할 수가 있다. 또한, 계지편(113)은, 그 연출부(113a)가, 계지공(l04)의 폭협부(104a)에 의해서 모서리 이동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루프테이크(30)에, 내주면(42)으로부터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움푹 팬 합체요부(43)가 형성되어, 보빈케이스(31)에, 외주면(44)으로부터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탄발적으로 돌출하는 합체돌기(45)가 마련되고, 이 합체돌기(45)는, 보빈케이스(31)가 내측루프테이크(30)에 장착된 상태로, 합체요부(43)에 결합된다. 이 합체돌기(45)에는, 계합면(47)이 형성되어 있고, 계합면(47)은, 보빈케이스(31)가 내측루프테이크(30)에 장착된 상태로, 합체요부(43)의 개구 주선부의 내측루프테이크 개구 끝단측의 계합부분(46)으로 탄발적으로 맞게 접한다. 이 탄발력에 의해서, 보빈케이스(3l)를, 그 일 지름선 방향 및 내측루프테이크의 바닥벽(5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부가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보빈케이스(31)에 의해서 내측루프테이크(30)내로 협지되는 보빈(40)은, 내측루프테이크(30)의 바닥벽(53)쪽으로 배치되는 일방의 플랜지(97a)의 외경은, 보빈케이스(3l)의 주벽(60)의 외경과 거의 같으며, 또한 내측루프테이크(30)의 주벽(52)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게 선택된다. 또한 내측루프테이크(30)의 개구 끝단측에 배치되는 타방의 플랜지(97b)의 외경은, 보빈케이스(31)의 주벽(60)의 내경보다도 작게 선택된다. 이 밖에 플랜지(97b)의 가장 바깥 주부(121)는, 주벽(6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보빈실(62)이 유통할 수 있는 간격 T1을 갖는 제 l틈(l22)을 갖는다. 또한 상기 타방의 플랜지(97b)는, 상기 일방의 플랜지(97a)에 대하여 반지름 방향 바깥쪽이 됨에 따라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각도 α를 이루어서 경사져서 형성된다. 이 각도 α는, 예를들면 3∼15도에서 선택된다. 보빈(40)의 중앙에 있어서의 축선방향 길이는 내측루프테이크(30)의 바닥벽(53)의 개구끝단에 면하는 내면(53a)과, 보빈케이스(31)의 끝벽(61)의 상기 저벽(53)에 면하는 내면(61a)과의 간격보다도 짧게 선택되며, 이것에 의해서 보빈케이스(31)의 끝벽(6l)과 보빈(40)의 타방의 플랜지(97b)와의 사이에 제 2틈(123)이 형성된다.
각 플랜지(97a, 97b)와 권통(98)과의 교차부(124a, 124b)는, 보빈(40)의 축선을 포함하는 일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 끝단쪽의 플랜지(97b)는 바닥벽(53)쪽의 플랜지(97a)에 대하여 반지름방향 바깥쪽이 됨에 따라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되기 때문에, 보빈실(62)이 회전하여 감기는 실권회공간(125)은 단면형상이 U자 형상이 되며, 권통(98)에 가까운 영역에서의 보빈실(62)의 권회량을 적게 하고있다. 그 이유는, 보빈실(62)이 인출됨에 따라서, 각 플랜지(97a, 97b) 사이에서 권통(98)에 회전하여 감기는 보빈실(62)의 지름이 감소하여 가고, 개구 끝단측의 플랜지(97)의 가장 바깥 주부(121)상을 회전하면서 감겨서 풀려 나가는 속도가 극단적으로 커지며, 보빈실(62)에 바람직하지 않은 큰 비틀림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개구단측의 플랜지(97b)의 가장 바깥 주부(l21)는, 보빈실(62)을 그 인출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도 3에 나타내는 단면형상에 있어서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불룩하고 원활하게 만곡한 형상으로서도 좋다.
보빈케이스(31)의 끝벽(61)에는, 상술한 대로 보빈실취출공(70)이 형성되며, 래치(76)에는 제 l투공(75)이 형성되며, 더욱이 조작편(78)에는 제 2투공(77)이 형성된다. 이것들의 제 1틈(122), 제 2틈(123), 보빈실취출공(70), 제 1투공(75), 및 제 2투공(77)을 포함하여, 보빈실(62)이 통과하는 틈을 형성한다. 끝벽(61)의 보빈실취출공(70)의 내면(61a)에 면하는 주선부(126)는 둥글고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주선부(126)와 개구 끝단측의 플랜지(97b)의 가장 바깥 주부(121)에 걸쳐서 보빈실(62)이 늘려서 걸쳐지는 상태로, 그 인출에 응해서 회전한다. 이 때, 상기 주선부(126)는 둥글게 만곡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보빈실(62)이 각부에서 손상되는 염려는 없으며, 보빈실(62)의 축선방향, 따라서 인출되는 방향에 큰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고, 이 보빈실취출공(70)의 내주면에 의한 접동저항이 적게 끝나며, 보빈실(62)의 장력이 바람직하지 않게 변화해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보빈(40)의 바닥벽(53)쪽으로 배치되는 일방의 플랜지(97a)의 가장 바깥 주부 부근은, 내측루프테이크(30)에 장착된 보빈케이스의 주벽(60)의 개구 끝단부(127)에 의해서 저벽(5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발적으로 눌러지며, 이 상태로 내측루프테이크 내에 보지되기 때문에, 보빈실(62)이 인출되더라도, 보빈(40)이 그 축선 둘레로 회전되어, 보빈실(62)이 개구 끝단측의 플랜지(97b)의 가장 바깥 주부상을 회전하면서 인출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보빈(40)의 회전에 의한 관성에 의해서 보빈실(62)이 보빈케이스(31)내에서 과잉으로 느슨해져서 엉키는 것 등의 염려는 없으며, 원활히 보빈실(62)을 공급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이 보빈실(62)의 장력이 재봉중에 변화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것에 의해서 보빈실(62)의 장력의 격차가 없어지게 되며, 그 결과 실마무리에 뭉침이 생기는 것이 방지되고, 재봉질을 향상할 수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수직전회전후크(32a)를 나타내는 일부의 단면도이다. 