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826A -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 - Google Patents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826A
KR20220089826A KR1020200180379A KR20200180379A KR20220089826A KR 20220089826 A KR20220089826 A KR 20220089826A KR 1020200180379 A KR1020200180379 A KR 1020200180379A KR 20200180379 A KR20200180379 A KR 20200180379A KR 20220089826 A KR20220089826 A KR 20220089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artition wall
flow path
vertical partition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홍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스터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스터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스터즈
Priority to KR1020200180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9826A/ko
Publication of KR20220089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창문 등의 개폐수단을 폐쇄시킨 밀폐 환경에 대하여, 설정된 모드를 기반으로 ① 실외공기는 실내로 급기시키고,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기시키거나 ② 실외공기는 실내로 급기시키고,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기시킴과 동시에 연전소자를 이용하여 실외공기를 데워 실내로 급기시키거나, ③ 실외 공기의 급기를 차단하고, 실내공기를 데워 실내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수단을 폐쇄시킨 상태에서도 실내에 존재하는 유독가스와 CO2의 배출이 가능하고, 실외공기를 필터링시켜 실내로 공급시킴에 따라 개폐수단을 개방하여 환기하는 효과를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Ventilation purifier with filtering that allows ventilation in closed spaces}
본 발명은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창문 등의 개폐수단을 폐쇄시킨 밀폐 환경에 대하여, 설정된 모드를 기반으로 ① 실외공기는 실내로 급기시키고,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기시키거나 ② 실외공기는 실내로 급기시키고,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기시킴과 동시에 연전소자를 이용하여 실외공기를 데워 실내로 급기시키거나, ③ 실외 공기의 급기를 차단하고,
실내공기를 데워 실내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수단을 폐쇄시킨 상태에서도 실내에 존재하는 유독가스와 CO2의 배출이 가능하고, 실외공기를 필터링시켜 실내로 공급시킴에 따라 개폐수단을 개방하여 환기하는 효과를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실외 공기와 차단된 공간 내에서 생명체가 일정 시간 이상 호흡하는 경우, 실내에 이산화탄소량이 증가하게 되어 생명체의 호흡에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사무실과 같이 많은 사람이 함께 머무는 공간이나 차량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는 실내 공기를 수시로 환기시켜 주어야 한다. 이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환기 시스템이다.
그러나, 환기를 위해서는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가 서로 교환될 수 있도록 창문 등의 개폐수단을 개방시켜야 하는데, 이는 집중이 필요한 공간에서는 집중을 흐트리는 원인이 되기도 하고, 영유아에 위치하는 공간에서는 위험이 증가되기도 하며, 뿐만 아니라, 근래에는 황사나 미세먼지의 농도가 짙어짐에 따라, 개폐를 목적으로 설치된 개폐수단을 열어서 환기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실내 공기 청정의 경우,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 제거에는 효과가 있어도 발암물지른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라돈(Radon) 등 가스상 오염물질 제거에는 효과가 없다.
이러한 가스상 오염물질이 제거되려면 외부 환기가 반드시 필요한데, 위의 이유로 인해 개폐수단을 통한 환기가 어려워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기 기능 및 청정 기능이 구비된 환기 청정 장치가 등장하게 되었다.
