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229Y1 - 차량용 에어 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229Y1
KR200356229Y1 KR20-2004-0011368U KR20040011368U KR200356229Y1 KR 200356229 Y1 KR200356229 Y1 KR 200356229Y1 KR 20040011368 U KR20040011368 U KR 20040011368U KR 200356229 Y1 KR200356229 Y1 KR 200356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ehicle
air
control wheel
air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광
Original Assignee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1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2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2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협소한 차량의 B-필러의 내부에 장착되어 송풍기에 의해서 유입된 공기를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전달시키도록 하는 에어벤트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어 송풍기에서 토출된 바람의 양과 방향을 조절하는 에어 벤트에 있어서, 하부가 송풍기와 덕트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풍량조절휠과, 상기 풍량조절휠의 내부에 장공이 형성된 일측이 수용되고 양단이 상기 풍량조절휠에 고정된 레버작동핀이 장공을 관통하여 풍량조절휠과 연결되는 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단면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고 일측 표면이 상기 레버의 타단에 힌지연결되고 양측면이 상기 하우징에 힌지연결되는 풍량조절판을 포함하는 풍량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벤트{Air vent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서, 협소한 차량의 B-필러(B pillar)의 내부에 장착되어 송풍기에 의해서 유입된 공기를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전달시키도록 하는 에어벤트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에는 송풍기에서 보내진 바람의 양 또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서, 실내 곳곳에 에어 벤트가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에어 벤트에는 바람의 양을 조절하는 수단과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탑승자가 각각의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조절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에어 벤트는 프론트 패널과 같이 비교적 설치가 용이하고, 공간확보가 유리한 곳에서는 바람의 양과 방향을 조절하는 수단이 모두 구비되지만, 공간이 협소한 B-필러등에서는 단순히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만 구비되고, 바람의 양과 방향을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았다.
승용차의 B-필러는 1열 좌석의 안전벨트가 구비되고, 탑승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폭과 너비가 협소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B-필러에 공기조화를 위한 에어 벤트를 구비하기 위해서 바람의 양과 방향을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채 단순한 배출구만 구비되었다.
이로인하여, 2열의 탑승자는 각각의 취향과는 상관없이 배출구에서 배출되는바람을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B-필러 등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바람의 양과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벤트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벤트에서 풍향조절수단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벤트에 따른 풍량조절수단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벤트의 측단면도.
도5a 내지 도5c는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벤트에서 풍량조절수단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1 : 하우징 21 : 풍량조절수단
22 : 풍량조절휠 22a : 돌기
22b : 레버작동핀 23 : 레버
23a : 장공 24 : 풍량조절판
31 : 풍향조절수단 32 : 노즐부
33 : 풍향조절판 34 : 풍향조절레버
35 : 커버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 벤트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어 송풍기에서 토출된 바람의 양과 방향을 조절하는 에어 벤트에 있어서, 하부가 송풍기와 덕트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풍량조절휠과, 상기 풍량조절휠의 내부에 장공이 형성된 일측이 수용되고 양단이 상기 풍량조절휠에 고정된 레버작동핀이 장공을 관통하여 풍량조절휠과 연결되는 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단면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고 일측 표면이 상기 레버의 타단에 힌지연결되고 양측면이 상기 하우징에 힌지연결되는 풍량조절판을 포함하는 풍량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는 일방향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노즐부와 서로 링크연결되고, 상기 홈과 수직이 되도록 노즐부에 힌지연결되는 풍량조절판으로 이루어지는 풍향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 벤트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 벤트는 덕트를 형성하면서 다른 구성요소가 결합되는 하우징(11),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풍량조절수단(21) 및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수단(31)이 구비된다.
하우징(11)은 자동차의 B-필러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되, 송풍기(미도시)에서 토출되는 바람이 하부로 공급되어 상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하부는 송풍기, 덕트에 연결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는 탑승자가 위치한 측면으로 바람이 공급되도록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풍량조절수단(21)은 풍량조절휠(22), 레버(23) 및 풍량조절판(24)으로 이루어져서, 하우징(11)에 구비된다.
풍량조절휠(22)은 원형의 디스크 2장이 결합된 것과 같이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부가 상기 레버의 작동을 위해서 절개되어 있다. 상부면과 하부면의 중심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22a)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돌기(22a)를 하우징(11)에 형성된 홈에 삽입시켜, 하우징(11)의 내부에서 풍량조절휠(22)이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풍량조절휠(22)의 외측으로는 탑승자가 조절할 때 조절이 용이하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수의 고무재질의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23)는 'T'자형태로 형성되어 머리부분에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레버(23)의 머리부분은 중공인 상기 풍량조절휠(2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 레버작동핀(22b)이 제공된다. 레버작동핀(22b)은 풍량조절휠(22) 중심의 돌기(22a) 부근에 위치하며, 양단은 풍량조절휠(22)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중앙부분은 상기 레버(23)의 장공(23a)을 관통한다. 따라서, 풍량조절휠(22)이 회전하면, 레버작동핀(22b)의 위치가 변하고, 이에 따라 레버(23)가 작동한다.
풍량조절판(24)은 상기 하우징(11)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 상기 레버(23)의 타단과 힌지연결되고, 풍량조절판(24)의 양측부가 하우징(11)의 내벽에 힌지연결된다. 여기서, 풍량조절판(24)-레버(23)의 연결과 풍량조절판(24)-하우징(11)의 연결은 서로 수직이 되어 교차하도록 한다. 따라서, 레버(23)가 당겨지면, 풍량조절판(24)은 하우징(11)과 힌지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우징(11)을 개폐한다.
풍향조절수단(31)은 노즐부(32), 풍향조절판(33), 풍향조절레버(34) 및 커버(35)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의 개구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연결된다. 개구부의 높이와 폭에 대응하는 노즐부(32)는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을 통하여 바람이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노즐부(32)에 형성된 홈과 수직으로 다수의 풍향조절판(33)이 서로 링크연결되어 노즐부(32)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풍향조절판(33) 중 어느 하나에 풍향조절이 용이하도록 풍향조절레버(3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노즐부(32)의 외측으로는 커버(35)가 결합되어 각 구성요소들이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풍향조절수단(31)은 차량의 프론트 패널, 루프패널(미도시) 등에 구비되는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 벤트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탑승자가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 벤트를 이용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려면, 풍량조절휠(22)을 회전시켜 풍량을 조절한다. 완전히 밀폐된 상태에서 완전히 개방되는 과정은 도5a 내지 도5c과 같다.
완전히 밀폐된 상태인 도5a의 상태에서 탑승자가 풍량조절휠(22)을 회전시키면, 풍량조절휠(22)은 외측에 형성된 돌기(22a)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풍량조절휠(22)이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레버작동핀(22b)이 장공(23a)을 관통하여 연결된 레버(23)가 풍량조절휠(22) 쪽으로 이동된다. 레버(23)가 풍량조절휠(22) 쪽으로 이동하면, 풍량조절휠(22)은 하우징(11)의 단면을 완전히 폐쇄한 상태에서 서서히 선회하여 공기의 흐름방향과 평행해 질때까지 회전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바람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완전밀폐인 도5a의 상태에서 중간 개방 상태인 도5b를 거쳐, 완전개방상태를 도시한 도5c까지 진행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갖자의 필요만큼 풍량조절휠(22)을 회전시켜 풍량을 조절한다.
또한, 풍향을 조절하기 위해서 탑승자가 풍향조절레버(34)를 상하 또는 좌우로 밀면, 노즐부(32)가 선회하거나, 풍향조절판(33) 들이 선회하여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된다.
상기과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 벤트는 차량의 B-필러와 같이 공간이 협소한 부분에서 용이하게 풍량을 조절하여 탑승자가 원하는 양 또는 세기의 바람을 실내로 공급할 수 있고, 풍향의 조절 또한 간단히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2)

