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434A - 취사기구 - Google Patents

취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434A
KR19980068434A KR1019970005021A KR19970005021A KR19980068434A KR 19980068434 A KR19980068434 A KR 19980068434A KR 1019970005021 A KR1019970005021 A KR 1019970005021A KR 19970005021 A KR19970005021 A KR 19970005021A KR 19980068434 A KR19980068434 A KR 19980068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lid
container
cooking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1649B1 (ko
Inventor
하동규
이은관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5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649B1/ko
Publication of KR19980068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649B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취사시 발생되는 증기와 함께 배출되는 거품을 모을 수 있도록 한 취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 상기 용기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에 마련된 증기배출장치를 구비하는 취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증기와 함께 배출되는 수분을 수집하기 위한 수분수집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구성이다.

Description

취사기구
본 발명은 취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취사시 발생되는 증기와 함께 배출되는 거품을 모을 수 있도록 한 취사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취사기구중의 하나인 전기압력밥솥의 사시도로서,이를 설명한다.
중공체(中空體)의 밥솥본체(10)에 쌀이 담기는 용기(11)가 내장되고,본체에는 회동가능하게 뚜껑(12)이 결합된다. 뚜껑(12)에는 배출공(13)이 형성되고 배출공에는 취사시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증기배출장치(20,30)가 결합된다. 상기 증기배출장치는 압력취사용기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스프링(31)에 의하여 탄지된 볼마개(32)로 마련된다. 그리하여 취사시 발생된 증기에 의하여 용기(11) 내부의 증기압이 스프링(31)력을 이기게 되면 볼마개(32)가 상승되고,이로인해 증기는 본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압력취사용기가 아닌 경우에는 단순히 구멍만 형성된 배출관(20)으로 마련되어 증기가 본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취사용기는 취사시 발생되는 수분(밥물 또는 국물)이 본체 외부로 누설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세히 설명하면,쌀이나 음식물을 물과 함께 용기에 넣어서 취사를 하게되면 물이 끓게되는데,물이 끓는다는 것은 액체가 기체로 되는 증발현상을 말한다. 이때,물의 깊은곳에서 발생되어 상승되는 기체에 의하여 거품이 생기게 되는데,이 거품이 많아지게 되면 거품이 본체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더 세분하면 용기와 뚜껑이 밀폐되어 있는 경우에는 증기배출장치를 통하여 거품이 흘러나오고,용기와 뚜껑이 밀폐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뚜껑와 용기의 접촉부위 및 증기배출장치를 통하여 거품이 본체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취사기구 주위가 더럽혀지게 되는 비위생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취사기구 내부에서 발생되는 거품이 증기와 함께 배출될 때 이를 모을 수 있는 위생적인 취사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취사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취사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취사기구의 뚜껑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집수단의 실시예를 보인 전기압력밥솥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집수단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6는 도 5의 Ⅴ-Ⅴ선 단면도.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
100:본체, 130:용기, 140:뚜껑, 160:증기배출장치,
200:수분수집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 상기 용기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에 마련된 증기배출장치를 구비하는 취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증기와 함께 배출되는 수분을 수집하기 위한 수분수집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구성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취사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취사기구를 전기압력밥솥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뚜껑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집수단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보인 전기압력밥솥의 사시도이다.
도 2를 먼저 설명하면,중공부(中空部)(110)를 가지는 밥솥본체(10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제어부(120)가 마련되며 본체의 중공부(110)측에는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130)가 내장된다. 그리고 본체의 중공부(110)측에는 뚜껑(14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상기 뚜껑(140)이 본체에 결합되면 상기 용기는 뚜껑에 의하여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140)의 저면에는 보조뚜껑(142)이 마련되며 상기 보조뚜껑(142)은 뚜껑이 본체에 결합되었을 때,용기의 상단면에 접촉되어 용기 내부를 더욱 더 밀폐시킨다. 또,뚜껑(142)의 테두리부에는 용기와 뚜껑의 접촉부위로 증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재(143)가 마련된다.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는 취사시 발생되는 증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여 용기 내부의 압력을 고압으로 유지시킨다.
