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507A - 토너보급장치 및 여기에 사용되는 토너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토너보급장치 및 여기에 사용되는 토너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507A
KR19980070507A KR1019980000863A KR19980000863A KR19980070507A KR 19980070507 A KR19980070507 A KR 19980070507A KR 1019980000863 A KR1019980000863 A KR 1019980000863A KR 19980000863 A KR19980000863 A KR 19980000863A KR 19980070507 A KR19980070507 A KR 19980070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hutter member
locking
toner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카다미쓰하루
Original Assignee
미타요시히로
미타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1771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80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6559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8065B2/ja
Application filed by 미타요시히로, 미타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타요시히로
Publication of KR19980070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50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73Generally vertic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2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lidable sealing member, e.g. shu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호퍼에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토너보급개방구(72)가 형성된 부착대(70)와 토너보급개방구(72)로부터 토너를 보급할 수 있는 보급위치에 부착대(70)에 대해 장착시킬 수 있는 토너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토너보급장치.
부착대(70)에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와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토너카트리지를 보급위치에 장착시키면 잠금수단의 잠금이 해제되고 용기(4)를 회전시키면 관통개방구(20)와 토너보급개방구(72)가 개방된다.

Description

토너보급장치 및 여기에 사용되는 토너카트리지
본 발명은 정전식복사기, 정전식프린터 혹은 정전식 팩시밀리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에 대해서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토너보급장치, 및 이와 같은 토너보급장치에 사용되는 토너카트리지(toner cartridge)에 관한 것이다.
정전식복사기 정전식프린터 혹은 정전식팩시밀리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주지하는바와 같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실시해서 토너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 현상장치에 있어서는 현상의 수행에 따라 토너가 소비되고 따라서 적당히 토너를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러한 토너의 공급은 현상장치에 토너카트리지를 장전해서 토너카트리지내의 토너를 현상장치내로 배출하므로서 아주적당히 수행된다.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카트리지의 전형예로서는 일본국 특개소 62-121470호공보 및 특개평 1-102487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형태의것을 들수가 있다.
그러한 토너카트리지는 토너를 수용하는 용기와 용기의 하단부에 배치된 셔터(shutter)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셔터기구는 실질상 용기와 일체이며 또한 관통개방구가 형성된 주부재와 주부재에 대해 관통개방구를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관통개방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주부재에 배치된 용기셔터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셔터부재에는 호퍼(hopper)측에 배치된 회전저지수단에 걸어맞추어지는 피회전저지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현상장치의 호퍼측에는 토너카트리지가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수용부가 설치되고 이 수용부에는 호퍼에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토너보급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토너보급장치에 있어서 용기셔터부재의 피회전저지수단을 호퍼측의 회전저지수단에 걸어맞추므로서 토너카트리지는 보급위치에 장착된다.
이어서 용기를 소정의 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용기셔터부재가 주부재에 대해 관통개방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상대적으로 회전시켜지고 용기내의 토너는 관통개방구 및 토너보급개방구를 거쳐서 호퍼내로 배출된다.
상술한 형태의 종래의 토너보급장치에 있어서는 현상장치의 호퍼측에는 토너카트리지가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수용부가 설치되고 이 수용부에는 호퍼에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토너보급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토너보급개방구에는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절단부가 형성된 비교적 얇은 합성수지제의 필름 혹은 다수의 적은구멍이 형성된 메쉬판등이 셔터부재로서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들 셔터부재로서는 충분한 차폐기능이 얻어지지 않고 토너보급시에는 물론 토너보급시이외에도 호퍼내에 물질을 낙하시키거나 이물질이 혼입하는일이있었다.
또 상술한 형태의 종래의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는 실질상 용기와 일체이며 또한 관통개방구가 형성된 주부재에 대해 관통개방구를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관통개방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용기셔터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토너보급시 이외에는 주부재의 관통개방구는 용기셔터부재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그러나 토너카트리지에는 용기셔터부재의 회전을 확실히 저지하기 위한 잠금수단은 배치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토너보급시이외의 토너카트리지의 수송시등에 있어서 무엇인가의 진동 혹은 부하가 작용한경우에는 주부재의 관통개방구가 개방되어서 토너가 배출될우려가있다.
이와 같은 토너의 예기치않은 배출은 주변을 오염시키고 혹은 토너의 낭비를 발생시키게되어 개선이 요망되고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퍼내에 물질이 낙하하거나 이물질이 혼입하는 것을 충분하고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신규의 또한 개량된 토너보급장치를 제공하는데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퍼내에 물질이 낙하가거나 이물질이 혼입하는 것을 충분히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토너보급장치에 적용되는 신규이며 또한 개량된 토너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있다.
본 발명의 다시또 다른 목적은 토너보급시이외에 있어서의 토너의 예기치않은 배출을 충분히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신규의 또한 개량된 토너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토너카트리지의 아주 적당한 실시형태의 주요 부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2는 도1의 화살표 A측에서본 단면도
도3은 도1의 화살표 B측에서본 단면도
도4는 도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도1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
도6은 주요부재의 상면도
도7은 도6을 아래쪽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8은 도6의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9는 도7의 F-F선에 따른 단면도
도10은 도7의 G-G선에 따른 단면도
도11은 잠금부재의 정면도
도12는 도11을 아래쪽으로부터 본 도면
도13은 도11의 H-H선에 따른 단면도
도14는 용기셔터부재의 상면도
도15는 도14를 우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16은 도14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17은 도15의 J-J선에 따른 단면도
도18은 도15의 K-K선에 따른 단면도
도19는 부착대의 상면도
도20은 도19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21은 도19의 L-L선에 따른 단면도
도22는 도19의 M-M선에 따른 단면도
도23은 부착대의 본체의 상면도
도24는 도23을 좌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25는 도23의 N-N선에 따른 단면도
도26은 도23의 O-O선에 따른 단면도
도27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의 상면도
도28은 도27을 아래쪽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29는 도27의 P-P선에 따른 단면도
도30은 도27의 Q-Q선에 따른 단면도
도31은 수용대의 상면도
도32는 도31을 아래쪽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33은 도31의 R-R선에 따른 단면도
도34는 도31의 S-S선에 따른 단면도
도35는 도32의 T-T선에 따른 단면도
도36은 부착대에 토너카트리지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로서 도 21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측부위에 대응하는 도면
도37은 부착대에 토너카트리지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로서 도 22에 대응하는 도면
도38은 부착대에 토너카트리지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로서 도 21의 중심선으로부터 우측부위에 대응하는 도면
도39는 부착대의 본체에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를 장착한 상면도로서 일부를 생략해서 나타내는 도면
도40은 도39의 다른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41은 부착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42는 도41의 U-U선에 따른 단면도
도43은 부착대의 본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44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45는 도44를 위쪽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46은 도4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
도47은 레버부재의 상면도
도48은 도44에 나타내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에 레버부재를 장착한 상면도
도49는 도48에 나타내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 및 레버부재가 일체로 시계방 향으로 90°회전한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용기
6. 셔터기구
8. 주부재
10. 용기셔터부재
18. 저면벽
20. 관통개방구
26. 회전걸어맞춤편
28. 잠금걸어맞춤편
29. 절단부
30. 잠금부재
34. 잠금플랜지부
36. 잠금고리부
48. 통과개방구
50. 잠금해제핀
56. 위치결정구멍
60. 제1의 절단부
62. 제2의 절단부
64. 제1의 슬릿
66. 제2의 슬릿
68. 걸어맞춤볼록부
70. 부착대
72. 토너보급개방구
74. 본체
76. 보급개방구 셔터부재
78. 수용대
80. 천정벽
82. 오목부
86. 저면벽
112. 원벽부
206. 보급개방구 셔터부재
207. 조작레버부재
214. 저면벽
236. 제1의 절단부
238. 제2의 절단부
240. 제3의 절단부
242. 제4의 절단부
본 발명의 한형태에 의하면 호퍼에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토너보급개방구가 형성된 부착대와 토너보급개방구로부터 토너를 보급할 수 있는 보급위치에 부착대에 대해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시킬 수 있는 토너카트리지를 포함하고 그 토너카트리지는 토너를 수용하는용기와 그 용기의 하단부에 배치된 셔터기구를 구비하고 셔터기구는 실질상 용기와 일체이며 또한 관통개방구가 형성된 저면벽을 포함하는 주부재와 통과개방구가 형성된 저면벽을 포함하고 또한 주부재에 대해 관통개방구를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통과개방구가 관통개방구에 정합(alignment)되므로서 관통개방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주부재의 외측에 배치된 용기셔터부재를 구비하고, 그 용기셔터부재에는 부착대에 배치된 회전저지수단에 걸어맞추어지는 피회전저지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토너보급장치에 있어서, 부착대에는 토너보급개방구를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토너보급개방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의 회전을 저지해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를 폐색위치로 유지하는 잠금위치와 회전을 허용하는 잠금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이 자유로운 잠금핀부재를 포함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되고, 용기셔터부재에는 잠금해제수단이 배치되고 주부재에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에 배치된 피걸어맞춤수단에 걸어맞추어져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걸어맞춤수단이 배치되고, 용기셔터부재의 피회전저지수단을 부착대의 회전저지수단에 걸어맞추므로서 토너카트리지가 보급위치에 장착됨과 동시에 용기셔터부재의 잠금해제수단이 부착대의 잠금핀부재를 잠금해제위치에 이동시키고 또한 주부재의 걸어맞춤수단이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의 피걸어맞춤수단에 걸어맞추어지고, 용기를 용기셔터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므로서 용기셔터부재는 주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개방위치로 회전시켜지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는 개방위치로 회전시켜지고 또한 관통개방구와 토너보급개방구가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는 토너보급개방구가 형성된 부착대에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 및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를 폐색위치로 유지하는 잠금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토너카트리지를 보급위치에 장착시킨때에 잠금수단이 해제된다.
그리고 용기를 회전시키므로서 토너카트리지의 관통개방구가 개방됨과동시에 보급개방구 셔터부재가 개방위치로 회전되어서 토너보급개방구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호퍼내에 물질이 낙하하거나 이물질이 혼입하는 것이 충분히 확실히 방지된다.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시켜서 장착하는 형태의 호퍼에 상기한 발명을 적용한경우에는 장착하는때의 진동등에 의해 호퍼내의 토너가 토너보급개방구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고 주변의 오염 혹은 토너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현상기능의 열화 혹은 현상장치의 손상등의 불합리함이 확실히 방지되고 양호한 화상의 형성이 보증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에 추가해서 다시또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에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에 대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조작레버(lever)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의 피걸어맞춤수단은 주부재의 걸어맞춤수단의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를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회전시키는 개방방향회전에 대해서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부와 주부재의 걸어맞춤수단의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를 개방위치로부터 폐색위치로 회전시키는 폐색방향회전에 대해서 그 폐색방향회전을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에 대해서 독립해서 허용하는 유동공간부를 구비하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의 폐색방향회전은 조작레버에 의해 수행되는 토너보급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는 토너를 보급한후에 용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서 토너카트리지의 관통개방구는 폐색되지만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는 개방위치의 상태로 남는다.
그 결과 토너카트리지의 관통개방구가 폐색되는 과정에서 토너카트리지내의 잔류토너는 낙하해도 토너보급개방구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의 상면에 토너가 잔류하는일은없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 및 그 주변의 토너에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토너카트리지의 관통개방구가 폐색된후에 조작레버에 의해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를 폐색위치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호퍼에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토너보급개방구가 형성되고 토너보급개방구를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토너보급개방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의 회전을 저지해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를 폐색위치로 유지하는 잠금위치와 회전을 허용하는 잠금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이 자유로운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부착대에 대해,토너보급개방구로부터 토너를 보급할 수 있는 보급위치에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시킬 수 있는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토너를 수용하는용기와 그 용기의 하단부에 배치된 셔터기구를 구비하고 셔터기구는 실질상 용기와 일체이며 또한 관통개방구가 형성된 주부재와, 주부재에 대해 관통개방구를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관통개방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주부재의 외측에 배치된 용기셔터부재를 구비하고, 그 용기셔터부재에는 부착대에 배치된 회전저지수단에 걸어맞추어지는 피회전저지수단이 배치되고, 용기셔터부재에는 잠금해제수단이 배치되고 주부재에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에 배치된 피걸어맞춤수단에 걸어맞추어져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걸어맞춤수단이 배치되고, 용기셔터부재의 피회전저지수단을 부착대의 회전저지수단에 걸어맞추므로서 보급위치에 장착됨과 동시에 용기셔터부재의 잠금해제수단이 부착대의 잠금부재를 잠금해제위치에 이동시키고, 또한 주부재의 걸어맞춤수단이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의 피걸어맞춤수단에 걸어맞추어지고, 용기를 용기셔터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므로서 용기셔터부재는 주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개방위치로 회전시켜지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는 개방위치로 회전시켜지고 또한 관통개방구와 토너보급개방구가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토너보급개방구가 형성되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 및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를 폐색위치로 유지하는 잠금수단이 설치된 부착대에 대해 토너카트리지를 보급위치에 장착시킨때 잠금수단이 해제된다.
그리고 용기를 회전시키므로서 관통개방구가 개방됨과 동시에 보급개방구 셔터부재가 개방위치로 회전되어서 토너보급개방구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관한 토너카트리지는 호퍼내에 물질이 낙하하거나 이물질이 혼입하는 것을 충분히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는 토너보급장치에 아주 적당히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시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걸어맞춤수단이 배치된 토너카트리지로서 호퍼에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토너보급개방구가 형성되고 토너보급개방구를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토너보급개방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의 회전을 저지해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를 폐색위치로 유지하는 잠금위치와 회전을 허용하는 잠금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이 자유로운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되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에는 피걸어맞춤수단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어 있고 또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 조작레버가 배치되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의 피걸어맞춤수단은 걸어맞춤수단의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를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회전시키는 개방방향회전에 대해서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수단의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를 개방위치로부터 폐색위치로 회전시키는 폐색방향회전에 대해서 그 폐색방향회전을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에 대해서 독립해서 허용하는 유동공간부를 구비하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의 폐색방향회전은 조작레버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된 부착대에 대해 토너보급개방구로부터 토너를 보급할 수 있는 보급위치에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토너를 수용하는용기와 그 용기의 하단부에 배치된 셔터기구를 구비하고 셔터기구는 실질상 용기와 일체이며 또한 관통개방구가 형성된 주부재와 주부재에 대해 관통개방구를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관통개방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주부재의 외측에 배치된 용기셔터부재를 구비하고, 그 용기셔터부재에는 부착대에 배치된 회전저지수단에 걸어맞추어지는 피회전저지수단이 배치되어 있고, 용기셔터부재에는 잠금해제수단이 배치되고 주부재에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의 피걸어맞춤수단에 걸어맞추어져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걸어맞춤수단이 배치되고, 용기셔터부재의 피회전저지수단을 부착대의 회전저지수단에 걸어맞추므로서 보급위치에 장착됨과 동시에 용기셔터부재의 잠금해제수단이 부착대의 잠금부재를 잠금해제위치에 이동시키고 또한 주부재의 걸어맞춤수단이 보급개방구 셔터부재의 피걸어맞춤수단에 걸어맞추어지고, 용기를 용기셔터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므로서 용기셔터부재는 주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개방위치로 회전시켜지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는 개방위치로 회전시켜지고 또한 관통개방구와 토너보급개방구가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의 토너카트리지도 앞서 기술한 발명에 있어서의 토너카트리지와 같은 작용에 의해 호퍼내에 물질이 낙하하거나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충분히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는 토너보급장치에 아주 적당히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시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호퍼에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토너보급개방구가 형성된 부착대에 대해 그 토너보급개방구로부터 토너를 보급할 수 있는 보급위치에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될 수 있음과 동시에, 토너를 수용하는용기와 그 용기의 하단부에 배치된 셔터기구를 구비하고 셔터기구는 실질상 용기와 일체이며 또한 관통개방구가 형성된 주부재와 주부재에 대해 관통개방구를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관통개방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주부재의 외측에 배치된 용기셔터부재를 구비하고있는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용기셔터부재와 주부재와의 사이에는 각각의 상대적회전을 저지하는 잠금위치와 각각의 상대적회전을 허용하는 잠금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잠금부재가 배치되고 잠금부재는 축방향의 위쪽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잠금위치로부터 잠금해제위치로 위치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셔터부재와 주부재와의사이에 각각의 상대적회전을 잠금하고 잠금해제할 수가 있는 잠금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토너보급시이외의 토너카트리지의 수송시등에 있어서 무엇인가의 진동 혹은 부하가 작용한경우에 주부재의 관통개방구가 개방되어서 토너가 배출되는 것은 확실히 방지된다.
