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576A - 전원 장치 및 방전등 점등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장치 및 방전등 점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576A
KR19980064576A KR1019970073227A KR19970073227A KR19980064576A KR 19980064576 A KR19980064576 A KR 19980064576A KR 1019970073227 A KR1019970073227 A KR 1019970073227A KR 19970073227 A KR19970073227 A KR 19970073227A KR 19980064576 A KR19980064576 A KR 19980064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circuit
charging
parallel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3112B1 (ko
Inventor
스기야마마사히로
히라오카도시유키
구보타히로시
다케다데츠후미
야마모토가즈유키
Original Assignee
구보미츠오
가부시키가이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46233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94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348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91649A/ja
Application filed by 구보미츠오, 가부시키가이샤테크 filed Critical 구보미츠오
Publication of KR19980064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single converter stage both for correction of AC input power factor and generation of a high frequency AC output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조파 성분을 감소하는 동시에, 파고율을 개선한 전원 전압 및 방전등 점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용 교류 전원 e에 전파 정류 회로(1)를 접속하고, 용량이 큰 제1 콘덴서 C1, 다이오드 Dl 및 용량이 작은 제2 콘덴서 C2를 접속한다. 제2 콘덴서 C2에 충전용 콘덴서 C3, 인덕터 Ll 및 다이오드 D2의 부분 평활 회로를 접속한다. 인버터트랜스 Trl의 일차 권선 Trla 및 제1 공진 콘덴서 C4의 병렬 공진 회로(4) 및 트랜지스터 Ql의 콜렉터,에미터를 접속한다. 트랜지스터 Ql의 에미터, 콜렉터 사이에, 제2 공진 콘덴서 C5를 접속한다. 인버터트랜스 Tr1의 이차 권선 Irlb에, 형광 램프 FL의 필라멘트 FLl, FL2을 접속하여 이들 필라멘트 FLl, FL2에 시동용 콘덴서 C6를 접속한다.

Description

전원 장치 및 방전등 점등 장치
본 발명은, 전원 장치 및 방전등 점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본 종류의 방전등 점등 장치로서는, 예컨대 특허 공개 공보 평5-211774호 기재의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이 특허 공개 공보 평5-211774호 기재의 방전등 점등 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에 전파 정류 회로가 접속되고, 이 전파 정류 회로의 출력 단자에는 공진 콘덴서 및 인버터트랜스의 병렬 공진 회로와 트랜지스터가 직렬로 접속되고 인버터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파 정류 회로에는, 충전용 콘덴서, 인덕터 및 제1 다이오드의 직렬 회로, 인덕터 및 제1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와의 사이에 접속된 제2 다이오드를 갖는 부분 평활 회로가 접속되고, 인버터트랜스에는 형광 램프가 접속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트랜지스터를 고주파 스위칭 동작하여, 인버터트랜스에 고주파 교류 전압을 야기시키고, 고주파 교류 전류로 형광 램프를 고주파 점등시킨다.
즉, 전파 정류 회로의 전압이 높은 구간에 트랜지스터가 온했을 때에, 전파 정류 회로, 충전용 콘덴서, 인덕터, 제2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전파 정류 회로에서 충전용 콘덴서를 충전한다. 또한, 트랜지스터가 오프하면, 인덕터의 자기 에너지는 제2 다이오드를 통해 계속 흐른다. 그리고, 인덕터의 자기 에너지가 방출되면, 제2 다이오드는 오프하여 트랜지스터의 전압은 제2 다이오드에 인가된다. 이 때, 충전용 콘덴서에는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의 비율에 의해, 전파 정류 회로의 출력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충전된다. 또한,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전압보다도 입력 전압이 낮아지면, 충전용 콘덴서는 제1 다이오드 및 인덕터를 통해 인버터 회로에 충전 에너지를 방출하고, 인버터 회로에는 거의 직류에 가까운 전압을 공급하여 에너지율을 개선하여 0.9정도로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 공개 공보 평5-211774호 기재의 방전등 점등 장치는, 충전용 콘덴서 및 부분 평활 회로등으로부터의 전압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파고율에 약간의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충전용 콘덴서를 충전하는 구간에서는, 트랜지스터가 오프했을 때에 인덕터를 통하여 충전용 콘덴서를 충전한 전류는, 트랜지스터가 오프했을 때에 인덕터의 자기 에너지에 의해 인덕터, 제2 다이오드, 공진 콘덴서 및 충전용 콘덴서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인버터 회로의 발진 에너지와 다른 에너지가 공진 콘덴서에 유입된다. 또한, 제2 다이오드가 온하고 있는 동안의 제1 다이오드의 전압은 트랜지스터의 전압이 되어 인덕터에도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전압이 공제된 값의 전압이 인가되어, 각각의 소자의 내전압을 향상시키지 않으면 안되며, 소형화를 도모하기 어려운 문제를 갖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전등 점등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제2 콘덴서의 전압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3은 형광 램프의 램프 전류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제3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제4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제5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8은 제6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9는 제7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0은 제8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1은 제9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2는 제10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3은 제11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4는 제12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5는 제13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6은 제14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7은 제15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8은 제l6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9는 제17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0은 제18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1은 제19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2는 제20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3은 제21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4는 제22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5는 제23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6은 