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507A -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507A
KR20190053507A KR1020170149464A KR20170149464A KR20190053507A KR 20190053507 A KR20190053507 A KR 20190053507A KR 1020170149464 A KR1020170149464 A KR 1020170149464A KR 20170149464 A KR20170149464 A KR 20170149464A KR 20190053507 A KR20190053507 A KR 20190053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amplifying
filter
ai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949B1 (ko
Inventor
박경준
Original Assignee
박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준 filed Critical 박경준
Priority to KR1020170149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9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실외의 외기를 실내로 유입시킴에 있어, 그 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대응으로 항시 실내 공기의 원활한 순환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덕트 기능의 개선에 따른 쾌적한 실내환경의 개선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 Air conditioning duct System having a device for measuring pollution level }
본 발명은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외기)의 배출 및 흡입시키는 과정에서 오염도에 따른 작동으로 오염된 실내공기의 신속한 배출 및 신선한 외기의 유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급배기 기능을 갖는 덕트가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덕트는 실외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고,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환기장치와 함께 실내와 실외를 연통하도록 하는 덕트에 의해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 및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의 덕트는,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또는 실외의 외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단순한 순환방식을 구현하고 있으며, 특히 유입되는 외기의 상태에 따른 대응이 어려워 자칫 오염된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강제 송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공조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발생하는 계절에는 외부의 공기가 바로 들어올 경우 실내의 공기보다 더 나빠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실내 공기의 오염이 심할 경우 외부로 빠른 시간내에 배출시켜야 하지만, 덕트에 형성된 송풍기로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필요할 때마다 사용할 수 있는 강제 송풍수단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8-010135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실외의 외기를 실내로 유입시킴에 있어, 그 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대응으로 항시 실내 공기의 원활한 순환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덕트 기능의 개선에 따른 쾌적한 실내환경의 개선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킬 때 오염도가 높은 공기가 들어오면 자동으로 필터가 작동하여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유입시키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와, 실외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간편하게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실외공기의 실내유입을 차단하거나, 필터를 통과하게 하는 선택을 할 수 있고, 실내공기의 실외배출시 실내공기 오염도가 심할 경우 빠른 시간내에 배출하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덕트의 실내측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의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제1 측정센서;
덕트의 실외측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2 측정센서;
덕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강제 배출 및 외기의 강제 유입이 가능하게 하는 정역형 환기팬;
덕트의 내측에서 환기팬으로부터 실외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배출 및 외기의 강제 유입되는 공기량의 조절 및 필터링이 가능한 가변장치; 및
상기 제1,2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공기 오염도의 디스플레가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패널이 형성 및 환기팬 및 가변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갖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은, 덕특의 실내측에 실내 공기의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제1 측정센서가 형성되고 실외측에는 외기의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제2 측정센서가 형성 및 측정된 오염도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되는 등 공기 오염도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환기팬을 통해 오염된 공기의 신속한 배출 및 신선한 외기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등 덕트 기능의 현격한 개선에 따른 성능 향상과, 항시 쾌적한 실내환경의 개선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외기의 유입시 미세먼지 농도와 초미세농도 먼지양이 위험수준일 때 자동으로 필터가 작동되어 외기를 정화시켜 실내로 유입하므로 효과적인 환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의 가변장치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의 가변장치 평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의 가변장치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의 실내공기 배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의 외기 유입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은, 제1 측정센서(100)와, 제2 측정센서(200)와, 환기팬(300)과, 가변장치(400)와, 컨트롤부(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측정센서(100)는, 덕트(10)의 실내측에서 내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의 측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 측정센서(200)는, 덕트(10)의 실외측에서 내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의 오염도의 측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2 측정센서(100)(200)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공기 오염도의 측정이 가능한 센서면 가능하다.
