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940B1 -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940B1
KR101453940B1 KR1020140026311A KR20140026311A KR101453940B1 KR 101453940 B1 KR101453940 B1 KR 101453940B1 KR 1020140026311 A KR1020140026311 A KR 1020140026311A KR 20140026311 A KR20140026311 A KR 20140026311A KR 101453940 B1 KR101453940 B1 KR 10145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air flow
flow guide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중희
Original Assignee
한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중희 filed Critical 한중희
Priority to KR1020140026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5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2Openings in or on the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30Air sco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이 주행할 때 차량의 내부와 외부 간의 기압차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잔류하는 오염공기를 차량의 외부로 손쉽고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는, 차량의 지붕 외면에 결합되어 외부 공기의 흐름을 유도 및 차량의 내, 외부 간 기압차를 발생시키는 공기흐름유도부재; 상기 차량의 지붕 내면에 설치되어 공기흐름유도부재를 차량의 지붕 외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하도록 공기유로관을 갖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복수 개의 흡입공과, 삽입공과, 개방위치부와 폐쇄위치부 및 경사면을 갖는 조절부재가 구비된 공기흡입부재; 상기 공기흡입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흡입부재의 조절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재의 공기유로관을 개폐하는 개폐장치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ventilation apparatus for indoor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이 주행할 때 차량의 내부와 외부 간의 기압차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잔류하는 오염 공기를 차량의 외부로 손쉽고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와 탑승자의 호흡 및, 담배 흡연으로 인한 냄새 또는, 상기 차량 내에서 먹는 각종 음식물이나 차량에 실어진 상태로 운반되는 음식물 등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는 오염된다.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 오염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차량의 창문을 열어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과 함께 외부 공기를 차량의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서, 상기 차량 내의 실내 공기 오염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차량 내로 유입되는 신선한 외부 공기에 의해 차량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켜 쾌적한 차량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그러나, 눈이나 비가 오거나 스모그나 미세먼지 등이 발생한 날씨 또는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때에는 상기 차량의 창문을 열 수 없음으로,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 오염도가 높아짐에 따라 쾌적한 차량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없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24486호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가 개재되어 있는바, 상기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는,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원이 없어도 외부로 차량 실내의 담배연기 등을 외부로 배기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는 벤츄리관 형태의 본체 내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실내 공기를 유동시켜 외부로 배기함으로서, 상기 실내 공기의 배기량이 적음에 따라 실내 환기를 제대로 할 수 없으며, 상기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벤츄리관 형태의 본체로 인하여 차량 외관이 미관상 그다지 미려하지 않으며, 상기 실내 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한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실내 환기장치의 제작에 따른 비용 및 시간, 인력손실이 상승함은 물론 실내 환기장치의 설치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24486호(2013.10.2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외부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공기흐름유도부재와, 공기 유로관을 갖는 고정부재와, 공기흡입부재 및, 공기유로관을 개폐하여 실내 공기가 외부로 흐르거나 이를 차단하는 개폐장치부로 구성된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차량이 주행할 때 공기흐름유동부재에 의해 차량 내부와 외부 간에 발생하는 기압차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잔류하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차량의 외부로 손쉽고 용이하게 배출함은 물론 이로 인한 차량의 실내를 원활하게 환기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실내 환기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함에 따라 제작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며, 상기 차량의 외부에 부착된 공기흐름유도부재의 형상으로 인한 차량의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이 주행할 때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차량의 실내를 환기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 환기장치는, 상기 차량의 지붕 외면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차량의 지붕 표면에 흐르는 외부 공기의 흐름을 유도함은 물론 상기 유도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차량의 내부와 외부 간의 기압차를 발생시키는 공기흐름유도부재; 상기 차량의 지붕 내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공기흐름유도부재를 차량의 지붕 외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와 결합되고, 공기흐름유도부재로 실내 공기를 보내도록 상기 실내 공기가 흐르는 공기유로관을 갖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복수 개의 흡입공과, 상기 각 흡입공의 내측인 중앙부에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외측에 형성되어 고정부재의 공기유로관을 개폐하기 위한 