토너의 예기치않은 배출이 방지되는 것에 기인해서 주변의 오염 혹은 토너의 낭비가 없어진다.
다시또 잠금부재는 축방향의 위쪽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잠금위치로부터 잠금해제위치로 위치지워지기때문에 호퍼측의 토너카트리지가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수용부에 잠금부재에 간섭해서 상대적으로 축방향의 위쪽으로 이동시키는부재를 설치하므로서 용기셔터부재와 주부재와의 잠금을 해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토너보급시이외에는 주부재의 관통개방구가 개방되는일은 없으나 토너보급시에는 단번에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 부품점수가 적기때문에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토너보급장치 및 거기에 사용되는 토너카트리지의 아주 적당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있는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도3에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토너카트리지(2)의 주요부가 표시되어 있다.
토너카트리지(2)는 토너를 수용하는 용기(4)와 용기(4)의 하단부에 배치된 셔터기구(6)를 구비하고 있다.
셔터기구는 용기(4)의 하단에 대해서 압입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주부재(8)와 주부재(8)의 외측에 배치된 용기셔터부재(10)를 구비하고있다.
도6∼도10을 참조하면 예를들면 ABS수지 혹은 PS수지등의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할 수가 있는 주부재(8)는 전체로서 캡(cap)과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주부재(8)는 제1의 원통부(12)와 제1의 원통부(12)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2의 원통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제2의 원통부(14)는 제1의 원통부(12)보다도 큰직경을 갖고있고 따라서 제1의 원통부(12)와 제2의 원통부(14)와의 사이에는 고리상의 계단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계단부(16)의 상면측으로서 반경방향내측에는 주부재(8)의 축방향위쪽으로 약간 돌출한 환상부(17)가 형성되고 환상부(17)와 제2의 원통부(14)의 사이에는 환상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의 홈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밀봉부재가 배치된다.
제1의 원통부(12)의 반경방향내측에는 상기한 축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실질상 90°의 부채꼴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저면벽(18)이 형성되어 있다.
저면벽(18)의 각각은 주부재(8)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되고 축심부에 있어서 상호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원통부(12)의 반경방향내측에 있어서의 저면벽(18)의 각각을 제외한부분에는 한쌍의 관통개방구(20)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개방구(20)의 각각은 주부재(8)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실질상 90°의 부채꼴형상을 하고 있다.
저면벽(18)의 각각은 축심을 통해 제1의 원통부(12)의 반경방향내측에 이르는 수평이고 또한 직선상의 정상부와 정상부로부터 양측으로 향해서 낮게되는 경사면을 갖고 있다.
저면벽(18)의 각각은 정상부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단면은 대략 브이(V)형을 이루고 전체로서 대략 X형의 저면은 제1의 원통부(12)의 저면과 실질상 동일면상에 위치지워져 있다.
제1의 원통부(12)의 외부원주면의 하단부에는 반경방향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환상의 플랜지(flange)(22)및(24)가 축방향으로 간격을두고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의 위쪽에 위치하는 플랜지(24)의 외부원주부에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회전걸어맞춤편(26)및 잠금걸어맞춤편(28)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걸어맞춤편(26)(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한다)및 잠금걸어맞춤편(28)은 주부재(8)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22)및 (24)의 직경은 회전걸어맞춤편(26)및 잠금걸어맞춤편(28)의 형성부위를 제외하고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회전걸어맞춤편(26)의 플랜지(24)로부터의 돌출길이는 잠금걸어맞춤편(28)의 그것보다도 길게 규정되어 있다.
플랜지(24)에 있어서의 잠금걸어맞춤편(28)의 원주방향의 한쪽에는 플랜지(24)가 존재하지 않은 절단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제2의 원통부(14)의 내부원주면에는 4개의 걸어맞춤오목부(14a)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오목부(14a)의 각각은 축심으로부터 보아서 직4각형을 이루고 있다.
토너가 수용되는 합성수지제의 용기(4)의 하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출개방구가 형성되고 이 배출개방구의 외부원주면에는 상기한 걸어맞춤오목부(14a)에 대응하는 걸어맞춤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돌기부의 각각을 대응하는 걸어맞춤오목부(14a)에 압입시키므로서 용기(4)를 주부재(8)에 일체적으로 장착시킬 수가 있다.
용기(4)가 주부재(8)에 장착된 상태에서 용기(4)의 배출개방구의 하단은 상기한 밀봉부재에 맞닿고 토너의 누출이 방지된다.
제2의 원통부(14)의 외부원주면에는 한쌍의 피걸어맞춤오목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피걸어맞춤오목부(14b)의 각각은 주부재(8)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되고 각각 원주방향에 따라서 일정한 축방향폭 및 깊이를 갖고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각도는 90°이상으로 형성된다.
도11∼도13을 참조하면 제1의 원통부(12)의 외부원주면에 있어서의 플랜지(24)의 상면과 환상의 계단부(16)와의 사이에는 잠금부재(30)가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예를들면 ABS수지 혹은 PS수지등의 탄성을 갖은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할 수 있는 잠금부재(30)는 소정의 폭 및 두께를 갖고 또한 2개의 단말부를 갖는 환상의 판부재로된 본체부(31)를 갖고 있다.
비교적 폭이 좁고 두께가 얇은 띠형상의 부재라고도할 수 있는 본체부(31)는 축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실질상 원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반경방향으로부터 보아서 그 양단이 축방향에 간격을두고 위치하는 나사선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1)의 원형상부의 내경은 제1의 원통부(12)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규정되어 있다.
잠금부재(30)는 양단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실질상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원형상으로 탄성변형시키는 것은 극히 용이하고 강제력을 제거하면 본래의 나사선형상으로 복귀한다.
잠금부재(30)는 그것을 탄성변형시켜서 원형상으로한경우 그 일단과 타단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고 그 일단에는 잠금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32)는 반경방향바깥쪽으로 뻗는 잠금플랜지부(34)와 잠금플랜지부(34)로부터 축방향으로서 잠금부재(30)의 타단으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뻗는 잠금고리부(36)를 구비하고 있다.
잠금플랜지부(34)는 축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대략 직4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잠금고리부(36)는 잠금플랜지부(34)의 원주방향의 단말부(잠금부재 30의 타단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먼쪽의 단말부)로서 잠금부재(30)의 본체부(31)로부터 잠금플랜지부(34)로 타고가도록 형성되고 그 원주방향의 폭은 잠금플랜지부(34)의 그것보다 짧게 형성되고 또 그 본체부(31)로부터 반경방향바깥쪽으로의 돌출길이는 잠금플랜지부(34)의 그것보다 짧게 규정되어 있다.
잠금부재(30)의 본체부(31)의 폭은 플랜지(24)의 상면과 환상의 계단부(16)의 하면과의 간격보다 짧게형성되고 잠금플랜지부(34)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31)의 타단의 폭은 본체부(31)의 상기한 일단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바와 같이 잠금플랜지부(34)가 잠금위치와 잠금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간격을 플랜지(24)의 상면과 환상의 계단부(16)의 하면과의 사이에 설치하기 위해서이다.
이상과같이 구성된 잠금부재(30)는 그 탄성을이용해서 제1의 원통부(12)의 외부원주면에 있어서의 플랜지(24)의 상면과 환상의 계단부(16)(실질상 플랜지의 기능을 이룬다)의 하면과의 사이에 실질상 밀착된 상태로 장착되고 플랜지(24)의 상면과 환상의 계단부(16)간의 축방향의 간격에 의해 잠금부재(30)는 양단이 축방향으로 강제이동되어서 실질상 원주방향에 대향하는 원형상으로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잠금고리부(36)는 플랜지(24)의 절단부(29)에 걸어맞추어진다(잠금위치를 규정한다). 이것은 잠금부재(30)가 본래 나사상형상을 갖는 것에 기인해서 잠금부재(30)의 양단이 탄성복원력의 작용에 의해 축방향으로 떨어지려고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1의 원통부(12)의 외부원주면에는 플랜지(24)의 상면과 환상의 계단부(16)의 하면과에 의해 환상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환상의 오목부에 잠금부재(30)가 장착된다고할 수 있다.
이 잠금부재(30)의 장착에 관해서는 환상의 계단부(16)는 실질상 플랜지(24)와 같은 기능 즉 잠금부재(30)를 상기와 같이 축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서 축방향의 용수철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환상의 오목부는 제1의 원통부(12)의 외부원주면 및 2개의 플랜지로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장착상태에서 본체부(31)는 플랜지(24)의 외부원주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은 두께로 규정되고 잠금고리부(36)의 반경방향선단은 잠금걸어맞춤편(28)의 반경방향선단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그 치수가 규정되고 또 잠금플랜지부(34)의 반경방향선단은 잠금걸어맞춤편(28)의 그것보다도 소정의 길이만큼 반경방향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양자의 치수가 규정되어 있다.
다음에 용기셔터부재(10)에 대해 설명한다.
도14∼도18을 참조하면 예를들면 ABS수지 혹은 PS수지등의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할 수가 있는 용기셔터부재(10)는 원형상의 원주가장자리를 갖는 실질상 평탄한 저면벽(40)과 저면벽(40)의 원주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위쪽으로 뻗는 제1의 원통부(42)와 제1의 원통부(42)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2의 원통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제2의 원통부(44)는 제1의 원통부(42)보다 큰직경을 갖고 따라서 제1의 원통부(42)와 제2의 원통부(44)와의 사이에는 수평의 환상의 계단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저면벽(40)에는 한쌍의 통과개방구(48)가 형성되어 있다.
통과개방구(48)의 각각은 용기셔터부재(10)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되고 실질상 90°의부채꼴형상을 하고 있다.
통과개방구(48)의 각각을 제외한 저면벽(40)의 상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밀봉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저면벽(40)의 하면의 원주가장자리부근에는 잠금해제수단을 구성하는 한쌍의 잠금해제핀(50)이 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잠금해제핀(50)의 각각은 상기한 축심을 통하는 직선을 끼운 대칭위치에 위치지워져 있다.
제2의 원통부(44)의 하단부근에는 반경방향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실질상 환상의 플랜지(52)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52)의 일부에는 다른부분보다도 다시또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54)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54)에는 피회전저지수단을 구성하는 위치결정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제2의 원통부(44) 및 제1의 원통부(42)에는 제1의 절단부(60)및 제2의 절단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절단부(60)및 제2의 절단부(62)는 용기셔터부재(10)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되고 각각 제2의 원통부(44)의 상단으로부터 제1의 원통부(42)의 하단부근에 걸쳐서 축방향으로 뻗음과 동시에 축심으로부터 보아서 실질상 직4각형을 이루고 있다.
제1의 절단부(60)의 원주방향의 폭은 제2의 절단부(62)의 그것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원통부(42)에는 한쌍의 슬릿(slit)(64)및 (66)이 형성되어 있다.슬릿(64)및 (66)은 용기셔터부재(10)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되고 각각 일정한 축방향폭으로 원주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릿(64)의 원주방향의 일단은 제1의 절단부(60)의 하단에 연달아 통하고 타단은 그 일단으로부터 대략 90°의원주방향위치(도14의 시계방향의위치)에 위치지워져 있다.
슬릿(66)의 원주방향의 일단은 제2의 절단부(62)의 하단에 연달아통하고 타단은 그 일단으로부터 대략 90°의원주방향위치(도14의 시계방향의위치)에 위치지워져 있다.
제2의 원통부(44)의 축방향의 하단부근에는 한쌍의 다른 슬릿(67)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슬릿(67)의 각각은 용기셔터부재(10)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되고 각각 원주방향의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의 원통부(44)의 내부원주면으로서 다른 슬릿(67)의 각각의 축방향상부에는 각각 걸어맞춤볼록부(68)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볼록부(68)의 각각은 일정한 축방향폭 및 반경방향내측으로의 돌출두께를 갖고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각도는 대응하는 다른 슬릿(67)보다도 짧은 범위로 규정되어 있다.
주부재(8)에 장착된 잠금부재(30)의 잠금플랜지부(34)의 원주방향폭은 용기셔터부재(10)의 제1의 절단부(60)의 그것보다도 적게 형성되고 제1의 절단부(60)에 대해서는 축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으나 원주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간섭해서 실질상 이동이 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다.
또 잠금플랜지부(34)의 반경방향의 선단위치는 용기셔터부재(10)의 제1의 원통부(42)의 외부원주보다 크게 규정되어 있다.
주부재(8)의 회전걸어맞춤편(26)의 원주방향의 폭은 용기셔터부재(10)의 제2의 절단부(62)의 그것보다 적게 형성되어 있다.
주부재(8)의 제1의 원통부(12)에 형성된 플랜지(22)및 (24)의 직경은 용기셔터부재(10)의 제1의 원통부(42)의 내경보다 적게형성되고 주부재(8)의 제2의 원통부(14)의 외부원주면의 직경은 축방향의 하단에 있어서는 용기셔터부재(10)의 제2의 원통부(44)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축방향의 상부에 있어서는 약간 크게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주부재(8)와 용기셔터부재(10)와의 장착은 다음과 같이 해서 수행된다.
주로 도1∼도5를 참조하면 잠금부재(30)이 장착된 주부재(8)의 잠금플랜지부(34)를 용기셔터부재(10)의 제1의 절단부(60)에 정합시키고 또한 주부재(8)의 회전걸어맞춤편(26)을 용기셔터부재(10)의 제2의 절단부(62)에 정합시킨상태에서 주부재(8)와 용기셔터부재(10)를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강제이동시킨다.
용기셔터부재(10)의 제2의 원통부(44)의 내부원주면에 형성된 걸어맞춤볼록부(68)의 각각이 주부재(8)의 제2의 원통부(14)의 외부원주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피걸어맞춤오목부(14b)에 끼워맞추어진다.
이것에 의해 용기셔터부재(10)의 제2의 원통부(44)의 내부원주면이 주부재(8)의 제2의 원통부(14)의 외부원주면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이 규제되도록 상호 연결된다.
주부재(8)의 관통개방구(20)의 각각은 용기셔터부재(10)에 대응하는 저면벽(40)에 의해 폐색된다.