상기 환기팬(300)은, 실내공기의 강제 배출 및 외기의 강제 유입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덕트(10)의 내측에 설치되되, 실내측에 근접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적용되는 환기팬(300)은,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덕트시설에 적용되는 팬이면 가능하며 정역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가변장치(400)는, 덕트(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배출 및 외기의 유입시 그 공기량의 가변 조절 및 필터링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가변장치(400)는, 도 2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체(410)와, 장치 하우징(420)과, 작동부(430)(430')와, 증폭팬(440)과, 필터유닛(450)과, 증폭팬 장착수단(460)과, 필터 장착수단(47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410)는, 상기 덕트(10)의 중간부를 절단하여 그 덕트(10)의 개구부(11)가 연통되게 설치되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며, 상단에는 내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410a)가 형성되고, 내측 바닥면에서 실내측에는 좌,우 길이를 가지는 증폭팬 인출공(411)이 관통 형성되고, 실외측에는 좌,우 길이를 가지는 필터 인출공(41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410)에는 그 양측에는 각각 실내측 및 실외측으로 수직장공 형태를 이루는 전,후방 가이드공(413)(414)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후방 가이드공(413)(414)은, 각각 양측 한 쌍으로 두쌍을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장치 하우징(420)은, 하기하는 증폭팬(440) 및 필터유닛(450)이 수용되는 것으로, 본체(4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본체(410)의 증폭팬 인출공(411) 및 필터 인출공(412)과 연통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430)(430')는, 상기 본체(410) 및 장치 하우징(420)의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게 구성되며, 상기 본체(4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전,후방 가이드공(413)(414)을 통해 내부가 연통되는 공간부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증폭팬(440)은, 상기 장치 하우징(4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장치 하우징(420)의 내측에서 실내측에 형성되며, 본체(4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증폭팬 인출공(411)을 통해 본체(410) 내부로 진입되어 실내측 덕트(10)의 개구부(11)에 장착된다.
즉, 증폭팬(440)은, 본체(410)에 장착되어 상기 환기팬(300)이 작동시 선택 작동되어 실내공기의 배출 및 외기의 가제 유입을 증폭시키게 구성된다.
상기 필터유닛(450)은, 상기 장치 하우징(4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장치 하우징(420)의 내측에서 실외측에 형성되며, 본체(410)의 바닥면에 형성된 필터 인출공(412)을 통해 본체(410) 내부로 진입되어 실내측 덕트(10)의 개구부(11)에 장착된다.
즉, 필터유닛(450)은, 본체(410)에 장착되어 외기를 유입시 외기에 포함된 오염된 물질을 필터링하여 순수한 외기의 공급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증폭팬 장착수단(460)은, 상기 증폭팬(440)의 상,하 승강을 단속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상기 일측의 작동부(430)에는 증폭팬 나사봉(461)이 베어링(도면중 미도시함) 등을 통해 축설되고, 반대측의 작동부(430)에는 증폭팬 가이드봉(462)이 수직 입설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증폭팬(440)의 양측에는 증폭팬 연결대(441)(441')가 돌출 형성된 것으로, 증폭팬 연결대(441)(441')는 상기 전방 가이드공(413)을 통해 양측의 작동부(430)(430')로 인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일측의 증폭팬 연결대(441)의 단부에는 증폭팬 너트체(463)가 형성 및 상기 증폭팬 나사봉(461)에 나삽되게 구성되고, 타측의 증폭팬 연결대(441')의 단부에는 증폭팬 가이드관(464)이 형성 및 상기 증폭팬 가이드봉(462)이 끼움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일측의 작동부(430)의 저면에는 상기 증폭팬 나사봉(461)과 연결되어 그 증폭팬 나사봉(461)의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정역 구동이 가능한 증폭팬 구동모터(465)가 구성된다.
즉, 증폭팬 장착수단(460)은, 상기 증폭팬(440)의 상,하 승강을 단속하게 구성된 것으로, 증폭팬 구동모터(465)를 상승 방향으로 구동시 증폭팬 나사봉(461)에 나삽된 증폭팬 너트체(463)를 통해 증폭팬(440)이 장치 하우징(420)으로부터 증폭팬 인출공(411)을 통해 본체(410)로 진입 장착되게 구성되며, 증폭팬 구동모터(465)의 반대 회전시 하강하여 장치 하우징(420)으로 회수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증폭팬(44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증폭팬 가이드봉(462)은 증폭팬 가이드관(464)의 승강을 가이드하여 안정된 승강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필터 장착수단(470)은, 상기 필터유닛(450)의 상,하 승강을 단속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상기 일측의 작동부(430)에는 필터 나사봉(471)이 베어링(도면중 미도시함) 등을 통해 축설되고, 반대측의 작동부(430')에는 필터 가이드봉(472)이 수직 입설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유닛(450)의 양측에는 필터 연결대(451)(451')가 돌출 형성된 것으로, 필터 연결대(451)(451')는 상기 후방 가이드공(414)을 통해 양측의 작동부(430)(430')로 인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일측의 필터 연결대(451)의 단부에는 필터 너트체(473)가 형성 및 상기 필터 나사봉(471)에 나삽되게 구성되고, 타측의 필터 연결대(451')의 단부에는 필터 가이드관(474)이 형성 및 상기 필터 가이드봉(472)이 끼움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일측의 작동부(430)의 저면에는 상기 필터 나사봉(471)과 연결되어 그 필터 나사봉(471)의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정역 구동이 가능한 필터 구동모터(475)가 구성된다.