제24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7은 제25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8은 제26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9는 제27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0은 제28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1은 제29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2는 제30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3은 제31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4는 제32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5는 제33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6은 제34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7은 제35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8은 제36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9는 제37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0은 제38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1은 제39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2는 제40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3은 제41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4는 제41 실시 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45는 제42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46은 제42 실시 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47은 제43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8은 제44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9는 제45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0은 제46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1은 제47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2는 제48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3은 제49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4는 제50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파 정류 회로
2 : 부분 평활 회로
3 : 인버터 회로
4 : 병렬 공진 회로
5 : 제어 회로
6 : 부하 회로
본 발명은,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 수단과, 이 정류 수단의 출력 단자에 병렬로 접속된 제1 콘덴서와, 이 제1 콘덴서의 일단에 순극성으로 직렬로 접속된 다이오드와, 이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제1 콘덴서에 병렬로 접속된 제2 콘덴서와, 인덕턴스 소자 및 충전용 콘덴서를 가지며, 이 충전용 콘덴서에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의 최대 순간 전압치보다 낮은 전압으로 충전하는 상기 제2 콘덴서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 부분 평활 회로와, 제1 공진 콘덴서 및 공진 인덕터를 갖는 병렬 공진 회로, 이 병렬 공진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 이 스위칭 소자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 제2 공진 콘덴서를 가지며, 상기 부분 평활 회로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인버터 회로는 정류 수단의 출력 레벨이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레벨이상일 때에는 제1 콘덴서 및 제2 콘덴서로부터 입력 전류를 공급하고, 정류 수단의 출력 레벨이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레벨보다 낮을 때에는 부분 평활 회로로부터 입력 전류를 공급하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병렬 공진 회로 및 제2 공진 콘덴서를 공진동작시켜서 고조파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공진 전류를 제2 콘덴서에 유입시킴으로써 파고율이 향상한 고주파 출력한다.
본 발명은, 교류 전원에 접속된 제1 콘덴서와, 이 제1 콘덴서에 접속된 정류 수단과, 이 정류 수단에 접속된 제2 콘덴서와, 인덕턴스 소자 및 충전용 콘덴서를 가지며, 이 충전용 콘덴서에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의 최대 순간 전압치보다 낮은 전압으로 충전하는 상기 제2 콘덴서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 부분 평활 회로와, 제1 공진 콘덴서 및 공진 인덕터를 갖는 병렬 공진 회로, 이 병렬 공진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 이 스위칭 소자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 제2 공진 콘덴서를 가지며, 상기 부분 평활 회로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인버터 회로는 정류 수단의 출력 레벨이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레벨 이상일 때에는 제1 콘덴서 및 제2 콘덴서로부터 입력 전류를 공급하고, 정류 수단의 출력 레벨이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레벨보다 낮을 때에는 부분 평활 회로로부터 입력 전류를 공급하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병렬 공진 회로 및 제2 공진 콘덴서를 공진동작시켜서 고조파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공진 전류를 제2 콘덴서에 휴입시킴으로써 파고율이 향상한 고주파출력한다.
본 발명은,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 수단과, 이 정류 수단의 출력 단자에 병렬로 접속된 제1 콘덴서와, 이 제1 콘덴서에 접속된 다이오드와, 이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된 제2 콘덴서와, 인덕턴스 소자 및 충전용 콘덴서를 가지며, 이 충전용 콘덴서에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의 최대 순간 전압치보다 낮은 전압으로 충전하는 상기 제2 콘덴서 및 다이오드를 통해 제1 콘덴서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 부분 평활 회로와, 제1 공진 콘덴서 및 공진 인덕터를 갖는 병렬 공진 회로, 이 병렬 공진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 이 스위칭 소자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 제2 공진 콘덴서를 가지며, 상기 부분 평활 회로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인버터 회로는 정류 수단의 출력 레벨이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레벨 이상일 때에는 제1 콘덴서 및 제2 콘덴서로부터 입력 전류를 공급하고, 정류 수단의 출력 레벨이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레벨보다 낮을 때에는 부분 평활 회로로부터 입력 전류를 공급하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병렬 공진 회로 및 제2 공진 콘덴서를 공진동작시켜서 고조파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공진 전류를 제2 콘덴서로 유입시킴으로써 파고율이 향상한 고주파출력한다.
또한, 정류 수단의 출력 레벨에 대응하여 다이오드를 단락하는 단락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공진점을 변화시킴으로써 스위칭 소자에 부담이 드는 것을 경감한다.
또, 제2 콘덴서의 용량을 가변하는 용량 가변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제2 콘덴서의 용량을 적합하게 하여, 제2 콘덴서의 전압이 낮은 상태에서 전압치를 0으로 떨어뜨려 고조파를 보다 감소시킨다.
또한, 제1 공진 콘덴서 및 제2 공진 콘덴서는 용량이 거의 동일한 것으로, 파형을 보다 개선한다.
