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311A -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311A
KR20110130311A KR1020100049893A KR20100049893A KR20110130311A KR 20110130311 A KR20110130311 A KR 20110130311A KR 1020100049893 A KR1020100049893 A KR 1020100049893A KR 20100049893 A KR20100049893 A KR 20100049893A KR 20110130311 A KR20110130311 A KR 20110130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case
air filter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9673B1 (ko
Inventor
나민균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67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발명은, 내기 유입구(101) 및 외기 유입구(102)를 갖는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내부에 송풍팬(122)이 설치되는 스크롤 케이스(120)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로부터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로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의 상부에 형성된 벨 마우스(124), 및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필터 삽입구(104)를 통해 삽입 설치되는 에어필터(13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의 내측면중 상기 벨 마우스(124)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에어필터(130)가 안착되는 안착턱(103)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필터(13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안착턱(103)에 안착되며 자체에 탄성력을 갖고 있어, 상기 에어필터(130)의 설치시 상기 에어필터(130)의 위치를 상승시키는 브릿지(131)가 형성된다. 따라서, 내외기 모드 선택시에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 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에어필터의 일부분으로만 통과하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유동되므로, 종래와 달리 통기저항이 줄어듦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유입공기의 손실도 줄어들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송풍효율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Blower Unit for Car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풍팬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상에 에어필터를 설치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자동차의 실내, 외 공기를 유입한 후 열교환기를 통해 그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자동차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조장치에는 자동차 실내 또는 실외로부터 공기(이하, 간단히 내기 또는 외기라고 함)를 도입하여 자동차 실내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유닛이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송풍유닛은, 내기 또는 외기가 유입되는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와,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의 아래쪽에 설치되며 송풍팬(21)을 구비하는 스크롤 케이스(20), 및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 내에 설치되는 에어필터(3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와 스크롤 케이스(20)를 연통시키는 흡입구(22)측으로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기 위한 벨마우스(Bell-mouth, 23)가 흡입구(22)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만곡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송풍유닛에 의하면, 송풍팬(21)이 구동되면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에어필터(30)를 거치면서 정화된 후, 벨 마우스(23)를 거쳐 스크롤 케이스(20)로 유입된다.
한편, 송풍유닛은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 내로 유입된 공기가 에어필터(30)를 통과하여 벨 마우스(23)를 거치면서 스크롤 케이스(20)로 유입될 때, 소음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송풍유닛은, 에어필터(30)와 벨 마우스(23) 사이에 간격이 없기 때문에, 에어필터(30)에서 벨 마우스(23)와 가장 가까운 부분으로만 공기가 통과하게 되고, 그에 따라 풍량이 감소하여 송풍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크롤 케이스로의 공기 유입시 통기저항에 따른 소음발생을 최소화하고, 풍량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기 유입구 및 외기 유입구를 갖는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내부에 송풍팬이 설치되는 스크롤 케이스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로부터 상기 스크롤 케이스로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스크롤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벨 마우스, 및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된 필터 삽입구를 통해 삽입 설치되는 에어필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의 내측면중 상기 벨 마우스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에어필터가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필터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안착턱에 안착되며 자체에 탄성력을 갖고 있어, 상기 에어필터의 설치시 상기 에어 필터의 위치를 상승시키는 브릿지가 형성된다.
상기 브릿지는 상기 에어필터의 전후단부 저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브릿지는 상기 에어필터의 전후단부 저면중 어느 한 부분에만 형성된다.
상기 필터 삽입구의 상하폭은 상기 에어필터의 상하폭보다 크고, 상기 브릿지를 포함한 에어필터의 상하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의하면, 내외기 모드 선택시에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 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에어필터의 일부분으로만 통과하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유동되므로, 종래와 달리 통기저항이 줄어듦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유입공기의 손실도 줄어들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송풍효율이 증대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일부 절개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송풍유닛의 단면도.
