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8366U - 차량의 실내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실내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8366U
KR19980028366U KR2019960041382U KR19960041382U KR19980028366U KR 19980028366 U KR19980028366 U KR 19980028366U KR 2019960041382 U KR2019960041382 U KR 2019960041382U KR 19960041382 U KR19960041382 U KR 19960041382U KR 19980028366 U KR19980028366 U KR 199800283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discharge
indoor
air
discharg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1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8366U/ko
Publication of KR199800283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36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B60H1/249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using one-wa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실내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차량의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동력을 들여야 되고 또한 신속하게 환기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차량의 차체 일측에 차량의 실내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실내공기토출덕트(21)와,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21)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21)를 개폐시켜주는 공기토출러버(22)와,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21)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차량(V) 외부의 공기가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토출러버(22)를 작동시켜 실내공기를 토출하는 밴투리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실내 공기를 환기하기 위해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신속하게 환기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실내환기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실내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 주행됨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공기를 신속하게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실내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환기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건강과 관계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피로를 느끼지 않고 안전운전하는데 아주 중요하다. 특히 겨울철이나 장마철에는 차량의 도어 글래스를 닫고 주행하면 차량의 실내에는 윈드 시일드 글래스에 성애(MIST)가 잘 발생되고 또한 차량의 실내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차량 실내의 기압이 상승된다. 이와 같이 되면 운전자가 쉽게 피로를 느껴 안전운전을 하는데 많은 지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V)에는 실내공기의 환기를 위한 환기덕트(10)를 차량(V)의 후방 범퍼 부착부위에 구비하여 환기를 시도하고 있으나 환기속도가 빠르지 못하여 그다지 실효성이 없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실내의 환기를 보다 신속하게 수행하여 운전자와 탑승자가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누리고 운전자가 맑은 정신으로 안전운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실내환기과정에서 외부의 먼지나 공해물질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실내환기를 수행함에 있어 별도의 동력을 들이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환기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차체 일측에 차량의 실내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실내공기토출덕트와,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를 개폐시켜주는 공기토출러버와,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차량외부의 공기가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토출러버를 작동시켜 실내공기를 토출하는 밴투리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실내환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밴투리관은 차량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그 내부를 지나 유출되도록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유입구과 공기유출구 사이에서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또한 상기 밴투리관은 상기 공기유입구에서부터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와 연통되는 부분까지 점차로 그 유로면적이 줄어들게 형성되고,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와 연통되는 부분에서 공기유출구까지는 그 유로면적이 늘어나도록 형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실내환기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후방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실내환기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실내환기장치의 차량에 구비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실내공기토출덕트22 ; 공기토출러버
30 ; 밴투리관31 ; 공기유입구
32 ; 공기유출구V ; 차량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실내환기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실내환기장치(20)는 크게 실내공기토출덕트(21), 공기토출러버(22), 밴투리관(30)을 포함한다.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21)는 차량의 실내와 연통되고 차량(V)의 일측, 즉 범퍼(미도시)가 장착되는 차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V)의 실내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토출러버(22)는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21)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일측 변부가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21)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21)를 개폐시켜 차량 실내의 공기를 토출시킴과 아울러 외부의 먼지가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21)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밴투리관(30)은 그 중간부에서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21)와 연통되는 것으로 차량(V)이 주행할 때 차량(V) 외부의 공기가 빠른 속도로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공기토출러버(22)가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21)를 개방시켜 차량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밴투리관(30)은 차량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31)와 상기 