즉, 필터 장착수단(470)은, 상기 필터유닛(450)의 상,하 승강을 단속하게 구성된 것으로, 필터 구동모터(475)를 상승 방향으로 구동시 필터 나사봉(471)에 나삽된 필터 너트체(473)를 통해 필터유닛(450)이 장치 하우징(420)으로부터 필터 인출공(412)을 통해 본체(410)로 진입 장착되게 구성되며, 필터 구동모터(475)의 반대 회전시 하강하여 장치 하우징(420)으로 회수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필터유닛(45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필터 가이드봉(472)은 필터 가이드관(474)의 승강을 가이드하여 안정된 승강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부(500)는, 상기 제1,2 측정센서(100)(200)에서 측정되는 오염도의 수치를 디스플레이 하는 한편, 환기팬(300) 및 가변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하게 구성된 것으로, 오염도 수치의 디스플레를 위해 디스플레이패널(510)이 형성되어 가변장치(400)의 작동은 통상의 스위치(520) 작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컨트롤부(500)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덕트(10)와는 별도로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실내에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을 이용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5의 도시와 같이 먼저, 컨트롤부(500)를 이용하여 통상의 환기방법과 같이 환기팬(300)을 작동시켜 덕트(10)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 및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내 공기를 배출함에 있어, 그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심할경우 그 배출력을 증폭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덕트(10)의 실내측에 형성된 제1 측정센서(100)에서는 항시 덕트(10)의 실내측에 진입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 및 그 측정치는 컨트롤부(500)의 디스플레이패널(510)에서 출력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패널(510)을 통해 공기 오염도의 확인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그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측정시 실내공기를 신속히 배출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는 가변장치(400)의 구동에 의해 가능하다.
즉, 컨트롤부(500)에서는 가변장치(400)의 증폭팬(440)을 작동시키면 되는 것으로, 먼저, 그 증폭팬(440)을 장착시키되, 증폭팬 구동모터(465)를 구동시켜 전술한 승강작동에 의해 증폭팬(440)을 본체(410)의 내부로 장착하면 된다.
이에, 증폭팬(440)은 실내측 덕트(10)의 개구부(11)에 장착되게 되는 것이며, 이때 그 증폭팬(440)을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환기팬(300)의 구동과 함께 증폭팬(440)의 구동으로 실내의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내 공기의 배출과 반대로 외기를 유입시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6의 도시와 같이 먼저, 컨트롤부(500)를 이용하여 통상의 환기방법과 같이 환기팬(300)을 작동시켜 덕트(10)를 통해 외기를 흡입 및 실내로 유입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외기를 유입함에 있어, 그 외기의 오염도가 심할경우 그 외기를 필터링하여 신선한 공기만의 유입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덕트(10)의 실외측에 형성된 제2 측정센서(200)에서는 항시 덕트(10)의 실외측에 유입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 및 그 측정치는 컨트롤부(500)의 디스플레이패널(510)에서 출력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패널(510)을 통해 공기 오염도의 확인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그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측정시 외기를 필터링하여 유입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는 가변장치(400)의 구동에 의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패널(510)에서 자동 동작 오염수치를 설정하게 되면, 설정된 위험수치에서 자동으로 외기를 필터링하게 구성된다.
즉, 컨트롤부(500)에서는 가변장치(400)의 필터유닛(450)을 장착하면 되는 것으로, 필터 구동모터(475)를 구동시켜 전술한 승강작동에 의해 필터유닛(450)을 본체(410)의 내부로 장착하면 된다.