본 발명은,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 수단과, 공진 콘덴서 및 공진 인덕터를 갖는 병렬 공진 회로, 이 병렬 공진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를 가지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회로와, 인덕터,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의 최대 순간 전압치보다 낮은 전압으로 충전하는 충전용 콘덴서 및 이 충전용 콘덴서의 방전 전류의 극성으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의 직렬 회로, 상기 인덕터 및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스위칭 소자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전류를 흘리는 극성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충전용 콘덴서 및 인덕터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시에 상기 인덕터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를 상기 충전용 콘덴서에 흘리는 극성의 제3 다이오드를 갖는 부분 평활 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충전용 콘덴서 및 인덕터의 직렬 회로에 제3 다이오드를 통해 인덕터에 충전된 전압을 충전용 콘덴서에 되돌리고,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기간에 스위칭 소자가 오프했을 때에 인덕터의 자기 에너지는 인덕터, 제3 다이오드 및 충전용 콘덴서의 경로에서 충전용 콘덴서를 또 충전하며, 제2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는 충전 기간의 스위칭 소자가 온하고 있는 동안만이 되어, 스위칭 소자가 오프했을 때에 스위칭 소자에 발생하는 전압은 제2 다이오드에 전부 걸리고, 제1 다이오드 및 인덕터에 걸리는 전압이 감소되어, 내전압을 저하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 수단과, 이 정류 수단의 출력 단자에 병렬로 접속된 제1 콘덴서와, 이 제1 콘덴서의 일단에 순극성으로 직렬로 접속된 다이오드와, 이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제1 콘덴서에 병렬로 접속된 제2 콘덴서와, 공진 콘덴서 및 공진 인덕터를 갖는 병렬 공진 회로, 이 병렬 공진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를 가지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회로와, 인덕터,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의 최대 순간 전압치보다 낮은 전압으로 충전하는 충전용 콘덴서 및 이 충전용 콘덴서의 방전 전류의 극성으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의 직렬 회로, 상기 인덕터 및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스위칭 소자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전류를 흘리는 극성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충전용 콘덴서 및 인덕터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시에 상기 인덕터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를 상기 충전용 콘덴서에 흘리는 극성의 제3 다이오드를 갖는 부분 평활 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인버터 회로는 정류 수단의 출력 레벨이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레벨 이상일 때에는 제1 콘덴서 및 제2 콘덴서로부터 입력 전류를 공급하고, 정류 수단의 출력 레벨이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레벨보다 낮을 때에는 부분 평활 회로로부터 입력 전류를 공급하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병렬 공진 회로 및 제2 공진 콘덴서를 공진동작시켜서 고조파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충전용 콘덴서 및 인덕터의 직렬 회로에 제3 다이오드를 통해 인덕터에 충전된 전압을 충전용 콘덴서에 되돌리고,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기간에서 스위칭 소자가 오프했을 때에 인덕터의 자기 에너지는 인덕터, 제3 다이오드 및 충전용 콘덴서의 경로에서 충전용 콘덴서를 또 충전하여, 제2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는 충전 기간의 스위칭 소자가 온하고 있는 동안만이 되어, 스위칭 소자가 오프했을 때에 스위칭 소자에 발생하는 전압은 제2 다이오드에 전부 걸리고, 제1 다이오드 및 인덕터에 걸리는 전압이 감소되어, 내전압을 저하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류 전원에 접속된 제1 콘덴서와, 이 제1 콘덴서에 접속된 정류 수단과, 이 정류 수단에 접속된 제2 콘덴서와, 공진 콘덴서 및 공진 인덕터를 갖는 병렬 공진 회로, 이 병렬 공진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를 가지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회로와, 인덕터,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의 최대 순간 전압치보다 낮은 전압으로 충전하는 충전용 콘덴서 및 이 충전용 콘덴서의 방전 전류의 극성으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의 직렬 회로, 상기 인덕터 및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스위칭 소자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전류를 흘리는 극성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충전용 콘덴서 및 인덕터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시에 상기 인덕터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를 상기 충전용 콘덴서에 흘리는 극성의 제3 다이오드를 갖는 부분 평활 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인버터 회로는 정류 수단의 출력 레벨이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레벨 이상일 때에는 제1 콘덴서 및 제2 콘덴서로부터 입력 전류를 공급하고, 정류 