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253B1 - 차량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환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0253B1 KR101290253B1 KR1020110093548A KR20110093548A KR101290253B1 KR 101290253 B1 KR101290253 B1 KR 101290253B1 KR 1020110093548 A KR1020110093548 A KR 1020110093548A KR 20110093548 A KR20110093548 A KR 20110093548A KR 101290253 B1 KR101290253 B1 KR 1012902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sleeve
- flow path
- pipe
- v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2—Openings in or on the vehicle ro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85—Valve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e.g. thermostatic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시 발생하는 부압을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차량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환기장치는 차량의 실내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주행시 상기 유로의 출구 주변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기부와, 통기부를 상기 차량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차량의 환기장치는 차량의 실내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주행시 상기 유로의 출구 주변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기부와, 통기부를 상기 차량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시 발생하는 부압을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차량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여름철 날씨가 더운 경우 실내를 시원하게 하기 위한 냉방장치와 겨울철 날씨가 추운 경우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한 난방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냉, 난방장치는 자동차의 실내공기를 냉각시키거나 난방시키도록 되어 있고, 냉, 난방시 실내의 냉방효율 또는 난방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운행해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실내공기 중 산소함유량이 적어지고 이산화탄소의 함유량이 많아져 두통을 야기시키는 등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장시간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와의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자동차 시트나 이너트림(Inner Trim) 등 자동차의 내부장식물로부터 배출되는 화학성분 또는 냄새에 의하여 실내공기가 혼탁해지기 때문에 쾌적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환기장치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 자동차의 환기장치의 경우 팬을 모터로써 구동하여 환기를 시키기 때문에 소음 발생과 함께 자동차 전기 부하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11-0023664호에는 벤추리효과관의 실내 환기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내 환기 구조는 차량 지붕(roof)의 차체구조에 부착하여 실내환기를 위한 벤츄리관닥트를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은 벤츄리관 닥트가 항상 개방된 상태에 있으므로 겨울철이나 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환기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기량을 운전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벤츄리관의 닥트의 일단이 자동차의 주행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우천시에 빗물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부압을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기는 배출되는 유로를 개폐하거나 유로의 크기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환기장치는 차량의 실내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주행시 상기 유로의 출구 주변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기부와; 상기 통기부를 상기 차량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기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의 개폐 또는 상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기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차량에 고정되며 하부는 상기 차량의 실내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는 중공구조의 제 1유통관과, 상기 제 1유통관의 상부에서 상기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공구조의 제 2유통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기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차량에 고정되며 하부는 상기 차량의 실내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는 중공구조의 제 1유통관과, 상기 제 1유통관에서 상기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공구조의 제 2유통관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제 1유통관의 유로상에 수용되며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며 측면에 통기홀이 형성된 중공구조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를 회전시켜 상기 통기홀을 상기 제 2유통관의 유로와 일치 또는 불일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의 회전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슬리브의 일측에 형성된 제 1연통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통기홀을 향해 연장되는 대롱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유통관은 상기 슬리브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연통홀과 일치되는 제 2연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기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차량에 고정되며 하부는 상기 차량의 실내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는 중공구조의 제 1유통관과, 상기 제 1유통관에서 상기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공구조의 제 2유통관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제 1유통관의 유로상에 수용되며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며 측면에 상부에 통기홀이 형성되고 측면 하부에 공기유입홀이 형성된 중공구조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를 승강시켜 상기 통기홀을 상기 제 2유통관의 유로와 일치시키면 상기 공기유입홀이 개방되고 상기 통기홀을 상기 제 2유통관의 유로와 불일치시키면 상기 공기유입홀이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의 승강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부압을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기는 배출되는 유로를 개폐하거나 유로의 크기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환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환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환기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환기장치는 크게 통기부(5)와, 고정부(30)를 구비한다.