관련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674277호에는 환기 청정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실내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커버; 상기 프런트 커버의 상측에 안착되는 커버 가이드; 상기 커버 가이드의 상측에 안착되며, 흡입된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 그릴과, 상기 토출 그릴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실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배기 그릴과, 상기 배기 그릴의 내측에 형성되어 실외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실외 공기 흡입구가 포함되는 디스차지 그릴; 상기 디스차지 그릴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실외 공기 흡입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 부재; 상기 디스차지 그릴의 상측에 안착되는 리어 패널;이 포함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청정 기능과 함께 탁한 실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신선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환기 기능이 함께 수행되도록 하고, 청정 모드에서는 실외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함을 기재하고 있다.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617079호에는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천장 내에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실내오염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실외공기 및 실내오염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부와, 상기 실내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토출하는 배기흡입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터보팬;일단은 실외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실외공기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안내하는 급기덕트; 일단은 실외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연통되게 설치되어, 실내오염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배기덕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덕트 또는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을 상기 토출부측으로 안내하는 공기가이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덕트측 토출구와 배기흡입부 사이를 구획짓도록 설치된 차단부; 상기 급기덕트와 케이스가 연통된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공기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급기댐퍼;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부 중 상기 토출부가 형성된 상단 측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실외공기 및 실내오염공기를 신선한 상태로 정화시키는 공기청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청점겸용 환기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
또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378135호에는 공기청정기겸 환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한편 외부공기를 실내로 흡입시키거나 외부공기의 흡입과 동시에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한편 실내벽면 상측에 설치되며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와 외부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의 내부는 흡입공간과 배출공간으로 나누는 한편 바디의 정면에는 커버를 씌우되 상기 커버에는 환기조절구와 배출조절구와 함께 실내배출구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바디의 흡입공간에는 외부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흡입팬을 설치하는 한편 외부공기를 걸러주는 필터를 다단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살균이 이루어지게 하는 살균램프를 설치하고, 상기 흡입팬과 배출팬의 작동과 배출조절구와 흡입조절구는 원격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스탠드형으로 구성하여 내부 구성을 한정하고 이에 따른 효과를 창출하고자 하는 본 발명과는 상이하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1811179호에는 슬림형 공기청정 환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일단이 실내공기 유입관 중앙을 수직으로 분할토록 배치되는 제1측벽 및 제1측벽과 일정거리 떨어져 바이패스유로를 형성하는 제2측벽이 내부공간 중앙부분에 구비되는 케이스, 제1측벽과 제2측벽 사이의 바이패스유로 상에 구비되는 바이패스 송풍팬 및 제2측벽의 외부공기 유입관 측 단부에 구비되는 바이패스 댐퍼가 적용됨으로써 제1측벽에 의해 유로가 분할되는 실내공기 유입관을 통해 실내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외부공기 유입관 측으로 안내하여 외부공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혼합과 동시에 열교환되도록 하여, 실내공기와 열교환 및 혼합이 이루어진 외부공기를 실내 측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열교환기나 전열교환기가 없이도 외부공기에 대하여 실내공기와 