주부재(8)의 회전걸어맞춤편(26)및 잠금걸어맞춤편(28)은 용기셔터부재(10)의 대응하는 절단부(62)및 (60)의 저면부에 위치지워지고 따라서 대응하는 슬릿(66)및 (64)의 원주방향단말부에 위치지워진다.
주부재(8)에 장착된 잠금부재(30)는 용기셔터부재(10)의 제1의 원통부(42)의 내부원주면과 주부재(8)의 제1의 원통부(12)의 외부원주면과의 사이의 환상의 간격내에 위치지워진다.
그리고 잠금부재(30)의 잠금플랜지(34)의 원주방향양단은 용기셔터부재(10)의 절단부(60)의 원주방향양단간에 위치지워지고 또한 잠금고리부(36)는 잠금부재(30)의 탄성에의한 축방향아래쪽으로 향하는 가세력(탄성력)에 의해 주부재(8)의 플랜지(24)의 절단부(29)내에 끼워맞추어진다(잠금위치에 위치지워진다). 이결과 주부재(8)의 잠금걸어맞춤편(28)의 슬릿(64)방향으로의 이동은 잠금고리부(36)및 잠금플랜지부(34)에 의해 저지되고 주부재(8)와 용기셔터부재(10)와의 상대회전은 저지되고 양자는 잠금상태로 유지된다.
주부재(8)의 축방향상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토너를 수용한 용기(4)가 장착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조립된 토너카트리지(2)에 있어서 주부재(8)의 관통개방구(20)의 각각은 용기셔터부재(10)에 대응하는 저면벽(40)에 의해 폐색되고 주부재(8)와 용기셔터부재(10)와의 상대회전은 잠금부재(30)에 의해 확실히 저지되기때문에 토너보급시이외의 토너카트리지(2)의 수송시등에 있어서 무엇인가의 진동 혹은 부하가 작용한경우에 있어서도 주부재(8)의 관통개방구(20)의 각각이 개방되는일은없고 토너의 예기치않은 배출은 확실히 방지된다.
따라서 토너에의한 주변의 오염 혹은 토너의 낭비가 방지된다.
잠금부재(30)의 잠금플랜지부(34)에 대해 축방향으로서 주부재(8)의 잠금걸어맞춤편(28)으로부터 위쪽으로 떨어지도록 그 탄성에의한 가세에 대항해서 강제하면 잠금플랜지부(34)는 용기셔터부재(10)의 절단부(60)에 따라 위쪽으로 이동되기때문에 잠금고리부(36)는 주부재(8)의 플랜지(24)의 절단부(29)로부터 위쪽으로 이탈시켜진다(잠금해제위치로 이동시켜진다). 그결과 잠금부재(30)에의한 잠금이 해제되고 주부재(8)의 잠금걸어맞춤편(28)의 슬릿(64)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되고 주부재(8)와 용기셔터부재(10)와의 상대회전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양자를 대략 90°상대회전시키면 주부재(8)의 잠금걸어맞춤편(28)은 슬릿(64)에 따라서 상대이동하고 또 회전걸어맞춤편(26)은 슬릿(66)에 따라 상대이동한다.
주부재(8)의 관통개방구(20)의 각각은 용기셔터부재(10)의 대응하는 통과개방구(48)와 정합되고 용기(4)내의 토너는 용기(4)의 배출개방구,관통개방구(20)의 각각 및 통과개방구(48)의 각각을 거쳐서 토너카트리지(2)로부터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용기셔터부재(10)는 주부재(8)에 대해 관통개방구(20)의 각각을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관통개방구(20)의 각각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해진다.
다음에 도19∼도22에는 토너카트리지(2)가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부착대(70)가 표시되어 있다.
부착대(70)는 도시하지 않은 현상장치의 호퍼에 장착되고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후술하는 토너보급개방구(72)가 형성된 본체(74)와 본체(74)에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를 위쪽으로부터 덮도록 본체(74)에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된 수용대(78)를 구비하고 있다.
도23∼도26을 참조하면 예를들면 ABS수지 혹은 PS수지등의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할 수 있는 본체(74)는 상면으로부터 보아서 대략 직4각형을 이루고 또한 수평으로 뻗어 있는 천정벽(80)과 천정벽(80)으로부터 수직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원환상의 오목부(82)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82)는 원통부(84)와 원통부(84)의 하단에 위치하고 또한 수평으로 뻗어 있는 저면벽(86)과 저면벽(86)으로부터 수직 아래쪽으로 뻗는 통부(88)를 구비하고 있다.
저면벽(86)에는 한쌍의 토너보급개방구(72)가 형성되어 있다.
토너보급개방구(72)의 각각은 오목부(82)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실질상 90°의부채꼴형상을 이루고 있다.
토너보급개방구(72)의 각각은 통부(88)에 연달아 통하고 있다.
저면벽(86)에는 저면벽(86)으로부터 수직 아래쪽으로 뻗고 또한 하단이 저면벽에 의해 폐색된 한쌍의 오목부(9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90)의 각각은 후술하는 잠금부재(100)를 배치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저면벽(86)의 원주가장자리부에 근접하고 또한 오목부(82)의 축심을 통하는 직선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저면벽(86)에는 또 상기한 축심부에 관통구멍(92)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82)의 원통부(84)에는 제1의 절단부(94)및 제2의절단부(96)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절단부(94)및 제2의 절단부(96)는 오목부(82)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되고 각각 원통부(84)의 상단(천정벽 80의 일부를 포함)으로부터 저면벽(86)으로 향해서 소정의 원주방향의 폭을 갖고 축방향으로 뻗어 있음과 동시에 축심으로부터 보아서 실질상 직4각형을 이루고 각각의 하단은 원통부(84)의 대략 축방향중간부에 위치지워진다.
제1의 절단부(94)의 원주방향의 폭은 제2의 절단부(96)의 그것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천정벽(80)에는 4개의 부착구멍(97)과 수직 위쪽으로 뻗어 있는 2개의 위치결정핀(98) 및 (99)가 형성되어 있다.
도21을 참조하면 오목부(90)의 각각 안에는 잠금수단을 구성하는 잠금부재(잠금핀부재)(100)와 용수철부재(102)가 삽입되어 있다.
잠금부재(100)는 큰직경부와 적은직경부로된 핀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큰직경부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재(100)의 각각은 오목부(90)내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고 또한 용수철부재(102)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적은직경부, 및 큰직경부의 일부는 오목부(90)의 각각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위치지워져 있다.
이상과같이 구성된 본체(74)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배치된 호퍼의 상단에 장착된다(어느것이나 도시생략). 호퍼의 상단에는 수용개방구가 형성되고 이 수용개방구에 상기한 통부가 도시하지 않은 밀봉부재를 거쳐서 삽입된다.
따라서 본체(74)는 호퍼의 일부를 구성하고있다고 할 수 있다.
도27∼도30에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ABS수지 혹은 PS수지등의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할 수 있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는 수평으로 뻗어 있고 또한 원주가장자리가 원형의 저면벽(110)과 저면벽(110)의 원주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위쪽으로 뻗는 원벽부(112)로 이루어진다.
저면벽(110)에는 한쌍의 통과개방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통과개방구(114)의 각각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실질상 90°의 부채꼴형상을 하고있다.
통과개방구(114)의 각각은 각각의 원호부와 저면벽(110)의 원주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원호상의 띠부(116)(간격)이 남도록 형성되어 있다.
저면벽(110)에 있어서의 이들 띠부(116)의 각각에는 원호상의 절단부(118)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부(118)는 상기한 축심을 통하는 직선을 끼운 대칭위치에 위치지워지고 그 반경은 잠금부재(100)의 큰직경부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저면벽(110)에는 또 한쌍의 원호상의 슬릿(120)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120)의 각각은 소정의 폭을 갖고 대응하는 통과개방구(114)의 직선상의 단말부로부터 도27의 반시계방향으로 뻗어 있고 슬릿(120)의 한쪽에 있어서의 단말부(122)는 대응하는 통과개방구(114)의 절단부(118)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대략 90°의위치에 위치지워져 있다.
슬릿(120)의 각각과 저면벽(110)의 원주가장자리와의 사이에도 원호상의 띠부(116)가 남겨져 있다.
슬릿(120)의 각각의 폭은 잠금부재(100)의 적은직경부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슬릿(120)의 반경방향외측의 원주면은 통과개방구(114)의 각각의 원호부의 원주면과 실질상 공통의 축심을 갖는 연속된 원주면상에 위치지워져 있다.
저면벽(110)의 축심부에는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핀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원벽부(112)에는 상단으로부터 수직 아래쪽으로 소정의 원주방향의 폭을 갖고 뻗어 있는 제1의 절단부(126)및 제2의 절단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절단부(126)의 축방향깊이는 제2의 절단부(128)의그것보다 깊고 제1의 절단부(126)의 원주방향의 폭은 제2의 절단부(128)의 그것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절단부(126)의 원주방향의 일단(도27의 좌측단말)은 원호상의 절단부(118)의 한쪽(도27의 좌측)과 대략 동일위치에 존재하고 타단(도27의 우측단말)은 제2의 절단부(128)의 축심을 끼운 대략 대칭위치에 위치지워진다.
제2의 절단부(128)는 피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한다.
도21, 도22 및 도39를 참조하면 이상과같이 구성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는 부착대(70)에 있어서의 본체(74)의 오목부(82)내에 이탈이 자유롭게 또한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된다.
이 장착상태에 있어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핀부(124)는 본체(74)의 관통구멍(92)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원호상의 절단부(118)의 각각은 오목부(82)의 저면벽(86)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 대응하는 잠금부재(100)의 큰직경부의 외부원주면에 해제가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진다.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오목부(82)에 대한 회전은 절단부(118)의 각각이 대응하는 잠금부재(100)의 큰직경부에 의해 저지되므로서 잠금상태가되고 그 폐색위치가 유지된다.
오목부(82)의 저면벽(86)의 토너보급개방구(72)의 각각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저면벽(110)에 의해 차폐된다.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제2의 절단부(128)는 오목부(82)의 제2의 절단부(96)에 정합되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126)의 상기한 타단은 오목부(82)의 제1의 절단부(94)의 일단(도23의 우측단말)에 정합된다.
즉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126)의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개방방향(도39의 시계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일단(도27의 우측단말)은 본체(74)의 제1의 절단부(94)의 상기한 개방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일단(도23의 우측단말)에 정합함과 동시에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94)의 하류측의 타단(도27의 좌측단말)은 본체(74)의 제1의 절단부(94)의 개방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타단(도23의 좌측단말)과 본체(74)의 제2의 절단부(96)와의 사이의 원주방향위치에 위치지워진다.
그리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126)의 축방향의 하단은 오목부(82)의 제1의 절단부(94)의 하단에 정합된다.
이상과같이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와 본체(74)의 오목부(82)와의 위치관계가 규정되어 있다.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의 최상단은 본체(74)의 천정벽(80)의 상면보다 약간 낮게 위치지워진다.
또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가 폐색위치(토너보급개방구 72를 완전히 폐색시키는위치)로부터 개방위치(토너보급개방구 72를 완전히 개방하는위치)까지 회전시켜진때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94)의 하류측타단은 본체(74)의 제1의 절단부의 하류측의 타단을 개방방향으로 넘지 않은 위치로 위치지워진다.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바와 같이 오목부(82)의 저면벽(86)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잠금위치에 있는)잠금부재(100)의 각각을 용수철부재(102)에 대항해서 축방향의 아래쪽으로 밀어내려서 각각의 큰직경부를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원호상의 절단부(118)의 각각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므로서 (잠금부재 100의 각각을 잠금위치로부터 잠금해제위치로 위치지우므로서)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오목부(82)에 대한 회전방향의 잠금이 해제되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오목부(82)에 대한 회전이 허용된다.
그때 잠금부재(100)의 적은직경부만이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저면벽(86)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해서 위치지워지지만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와의 회전방향의 간섭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슬릿(120)의 각각에 의해회피된다(도40참조). 즉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의 개방방향회전은 슬릿(120)의 각각이 대응하는 잠금부재(100)의 적은직경부를 끼워서 이동하므로서 허용된다.
도31∼도35를 참조하면 예를들면 ABS수지나 PS수지등의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할 수가 있는 수용대(78)는 상면으로부터 보아서 대략 직4각형상을 이루고 수평으로 뻗는 부착판(130)과 부착판(130)으로부터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뻗는 원환상의 오목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132)는 원통부(134)와 원통부(134)의 하단에 위치하고 또한 실질상 수평으로 뻗어 있는 저면벽(136)을 구비하고 있다.
저면벽(136)에는 한쌍의 통과개방구(138)가 형성되어 있다.
통과개방구(138)의 각각은 오목부(132)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실질상 90°의 부채꼴형상을 이루고 있다.
저면벽(136)의 상면으로서 통과개방구(138)의 각각의 원주가장자리에는 상면과 평행인 상면을 갖은 저측부(139)가 형성되고 저측부(139)에는 도시하지 않은 밀봉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저면벽(136)에는 또 한쌍의 관통구멍(140)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140)의 각각은 오목부(132)의 원주가장자리부에 근접하고 또한 오목부(132)의 축심을 통하는 직선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관통구멍(140)의 각각의 직경은 잠금부재(100)의 적은직경부에 이탈이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도록 적은직경부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134)의 상단부는 부착판(13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약간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착판 (130)의 상면에는 환상플랜지(142)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플랜지(142)는 원통부(134)의 상기한 돌출상단의 전체원주를 일정한 간격을두고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그 상단은 원통부(134)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134)의 외경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의 내경보다 약간 적고 환상플랜지(142)의 내경은 원벽부(112)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134)에는 제1의 절단부(144)및 제2의 절단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절단부(144)및 제2의 절단부(146)는 오목부(132)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의 절단부(144)는 원통부(134)의 상단으로부터 저면벽(136)의 상면에 걸쳐서 축방향으로 소정의 원주방향의 폭을 갖고 뻗어 있음과 동시에 축심으로부터 보아서 실질상 직4각형을 이루고 있다.
제2의 절단부(146)는 원통부(134)의 상단으로부터 축방향의 대략 중간부에 걸쳐서 축방향으로 소정의 원주방향의 폭을 갖고 뻗어 있음과 동시에 축심으로부터 보아서 실질상 직4각형을 이루고 있다.
제1의 절단부(144)의 원주방향의 폭은 제2의 절단부(146)의 그것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절단부(144)의 반경방향바깥쪽에는 동일방향으로 뻗어나온 걸어맞춤볼록부(148)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볼록부(148)는 제1의 절단부(144)의 원주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반경방향바깥쪽으로 뻗는 측면벽(148a)과 측면벽(148a)의 각각의 반경방향 외부단말간에 뻗어 있는 원호벽(148b)과 측면벽(148a)의 각각의 하단간에 뻗어 있는 저면벽(148c)으로 이루어진다.
걸어맞춤볼록부(148)는 축심으로부터 보아서 실질상 직4각형상을 이루고 그 원주방향의 폭은 제1의 절단부(144)의 그것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볼록부(148)는 부착판(130)의 하면으로부터 저면벽(136)의 상면보다 약간 위쪽의 레벨에 걸쳐서 뻗어 있다.
걸어맞춤볼록부(148)의 외부원주면(원호벽 148b의 외부원주면)은 상기한 환상플랜지(142)의 외부원주면과 실질상 동일면에 위치지워진다.