개방위치부와 폐쇄위치부 및 경사면을 갖는 조절부재가 구비된 공기흡입부재; 상기 공기흡입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흡입부재의 조절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재의 공기유로관을 개폐하는 개폐장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공기흐름유도부재와, 공기유로관을 갖는 고정부재와, 공기흡입부재 및, 공기유로관을 개폐하여 실내 공기가 외부로 흐르거나 이를 차단하는 개폐장치부로 구성된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차량이 주행할 때 공기흐름유동부재에 의해 차량 내부와 외부 간에 기압차가 발생하고 상기 발생하는 기압차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잔류하는 오염된 실내 공기는 차량의 외부로 원활하게 흐르면서 외부로 손쉽고 용이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차량의 실내를 원활하게 환기시키므로 인해 상기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차량의 실내를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실내 환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함에 따라 상기 실내 환기장치를 제작하는 비용, 시간, 인력 손실을 줄임에 따라 작업 효율성이 향상됨은 물론 누구든지 손쉽고 용이하게 실내 환기장치의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의 외부에 부착된 공기흐름유도부재를 삼각형상으로 날렵하게 형성함에 따라 상기 실내 환기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외관이 매우 미려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의 공기흡입부재를 저면에서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에 의해 실내 공기의 흐름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에 의해 실내 공기의 흐름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과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량이 주행할 때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차량의 실내를 환기시키도록 상기 차량의 지붕(200)에 결합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1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차량의 지붕(200) 외면에는 주행하는 차량의 지붕(200) 표면에 흐르는 외부 공기의 흐름을 유도 즉, 도 6에서와 같이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외부 공기의 흐름을 전면에서 배면으로 유도함은 물론 상기 배면으로 유도되는 외부 공기에 의해 배면 측에서의 기압이 낮아짐에 따라 차량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차량의 내부와 외부 간의 기압차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공기흐름유도부재(11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는 도 1과 도 2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갈수록 폭과 높이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즉, 좌우측면과 저면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삼각형태의 외관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양측면은 공기흐름유동부재(110)의 양측면을 따라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내부는 실내 공기가 유입됨은 물론 상기 유입된 실내 공기가 머무를 수 있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배면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저면에는 후술할 고정부재(120)의 공기유로관(122)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저면결합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개방된 배면에는 공기흐름유도부재(110) 내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공(112a)을 갖는 배면결합부(11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저면에는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를 차량의 지붕(200)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부재(114)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저면 외면에는 공기흐름유도부재(110)와 차량의 지붕(200) 표면 사이의 틈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저면 외면과 지붕(200)의 표면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실링부재(113)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 내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배면결합부(112)에 형성된 공기배출공(112a) 측으로 안내하도록 하는 공기유로안내관(150)이 결합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유로안내관(150)은 도면에서와 같이 "ㄴ"자 형상은 물론 일자 형상 및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안내관(150)의 일측에는 공기흐름유도부재(110) 내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공기유로안내관(150)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공(1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유로안내관(150)의 타측에는 상기 유입공(151)을 통해 공기유로안내관(150) 내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공기배출공(112a) 측으로 토출하도록 상기 공기배출공(112a)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토출공(1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량의 지붕(200) 내면에는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를 차량의 지붕(200) 외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와 결합됨은 물론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를 공기흐름유도부재(110) 내로 보내도록 상기 실내 공기가 흐르는 공기유로관(122)을 갖는 고정부재(120)가 밀착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고정부재(120)는 도 2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차량의 지붕(200) 내면에 밀착 결합되는 본체(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21)의 상면에는 실내 공기의 흐름 유로를 형성함은 물론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저면결합부(11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공기유로관(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유로관(122)에는 후술할 개폐장치부(140)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실내 공기를 공기흐름유도부재(110)로 보내도록 상기 실내 공기가 유입되어 흐르는 공기유로공(1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21)의 저면에는 후술할 공기흡입부재(130)와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120)의 