열교환시켜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열교환기나 전열교환기가 없이 구성을 단순화하여 장치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실내공기 혼합량 조절유닛을 더 포함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현저히 낮은 경우에 선택적으로 외부공기와 혼합되게 안내되는 실내공기의 혼합량을 추가로 증대시킬 수 있는 슬림형 공기청정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대기가 황사 또는 미세먼지로 오염이 되어 재난 경보가 발생하였을 때, 사물인터넷(IOT)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실내공기 배출관(120) 내에 설치된 배기 댐퍼와, 외부공기 유입관(130) 내에 설치된 급기 댐퍼가 닫히고 배기팬인 제1송풍팬(210)이 정지됨과 동시에 급기팬인 제2송풍팬(220)이 작동되면서, 바이패스 댐퍼(400)가 개방되고 바이패스 송풍팬(300)이 최대속도로 회전하여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면서 바이패스 정화필터(310)-외부 공기정화필터(510)-외부공기정화필터(520)에 의해 공기 청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 역시, 본 출원발명이 같이 구조와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74277호(2007.01.24.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0617079호(2006.08.30.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378135호(2014.04.02.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811179호(2017.12.20.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 등의 개폐수단을 폐쇄시킨 밀폐 환경에 대하여, 설정된 모드를 기반으로 ① 실외공기는 실내로 급기시키고,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기시키거나 ② 실외공기는 실내로 급기시키고,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기시킴과 동시에 연전소자를 이용하여 실외공기를 데워 실내로 급기시키거나, ③ 실외 공기의 급기를 차단하고, 실내공기를 데워 실내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측면 일측에 구성된 실내 배출구(2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측면 다른 일측에 구성된 실외 배출구(3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측면 또 다른 일측에 구성된 실외 흡입구(40)와, 상기 케이스(10)의 하측영역 일측에 실내 흡입구가 구성된 청정기(1)에 있어서,
상기 청정기(1) 내부는 1개의 가로격벽과 4개의 세로격벽에 의해 6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청정기(1)의 내부는, 케이스(10) 측벽 내측에서 마주하는 다른 측벽 내측까지 연결하는 가로격벽(11)과,
가로격벽(11)의 일측에서부터 케이스(10)의 하벽 내측까지 연결하는 세로격벽 중 우측에 위치된 제1 세로격벽(12a)과,
가로격벽(11)의 일측에서부터 케이스(10)의 하벽 내측까지 연결하는 세로격벽 중 좌측에 위치된 제2 세로격벽(12b)과,
가로격벽(11)의 일측에서부터 케이스(10)의 상벽 내측까지 연결하는 세로격벽 중 우측에 위치된 제3 세로격벽(12c)과,
가로격벽(11)의 일측에서부터 케이스(10)의 상벽 내측까지 연결하는 세로격벽 중 좌측에 위치된 제4 세로격벽(12d)을 포함함으로써,
케이스(10)와 제1 세로격벽(12a) 사이의 공간인 제1 영역과,
제1 세로격벽(12a)과 제2 세로격벽(12b) 사이의 공간인 제2 영역과,
제2 세로격벽(12b)과 케이스(10) 사이의 공간인 제3 영역과,
케이스(10)와 제3 세로격벽(12c) 사이의 공간인 제4 영역과,
제3 세로격벽(12c)과 제4 세로격벽(12d) 사이의 공간인 제5 영역과,
제4 세로격벽(12d)과 케이스(10) 사이의 공간인 제6 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격벽(11)에는,
제1 영역과 제4 영역을 연통하는 제1 관통홀과, 제2 영역과 제5 영역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과, 제3 영역과 제6영역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세로격벽(12a)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연통하는 제4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4 관통홀에는 제1 필터부(13)가 결합되며,
상기 제2 세로격벽(12b)에는 제2 영역과 제3 영역을 연통하는 제5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5 관통홀에는 제2필터부(14)가 결합되고,
상기 제4 세로격벽(12d)에는 제5 영역과 제6 영역을 연통하는 제6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세로격벽(12c)는 이의 일부가 절단되고,
상기 절단된 제3 세로격벽(12c)의 단부와, 제4 세로격벽(12d)의 일측과 제4 영역 측의 케이스(10) 내측벽에 유로박스(15)가 연결부재(15')를 통해 결합되되,
상기 유로박스(15)에 의해,
제4 영역은 상측의 제4-1 영역과, 하측의 제4-2 영역을 갖게 되고, 제5 영역은 상측의 제5-1 영역과, 하측의 제5-2 영역을 갖게 되며,
상기 유로박스(15)는 마름로 꼴로 형성되어,
제4-1 영역 방향을 갖는 제1 유로면(15a)과, 제5-1 영역 방향을 갖는 제2 유로면(15b)과, 제4-2 영역 방향을 갖는 제3 유로면(15c)과, 제 5-2 영역 방향을 갖는 제4 유로면(15d)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로박스(15)는,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 및 제2 유로면(15b)과 제3 유로면(15c)이 연통되는 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의 일측에는 열전소자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5 영역에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유도판(1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예로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청정기(1)는 환기모드로 구동되되,
