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66Y1 -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66Y1
KR200200666Y1 KR2019970036896U KR19970036896U KR200200666Y1 KR 200200666 Y1 KR200200666 Y1 KR 200200666Y1 KR 2019970036896 U KR2019970036896 U KR 2019970036896U KR 19970036896 U KR19970036896 U KR 19970036896U KR 200200666 Y1 KR200200666 Y1 KR 200200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duct
control valve
discharg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427U (ko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2019970036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66Y1/ko
Publication of KR199900244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4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kinetic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2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조덕트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이나 먼지 또는 수분 등이 배기파이프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에 의해 배출 제거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외기나 냉온의 공기가 통과되는 공조덕트의 내부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한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기장치 및 냉난방장치에서 생성된 외기 또는 냉온의 공기가 차실 내부로 공급되도록 설치된 자동차의 공조장치의 공조덕트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의 미작동시에 공조덕트(10) 내부의 이물질이나 정체된 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에 의해 대기압이 작용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단이 상기 공조덕트(10)의 이물질 적층부에 접속되고 타단이 배기파이프(20)에 접속된 이물질배출라인(30)과, 상기 이물질배출라인(30)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어밸브(40)와, 상기 제어밸브(40)의 개방동작이 공조장치의 미작동시에만 이루어지도록 공조장치의 작동시에 제어밸브(40)를 차단시키는 전기신호가 생성 인가되도록 접속 구성된 제어부(50) 및, 상기 제어밸브(50)가 개방된 상태에서 배기가스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상기 이물질배출라인(3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역류방지밸브(60)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기장치, 냉난방장치로 구성된 자동차 공조장치의 공조덕트 내부에 유입되는 이물질이나 먼지 및 수분 등이 쉽게 제거되도록 한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내의 공기가 승차원의 호흡 등에 의해 오염되므로 차창외의 신선한 공기를 끌어 들여 차실내의 공기와 바꾸어 줄 필요가 있으므로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는 환기장치가 필요하고, 하절기에는 차실내의 온도를 낮추어 쾌적한 승차조건을 만들기 위해 냉방장치가 필요하며, 동절기에는 차실내의 온도를 상승시켜 따뜻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난방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환기장치, 냉방장치 및 난방장치는 각각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구성품이 조합되어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각 장치가 작동되면 환기장치에 의해 차실 내부로 공급되는 외기, 냉방장치에 의해 차실 내부로 공급되는 찬 공기 및, 난방장치에 의해 차실 내부로 공급되는 따뜻한 공기는 공통적으로 공조덕트를 타고 흘러 차실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공조덕트는 단면적이 큰 매인덕트와, 상기 매인덕트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차실 내부에 골고루 확산되도록 일단이 상기 매인덕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차실 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도어트림 또는 프론트시트 저부에 연장 설치되는 분기덕트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공조덕트는 자동차에 구성되는 여러 가지 복잡한 장치들에 의해 그 설치에 제한성이 따르므로 다수 개의 굴곡부와 접속부가 형성되고, 때에 따라 사이즈가 커지거나 축소되는 등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공조덕트는 그 형상과 크기의 변화가 크고, 굴곡부, 접속부 및 축소관 또는 확대관 부위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환기장치나 냉난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일정 시간동안 방치하게 되면 이물질이나 먼지등이 송풍구 등을 통해 공조덕트 내부로 유입되고, 또한, 냉난방장치의 가동시에 온도차에 의해 생성되는 수분에 의해 콤팡이가 생기므로 그 내부가 쉽게 오염되어 차실 내에 탑승객에 불쾌감을 주고, 질병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공조덕트의 수명을 저감을 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조덕트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이나 먼지 또는 수분 등이 배기파이프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에 의해 배출 제거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외기나 냉온의 공기가 통과되는 공조덕트의 내부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한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환기장치 및 냉난방장치에서 생성된 외기 또는 냉온의 공기가 차실 내부로 공급되도록 설치된 자동차의 공조장치의 공조덕트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의 미작동시에 공조덕트 내부의 이물질과 정체된 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에 의해 대기압이 작용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단이 상기 공조덕트의 이물질 적층부에 접속되고 타단이 배기파이프에 접속된 이물질배출라인과, 상기 이물질배출라인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어밸브와, 상기 제어밸브의 개방동작이 공조장치의 미작동시에만 이루어지도록 공조장치의 작동시에 제어밸브를 차단시키는 전기신호가 생성 인가되도록 접속 구성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배기가스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상기 이물질배출라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역류방지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도 1의 A부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공조덕트, 20:배기파이프,
22:체결부, 24:패킹,
26:고정너트, 30:이물질배출라인,
32:멈춤링, 40:제어밸브,
50:제어부, 60:역류방지밸브,