공기유입구(31)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차량(V)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유출구(3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밴투리관(30)은 상기 공기유입구(31)에서부터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21)와 연통되는 부분까지 점차로 그 유로면적이 줄어들게 형성되고,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21)와 연통되는 부분에서 공기유출구(32)까지는 그 유로면적이 점차로 늘어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밴투리관(30)의 유로면적을 변화시키는 것은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밴튜리관(30)을 통과하면서 유로면적이 가장 좁은 부분에서 상대적인 압력이 저하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토출러버(22)가 상기 밴투리관(30) 쪽으로 들려져 차량 내부의 공기를 압력차에 의해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실내환기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차량 실내환기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설명하면, 차량(V)이 주행하면 차량 주위에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차량(V)의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중 일부가 상기 밴투리관(30)의 공기유입구(31)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공기유입구(31)로 들어간 공기는 유로면적이 점차로 줄어드는 밴투리관(3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속도는 빨라지게 되고 상기 공기토출러버(22)가 있는 부분을 지나면서 속도가 최대로 되고 압력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21)를 폐쇄하고 있는 공기토출러버(22)가 밴투리관(30)의 내부로 들려지면서 차량의 실내공기를 압력차에 의해 배출시켜 준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차량실내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공기유입구(31)를 통해 들어온 공기는 상기 공기유출구(32)로 전달되어 빠져나가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장치(20)에 의하면 차량이(V) 고속으로 주행할 때 차량 실내의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되면 실내의 오염된 공기 및 습기를 보다 신속하게 차량(V)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성애발생이 방지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토출러버(21)는 차량(V)이 주행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21)를 폐쇄하고 있고 차량이 주행될 때에만 상기 밴투리관(30)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한 압력차에 의해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30)를 개방시켜 주므로 외부의 먼지나 오염된 공기 등이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30)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실내환기장치는 차량이 주행될 때 차량 주위에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실내공기토출덕트를 개폐시켜 주어 실내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동력이 필요치 않으면서 차량의 실내공기를 신속하게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의 환기를 신속하게 할 수 있으므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 및 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켜 윈드 시일드 글래스에 성애가 발생되지 않게 하고 차량의 실내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실내공기토출덕트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먼지가 역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공기토출러버가 작동되므로 차량 실내환경이 보다 쾌적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의 차체 일측에 차량의 실내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실내공기토출덕트와,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를 개폐시켜주는 공기토출러버와,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차량외부의 공기가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토출러버를 작동시켜 실내공기를 토출하는 밴투리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실내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투리관은 차량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그 내부를 지나 유출되도록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출구 사이에서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와 연통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실내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투리관은 상기 공기유입구에서부터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와 연통되는 부분까지 점차로 그 유로면적이 줄어들게 형성되고, 상기 실내공기토출덕트와 연통되는 부분에서 공기유출구까지는 그 유로면적이 늘어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실내환기장치.
KR2019960041382U 1996-11-22 1996-11-22 차량의 실내환기장치 KR199800283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382U KR19980028366U (ko) 1996-11-22 1996-11-22 차량의 실내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382U KR19980028366U (ko) 1996-11-22 1996-11-22 차량의 실내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366U true KR19980028366U (ko) 1998-08-05

Family

ID=5398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382U KR19980028366U (ko) 1996-11-22 1996-11-22 차량의 실내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836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3176B2 (ja) ダスト低減装置
KR19980028366U (ko) 차량의 실내환기장치
KR100516744B1 (ko) 버스의 측면 환기 구조
KR0134512B1 (ko) 자동차 실내로의 청정 공기 공급 장치(The device for providing fresh air into the room of car)
KR100192351B1 (ko) 리어 트레이를 이용한 환기장치
JP3957160B2 (ja) 車室内換気装置
KR200141332Y1 (ko) 자동차의실내환기장치
KR20010066059A (ko) 자동차용 담배연기 배출장치
KR19980045239U (ko) 차량 환기 장치
KR19980031348U (ko) 자동차의 실내 오염공기 배출장치
KR20000049725A (ko) 자동차 실내 환풍장치
KR19980066125U (ko) 차량의 통풍장치
KR200159939Y1 (ko) 자동차의 그릴부 구조
KR200367921Y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KR0114356Y1 (ko) 자동차의 산소 감지센서를 갖는 내외기 절환장치
KR19980066700U (ko) 승합차용 환기장치
JPH09309323A (ja) 車室用温度調節装置
KR19980031697U (ko) 자동차용 도어의 외기 도입장치
KR19990031736U (ko) 자동차의 자연 환기장치
KR19990021245A (ko) 자동차의 실내 환기장치
KR19990005799U (ko) 자동차의 환기 장치
KR19980055094A (ko) 자동차의 배기장치
KR19980024292U (ko) 자동차용 환기장치
JPS61268517A (ja) サンル−フ付車両のベンチレ−シヨン装置
KR19980052251U (ko) 자동차 실내환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