걸어맞춤볼록부(148)의 내부원주면(원호벽 148b의 내부원주면)(149)는 상기한 환상플랜지(142)의 내부원주면과 실질상 동일면에 위치지워지고 걸어맞춤볼록부(148)의 측면벽(148a)의 각각은 원통부(134)의 일부가 반경방향바깥쪽으로 뻗고 원호벽(148b)에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해서 제1의 절단부(144)및 걸어맞춤볼록부(148)이 형성된다.
걸어맞춤볼록부(148)의 원호벽(148b)의 내부원주면(149)에는 내부원주면(149)으로부터 반경방향안쪽으로 뻗는 돌기(150)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50)는 걸어맞춤볼록부(원호벽 148b)의 원주방향의 중간에 있어서 축방향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해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기(150)의 상단은 원통부(134)의 상단보다 낮은위치에 있다.
원통부(134)에는 제1의 슬릿(152)및 제2의 슬릿(154)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152)및 (154)는 축심을 끼운 대략 대칭위치에 배치되고 각각 일정한 축방향의 폭으로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릿(152)의 원주방향의 일단은 제1의 절단부(144)의 축방향중간부에 연달아통하고 타단은 그 일단으로부터 대략 90°이상의 원주방향위치(도31 및 도35의 시계방향위치)에 위치지워져 있다.
슬릿(154)의 원주방향의 일단은 제2의 절단부(146)의 하단에 연달아통하고 타단은 그 일단으로부터 대략 90°이상의 원주방향위치(도31 및 도35의 시계방향의 위치)에 위치지워져 있다.
제2의 절단부(146)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반경방향 외측단말은 환상플랜지(142)의 내부원주면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원통부(134)의 상단부는 제2의 절단부(146)의 부위에 있어서 반경방향바깥쪽으로 뻗고 환상플랜지(142)의 내부원주면에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착판(130)에는 4개의 부착용나사부(156)와 2개의 위치결정구멍(158)과 회전저지수단을 구성하는 1개의 위치결정핀(15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부착용나사부(156)의 각각은 부착판(130)으로부터 위쪽으로 뻗어 있는 원통부에 부착판(130)의 하면으로부터 금속제의 나사부재를 압입하므로서 구성되어 있다.
위치결정핀(159)은 환상플랜지(142)의 원주가장자리 바깥쪽으로 형성된 보스부에 압입되고 환상플랜지(142)의 상단의 레벨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위치결정구멍(158)의 하나는 부착판(130)에 있어서의 상기한 보스부의 이면측으로서 위치결정핀(159)과 동축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도시는 되어 있지 않다.
이상과같이 구성된 수용대(78)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를 위쪽으로부터 덮도록해서 또한 부착판(130)이 천정벽(80)상에 중합되는 형태로 본체(74)에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주로 도19∼도23을 참조하면 수용대(78)의 위치결정구멍(158)의 각각은 본체(74)의 위치결정핀(98)및 (99)에 끼워맞추어져서 장착위치가 규정된다.
부착용나사부(156)는 본체(74)의 부착구멍(97)의 각각에 정합되고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부착판(130)은 본체(74)의 천정벽(80)에 연결된다.
수용대(78)의 원통부(134)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내에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삽입된다.
수용대(78)의 걸어맞춤볼록부(148)는 본체(74)의 제1의 절단부(94)내에 걸어맞추어진다.
걸어맞춤볼록부(148)의 하단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에 형성된 제1의 절단부(126)의 상단에 대해 간격을두고 위치지워진다.
수용대(78)의 제2의 절단부(146)는 본체(74)의 제2의 절단부(96)에 정합됨과 동시에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에 형성된 제2의 절단부(128)에 정합된다.
수용대(78)의 관통구멍(140)의 각각은 잠금부재(100)의 적은직경부에 간격을두고 끼워맞추어진다.
수용대(78)의 통과개방구(138)의 각각은 본체(74)의 토너보급개방구(72)에 정합되지만 그 사이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저면벽(110)에 의해 차폐된다.
이상과같이 수용대(78), 본체(74),및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위치관계가 규정되고 부착대(70)가 구성된다.
도시하지 않은 현상장치에 배치된 호퍼에 장착(접속)되는 부착대(70)의 토너보급개방구(7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에 의해 폐색되어 있으므로 호퍼내에 물질이 낙하하거나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다른한편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시켜서 장착시키는 형태의 호퍼에 상기한 부착대(70)를 사용한경우에는 장착시키는때의 진동등에 의해 호퍼내의 토너가 토너보급개방구(72)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고 주변의오염 혹은 토너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현상기능의 열화 혹은 현상장치의 손상등의 불합리함이 확실히 방지되고 양호한 화상의 형성이 보증된다.
다음에 상기한 부착대(70)의 토너보급개방구(72)를 거쳐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토너카트리지(2)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호퍼내로 토너를 보급하는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다음과 같이 해서 토너카트리지(2)를 부착대(70)에 장착시킨다(보급위치에 위치지운다). 주로 도1∼도3 및 도19 및 도36∼도38을 참조하면 토너카트리지(2)의 용기셔터부재(10)의 제1의 원통부(42)를 수용대(78)의 원통부(134)에 삽입한다.
용기셔터부재(10)의 플랜지(52)의 하면이 수용대(78)의 환상플랜지(142)의 상단에 위치지워진다.
그때 용기셔터부재(10)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56)을 부착대(70)의 위치결정핀(159)에 끼워맞추고 주부재(8)의 잠금걸어맞춤편(28)및 주부재(8)에 장착된 잠금부재(30)의 잠금플랜지부(34)를 수용대(78)의 제1의 절단부(144)에 또 주부재(8)의 회전걸어맞춤편(26)을 수용대(78)의 제2의 절단부(146)에 각각 삽입한다.
용기셔터부재(10)의 잠금해제핀(50)의 각각은 수용대(70)의 대응하는 관통구멍(140)및 잠금부재(100)과 정합시키고 또한 잠금부재(100)를 축방향 아래쪽으로 밀어내려서 잠금해제위치로 위치지운다.
용기셔터부재(10)의 위치결정구멍(56)이 부착대(70)의 위치결정핀(159)에 끼워맞추어지므로서 용기셔터부재(10)의 수용대(78)에 대한 위치결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회전이 저지된다.
또 주부재(8)의 잠금걸어맞춤편(28)및 잠금플랜지부(34)가 수용대(78)의 제1의 절단부(144)에 삽입되므로서 잠금플랜지부(34)가 제1의 절단부(144)에 형성된 돌기(150)의 상단에 맞닿고 주부재(8)의 제1의 절단부(60)에 따라서 축방향위쪽으로 그 탄성력에 대항해서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잠금고리부(36)가 주부재(8)의 플랜지(24)의 절단부(29)로부터 이탈되고(잠금해제위치에 위치지워진다) 잠금부재(30)에의한 잠금이 해제된다.
또 주부재(8)의 회전걸어맞춤편(26)이 수용대(78)의 제2의 절단부(146)에 삽입되므로서 회전걸어맞춤편(26)의 선단이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제2의 절단부(128)에 걸어맞추어진다.
이상과 같이 해서 토너카트리지(2)는 부착대(70)에 대해 보급위치로 위치지워진다.
이어서 토너카트리지(2)의 용기(4)를 주부재(8)과함께 소정의 방향(도1및 도19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대략 90°회전시키면 주부재(8)는 용기셔터부재(10)에 대해서 동일각도 회전시켜지고 또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도 회전걸어맞춤편(26)이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제2의 절단부(128)에 걸어맞추어지는 것에 기인해서 주부재(8)와 일체적으로 동일각도 회전시켜진다(도39의 위치로부터 도40의위치로). 주부재(8)의 잠금걸어맞춤편(28)은 수용대(78)의 제1의 슬릿(152)에 따라서 회전되고 회전걸어맞춤편(26)은 제2의 슬릿(154)에 따라 회전하고 각각 대응하는 슬릿(152) 및 (154)의 단말부에 맞닿으므로서 그 회전이 규제되고 따라서 주부재(8)의 상기한 회전이 정지된다.
주부재(8)및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은 각각 개방위치로부터 폐색위치로 회전되어 위치지워진다.
그리고 주부재(8)의 관통개방구(20)의 각각, 용기셔터부재(10)의 통과개방구(48)의 각각, 수용대(78)의 통과개방구(138a)의 각각,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통과개방구(114)의 각각 및 본체(74)의 토너보급개방구(72)의 각각은 모두 정합되고 용기(4)에 수용된 토너는 호퍼로 배출된다.
토너카트리지(2)로부터 호퍼에의 토너의 보급이 완료된후 토너카트리지(2)를 부착대(70)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에는 토너카트리지(2)의 용기(4)를 주부재(8)와 함께 상기와 역방향으로 대략 90°회전시키므로서 토너카트리지(2)를 상기한 보급위치로 복귀시킬 수가 있다.
토너보급개방구(72)의 각각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에 의해 폐색되고 주부재(8)의 관통개방구(20)의 각각은 용기셔터부재(10)에 의해 폐색된다.
주부재(8)의 잠금걸어맞춤편(28)이 수용대(78)의 제1의 절단부(144)에 정합되고 회전걸어맞춤편(26)이 수용대(78)의 제2의 절단부(146)에 정합되어서 위치지워지므로 토너카트리지(2)는 부착대(70)에 대해 축방향의 위쪽인 이탈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된다.
토너카트리지(2)를 부착대(70)에 대해 약간 위쪽으로 이동시키므로서 잠금부재(30)의 잠금고리부(36)가 주부재(8)의 플랜지(24)의 절단부(29)에 그 탄성에 의해 걸어맞추어져서 잠금상태가된다(잠금위치에 위치지워진다). 이것에 의해 주부재(8)의 관통개방구(20)의 각각은 용기셔터부재(10)에 의해 폐색된 상태로 잠금된다.
토너카트리지(2)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용기셔터부재(10)의 잠금해제핀(50)의 각각이 잠금부재(100)로부터 위쪽으로 이탈되므로 잠금부재(100)는 용수철부재(102)의 용수철의힘에 의해 잠금위치로 상승되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토너보급개방구(72)의 각각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에 의해 폐색된 상태에서 잠금된다.
이어서 토너카트리지(2)를 부착대(70)로부터 축방향위쪽으로 이동시키므로서 토너카트리지(2)를 부착대(70)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킬 수가 있다.
또한 토너카트리지(2)의 위쪽으로의 이동은 용수철부재(102)의 용수철의 힘에 의해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도41∼도49를 참조해서 토너카트리지(2)가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부착대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41및 도42에는 부착대(200)가 표시되어 있다.
부착대(200)는 도시하지 않은 현상장치의 호퍼에 장착되고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토너보급개방구(72)가 형성된 본체(204)와 본체(204)에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정상부에 그것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조작레버부재(207)와 조작레버부재(207)를 포함하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를 위쪽으로부터 덮도록 본체(204)에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된 수용대(20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부착대(200)를 구성하는 본체(204),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및 수용대(208)는 각각 앞서 도19∼도35를 참조해서 설명한 부착대(70)를 구성하는 본체(74), 보급개방구 셔터부재(76)및 수용대(78)의 구성의일부를 개량한 것이다.
따라서 다음에 주로 상호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도41∼도49에 나타내는 상기한 각부재에 있어서 도19∼도35에 나타내는 대응하는 각부재와 실질상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42 및 도43을 참조하면 본체(204)의 천정벽(80)에 있어서의 원통부(84)의 상단에는 천정벽(80)의 평탄한 정상면보다 낮은 원호상의 오목부(210)가 일정한 높이를 갖는 원호상의 벽(212)과 동일수평면상을 일정한 반경방향의 폭을 갖고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호상의 저면벽(214)을 갖고 있다.
오목부(210)의 양단부(210a)와 (210b)간에는 대략 90°+α의 각도범위의 공간이 남겨지도록 양단부(210a)와(210b)의 위치가 규정되어 있다.
천정벽(80)의 상기한 각도범위의 전역에는 오목부(210)의 저면벽(214)보다 낮은 평탄한 상면(21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저면벽(214)을 포함하는 천정벽(80)의 양단부와 그들보다 낮은 상면(216)과의 사이에는 오목부(210)의 양단부(210a)및 (210b)와 일치하는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양단부(210a)및 (210b)는 오목부(82)및 오목부(210)의 공통의 축선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축중심을 통하는 상호 90°의각도를 이루는 직선에 각각 평행인 직선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10)는 후술하는 조작레버부재(207)의 원환상의 본체(230)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저면벽(214)으로부터 천정벽(80)의 정상면까지의 높이는 조작레버부재(207)의 두께와 동일하게 혹은 그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각도범위는 조작레버부재(207)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와 일체로 대략 90°회전하는 것이 허용된다.
또한 오목부(82)의 저면벽(86)에는 원환상의 오목부(오목한홈)(217)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같이 구성된 본체(204)는 상기한 본체(74)와 마찬가지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배치된 호퍼의 상단에 장착된다.
다음에 도44∼도46을 참조해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에 대해 설명한다.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저면벽(110)에는 수직방향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원환상의 볼록부(218)가 형성되어 있다.
원벽부(112)의 제2의 절단부(128)는 그일단(128a)으로부터 타단(128b)까지의 원주방향의 각도범위가 90°+α가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바와 같이 제2의 절단부(128)의 일단(128a)은 토너카트리지(2)의 회전걸어맞춤편(26)(도10참조)의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를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회전시키는 개방방향회전에 대해서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부를 구성하고 제2의 절단부(128)의 일단(128a)과 타단(128b)까지의 원주방향의 간격(공간)은 상기한 회전걸어맞춤편(26)의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를 개방위치로부터 폐색위치로 회전시키는 폐색방향회전에 대해서 그 폐색방향회전을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에 대해서 독립해서 허용하는 유동공간부를 구성한다.
즉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제2의 절단부(128)의 개방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일단(128a)은 주부재(8)의 회전걸어맞춤편(26)의 개방방향회전에 대해서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부를 규정하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제2의 절단부(128)의 상기한 일단(128a)과 개방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타단(128b)과의 사이의 원주방향의 공간은 유동공간을 규정한다.
원벽부(112)의 상단의 제1의 절단부(126)와 제2의 절단부(128)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탄면(동일수평면상에 있는 상단면)(112a)에는 축방향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2개의 걸어맞춤돌기부(220),(222)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돌기부(220)및 (222)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돌기부(220)및 (222)의 상기한 평탄면으로부터의 높이는 후술하는 조작레버부재(207)의 두께와 동일 혹은 약간 높게 규정되어 있다.
이상과같이 구성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는 도42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부착대(200)에 있어서의 본체(204)의 오목부(82)내에 이탈이 자유롭게 또한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된다.
이 장착상태(폐색위치)에 있어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환상의 볼록부(218)는 본체(204)의 오목부(217)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진다.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제2의 절단부(128)의 일단(128a)은 오목부(82)의 제2의 절단부(96)의 일단(도43의 좌측단말)에 정합한다.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원벽부(112)의 상단의 평탄면(112a)은 오목부(82)의 저면벽(214)의 상면과 일치 혹은 약간 낮게 위치지워진다.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걸어맞춤볼록부(220)및 (222)의 상면은 본체(204)의 천정벽(80)의 최상면과 실질상 동일 또는 약간 낮게 위치지워져 있다.
