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862A -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862A
KR20120012862A KR1020100074856A KR20100074856A KR20120012862A KR 20120012862 A KR20120012862 A KR 20120012862A KR 1020100074856 A KR1020100074856 A KR 1020100074856A KR 20100074856 A KR20100074856 A KR 20100074856A KR 20120012862 A KR20120012862 A KR 20120012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negative pressure
hole
pressure forming
form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우
Original Assignee
강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우 filed Critical 강민우
Priority to KR1020100074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2862A/ko
Publication of KR2012001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2Openings in or on the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85Valve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e.g. thermostat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풍을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탁한 공기를 외부로 자연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는 차체의 외부에 주행 방향과 일치하게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통하되 양단에서 시작하여 몸체의 중심 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제1 및 제2 테이퍼 구멍과, 상기 제1 및 제2 테이퍼 구멍 사이를 접속하는 오리피스 구멍을 구비한 부압 형성부재와; 상기 부압 형성부재에 T 자형으로 접속되며, 하단이 차량의 차체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차량 실내와 상기 오리피스 구멍을 연통하도록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Automatic ventilating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밀폐된 차량의 실내에 축적되는 탁한 공기를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시켜 환기시켜주는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개폐가 가능한 창문을 가지고 있어 창문을 열어 실내를 환기시키는 것이 가능하나 고속 주행시에 창문을 열면 소음 발생이 심하고 차체 저항이 커져 연비가 나빠지며, 또 거센 주행풍의 유입이 오히려 안락한 탑승을 방해하므로 통상 주행중에는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별도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여 차량 실내의 탁한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하고 있다.
종래 차량의 환기 시스템은 외부와 실내를 연통하는 덕트를 설치하고 그 덕트에 송풍팬 모터를 설치하여 송풍팬 모터의 구동을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차실 내로 도입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은 송풍팬 모터의 구동을 통한 외부 공기의 강제 흡입 방식이어서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하며, 평상시 밀폐된 차실내 환경하에서 호흡에 의해 계속 증가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탁해지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차량의 주행풍을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탁한 공기를 외부로 자연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는 차체의 외부에 주행 방향과 일치하게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통하되 양단에서 시작하여 몸체의 중심 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제1 및 제2 테이퍼 구멍과, 상기 제1 및 제2 테이퍼 구멍 사이를 접속하는 오리피스 구멍을 구비한 부압 형성부재와; 상기 부압 형성부재에 T 자형으로 접속되며, 하단이 차량의 차체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차량 실내와 상기 오리피스 구멍을 연통하도록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 접속부재의 배출공을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면 주행풍이 부압 형성부재의 제1 테이퍼 구멍을 통해 유입되어 제2 테이퍼 구멍을 통해 후방으로 빠져나가는 도중에 직경이 축소된 오리피스 구멍을 지나게 되면서 유속이 빨라지게 되며, 유속이 빨라지면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 압력이 낮아지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차량 실내의 탁한 공기가 별도의 동력의 투입이 없이도 고정 접속부재의 배출공과 제2 테이퍼 구멍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어 차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여기서 말하는 차량은 승용차나 승합차 및 버스 등 차량의 종류를 불문하고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하며, 일반적 형상의 차량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면에 있어 부호 1로 나타낸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1)는 차량의 차체(2), 예를 들면 천장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1)는 차체(2)의 외부에 주행 방향과 일치하게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통하되 양단에서 시작하여 몸체의 중심 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제1 및 제2 테이퍼 구멍(3)(4)과, 상기 제1 및 제2 테이퍼 구멍(3)(4) 사이를 접속하는 오리피스 구멍(5)을 구비한 부압 형성부재(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부압 형성부재(6)에 T 자형으로 접속되며, 하단이 차량의 차체(2)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차량 실내(7)와 상기 오리피스 구멍(5)을 연통하도록 배출공(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접속부재(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접속부재(9)는 상기 부압 형성부재(6)에 나사(10)를 사용하여 간단히 접속된다.
또 상기 고정 접속부재(9)의 배출공(8)을 개폐하는 밸브(11)를 구비하고 있는 데, 상기 밸브(11)로는 도시한 것처럼 90°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배출공(8)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볼(12)과 회전 노브(13)로 된 수동식도 가능하고, 스위치의 온 오프 조작에 의해 개폐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상기 고정 접속부재(9)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막대 밸브를 설치하고, 그 막대 밸브를 일측으로 밀면 배출공(8)이 개방되고 반대 측으로 밀면 배출공(8)이 폐쇄되는 방식의 밸브 사용도 가능하다.
이 같은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시 실내(7)를 환기시키고자 하면 밸브(11)를 개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실내(7)는 차량 외부와 연통된 상태가 된다.
차량을 주행하게 되면 차체의 표면을 타고 후방으로 흐르는 주행풍이 제1 테이퍼 구멍(3)을 통해 부압 형성부재(6) 내를 통과하여 지나게 되며, 도중에 구멍이 좁아진 오리피스 구멍(5)을 공기가 지나게 되면서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오리피스 구멍(5) 부위의 압력이 저하된다.
그런데 오리피스 구멍(5) 부위의 압력이 부압인 데 비하여 차실(7) 내의 압력은 대기압이므로 이 때의 압력차에 의해 차실(7)내의 탁한 공기가 배출공(8)을 통해 빨려져 나가게 되어 후방의 제2 테이퍼 구멍(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를 나타낸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2:차체
3:제1 테이퍼 구멍 4:제2 테이퍼 구멍
5:오리피스 구멍 6:부압 형성부재
7:실내 8:배출공
9:고정 접속부재 10:나사
11:밸브 12:볼
13:회전 노브