수단의 출력 레벨이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레벨보다 낮을 때에는 부분 평활 회로로부터 입력 전류를 공급하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병렬 공진 회로 및 제2 공진 콘덴서를 공진동작시켜서 고조파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충전용 콘덴서 및 인덕터의 직렬 회로에 제3 다이오드를 통해 인덕터에 충전된 전압을 충전용 콘덴서에 되돌리고,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기간에서 스위칭 소자가 오프했을 때에 인덕터의 자기 에너지는 인덕터, 제3 다이오드 및 충전용 콘덴서의 경로에서 충전용 콘덴서를 또 충전하여, 제2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는 충전 기간의 스위칭 소자가 온하고 있는 동안만이 되어, 스위칭 소자가 오프했을 때에 스위칭 소자에 발생하는 전압은 제2 다이오드에 전부 걸리고, 제1 다이오드 및 인덕터에 걸리는 전압이 감소되어, 내전압을 저하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 수단과, 이 정류 수단의 출력 단자에 병렬로 접속된 제1 콘덴서와, 이 제1 콘덴서에 접속된 다이오드와, 이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된 제2 콘덴서와, 공진 콘덴서 및 공진 인덕터를 갖는 병렬 공진 회로, 이 병렬 공진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를 가지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회로와, 인덕터,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의 최대 순간 전압치보다 낮은 전압으로 충전하는 충전용 콘덴서 및 이 충전용 콘덴서의 방전 전류의 극성으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의 직렬 회로, 상기 인덕터 및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스위칭 소자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전류를 흘리는 극성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충전용 콘덴서 및 인덕터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시에 상기 인덕터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를 상기 충전용 콘덴서에 흘리는 극성의 제3 다이오드를 갖는 부분 평활 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인버터 회로는 정류 수단의 출력 레벨이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레벨 이상일 때에는 제1 콘덴서 및 제2 콘덴서로부터 입력 전류를 공급하고, 정류 수단의 출력 레벨이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레벨보다 낮을 때에는 부분 평활 회로로부터 입력 전류를 공급하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병렬 공진 회로 및 제2 공진 콘덴서를 공진동작시켜서 고조파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충전용 콘덴서 및 인덕터의 직렬 회로에 제3 다이오드를 통해 인덕터에 충전된 전압을 충전용 콘덴서에 되돌리고,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기간에서 스위칭 소자가 오프했을 때에 인덕터의 자기 에너지는 인덕터, 제3 다이오드 및 충전용 콘덴서의 경로에서 충전용 콘덴서를 또 충전하며, 제2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는 충전 기간의 스위칭 소자가 온하고 있는 동안만이 되어, 스위칭 소자가 오프했을 때에 스위칭 소자에 발생하는 전압은 제2 다이오드에 전부 걸리고, 제1 다이오드 및 인덕터에 걸리는 전압이 감소되어, 내전압을 저하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 회로의 구동 주파수를 발진 개시시에 통상시에 비하여 높은 주파수로 설정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것으로, 인버터 회로의 발진 개시시에 통상시보다도 스위칭 소자의 발진 주파수를 높게 함으로써, 부분 평활 회로의 충전용 콘덴서가 소정의 전압치로 충전될 때까지의 동안은, 충전용 콘덴서, 인덕터, 제1 다이오드 및 스위칭 소자로 흐르는 전류 피크치를 감소시켜서, 스위칭 소자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감소한다.
또, 충전용 콘덴서를 인버터 회로의 발진 개시까지 충전시키는 보조 충전 회로를 구비한 것으로, 인버터 회로가 동작하기 전에 보조 충전 회로에서 충전용 콘덴서를 충전하기 위해서, 인버터 회로가 발진을 개시했을 때의 스위칭 소자등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감소한다.
또한, 전원 장치에 접속되는 방전 램프를 구비한 것으로 각각의 작용을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전원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 교류 전원e에 다이오드 브릿지의 정류 수단으로서의 전파 정류 회로(1)의 입력 단자가 접속되고, 이 전파 정류 회로(1)의 출력 단자에 용량이 큰 제1 콘덴서 Cl이 접속되고, 이 제1 콘덴서 Cl에는 다이오드Dl 및 제1 콘덴서 C1에 비하여 용량이 작은 제2 콘덴서 C2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콘덴서 C2에는 부분 평활 회로(2)가 접속되고, 이 부분 평활 회로(2)는 충전용 콘덴서 C3, 인덕터 Ll 및 다이오드 D2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고, 인덕터 Ll 및 다이오드 D2 사이에는 다이오드D3이 접속되어 있다.
또, 부분 평활 회로(2)에는 인버터 회로(3)가 접속되어 있다. 이 인버터 회로(3)는 공진 인덕터로서의 누설 자속형의 인버터 트랜스 Trl의 일차 권선 Trla 및 제1 공진 콘덴서 C4의 병렬 공진 회로(4) 및 스위칭 소자가 되는 트랜지스터 Ql의 콜렉터, 에미터가 접속되어 있다. 또,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 콜렉터 사이에는 제2 공진 콘덴서 C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 Ql의 베이스에는 제어 회로(5)가 접속되어 있다.
또, 인버터트랜스 Trl의 이차 권선 Trlb에는 방전 램프로서의 형광 램프 FL의 필라멘트 FLl, FL2가 접속되고, 이들 필라멘트 FLl, FL2에는 시동용 콘덴서 C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형광 램프 FL 등으로 부하 회로(6)가 구성된다.