70:차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도 1의 A부 확대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내의 공기가 승차원의 호흡 등에 의해 오염되므로 차창외의 신선한 공기를 끌어 들여 차실내의 공기와 교환시키는 환기장치와, 하절기와 동절기에 차실 내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켜 쾌적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냉온의 공기가 생성되는 냉난방장치에서 생성된 외기 또는 냉온의 공기가 차실 내부로 공급되도록 설치된 자동차의 공조장치의 공조덕트(10)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의 미작동시에 공조덕트(10) 내부의 굴곡부나 접속부, 또는 확대관이나 축소관 주위의 적층된 이물질이나 정체된 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에 의해 대기압이 작용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단이 상기 공조덕트(10)의 이물질 적층부에 접속되고 타단이 배기파이프(20)에 접속 형성된 이물질배출라인(30)과, 상기 이물질배출라인(30)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어밸브(40)와, 상기 제어밸브(40)의 개방동작이 공조장치의 미작동시에만 이루어지도록 공조장치의 작동시에 제어밸브(40)를 차단시키는 전기신호가 생성 인가되도록 접속 구성된 제어부(50) 및, 상기 제어밸브(40)가 개방된 상태에서 배기가스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상기 이물질배출라인(3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역류방지밸브(6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이물질배출라인(30)은 상기 공조덕트(10)의 여러 위치에 접속된 다수 개의 라인이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되어 배기파이프(20)에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물질배출라인(30)과 배기파이프(20)의 결합구조는 상기 이물질배출라인(30)의 단부(a)가 배기가스의 유속이 빠른 배기파이프(20)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단부(a)에서 소정 거리를 갖는 상측 외주면 상에 멈춤링(32)이 돌출되고, 상기 이물질배출라인(30)이 삽설되는 배기파이프(20)의 외주면 상에는 체결부(22)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체결부(22)의 상측과 상기 멈춤링(32)의 저부 사이에 패킹(24)이 협지된 상태에서 고정너트(26)가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밸브(40)는 스프링이 내장된 2포오트 2위치 밸브(2/2-Way valve)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50)의 전기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이물질배출라인(30)이 개방되어 이물질이 배출되고,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이물질배출라인(30)이 차단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공조장치가 가동되지 않은 경우에는 공조덕트 내부의 이물질이나 습기 또는 정체된 공기가 배기파이프(20)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에 의해 작용되는 대기압에 의해 이물질배출라인(30)과 제어밸브(40), 그리고 역류방지밸브(60)를 통해 배기파이프(20) 내부로 유입되어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이때, 상기 역류방지밸브(60)는 엔진의 초기 시동시에나 바람 등의 영향에 의해 배출되지 않는 배기가스가 이물질배출라인(30)을 통해 공조덕트(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공조장치가 작동되게 되면 제어부(5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밸브(40)를 작동시켜 이물질배출라인(30)을 차단시키게 되므로 배출통로가 차단되어 상기 공조장치의 환기장치 및 냉난방장치에서 생성된 외기 또는 냉온의 공기가 차실(70)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에 의하면, 자동차의 공조덕트 배부에 유입된 이물질이나 냉난방장치의 가동시에 생성된 수분이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제거되므로 공조덕트의 내부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되어 차실 내부에 항상 오염되지 않고 깨끗한 공기가 공급되어 탑승객에게 쾌적함을 줄 수 있고, 공조덕트 내부에 곰팡이 등이 생기지 않으므로 질병 등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공조덕트의 수명이 증가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환기장치 및 냉난방장치에서 생성된 외기 또는 냉온의 공기가 차실 내부로 공급되도록 설치된 자동차의 공조장치의 공조덕트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의 미작동시에 공조덕트(10) 내부의 이물질이나 정체된 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에 의해 대기압이 작용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단이 상기 공조덕트(10)의 이물질 적층부에 접속되고 타단이 배기파이프(20)에 접속된 이물질배출라인(30)과;
    상기 이물질배출라인(30)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어밸브(40)와;
    상기 제어밸브(40)의 개방동작이 공조장치의 미작동시에만 이루어지도록 공조장치의 작동시에 제어밸브(40)를 차단시키는 전기신호가 생성 인가되도록 접속 구성된 제어부(50) 및;
    상기 제어밸브(50)가 개방된 상태에서 배기가스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상기 이물질배출라인(3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역류방지밸브(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
KR2019970036896U 1997-12-12 1997-12-12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 KR200200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896U KR200200666Y1 (ko) 1997-12-12 1997-12-12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896U KR200200666Y1 (ko) 1997-12-12 1997-12-12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427U KR19990024427U (ko) 1999-07-05
KR200200666Y1 true KR200200666Y1 (ko) 2000-11-01

Family

ID=1951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896U KR200200666Y1 (ko) 1997-12-12 1997-12-12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562B1 (ko) 2011-01-27 2013-03-25 윤추석 시트/매트의 공기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927B1 (ko) * 2006-10-18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배터리 유해가스 및 분진 자동배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562B1 (ko) 2011-01-27 2013-03-25 윤추석 시트/매트의 공기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427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5807B2 (ko)
KR200200666Y1 (ko) 자동차 공조덕트의 정화장치
US2213016A (en) Air conditioning means for automobiles
JPS6317107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20200129417A (ko) 자동차용 에어덕트
KR19980038551A (ko) 자동차 공조시스템의 오염공기 배출장치
KR100222889B1 (ko)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 시스템
JPH11129729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H106740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330176Y2 (ko)
JPH0228090Y2 (ko)
KR0118416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벤트 통로 환풍장치
JPS5911916A (ja) 自動車用空気清浄器
KR950003702B1 (ko) 강제환풍기능을 갖는 버스의 냉방장치
KR19980047466U (ko) 차량용 실내 공기정화장치
KR0130669Y1 (ko) 프레시 에어 디프로스터
KR0121683Y1 (ko) 자동차의 카울구조
KR0138926Y1 (ko) 자동차 재떨이 담배 연기 제거 장치
KR19980045239U (ko) 차량 환기 장치
KR19980035601U (ko) 자동차용 실내환기장치
KR19980022573U (ko) 배기가스를 이용한 시트보온시스템
JPH05178080A (ja) 換気及び空気清浄機能付空気調和装置
KR980008655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9980038986A (ko) 에어컨 미 장착차량용 에어 필터가 구비된 환기장치
KR20010046309A (ko) 자동차용 에어컨의 악취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