이에, 필터유닛(450)은 실외측 덕트(10)의 개구부(11)에 장착되게 되는 것이며, 유입되는 오염된 외기는 필터유닛(450)을 통과하면서 필터링되어 신선한 공기만이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한편, 외기의 오염도가 측정되지 않을 시에는 상기 필터유닛(450)의 장착이 필요 없음은 당연할 것이며, 이러한 오염되지 않은 공기를 신속히 유입하고자 할 시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환기팬(440)을 작동시켜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은, 실내 공기를 환기시킴에 있어, 오염도의 측정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작동 및 오염된 공기의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신선한 외기를 유입시 이 또한 오염도를 측정 및 이에 따른 대처로 항시 실내에는 신선한 공기만의 유입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필요시 신속한 환기가 가능하게 되는 등 덕트 성능의 향상에 따른 환기 성능의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10 : 덕트
100 : 제1 측정센서 200 : 제2 측정센서
300 : 환기팬 400 : 가변장치
410 : 본체 411 : 증폭팬 인출공
412 : 필터 인출공 413,414 : 전,후방 가이드공
420 : 장치 하우징 430,430' : 작동부
440 : 증폭팬 450 : 필터유닛
460 : 증폭팬 장착수단 461 : 증폭팬 나사봉
462 : 증폭팬 가이드봉 463 : 증폭팬 너트체
464 : 증폭팬 가이드관 465 : 증폭팬 구동모터
470 : 필터 장착수단 471 : 필터 나사봉
472 : 필터 가이드봉 473 : 필터 너트체
474 : 필터 가이드관 475 : 필터 구동모터
500 : 컨트롤부 510 : 디스플레이패널
520 : 스위치

Claims (2)

  1. 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덕트(10)의 실내측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의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제1 측정센서(100);
    덕트(10)의 실외측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2 측정센서(200);
    덕트(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강제 배출 및 외기의 강제 유입이 가능하게 하는 정역형 환기팬(300);
    덕트(10)의 내측에서 환기팬(300)으로부터 실외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배출 및 외기의 강제 유입되는 공기량의 조절 및 필터링이 가능한 가변장치(400); 및
    상기 제1,2 측정센서(100)(200)에 의해 측정된 공기 오염도의 디스플레가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패널(510)이 형성 및 환기팬(300) 및 가변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520)를 갖는 컨트롤부(5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가변장치(400)는,
    덕트(10)를 절단하여 그 절단된 덕트(10)의 개구부(11)가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단에는 도어(420a)가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실내측으로 증폭팬 인출공(411)과 실외측으로 필터 인출공(412)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각각 실내측 및 실외측으로 수직장공 형태의 양측 한 쌍을 이루는 두개쌍의 전,후방 가이드공(413)(414)이 각각 형성된 본체(410);
    본체(4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증폭팬 인출공(411)과 필터 인출공(412)과 연통되는 공간부를 이루는 장치 하우징(420);
    본체(410) 및 장치 하우징(420)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전,후방 가이드공(413)(414)을 통해 연통되는 공간부를 이루는 작동부(430)(430');
    장치 하우징(420)의 내측에서 실내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배출 및 외기의 강제 유입을 증폭시키며, 증폭팬 인출공(411)을 통해 본체(410)의 내부로 진입하는 증폭팬(440);
    장치 하우징(420)의 내측에서 외측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필터링하며, 필터 인출공(412)을 통해 본체(410)의 내부로 진입하는 필터유닛(450);
    작동부(430)(430')의 내측에서 실내측에 형성되며, 일측 작동부(430)에는 증폭팬 나사봉(461)이 수직 축설되고, 반대측 작동부(430')에는 증폭팬 가이드봉(462)이 수직 입설되며, 증폭팬(440)의 양측에는 전방 가이드공(413)을 통해 양측의 작동부(430)(430')로 증폭팬 연결대(441)(441')가 인출되며, 일측의 증폭팬 연결대(441) 단부에는 증폭팬 너트체(463)가 형성 및 증폭팬 나사봉(461)에 나삽되고 타측의 증폭팬 연결대(441') 단부에는 증폭팬 가이드관(464)이 형성 및 증폭팬 가이드봉(462)이 슬라이딩 끼움되며, 일측 작동부(430)의 저면에는 상기 증폭팬 나사봉(461)과 연결되어 정역 구동하는 증폭팬 구동모터(465)가 형성된 증폭팬 장착수단(460); 및
    작동부(430)(430')의 내측에서 실내측에 형성되며, 일측 작동부(430)에는 필터 나사봉(471)이 수직 축설되고, 반대측 작동부(430')에는 필터 가이드봉(472)이 수직 입설되며, 필터유닛(450)의 양측에는 후방 가이드공(414)을 통해 양측의 작동부(430)(430')로 필터 연결대(451)(451')가 인출되며, 일측의 필터 연결대(451) 단부에는 필터 너트체(473)가 형성 및 필터 나사봉(471)에 나삽되고 타측의 필터 연결대(451') 단부에는 필터 가이드관(474)이 형성 및 필터 가이드봉(472)이 슬라이딩 끼움되며, 일측 작동부(430)의 저면에는 상기 필터 나사봉(471)과 연결되어 정역 구동하는 필터 구동모터(475)가 형성된 필터 장착수단(47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