또, 도 3∼도 7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의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실시에서는, 내측루프테이크(30)의 바닥벽(53)의 개구 끝단측에 면하는 내면(53a)에는, 도 9로 나타내는 판스프링(130)이 예를들면 용접에 의해서 고착된다. 이 판스프링(130)은, 저벽(53)의 내면(53a)에 평행하게 고정되는 원환상의 얇은 판자로 이루어지는 기본부(131)와, 기본부(131)의 외주부에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에 걸쳐서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며, 또한 기본부(131)의 일표면 보다도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본실시예에서는 4)의 압편(132a∼132d)을 갖는다. 이러한 판스프링(130)에 의해서, 보빈(40)의 바닥벽(53)쪽으로 배치되는 플랜지(97a)가 개구 끝단측을 향해서 탄발적으로 눌러진다. 이 상태로서는, 상기 보빈케이스(31)는 래치(76)의 접촉코일스프링(109)에 의한 스프링력에 의해, 바닥벽(53)에 근접하는 방향, 즉 도 8의 바깥쪽 방향으로 스프링이 힘이 부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일방의 플랜지(97)의 외주부는 보빈케이스(31)의 주벽(60)의 개구 끝단부(97)상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판스프링(130)의 각 압편(132a∼132d)에 의해서 탄발적으로 눌려진다. 따라서 보빈(40)은, 판스프링(130)에 의해서 탄발적으로 눌려진 상태로, 바닥벽(5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이것에 의해서 압축코일스프링(109)의 스프링력을 보빈케이스(31)에 의해서 보빈(40)을 눌러붙이기 위해 함부로 큰 스프링력으로 할 필요는 없고, 보빈케이스(31)의 내측루프테이크(30)로부터의 빠져서 멈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이며 좋고, 따라서 기존의 압축코일스프링(109)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래치(76)의 합체돌기(45)가 합체부분(46)으로 확실히 맞게 접하기 위해서, 합체부분(46)의 반지름 방향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의 돌출량을 일방의 플랜지(97a)의 두께에 응해서 조정할 필요는 없고, 생산상의 노력이 적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9로 표시되는 판스프링(130)에 대신해서, 도 10에 표시하는 원추코일스프링(135)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그 외의 구성의 스프링을 적절하게 선택해서 사용하여도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내측루프테이크(230) 및 보빈케이스(231)를 구비한 수직전회전후크(232)의 연직단면도이다. 수평한 회전축선 L11 둘레로 회전구동되는 외측루프테이크(234)에는, 그 내주부면(234a)에 둘레방향으로 연장하는 트랙요홈(235)이 형성되며, 이 트랙요홈(234)으로 내측루프테이크(230)의 외주부면(237)에 형성된 트랙돌출부(236)가 결합되어진 상태이며, 내측루프테이크(230)가 외측루프테이크(234)에 대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수납되어 있다. 내측루프테이크(230)는, 회전하여 정지하는 요부(238)에, 도시하지 않은 회전하여 정지하는 부재가 결합하여 회전하여 정지된다. 이러한 내측루프테이크(230)에는, 보빈케이스(231)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보빈케이스(231)에는 보빈실(262)이 회전하여 감겨서된 보빈(240)이 수납된다.
보빈케이스(231)내에는, 보빈(240)이 수납되며, 보빈(240)은, 한 쌍의 플랜지(297a, 297b)와, 각 플랜지(297a, 297b)를 연결하는 통상의 권통(298)을 가진다. 이 보빈(240)에는, 각 플랜지(297a, 297b) 사이에서, 권통(298)으로부터 각 플랜지(297a, 297b)의 가장 바깥 주부 근방까지 보빈실(262)이 회전하여 감긴다.
내측루프테이크(230)는, 바늘(292)에 가장 근접하는 보빈(240)의 유단부(228), 즉 플랜지(297b)의 도 11에 있어서의 상단부가, 도 11에 있어서 상하로 연장하는 바늘(229)의 이동경로로서, 바늘(229)의 최하점(229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설치되며, 내측루프테이크(230)의 축선 L12와 외측루프테이크(234)의 회전축선 L11은 각도 θ11을 이룬다. 각도 θ11은, 바늘(229)의 최하점(229a)에서, 바늘(229)이 플랜지(297b)에 충돌하지 않도록 정하며, 예를들면 각도 θ11은 5°이상이다.
