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125U - 차량의 통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통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125U
KR19980066125U KR2019970010491U KR19970010491U KR19980066125U KR 19980066125 U KR19980066125 U KR 19980066125U KR 2019970010491 U KR2019970010491 U KR 2019970010491U KR 19970010491 U KR19970010491 U KR 19970010491U KR 19980066125 U KR19980066125 U KR 199800661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pening
interior
bet
venti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균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70010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125U/ko
Publication of KR199800661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125U/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실내 환기를 위한 통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악천우등으로 인해 담배연기등 심하게 오염된 내기를 창문을 열어 배출할 수 없는 주행상황에서도 차실내를 항상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차실내의 내기를 배출할 수 있는 통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크래쉬패드(1)에 노즐 및 닥트로 구성된 통풍구(2)가 설치되어 주행중에 풍압에 의해 상기 통풍구(2)를 통해 외기가 차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2)에 차실내의 내기를 배출하는 배기구(4)가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통풍구(2)와 배기구(4)가 연통되는 부위에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레버(5)가 부설되는 구성으로 되어, 운전자가 주행중에 오염된 내기를 배출하고자 할 때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개폐레버(5)를 조정하여 차실내의 내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통풍장치
일반적으로 차량의 크러쉬패드에 설치되어 공기(외기)를 차실내로 도입하는 통풍장치는 여러가지 기후나 주행조건에서도 차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실내온도를 조절함은 물론 차량운행시 차량의 내·외부 기온차에 의한 차창유리에 뿌옇게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 안전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통풍장치는 차량의 전방부인 윈드시일드(4) 하단부 즉, 크래쉬패드(1)에 노즐 및 닥트로 구성된 통풍구(2)가 설치되고, 이 통풍구(2)를 개폐하는 온·오프(ON/OFF)형식의 개폐레버(3)가 부설되며, 상기 통풍구(2)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량 및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가이드가 부설되는 풍량조절장치(도시안됨)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통풍장치는 창문을 닫고 있는 상태에서 개폐레버(3)를 조정통풍구(2)를 개방한 후 차량이 주행함으로써 발생하는 풍압을 이용하여 차실내로 외기를 도입하여 차실내의 내기와 도입된 외기가 혼합되도록 하여 차실내의 환경을 쾌적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단지 차량의 외부공기를 도입할 뿐 차실내의 내기를 배출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차내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차실내의 공기가 심하게 오염되어 환기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통풍장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으므로, 이때에는 창문을 열고 차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차실내의 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비가 눈이 오는 등의 악천우 날씨로 인해 주행중에 창문을 열고 차실내의 공기를 배출할 수 없을 때에는 차내에서 담배를 피울 수 없거나 피우더라도 배출되지 않는 담배연기로 인한 피해를 감수해야함은 물론 심하게 오염된 차실내의 내기를 배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실내의 내기를 외부로 빼낼 수 있는 배기구를 신설하여 이 배기구를 통해 탁해진 차실내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차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크래쉬패드에 설치되는 통풍장치의 통풍구에 배기구가 연통되어 차량의 하단부로 향하게 설치되고, 상기 통풍구와 배기구가 연통되는 부위에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레버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크래쉬패드에 통풍장치가 조립된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종래 통풍장치의 통풍구에 개폐레버가 부설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크래쉬패드2:통풍구
3, 5:개폐레버4:윈드시일드
6:배기구a:배기위치
b:흡기위치c:중립위치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단면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래쉬패드(1)에 노즐 및 닥트로 구성된 통풍구(2)가 설치되어 주행중에 풍압에 의해 상기 통풍구(2)를 통해 외기가 차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풍장치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통풍구(2)에 차실내의 내기를 배출하는 배기구(6)가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통풍구(2)와 배기구(6)가 연통되는 부위에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레버(5)가 부설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 배기구(6)는 차량의 하단부를 향하게 설치되어 내기의 배출이 원할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되고, 개폐레버(5)는 흡기, 배기, 중립의 세가지 위치로 조정 가능한 3포지션(Position) 레버로 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배기구(6)에 의한 내기 배출방법은 차량의 주행시에 차량 내부와 외부의 기압차에 의해 기압이 높은 차량 내부의 내기가 배출되는 방식으로, 차량의 저속주행이나 정지시에는 배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배기구(6) 중간부위에 별도의 팬모터(도시안됨)를 설치하여 매우 느린 저속주행시나 정지시에도 팬모터(도시안됨) 작동에 의해 오염된 내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주행시에 차실내의 내기를 배출하고자 하면 개폐레버(5)를 배기위치(a)로 조정하여 배기구(6)를 열음과 동시에 통풍구(2)를 닫은 후에 주행하므로써 형성된 차량 내부와 외부사이 기압차를 이용하여 기압이 높은 차량 내부의 내기가 배기구(6)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외기를 도입하고자 하면 개폐레버(5)를 흡기위치(b)로 조정하여 상기와 반대로 통풍구(2)를 열음과 동시에 배기구(6)를 닫은 후에 주행하므로써 발생하는 풍압을 이용하여 통풍구(2)를 통해 차실내로 외기가 도입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내기 배출 및 외기 도입으로 차실내의 환경이 쾌적한 상태가 유지되면 개폐레버(5)를 중립위치(c)로 조정하여 통풍구(2) 및 배기구(6)를 닫으면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통풍장치에 의하면 악천우 등에 의해 창문의 개폐를 통한 차실내의 오염된 내기를 환기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물론, 일반적인 주행상황에서도 창문에서도 열지 않고 운전자가 상기한 개폐레버(5)를 간단히 조작하므로써 신선한 외기를 도입할 뿐 아니라 차실내의 오염된 내기를 배출하여 보다 쾌적한 차실내 환경을 조성한 상태에서 운전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팬모터(도시안됨)가 설치된 차량의 경우에는 보다 신속하게 차실내의 내기를 배출할 수 있어 좀더 빠른 시간내에 차실내의 환경을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정지나 매우 느린 저속 주행시에도 차실내의 내기를 배출할 수 있어 차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통풍구에 배기구를 연통되게 신설하여 주행중에 운전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개폐레버를 조정하여 외기도입 및 차실내의 내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되므로써, 창문을 개폐하여 환기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통풍구와 배기구를 통해 차실내 오염된 내기를 환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어떠한 주행 조건에서도 쾌적한 환경 속에서 운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차량의 실내 환기를 위한 통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는 통풍구에 차실내의 내기를 외부로 빼낼 수 있는 배기구를 신설 연통하여 이 배기구를 통해 탁해진 실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차실내를 항상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통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2)