다음에 도47을 참조해서 조작레버부재(207)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레버부재(207)는 일정한 두께를 갖은 금속제의 판부재를 타발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원환상의 본체(230)와 본체(230)에 대해 반경방향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조작레버(232)로 이루어진다.
본체(230)의 외부원주가장자리(233)는 부착대(200)의 본체(204)에 있어서의 오목부(210)의 벽(212)보다 약간 적은 반경을 갖고있고 따라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본체(230)의 내부원주가장자리(234)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원벽부(112)의 내부원주면과 실질상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30)의 내부원주가장자리(234)에는 제1의 절단부(236), 제2의 절단부(238),제3의 절단부(240)및 제4의 절단부(242)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절단부(236)및 제2의 절단부(238)는 본체(230)의 축중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절단부(236)및 제2의 절단부(238)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걸어맞춤돌기부(220)및 (222)에 대응하는 원주방향위치에 형성되고 각각의 내부원주가장자리(234)로부터 반경방향바깥쪽으로 깊이(폭)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원벽부(112)의 두께와 동일하게 규정되어 있다.
또 제1의 절단부(236)및 제2의 절단부(238)의 원주방향길이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걸어맞춤돌기부(220)및 (222)에 대해서 실질상 간격없이 걸어맞출 수 있도록 즉 실질상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다.
제3의 절단부(240)는 제1의 절단부(236)및 제2의 절단부(238)간의 한쪽의 원주방향위치에 형성되고 그 원주방향길이는 토너카트리지(2)의 회전걸어맞춤편(26)(도10참조)의 축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길이로 규정되어 있다.
제4의 절단부(242)는 제1의 절단부(236)및 제2의절단부(238)간의 다른쪽의 원주방향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4의 절단부(242)의 원주방향길이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제1의 절단부(126)의 원주방향길이와 실질상 동일하게 규정되고 그 원주방향위치는 조작레버부재(207)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에 장착된 상태에서 실질상 일치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제4의 절단부(242)의 원주방향길이 및 반경방향 바깥쪽으로의 깊이는 또 후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바와 같이 수용대(208)의 걸어맞춤볼록부(148)(도35참조)에 대한 상대회전을 허용하는 범위로 한정되고 있다.
조작레버(232)에는 합성수지제의 파지부(244)(도41의 실선, 및 도42의 2점사슬금참조)가 장착되어 있다.
도41을 참조하면 수용대(78)의 부착판(130)은 본체(204)의 천정벽(80)의 상기한 단말부(210a)및 (210b)에 정합되는 양단부(130a)와 (130b)와 양단부(130a)및 (130b)간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부(130c)를 갖고 있다.
원호부(130c)는 본체(204)의 벽(212)과 동일한 반경을 갖고있다.
도41, 도42 및 도48을 참조하면 조작레버부재(207)는 그 제1의 절단부(236)및 제2의 절단부(238)가 본체(204)의 오목부(82)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진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걸어맞춤돌기부(220)및 (222)에 걸어맞추어지므로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원벽부(112)의 평탄면(112a)상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장착된다.
조작레버부재(207)의 상면은 걸어맞춤돌기부(220)및 (222)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면상에 위치지워진다.
조작레버부재(207)의 제4의 절단부(242)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제1의 절단부(126)와 정합되고 조작레버부재(207)의 제3의 절단부(240)의 일단(도48의 좌단말),즉 개방방향의 상류측의 일단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제2의 절단부(128)의 일단(128a),즉 개방방향의 상류측의 일단에 정합된다.
조작레버부재(207)의 원벽부(112)의 평탄면(112a)상에 탑재되는부분보다 반경방향바깥쪽의 하면은 본체(204)의 원호상의 오목부(210)의 저면벽(214)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탑재된다.
조작레버부재(207)의 조작레버(232)는 본체(204)의 낮은 상면(216)상에 간격을두고 또한 단말부(210a)즉 원호상의 오목부(210)의 개방방향의 하류측의 일단에 위치지워진다.
도41,도42 및 도48을 참조하면 상기한 수용대(78)는 폐색위치에 있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 및 조작레버부재(207)를 위쪽으로부터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덮도록해서 본체(204)에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수용대(208)의 원통부(134)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원벽부 및 조작레버부재(207)의 내부원주가장자리(234)내에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삽입된다.
수용대(208)의 걸어맞춤볼록부(148)(도35참조)는 본체(204)의 제1절단부(94)내에 걸어맞추어짐과 동시에 조작레버부재(207)의 제4의 절단부(242)내에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위치지워진다.
그리고 걸어맞춤볼록부(148)(도35참조)는 조작레버부재(207)의 제4의 절단부(242)및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제1의 절단부(126)의 각각의일단(도48의 우측단말)에 근접해서 위치지워진다.
걸어맞춤볼록부(148)의 하단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원벽부(112)에 형성된 제1의 절단부(126)의 상단에 대해 간격을두고 위치지워진다.
수용대(208)의 제2의 절단부(146)는 조작레버부재(207)의 절단부(240)및 본체(204)의 제2의 절단부(96)(도43참조)및 조작레버부재(207)의 제3의 절단부(240)에 정합됨과 동시에 그 일단(도41의 좌측단말)은 조작레버부재(207)의 절단부(240)의 일단(도48의 좌측단말) 및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원벽부(112)에 형성된 제2의 절단부(128)의 일단(128a)에 정합된다.
다음에 부착대(200)의 토너보급개방구(72)를 거쳐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은 토너카트리지(2)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호퍼내에 토너를 보급하는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토너카트리지(2)를 부착대(200)에 대해서 보급위치에 장착시키고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이탈시키는 기본조작 및 각부재의 작용은 부착대(70)에 대한 조작과 실질상 동일하므로 주로 다른 조작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41,도42,도48 및 도49를 참조하면 토너카트리지(2)가 보급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토너카트리지(2)의 회전걸어맞춤편(26)이 수용대(208)의 제2의 절단부(146)에 삽입되므로서 회전걸어맞춤편(26)이 조작레버부재(207)의 제3의 절단부(240)를 거쳐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제2의 절단부(128)내에 위치지워진다.
회전걸어맞춤편(26)의 개방방향의 상류측의 일단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제2의 절단부(128)의 일단(128a)에 근접해서 위치지워진다.
토너카트리지(2)의 회전걸어맞춤편(26)과 잠금걸어맞춤편(28)은 도48의 라인 (L1)상에 위치지워진다.
이어서 토너카트리지(2)의 용기(4)를 주부재(8)와 함께 개방방향인 소정의 방향(도41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대략 90°회전시키면 주부재(8)는 용기셔터부재(10)에 대해서 동일각도 회전시켜지고 또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도 회전걸어맞춤편(26)이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제2의 절단부(128)의 일단(128a)에 맞닿게하는 것에 기인해서 주부재(8)와 일체적으로 동일각도 회전된다.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와 일체로 회전되는 조작레버부재(207)의 조작레버(232)는 본체(204)의 단말부(210a)에 근접한위치로부터 다른 단말부(210b)에 근접한위치까지 회전된다(도41의 2점사슬금위치).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 및 조작레버부재(207)는 도48의 위치로부터 도49의 위치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토너카트리지(2)의 회전걸어맞춤편(26)과 잠금걸어맞춤편(28)은 도49의 라인(L2)상에 위치지워진다.
조작레버부재(207)의 제4의 절단부(242)및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제1의 절단부(126)의 각각의 일단(도48의 좌측단말)은 수용대(208)의 걸어맞춤볼록부(148)(도35참조)에 근접한위치까지 회전시켜진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부재(8)의 관통개방구(20)의 각각, 용기셔터부재(10)의 통과개방구(48)의 각각, 수용대(208)의 통과개방구(138)의 각각,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통과개방구(114)의 각각, 및 본체(204)의 토너보급개방구(72)의 각각은 모두 정합되고 용기(4)에 수용된 토너는 호퍼로 배출된다.
토너카트리지(2)로부터 호퍼에의 토너의 보급이 완료된후 토너카트리지(2)를 부착대(200)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에는 토너카트리지(2)의 용기(4)를 주부재(8)와 함께 폐색방향인 상기와 역방향(도41의 반시계방향)으로 대략 90°회전시키므로서 토너카트리지(2)를 상기한 보급위치로 복귀시킬 수가 있다.
이 회전에 있어서 토너카트리지(2)의 회전걸어맞춤편(26)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제2의 절단부(128)의 일단(128a)으로부터 떨어지고 제2의 절단부(128)에 따라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 및 조작레버부재(207)에 대해서 독립해서 회전(유동)하고 타단(128b)에 근접한 위치에서 정지한다(도49에서 라인 L1으로 표시하는위치). 이 작용에 의해 조작레버부재(207)및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은 도48에 나타내는 본래위치로부터 90°시계방향으로 회전된 폐색위치(도49에나타내는위치)에 남게된다.
주부재(8)의 관통개방구(20)의 각각은 용기셔터부재(10)에 의해 폐색된다.
따라서 주부재(8)의 관통개방구의 각각은 용기셔터부재(10)에 의해 폐색되지만 수용대(208)의 통과개방구(138)의 각각 및 토너보급개방구(72)의 각각은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에 의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토너카트리지의(2)의 관통개방구(20)의 각각이 폐색되는 과정에서 토너카트리지(2)내의 잔류토너가 낙하해도 토너보급개방구(72)의 각각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상면에 토너가 잔류하는일이없고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 및 그주변의 토너에의한 오염이 방지된다.
도4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부재(207)및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가 도48에 나타내는 본래위치로부터 90°시계방향으로 회전된 개방위치(도49에 표시된위치)로남겨서 토너카트리지(2)의 회전걸어맞춤편(26)이 라인 (L2)상의 위치로부터 라인(L1)상의위치까지 회전된 상태에서 토너카트리지(2)를 부착대(200)로부터 이탈시키려고해도 조작레버부재(207)의 내부가장자리부측이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의 제2의 절단부(128)의 위쪽에 중첩되고있으므로 토너카트리지(2)의 회전걸어맞춤편(26)의 이탈이동이 그 중첩부에 간섭되어서 저지된다.
따라서 토너보급개방구(72)의 각각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토너카트리지(2)의 부착대(200)로부터의 이탈은 확실히 저지된다.
따라서 호퍼내에 물질을 낙하시키거나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이 충분히 확실히 방지된다.
이어서 조작레버(232)를 90°도41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서 조작레버부재(207)및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는 도49의 개방위치로부터 도48의 폐색위치까지 회전된다.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는 폐색위치에 위치지워지고 토너보급개방구(72)의 각각은 폐색된다.
이어서 토너카트리지(2)를 부착대(200)로부터 축방향위쪽으로 이동시키므로서 토너카트리지(2)를 부착대(20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킬 수가 있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토너보급장치 및 거기에 사용되는 토너카트리지의 아주 적당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는일이없이 각종변형 혹은 수정이 가능한것은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보급개방구 셔터부재(206)는 그 상단에 장착된 조작레버부재(207)의 조작레버(232)에 의해 폐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조작레버(232)를 보급개방구셔터부재(206)에 일체로 설치해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퍼내에 물질을 낙하시키거나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충분히 확실히 방지된다.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시켜서 장착하는 형태의 호퍼에 본 발명을 적용한경우에는 장착시키는때의 진동등에 의해 호퍼내의 토너가 토너보급개방구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고 주변의 오염 혹은 토너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현상기능의 열화 혹은 현상장치의 손상등의 불합리함이 확실히 방지되고 양호한 화상의 형성이 보증된다.