통기부(5)는 차량(1)에 장착되어 차량(1)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시된 예에서 통기부(5)는 차량의 천장(3)에 장착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차량(1)의 뒷유리, 트렁크, 차량의 측면, 탑차의 화물함 등에도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통기부(5)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통기부(5)는 일 예로 제 1유통관(10)과, 제 2유통관(20)으로 이루어진다. 제 1유통관(10)은 내부가 빈 중공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 1유통관(10)의 내부에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11)가 형성된다. 제 1유통관(10)은 차량의 천장(3)에 형성된 장착홀(4)을 통해 천장(3)을 상하로 관통한다. 제 1유통관(10)의 하부는 차량(1)의 실내와 연결되고 상부는 차량(1)의 외부로 노출된다.
제 1유통관(10)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5)가 마련된다. 나사부(15)는 제 1유통관(10)의 상부보다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된다. 나사부(15)에는 후술할 고정부(30)가 나사결합되어 제 1유통관(10)을 차량의 천장(3)에 고정시킨다. 제 1유통관(10)의 고정시 장착홀(4)을 통해 차량(1)의 실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패킹과 같은 실링부재(19)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재(19)는 차량(1)의 외부측에 설치되나, 이와 달리 차량(1)의 내부측에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유통관(20)은 제 1유통관(10)의 상부에서 차량(1)의 후미 방향, 즉 차량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 1유통관(10)과 제 2유통관(20)은 하나의 파이프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지만, 이와 달리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제 1 및 제 2유통관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유통관(20)은 제 1유통관(10)과 마찬가지로 내부가 빈 중공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 2유통관(20)의 내부에도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21)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1유통관(10)에 형성된 유로(11)를 제 1유로라 하고, 제 2유통관(20)에 형성된 유로(21)를 제 2유로라 한다. 제 1유로(11)와 제 2유로(21)는 연결되어 단일의 통로를 형성한다. 환기시 차량의 실내공기는 제 1유로(11)로 유입되어 제 2유로(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고정부(30)는 제 1유통관(10)을 차량의 천장(3)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고정부(30)는 제 1유통관(10)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15)에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홀(4)이 형성된 고정링(31)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링(31) 대신에 통상적인 너트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유통관(10)의 하부 즉, 나사부(15)가 장착홀(4)로 삽입되면 차량(1)의 실내에서 고정링(31)을 나사부(15)와 나사결합시켜 제 1유통관(10)을 고정시킨다.
상술한 본 발명의 환기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주행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파이프(20)의 주위에 고속의 유체 흐름이 형성된다. 이때 제 2유로(21)의 출구가 마련된 제 2파이프(20)의 후단에는 저항에 의한 와류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2파이프(20)의 후단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제 2유로(21)의 출구측 압력이 제 1유로(11)의 입구 측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차량의 실내 공기는 제 1유로 (11)및 제 2유로(21)를 따라 차량(1)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4 및 도 5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환기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차량의 환기장치는 통기부(40)와, 고정부(50)를 구비한다. 통기부(40)는 내부에 유로(43)가 형성된 본체(41)로 이루어지고, 본체(41)의 하부에는 나사부(44)가 형성된다. 유로(43)는 나사부(44)의 하단에서 본체(41)의 후단으로 관통하는 단일의 통로로 이루어진다.
본체(41)의 전방은 저항을 줄이기 위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본체(41)의 후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로(43)를 통해 빗물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의 천장(3)과 본체(41) 사이에는 고무판으로 형성된 실링부재(45)가 설치된다. 실링부재(45)의 중앙에는 나사부(44)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46)이 형성된다. 나사부(44)는 관통홀(46)을 통과하여 차량의 천장에 형성된 장착홀(4)로 삽입되어 차량의 실내와 연결된다.
고정부(50)는 나사홀(53)이 형성된 고정링(51)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링(51)은 차량의 천장(3)을 관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노출된 나사부(44)에 나사결합된다. 차량의 천장(3)과 고정링(51) 사이에는 와샤(57)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6 및 도 7에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통기부(60), 고정부(70), 조절수단(80)을 구비한다.