도 4는 에어필터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일부 절개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송풍유닛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 내외기 전환도어(110), 스크롤 케이스(120), 에어필터(130), 필터 커버(140) 및 전동모터(15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차량의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 유입구(101) 및 차량의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102)가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의 하부 내측면에는 그 상면에 에어필터(130)가 안착 설치되는 안착턱(103)이 형성되는데, 이 안착턱(103)은 후술할 스크롤 케이스(120)의 벨 마우스(124)와 이격되게 형성된다.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의 하부 일측면에는 에어필터(130)의 삽입을 위한 필터 삽입구(104)가 형성된다.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10)는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의 상부 내에서 내기 유입구(101)와 외기 유입구(102) 사이에 설치되어, 내기 유입구(101)와 외기 유입구(10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이러한 내외기 전환도어(110)는 송풍유닛의 외측에 설치되는 별도의 케이블(미도시)이나 액츄에이터(미도시) 등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는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의 아래쪽에 연결 형성되어,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로부터 공기를 유입한 후, 송풍덕트(121)를 통해 공조케이스(미도시)로 공기를 보내게 된다. 이러한 스크롤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송풍팬(122)이 구비된다.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의 상부에 형성된 흡입구(123)측에는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기 위한 벨 마우스(124)가 흡입구(123)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만곡 형성된다.
상기 에어필터(130)는 필터 삽입구(104)를 통해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로부터 스크롤 케이스(120)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필터(130)는 필터 삽입구(104)를 통해 삽입되면서 안착턱(103)에 의해 삽입이 가이드되면서 최종적으로 안착턱(103)에 안착된다.
상기 필터 삽입구(104)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에어필터(130)의 전후단부 저면에는 탄성력을 갖는 브릿지(131)가 각각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 때, 에어필터(130)의 전후단의 개념은 필터 삽입구(104)를 통해 먼저 삽입되는 부분이 전단이 되며 나중에 삽입되는 부분이 후단이 된다.
상기 브릿지(131)의 소재로는 탄성력을 갖는 금속재 또는 경한 성질의 고무재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탄성력을 갖게끔 얇게 연장된 플라스틱 소재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140)는 필터 삽입구(104)에 결합되어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 내로 삽입된 에어필터(130)가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전동모터(150)는 스크롤 케이스(120)의 하부에 관통 설치되어 송풍팬(122)을 구동시키게 된다.
도 4a 내지 4e는 에어필터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에어필터(130)를 삽입하기 전 필터 삽입구(104)에 결합된 필터커버(140)를 분리한 후, 도 4a와 같이 에어필터(130)를 수평으로 삽입한다. 참고로 필터 삽입구(104)의 상하폭은 브릿지(131)를 제외한 에어필터(130)의 상하폭보다 크나 브릿지(131)를 포함한 에어필터(130)의 상하폭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필터(130)를 필터 삽입구(104)를 통해 삽입하게 되면, 도 4b와 같이 에어필터(130)의 전단부에 형성된 브릿지(131)가 구부러지면서 에어필터(130)의 전단부가 필터 삽입구(104)를 통해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 내로 삽입된다.
상기 에어필터(130)는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안착턱(10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삽입되고, 에어필터(130)가 거의 삽입되면 도 4c와 같이 에어필터(130)의 전단부에 구비된 브릿지(131)가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수직인 상태에 가깝도록 복귀되어 안착턱(103)에 입설되면서 에어필터(130)의 전단부를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 에어필터(130)의 후단부에 구비된 브릿지(131)를 손으로 밀어 에어필터(130)가 완전히 삽입되면, 도 4d와 같이 에어필터(130)의 후단부에 구비된 브릿지(131)도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수직인 상태에 가깝도록 복귀되어 안착턱(103)에 입설되면서 에어필터(130)의 후단부를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필터(130)가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도 4e와 같이 필터 삽입구(104)가 필터 커버(140)를 차폐하여 에어필터(130)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때, 에어필터(130)의 후단부에 구비된 브릿지(131)의 하부는 필터 삽입구(104)와 필터 커버(140)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에어필터(130)의 유동이 방지되며, 그로 인해 유동으로 인한 소음도 방지된다. 한편, 에어필터(130)가 완전히 삽입되면 에어필터(130)의 위치가 필터 삽입구(104) 보다 상부에 자리잡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필터(130)가 삽입되면, 스크롤 케이스(120)의 흡입구(123)측에 형성된 벨 마우스(124)와 안착턱(103) 사이의 높이와 안착턱(103)과 에어필터(130) 사이의 높이를 합한 높이(h) 만큼, 에어필터(130)는 벨 마우스(124)와 이격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송풍유닛에 따르면, 내외기 모드 선택시에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에어필터(130)의 일부분으로만 통과하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유동되므로, 종래와 달리 통기저항이 줄어듦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유입공기의 손실도 줄어들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송풍효율이 증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에어필터의 전후단부에 구비되는 브릿지 모두 안착턱에 입설되는 형태만을 설명하였으나, 전단부에 구비되는 브릿지 만이 안착턱에 입설되는 형태로서도 종래보다 향상된 소음 감소효율과 풍량 증대효율을 얻을 수 있다.