다음에, 상기 실시 형태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인버터 회로(3)가 제어 회로(5)에 의해 트랜지스터 Ql이 스위칭 동작하여 발진동작하면, 인버터트랜스 Trl의 일차 권선 Trla와 충전용 콘덴서 C4와의 공진 작용에 의해 고주파 전압이 발생하여, 이차 권선 Trlb에도 고주파 전압이 야기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Ql이 온하면, 인버터트랜스 Trl의 일차 권선 Trla에 전류가 흐르는 동시에 충전용 콘덴서 C3, 인덕터 Ll 및 다이오드 D3를 통해 전류가 흘러 충전용 콘덴서 C3가 충전된다. 그리고, 충전용 콘덴서 C3에 전파 정류 회로(1)로부터의 맥류 전압의 피크치보다도 낮은 직류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전파 정류 회로(1)의 맥류 전압이 충전용 콘덴서 C3의 충전 전압보다도 높은 구간과 낮은 구간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우선, 전파 정류 회로(1)의 맥류 전압이 충전용 콘덴서 C3의 충전 전압보다 높은 구간의 임의의 시간 부분에 있어서, 인버터 회로(3)의 트랜지스터 Ql이 온하면, 인버터트랜스 Trl의 일차 권선 Trla로의 전류의 공급은 거의가 제1 콘덴서 Cl에서, 일부가 제2 콘덴서 C2로 된다. 그리고, 제1 콘덴서 Cl과 제2 콘덴서 C2와의 합성 용량은 인버터 회로(3)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부여하는데 충분한 용량이다. 이들 제1 콘덴서 Cl과 제2 콘덴서 C2로부터의 전류 공급에 알맞게 상용 교류 전원 e측에서 에너지가 입력 전류가 되어 유입한다. 그리고, 맥류 전압의 변화에 대응하여 트랜지스터 Ql의 스위칭 동작에 따르도록 동작이 이루어지며, 교류 전압 정현파치상에 따라서 인버터 회로(3)의 인버터 동작의 고주파가 미소하고 또한 같은 진폭이 전파 정류 회로(1)의 전압치가 높은 전구간에 중첩된다.
즉, 이 전파 정류 회로(1)의 전압치가 높은 구간에서는 제1 콘덴서 Cl과 제2 콘덴서 C2와의 합성치는 공급된 맥류 전압에 의해 부여된 에너지가 인버터 회로(3)의 요구하는 에너지에 대하여 충족시켜진 값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콘덴서 Cl 및 제2 콘덴서 C2의 어느것이나 리플 성분이 작고, 발열도 작고,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 전파 정류 회로(1)의 전압치가 높은 구간에서 트랜지스터 Ql이 온일 때에 충전용 콘덴서 C3에 충전된다. 또, 이 전파 정류 회로(1)의 전압치가 높은 구간에서는 충전용 콘덴서 C3로부터 인버터 회로(3)측에는 방전하지 않는다. 다음에, 전파 정류 회로(1)의 전압치가 낮은 구간에서, 충전용 콘덴서 C3의 충전 전압에 대하여 전파 정류 회로(1)의 맥류 정현파 전압이 저하하기 시작했을 때에 트랜지스터 Ql이 온되면, 인버터트랜스 Trl의 일차 권선 Trla로의 전류는 최초로 제2 콘덴서 C2로부터 공급된다. 그리고, 제2 콘덴서 C2의 용량은 인버터 회로(3)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불충분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Ql의 온 후에 일차 권선 Trla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서, 제2 콘덴서 C2의 전압은 저하한다. 그리고, 제2 콘덴서 C2의 전압이 제1 콘덴서 Cl의 전압까지 저하한 시점에서 제2 콘덴서 C2로 부족한 인버터 회로(3)로의 에너지를 제1 콘덴서 Cl이 공급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Ql이 오프할 때까지 공급되지만, 제1 콘덴서 Cl에서의 에너지 공급이 개시되고나서 제2 콘덴서 C2의 전압의 저하는 적어진다. 또한, 제1 콘덴서 Cl에서 인버터 회로(3)로의 에너지 공급은 이것에 알맞은 만큼의 에너지를 상용 교류 전원 e 측에서 입력 전류로서 유입시킨다.
한편, 충전용 콘덴서 C3의 충전 전압은 인덕터 Ll의 과도 임피던스에 의해 에너지의 방출이 늦어지고, 트랜지스터 Ql이 오프하기 직전의 시점에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Ql이 오프하면, 충전용 콘덴서 C3의 충전 전압은 인덕터 Ll, 다이오드 D2 및 제2 콘덴서 C2의 직렬 회로로의 전압 공급원이 된다. 여기서, 인덕터 Ll 및 제2 콘덴서 C2는 진동적 공진이 수득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콘덴서 C2로의 충전이 정현파상에 행해진다. 그리고, 이 충전은 인버터 회로(3)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Ql이 다음에 온했을 때 에너지 공급이 부족하지 않는 전압까지 높여진다. 또한, 트랜지스터 Ql의 오프에 의해, 제1 공진 콘덴서 C4 및 제2 공진 콘덴서 C5와, 인버터트랜스 Trl의 일차 권선 Trla로 공진한다. 그리고, 이 공진 전류는 제2 공진 콘덴서 C5, 인버터트랜스 Trl의 일차 권선 Trla, 제2 콘덴서 C2 및 제2 공진 콘덴서 C5의 경로로 흘러, 제2 콘덴서 C2는 충전되어 진동 전압이 발생한다. 또, 이 때 제2 콘덴서 C2의 양단 전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 교류 전원e의 최고 순간 전압의 부분도 최저 순간 전압의 부분도 전압치가 거의 동일하게 직류 전압에 가까워진다.
