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371U -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371U
KR19980068371U KR2019970013004U KR19970013004U KR19980068371U KR 19980068371 U KR19980068371 U KR 19980068371U KR 2019970013004 U KR2019970013004 U KR 2019970013004U KR 19970013004 U KR19970013004 U KR 19970013004U KR 19980068371 U KR19980068371 U KR 199800683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impact
collision
stay
impact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3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8371U/ko
Publication of KR199800683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371U/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하부를 이루도록 수평 배열된 한쌍의 롱지튜디널프레임 선단에는 임펙트 비임이 결합되도록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스테이를 볼팅 고정하고, 상기 임펙트 비임 전면에는 범퍼 페시아의 내측면 개구부에 결합된 에너지업소바가 고정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의 관통공에 충격 흡수용 스폰지를 내설하여 상기 임펙트 비임의 끼움돌부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써, 저속 주행시 충돌사고가 발생되면 범퍼 페시아 재질 자체의 충격 흡수력으로 충돌 에너지를 완충시킨 후 임펙트 비임을 통해 스테이 관통공에 내설된 충격 흡수용 스폰지에 충돌 에너지를 흡수 및 완충시켜 롱지튜디널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차량 실내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자를 충돌 에너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충돌후 범퍼 페시아의 형상을 빠른 시간내에 원상태로 복구할 수 있고, 고속 주행중 충돌사고가 발생시에는 롱지튜디널프레임의 손상을 최소화 하여 차량 정비시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테이와 임펙트 비임의 체결부위에 충격 흡수용 스폰지를 설치하여 저속 충돌시 롱지튜디널프레임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차량실내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객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퍼는 차량의 전·후방 하단에는 주행시 차량간의 충돌이나 구조물과의 충돌로부터 차체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있으며, 재질로는 우레탄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범퍼 마운팅 구조를 살펴보면 도 1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하부를 이루도록 수평 배열된 한쌍의 롱지튜디널프레임(2) 선단에는 내측에 관통공(4a)이 형성된 스테이(4)를 볼팅 체결하고, 상기 스테이(4)의 관통공(4a)에는 임펙트 비임(3) 후면 양측에 형성된 끼움돌부(3a)를 끼워 결합하며, 상기 임펙트 비임(3) 전면에는 범퍼 페시아(1)의 내측면 개구부(1a)에 결합된 에너지업소바(5)가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업소바(5)는 그 단면형상이 벌집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차량의 충돌 에너지를 완충시켜 주는 것이다.
상기 임펙트 비임(3)의 끼움돌부(3a)의 상면으로부터 저면으로 끼움공(3b)이 관통되어있다.
상기 스테이(4)의 끼움돌부 상면과 저면에는 체결공(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롱지튜디널프레임(2)에는 프레임 자체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노치(NOTCH) 또는 구멍을 내어 다른 부분에 비해 강도를 약화시켜 차량 충돌시 스테이(4)로부터 충돌 에너지를 받은 롱지튜디널프레임(2)이 노치 또는 구멍에서 꺾이게 함으로써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범퍼 취부 작업은 먼저 롱지튜디널프레임(2)의 선단에는 내측에 관통공(4a)이 형성된 스테이(4)를 볼팅 고정하고, 상기 스테이(4)의 관통공(4a)에 임펙트 비임(3)의 후면에 형성된 끼움돌부(3a)를 삽입하여 스테이(4)의 체결공(4b)과 끼움돌부(3a)의 끼움공(3b)을 일치 시킨후 볼트와 너트로 체결시킨다. 다음 범퍼 페시아(1)의 내측면 개구부(1a)에 에너지업소바(5)를 설치한 후 임펙트 비임(3)의 선단에 에너지업소바(5)의 후면을 취부함으로써 범퍼 취부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는 충돌 사고시 충돌 에너지가 범퍼(1)를 통해 에너지업소바(5)에 1차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에너지업소바(5)에 전달된 충돌 에너지는 어느정도 에너지업소바(5)에 흡수된 후에 스테이(4)에 결합된 임펙트 비임(3)에 2차적으로 전달되며, 상기 임펙트 비임(3)에 전달된 충돌 에너지도 임펙트 비임(3)에 일정량이 흡수된 후에 롱지튜디널프레임(2)에 전달된 후 차체에 전달된다.
