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239U - 차량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239U
KR19980045239U KR2019960058379U KR19960058379U KR19980045239U KR 19980045239 U KR19980045239 U KR 19980045239U KR 2019960058379 U KR2019960058379 U KR 2019960058379U KR 19960058379 U KR19960058379 U KR 19960058379U KR 19980045239 U KR19980045239 U KR 199800452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present
space
sp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혁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8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239U/ko
Publication of KR199800452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23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5Openings in window or door post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환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환기장치는 우리나라 도로 사정상 외기로 부터의 깨끗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오염된 외부의 공기가 차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엔진룸의 에어클리너로 부터 정화된 공기로, 프론트 필라를 거쳐 루프측에서 차실내로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환기 장치
본 고안은 차량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차내의 공기는 승차원의 호흡 등에 의해 오염되므로 차량외의 외기를 유입시켜 차실내의 공기와 바꾸어 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창을 닫고 있어도 외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공조장치 중에서 환기장치라 부르고 있다.
예시도면 도 1은 이러한 환기장치를 나타낸 개요도로서 환기장치는 자연화기방식과 강제환기방식이 있다.
여기서, 자연환기방식이란 차량이 주행함으로써 생기는 풍압을 이용하여 차실내로 외기를 끌어들이는 방식을 말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1)는 주행중 정압이 발생되는 곳에 위치되고, 토출구(2)는 주행중 부압이 발생되는 곳에 위치되어 압력차이로 인하여 자연화기가 되도록 하고 있다.
강제환기방식이란 공조장치중 냉난방장치의 송풍장치인 블로어유니트를 구동하여 강제적으로 송풍시키는 방식으로 블로어유니트는 팬이 결합된 블로어모우터가 내장되고, 배터리를 구동전원을 하는 상기 블로어유니트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블로어스위치로 그 조작이 가능토록 되어 있다.
현재 이러한 자연환기방식과 강제환기방식은 병용되고 있으며, 강제환기방식은 냉장장치, 난방장치와 연동되며, 따라서 자연환기방식이나 강제환기방식이나 차실내로의 유입로인 덕트는 같이 병용되고, 흡기구 역시 병용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스위치 조작을 통해 덕트의 개폐를 조정하고, 이로 인해 환기를 시키던지 아니면 차실내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던지 여러 가지 사항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차량의 오염된 공기는 환기장치에 의해 차실외기가 유입되어 정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기장치는 우리나라 도로 사정상 외기로 부터의 깨끗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오염된 외부의 공기가 차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환기장치의 흡기구(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이라 불리우는 프론트 글래스측 하단인데, 이러한 카울에는 외부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킬 장치가 없기 때문에, 도로 주행중 덕트를 개도시켜 환기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도로상의 각종 오염물질이 차실내로 유입되어 오히려 차실내의 오염도가 증가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차량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엔진룸의 에어클리너로 부터 정화된 공기로, 프론트 필라를 거쳐 루프측으로 차실내로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환기장치의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환기 장치의 설명도,
도 3 (가)는 도 2의 A-A선 단면 설명도,
(나)는 도 2의 B-B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에어클리너,12-바이패스 파이프,
14-프론트 필라,16-필라트림,
18-공간부,20-탑실링,
22-루프패널,24-공간부,
26-연결공,28-토출공,
30-필라 인너 패널.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차량 엔진룸에 위치된 에어클리너(10)에 바이패스 파이프(12)의 일단이 연결되고, 바이패스 파이프(12)는 양분되어 프론트 필라(14)와 필라트림(16) 사이의 공간부(18) 하부에 연결되는 한편, 공간부(18)의 상단인 탑실링(20)과의 경계에 탑실링(20)과 루프패널(22) 사이의 공간부(24)에 연결되는 연결공(26)이 형성되고 탑실링(20)에는 다수의 토출공(28)이 형성된 구조인 차량 환기장치이다.
예시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환기장치의 설명도이고, 도 3 (가)는 프론트 필라측과 탑실링 측의 공간부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 2의 A-A선 단면 설명도이며, 도 3 (나)는 탑실링에 형성된 토출공을 나타낸 도 2의 B-B선 단면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환기장치로서 차실내에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기존의 에어클리너(10)를 이용하였다.