Claims (36)

  1. 호퍼에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토너보급개방구(72)가 형성된 부착대(70)와 토너보급개방구(72)로부터 토너를 보급할 수 있는 보급위치에 부착대(70)에 대해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시킬 수 있는 토너카트리지를 포함하고, 그 토너카트리지는 토너를 수용하는 용기(4)와 그 용기(4)의 하단부에 배치된 셔터기구(6)를 구비하고, 셔터기구(6)는 실질상 용기(4)와 일체이며 또한 관통개방구(20)가 형성된 저면벽(18)을 포함하는 주부재(8)와 통과개방구(48)가 형성된 저면벽(18)을 포함하고, 또한 주부재(8)에 대해 관통개방구(20)를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통과개방구(48)가 관통개방구(20)에 정합되므로서 관통개방구(20)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주부재(8)의 외측에 배치된 용기셔터부재(10)를 구비하고, 그 용기셔터부재(10)에는 부착대(70)에 배치된 회전저지수단에 걸어맞추어지는 피회전저지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토너보급장치에 있어서, 부착대(70)에는 토너보급개방구(72)를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토너보급개방구(72)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와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회전을 저지해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를 폐색위치로 유지하는 잠금위치와 회전을 허용하는 잠금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이 자유로운 잠금핀부재를 포함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되고, 용기셔터부재(10)에는 잠금해제수단이 배치되고, 주부재(8)에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에 배치된 피걸어맞춤수단에 걸어맞추어져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를 회전시킬 수 있는 걸어맞춤수단이 배치되고, 용기셔터부재(10)의 피회전저지수단을 부착대(70)의 회전저지수단에 걸어맞추므로서 토너카트리지가 보급위치에 장착됨과 동시에 용기셔터부재(10)의 잠금해제수단이 부착대(70)의 잠금핀부재를 잠금해제위치에 이동시키고 또한 주부재(8)의 걸어맞춤수단이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피걸어맞춤수단에 걸어맞추어지고, 용기(4)를 용기셔터부재(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므로서 용기셔터부재(10)는 주부재(8)에 대해 상대적으로 개방위치로 회전시켜지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는 개방위치로 회전시켜지고 또한 관통개방구(20)와 토너보급개방구(72)가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부착대(70)는 본체(74)를 포함하고 본체(74)는 수평으로 뻗어 있는 천정벽(80)과 그 천정벽(8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오목부(82)를 구비하고 오목부(82)는 원통부(84)와 원통부(84)의 하단에 있어서 수평으로 뻗어 있는 저면벽(86)을 구비하고 저면벽(86)에는 토너보급개방구(72)가 형성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는 수평으로 뻗어 있고 또한 원형의 원주가장자리를 갖는 저면벽(86)과 그 저면벽(86)의 원주가장자리로부터 위쪽으로 뻗어 있는 원벽부(112)를 구비함과 동시에 오목부(82)내에 이탈이 자유롭고 또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저면벽(86)에는 통과개방구(48)가 형성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가 폐색위치에 있는때에는 본체(74)의 토너보급개방구(72)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저면벽(86)에 의해 폐색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가 개방위치에 있는때에는 통과개방구(48)와 토너보급개방구(72)가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잠금수단은 본체(74)의 저면벽(86)의 원주가장자리부에 근접한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 있고 또한 하단이 저면벽(86)에 의해 폐색된 오목부(82)와 그 오목부(82)내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된 잠금핀부재와 오목부(82)내에 배치되고 또한 잠금핀부재의 일부가 오목부(82)로부터 돌출한 잠금위치에 잠금핀부재를 지지하는 용수철부재를 구비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통과개방구(48)는 원호부를 갖고 그 원호부와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저면벽(86)의 원주가장자리와의 사이에는 원호상의 띠부가 형성되고 띠부에는 원호상의 절단부(29)가 형성되고 절단부(29)가 잠금위치에 있는 잠금핀부재의 외부원주면의 일부에 해제가 자유롭게 걸어맞추므로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회전이 잠금되어서 그 폐색위치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잠금핀부재의 외부원주면은 큰직경부와 그 큰직경부의 상단에 형성된 적은 직경부를 포함하고 절단부(29)가 끼워맞추어지는 잠금핀부재의 외부원주면의 일부는 큰 직경부의 외부원주면의 일부이며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저면벽(86)에는 통과개방구(48)의 원주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뻗는 원호상의 슬릿이 형성되고 그 슬릿의 반경방향외측의 원주면은 통과개방구(48)의 원호부의 원주면과 실질상 공통의 축심을 갖는 연속된 원주면상에 위치지워지고 그 슬릿의 폭은 적은직경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잠금해제위치에 있어서 잔금핀부재의 큰직경부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저면벽(86)로부터 아래쪽으로 위치지워지므로서 절단부(29)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동시에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의 개방방향회전은 슬릿이 잠금핀부재의 적은직경부를 끼워서 이동하므로서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본체(74)의 오목부의 원통부에는 제1의 절단부(60)및 제2의 절단부(62)가 형성되고 제1의 절단부(60) 및 제2의 절단부(62)는 원통부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각각 원통부의 상단으로부터 본체(74)의 저면벽(86)로 향해서 소정의 원주방향폭을 갖고 뻗어 있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에는 제1의 절단부(60) 및 피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하는 제2의 절단부(62)가 형성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60) 및 제2의 절단부(62)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각각 원벽부(112)의 상단으로부터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저면벽(86)으로향해서 소정의 원주방향폭을 갖고 뻗어 있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가 폐색위치에 있을 때에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2의 절단부(62)는 본체(74)의 제2의 절단부(62)와 원주방향위치가 정합되고 또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60)의 개방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일단은 본체(74)의 제1의 절단부(60)의 개방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일단에 정합함과 동시에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60)의 개방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타단은 본체(74)의 제1의 절단부(60)의 개방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타단과 본체(74)의 제2의 절단부(62)와의 사이의 원주방향위치에 위치지워지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의 상단은 본체(74)의 천정벽(80)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지워지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가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에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60)의 타단은 본체(74)의 제1의 절단부(60)의 타단을 개방방향으로 넘지 않는 위치로 위치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부착대(70)는 수용대(78)를 포함하고 수용대(78)는 수평으로 뻗어 있는 부착판과 그 부착판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오목부는 원통부와 원통부의 하단에 있어서 수평으로뻗는 저면벽(86)을 구비하고 저면벽(86)에는 통과개방구(48) 및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관통구멍은 잠금핀부재의 적은직경부에 이탈이 자유롭게 끼워맞출 수 있는 직경을 갖고 원통부의 외경은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의 내경보다 적게 규정되고 원통부에는 제1의 절단부(60) 및 제2의 절단부(62)와 걸어맞춤볼록부(68)와 제1의 슬릿(64) 및 제2의 슬릿(66)이 형성되고 제1의 절단부(60) 및 제2의 절단부(62)는 원통부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각각 원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수용대(78)의 저면벽(86)으로 향해서 소정의 원주방향폭을 갖고 뻗어 있고 걸어맞춤볼록부(68)는 제1의 절단부(60)의 원주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반경방향바깥쪽으로 뻗는 측면벽과 측면벽의 반경방향외측단말간에 뻗어 있는 원호벽 및 측면벽의 하단간에 뻗어 있는 저면벽(86)으로 이루어지고, 원호벽에는 원호벽의 내부원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안쪽으로 뻗는 돌기가 형성되고 제1의 슬릿(64)은 제1의 절단부(60)의 일단으로부터 또 제2의 슬릿은(66) 제2의 절단부(62)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개방방향으로 향해서 소정의길이 뻗어 있고 수용대(78)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가 폐색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부착판이 본체(74)의 천정벽(80)상에 중합되는 형태로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수용대(78)가 본체(74)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대(78)의 걸어맞춤볼록부(68)는 본체(74)의 제1의 절단부(60)내에 끼워맞추어지므로서 수용대(78)의 원통부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의 내측에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위치지워지고 걸어맞춤볼록부(68)의 하단은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60)의 상단에 대해 간격을 두고 위치지워지고 수용대(78)의 제2의 절단부(62)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 및 본체(74)의 제2의 절단부(62)와 원주방향위치가 정합되고 수용대(78)의 관통구멍은 잠금핀부재의 적은직경부에 축방향으로 상대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고 수용대(78)의 통과개방구(48)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저면벽(86)에 의해 차폐된 상태로 본체(74)의 토너보급개방구(72)와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토너카트리지의 용기셔터부재(10)와 주부재(8)의 사이에는 각각의 상대적회전을 저지하는 잠금위치와 각각의 상대적회전을 허용하는 잠금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잠금부재(30)가 배치되고 잠금부재(30)는 축방향의 위쪽으로 이동되므로서 잠금위치로부터 잠금해제위치로 위치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토너카트리지의 용기셔터부재(10) 및 주부재(8)는 각각 원통부를 구비하고 주부재(8)의 원통부는 용기셔터부재(10)의 원통부의 반경방향내측으로 위치지워지고 용기셔터부재(10)의 원통부에는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의 절단부(60) 및 제2의 절단부(62)와 제1의 슬릿(64) 및 제2의 슬릿(66)이 형성되고 제1의 절단부(60) 및 제2의 절단부(62)는 원통부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각각 원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용기셔터부재(10)의 저면벽(18)으로 향해서 소정의 원주방향폭을 갖고 뻗어 있고 제1의 슬릿(64)은 제1의 절단부(60)의 일단으로부터 또 제2의 슬릿(66)은 제2의 절단부(62)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용기셔터부재(10)의 개방방향으로 향해서 소정의 길이를 뻗어 있고 주부재(8)의 원통부의 외부원주면에는 환상의 오목부와 제1의 절단부(60)를 통해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어 있음과 동시에 제1의 슬릿(64)에 따라 상대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 잠금걸어맞춤편(28)과 제2의 절단부(62)를 통해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어 있음과 동시에 제2의 슬릿(66)에 따라 상대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 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하는 회전걸어맞춤편(26)이 형성되고 잠금부재(3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판부재로 형성되고 또한 2개의 단말부를 가짐과 동시에 나사선형상을 한 본체(74)부와 단말부의 한쪽에 형성된 잠금부를 구비하고 환상의 오목부에는 잠금부재(30)가 그 단말부의 각각이 실질상 원주방향에 대향하는 원형상으로 탄성변형된 상태로 장착됨과 동시에 잠금부가 제1의 절단부(60)내에 축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으나 원주방향으로는 실질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위치지워지고 잠금부는 그 탄성에 의해 축방향아래쪽으로 가세되어서 잠금걸어맞춤편(28)의 이동을 저지하는 잠금위치에 위치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잠금위치에 있는 잠금부는 가세에 대항해서 축방향위쪽으로향하는 힘을 받으면 절단부(29)에 따라서 동일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잠금걸어맞춤편(28)의 이동을 허용하는 잠금해제위치에 위치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잠금부는 반경방향바깥쪽으로 뻗는 잠금플랜지부(34)와 잠금플랜지부(34)로부터 축방향의 아래쪽으로 뻗는 잠금고리부(36)를 구비하고 환상의 오목부는 주부재(8)의 원통부의 외부원주면에 따라 뻗어 있고 또한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지워진 한쌍의 플랜지(24)를 포함하고 축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플랜지(24)의 한쪽에는 잠금걸어맞춤편(28)과 회전걸어맞춤편(26)과 절단부(29)가 형성되고 플랜지(24)의 한쪽에 형성된 잠금걸어맞춤편(28) 및 절단부(29)는 용기셔터부재(10)의 원통부에 형성된 제1의 절단부(29)의 원주방향폭내에 위치지워지고 플랜지(24)의 한쪽에 형성된 절단부(29)는 제1의 슬릿측에 위치지워지고, 잠금부재(30)의 잠금위치는 잠금고리부(36)가 플랜지(24)의 한쪽에 형성된 절단부(29)에 끼워맞추어지므로서 규정되고 잠금해제위치는 잠금고리부(36)가 플랜지(24)의 한쪽에 형성된 절단부(29)로부터 축방향의 위쪽으로 이탈하므로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용기셔터부재(10)의 잠금해제수단은 용기셔터부재(10)의 저면벽(18)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잠금해제핀(50)으로 이루어지고 토너카트리지가 부착대(70)에 대해 보급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용기셔터부재(10)의 원통부는 수용대(78)의 원통부내에 위치지워지고 주부재(8)의 잠금걸어맞춤편(28) 및 주부재(8)에 장착된 잠금부재(30)의 잠금플랜지부(34)는 수용대(78)의 제1의 절단부(60)에 위치지워지고 주부재(8)의 회전걸어맞춤편(26)은 수용대(78)의 제2의 절단부(62)내에 위치지워짐과 동시에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2의 절단부(62)에 걸어맞추어지고 주부재(8)에 장착된 잠금부재(30)는 수용대(78)의 제1의 절단부(60)에 형성된 돌기가 잠금플랜지부(34)를 축방향위쪽으로 이동시키므로서 잠금해제위치에 위치지워지고 잠금해제핀(50)은 수용대(78)의 관통구멍에 정합되어서 본체(74)의 잠금핀부재를 용수철부재의 가세력에 대항해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원호상의 절단부(29)와 걸어맞추어진 잠금위치로부터 절단부(29)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잠금해제위치로 이동시켜서 유지하고 토너카트리지의 용기(4)를 주부재(8)와 함께 용기셔터부재(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므로서 주부재(8)는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회전되고 주부재(8)의 잠금걸어맞춤편(28)은 수용대(78)의 제1의 슬릿에 따라 회전되고 주부재(8)의 회전걸어맞춤편(26)은 수용대(78)의 제2의 슬릿에 따라 회전됨과 동시에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를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 회전시키고 주부재(8)의 관통개방구(20), 용기셔터부재(10)의 통과개방구(48), 수용대(78)의 통과개방구,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통과개방구, 및 본체(74)의 토너보급개방구(72)가 정합시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용기셔터부재(10)의 원통부의 외부원주면에는 반경방향바깥쪽으로 수평으로 뻗어나온 환상의 플랜지(24)가 형성되고 회전저지수단은 수용대(78)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위치결정핀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저지수단은 용기셔터부재(10)의 플랜지(24)에 형성되어서 위치결정핀에 이탈이 자유롭게 걸어맞추어지는 위치결정구멍(56)으로 이루어지고 보급위치는 위치결정구멍(56)이 그 위치결정핀에 걸어맞추어지므로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수용대(78)의 부착판의 상면에는 환상플랜지(24)가 형성되고 환상플랜지(24)의 내경은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위치결정핀은 환상플랜지(24)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토너카트리지가 보급위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용기셔터부재(10)의 플랜지(24)가 수용대(78)의 환상플랜지(24)의 상단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에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에 대해 반경방향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조작레버가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피걸어맞춤수단은 주부재(8)의 걸어맞춤수단의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를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회전시키는 개방방향회전에 대해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부와 주부재(8)의 걸어맞춤수단의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를 개방위치로부터 폐색위치로 회전시키는 폐색방향회전에 대해 폐색방향회전을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에 대해서 독립해서 허용하는 유동공간부를 구비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폐색방향회전은 조작레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부착대(70)는 본체(74)를 포함하고 본체(74)는 수평으로 뻗어 있는 천정벽(80)과 그 천정벽(8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환상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환상의 오목부는 원통부와 원통부의 하단에 있어서 수평으로 뻗어 있는 저면벽(18)을 구비하고, 저면벽(18)에는 토너보급개방구(72)가 형성되고,원통부의 상단에는 천정벽의 상면보다 낮은 원호상의 오목부가 그 상단에 따라 형성되고 원호상의 오목부는 일정한 높이를 갖은 원호상의 벽과 동일수평면상을 일정한 반경방향의 폭을 갖고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호상의 저면벽(18)을 구비하고 원호상의 오목부의 양단간에는 소정의 각도범위의 공간이 형성되고 각도범위의 전역의 천정벽(80)에는 원호상의 저면벽(18)보다 낮은 평탄한 상면이 형성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는 수평으로 뻗고 또한 원형의 원주가장자리를 갖는 저면벽(18)과 저면벽(18)의 원주가장자리로부터 위쪽으로 뻗어 있는 원벽부(112)를 구비함과 동시에 환상의 오목부내에 이탈이 자유롭게 또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저면벽(18)에는 통과개방구(48)가 형성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가 폐색위치에 있을 때에는 본체(74)의 토너보급개방구(72)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저면벽(18)에 의해 폐색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가 개방위치에 있는때에는 통과개방구(48)와 토너보급개방구(72)가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잠금수단은 본체(74)의 원통부의 하단의 저면벽(18)의 원주가장자리부에 근접한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 있고 또한 하단이 저면벽(18)에 의해 폐색된 오목부와 그 오목부내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된 