상기 환기모드인 경우, 실내 흡입구, 실내 배출구, 실외 흡입구 및 실외 배출구의 밸브가 개방되고,
실내공기는 실내 흡입구를 통해, 제1 관통홀→ 유로박스(15) 내부의 제2 유로면(15b)과 제3 유로면(15c)이 연통되는 배관→ 실외배출구(30)의 경로로 배출되며,
실외공기는 실외 흡입구를 통해, 제4 세로격벽(12d)에 형성된 제6 관통홀→ 유로박스(15) 내부의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 실내 배출구(20)의 경로로 실내로 급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예로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청정기(1)는 청정모드로 구동되되,
상기 청정모드인 경우, 실내 흡입구 및 실내 배출구는 개방되고, 실외 흡입구 및 실외 배출구의 밸브는 폐쇄되며,
제어부가 유도판(16)의 개방을 제어함으로써, 실내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제2 관통홀의 유도판(16)으로 유도되고, 유로박스(15) 내부의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 및 실내 배출구(20)를 통해 실내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예로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청정기(1)는 바이패스모드로 구동되되,
상기 바이패스모드인 경우, 실내 흡입구, 실내 배출구, 실외 흡입구 및 실외 배출구의 밸브가 개방되고,
실내공기는 실내 흡입구를 통해, 제1 관통홀→ 유로박스(15) 내부의 제2 유로면(15b)과 제3 유로면(15c)이 연통되는 배관→ 실외배출구(30)의 경로로 배출되며,
실외공기가 제3 관통홀→ 제2 필터부(14)→ 제2 관통홀의 유도판(16)→ 유로박스(15) 내부의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 실내 배출구(20)의 경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에 의하면, 창문 등의 개폐수단을 폐쇄시킨 상태에서도 실내에 존재하는 유독가스와 CO2의 배출이 가능하고, 실외공기를 필터링시켜 실내로 공급시킴에 따라 개폐수단을 개방하여 환기하는 효과를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의 동작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에서 유도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창문 등의 개폐수단을 폐쇄시킨 밀폐 환경에 대하여, 설정된 모드를 기반으로 ① 실외공기는 실내로 급기시키고,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기시키거나 ② 실외공기는 실내로 급기시키고,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기시킴과 동시에 연전소자를 이용하여 실외공기를 데워 실내로 급기시키거나, ③ 실외 공기의 급기를 차단하고,실내공기를 데워 실내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수단을 폐쇄시킨 상태에서도 실내에 존재하는 유독가스와 CO2의 배출이 가능하고, 실외공기를 필터링시켜 실내로 공급시킴에 따라 개폐수단을 개방하여 환기하는 효과를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청정기(1)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측면 일측에 구성된 실내 배출구(2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측면 다른 일측에 구성된 실외 배출구(3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측면 또 다른 일측에 구성된 실외 흡입구(40)를 포함한다. 또한, 청정기(1)는 케이스(10)의 하측영역 일측에 실내 흡입구(도면부호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내 배출구(20)와 실내 흡입구는 첨부된 도면과 같이 복수 개의 홀이 배열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실내 배출구(20)는 실내 흡입구에서 흡입된 실내공기 또는 실외 흡입구(40)에서 흡입된 실외공기를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실외 배출구(30) 및 실외 흡입구(40)는 첨부되 도면과 같이 별도의 호스(또는 파이프 배관 등)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된 호스는, 청정기(1)가 설치된 공간의 외측으로 연통되어 공기의 급기와 배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실내 흡입구, 실내 배출구, 실외 흡입구 및 실외 배출구 각각은 모두 후술되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밸브가 구비되어 각 구성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청정기(1)의 내부 구성은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하면, 청정기(1)의 내부는,
내부를 케이스(10) 측벽 내측에서 마주하는 다른 측벽 내측까지 연결하는 가로격벽(11)과, 상기 가로격벽(11)의 일측에서부터 케이스(10)의 상벽 또는 하벽 내측까지 연결하는 복수 개의 세로격벽(12a 내지 12d)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로격벽(11)의 일측에서부터 케이스(10)의 하벽 내측까지 연결하는 세로격벽 중 우측에 위치된 제1 세로격벽(12a)과,
가로격벽(11)의 일측에서부터 케이스(10)의 하벽 내측까지 연결하는 세로격벽 중 좌측에 위치된 제2 세로격벽(12b)과,
가로격벽(11)의 일측에서부터 케이스(10)의 상벽 내측까지 연결하는 세로격벽 중 우측에 위치된 제3 세로격벽(12c)과,
가로격벽(11)의 일측에서부터 케이스(10)의 상벽 내측까지 연결하는 세로격벽 중 좌측에 위치된 제4 세로격벽(12d)을 포함하되,
이때, 케이스(10)와 제1 세로격벽(12a) 사이의 공간을 제1 영역으로 지칭하고, 제1 세로격벽(12a)과 제2 세로격벽(12b) 사이의 공간을 제2 영역으로, 제2 세로격벽(12b)과 케이스(10) 사이의 공간을 제3 영역으로 지칭한다.
또한, 케이스(10)와 제3 세로격벽(12c) 사이를 제4 영역으로, 제3 세로격벽(12c)과 제4 세로격벽(12d) 사이를 제5 영역으로, 제4 세로격벽(12d)과 케이스(10) 사이를 제6 영역으로 지칭한다.