Claims (2)

  1. 차체의 외부에 주행 방향과 일치하게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통하되 양단에서 시작하여 몸체의 중심 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제1 및 제2 테이퍼 구멍과, 상기 제1 및 제2 테이퍼 구멍 사이를 접속하는 오리피스 구멍을 구비한 부압 형성부재와; 상기 부압 형성부재에 T 자형으로 접속되며, 하단이 차량의 차체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차량 실내와 상기 오리피스 구멍을 연통하도록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속부재의 배출공을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KR1020100074856A 2010-08-03 2010-08-03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KR20120012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856A KR20120012862A (ko) 2010-08-03 2010-08-03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856A KR20120012862A (ko) 2010-08-03 2010-08-03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862A true KR20120012862A (ko) 2012-02-13

Family

ID=4583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856A KR20120012862A (ko) 2010-08-03 2010-08-03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28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7467A (zh) * 2012-11-28 2014-06-11 孙向阳 客车无能耗自动换气系统
KR101453940B1 (ko) * 2014-03-06 2014-10-23 한중희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7467A (zh) * 2012-11-28 2014-06-11 孙向阳 客车无能耗自动换气系统
KR101453940B1 (ko) * 2014-03-06 2014-10-23 한중희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3507A (ko)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
KR20120012862A (ko)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CN212353535U (zh) 一种公交车车内空气质量分区调节装置
KR101876069B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WO2013175842A1 (ja) 車室の内外の通気構造
KR1013005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S633768B2 (ko)
RU2639933C2 (ru) Направляющий воздух корпус системы отопления и/или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JP3957160B2 (ja) 車室内換気装置
KR100726729B1 (ko) 언더커버를 이용한 리어 범퍼의 환기구조
KR200167731Y1 (ko) 자동차용 외기 도입장치
JP2009096313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および車両
KR101544869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어스피레이터
KR101617106B1 (ko) 두 개의 블로워가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는 시트 통풍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72987A (ko) 자동차실내환기장치구조
JPH10152051A (ja) 車両用換気システム
KR19990018562A (ko) 자동차의 자동환기장치
KR0152183B1 (ko) 자동차의 환기 장치
KR0128797Y1 (ko) 자동차용 리어 벤틸레이터
KR20040003484A (ko) 실내압력이 제어되는 차량 환기 시스템
KR910000339Y1 (ko) 차량용 환기장치
KR101453940B1 (ko)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CN204513663U (zh) 一种环卫车辆空调蒸发箱
KR20010066059A (ko) 자동차용 담배연기 배출장치
KR101159244B1 (ko) 전기자동차의 냉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