이렇게 해서, 내측루프테이크(230)의 축선 L12을, 외측루프테이크(234)의 회전축선 L11에 대해서 각도 θ1만의 경사로 하는 것에 의해, 보빈(240)의 권통(298)의 길이 H1을, 내측루프테이크(230)의 개구 끝단측으로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에 의해 보빈실(262)의 권회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도 1의 절단면선 ⅩⅡ-ⅩⅡ로부터 본 일부의 단면도이다. 내측루프테이크(230)에는, 그 내주면(242)으로부터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움푹 팬 합체요부(243)이 형성되며, 보빈케이스(231)에는, 그 외주면(244)으로부터 반지름 방향 외쪽으로 탄발적으로 돌출하는 합체돌기(245)가 설치된다. 이 합체돌기(245)에는, 보빈케이스(231)가 내측루프테이크(230)에 장착된 상태로서, 합체요부(243)에 면하는 내측루프테이크 개구 끝단측의 플랜지(297)의 계합부분(246)에 탄발적으로 맞게 접하며, 보빈케이스(231)의 개구부 근처(도 1의 좌측)를 따라서,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주벽(26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걸쳐서 돌출하는 합체면(247)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합체돌기(245)에는, 합체면(247)의 가장 바깥부분, 즉 가장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부분(248)으로부터 보빈케이스(231)의 개구 근처를 따라서 보빈케이스의 반지름 방향 안쪽을 향해서, 적어도 계합부분(246)의 안쪽 방향 끝단(249) 보다도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연장하는 삽입안내면(250)이 형성된다.
도 13은 내측루프테이크(2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와 함께 참조해서 내측루프테이크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내측루프테이크(230)는, 주벽(252)과, 내측루프테이크(230)의 축선방향 일 끝단부를 막는 바닥부인 바닥벽(253)을 가진다. 바닥벽(252)에는, 외주면(237)으로부터 돌출하고, 외측루프테이크(234)의 회전축선 L11을 중심으로해서 바깥방향으로 연장하는 트랙돌출부(236)가 형성된다. 또 주벽(252)의 둘레방향 일개소에는, 개구 끝단부 근처에서,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바늘배치구멍(254)이 형성되며, 이 바늘배치구멍(254)은 바늘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주벽(252)에는 이 바늘배치구멍(254)과 둘레방향의 동일 위치에서, 축선방향으로 바닥벽(253)쪽으로 인접해서, 내주면(242)으로부터 돌출하는 보빈케이스(231)의 위치결정돌기(255)가 형성됨과 동시에, 바늘배치구멍(254)의 개구 끝단측으로 인접해서, 개구 끝단측으로 개구한 회전해서 정치하는 요부(2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합체요부(243)는, 주벽(252)에, 바늘배치구멍(254)과는 둘레방향으로 개구 끝단쪽으로부터 보아서 약 90도 벗어난 위치에서, 개구 끝단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합체요부(243)는, 주벽(252)에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투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또 내측루프테이크(230)의 바닥벽(253)부는, 도 13에 표시되는 것처럼 하단부(253a)로부터 상단부(253b) 근처를 따라서, 개구 끝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상단부(253b)가 도 13에 있어서 좌측방향으로 팽창된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때분에 바늘실은 바닥벽(253)와 하단부(253a)로부터 상단부(253b)로 원활하게 접동해서 이동하며, 확실한 실넘김만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보빈케이스(231)의 사시도이다. 상기 수직전회전후크(232)의 내측루프테이크(230)로 착탈이 자유로이 장착되는 보빈케이스(231)는, 둘레방향으로 분단된 약 C자 형상의 주벽(260)과, 이 주벽(260)의 축선방향 일 끝단부를 막는 끝벽(261)을 가진다. 상기 주벽(260)에는, 보빈실(262)이 결합된 보빈실합체요부(264)가 주벽(260)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해서 형성됨과 동시에, 주벽(260)의 외주면(244)으로 탄발적으로 맞게 접해서 상기 보빈실결합요부(264)를 막는 보빈실용스프링(265)이 설치된다. 이 보빈실용스프링(265)의 초기끝단부(266)는, 고정볼트(267)에 의해 주벽(260)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조절볼트(268)에 의해 유단부(269)쪽의 주벽(260)으로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끝벽(261)에는, 보빈실(262)이 삽입통과하는 보빈실취출공(270)이 끝벽(261)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중앙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보빈실취출공(270)으로부터 보빈케이스(231)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보빈실(262)은, 상기 주벽(260)에 형성되는 보빈실안내구(271)에 결합되어지며, 보빈실결합요부(264)로 인도된다. 이러한 보빈실안내구(271)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보빈실(262)에 작용하는 장력 또는 느스함에 의해, 보빈실(262)이 보빈실용스프링(265)과 주벽(260)의 외주면(244)의 사이로부터 빠져나와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끝벽(261)에는 또, 상기 보빈실취출공(270)으로 연통하는 제 1투공(275)이 형성되는 래치(276)가, 보빈케이스(231)의 지름선상에서 상기 보빈실안내구(271)에 근접/멀어지는 방향 B11, B12로 자유로이 이동하게 설치된다. 이 래치(276)에는, 래치(276)로 접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 1투공(275)으로 연통하는 제 2투공(277)이 형성되는 조작편(278)이 화살표 C11, C12 방향으로 모서리 이동하게 자유로이 연결된다. 상기 주벽(260)과 끝벽(261)에 의해, 대략적으로 바닥을 가지는 직원통상의 보빈케이스본체(279)가 형성되며, 이 보빈케이스본체(279)와, 상기 보빈실용스프링(265), 래치(276), 조작편(278)을 포함해서, 보빈케이스(231)는 구성된다.
