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638Y1 -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638Y1
KR200219638Y1 KR2019980014752U KR19980014752U KR200219638Y1 KR 200219638 Y1 KR200219638 Y1 KR 200219638Y1 KR 2019980014752 U KR2019980014752 U KR 2019980014752U KR 19980014752 U KR19980014752 U KR 19980014752U KR 200219638 Y1 KR200219638 Y1 KR 200219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air
wing
wind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348U (ko
Inventor
신광섭
Original Assignee
유철진
현대모비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진, 현대모비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철진
Priority to KR2019980014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63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3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3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638Y1/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 구비되는 공조 시스템의 공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에어 덕트의 출구에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 수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토록 이루어진 벤트 노즐구가 설치되고; 상기 벤트 노즐구는 그 일측이 상기 에어 덕트의 출구쪽에 힌지 수단으로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 수단을 중심으로 반호형의 면으로 형성되며, 후방측은 에어 덕트와 연통되도록 개방되고, 전방측은 풍량 방향을 조절토록 노즐 윙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는 에어 덕트를 통해 차실내로 배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에 구비되는 공조 시스템의 공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 덕트의 출구쪽에 상하 좌우 방향뿐만 아니라 호형으로 회전되면서 전후 방향으로도 입체적으로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공조 시스템은 여러 가지 기후나 주행 조건에서도 승차원에게 쾌적한 조건을 만들어주고, 동시에 유리창의 흐림과 서리 등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하여 보다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시스템이다.
도 1은 자동차의 계기 패널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1은 계기 패널(1)에 에어 덕트의 출구와 연통되는 구멍(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1a)에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는 노즐 윙(10)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설치된 노즐 윙(10)을 통해 자동차의 실내에 외부의 공기나 찬바람 또는 더운바람 등이 유입되게 되는데, 상기 노즐 윙(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도 2a에 도시된 노즐 윙(10)은 수평 윙(11)과 수직 윙(12)이 격자형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에어 덕트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좌우 또는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노즐 윙(10')은 전체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되, 수평 윙(11)은 고정되어 있는 반면 수직 윙(12')은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공기 배출 기구는 노즐 윙(10)이 계기 패널 등의 외면과 동일 평면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수평 윙(11)과 수직 윙(12)만을 조절하여 바람의 방향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방향으로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는 데는 한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노즐 윙(10)의 정면쪽 방향이 아닌 측방향으로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경우에는 정면으로부터 일정 이상의 각도로는 바람의 방향을 바꿀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 덕트의 출구쪽에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벤트 노즐구를 설치함으로써 바람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는, 에어 덕트의 출구에 풍량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 수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토록 이루어진 벤트 노즐구가 설치되고; 상기 벤트 노즐구는 그 일측이 상기 에어 덕트의 출구쪽에 힌지 수단으로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 수단을 중심으로 반호형의 면으로 형성되며, 후방측은 에어 덕트와 연통되도록 개방되고, 전방측은 풍량 방향을 조절토록 노즐 윙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자동차의 계기 패널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종래 기술의 공기 배출 기구가 설치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의 공기 배출 기구가 도시된 도면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가 도시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벤트 노즐구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A-A선 부분의 베어링 설치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실내 패널 60 : 에어 덕트
65 : 에어 벤트 하우징 66 : 패킹재
68 : 힌지구 70 : 벤트 노즐구
72 : 반호형 면 72a : 개구부
75 : 노즐 윙 77 : 베어링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가 도시된 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벤트 노즐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기 패널 등의 실내 패널(50)로 연통되는 에어 덕트(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 덕트(60)의 출구쪽에는 상기 실내 패널(50)에 나사(55)로 조립된 에어 벤트 하우징(65)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에어 덕트(60)의 출구와 에어 벤트 하우징(65)의 내측에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는 벤트 노즐구(70)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벤트 노즐구(70)는 그 일측이 상기 에어 덕트(60)의 출구쪽에 힌지구(68)로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구(68)를 중심으로 반호형의 면(72)으로 형성되며, 후방측은 에어 덕트(60)와 연통되도록 개방되고, 전방측은 풍량 방향을 조절토록 노즐 윙(75)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벤트 노즐구(70)는 상기 에어 덕트(60)의 출구에서 힌지구(68)를 중심으로 에어 덕트(60)의 외측이나 에어 덕트(60)의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벤트 노즐구(70)의 반호형 면(72)의 끝단은 완전히 삽입된 상태 즉, 노즐 윙(75)이 실내 패널(50)과 동일 평면에 있도록 삽입되어 있을 때 에어 덕트(6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부(72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에어 덕트(60)의 출구도 상기 벤트 노즐구(7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일측면(61)이 반호형으로 확장되어 있고, 에어 덕트(60)와 벤트 노즐구(70) 사이에는 바람이 새지 않도록 패킹재(6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덕트(60)의 내측면과 상기 벤트 노즐구(70)의 외면 사이에는 벤트 노즐구(7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베어링(7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즐 윙(75)은 통상적으로 에어 덕트(60)의 출구쪽에 설치되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서,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길게 격자형으로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는 수평 윙(75b) 및 수직 윙(75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 덕트(60)를 통해 차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노브(75c)를 당기거나 내측으로 밀게 되면 벤트 노즐구(70)가 힌지구(68)를 중심으로 실내 패널(50)의 외측으로 빠져나오거나 들어가게 된다.