  1.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어 송풍기에서 토출된 바람의 양과 방향을 조절하는 에어 벤트에 있어서,
    하부가 송풍기와 덕트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11) 및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풍량조절휠(22)과, 상기 풍량조절휠(22)의 내부에 장공(23a)이 형성된 일측이 수용되고 양단이 상기 풍량조절휠(22)에 고정된 레버작동핀(22b)이 장공(23a)을 관통하여 풍량조절휠(22)과 연결되는 레버(23)와, 상기 하우징(11)의 단면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고 일측 표면이 상기 레버(23)의 타단에 힌지연결되고 양측면이 상기 하우징(11)에 힌지연결되는 풍량조절판(24)이 포함되는 풍량조절수단(2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의 개구부에는 일방향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노즐부(32)와 서로 링크연결되고, 상기 홈과 수직이 되도록 노즐부(32)에 힌지연결되는 풍량조절판(24)으로 이루어지는 풍향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KR20-2004-0011368U 2004-04-23 2004-04-23 차량용 에어 벤트 KR200356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368U KR200356229Y1 (ko) 2004-04-23 2004-04-23 차량용 에어 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368U KR200356229Y1 (ko) 2004-04-23 2004-04-23 차량용 에어 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229Y1 true KR200356229Y1 (ko) 2004-07-14

Family

ID=4943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368U KR200356229Y1 (ko) 2004-04-23 2004-04-23 차량용 에어 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2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3598A (zh) * 2021-11-16 2022-03-01 宁波福尔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出风口总成、空调出风组件
KR20230125540A (ko) * 2022-02-21 2023-08-2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3598A (zh) * 2021-11-16 2022-03-01 宁波福尔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出风口总成、空调出风组件
KR20230125540A (ko) * 2022-02-21 2023-08-2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
KR102598164B1 (ko) * 2022-02-21 2023-11-0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5567B2 (ja) 自動車用エアベント
US7029390B2 (en) Air vent for vehicle air ducting
US8544533B2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having two-layered air flow
KR102495610B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20090132178A (ko) 에어벤트의 일체형 노브
US9969244B2 (en) Vehicle instrument panel with deployable air register
KR200356229Y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189136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1561568B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10170998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59758B1 (ko) 에어벤트 장치
KR102598164B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KR100354120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JPH0531474Y2 (ko)
JP2017159861A (ja) レジスタ
KR0136939Y1 (ko) 드링크 홀더 부설 에어벤트
JPH0880731A (ja) 自動車用レジスタ
KR0157765B1 (ko) 차량용 환기장치
KR200141332Y1 (ko) 자동차의실내환기장치
KR200219638Y1 (ko) 자동차의 자유 조절식 공기 배출 장치
JPS63121521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100552714B1 (ko)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벤틸레이션 덕트의 구조
KR20200133910A (ko) 루프 벤트
KR100391335B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구조
KR20210060276A (ko) 코안다 효과를 이용한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