도 15는, 보빈케이스(231)의 분해사시도이다. 보빈실용스프링(265)의 유단부(81)에는, 이 보빈실용스프링(265)를 주벽(260)에 붙인 상태이며, 외측루프테이크 회전방향 F1 상류쪽을 따라서 외주면(24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도 θ12를 이루어서 경사지는 보빈실삽입부분(282)이 형성됨과 동시에, 끝벽(261)쪽에는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대략 직각으로 굴곡한 보빈실이 빠져서 멈추는 부분인 보빈실발지부분(283)이 형성된다. 이 보빈실발지부분(283)에는, 보빈실용스프링(265)을 주벽(260)에 붙인 상태로서, 반지름 방향 안쪽 근처를 따라서 유단부(281)로부터 초기끝단부(266)쪽으로 각도 θ13을 이루어서 경사지는 보빈실안내면(284)이 형성된다. 상기 각도 θ12는, 그 선단부분에서 0.2∼0.5mm 정도의 지름을 갖는 보빈실(262)을 삽입할 수 있는 각도, 예를 들면 3∼10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실안내면(84)의 각도 θ13은, 5∼30도에서 선택된다. 주벽(260)에는 또한, 상기 보빈실발지부분(283)이 결합하는 요홈부(285)가 둘레방향으로 연장해서 형성된다.
도 14에 나타나듯이 보빈실을 배치하는 것은, 우선 보빈실(262)을 바깥쪽으로부터 유단부(282)쪽으로 인도하고, 위쪽으로부터 외주면(244)과 보빈실삽입부분(282)의 사이로 개재시켜서, 보빈실(262)를 화살표 E1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초기끝단부(266)쪽으로 인장한다. 이 때, 보빈실용스프링(265)의 유단부(281)에는, 보빈실안내면(284)을 따라서 이동하고, 실이 보빈실발지부분(283)을 용이하게 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더욱 보빈실(262)을 초기끝단부(266)쪽으로 인장하고, 보빈실(262)을, 보빈실안내구(271)의 모서리부(286)에 걸어 놓은 상태에서 보빈실(262)을 다시 유단부(281)쪽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유단부(281)과 초기끝단부(266)와의 사이의 맞는 접부(287)와, 주벽(260)의 외주면(244)과의 사이를 통해서, 도 14에 나타났듯이 유단부(281)로부터 보빈실(262)이 인출된다.
이러한 보빈실(262)은, 보빈실안내구(271) 및 보빈실결합요부(264)내로 결합한 상태이며 외부로부터 보빈실용스프링(265)에 의해서 덮혀진 상태로 보빈실결합요부(264)로부터 보빈실용스프링(265)의 유단부(281)에 걸쳐서 주벽(260)의 외주면(244)상에 배치시키며, 보빈실(262)은 보빈실용스프링(265)에 의해 탄발적으로 눌러진다. 이 때 보빈실(262)은, 보빈실안내구(271) 및 보빈실결합요부(264)내로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주벽(260)의 외주면(244)상에서 보빈실(262)이 맞는 접부(287)에 의해 눌러지지 않으며, 따라서 보빈실(262)의 장력이 재봉중에 바람직하지 않게 변화하지 않으며, 질이 좋은 재봉목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보빈실케이스본체(279)에는, 종래의 보빈실케이스(1)와 같은 원통부(27)(도 2를 참조)는 형성되지 않으며, 또 내측루프테이크(230)에는, 상기 원통부(27)로 삽입되는 간주(15)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보빈(240)의 권통(298)의 직경 D을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에 의해 보빈실(262)의 권회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합체돌기(245)를 가지는 래치(276)에는, 제 1투공(275)가 형성된다. 이 래치(276)의 상기 조작편(278)에 대향하는 외표면(289)에는, 제 1투공(275) 및 보빈실안내구(271) 사이에 일직선상으로 연장하는 제 2의 보빈실안내구(290)가 형성된다. 이 제 2의 보빈실안내구(290)에 의해서, 래치(276)와 조작편(278)이 거의 평행으로 겹쳐서 배치된 상태로, 래치(276)와 조작편(278)과의 사이에 보빈실(262)이 끼워져 버리는 것이 방지되며,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은 장력이나 느슨해짐이 발생하지 않으며, 원활히 보빈실(262)을 주벽(260)의 보빈실안내구(271)로 인도할 수 있다.
조작편(278)에는, 제 2투공(277)이 형성된다. 이 조작편(278)에는, 제 2투공(277) 및 조작편(278)의 외측면(291) 사이에 걸쳐서 절결되어서 연통하는 보빈실삽입공(292)이 형성된다. 상기 보빈실삽입공(292)은, 본 실시예에서는 긴 방향에 대해서 각도 θ14를 이루어서 상기 제 2의 보빈실안내구(290)에 평행하며, 외면(293)으로부터 상기 래치(276)에 대향하는 내면(294) 근처를 따라서 겹치는 상태에 있어서의 래치(276)의 제 2의 보빈실안내구(29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각도 θ15(도 12참조)를 이루어서 경사지고 있다. 상기 각도 θ14는 예를들면 30∼60도에서 선택되며, 상기 각도 θ15는 예를들면 45∼60도에서 선택된다. 이것에 의해서 보빈케이스(231)내에서 상기 보빈실취출공(270), 제 1투공(275) 및 제 2투공(277)을 매개해서 외부로 인출된 보빈실(262)을, 보빈실삽입공(292)으로 결합하여 눌러넣는 것에 의해 제 2의 보빈실안내구(290)로 용이하게 이끌수 있다. 따라서 조작편(278)을 인출해서, 조작편(278)과 래치(276)와의 사이로 보빈실(262)를 삽입통과시켜서 제 2의 보빈실안내구(290)에 결합시킬 필요가 없으며, 보빈실(262)의 제 2의 보빈실안내구(290)로의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보빈케이스(23l)의 보빈케이스본체(279)에는, 주벽(260)의 분단된 분단부(299)로부터 보빈케이스(231)를 끝벽(261)쪽에서 봐서 시계방향으로 약 90도 벗어난 위치에, 주벽(260)으로부터 끝벽(26l)에 걸쳐서, 주벽(260) 및 끝벽(261)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절결(30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끝벽(261)에는, 주벽(260)의 분단부(299)로부터, 둘레방향 양측으로 약 90도씩 각각 벗어난 위치, 즉 절결(300)이 형성되는 위치와 그 반대측을 연결하도록, 일 지름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구(301)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구(301)는, 그 긴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 양측부(302a, 302b)가, 돌출부(303a, 303b)에 의해서 보빈케이스(231)의 개구부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덮어지고 있다. 또한 끝벽(261)에는, 안내구(301)의 절결(300)과는 반대측의 긴방향 일끝단부 부근에서, 안내구(300)와 주벽(260)내의 공간을 연통하도록, 끝벽(26l)을 관통하는 계지공(304)이 형성되어, 이 계지공(304)은, 안내구(301)의 긴방향 일 끝단부 근처의 폭협부(304a)와 안내구(30l)의 긴방향 타단부 근처의 폭광부(304b)를 갖고 있다.