그리고, 충전용 콘덴서 C3의 충전 전압에 대하여 제1 콘덴서 C1의 전압이 저하함에 따라서 제2 콘덴서 C2의 전압은 저하하고, 인덕터 Ll과 제2 콘덴서 C2에 의한 진폭이 커진다. 또한, 입력 전류는 적어지지만 전류는 연속하여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용 교류 전원 e에서의 입력 전류가 연속하여 흐름으로써 입력 전류에 고조파 성분이 개입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또, 제2 콘덴서 C2의 전압치의 변동을 크게 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 램프FL의 램프 전류 파형의 파고율이 개선되어, 크레스트 팩터(crest factor)가 향상한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도 4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다이오드 Dl을 제거하여, 제1 콘덴서 Cl 및 제2 콘덴서 C2의 사이에 전파 정류 회로(1)를 접속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다이오드 Dl을 제외함으로써, 기본적인 동작을 거의 동일하게 한 상태이고, 회로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를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3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도 5에 나타내는 제3 실시 형태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콘덴서 C2를 다이오드 Dl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기본적인 동작은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또, 제4 실시 형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4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도 6에 나타내는 제4 실시 형태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콘덴서 C2에 대하여 병렬로 콘덴서 Cll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의 직렬 회로를 접속하는 동시에, 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에 제어 회로(ll)를 접속한 것이다. 그리고,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를 제어 회로(ll)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제2 콘덴서 C2와의 실질적인 합성 용량을 변화시켜서, 예컨대 온도 변화등에 의해 인버터 회로(3)의 출력이 변화한 경우등에, 제2 콘덴서 C2 및 콘덴서 Cll의 합성 용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제2 콘덴서 C2의 전압이 낮은 부분에서는 확실히 전압치가 0으로 떨어지고, 입력 전류를 연속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고조파를 방지한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제3 실시 형태에 이 구성을 부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5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도 7에 나타내는 제5 실시 형태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다이오드 Dl에 대하여 역병열로 단락 수단으로서의 사이리스터 Q3을 접속하여, 이 사이리스터 Q3의 게이트에 제어 회로(12)를 접속한 것이다.
그리고, 통상시에는 인버터 회로(3)의 인버터트랜스 Trl과 제2 콘덴서 C2와의 공진에 의해 승압하여 인버터 회로(3)를 동작시키고 있지만, 예컨대 형광 램프FL의 램프 전류가 증가한 경우에는, 사이리스터 Q3을 온시키고, 다이오드 Dl과 역방향으로 전류를 흘려서, 인버터트랜스 Trl과 제1 콘덴서 Cl 및 제2 콘덴서 C2와의 공진에 의해 강압시키고, 제2 콘덴서 C2의 경우와 공진점을 변화시켜서 트랜지스터 Ql의 부담을 작게 한다.
또,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 이 구성을 부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제6 내지 제8 실시 형태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6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9는 제7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0은 제8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들 제6 내지 제8 실시 형태는, 제1, 제2 및 제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분 평활 회로(2)의 충전용 콘덴서 C3 및 인덕터 Ll의 직렬 회로에 대하여 병렬로 다이오드 D6을 접속한 것이다.
그리고, 충전용 콘덴서 C3를 충전할 때에, 인덕터 Ll의 자기 에너지를 다이오드 D6을 통해 충전용 콘덴서 C3에 공급함으로써, 충전용 콘덴서 C3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다이오드 D3에 의해서 전류를 흘림으로써, 다이오드 D2에는 충전용 콘덴서 C3가 방전할 때에 밖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트랜지스터 Ql이 오프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랜지스터Ql의 전압은 다이오드 D3에 걸리기 때문에, 인덕터 Ll 및 다이오드 D2에 걸리는 전압은 감소되어 소자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9 실시 형태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9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제9 실시 형태는 제6 실시 형태에,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콘덴서 C2에 대하여 병렬로 콘덴서 Cll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의 직렬 회로를 접속하는 동시에, 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에 제어 회로(ll)를 접속한 것이다.
또, 제7 및 제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이 구성을 부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제10 실시 형태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10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제10 실시 형태는, 제6 실시 형태에, 제5 실시 형태와 같이, 다이오드 Dl에 대하여 역병렬로 단락 수단으로서의 사이리스터 Q3을 접속하여, 이 사이리스터 Q3의 게이트에 제어 회로(12)를 접속한 것이다.
또, 제8 실시 형태에 이 구성을 부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제11 내지 제13 실시 형태를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11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4는 제12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5는 제13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이들 제11 내지 제1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제1, 제2 및 제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누설 자속형의 인버터트랜스 Trl를 대신하여, 제1 공진 콘덴서C4에 대하여 병렬로 공진용 인덕터 L3을 접속하고, 이 공진용 인덕터 L3에 대하여 병렬로, 안정기 L4 및 절연형 트랜스 Tr2의 일차 권선 Tr2a의 직렬 회로를 접속하여, 트랜스 Tr2의 이차 권선 Tr2b에 형광 램프 FL을 접속한 것이다.