또,상기 보조뚜껑(142)에는 증기배출장치(160)가 마련되는데,상기 증기배출장치(160)는 밀폐된 용기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 되면 개방되어 용기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3을 설명하면,상기 뚜껑(140)은 상,하부뚜껑(140a,140b)으로 마련되며 하부뚜껑(140b)에 보조뚜껑(142)이 결합된다(상기 보조뚜껑과 상,하부뚜껑를 포괄하여 이하 뚜껑라 한다). 위에서 잠깐 언급했듯이,상기 뚜껑(140)에 마련된 증기배출장치(160)에는 배출관(161)이 결합되며 상기 배출관(161)은 뚜껑의 상면에 형성된 배출공(141)과 연통된다. 즉,용기 내부의 증기는 증기배출장치(160)→배출관(161)→배출공(141)을 통하여 용기 외부로 배출된다. 미설명부호 145는 내곡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에는 도 4와 같은 수분수집수단이 마련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용기에 담긴 음식물이 끓으면 증기가 발생되고 이 증기와 함께 증기배출장치를 통하여 거품 등과 같은 수분이 배출되는데,상기 수분을 저장하기 위한 수분수집수단(200)이 마련된다. 상기 배출공(141)과 인접된 뚜껑 부위에는 그 하측으로 내곡된 내곡부(145)가 형성되는데,상기 내곡부(145)에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집수단이 마련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집수단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Ⅴ-Ⅴ선 단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분수집수단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용기(130)의 내부,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출공(141)과 연통되는 유입구(211)와 용기의 외부와 연통되는 토출구(212)를 가지는 유로(220)가 마련된다. 상기 토출구(212)는 수분이 저장되는 저장부(220)가 밀폐공간을 이루도록 하는 커버(230)에 마련되는데,이는 후술한다. 상기 유로(210)의 중간에는 유로와 연통(210a)됨과 동시에 상기 연통부(210a) 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저장부(220)가 마련된다. 상기 저장부(220)는 연통부 하측에 위치되는 보조저장부(221)와 상기 보조저장부 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는 주저장부(222)를 포함한다. 즉,증기배출장치를 통하여 증기와 함께 수분이 유입구(211)로 유입되면 증기는 유로를 따라 토출구(212)로 토출되고 수분은 연통부(210a)를 통하여 보조저장부(221)에 임시로 저장되었다가 주저장부(222)에 저장된다. 즉,수분은 연통부로 바이패스되어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이다.
상기 주저장부(222)는 보조저장부(221) 보다 더 하측에 마련되도록 보조저장부에서 단(段)이져서 마련되며 상기 주저장부(222)의 외형은 상기 내곡부(145)의 내형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된다.이는 저장부를 뚜껑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며 저장부는 내곡부에 끼우고 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저장부(220)가 내곡부(145)에 끼워지면 유로의 유입구(211)와 뚜껑에 형성된 배출공(141)이 연통된다. 그러면 전술했듯이,상기 배출공(141)은 증기배출장치의 배출관(161)과 연통되므로 배출관(161)과 유입구(211)가 연통되는 것이다. 이때,배출관과 유입구의 접촉부위로 증기 및 수분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공(141)에는 밀봉부재(241a)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저장부(222)의 외주면에는 신축성있는 유동방지부재(242)가 덮히는데,이는 보조저장부가 내곡부에 끼워졌을 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유로(210)의 일측,더 구체적으로는 유로와 저장부의 연통부(210a)에는 안내판(215)이 마련된다. 상기 안내판(215)은 유로로 유입된 수분이 저장부측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220)에는 저장부를 밀폐시키는 커버(230)가 덮히며,상기 커버에 의하여 일정 밀폐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230)에는 전술한 토출구(212)가 형성되며,상기 토출구(212)에는 차단판(216)이 마련된다. 상기 차단판(216)은 증기와 함께 배출되는 수분이 토출구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세히 설명하면,수분이 증기와 함께 토출구측으로 흘러가면 증기 및 수분은 차단판(216)에 부딪히게 된다. 그러면 증기는 차단판을 우회하게 되는데,이때 배출시간의 지연으로 인하여 증기에 함유된 수분이 냉각되어 저장부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거품의 경우에는 거품이 차단판에 부딪혀서 부서지게 되므로 저장부로 낙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230)와 저장부(220)의 접촉부위에도 증기 및 수분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재(214b)가 마련된다.
상기 커버(230)에는 투명창(233)이 마련된다. 상기 투명창(233)은 주저장부(222)의 상측에 위치되게 마련되어,커버의 외측에서 주저장부에 고여있는 수분의 양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12)의 일측에는 배출되는 증기의 온도를 표시해주는 수단(2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수단은 온도에 따라 그 색깔이 변하는 스티커나,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도료 등을 사용하면 된다. 그러면 증기의 온도를 사용자가 알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가 있는 것이다.
상기 구조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취사기구의 작용을 간단히 설명한다.
유로(210)가 형성된 저장부(220)에 커버(230)를 결합하고 주저장부(222)를 뚜껑의 내곡부(145)에 삽입한다. 그러면 배출공(140a)을 형성하는 뚜껑에 결합된 밀봉부재(241a)와 유로의 유입구(211)는 연통된다. 상기 밀봉부재는 배출관(161)과도 연통되어 있으므로 배출관과 유로는 연통되는 것이다. 이후,취사를 하면 증기가 발생되고 증기와 함께 거품 등과 같은 수분이 배출관을 통하여 유로로 유입된다. 유로로 유입된 수분은 안내판(215)에 의하여 보조저장부(211)로 1차 유입된다. 그리고 증기와 함께 토출구측으로 흘러간 거품은 토출구측에 형성된 차단판(216)에 부딪히고,차단판을 우회하는 동안에 냉각되어 저장부로 낙하된다. 그러므로 증기와 함께 발생되는 거품은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저장부에 고인 수분의 양을 투명창(233)을 통하여 관찰할 수 가 있으므로,적정한 시기에 저장부를 뚜껑에서 빼내어 저장부에 고인 물을 배수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취사기구는, 취사시 발생되는 거품 등과 같은 수분을 일정공간에 수집할 수 가 있으므로 대단히 위생적인 특징이 있다.