또한, 가로격벽(11)에는 제1 영역과 제4 영역을 연통하는 제1 관통홀과, 제2 영역과 제5 영역을 관통하는 제2관통홀과, 제3 영역과 제6 영역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세로격벽(12a)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연통하는 제4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4 관통홀에는 제1 필터부(13)가 결합된다.
또한, 제2 세로격벽(12b)에는 제2 영역과 제3 영역을 연통하는 제5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5 관통홀에는 제2 필터부(14)가 결합된다.
또한, 제4 세로격벽(12d)에는 제5 영역과 제6 영역을 연통하는 제6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세로격벽(12c)의 일부는 절단되되, 이 절단된 제3 세로격벽(12c)의 단부에는 유로박스(15)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박스(15)는 마름모 형태로서, 각 4개의 모서리 중 2개는 제3 세로격벽(12c)의 절단된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나머지 2개 중 1개는 제4 세로격벽(12d)의 일측에 결합되며, 나머지 1개는 제4 영역 측의 케이스(10)내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유로박스(15)의 각 모서리의 결합은 연결부재(15')를 통해 가능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부재(15')는 '△ '의 단면형태를 갖으며, 모이는 모서리 영역이 유로박스(15)의 모서리에 결합되고, 모이는 모서리 영역의 반대 측인 평평한 영역이 상기 제3 세로격벽(12c), 제4 세로격벽(12d) 또는 제4 영역 측의 케이스(10) 내측벽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4 영역은 상측의 제4-1 영역과, 하측의 제4-2 영역을 갖게 되고, 제5 영역은 상측의 제5-1영역과, 하측의 제5-2 영역을 갖게 된다.
유로박스(15)는 상기와 같이 마름모 꼴로 형성됨에 따라, 제4-1 영역 방향을 갖는 제1 유로면(15a)과, 제5-1 영역 방향을 갖는 제2 유로면(15b)과, 제4-2 영역 방향을 갖는 제3 유로면(15c)과, 제 5-2 영역 방향을 갖는 제4유로면(15d)을 갖으며, 이때,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 및 제2 유로면(15b)과 제3 유로면(15c)이 연통되는 배관이 유로박스(15) 내부에 구성된다.
또한,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의 일측에는 열전소자가 포함되어 이 배관을 통과하는 공기를 데워줄 수 있다.
이러한 열전소자의 구동은 후술되는 제어부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2 영역과 제5 영역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에는 유도판(16)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유도판(16)은 제2관통홀의 내경과 유사한 크기를 갖는 판으로서, 이의 일측이 축을 통해 제2 관통홀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 개폐모듈(실린더 등)을 포함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폐모듈의 길이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유도판(16)이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제2 관통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한다(도 6 참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에서 유도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제어부는 케이스(10)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한 일측에 다음의 기능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질 수 있다.
(i) 청정기(1)의 구동을 위한 모드를 저장하고 인식하여 모드별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ii) 제어부는 실내 배출구, 실내 흡입구, 실외 배출구 및 실외 흡입구 각각에 구성된 밸브의 개폐를 모드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모드란 환기모드, 청정모드 및 바이패스모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모드별 구동은 첨부된 도면의 도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의 동작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은 환기모드의 경우에 따른 구동을 나타낸 것으로, 적색 선은 실내공기가 실외 배출구(30)를 통해 배기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청색선은 실외공기가 실외 흡입구(40)를 통해 흡입되어, 실내 배출구(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실내공기는 실내 흡입구를 통해, 제1 관통홀→ 유로박스(15) 내부의 제2 유로면(15b)과 제3 유로면(15c)이 연통되는 배관→ 실외배출구(30)의 경로로 배출되고,
실외공기는 실외 흡입구를 통해, 제4 세로격벽(12d)에 형성된 제6 관통홀→ 유로박스(15) 내부의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 실내 배출구(20)의 경로로 실내로 급기될 수 있다.
이때,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의 일측에 구비된 열전소자를 통해 공기가 데워질 수 있으며, 또한 위에서 설명되진 않았지만, 제6 관통홀에도 필어부가 구비되어 실외공기를 필터링하도록 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청정모드에 관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어부에 의해 실외 배출구(30) 및 실외 흡입구(40)에 구비된 밸브들이 모두 폐쇄되고, 또 제어부가 유도판(16)의 개방을 제어함으로써, 실내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제2 관통홀의 유도판(16)으로 유도되고, 유로박스(15) 내부의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 및 실내 배출구(20)를 통해 실내로 순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에 의해 열전소자가 구동되어 실내로 순환되는 실내공기가 데워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바이패스모드에 관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청정모드와 동일하게 구동되되, 다만 유로박스(15)에 구비된 열전소자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실외공기가 실내로 급기될 때 온도의 변화가 없도록 하는 경우이다.