따라서, 차량이 주행중에 충돌사고가 발생되면 범퍼 페시아(1) 재질 자체의 충격 흡수력으로 충돌 에너지를 완충시키고, 임펙트 비임(3)의 충격 흡수력으로 차체에 전달되는 충돌 에너지를 완충시켜 차체와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주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차량의 저속 충돌시 충돌 에너지가 범퍼 페시아(1)와 에너지업소바(5)를 통해 임펙트 비임(3)에 전달된 후 차체와 결합된 롱지튜디널프레임(2)에 전달되어 충돌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하여 차량 실내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충격력이 전달 되었고, 차량 충돌사고 이후 범퍼 페시아(1)의 형상이 복구가 되지 않았으며, 충돌시 롱지튜디널프레임(2)이 손상되어 차량 정비시 많은 경제적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스테이와 임펙트 비임의 결합부위에 충격 흡수용 스폰지를 설치하여 차량의 저속 충돌시 그 충돌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롱지튜디널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차량실내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자를 그 충돌 에너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충돌사고 이후 범퍼 페시아의 형상을 원상태로 복구할 수 있는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차체의 하부를 이루도록 수평 배열된 한쌍의 롱지튜디널프레임 선단에는 임펙트 비임이 결합되도록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스테이를 볼팅 고정하고, 상기 임펙트 비임 전면에는 범퍼 페시아의 내측면 개구부에 결합된 에너지업소바가 고정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의 관통공에 충격 흡수용 스폰지가 내설하여 상기 임펙트 비임의 끼움돌부에 의해 고정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범퍼 취부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범퍼 취부구조를 보인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범퍼 취부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범퍼 취부구조를 보인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범퍼 취부구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범퍼 페시아 11 : 개구부
20 : 롱지튜디널프레임 30 : 임펙트 비임
31 : 끼움돌부 40 : 스테이
41 : 관통공 50 : 에너지업소바
60 : 스폰지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범퍼 취부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범퍼 취부구조를 보인 결합상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범퍼 취부구조가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 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하부를 이루도록 수평 배열된 한쌍의 롱지튜디널프레임(20) 선단에는 내측에 관통공(41)이 형성된 스테이(40)를 볼팅 체결하고, 상기 스테이(40)의 관통공(41)에 충격 흡수용 스폰지(60)을 내설하며, 이 스폰지(60)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관통공(41)에 임펙트 비임(3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된 끼움돌부(31)를 끼워 결합하고, 상기 임펙트 비임(30)의 전면에는 범퍼 페시아(10)의 내측면 개구부(11)에 결합된 에너지업소바(50)가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자동차의 범퍼 취부 작업은 먼저 롱지튜디널프레임(20)의 선단에 스테이(40)를 볼팅 고정하고, 상기 스테이(40)의 관통공(41)에 충격흡수용 스폰지(60)를 내설한 후 임펙트 비임(30)의 후면에 형성된 끼움돌부(31)를 스테이(40)의 관통공(41)에 삽입하여 스테이(40)의 체결공(42)과 끼움돌부(31)의 끼움공(32)을 일치 시킨후 볼트와 너트로 체결시킨다. 다음 범퍼(10)의 내측면 개구부(11)에 에너지업소바(50)를 설치한 후 임펙트 비임(30)의 선단에 에너지업소바(50)의 후면을 취부함으로써 범퍼 취부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취부된 본 고안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는 저속으로 차량을 운행하다가 충돌 사고시, 그 충돌력이 범퍼 페시아(10)로 전달되어 범퍼 페시아(10)의 재질 특성으로 충돌 에너지를 어느정도 흡수하게 되는 동시에 에너지업소바(50)에 1차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에너지업소바(50)에 전달된 충돌 에너지는 어느정도 에너지업소바(50)에서 흡수된 후 스테이(40)의 관통공(41)에 결합된 임펙트 비임(30)에 2차적으로 전달되면서 스테이(40)의 관통공(41)에 내설된 스폰지(60)에 최종적으로 충돌 에너지가 흡수되는 것이다.