  1. 쾌적한 환경속에서 운전할 수 있도록 차실내의 내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통풍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통풍장치의 통풍구(2)에 차실내의 내기를 배출하는 배기구(6)가 차량의 하단부를 향하도록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통풍구(2)와 배기구(6)가 연통되는 부위에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레버(5)가 부설되어 이 개폐레버(5)를 운전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조정하므로써 차실내의 오염된 내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6)의 중간 부위에 팬모터가 설치되어 이 팬모터의 작동에 의해 차실내의 오염된 내기를 정지시나 매우느린 저속 주행시에도 보다 신속히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풍장치.
KR2019970010491U 1997-05-12 1997-05-12 차량의 통풍장치 KR199800661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491U KR19980066125U (ko) 1997-05-12 1997-05-12 차량의 통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491U KR19980066125U (ko) 1997-05-12 1997-05-12 차량의 통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125U true KR19980066125U (ko) 1998-12-05

Family

ID=6968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491U KR19980066125U (ko) 1997-05-12 1997-05-12 차량의 통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12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6125U (ko) 차량의 통풍장치
KR20070023073A (ko) 버스의 공기조화 시스템
KR20030035147A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120012862A (ko)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KR100192351B1 (ko) 리어 트레이를 이용한 환기장치
KR0152183B1 (ko) 자동차의 환기 장치
KR200167731Y1 (ko) 자동차용 외기 도입장치
KR100516744B1 (ko) 버스의 측면 환기 구조
KR0130669Y1 (ko) 프레시 에어 디프로스터
KR0128797Y1 (ko) 자동차용 리어 벤틸레이터
KR100234801B1 (ko) 자동차의 환기장치
KR19990031736U (ko) 자동차의 자연 환기장치
KR200219638Y1 (ko)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
KR2023009068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10066059A (ko) 자동차용 담배연기 배출장치
KR100356211B1 (ko) 자동차의 실내 공기 배출장치
KR0159903B1 (ko) 차량용 실내공기 환기장치
KR200179716Y1 (ko) 자동차의 외기 흡입구조
KR19980028366U (ko) 차량의 실내환기장치
KR19980066830U (ko) 다목적차량(mpv)의 자연 통풍장치
KR960005207Y1 (ko) 차량의 공기순환 댐퍼
JPH04135918A (ja) 自動車のエア導入構造
KR19990021245A (ko) 자동차의 실내 환기장치
KR19980052251U (ko) 자동차 실내환기 구조
KR19980034664U (ko) 데미 덕트 및 사이드 벤트 덕트의 통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