KR1020170149464A 2017-11-10 2017-11-10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 KR102045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464A KR102045949B1 (ko) 2017-11-10 2017-11-10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464A KR102045949B1 (ko) 2017-11-10 2017-11-10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507A true KR20190053507A (ko) 2019-05-20
KR102045949B1 KR102045949B1 (ko) 2019-11-20

Family

ID=6667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464A KR102045949B1 (ko) 2017-11-10 2017-11-10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94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5671A (ko) * 2019-05-24 2020-12-03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미세먼지필터 이동장치가 구비된 실외공기 미세먼지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KR20210097352A (ko) * 2020-01-30 2021-08-09 (주)센도리 실내 공기청정시스템
KR20210142349A (ko) * 2020-05-18 2021-11-25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대용량 공기조화기용 미세먼지 제거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대용량 공기조화기
KR20230061852A (ko) * 2021-10-29 2023-05-09 박명희 하이브리드 스마트 공기정화 벤치
KR102647700B1 (ko) 2023-12-27 2024-03-15 하순렬 풍력 발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354A (ko) 2007-05-17 2008-11-21 주식회사 에어화인 공조 및 환기 시스템의 덕트
JP2009192199A (ja) * 2008-02-18 2009-08-27 Toyota Motor Corp 換気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JP2011504219A (ja) * 2007-11-21 2011-02-03 リーバート・コーポレイシヨン 移動可能送風機を備えるコンピュータ室環境調整装置
KR101539594B1 (ko) * 2014-10-28 2015-07-29 주식회사 성지테크 송풍 에너지 절약형 외기 냉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354A (ko) 2007-05-17 2008-11-21 주식회사 에어화인 공조 및 환기 시스템의 덕트
JP2011504219A (ja) * 2007-11-21 2011-02-03 リーバート・コーポレイシヨン 移動可能送風機を備えるコンピュータ室環境調整装置
JP2009192199A (ja) * 2008-02-18 2009-08-27 Toyota Motor Corp 換気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KR101539594B1 (ko) * 2014-10-28 2015-07-29 주식회사 성지테크 송풍 에너지 절약형 외기 냉방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5671A (ko) * 2019-05-24 2020-12-03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미세먼지필터 이동장치가 구비된 실외공기 미세먼지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KR20210097352A (ko) * 2020-01-30 2021-08-09 (주)센도리 실내 공기청정시스템
KR20210142349A (ko) * 2020-05-18 2021-11-25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대용량 공기조화기용 미세먼지 제거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대용량 공기조화기
KR20230061852A (ko) * 2021-10-29 2023-05-09 박명희 하이브리드 스마트 공기정화 벤치
KR102647700B1 (ko) 2023-12-27 2024-03-15 하순렬 풍력 발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949B1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3507A (ko)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
KR102203801B1 (ko) 창문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ES2356525T3 (es) Banco de trabajo de seguridad.
WO2016161834A1 (zh) 通风柜
KR101921206B1 (ko) 환기 겸용 공기청정장치
CN106765559B (zh) 空调与空气净化加湿设备联动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442199B1 (ko)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CN106140769A (zh) 通风柜
KR20130107671A (ko)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80415A (ko) 환기장치
EP3395453B1 (en) Laboratory suction hood
KR20050023790A (ko) 룸 에어컨의 공기 배출 구조
KR20180081777A (ko) 에어컨 실내기
KR102031650B1 (ko) 전열교환기 무선 연동으로 오염표시 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KR102068698B1 (ko) 건물의 실내압 조정장치
KR20030087872A (ko) 창문형 환기장치
KR20210098072A (ko) 공기 오염도 측정이 가능한 공조 덕트 시스템
JP2015064170A (ja) 空調部材とそれを用いた換気装置
KR20220089826A (ko)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
KR20220167535A (ko) 각 방 개별 환기시스템
KR20120012862A (ko)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KR101631221B1 (ko) 격벽유닛을 갖는 공기 청정기
KR101901138B1 (ko)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
KR20200022925A (ko) 외부공기 실내 공급장치
KR102098872B1 (ko) 저속치환 공조방식을 이용한 옥외 정화구역 조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