그리고, 인버터트랜스 Trl의 기능을 공진용 인덕터 L3, 안정기 L4 및 절연형 트랜스 Tr2로 분산시킨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제1, 제2 및 제3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또, 제14 실시 형태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제14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제14 실시 형태는 제11 실시 형태에,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콘덴서 C2에 대하여 병렬로 콘덴서 Cll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의 직렬 회로를 접속하는 동시에, 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에 제어 회로(ll)를 접속한 것이다.
또, 제12 및 제13 실시 형태에 이 구성을 부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수득 할 수 있다.
또한, 제15 실시 형태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제15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제15 실시 형태는 제11 실시 형태에, 제5 실시 형태와 같이, 다이오드 Dl에 대하여 역병렬로 단락 수단으로서의 사이리스터 Q3을 접속하고, 이 사이리스터 Q3의 게이트에 제어 회로(12)를 접속한 것이다.
또, 제13 실시 형태에 이 구성을 부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제16 내지 제18 실시 형태를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제16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9는 제17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0은 제18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이들 제16 내지 제1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제11 내지 제1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제6 내지 제8 실시 형태와 같이, 부분 평활 회로(2)의 충전용 콘덴서 C3 및 인덕터 Ll의 직렬 회로에 대하여 병렬로 다이오드 D6을 접속한 것이다.
또, 제19 실시 형태를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제19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도 2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제16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제2 콘덴서 C2에 대하여 병렬로 콘덴서 Cll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의 직렬 회로를 접속하는 동시에, 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에 제어 회로(ll)를 접속한 것이다.
또, 제17 및 제1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이 구성을 부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제20 실시 형태를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제20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제20 실시 형태는, 제16 실시 형태에, 제5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다이오드 Dl에 대하여 역병렬로 단락 수단으로서의 사이리스터 Q3을 접속하여, 이 사이리스터 Q3의 게이트에 제어 회로(12)를 접속한 것이다.
또, 제18 실시 형태에 이 구성을 부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제21 내지 제23 실시 형태를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제21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4는 제22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4는 제23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이들 제21 내지 제2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제16 내지 제1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로부터 절연형 트랜스 Tr2를 삭제하고, 형광 램프 FL의 필라멘트 FLl, FL2의 타단측의 콘덴서 C6를 삭제하여, 일단측에 시동용 콘덴서 Cl2를 접속하여 구성을 간단히 한 것이다.
그리고, 필라멘트 FLl, FL2의 예열은 할 수 없는 것이지만, 기본적인 동작은 제16 내지 제1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 제24 실시 형태를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제24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제24 실시 형태는 제21 실시 형태에,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콘덴서 C2에 대하여 병렬로 콘덴서 Cll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의 직렬 회로를 접속하는 동시에, 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에 제어 회로(ll)를 접속한 것이다.
또, 제22 및 제23 실시 형태에 이 구성을 부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제25 실시 형태를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제25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제25 실시 형태는 제21 실시 형태에, 제5 실시 형태와 같이, 다이오드 Dl에 대하여 역병렬로 단락 수단으로서의 사이리스터 Q3을 접속하여, 이 사이리스터 Q3의 게이트에 제어 회로(12)를 접속한 것이다.
또, 제23 실시 형태에 이 구성을 부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제26 내지 제28 실시 형태를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제26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9는 제27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0은 제28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들 제26 내지 제2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제21 내지 제2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제6 내지 제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부분 평활 회로(2)의 충전용 콘덴서 C3 및 인덕터 Ll의 직렬 회로에 대하여 병렬로 다이오드 D6을 접속한 것이다.
또, 제29 실시 형태를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제29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이 제29 실시 형태는 제26 실시 형태에,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제2 콘덴서 C2에 대하여 병렬로 콘덴서 Cll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의 직렬 회로를 접속하는 동시에, 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에 제어 회로(ll)를 접속한 것이다.
또, 제27 및 제28 실시 형태에 이 구성을 부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제30 실시 형태를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30 실시 형태는 제26 실시 형태에, 제5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다이오드 D1에 대하여 역병렬로 단락 수단으로서의 사이리스터 Q3을 접속하여, 이 사이리스터 Q3의 게이트에 제어 회로(12)를 접속한 것이다.
또, 제28 실시 형태에 이 구성을 부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다음에, 제31 내지 제40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에 관해서 도 33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3은 제31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4는 제32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5는 제33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6은 제34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7은 제35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8은 제36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9는 제37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0은 제38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1은 제39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2는 제40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이들 제31 내지 제40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는 제1 내지 제30에 나타내는 방전등 점등 장치 중 어느 것에도 이용할 수 있다.
우선, 제31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는 누설 자속형의 인버터트랜스 Trl의 이차 권선 Trlb에 시동용 콘덴서 Cl2 및 형광 램프 FL의 필라멘트 FLl, FL2의 일단을 접속한 것이다.
또한, 제32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는 제31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의 형광 램프 FL의 필라멘트 FLl, FL2의 타단에, 예열용 콘덴서 C6을 접속한 것이다.