이때, 에어 덕트(60)와 벤트 노즐구(70) 사이에 베어링(7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벤트 노즐구(70)의 회전은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벤트 노즐구(70)는 에어 덕트(60)를 통해 차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확실하게 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벤트 노즐구(70)의 출구쪽에는 수직 윙(75a)과 수평 윙(75b)이 격자형으로 설치된 노즐 윙(7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노즐 윙(75)을 더불어 조절하게 되면 바람의 방향을 보다 입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는 에어 덕트의 출구에 내외 측으로 회전되는 벤트 노즐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 덕트를 통해 차실내로 배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에어 덕트의 출구에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 수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토록 이루어진 벤트 노즐구가 설치되고;
    상기 벤트 노즐구는 그 일측이 상기 에어 덕트의 출구쪽에 힌지 수단으로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 수단을 중심으로 반호형의 면으로 형성되며, 후방측은 에어 덕트와 연통되도록 개방되고, 전방측은 풍량 방향을 조절토록 노즐 윙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의 내측면과 상기 벤트 노즐구의 외측면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윙 수단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는 수평 윙 및 수직 윙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
KR2019980014752U 1998-08-05 1998-08-05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 KR200219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752U KR200219638Y1 (ko) 1998-08-05 1998-08-05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752U KR200219638Y1 (ko) 1998-08-05 1998-08-05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348U KR20000004348U (ko) 2000-03-06
KR200219638Y1 true KR200219638Y1 (ko) 2001-04-02

Family

ID=6952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752U KR200219638Y1 (ko) 1998-08-05 1998-08-05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6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348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4125B2 (en) Air ventilator for automobile
KR200219638Y1 (ko)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
GB2040438A (en)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CN104723835A (zh) 用于车辆的空调装置
JPS60243441A (ja) ベンチレ−タの空気流遮断機構
JP3799141B2 (ja) 車両用空気吹出口構造
KR200280256Y1 (ko) 차량용 송풍 조절장치
KR200356229Y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498410B1 (ko) 에어벤트 조립체의 통풍 출구 제어장치
KR200309815Y1 (ko) 차량용 송풍 조절장치
KR0152183B1 (ko) 자동차의 환기 장치
KR200162534Y1 (ko) 자동차용 에어 벤트 노즐의 덮개 조절장치
KR100192351B1 (ko) 리어 트레이를 이용한 환기장치
KR100535984B1 (ko) 에어벤트의 댐퍼 회전방지구조
KR100190743B1 (ko) 버스의 에어컨덕트용 도어 개폐기
KR100379040B1 (ko) 차량의 에어벤트 개폐구조
KR100412847B1 (ko) 자동차의 가변제어형 실내 환기장치
KR100523580B1 (ko) 글로브 박스용 쿨 박스의 개폐구조
KR20210117564A (ko) 에어벤트용 윙노브
JPH0117469Y2 (ko)
KR19980066125U (ko) 차량의 통풍장치
KR0152417B1 (ko) 차량용 에어벤트루버
KR200145031Y1 (ko) 자동차용 블로어유닛의 풍량조절장치
KR0130669Y1 (ko) 프레시 에어 디프로스터
KR20020078821A (ko) 차량의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