본체(121)는 도면상에서와 같이 원형 형상은 물론 타원형 형상 및 다각형 형상(삼각, 사각, 육각 등) 또는 불규칙한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20)에는 차량 내의 실내 공기를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공기배출공(112a)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로 보내도록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재(13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공기흡입부재(130)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공(131)이 하나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흡입공(131)의 내측인 공기흡입부재(130)의 중앙부에는 삽입공(132)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132)의 외측에는 후술할 개폐장치부(140)를 이동시키면서 고정부재(120)의 공기유로관(122)를 개폐하도록 하는 조절부재(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부재(133)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20)의 공기유로관(122)에 형성된 공기유로공(122a)을 막아 폐쇄하도록 후술할 개폐장치부(140)의 조절버튼(141)이 위치하는 폐쇄위치홈부(13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폐쇄위치홈부(1331)의 측방에는 공기유로관(122)의 공기유로공(122a)을 열어 개방하도록 후술할 개폐장치부(140)의 조절버튼(141)이 위치하는 개방위치홈부(1332)가 폐쇄위치홈부(133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위치홈부(1332)와 폐쇄위치홈부(1331) 사이에는 후술할 개폐장치부(140)를 이동시켜 공기유로공(122a)을 개폐하기 위하여 개폐장치부(140)의 조절버튼(141)를 회전시킬 때 조절버트(141)의 리브(143)가 슬라이딩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13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흡입부재(130)에는 상기 공기흡입부재(130)의 조절부재(133)를 따라 회전하는 조절버튼(141)에 의하여 도면상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재(120)의 공기유로관(122)에 형성된 공기유로공(122a)을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장치부(14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개폐장치부(140)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공기흡입부재(130)의 저면에는 상기 공기흡입부재(130)의 조절부재(133)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함은 물론 상기 조절부재(133)의 개방위치홈부(1332)와 폐쇄위치홈부(1331)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절버튼(141)이 결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절버튼(141)의 중앙부에는 공기흡입부재(130)의 삽입공(132)으로 삽입됨은 물론 상기 삽입공(132) 내를 왕복이동하는 축부(1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부(142)에는 후술할 개폐부재(14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볼트(147)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공(14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버튼(141)의 내부에는 상기 조절부재(133)의 개방위치홈부(1332)와 폐쇄위치홈부(1331)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할 때 상기 조절버튼(14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은 물론 상기 조절부재(133)의 경사면(1333)과 맞닿은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리브(1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브(143)는 상기 조절버튼(141)의 기울어짐 없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버튼(141)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부(142)의 외주면 즉, 공기흡입부재(130)의 삽입공(132)으로 삽입된 상태인 축부(142)의 외주면에는 일정 탄성을 갖는 탄성스프링(144)이 축부(142)를 감싸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부(142)의 단부에는 축부(142)에서 탄성스프링(144)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느 이탈방지부재(145)가 결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145)의 외측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145)를 감쌈은 물론 상기 조절버튼(14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공기유로관(122)의 공기유로공(122a)을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부재(14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폐부재(146)는 고정부재(120)의 본체(121)와 접촉될 때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을 방지 및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본체(121)에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도록 일정 탄성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부(142)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공(142a)에는 상기 축부(142)에서 탄성스프링(144)과 이탈방지부재(145) 및 개폐부재(146)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축부(142)에 고정 결합하도록 하는 볼트(147)가 체결되어 있고, 상기 볼트(147)와 개폐부재(146)의 외면 사이에는 와셔(14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평상시 또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지 않을 때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실내 환기장치(100)는 공기의 유로를 폐쇄 즉, 실내 환기장치(100)의 개폐장치부(140)에 구비된 조절버튼(141)은 닫힘 위치에 위치시킴에 따라 상기 조절버튼(141)의 축부(142)에 설치된 탄성스프링(14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조절버튼(141)과 이탈방지부재(145) 및 개폐부재(146)는 상방 측으로 이동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럼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146)는 고정부재(120)의 공기유로관(122)에 형성된 공기유로공(122a)을 도 4에서와 같이 막음에 따라 공기의 유로가 폐쇄되므로 인해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한편, 주행하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환기시키고자 할 때 즉,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와 탑승자의 호흡 및, 담배 흡연으로 인한 냄새 또는, 상기 차량 내에서 먹는 각종 음식물이나 차량에 실어진 상태로 운반되는 음식물 등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가 오염 및 냄새가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켜야 한다.