통기부(60)의 하부는 차량의 실내와 연결되고 상부는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는 중공구조의 제 1유통관(61)과, 제 1유통관(61)의 상부에 결합되는 중공구조의 제 2유통관(65)을 구비한다.
제 1유통관(60)은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제 1유로가 마련된다. 제 1유통관(60)의 하부에는 나사부(63)가 형성된다. 나사부(63)는 제 1유통관(61)의 상부측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제 2유통관(65)은 제 1유통관(61)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 2유통관(65)의 양단부는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제 2유통관(65)의 내부에는 제 2유로(66)가 형성된다. 제 2유통관(65)의 일단은 제 1유통관(61)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연결되고, 타단은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따라서 제 2유로(66)는 제 1유로와 연결된다.
고정부(70)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사홀(73)이 형성된 고정링(71)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링(71)은 제 1유통관(61)의 하부에 마련된 나사부(63)에 나사결합하여 제 1유통관(61)을 차량에 고정시킨다.
한편, 통기부(60)에는 제 1유로 또는 제 2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조절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조절수단은 제 1유로 또는 제 2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조절수단(80)은 제 1유통관(61) 내부에 수용되어 제 1유로와 연결되는 제 2유로(66)의 입구를 개폐함과 동시에 제 2유로(66)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절수단(80)의 일 예로 슬리브(81)와, 조작부를 구비한다.
슬리브(81)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중공구조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슬리브(81)의 외경은 제 1유통관(61)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제 1유통관(61)의 내부에 형성된 제 1유로상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제 1유통관(61)의 내측면과 슬리브(81)의 외측면 사이에 생기는 틈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유통관(61)과 슬리브(81)의 외측면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리브(81)의 외측면에 통상적인 실링처리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슬리브(81)의 하부에는 다수의 공기유입홀(87)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슬리브(81)는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제 1유통관(61)에 최대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가 제 1유통관(6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유입홀(87)은 슬리브(81)가 제 1유통관(61)에 최대로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슬리브(81)의 측면 상부측에는 제 2유로(66)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통기홀(85)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유입홀(87)과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슬리브(81) 외측면에는 가이드홈(89)이 형성된다. 가이드홈(89)은 슬리브(81)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가이드홈(89)의 일단(A)은 통기홀(85)의 중심에서 수직한 위치에 형성된다. 가이드홈(89)의 길이는 적어도 통기홀(85)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가령 통기홀(85)의 직경이 1cm라면 가이드홈(89)의 일단(A)에서 타단(B)까지의 길이는 1cm 이상이다.
제 1유통관(61)의 내측면에는 가이드홈(89)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6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기(67)는 반구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67)는 제 1유통관(61)과 제 2유통관(65)의 연결부위 중심에서 수직한 위치에 형성된다. 슬리브(61)를 제 1유통관(61)의 하부에서 최대로 삽입시키면 돌기(67)는 가이드홈(89)에 삽입된다. 제 1유통관(61)과 슬리브(81)는 통상적인 합성수지 소재로 성형되는 경우 다소의 형태 변형이 가능하므로 돌기(67)가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고 슬리브(67)의 삽입이 가능하다.