래치(276)는 판상이고, 긴방향 일 끝단부(305)로 합체돌기(245)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이 합체돌기(245)는, 두께방향 일방향쪽으로 만곡하고 있다. 이 합체돌기(245)의 계합면(247) 및 삽입안내면(250)을 포함하는 외주면은,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래치(276)는, 합체돌기(245)가 보빈케이스(231)의 개구부쪽으로 만곡하도록한 상태로, 안내구(306)에 결합되고있다. 이 상태로, 래치(276)의 긴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 양측부(306a, 306b)는, 돌출부(303a, 303b)에 의해서, 결합하여 멈추며, 래치(276)는, 보빈케이스(231)의 축선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 상태로, 안내구(301)를 따라서, 합체돌기(245)가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방향 B11 및 그 반대로 합체돌기가 반지름 방향 안쪽으로 들어가는 퇴피방향 B12로 자유로이 이동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래치(276)는, 긴방향 일 끝단부(305) 근처 폭방향 일측부(306a)로, 폭방향 외쪽으로 돌출하는 스프링수용부(30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끝벽(261)에는, 안내구(301)의 긴방향 타단부 근처에, 폭방향 일측부(302a)를 따라서, 스프링수납요부(308)가 형성되며, 압축코일스프링(309)이 수납되어 있다. 래치(276)는, 안내구(301)에 결합한 상태로, 압축코일스프링(309)에 의한 돌출방향 B11로의 스프링을 수용해서, 합체돌기(245)를 주벽(260)의 외주면(244)으로부터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탄발적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한 래치(276)에는, 긴방향 타단부(310) 부근에,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계지편삽통공(3l1)이 형성된다. 이 계지편삽통공(311)은, 래치(276)의 긴방향 일 끝단부(305) 근처의 폭광부(31la)와 래치(276)의 긴방향 타단부(310) 근처의 폭협부(31lb)를 갖고 있다.
조작편(278)은, 긴 방향 일 끝단부(312)에 계지편(313)를 가지며, 이 계지편(313)은, 두께방향 일방향쪽으로 만곡하여, 폭이 좁은 연출부(313a)와, 그 선단의 폭이 넓은 계지부(313b)를 갖는다. 이 계지편(313)의 연출부(313a)의 폭은, 래치(276)의 계지편삽통공(3l1)의 폭협부(3llb)의 폭보다도 작게 선택됨과 동시에, 계지편(313)의 계지부(313b)의 폭은, 래치(276)의 계지편삽통공(3ll)의 폭협부(31lb)의 폭보다도 크고, 또한 폭광부(313a)의 폭보다도 작게 선택되고 있다. 또한 계지편(313)의 연지부(313a)의 폭은, 끝벽(261)의 계지공(304)의 폭협부(304a)의 폭보다도 작게 선택됨과 동시에, 계지편(313)의 계지부(313b)의 폭은, 끝벽(261)의 계지공(304)의 폭협부(304a)의 폭보다도 크고, 또한 폭광부(304b)의 폭보다도 작게 선택되고 있다.
이러한 계지편(313)은, 그 긴방향 일 끝단부(312)의 계지부(313b)가, 래치(276)의 계지편삽통공(311)을 삽입통과하고, 끝벽(61)의 계지공(304)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계지편(313)을 삽입통과한 상태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계지편(313)은, 계지부(313b)가 계지공(304)의 폭광부(304b)에 결합되며, 연출부(313a)는 계지편삽통공(311)의 폭협부(31lb)를 삽입통과한 상태로 되어있다. 이것에 의해서, 래치(276)는, 계지부(3l3b)가 계지공(304)의 주선부(314)로 결합하여 멈춘 상태인 조작편(278)의 계지편(313)의 계출부(313a)와 맞게 접하며, 압축코일스프링(309)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돌출방향 B11으로의 이동이 방지됨과 동시에, 조작편(278)은, 계지편(313)의 계지부(313b)가 래치(276)의 계지편삽통공(311)의 폭협부(31lb)의 양측 주선부에 맞게 접하여, 빠져버리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호 발지되어서, 조작편(278)은, 래치(276)에 겹친 상태로, 계지편(313)의 계지부(313b)의 긴 방향 일 끝단부(312)측의 단부를 모서리 중심으로 이동하여, 긴방향 타단부(3l5)가 래치(27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C11 및 그 역으로 긴방향 타단부(315)가 래치(276)에 근접하는 엎드리는 방향 C12으로 자유로이 모서리 이동하여, 보빈케이스본체(279) 및 래치(276)로 연결된다.