우선, 상기 차량의 지붕(200) 내면에 위치하는 실내 환기장치(100)의 개폐장치부(140)에 결합 설치된 조절버튼(141)을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하는 조절버튼(141)의 리브(143)는 공기흡입부재(130)에 형성된 조절부재(133)의 폐쇄위치홈부(1331)에서 경사면(1333)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개방위치홈부(1332)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방위치홈부(1332) 내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버튼(141)은 도면상 하방 측으로 이동하여 공기흡입부재(13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조절버튼(141)과 함께 축부(142)와 이탈방지부재(145) 및 개폐부재(146)도 하방 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부재(120)의 공기유로관(122)으로부터 상기 개폐장치부의 개폐부재(146)가 분리되어 떨어짐에 따라 상기 공기유로관(122)의 공기유로공(122a)은 개방된다.
이때, 상기 차량의 지붕(200) 외면에 결합 설치된 실내 환기장치(100)의 공기흐름유도부재(110) 전면에서 배면 측으로 외부 공기가 지나가게 되는데, 즉 도 6에서와 같이 차량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외부 공기가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양측면을 타고 흐르게 되고, 상기 흐르는 외부 공기는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배면에서 빠르게 흐르면서 기압이 낮아진다.
그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실내와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배면 간에 기압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실내 공기는 공기흐름유도부재(110) 측으로 흐르면서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배면에 형성된 공기배출공(112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에 의하여 기압차가 발생하면, 상기의 기압차에 의해 공기흡입부재(130)의 각 공기흡입공(131)을 통해 실내 공기가 곧기흡입부재(130)와 고정부재(120) 사이의 공간으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개폐부재(146)가 분리되어 개방된 상기 공기유로관(122)의 공기유로공(122a)으로 유입되어 흐르면서 공기흐름유도부재(110)의 저면결합부(111)를 통해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 내로 유입된다.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 내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배면결합부(112)에 형성된 공기배출공(112a)을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110) 내에 설치된 공기유로안내관(150)의 유입공(151)으로 유입되어 흐르면서 공기배출공(112a)에 결합된 토출공(152)을 통해 토출되어 공기배출공(112a)을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상기 차량의 창문을 열지 않고도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켜 차량의 실내를 환기시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낮춰 상기 차량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지 않을 때에는 개폐장치부(140)의 조절버튼(141)을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조절버튼(141)의 리브(143)는 개방위치홈부(1332)에서 경사면(1333)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폐쇄위치홈부(1331)로 이동하여 위치함에 따라 상기 조절버튼(141)은 상기 공기흡입부재(130) 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조절버튼(141)의 축부(142)에 설치된 탄성스프링(144)의 탄성력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이 조절버튼(141)을 비롯하여 이탈방지부재(145)와 개폐부재(147)는 차량의 상방 측 즉, 고정부재(120) 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하는 개폐부재(147)는 상기 고정부재(120)의 공기유로관(122)에 형성된 공기유로공(122a)을 막아 공기의 유로를 폐쇄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는 더 이상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100: 실내 환기장치 110: 공기흐름유도부재
111: 저면결합부 112: 배면결합부
112a: 공기배출공 113: 실링부재
114: 접착부재 120: 고정부재
121: 본체 122: 공기유로관
123: 공기유로공 124: 결합부
130: 공기흡입부재 131: 공기흡입공
132: 삽입공 133: 조절부재
140: 개폐장치부 141: 조절버튼
142: 축부 142a: 체결공
143: 리브 144: 탄성스프링
145: 이탈방지부재 146: 개폐부재
147: 볼트 148: 와셔
150: 공기유로안내관 151: 유입공
152: 토출공 200: 차량의 지붕
1331: 폐쇄위치홈부 1332: 개방위치홈부
1333: 경사면

Claims (7)

  1. 차량이 주행할 때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차량의 실내를 환기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 환기장치는, 상기 차량의 지붕 외면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차량의 지붕 표면에 흐르는 외부 공기의 흐름을 유도함은 물론 상기 유도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차량의 내부와 외부 간의 기압차를 발생시키는 공기흐름유도부재; 상기 차량의 지붕 내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공기흐름유도부재를 차량의 지붕 외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와 결합되고, 공기흐름유도부재로 실내 공기를 보내도록 상기 실내 공기가 흐르는 공기유로관을 갖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복수 개의 흡입공과, 상기 각 흡입공의 내측인 중앙부에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외측에 형성되어 고정부재의 공기유로관을 개폐하기 위한 개방위치홈부와 폐쇄위치홈부 및 경사면을 갖는 조절부재가 구비된 공기흡입부재; 상기 공기흡입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흡입부재의 조절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재의 공기유로관을 개폐하는 개폐장치부;로 구성되되,
    상기의 고정부재는, 차량의 지붕 내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공기흐름유도부재의 저면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 개폐장치부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실내 공기를 공기흐름유도부재 내로 보내도록 상기 실내 공기가 흐르는 공기유로공을 갖는 공기유로관과,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공기흡입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흐름유도부재는, 전면에서 배면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삼각형태의 외관을 형성되고,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의 양측면은 외부 공기가 타고 흐르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의 배면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의 저면에는 고정부재의 공기유로관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저면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의 개방된 배면에는 공기흐름유도부재 내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공을 갖는 배면결합부가 결합되되,