잠금핀부재와 오목부내에 배치되고 또한 잠금핀부재의 일부가 오목부로부터 돌출한 잠금위치에 잠금핀부재를 지지하는 용수철부재를 구비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통과개방구(48)는 원호부를 갖고 그 원호부와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저면벽(18)의 원주가장자리와의 사이에는 원호상의 띠부가 형성되고 띠부에는 원호상의 절단부(29)가 형성되고 절단부(29)가 잠금위치에 있는 잠금핀부재의 외부원주면의 일부에 해제가 자유롭게 걸어맞추므로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회전이 잠금되어서 그 폐색위치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잠금핀부재의 외부원주면은 큰직경부와 그 큰직경부의 상단에 형성된 적은직경부를 포함하고 절단부(29)가 끼워맞추어지는 잠금핀부재의 외부원주면의 일부는 큰직경부의 외부원주면의 일부이며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저면벽(18)에는 통과개방구(48)의 원주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뻗는 원호상의 슬릿이 형성되고 그 슬릿의 반경방향외측의 원주면은 통과개방구(48)의 원호부의 원주면과 실질상 공통의 축심을 갖는 연속된 원주면상에 위치지워지고 그 슬릿의 폭은 적은직경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잠금해제위치에 있어서 잔금핀부재의 큰직경부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저면벽(18)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위치지워지므로서 절단부(29)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동시에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의 회전은 슬릿이 잠금핀부재의 적은직경부를 끼워서 이동하므로서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본체(74)의 환상의 오목부의 원통부에는 제1의 절단부(60)및 제2의 절단부(62)가 형성되고 제1의 절단부(60) 및 제2의 절단부(62)는 원통부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각각 원통부의 상단으로부터 본체(74)의 저면벽(86)으로향해서 소정의 원주방향폭을 갖고 뻗어 있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에는 제1의 절단부(60) 및 피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하는 제2의 절단부(62)가 형성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60) 및 제2의 절단부(62)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각각 원벽부(112)의 상단으로부터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저면벽(86)으로 향해서 소정의 원주방향폭을 갖고 뻗어 있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2의 절단부(62)의 개방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일단은 주부재(8)의 걸어맞춤수단의 개방방향회전에 대해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부를 규정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2의 절단부(62)의 일단과 개방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타단과의 사이의 원주방향의 공간은 유동공간을 규정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의 상단의 제1의 절단부(60) 및 제2의 절단부(6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동일수평면상에 있는 상단면을 규정하고 그 상단면에는 축방향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2개의 걸어맞춤돌기부가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형성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가 폐색위치에 있는때에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2의 절단부(62)의 그 일단은 본체(74)의 제2의 절단부(62)의 개방방향의 일단과 정합되고 또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60)의 개방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일단은 본체(74)의 제1의 절단부(60)의 개방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일단에 정합됨과 동시에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60)의 개방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타단은 본체(74)의 제1의 절단부(60)의 개방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타단과 본체(74)의 제2의 절단부(62)와의 사이의 원주방향위치에 위치지워지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의 상단면은 본체(74)의 원호상의 저면벽(86)의 상면과 실질상 동일면상 또는 약간 낮게 위치지워지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걸어맞춤돌기부의 각각의 상면은 본체(74)의 천정벽(80)의 최상면과 실질상 동일면상 또는 약간 낮게 위치지워지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가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에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60)의 타단은 본체(74)의 제1의 절단부(60)의 타단을 개방방향으로 넘지 않은 위치에 위치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조작레버부재(207)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박판으로 형성되고 또한 원환상의 본체(74)와 그 본체(74)에 대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조작레버로 이루어지고 그 외부원주가장자리는 본체(74)의 원호상의 오목부의 원호상의 벽보다 약간 적은 반경을 갖고 그 내부원주가장자리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의 내부원주면과 실질상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내부원주가장자리에는 제1의 절단부(236) 제2의 절단부(238) 제3의 절단부(240) 및 제4의 절단부(242)가 형성되고 제1의 절단부(236) 및 제2의 절단부(238)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206)의 걸어맞춤돌기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원주방향위치에 형성되고 제1의 절단부(236) 및 제2의 절단부(238)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의 깊이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206)의 원벽부(112)의 두께와 동일하게 규정되고 제1의 절단부(236) 및 제2의 절단부(238)의 원주방향의 길이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206)의 대응하는 걸어맞춤돌기부에 대해 실질상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규정되고 제3의 절단부(240)는 제1의 절단부(236) 및 제2의 절단부(238)간의 한쪽의 원주방향위치에 형성됨과 동시에 그 원주방향길이는 주부재(8)의 걸어맞춤수단의 축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길이로 규정되고 제4의 절단부(242)는 제1의 절단부(236) 및 제2의 절단부(238)간의 다른쪽의 원주방향위치로서 보급개방구셔터부재(206)의 제1의 절단부(236)의 원주방향위치에 대응하는위치에 형성되고 제4의 절단부(242)의 원주방향길이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206)의 제1의 절단부(236)의 원주방향길이와 실질상 동일하게 규정되고 조작레버부재(207)는 제1의 절단부(236) 및 제2의 절단부(238)가 본체(74)의 환상의 오목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진 보급개방구셔터부재(206)의 대응하는 걸어맞춤돌기부에 걸어맞추므로서 보급개방구셔터부재(206)의 상단면에 탑재된 상태로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장착됨과 동시에 조작레버부재(207)의 상단면에 탑재된부분보다 반경방향바깥쪽의 하면은 본체(74)의 원호상의 오목부의 원호상의 저면벽(214)상에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탑재되고 또한 조작레버부재(207)의 상면은 걸어맞춤돌기부의 각각의 상면과 실질상 동일면상에 위치지워지고 조작레버부재(207)의 제3의 절단부(236)의 개방방향의 상류측의 일단은 보급개방구셔터부재(206)의 제2의 절단부(238)의 개방방향의 상류측의 일단에 정합되고 조작레버부재(207)의 제4의 절단부(242)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206)의 제1의 절단부(236)에 정합되고 조작레버부재(207)의 조작레버는 본체(74)의 원호상의 오목부의 개방방향의 하류측의 일단에 근접해서 위치지워짐과 동시에 본체(74)의 원호상의 저면벽(214)보다 낮은 평탄한 상면상에 간격을 두고 위치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부착대(70)는 수용대(78)를 포함하고 수용대(78)는 수평으로 뻗어 있는 부착판과 그 부착판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부착판은 본체(74)의 원호상의 오목부의 양단과 원주방향위치가 정합되는 양단부와 양단부간에 형성된 원호부를 갖고, 오목부는 원통부와 원통부의 하단에 있어서 수평으로뻗는 저면벽(18)을 구비하고, 저면벽(18)에는 통과개방구(48) 및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관통구멍은 잠금핀부재의 적은직경부에 이탈이 자유롭게 끼워맞출 수 있는 직경을 갖고, 원통부의 외경은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의 내경보다 적게 규정되고 원통부에는 제1의 절단부(60) 및 제2의 절단부(62)와 걸어맞춤볼록부(68)와 제1의 슬릿(64) 및 제2의 슬릿(66)이 형성되고, 제1의 절단부(60) 및 제2의 절단부(62)는 원통부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각각 원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수용대(78)의 저면벽(18)으로 향해서 소정의 원주방향폭을 갖고 뻗어 있고 걸어맞춤볼록부(68)는 제1의 절단부(60)의 원주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반경방향바깥쪽으로 뻗는 측면벽과 측면벽의 반경방향외측단말간에 뻗어 있는 원호벽 및 측면벽의 하단간에 뻗어 있는 저면벽(18)으로 이루어지고,원호벽에는 원호벽의 내부원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안쪽으로 뻗는 돌기가 형성되고 제1의 슬릿(64)은 제1의 절단부(60)의 일단으로부터 또 제2의 슬릿(66)은 제2의 절단부(62)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개방방향으로 향해서 소정의 길이 뻗어 있고, 조작레버부재(207)의 제4의 절단부(242)의 반경방향바깥쪽으로의 깊이는 수용대(78)의 걸어맞춤볼록부(68)에 대해서 상대회전될 수 있는 크기로 규정되고 수용대(78)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가 폐색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부착판이 본체(74)의 천정벽(80)의 최상부에 중합되는 형태로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수용대(78)가 본체(74)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대(78)의 걸어맞춤볼록부(68)는 본체(74)의 제1의 절단부(60)내 및 조작레버부재(207)의 제4의 절단부(242)내에 끼워맞추어지므로서 수용대(78)의 원통부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의 내측 및 조작레버부재(207)의 내부원주가장자리의 내측에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위치지워지고 걸어맞춤볼록부(68)의 하단은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60)의 상단에 대해 간격을두고 위치지워지고, 수용대(78)의 제2의 절단부(62)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 및 본체(74)의 제2의 절단부(62) 및 조작레버부재(207)의 제3의 절단부(240)와 원주방향위치가 정합되고 조작레버부재(207)의 조작레버는 부착판의 개방방향의 하류측의 일단부에 근접한위치에 위치지워지고 수용대(78)의 관통구멍은 잠금핀부재의 적은직경부에 축방향으로 상대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고 수용대(78)의 통과개방구(48)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저면벽(18)에 의해 차폐된 상태로 본체(74)의 토너보급개방구(72)와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토너카트리지의 용기셔터부재(10)와 주부재(8)와의 사이에는 각각의 상대적회전을 저지하는 잠금위치와 각각의 상대적회전을 허용하는 잠금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잠금부재(30)가 배치되고 잠금부재(30)는 축방향의 위쪽으로 이동되므로서 잠금위치로부터 잠금해제위치로 위치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토너카트리지의 용기셔터부재(10) 및 주부재(8)는 각각 원통부를 구비하고 주부재(8)의 원통부는 용기셔터부재(10)의 원통부의 반경방향내측으로 위치지워지고 용기셔터부재(10)의 원통부에는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의 절단부(60) 및 제2의 절단부(62)와 제1의 슬릿(64) 및 제2의 슬릿(66)이 형성되고 제1의 절단부(60) 및 제2의 절단부(62)는 원통부의 축심을 끼운 대칭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각각 원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용기셔터부재(10)의 저면벽(18)으로 향해서 소정의 원주방향폭을 갖고 뻗어 있고 제1의 슬릿(64)은 제1의 절단부(60)의 일단으로부터 또 제2의 슬릿(66)은 제2의 절단부(62)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용기셔터부재(10)의 개방방향으로 향해서 소정의 길이를 뻗어 있고 주부재(8)의 원통부의 외부원주면에는 환상의 오목부와 제1의 절단부(60)를 통해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어 있음과 동시에 제1의 슬릿(64)에 따라 상대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 잠금걸어맞춤편(28)과 제2의 절단부(62)를 통해서 반경방향바깥쪽으로 뻗어 있음과 동시에 제2의 슬릿(66)에 따라 상대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 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하는 회전걸어맞춤편(26)이 형성되고 잠금부재(3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판부재로 형성되고 또한 2개의 단말부를 가짐과 동시에 나사선형상을 한 본체(74)부와 단말부의 한쪽에 형성된 잠금부를 구비하고 환상의 오목부에는 잠금부재(30)가 그 단말부의 각각이 실질상 원주방향에 대향하는 원형상으로 탄성변형된 상태로 장착됨과 동시에 잠금부가 제1의 절단부(60)내에 축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으나 원주방향으로는 실질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위치지워지고 잠금부는 그 탄성에 의해 축방향아래쪽으로 가세되어서 잠금걸어맞춤편(28)의 이동을 저지하는 잠금위치에 위치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잠금위치에 있는 잠금부는 가세에 대항해서 축방향위쪽으로향하는 힘을 받으면 절단부(29)에 따라서 동일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잠금걸어맞춤편(28)의 이동을 허용하는 잠금해제위치에 위치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잠금부는 반경방향바깥쪽으로 뻗는 잠금플랜지부(34)와 잠금플랜지부(34)로부터 축방향의 아래쪽으로 뻗는 잠금고리부(36)를 구비하고 환상의 오목부는 주부재(8)의 원통부의 외부원주면에 따라 뻗어 있고 또한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지워진 한쌍의 플랜지(24)를 포함하고 축방향의 아래쪽에위치하는 플랜지(24)의 한쪽에는 잠금걸어맞춤편(28)과 회전걸어맞춤편(26)과 절단부(29)가 형성되고 플랜지(24)의 한쪽에 형성된 잠금걸어맞춤편(28) 및 절단부(29)는 용기셔터부재(10)의 원통부에 형성된 제1의 절단부(60)의 원주방향폭내에 위치지워지고 플랜지(24)의 한쪽에 형성된 절단부(60)는 제1의 슬릿(64)측에 위치지워지고,잠금부재(30)의 잠금위치는 잠금고리부(36)가 플랜지(24)의 한쪽에 형성된 절단부(29)에 끼워맞추어지므로서 규정되고 잠금해제위치는 잠금고리부(36)가 플랜지(24)의 한쪽에 형성된 절단부(29)로부터 축방향의 위쪽으로 이탈하므로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용기셔터부재(10)의 잠금해제수단은 용기셔터부재(10)의 저면벽(18)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잠금해제핀(50)으로 이루어지고 토너카트리지가 부착대(70)에 대해 보급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용기셔터부재(10)의 원통부는 수용대(78)의 원통부내에 위치지워지고 주부재(8)의 잠금걸어맞춤편(28) 및 주부재(8)에 장착된 잠금부재(30)의 잠금플랜지부(34)는 수용대(78)의 제1의 절단부(60)내에 위치지워지고 주부재(8)의 회전걸어맞춤편(26)은 수용대(78)의 제2의 절단부(62)내 및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2의 절단부(62)의 개방방향의 상류측의 일단에 근접해서 위치지워지고 주부재(8)에 장착된 잠금부재(30)는 수용대(78)의 제1의 절단부(60)에 형성된 돌기가 잠금플랜지부(34)를 축방향위쪽으로 이동시키므로서 잠금해제위치에 위치지워지고 잠금해제핀(50)은 수용대(78)의 관통구멍에 정합되어서 본체(74)의 잠금핀부재를 용수철부재의 가세력에 대항해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원호상의 절단부(29)와 걸어맞추어진 잠금위치로부터 절단부(29)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잠금해제위치로 이동시켜서 유지하고 레버부재의 조작레버(232)는 부착판의 개방방향의 하류측의 일단부에 근접한위치에 위치지워지고 토너카트리지의 용기(4)를 주부재(8)와 함께 용기셔터부재(10)에 대해 상대적으로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서 주부재(8)는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회전되고 주부재(8)의 잠금걸어맞춤편(28)은 수용대(78)의 제1의 슬릿(64)에 따라 회전되고 주부재(8)의 회전걸어맞춤편(26)은 수용대(78)의 제2의 슬릿(66)에 따라 회전됨과 동시에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를 조작레버부재(207)와 함께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 회전시키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60) 및 조작레버부재(207)의 제4의 절단부(242)의 각각의 개방방향의 하류측의 타단은 수용대(78)의 걸어맞춤볼록부(86)의 개방방향의 하류측의 타단에 근접한 위치까지 회전시키고 조작레버부재(207)의 조작레버는 부착판의 개방방향의 상류측의 타단부에 근접한위치까지 회전되고 주부재(8)의 관통개방구(20), 용기셔터부재(10)의 통과개방구(48), 수용대(78)의 통과개방구,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통과개방구, 및 본체(74)의 토너보급개방구(72)가 정합시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토너카트리지의 용기(4)를 주부재(8)와 함께 용기셔터부재(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폐색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서 주부재(8)는 개방위치로부터 폐색위치로 회전되고 주부재(8)의 잠금걸어맞춤편(28)은 수용대(78)의 제1의 슬릿(64)에 따라서 회전되고 주부재(8)의 회전걸어맞춤편(26)은 수용대(78)의 제2의 슬릿(66)에 따라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 및 조작레버부재(207)에 대해서 독립해서 회전되어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3의 절단부(240)의 개방방향의 하류측의 타단에 근접해서 위치지워지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제1의 절단부(236) 및 조작레버부재(207)의 제4의 절단부(242)의 각각의 개방방향의 상류측의 일단은 수용대(78)의 걸어맞춤볼록부(86)의 개방방향의 상류측의 일단에 근접한 위치까지 회전되고 주부재(8)의 관통개방구(20)는 용기셔터부재(10)의 저면벽(18)에 의해 폐색되지만 수용대(78)의 통과개방구,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통과개방구 및 본체(74)의 토너보급개방구(72)는 정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조작레버부재(207)의 조작레버를 부착판의 개방방향의 상류측의 타단부에 근접한위치로부터 부착판의 개방방향의 하류측의 일단부에 근접한 위치까지 회전시키므로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는 개방위치로부터 폐색위치까지 회전되고 수용대(78)의 통과개방구(48) 및 본체(74)의 토너보급개방구(72)는 상호 정합된 상태에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저면벽(18)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용기셔터부재(10)의 원통부의 외부원주면에는 반경방향바깥쪽으로 수평으로 뻗어나온 환상의 플랜지(24)가 형성되고 회전저지수단은 수용대(78)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위치결정핀으로 이루어지고 피회전저지수단은 용기셔터부재(10)의 플랜지(24)에 형성되어서 위치결정핀에 이탈이 자유롭게 걸어맞추어지는 위치결정구멍(56)으로 이루어지고 보급위치는 위치결정구멍(56)이 그 위치결정핀에 걸어맞추어지므로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수용대(78)의 부착판의 상면에는 환상플랜지(24)가 형성되고 환상플랜지(24)의 내경은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원벽부(1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위치결정핀은 환상플랜지(24)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토너카트리지가 보급위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용기셔터부재(10)의 플랜지(24)가 수용대(78)의 환상플랜지(24)의 상단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보급장치.