보빈케이스(231)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래치(276)가 돌출방향 B11으로 스프링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래치(276)는, 조작편(278)의 계지편(313)의 연출부(113a)를 누른 상태로, 합체돌기(245)를 주벽(260)의 외주면(244)으로부터 탄발적으로 돌출시켜 놓은 때 조작편(278)은, 래치(276)를 따라서 엎드린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편(278)을 일으키는 방향 C11으로 모서리 이동을 조작하면, 조작편(278)은 계지편(313)의 계지부(313b)의 긴방향 일 끝단부(312)쪽의 끝부를 모서리 중심으로 이동하여, 일으키는 방향 C11으로 모서리 이동하기 때문에, 계지편(3l3)의 연출부(313a)가 퇴피방향 B12와 동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이것에 의해서 래치(276)를 퇴피방향 B1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주벽(260)으로부터 끝벽(261)에 걸쳐서 절결(300)이 형성되어 있고, 합체돌기(245)가 들어가는 것을 허용할 수가 있다. 또한, 계지편(313)은, 그 연출부(313a)가, 계지공(304)의 폭협부(304a)에 의해서 모서리 이동할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루프테이크(230)에, 내주면(242)으로부터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움푹 팬 합체요부(243)가 형성되어, 보빈케이스(231)에, 외주면(244)으로부터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탄발적으로 돌출하는 합체돌기(245)가 마련되고, 이 합체돌기(245)는, 보빈케이스(231)가 내측루프테이크(230)에 장착된 상태로, 합체요부(243)에 결합된다. 이 합체돌기(245)에는, 계합면(247)이 형성되어 있고, 계합면(247)은, 보빈케이스(231)가 내측루프테이크(230)에 장착된 상태로, 합체요부(243)의 개구 주선부의 내측루프테이크 개구 끝단측의 계합부분(246)으로 탄발적으로 맞게 접한다. 이 탄발력에 의해서, 보빈케이스(23l)를, 그 일 지름선 방향 및 내측루프테이크의 바닥벽(253)에 근접하는 방향에 힘을 부가할 수가 있다.
도 12에 나타나듯이, 내측루프테이크(230)의 바닥벽(253)쪽으로 배치되는 일방의 플랜지(297a)의 외경은, 보빈케이스(23l)의 주벽(260)의 외경과 거의 같으며, 또한 내측루프테이크(230)의 주벽(252)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게 선택된다. 또한 내측루프테이크(230)의 개구 끝단쪽에 배치되는 타방의 플랜지(297b)의 외경은, 보빈케이스(231)의 주벽(260)의 내경보다도 작게 선택된다. 이 밖에 플랜지(297b)의 가장 바깥 주부(321)는, 주벽(26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보빈실(262)이 유통할 수 있는 간격 T11을 갖는 제 l틈(322)을 갖는다. 또한 상기 타방의 플랜지(297b)는, 상기 일방의 플랜지(297a)에 대하여 반지름 방향 바깥쪽을 따라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각도 α1를 이루어서 경사져서 형성된다. 이 각도 α1는, 예를들면 3∼15도에서 선택된다. 보빈(240)의 중앙에 있어서의 축선방향 길이는 내측루프테이크(230)의 바닥벽(253)의 개구 끝단에 면하는 내면(253a)과, 보빈케이스(231)의 끝벽(261)의 상기 바닥벽(253)에 면하는 내면(261a)과의 간격보다도 짧게 선택되며, 이것에 의해서 보빈케이스(231)의 끝벽(26l)과 보빈(240)의 타방의 플랜지(297b)와의 사이에 제 2틈(323)이 형성된다.
각 플랜지(297a, 297b)와 권통(298)과의 교차부(324a, 324b)는, 보빈(240)의 축선을 포함하는 일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 끝단측의 플랜지(297b)는 바닥벽(253)쪽의 플랜지(297a)에 대하여 반지름 방향 바깥쪽을 따라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되기 때문에, 보빈실(262)이 회전하여 감기는 실권회공간(325)은 단면형상이 U자 형상이 되며, 권통(298)에 가까운 영역에서의 보빈실(262)의 권회량을 적게 하고있다. 그 이유는, 보빈실(262)이 인출됨에 따라서, 각 플랜지(297a, 297b) 사이에서 권통(298)으로 회전하고 감기는 보빈실(262)의 지름이 감소하게 되며, 개구 끝단측의 플랜지(297)의 가장 바깥 주부(321)상을 회전하면서 감겨서 풀려 나가는 속도가 극단적으로 커지며, 보빈실(262)에 바람직하지 않은 큰 비틀림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개구 끝단측의 플랜지(297b)의 가장 바깥 주부(321)는, 보빈실(262)을 그 인출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도 12에 나타내는 단면형상에 있어서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불룩하고 원활하게 만곡한 형상이어도 좋다.