    상기 공기흐름유도부재의 내부에는 유입된 실내 공기를 공기배출공 측으로 안내하도록 하는 공기유로안내관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로안내관의 일측에는 유입된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로안내관의 타측에는 유입공으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공기배출공 측으로 토출하도록 상기 공기배출공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토출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장치부는, 공기흡입부재의 저면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부재의 조절부재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절버튼과,
    상기 조절버튼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공기흡입부재의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체결공을 갖는 축부와,
    상기 조절버튼의 내부에 형성되어 조절부재의 개방위치홈부와 폐쇄위치홈부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할 때 조절버튼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은 물론 상기 조절부재의 경사면과 맞닿은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리브와,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감싸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축부의 단부에 결합 설치되어 탄성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와,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재를 감쌈은 물론 상기 조절버튼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공기유로관의 공기유로공을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축부에서 탄성스프링과 이탈방지부재 및 개폐부재의 이탈을 방지 및 축부에 고정 결합하도록 하는 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개폐장치부의 개폐부재는 고정부재와 접촉될 때 소음이나 진동을 방지 및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고정부재에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도록 탄성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KR1020140026311A 2014-03-06 2014-03-06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KR101453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311A KR101453940B1 (ko) 2014-03-06 2014-03-06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311A KR101453940B1 (ko) 2014-03-06 2014-03-06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940B1 true KR101453940B1 (ko) 2014-10-23

Family

ID=5199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311A KR101453940B1 (ko) 2014-03-06 2014-03-06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9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225B2 (ko) * 1988-10-26 1991-01-22 Tsukasa Nakatsu
KR970034466A (ko) * 1995-12-20 1997-07-22 김태구 자동차의 환기 장치
KR20120012862A (ko) * 2010-08-03 2012-02-13 강민우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KR20130009543A (ko) * 2011-07-13 2013-01-23 정주석 차량의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225B2 (ko) * 1988-10-26 1991-01-22 Tsukasa Nakatsu
KR970034466A (ko) * 1995-12-20 1997-07-22 김태구 자동차의 환기 장치
KR20120012862A (ko) * 2010-08-03 2012-02-13 강민우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KR20130009543A (ko) * 2011-07-13 2013-01-23 정주석 차량의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160B1 (ko) 창문 실내외 겸용 공기청정기
US9802145B2 (en) Air purifier
RU2009100677A (ru)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и оборудовани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9101991A (ja) 通気装置
US20210146752A1 (en)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528028B1 (ko) 환기용 외부 후드캡
CN104864510B (zh) 空气处理设备
FR3070354A1 (fr) Motrice de train a grande vitesse avec surpression interne
KR20180049546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인테이크 덕트용 외기 흡입구 커버
KR101453940B1 (ko)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US2849941A (en) Automobile ventilator
ATE425032T1 (de) Verbesserte luftausströmer für innenräume von kraftfahrzeugen und armaturenbrett versehen mit so einem luftausströmer
KR101525765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CN205747656U (zh) 一种带加装风扇支架的新型风道装置的冰箱或酒柜
WO2011096186A1 (ja) 外壁端末換気口
WO2009087683A2 (en) Fresh air duct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653381B1 (ko) 날개없는 터널용 환기장치
CN202350268U (zh) 空调器
KR101525763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KR101290253B1 (ko) 차량의 환기장치
KR20110130311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JP5515801B2 (ja) 外壁端末換気口
RU2016107727A (ru) Низкопрофильная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и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 ее обеспечения
KR20120012862A (ko)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CN105150802A (zh) 一种重卡空调进风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