  30. 호퍼에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토너보급개방구(72)가 형성되고 토너보급개방구(72)를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토너보급개방구(72)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와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회전을 저지해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를 폐색위치로 유지하는 잠금위치와 회전을 허용하는 잠금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이 자유로운 잠금부재(30)를 포함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부착대(70)에 대해, 토너보급개방구(72)로부터 토너를 보급할 수 있는 보급위치에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시킬 수 있는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토너를 수용하는용기(4)와 그 용기(4)의 하단부에 배치된 셔터기구(6)를 구비하고 셔터기구(6)는 실질상 용기(4)와 일체이며 또한 관통개방구(20)가 형성된 주부재(8)와, 주부재(8)에 대해 관통개방구(20)를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관통개방구(20)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주부재(8)의 외측에 배치된 용기셔터부재(10)를 구비하고, 그 용기셔터부재(10)에는 부착대(70)에 배치된 회전저지수단에 걸어맞추어지는 피회전저지수단이 배치되고, 용기셔터부재(10)에는 잠금해제수단이 배치되고 주부재(8)에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에 배치된 피걸어맞춤수단에 걸어맞추어져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를 회전시킬 수 있는 걸어맞춤수단이 배치되고, 용기셔터부재(10)의 피회전저지수단을 부착대(70)의 회전저지수단에 걸어맞추므로서 보급위치에 장착됨과 동시에 용기셔터부재(10)의 잠금해제수단이 부착대(70)의 잠금부재(30)를 잠금해제위치에 이동시키고, 또한 주부재(8)의 걸어맞춤수단이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피걸어맞춤수단에 걸어맞추어지고, 용기(4)를 용기셔터부재(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므로서 용기셔터부재(10)는 주부재(8)에 대해 상대적으로 개방위치로 회전시켜지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는 개방위치로 회전시켜지고 또한 관통개방구(20)와 토너보급개방구(72)가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31. 걸어맞춤수단이 배치된 토너카트리지로서 호퍼에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토너보급개방구(72)가 형성되고 토너보급개방구(72)를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토너보급개방구(72)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와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회전을 저지해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를 폐색위치로 유지하는 잠금위치와 회전을 허용하는 잠금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이 자유로운 잠금부재(30)를 포함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에는 피걸어맞춤수단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어 있고 또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 조작레버가 배치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피걸어맞춤수단은 걸어맞춤수단의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를 폐색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회전시키는 개방방향회전에 대해서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수단의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를 개방위치로부터 폐색위치로 회전시키는 폐색방향회전에 대해서 그 폐색방향회전을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에 대해서 독립해서 허용하는 유동공간부를 구비하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폐색방향회전은 조작레버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된 부착대(70)에 대해 토너보급개방구(72)로부터 토너를 보급할 수 있는 보급위치에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토너를 수용하는용기(4)와 그 용기(4)의 하단부에 배치된 셔터기구(6)를 구비하고 셔터기구(6)는 실질상 용기(4)와 일체이며 또한 관통개방구(20)가 형성된 주부재(8)와 주부재(8)에 대해 관통개방구(20)를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관통개방구(20)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주부재(8)의 외측에 배치된 용기셔터부재(10)를 구비하고, 그 용기셔터부재(10)에는 부착대(70)에 배치된 회전저지수단에 걸어맞추어지는 피회전저지수단이 배치되어 있고, 용기셔터부재(10)에는 잠금해제수단이 배치되고 주부재(8)에는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피걸어맞춤수단에 걸어맞추어져서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를 회전시킬 수 있는 걸어맞춤수단이 배치되고, 용기셔터부재(10)의 피회전저지수단을 부착대(70)의 회전저지수단에 걸어맞추므로서 보급위치에 장착됨과 동시에 용기셔터부재(10)의 잠금해제수단이 부착대(70)의 잠금부재(30)를 잠금해제위치에 이동시키고 또한 주부재(8)의 걸어맞춤수단이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의 피걸어맞춤수단에 걸어맞추어지고, 용기(4)를 용기셔터부재(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므로서 용기셔터부재(10)는 주부재(8)에 대해 상대적으로 개방위치로 회전시켜지고 보급개방구셔터부재(76)는 개방위치로 회전시켜지고 또한 관통개방구(20)와 토너보급개방구(72)가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32. 호퍼에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토너보급개방구(72)가 형성된 부착대(70)에 대해 그 토너보급개방구(72)로부터 토너를 보급할 수 있는 보급위치에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될 수 있음과 동시에, 토너를 수용하는용기(4)와 그 용기(4)의 하단부에 배치된 셔터기구(6)를 구비하고 셔터기구(6)는 실질상 용기(4)와 일체이며 또한 관통개방구(20)가 형성된 주부재(8)와 주부재(8)에 대해 관통개방구(20)를 폐색시키는 폐색위치와 관통개방구(20)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주부재(8)의 외측에 배치된 용기셔터부재(10)를 구비하고있는 토너카트리지에 있어서, 용기셔터부재(10)와 주부재(8)와의 사이에는 각각의 상대적회전을 저지하는 잠금위치와 각각의 상대적회전을 허용하는 잠금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잠금부재(30)가 배치되고 잠금부재(30)는 축방향의 위쪽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잠금위치로부터 잠금해제위치로 위치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33. 제32항에 있어서,
    용기셔터부재(10) 및 주부재(8)는 각각 원통부를 구비하고 주부재(8)의 원통부는 용기셔터부재(10)의 원통부의 반경방향내측으로 위치지워지고 용기셔터부재(10)의 원통부에는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절단부(29)와 절단부(29)의 하단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슬릿이 형성되고 주부재(8)의 원통부의 외부원주면에는 환상의 오목부와 절단부(29)를 통해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어 있음과 동시에 슬릿에 따라 상대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 잠금걸어맞춤편(28)이 형성되고 잠금부재(3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판부재로 형성되고 또한 2개의 단말부를 가짐과 동시에 나사선형상을 한 본체(74)부와 단말부의 한쪽에 형성된 잠금부를 구비하고 환상의 오목부에는 잠금부재(30)가 그 단말부의 각각이 실질상 원주방향에 대향하는 원형상으로 탄성변형된 상태로 장착됨과 동시에 잠금부가 절단부(29)내에 축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으나 원주방향으로는 실질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위치지워지고 잠금부는 그 탄성에 의해 축방향아래쪽으로 가세되어서 잠금걸어맞춤편(28)의 이동을 저지하는 잠금위치에 위치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34. 제33항에 있어서,
    잠금위치에 있는 잠금부는 가세에 대항해서 축방향위쪽으로향하는 힘을 받으면 절단부(29)에 따라서 동일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잠금걸어맞춤편(28)의 이동을 허용하는 잠금해제위치에 위치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35. 제33항에 있어서,
    잠금부는 반경방향바깥쪽으로 뻗는 잠금플랜지부(34)와 잠금플랜지부(34)로부터 축방향의 아래쪽으로 뻗는 잠금고리부(36)를 구비하고 환상의 오목부는 주부재(8)의 원통부의 외부원주면에 따라 뻗어 있고 또한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지워진 한쌍의 플랜지(24)를 포함하고 축방향의 아래쪽에위치하는 플랜지(24)의 한쪽에는 잠금걸어맞춤편(28)과 절단부(29)가 형성되고 플랜지(24)의 한쪽에 형성된 잠금걸어맞춤편(28) 및 절단부(29)는 용기셔터부재(10)의 원통부에 형성된 절단부(29)의 원주방향폭내에 위치지워지고 플랜지(24)의 한쪽에 형성된 절단부(29)는 슬릿측에 위치지워지고, 잠금위치는 잠금고리부(36)가 플랜지(24)의 한쪽에 형성된 절단부(29)에 끼워맞추어지므로서 규정되고 잠금해제위치는 잠금고리부(36)가 플랜지(24)의 한쪽에 형성된 절단부(29)로부터 축방향의 위쪽으로 이탈하므로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36. 제32항에 있어서,
    용기셔터부재(10)의 원통부의 외부원주면에는 환상의 플랜지(24)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24)에는 부착대(70)에 배치된 회전저지수단에 이탈이 자유롭게 걸어맞추어져서 보급위치를 규정하는 피회전저지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트리지.
KR1019980000863A 1997-01-17 1998-01-14 토너보급장치 및 여기에 사용되는 토너카트리지 KR199800705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71397 1997-01-17
JP01771297A JP3298064B2 (ja) 1997-01-17 1997-01-17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17712 1997-01-17
JP17713 1997-01-17
JP65593 1997-03-05
JP06559397A JP3298065B2 (ja) 1997-01-17 1997-03-05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507A true KR19980070507A (ko) 1998-10-26

Family

ID=2728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863A KR19980070507A (ko) 1997-01-17 1998-01-14 토너보급장치 및 여기에 사용되는 토너카트리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48338A (ko)
EP (2) EP0854394B1 (ko)
KR (1) KR19980070507A (ko)
AU (1) AU5039598A (ko)
CA (1) CA2226700A1 (ko)
DE (1) DE69827862T2 (ko)
ID (1) ID19584A (ko)
SG (1) SG94701A1 (ko)
TW (1) TW3802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5056A (en) * 1997-01-17 2000-07-04 Mita Industrial Co., Ltd. Toner cartridge with partition wall
US5970292A (en) * 1998-10-14 1999-10-19 Xerox Corporation Securing feature for toner container shutter
US5970291A (en) * 1998-10-14 1999-10-19 Xerox Corporation Self unlocking feature for toner container shutter
US6266506B1 (en) 1999-09-29 2001-07-24 Xerox Corporation Mechanical keying concept for refillable print cartridge/toner bottle strategy
US6236826B1 (en) 1999-09-29 2001-05-22 Xerox Corporation Toner bottle cartridge valve for refillable print cartridge/toner bottle strategy
US6249654B1 (en) 1999-09-29 2001-06-19 Xerox Corporation Refillable all-in-one print cartridge/toner bottle strategy
US6269234B1 (en) 1999-09-29 2001-07-31 Xerox Corporation Locking member for refillable print cartridge/toner bottle strategy
US6209995B1 (en) * 1999-11-22 2001-04-03 Mitsubishi Chemical America, Inc. Ink reservoir, ink reservoir refill container, and ink refill process
JP4054521B2 (ja) * 1999-11-29 2008-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DE19962340B4 (de) * 1999-12-23 2005-11-03 Robert Bosch Gmbh Sender zum Versenden von Signalen über Funkkanäle und Verfahren zum Senden von Signalen über Funkkanäle
US6421518B1 (en) * 2000-11-28 2002-07-16 Xerox Corporation Toner loading system
US6650847B2 (en) 2001-12-21 2003-11-18 Xerox Corporation Container figuration matching system and method
JP4320168B2 (ja) * 2002-12-24 2009-08-26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4134061B2 (ja) * 2005-02-14 2008-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が装着される画像形成装置
JP4689422B2 (ja) * 2005-09-27 2011-05-25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79532A (ja) * 2006-04-11 2007-10-25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5056912B2 (ja) 2010-06-30 2012-10-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6546559B2 (ja) * 2016-03-31 2019-07-17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処理装置、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009133B2 (ja) *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EP3765913A1 (en) * 2018-08-30 2021-01-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acts for a print particle input recess
KR20200025347A (ko) *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리필 카트리지와 토너 충전부와의 인터페이스 구조
KR20200025338A (ko)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카트리지의 회전 위상에 따라서 토너 충전부의 유입 셔터를 선택적으로 로킹하는 구조
WO2020046343A1 (en) * 2018-08-30 2020-03-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particle replenishment device
US11571854B2 (en) 2018-08-30 2023-02-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particle replenishment device
US11067920B2 (en) 2018-08-30 2021-07-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symmetric key features
KR20200025336A (ko) *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충전부의 유입 셔터를 선택적으로 로킹하는 구조
EP3765911B1 (en) * 2018-08-30 2023-08-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particle output assembly
JP2020158911A (ja) * 2019-03-26 2020-10-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添加剤収容具
WO2020242453A1 (en) * 2019-05-28 2020-1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 development cartridge
CN117908343A (zh) * 2019-08-09 2024-04-19 佳能株式会社 调色剂容器
JP7433831B2 (ja) * 2019-10-02 2024-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0865525B (zh) * 2019-12-05 2024-03-05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碳粉盒、打印机和粉筒的碳粉补充方法
CN116339094A (zh) * 2020-12-07 2023-06-27 佳能株式会社 调色剂容器和图像形成系统
JP2022103670A (ja) * 2020-12-28 2022-07-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3073116A (ja) * 2021-11-15 2023-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容器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4273A (en) * 1979-12-31 1981-1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ner container and toner dispensing apparatus
JPS61156176A (ja) * 1984-12-28 1986-07-15 Toshiba Corp 現像剤補給装置
US4752807A (en) * 1986-12-22 1988-06-21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for adding toner to an electrographic development station
US4937628A (en) * 1989-04-07 1990-06-26 Xerox Corporation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US4942432A (en) * 1989-06-28 1990-07-17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for adding toner to an electrostatographic development station
JPH04190266A (ja) * 1990-11-24 1992-07-08 Mita Ind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JPH05249825A (ja) * 1992-03-09 1993-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ナー容器及び現像装置
JPH07168435A (ja) * 1993-10-04 1995-07-04 Seiko Epson Corp トナー補給装置
JP3155892B2 (ja) * 1994-09-12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ボトル
JP3480075B2 (ja) * 1994-09-22 2003-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用カートリッジ
DE69413406T2 (de) * 1994-11-04 1999-05-12 Agfa Gevaert Nv Tonerpulverflasche
US5648840A (en) * 1994-11-14 1997-07-15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oner conveyance apparatus
US5734953A (en) * 1995-02-17 1998-03-31 Ricoh Company, Ltd. Detachable toner supply and processing assembly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having a shutter mechanism for toner flow control
US5722014A (en) * 1996-06-21 1998-02-24 Nashua Corporation Enhanced container and method for dispensing toner and supplying toner to an image form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80216B (en) 2000-01-21
EP1293843A3 (en) 2006-11-22
EP1293843A2 (en) 2003-03-19
ID19584A (id) 1998-07-23
DE69827862T2 (de) 2005-12-22
DE69827862D1 (de) 2005-01-05
SG94701A1 (en) 2003-03-18
CA2226700A1 (en) 1998-07-17
AU5039598A (en) 1998-07-23
US5848338A (en) 1998-12-08
EP0854394A2 (en) 1998-07-22
EP0854394A3 (en) 1999-12-22
EP0854394B1 (en) 200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0507A (ko) 토너보급장치 및 여기에 사용되는 토너카트리지
US6104902A (en) Toner cartridge assembly
EP1207436B1 (en) Toner bottle connector assembly
EP0844538B1 (en) Sealing mechanism and container equipped with the same
US7409181B2 (en) Developer supplying cartridge, developer receiving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27914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보급장치, 및 그에 탑재된 토너용기
US5991584A (en) Toner cartridge assembly
EP0877302B1 (en) Container and rotary means mounted therein
EP1357447A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US4797704A (en) Disposable development station having means for assisting in the feeding of the toner supply and preventing replenishment of the toner supply
US4603714A (en) Toner bottle for copier/printing machines
EA039531B1 (ru) Резервуар для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и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EP0854395B1 (en) Toner cartridge
JP3298065B2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298064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292980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10207206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4362977A (ja) 静電潜像現像装置
JPH07128966A (ja) トナー補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