또한, 고속으로 차량을 운행하다가 충돌 사고시에는 충돌 에너지가 범퍼 페시아(10)를 통해 에너지업소바(50)에 1차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에너지업소바(50)에 전달된 충돌 에너지는 어느정도 에너지업소바(50)에 흡수된 후에 스테이(40)가 결합된 임펙트 비임(30)에 2차적으로 전달되면서 스테이(40)의 관통공(41)에 내설된 스폰지(60)에 충돌 에너지가 전달되며, 상기 스폰지(60)에 전달된 충돌 에너지도 스폰지(60)에 일정량이 흡수된 후에 롱지튜디널프레임(20)에 전달되면서 차체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는 저속 주행시 충돌사고가 발생되면 범퍼 페시아(10) 재질 자체의 충격 흡수력으로 충돌 에너지를 완충시킨 후 임펙트 비임(30)을 통해 스테이(40)의 관통공(41)에 내설된 스폰지(60)에 충돌 에너지를 흡수 및 완충시켜 롱지튜디널프레임(20)의 손상을 방지하여 차량 실내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자를 충돌 에너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충돌후 범퍼 페시아(10)의 형상을 빠른 시간내에 원상태로 복구할 수 있으며, 고속 주행중 충돌사고가 발생시에는 롱지튜디널프레임(20)의 손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체의 하부를 이루도록 수평 배열된 한쌍의 롱지 튜니널(20) 선단에 결합되는 스테이(40)의 관통공(41)에 충격 흡수용 스폰지(60)을 내설하고, 상기 임펙트 비임(30)의 후면에 형성된 끼움돌부(31)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본 고안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에 따르면, 저속 주행시 충돌사고가 발생되면 범퍼 페시아(10) 재질 자체의 충격 흡수력으로 충돌 에너지를 완충시킨 후 임펙트 비임(30)을 통해 스테이(40)의 관통공(41)에 내설된 충격 흡수용 스폰지(60)에 충돌 에너지를 흡수 및 완충시켜 롱지튜디널프레임(20)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차량 실내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자를 충돌 에너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충돌후 범퍼 페시아(10)의 형상을 빠른 시간내에 원상태로 복구할 수 있고, 고속 주행중 충돌사고가 발생시에는 롱지튜디널프레임(20)의 손상을 최소화 하여 차량 정비시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롱지튜디널프레임(20) 선단에 임펙트 비임(30)이 결합된 스테이(40)를 체결하고, 상기 임펙트 비임(30) 선단에 에너지업소바(50)가 설치된 범퍼(10)를 취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40)의 관통공(41)에 충격 흡수용 스폰지(60)가 내설하여 상기 임펙트 비임(30)의 끼움돌부(31)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KR2019970013004U 1997-05-31 1997-05-31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KR199800683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004U KR19980068371U (ko) 1997-05-31 1997-05-31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004U KR19980068371U (ko) 1997-05-31 1997-05-31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371U true KR19980068371U (ko) 1998-12-05

Family

ID=6968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004U KR19980068371U (ko) 1997-05-31 1997-05-31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837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504A (ko) * 2001-12-04 200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범퍼장착 구조
KR20030045512A (ko) * 2001-12-04 200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충격흡수 구조
KR20040023265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
KR101118828B1 (ko) * 2007-03-28 2012-03-20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차량용 금속제 업소버, 차량용 범퍼 시스템, 자동차 범퍼용 업소버 및 자동차 범퍼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504A (ko) * 2001-12-04 200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범퍼장착 구조
KR20030045512A (ko) * 2001-12-04 200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충격흡수 구조
KR20040023265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
KR101118828B1 (ko) * 2007-03-28 2012-03-20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차량용 금속제 업소버, 차량용 범퍼 시스템, 자동차 범퍼용 업소버 및 자동차 범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029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부 구조
KR19980068371U (ko)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KR19980068374U (ko)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KR19980068372U (ko)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KR0158352B1 (ko) 충격흡수용 범퍼지지대
KR100440855B1 (ko) 자동차의 범퍼
KR0173388B1 (ko) 자동차 도어용 충격 완충부재
KR0118987Y1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흡수장치
KR200235186Y1 (ko) 자동차프론트필러어퍼멤버의충격흡수구조
KR19980039405U (ko) 완충 구조를 갖는 범퍼
KR200151619Y1 (ko) 차량의 범퍼스테이구조
KR0144595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임팩트빔
KR100189360B1 (ko)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
KR100381540B1 (ko) 자동차용 보조범퍼의 설치구조
KR100482965B1 (ko) 차량용 범퍼
KR200149005Y1 (ko) 차량의 범퍼 조립구조
KR0182911B1 (ko) 화물 자동차 범퍼충격 흡수장치
KR0139596Y1 (ko) 자동차의 후방 충격 흡수 구조
KR19990007403U (ko) 차량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
KR0115977Y1 (ko) 차량의 범퍼스테이구조
KR19980033049U (ko) 후런트 범퍼 써포트 설치구조
KR19980044684U (ko) 차량용 범퍼 조립체
KR19990010676A (ko) 자동차 엔진룸내 충격 분산 구조
KR19990041303A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36976U (ko) 차량용 프런트 필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