Claims (8)

  1.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 상기 용기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에 마련된 증기배출장치를 구비하는 취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증기와 함께 배출되는 수분을 수집하기 위한 수분수집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수분수집수단은,
    상기 증기배출장치와 연통된 유입구와 용기 외측과 연통된 토출구를 가지는 유로,
    상기 유로에서 연통되어 유로로 유입된 수분이 바이패스되도록 하는 저장부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유로의 연통부 보다 하측에 위치되게 마련된 보조저장부와 상기 보조저장부 보다 하측에 위치되게 마련된 주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는 유로로 유입된 수분이 저장부측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판이 마련되고,상기 토출구에는 토출구로 배출되려는 수분을 가로막는 차단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장치와 유입구 사이에는 밀봉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에는 투명창(221)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와 커버 사이에는 밀봉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구.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측에는 증기의 온도를 표시해주는 수단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구.
KR1019970005021A 1997-02-19 1997-02-19 취사기구의 수분수집장치 KR100221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021A KR100221649B1 (ko) 1997-02-19 1997-02-19 취사기구의 수분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021A KR100221649B1 (ko) 1997-02-19 1997-02-19 취사기구의 수분수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434A true KR19980068434A (ko) 1998-10-15
KR100221649B1 KR100221649B1 (ko) 1999-10-01

Family

ID=1949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021A KR100221649B1 (ko) 1997-02-19 1997-02-19 취사기구의 수분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141A (ko) * 2001-04-13 2002-10-19 엘지전자주식회사 압력조리기의 밥물배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2331A (ko) *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리홈쿠첸 전기 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KR102347826B1 (ko) * 2020-09-29 2022-01-0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응축수 배출 방지구조를 갖는 취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141A (ko) * 2001-04-13 2002-10-19 엘지전자주식회사 압력조리기의 밥물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1649B1 (ko) 199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0612B1 (en) Steamer with lateral water fill
US6619192B2 (en) Frying pan
JP2001507249A (ja) 加熱調理用蒸気凝縮装置及びそのような装置を備えた加熱調理用器具
WO2006000962A1 (en) A coffee machine
JPH0390113A (ja) コーヒ又はテイーメーカ
KR100845585B1 (ko) 조리용기 뚜껑
JP4858548B2 (ja) 加熱調理器
KR19980068434A (ko) 취사기구
KR100918310B1 (ko)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
US5634395A (en) Infusion machine
JPH11244139A (ja) 炊飯器
JP3641827B2 (ja) 炊飯器
RU2280400C1 (ru) Кофеварка и микроволновая печь с такой кофеваркой
KR200452914Y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JP2000037287A (ja) 炊飯器
KR20160006331A (ko) 냄비 뚜껑 어셈블리
KR200357933Y1 (ko) 전자렌지용 솥의 신호장치
JP2015188671A (ja) 炊飯器
KR200238677Y1 (ko) 조리용 팬
CN215738512U (zh) 一种空气炸锅用水箱及蒸烤一体式空气炸锅
KR200149699Y1 (ko) 전기보온밥솥용 보습캡
KR20080008581A (ko) 냉각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뚜껑
KR200434683Y1 (ko) 전기압력밥솥
KR200275732Y1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JPH11267012A (ja) 電気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