이는, 봄이나 가을철 실내와 실외 공기의 온도차가 낮을 때 환기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모드의 도입을 통해 열전소자의 수명 증가에 유리할 수 있다.
다만, 바이패스모드의 경우, 도 3과 같이 청색의 급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나. 도 5와 같이 실외공기가 제3관통홀→ 제2 필터부(14)→ 제2 관통홀의 유도판(16)→ 유로박스(15) 내부의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 실내 배출구(20)의 경로로 배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데, 이 열전소자의 구동은 단순히 제어부가 모드의 인식을 통해 모드를 기반으로 제어하면서 열전소자를 구동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으나,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유도판(16)이 개방됨을 제어부가 인식하고, 유도판(16)이 개방된 경우 공기가 유도판(16)을 경유한 것임을 인식하여 제어부의 제어없이 자동으로 열전소자가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도 4를 첨부하여 설명된 청정모드의 경우에도 유도판(16)을 통해 공기가 유도됨으로 인해, 열전소자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유도판(16)의 개방을 제어부가 인식하는 것은, 유도판(16)의 일측과 제2 관통홀의 일측에 접촉센서를 구비하고, 이 접촉센서가 떨어짐에 따라 센싱값이 출력하면 제어부가 이를 유/무선으로 수신하여 유도판(16)의 개방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청정기(1)의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한 일측에 통신부를 포함하고, 청정기(1)의 케이스(10)에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에는 현재 청정기(1)의 모드를 표시하고,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등 일반적인 청전기의 표시기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실내 또는 실외에 구비된 센서와 통신하거나 별도의 응용프로그램(App 또는 Software)과 유/무선으로 통신하여 리모콘, 핸드폰, 데스크탑을 포함하는 단말기 등으로부터 제어신호와 상태신호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내 또는 실외에 구비된 센서와 통신이 가능하므로, 상기 센서가 공기측정센서인 경우, 제어부는 센서로부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상태(온도, CO2, 유독가스, 미세먼지, 황사 등의 공기질 상태)를 통신부를 통해 공유받아,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상태를 인식하고 판단하여 자동으로, 환기모드, 청정모드 및 바이 패스모드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에 의하여 자동으로 모드 변경이 될 수도 있으나,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변경 알림을 전송하고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모드 변경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모드 변경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 및 제2 유로면(15b)과 제3 유로면(15c)이 연통되는 배관 일측에도 밸브가 구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 또는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밸브를 비롯하여, 상기 실내 배출구(20), 실내 흡입구, 실외 배출구(30) 및 실외 흡입구(40) 각각에 구성된 밸브를 통해 개폐되는 개폐막이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실내 배출구(20), 실내 흡입구, 실외 배출구(30), 실외 흡입구(40),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 및 제2 유로면(15b)과 제3 유로면(15c)이 연통되는 배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막은, 반원 이상의 형태를 갖고 소정의 높이를 갖되 내부가 중공 상태로 구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와 중심축이 동일하고, 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회전을 통해 몸체의 중공에 삽입되거나 노출되고, 원형기준으로 몸체의 형상의 나머지 영역만큼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밸브는 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축에 연결되어 밸브의 회전에 따라 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 청정기
10 : 케이스
11 : 가로격벽
12a : 제1 세로격벽
12b : 제2 세로격벽
12c : 제3 세로격벽
12d : 제4 세로격벽
13 : 제1 필터부
14 : 제2 필터부
15 : 유로박스
15a : 제1 유로면
15b : 제2 유로면
15c : 제3 유로면
15d : 제4 유로면
15' : 연결부재
16 : 유도판
20 : 실내 배출구
30 : 실외 배출구
40 : 실외 흡입구

Claims (8)

  1.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측면 일측에 구성된 실내 배출구(2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측면 다른 일측에 구성된 실외 배출구(3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측면 또 다른 일측에 구성된 실외 흡입구(40)와,
    상기 케이스(10)의 하측영역 일측에 실내 흡입구가 구성된 청정기(1)에 있어서,
    상기 청정기(1) 내부는,