즉, 에어클리너(10)로 부터 정화된 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차실내로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에어클리너(10)에 바이패스 파이프(14)가 연결되었으며, 바이패스 파이프(12)로 부터 이송되는 정화된 공기가 차실내로 유입되는 덕트로서 프론트 필라측의 공간부(18)와 루프측의 공간부(24)를 이용하였다.
즉, 바이패스 파이프(12)의 끝단은 차량 양측의 프론트 필라(14)의 공간부(18) 하단에 연결되며, 프론트 필라(14)에는 도 3 (가)에서와 같이 필라 인너패널(30)과 필라트림(16)이 이루는 공간부(18)가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공간부(18)가 덕트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루프패널(24)과 탑실링(20) 사이에도 공간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덕트인 프론트 필라측의 공간부(18)가 이러한 루프측 공간부(24)와 연결되기 위하여 공간부(18)(24) 사이의 경계에 연결공(2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 파이프(12)로 부터 이송된 정화된 공기는 덕트인 공간부(18)로 부터 공간부(24)로 이송되며, 공간부(24)에서 차실내로 정화된 공기가 공급되기 위하여 탑실링(20)에 도 3 (나)에서와 같이 다수의 토출공(28)이 형성된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에어클리너로 부터 정화된 공기가 차실내로 공급됨으로써, 차실내의 공기 오염도가 경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 엔진룸에 위치된 에어클리너(10)에 바이패스 파이프(12)의 일단이 연결되고, 바이패스 파이프(12)는 양분되어 프론트 필라(14)와 필라트림(16) 사이의 공간부(18) 하부에 연결되는 한편, 공간부(18)의 상단인 탑실링(20)과의 경계에 탑실링(20)과 루프패널(22) 사이의 공간부(24)에 연결되는 연결공(26)이 형성되고 탑실링(20)에는 다수의 토출공(28)이 형성된 구조인 차량 환기장치.
KR2019960058379U 1996-12-27 1996-12-27 차량 환기 장치 KR199800452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379U KR19980045239U (ko) 1996-12-27 1996-12-27 차량 환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379U KR19980045239U (ko) 1996-12-27 1996-12-27 차량 환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239U true KR19980045239U (ko) 1998-09-25

Family

ID=5399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379U KR19980045239U (ko) 1996-12-27 1996-12-27 차량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23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472B1 (ko) * 2001-11-13 200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정 에러 측정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버레이측정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472B1 (ko) * 2001-11-13 200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정 에러 측정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버레이측정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40971Y2 (ko)
KR19980045239U (ko) 차량 환기 장치
KR0134512B1 (ko) 자동차 실내로의 청정 공기 공급 장치(The device for providing fresh air into the room of car)
KR100352527B1 (ko) 자동차 실내 환풍장치
KR200200666Y1 (ko)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
KR100516744B1 (ko) 버스의 측면 환기 구조
JPH106740A (ja) 車両用空調装置
KR910000339Y1 (ko) 차량용 환기장치
JPS5911916A (ja) 自動車用空気清浄器
KR0115727Y1 (ko) 자동차용 환기장치
KR0121683Y1 (ko) 자동차의 카울구조
KR19980040725U (ko) 자동차의 차내 공기 정화용 공기 흡입기
KR10046119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159939Y1 (ko) 자동차의 그릴부 구조
KR19980031207U (ko) 자동차 환기덕트의 공기정화장치
KR19990031736U (ko) 자동차의 자연 환기장치
KR19980038986A (ko) 에어컨 미 장착차량용 에어 필터가 구비된 환기장치
KR19980035601U (ko) 자동차용 실내환기장치
KR0132382Y1 (ko) 버스의 공조장치
KR0130669Y1 (ko) 프레시 에어 디프로스터
KR19980055094A (ko) 자동차의 배기장치
KR19980054390A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순환장치
KR19980052251U (ko) 자동차 실내환기 구조
KR19980028366U (ko) 차량의 실내환기장치
KR19980044351U (ko) 차내 담배연기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