제 1유통관(61)에 수용된 슬리브(81)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부로 다양한 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조작부는 슬리브(81)의 하단에 고정 결합된 원판형의 디스크(90)이다. 디스크(90)는 슬리브(81)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사용자는 디스크(90)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슬리브(81)를 회전시킨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작부는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전동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슬리브(81)가 제 1유통관(61)에 삽입된 상태에서 디스크(90)를 잡고 슬리브(81)를 회전시키면 통기홀(85)은 제 2유통관(65)의 제 2유로(66)와 일치 또는 불일치되어 제 2유로(66)의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가령, 돌기(67)가 가이드홈(89)의 일단(A)에 걸릴 때까지 슬리브(81)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통기홀(85)은 제 2유로(66)와 일치된다. 이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차량의 실내공기는 공기유입홀(87)을 통해 슬리브(81) 내부로 유입되고, 슬리브(81)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제 2유로(66)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슬리브(81)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돌기(67)를 가이드홈(89)의 타단(B)에 걸리게 하면 통기홀(85)의 위치는 제 2유로(66)로부터 벗어난다. 따라서 제 2유로(66)는 폐쇄되어 실내공기의 배출이 중단된다. 또한, 돌기(67)가 가이드홈(89)의 일단(A)과 타단(B) 사이에서 위치하도록 슬리브(81)를 적절하게 회전시켜 통기홀(85)의 일부만 제 2유로(66)와 겹치도록 함으로써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3은 차량의 천장이고, 4는 장착홀, 69는 실링부재이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수단은 대롱(1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대롱(100)은 속이 빈 중공구조로 양단이 개방된 형태이다. 대롱(100)의 일단은 슬리브(81)의 일측에 형성된 제 1연통홀(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통기홀(85)을 향해 연장된다. 대롱(100)의 타단은 통기홀(85)에 미치지 않을 정도로 연장된다. 제 1연통홀(101)은 통기홀(85)의 맞은편에 형성된다. 제 1연통홀(101)은 통기홀(85)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제 1유통관(61)에는 제 2연통홀(103)이 형성된다. 통기홀(85)이 제 2유로(66)와 일치된 상태에서 제 2연통홀(103)은 제 1연통홀(101)과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 2연통홀(103)은 제 1연통홀(101)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1유통관(61)에 형성된 돌기(67)가 가이드홈의 일단에 걸릴 때까지 슬리브(81)를 회전시키면 통기홀(85)은 제 2유로(66)와 일치되고, 이때 대롱(100), 제 1연통홀(101), 제 2연통홀(103)도 일치한다. 따라서 통기홀(85), 제 2유로(66), 제 1연통홀(101), 제 2연통홀(103)은 일직선상에 놓인다. 이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차량의 실내공기는 와류에 의해 제 2유통관(66)의 후단에 형성된 부압과, 대롱(100)에 의한 베르누이 효과에 의해 실내공기가 더욱 용이하게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조절수단의 다른 예를 갖는 차량의 환기장치를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고 있다. 통기부(60)와, 고정부는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 1유통관(61)의 내측면에 설치된 돌기(130)의 위치는 상술한 실시 예와 다르다.
조절수단(110)은 슬리브(111)와 조작부를 구비한다.
슬리브(111)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중공구조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슬리브(111)의 외경은 제 1유통관(61)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제 1유통관(61)의 내부에 형성된 제 1유로상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슬리브(111)의 하부 측면에는 다수의 공기유입홀(117)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슬리브(111)는 도 10에 나타난 것처럼 제 1유통관(61)에 최대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 1유통관(61)의 내부에 전부 수용된다. 즉, 제 1유통관(61)에 최대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슬리브(111)의 하단과 제 1유통관(61)의 하단은 일치한다. 이때 공기유입홀(117)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슬리브(111)의 측면 상부측에는 제 2유로(66)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통기홀(115)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유입홀(117)의 사이에 위치한 슬리브(111) 외측면에는 가이드홈(119)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홈(119)과 대응되도록 제 1유통관(61)의 내측면에는 반구형의 돌기(13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슬리브(111)가 제 1유통관(61)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130)는 가이드 홈(119)에 결합된다.
돌기(130)가 가이드 홈(119)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리브(111)를 최대로 하강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홀(115)이 제 2유통관의 제 2유로(66)와 일치된다. 이때 공기유입홀(117)은 제 1유통관(61)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차량의 실내공기는 공기유입홀(117)을 통해 슬리브(111) 내부로 유입되고, 슬리브(111)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제 2유로(66)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11)를 최대로 상승시키면 통기홀(115)이 제 2유로(66)에서 벗어난다. 따라서 제 2유로(66)는 폐쇄되어 실내공기의 배출이 중단된다.