    1개의 가로격벽과 4개의 세로격벽에 의해 6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지되,
    케이스(10) 측벽 내측에서 마주하는 다른 측벽 내측까지 연결하는 가로격벽(11)과,
    가로격벽(11)의 일측에서부터 케이스(10)의 하벽 내측까지 연결하는 세로격벽 중 우측에 위치된 제1 세로격벽(12a)과,
    가로격벽(11)의 일측에서부터 케이스(10)의 하벽 내측까지 연결하는 세로격벽 중 좌측에 위치된 제2 세로격벽(12b)과,
    가로격벽(11)의 일측에서부터 케이스(10)의 상벽 내측까지 연결하는 세로격벽 중 우측에 위치된 제3 세로격벽(12c)과,
    가로격벽(11)의 일측에서부터 케이스(10)의 상벽 내측까지 연결하는 세로격벽 중 좌측에 위치된 제4 세로격벽(12d)을 포함함으로써,
    케이스(10)와 제1 세로격벽(12a) 사이의 공간인 제1 영역과,
    제1 세로격벽(12a)과 제2 세로격벽(12b) 사이의 공간인 제2 영역과,
    제2 세로격벽(12b)과 케이스(10) 사이의 공간인 제3 영역과,
    케이스(10)와 제3 세로격벽(12c) 사이의 공간인 제4 영역과,
    제3 세로격벽(12c)과 제4 세로격벽(12d) 사이의 공간인 제5 영역과,
    제4 세로격벽(12d)과 케이스(10) 사이의 공간인 제6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5 영역에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유도판(16)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영역과 제5 영역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에는 유도판(16)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판(16)은 제2 관통홀의 내경과 유사한 크기를 갖는 판으로서, 이의 일측이 축을 통해 제2 관통홀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 개폐모듈을 포함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폐모듈의 길이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유도판(16)이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제2 관통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하되,
    상기 유도판(16)의 일측과 제2 관통홀의 일측에 접촉센서를 구비하고, 접촉센서가 떨어짐을 센싱값으로 출력하면 제어부가 수신하여 유도판(16)의 개방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격벽(11)에는,
    제1 영역과 제4 영역을 연통하는 제1 관통홀과, 제2 영역과 제5 영역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과, 제3 영역과 제6영역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로격벽(12a)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연통하는 제4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4 관통홀에는 제1필터부(13)가 결합되며,
    상기 제2 세로격벽(12b)에는 제2 영역과 제3 영역을 연통하는 제5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5 관통홀에는 제2필터부(14)가 결합되고,
    상기 제4 세로격벽(12d)에는 제5 영역과 제6 영역을 연통하는 제6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세로격벽(12c)는 이의 일부가 절단되고,
    상기 절단된 제3 세로격벽(12c)의 단부와, 제4 세로격벽(12d)의 일측과 제4 영역 측의 케이스(10) 내측벽에 유로박스(15)가 연결부재(15')를 통해 결합되되,
    상기 유로박스(15)에 의해,
    제4 영역은 상측의 제4-1 영역과, 하측의 제4-2 영역을 갖게 되고, 제5 영역은 상측의 제5-1 영역과, 하측의 제5-2 영역을 갖게 되며,
    상기 유로박스(15)는 마름로 꼴로 형성되어,
    제4-1 영역 방향을 갖는 제1 유로면(15a)과, 제5-1 영역 방향을 갖는 제2 유로면(15b)과, 제4-2 영역 방향을 갖는 제3 유로면(15c)과, 제 5-2 영역 방향을 갖는 제4 유로면(15d)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로박스(15)는,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 및 제2 유로면(15b)과 제3 유로면(15c)이 연통되는 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의 일측에는 열전소자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
  6. 청구항 1 및 2 내지 5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해 청정기(1)는 환기모드로 구동되되,
    상기 환기모드인 경우, 실내 흡입구, 실내 배출구, 실외 흡입구 및 실외 배출구의 밸브가 개방되고,
    실내공기는 실내 흡입구를 통해, 제1 관통홀→ 유로박스(15) 내부의 제2 유로면(15b)과 제3 유로면(15c)이 연통되는 배관→ 실외배출구(30)의 경로로 배출되며,
    실외공기는 실외 흡입구를 통해, 제4 세로격벽(12d)에 형성된 제6 관통홀→ 유로박스(15) 내부의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 실내 배출구(20)의 경로로 실내로 급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
  7. 청구항 1 및 2 내지 5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해 청정기(1)는 청정모드로 구동되되,
    상기 청정모드인 경우, 실내 흡입구 및 실내 배출구는 개방되고, 실외 흡입구 및 실외 배출구의 밸브는 폐쇄되며,
    제어부가 유도판(16)의 개방을 제어함으로써, 실내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제2 관통홀의 유도판(16)으로 유도되고, 유로박스(15) 내부의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 및 실내 배출구(20)를 통해 실내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