보빈케이스(231)의 끝벽(261)에는, 상술한 대로 보빈실취출공(270)이 형성되며, 래치(276)에는 제 l투공(275)이 형성되며, 더욱이 조작편(278)에는 제 2투공(277)이 형성된다. 이것들의 제 1틈(322), 제 2틈(323), 보빈실취출공(270), 제 1투공(275), 및 제 2투공(277)을 포함하여, 보빈실(262)이 통과하는 틈을 형성한다. 끝벽(261)의 보빈실취출공(270)의 내면(261a)에 면하는 주선부(326)는 둥글고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주선부(326)와 개구 끝단측의 플랜지(297b)의 가장 바깥 주부(321)에 걸쳐서 보빈실(262)이 늘려서 걸쳐진 상태로, 그 인출에 응해서 회전한다. 이 때, 상기 주선부(326)는 둥글게 만곡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보빈실(262)이 모서리부에서 손상될 염려는 없으며, 보빈실(262)의 축선방향, 따라서 인출되는 방향에 큰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고, 이 보빈실취출공(270)의 내주면에 의한 접동저항이 적게 끝나며, 보빈실(262)의 장력이 바람직하지 않게 변화해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보빈(240)의 바닥벽(253)쪽으로 배치되는 일방의 플랜지(297a)의 가장 바깥 주부 부근은, 내측루프테이크(230)에 장착된 보빈케이스의 주벽(260)의 개구 끝단부(327)에 의해서 바닥벽(25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발적으로 눌러지며, 이 상태로 내측루프테이크 내에 보지되기 때문에, 보빈실(262)이 인출되더라도, 보빈(240)이 그 축선 둘레로 회전되지 않고, 보빈실(262)이 개구 끝단측의 플랜지(297b)의 가장 바깥 주부상을 회전하면서 인출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보빈(240)의 회전에 의한 관성에 의해서 보빈실(262)이 보빈케이스(231)내에서 과잉으로 느슨해져서 엉킴등을 만드는 염려는 없으며, 원활히 보빈실(262)을 공급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이 보빈실(262)의 장력이 재봉중에 변화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것에 의해서 보빈실(262)의 장력의 격차가 없어지게 되며, 그 결과 실마무리에 뭉침이 생기는 것이 방지되고, 재봉질을 향상할 수가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수직전회전후크(32a)를 나타내는 연직단면도이다. 또, 도 11∼도 15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의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실시에서는, 내측루프테이크(230)의 바닥벽(253)의 개구 끝단쪽에 면하는 내면(253a)에는, 종래의 도 9로 나타내는 판스프링(13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판스프링(330)이 예를들면 용접에 의해서 고착된다. 이 판스프링(330)은, 바닥벽(253)의 내면(253a)에 평행하게 고정되는 원환상의 얇은 판자로 이루어지는 기본부(331)와, 기본부(331)의 외주부에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에 걸쳐서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며, 또한 기본부(331)의 일 표면 보다도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본실시예에서는 4)의 압편(332a∼332d)을 갖는다. 이러한 판스프링(330)에 의해서, 보빈(240)의 바닥벽(253)쪽으로 배치되는 플랜지(297a)가 개구 끝단쪽을 향해서 탄발적으로 눌러진다. 이 상태로서는, 상기 보빈케이스(231)는 래치(276)의 압촉코일스프링(309)에 의한 스프링력에 의해, 바닥벽(253)에 근접하는 방향, 즉 도 16의 바깥쪽 방향으로 스프링의 힘이 가해지므로, 상기 일방의 플랜지(297a)의 외주부는, 보빈케이스(231)의 주벽(260)의 개구 끝단부(297)상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판스프링(330)의 각 압편(332a∼332d)에 의해서 탄발적으로 눌러진다. 따라서 보빈(240)은, 판스프링(330)에 의해서 탄발적으로 눌러진 상태로, 바닥벽(25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이것에 의해서 압축코일스프링(309)의 스프링력을 보빈케이스(231)에 의해서 보빈(240)을 눌러붙이기 위해 함부로 큰 스프링력으로 할 필요는 없고, 보빈케이스(231)의 내측루프테이크(230)로부터의 빠져서 멈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이며 좋다. 따라서 기존의 압축코일스프링(309)을 사용할수 있다. 또한 래치(276)의 합체돌기(245)가 합체부분(246)으로 확실히 맞게 접하기 위해서, 계합부분(246)의 반지름 방향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의 돌출량을 일방의 플랜지(97a)의 두께에 응해서 조정할 필요는 없고, 생산상의 노력이 적게끝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4로 표시되는 판스프링(330)에 대신해서, 도 10에 표시하는 상술한 원추코일스피링(135)을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그 외의 구성의 스프링을 적절하게 선택해서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것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표시한 것이며, 명세서 본문에는 하등 구속되지 않는다.
더우기,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의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재봉시 실마무리의 뭉침이 발생하지 않으며, 재봉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생한다.

Claims (3)

  1. 내측루프테이크(30)의 바닥부쪽으로 배치되는 보빈(40)의 플랜지(97a)를, 상기 내측루프테이크(30)로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보빈케이스(31)의 주벽(60)에 의해서 탄발적으로 눌러서, 보빈(40)을 내측루프테이크(30)내로 보지하고,
    내측루프테이크(30)의 개구 끝단쪽으로 배치되는 보빈(40)의 플랜지(97b)의 가장 바깥 주부와 보빈케이스(31)의 주벽(60)의 내주면과의 사이 및 상기 내측루프테이크(30)의 개구 끝단측으로 배치되는 보빈(40)의 플랜지(97b)와 보빈케이스(31)의 끝벽(61)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보빈(40)에 회전하여 감기는 보빈실(62)이 통과하는 틈(122)이 형성되며,
    보빈케이스(31)의 끝벽(61)에는, 상기 틈(122)에 연결하는 보빈실취출공(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후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루프테이크(30)의 바닥부에는, 내측루프테이크 내의 보빈(40)을 내측루프테이크의 개구 끝단쪽을 향해서 탄발적으로 누르는 스프링(130, 13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후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루프테이크(230)의 축선 L12은, 바늘(229)에 가장 근접하는 보빈의 유단부가, 바늘의 이동경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측루프테이크(234)의 회전축선(L11)에 대해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후크.