슬리브(111)의 승강은 조작부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시된 예에서 조작부는 슬리브(111)의 하단에 고정 결합된 원판형의 디스크(120)이다. 디스크(120)는 슬리브(111)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사용자는 디스크(120)를 손으로 잡고 슬리브(111)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작부는 전동모터 또는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승강시킬 수 있는 전동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차량 3: 천장
5: 통기부 10: 제 1유통관
20: 제 2유통관 31: 고정링
5: 통기부 10: 제 1유통관
20: 제 2유통관 31: 고정링
Claims (6)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차량의 실내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주행시 상기 유로의 출구 주변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차량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기부와; 상기 통기부를 상기 차량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통기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의 개폐 또는 상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통기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차량에 고정되며 하부는 상기 차량의 실내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는 중공구조의 제 1유통관과, 상기 제 1유통관에서 상기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공구조의 제 2유통관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제 1유통관의 유로상에 수용되며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며 측면에 통기홀이 형성된 중공구조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를 회전시켜 상기 통기홀을 상기 제 2유통관의 유로와 일치 또는 불일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의 회전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의 일측에 형성된 제 1연통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통기홀을 향해 연장되는 대롱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유통관은 상기 슬리브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연통홀과 일치되는 제 2연통홀이 상기 제 2유통관의 반대방향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환기장치.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9668 | 2011-07-13 | ||
KR20110069668 | 2011-07-1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9543A KR20130009543A (ko) | 2013-01-23 |
KR101290253B1 true KR101290253B1 (ko) | 2013-07-30 |
Family
ID=4783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3548A KR101290253B1 (ko) | 2011-07-13 | 2011-09-16 | 차량의 환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025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3940B1 (ko) * | 2014-03-06 | 2014-10-23 | 한중희 |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
KR102079709B1 (ko) * | 2018-09-05 | 2020-02-20 | 박완규 | 차량의 자동 환기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01465U (ko) * | 1996-06-17 | 1998-03-30 | 배기가 용이한 흡연 배출덕트 | |
KR20030072987A (ko) * | 2002-03-08 | 2003-09-19 | 노인채 | 자동차실내환기장치구조 |
-
2011
- 2011-09-16 KR KR1020110093548A patent/KR10129025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01465U (ko) * | 1996-06-17 | 1998-03-30 | 배기가 용이한 흡연 배출덕트 | |
KR20030072987A (ko) * | 2002-03-08 | 2003-09-19 | 노인채 | 자동차실내환기장치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9543A (ko) | 2013-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8333383B2 (en) | Air conditioner | |
KR102235819B1 (ko) | 편류 저감형 디퓨져 | |
KR101290253B1 (ko) | 차량의 환기장치 | |
CN106322610A (zh) | 加湿器 | |
CN106594881A (zh) | 空调柜机 | |
KR101155723B1 (ko) | 자동 개폐식 디퓨저 | |
KR101572676B1 (ko) | 차량의 환기장치 | |
KR20080027512A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KR101820793B1 (ko) |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 |
KR101751181B1 (ko) | 차량용 공기순환장치 | |
FI127341B (fi) | Ilmanvaihtoikkuna | |
KR102121971B1 (ko) |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인테이크 시스템 | |
KR102330702B1 (ko) |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 |
KR20120131746A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KR20150070561A (ko) |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 | |
KR20150124243A (ko) | 자동차 공기 조화기용 내외기 | |
KR102153461B1 (ko) | 열교환 환기장치의 개폐기구 | |
FI12468U1 (fi) | Tuloilmajärjestely | |
KR102631748B1 (ko) | 차량의 에어 가이드 장치 | |
CN216566778U (zh) | 一种可微调的中央空调精密组件 | |
CN214355449U (zh) | 用于车辆的通风装置及包括该通风装置的车门 | |
WO2022151802A1 (zh) | 立式空调室内机 | |
KR20120012862A (ko) |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 |
KR200375702Y1 (ko) | 온실용 지붕 환풍기 | |
KR100452441B1 (ko) | 자동차용 환기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