  8. 청구항 1 및 2 내지 5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해 청정기(1)는 바이패스모드로 구동되되,
    상기 바이패스모드인 경우, 실내 흡입구, 실내 배출구, 실외 흡입구 및 실외 배출구의 밸브가 개방되고,
    실내공기는 실내 흡입구를 통해, 제1 관통홀→ 유로박스(15) 내부의 제2 유로면(15b)과 제3 유로면(15c)이 연통되는 배관→ 실외배출구(30)의 경로로 배출되며,
    실외공기가 제3 관통홀→ 제2 필터부(14)→ 제2 관통홀의 유도판(16)→ 유로박스(15) 내부의 제1 유로면(15a)과 제4 유로면(15d)이 연통되는 배관→ 실내 배출구(20)의 경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
KR1020200180379A 2020-12-22 2020-12-22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 KR20220089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379A KR20220089826A (ko) 2020-12-22 2020-12-22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379A KR20220089826A (ko) 2020-12-22 2020-12-22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826A true KR20220089826A (ko) 2022-06-29

Family

ID=8227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379A KR20220089826A (ko) 2020-12-22 2020-12-22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98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43220A1 (en) * 2022-09-21 2024-03-27 Rdz S.p.a. Box-like body housing an apparatus for mechanical ventil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079B1 (ko) 2005-02-07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
KR100674277B1 (ko) 2005-09-23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청정 장치
KR101378135B1 (ko) 2014-01-06 2014-04-02 고상수 공기청정기겸 환기장치
KR101811179B1 (ko) 2017-08-18 2017-12-20 김상동 슬림형 공기청정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079B1 (ko) 2005-02-07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
KR100674277B1 (ko) 2005-09-23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청정 장치
KR101378135B1 (ko) 2014-01-06 2014-04-02 고상수 공기청정기겸 환기장치
KR101811179B1 (ko) 2017-08-18 2017-12-20 김상동 슬림형 공기청정 환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43220A1 (en) * 2022-09-21 2024-03-27 Rdz S.p.a. Box-like body housing an apparatus for mechanical ventil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91851C (zh) 通风系统和用于驱动该通风系统的方法
KR100476156B1 (ko) 환기장치가 구비된 창
CN1316204C (zh) 通风系统
KR20180064276A (ko) 미세먼지센서를 이용한 실내공기 청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28078B1 (ko) 환기시스템
KR102008625B1 (ko) 천장 부착 외기 도입형 공기청정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KR102302110B1 (ko) 비말 및 미세먼지 제거 보건용 공조환기조화기
KR20180045896A (ko) 공기 정화 및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창문 환기장치
KR200377212Y1 (ko) 선택적 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
KR101503857B1 (ko) 도어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JP2005221217A (ja) 空気循環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80080415A (ko) 환기장치
KR20190117897A (ko)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KR20220089826A (ko)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
KR102364961B1 (ko) 공기청정기
KR102147799B1 (ko) 천장 매립형 공기청정기
KR101990836B1 (ko) 분리 환기형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101901138B1 (ko)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
KR102397618B1 (ko) 자연환기방식과 기계환기방식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환기장치
KR102058893B1 (ko)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CN105465942B (zh) 热交换式换气装置
KR100531084B1 (ko) 공기청정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100657828B1 (ko) 환기장치
CN112229007A (zh) 新风机
KR102460287B1 (ko) 소형환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