KR1019980002194A 1997-01-29 1998-01-24 재봉틀후크 KR100252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313 1997-01-29
JP3131397A JP2824248B2 (ja) 1997-01-29 1997-01-29 ミシンのかま
JP9773297A JP2824251B2 (ja) 1997-04-15 1997-04-15 垂直全回転かま
JP9-97732 1997-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817A true KR19980070817A (ko) 1998-10-26
KR100252670B1 KR100252670B1 (ko) 2000-04-15

Family

ID=2636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194A KR100252670B1 (ko) 1997-01-29 1998-01-24 재봉틀후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60728A (ko)
EP (1) EP0861933A3 (ko)
KR (1) KR100252670B1 (ko)
CN (1) CN1110590C (ko)
TW (1) TW37012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1492A1 (en) * 2002-04-23 2003-11-06 Kobest Co., Ltd Rotary shuttle device for sew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979B1 (ko) * 2000-08-31 2003-04-11 코베스트 주식회사 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케이스
KR100521246B1 (ko) * 2004-03-15 2005-10-17 코베스트 주식회사 밑실량을 늘린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CN101792958B (zh) * 2010-03-31 2012-10-03 朱厚林 一种缝纫机底线张力调节装置
CH704196A1 (de) * 2010-12-09 2012-06-15 Bernina Int A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Spulenkapsel.
CH706089A8 (de) * 2012-02-02 2013-10-31 Bernina Int Ag Greiferanordnung für eine Nähmaschine.
KR101395267B1 (ko) * 2012-11-16 2014-05-27 (주)신진스틸 재봉틀 밑실공급장치
CN103774351B (zh) * 2013-12-19 2016-02-10 东阳市太极精密制造有限公司 无芯缝纫机旋梭
DE102015111580A1 (de) * 2014-08-05 2016-02-11 Cm Cerliani S.R.L. Greifer fuer eine Doppelsteppstich-Naehmaschine mit stabiler Spannung des Spulenfadens
US9797077B2 (en) * 2015-02-09 2017-10-24 Cm Cerliani S.R.L. Hook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 comprising a bobbin case with a slide composed of multiple components
JP6440746B2 (ja) * 2015-02-13 2018-12-19 株式会社廣瀬製作所 垂直全回転かま
CN104928857A (zh) * 2015-05-20 2015-09-23 东阳市太极精密制造有限公司 缝纫机旋梭
JP6579845B2 (ja) * 2015-07-24 2019-09-25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ボビンのホルダー
JP7301564B2 (ja) * 2019-03-15 2023-07-03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下糸供給装置
KR102110940B1 (ko) * 2019-05-29 2020-05-14 이하 재봉기용 회전북집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323A (en) * 1888-08-21 Jasper yannett
DE167445C (ko) *
FR374655A (fr) * 1905-10-28 1907-06-20 Manufacturers Machine Co Navette perfectionnée pour les machines à coudre
US2990794A (en) * 1959-04-06 1961-07-04 Singer Mfg Co Bobbin thread case opener mechanism
US3120204A (en) * 1962-01-29 1964-02-04 Singer Co Rotary hook with thread and needle guard
JPS63283697A (ja) * 1987-04-28 1988-11-21 株式会社廣瀬製作所 垂直全回転かま
KR930003517B1 (ko) * 1990-05-15 1993-05-01 가부시끼가이샤 히로세세이사꾸쇼 전회전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1492A1 (en) * 2002-04-23 2003-11-06 Kobest Co., Ltd Rotary shuttle device for sew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2670B1 (ko) 2000-04-15
CN1189550A (zh) 1998-08-05
US5960728A (en) 1999-10-05
EP0861933A2 (en) 1998-09-02
CN1110590C (zh) 2003-06-04
TW370120U (en) 1999-09-11
EP0861933A3 (en) 1999-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2670B1 (ko) 재봉틀후크
US5327841A (en) Threading machine of a sewing machine and a threading method
JPS6023061B2 (ja) 繊維機械用給糸装置
EP0385297A2 (en) Oscillating loop taker for a sewing machine
EP0457376A2 (en) Full rotary hook
US2851977A (en) Loop takers for lock stitch sewing machines
EP1354994A1 (en) Sewing machine with needle thread cassette, and needle thread cassette
JP2824246B2 (ja) ミシンのかま
KR102189146B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US3894499A (en) Bobbin thread guide means
JP2824248B2 (ja) ミシンのかま
KR100233334B1 (ko) 재봉기용 수직전회전 후크
EP0507558A1 (en) Full-rotation shuttle for sewing machine
US2098269A (en) Sewing machine shuttle
US5762013A (en) Bobbin casing assembly and sewing machine having same
US1551996A (en) Looper head for buttonhole-sewing machines
JP3471312B2 (ja) 垂直全回転かま
JPH0556997B2 (ko)
JPH1119362A (ja) ミシンのかま
CN219886302U (zh) 一种用于袜机的梭子及具有该梭子的袜机
JP2960363B2 (ja) ボビンケース
JPH0558759B2 (ko)
JP2605924Y2 (ja) ミシンの糸案内具
JPH079274U (ja) ミシンのボビンケース
JPH0420377A (ja) 全回転か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