100 :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 101 : 내기 유입구
102 : 외기 유입구 103 : 안착턱
104 : 필터 삽입구 110 : 내외기 전환되어
120 : 스크롤 케이스 121 : 송풍덕트
122 : 송풍팬 123 : 흡입구
124 : 벨 마우스 130 : 에어필터
131 : 브릿지 140 : 필터커버
150 : 전동모터

Claims (4)

  1. 내기 유입구(101) 및 외기 유입구(102)를 갖는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내부에 송풍팬(122)이 설치되는 스크롤 케이스(120)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로부터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로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의 상부에 형성된 벨 마우스(124), 및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필터 삽입구(104)를 통해 삽입 설치되는 에어필터(13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0)의 내측면중 상기 벨 마우스(124)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에어필터(130)가 안착되는 안착턱(103)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필터(13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안착턱(103)에 안착되며 자체에 탄성력을 갖고 있어, 상기 에어필터(130)의 설치시 상기 에어필터(130)의 위치를 상승시키는 브릿지(1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131)는 상기 에어필터(130)의 전후단부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131)는 상기 에어필터(130)의 전후단부 저면중 어느 한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삽입구(104)의 상하폭은 상기 에어필터(130)의 상하폭보다 크고, 상기 브릿지(131)를 포함한 에어필터(130)의 상하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KR1020100049893A 2010-05-27 2010-05-27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KR101609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893A KR101609673B1 (ko) 2010-05-27 2010-05-27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893A KR101609673B1 (ko) 2010-05-27 2010-05-27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311A true KR20110130311A (ko) 2011-12-05
KR101609673B1 KR101609673B1 (ko) 2016-04-06

Family

ID=4549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893A KR101609673B1 (ko) 2010-05-27 2010-05-27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6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1661A (zh) * 2013-06-17 2013-09-11 上海贝洱热系统有限公司 降噪汽车空调鼓风机进口防风环装置
KR20160066364A (ko) * 2014-12-02 2016-06-10 박헌호 차량용 에어 필터
CN106132735A (zh) * 2014-03-24 2016-11-16 株式会社电装 空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294Y1 (ko) 2003-04-02 2003-07-0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청정기의 필터 조립안내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1661A (zh) * 2013-06-17 2013-09-11 上海贝洱热系统有限公司 降噪汽车空调鼓风机进口防风环装置
CN106132735A (zh) * 2014-03-24 2016-11-16 株式会社电装 空调装置
KR20160066364A (ko) * 2014-12-02 2016-06-10 박헌호 차량용 에어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673B1 (ko)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00265A1 (en) Blower air suction device
KR10055643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JP5174949B2 (ja) 同時給排形換気扇
EP2336665A1 (en) Air conditioner
KR20110130311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JP5018967B2 (ja) 車両の吸気構造
JP4552654B2 (ja) 空気調和機
JP460431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CN105150802B (zh) 一种重卡空调进风结构
JP2005098533A (ja) 空気調和機
KR20070005261A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US10436473B2 (en)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CN211822733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JP2009023477A (ja) 自動車用シート空調装置
CN204956016U (zh) 一种重卡空调进风结构
KR100753448B1 (ko) 공기조화기
JP2007283800A (ja) ブロアユニット
JP6768135B1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333187Y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필터커버
JP2007269053A (ja) 車両用換気装置
JP2010112628A (ja) 空気調和機
JP2022108859A (ja) 冷却装置
WO2010150334A1 (ja) 空調ユニットの配設構造
JP2007163019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942529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