또, 제33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는 안정기 L3을 통해 절연형 트랜스 Tr2의 일차 권선 Tr2a를 접속하고, 이 트랜스 Tr2의 이차 권선 Tr2b에 형광 램프FL의 필라멘트 FLl, FL2의 일단을 접속하며, 타단에 콘덴서 C6을 접속한 것이다.
또한, 제34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는 제33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의 트랜스 Tr2의 이차 권선 Tr2b에 콘덴서 Cl2를 접속하고, 콘덴서 C6을 삭제한 것이다.
그리고, 제35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는 제34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의 형광 램프 FL의 필라멘트 FLl, FL2의 타단간에 콘덴서 C6을 접속한 것이다.
또한, 제36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는 절연형 트랜스 Tr2의 이차 권선 Tr2b에 안정기 L4를 통해 형광 램프 FL의 필라멘트 FLl, FL2의 일단에 접속하고, 타단에 콘덴서 C6을 접속한 것이다.
또, 제37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는 제36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의 콘덴서 C6을 대신하여, 필라멘트 FLl, FL2의 일단측에 콘덴서 Cl2를 접속한 것이다.
또한, 제38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는 제37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의 필라멘트 F11, FL2의 타단에 콘덴서C6을 접속한 것이다.
그리고, 제39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는 공진용 인덕터 L3에 안정기 L4 및 절연형 트랜스 Tr2의 일차 권선 Tr2a를 접속하고, 이차 권선 Tr2a에 콘덴서 Cl2 및 형광 램프 FL의 필라멘트 FLl, FL2의 일단을 접속한 것이다.
또한, 제40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는 제39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6)의 형광 램프 FL의 필라멘트 FLl, FL2의 타단에 콘덴서 C6을 접속한 것이다.
다음에, 제41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에 관해서 도 43 및 도 4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3은 제41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 교류 전원e에 인덕터 L21 및 콘덴서 C21의 고조파 제거용 저역 필터(21)가 접속되고, 이 저역 필터(21)에는 다이오드 브릿지의 정류 수단으로서의 전파 정류 회로(1)의 입력 단자가 접속되며, 이 전파 정류 회로(1)의 출력 단자에는 고주파 제거용 콘덴서 C2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콘덴서 C22에는, 부분 평활 회로(2)가 접속되고, 이 부분 평활 회로(2)는 충전용 콘덴서 C3, 인덕터 Ll 및 제1 다이오드 D2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며, 인덕터 Ll 및 제1 다이오드 D2의 접속점에는 제2 다이오드 D3가 접속되고, 인덕터 Ll 및 충전용 콘덴서 C3의 직렬 회로에 대하여 병렬로 제3 다이오드 D6가 접속되어 있다.
또, 부분 평활 회로(2)에는 인버터 회로(3)가 접속되어 있다. 이 인버터 회로(3)는 공진 인덕터 L3 및 제1 공진 콘덴서 C4의 병렬 공진 회로(4) 및 스위칭 소자가 되는 트랜지스터 Ql의 콜렉터, 에미터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 Ql의 베이스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공진 인덕터 L3에는 안정기 L4를 통해 방전 램프로서의 형광 램프 FL의 필라멘트 FLl, FL2가 접속되고, 이들 필라멘트 FLl, FL2에는 시동용 콘덴서 C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형광 램프 FL등으로 부하 회로(6)가 구성된다.
다음에, 상기 실시 형태의 동작에 관해서 도 4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인버터 회로(3)의 트랜지스터 Ql이 스위칭 동작하여 발진 동작하면, 공진 인덕터 L3과 공진 콘덴서 C4와의 공진 작용에 의해 고주파 전압이 발생하여, 공진 콘덴서 C4에 고주파 전압이 야기된다.
우선, 전파 정류 회로(2)의 맥류 전압이 충전용 콘덴서 C3의 충전 전압보다 높은 구간의 임의의 시간 부분에서는, 인버터 회로(3)의 트랜지스터 Q1이 온하면, 충전용 콘덴서 C3, 인덕터 L21, 제2 다이오드 D3, 트랜지스터 Ql 및 전파 정류 회로(2)의 경로로 전류가 흘러서 충전용 콘덴서 C3가 충전되고, 제2 다이오드 D3에는 충전 전류 ID3이 흐른다. 또, 이 전파 정류 회로(2)의 전압치가 높은 구간에서는 충전용 콘덴서 C3로부터 인버터 회로(3)측에는 방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Ql이 오프하면, 인덕터 L21에 저장된 자기 에너지에 의해, 인덕터 L21에 전류가 계속 흐르기 때문에, 충전용 콘덴서 C3, 인덕터 L21 및 제3 다이오드 D6의 경로로 충전용 콘덴서 C3을 충전하는 전류 ID6이 흐른다.
또한, 제1 다이오드 D2에는 제3 다이오드 D6이 온하고 있을 때에 콘덴서 C22의 양단 전압으로부터 충전용 콘덴서 C3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공제한 값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1 다이오드 D2에는 전압 VD2의 파형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제3 다이오드 D6에 의해, 제2 다이오드 D3에 흐르는 전류가 작아지기 때문에, 소자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한편, 전파 정류 회로(2)의 맥류 전압이 충전용 콘덴서 C3의 충전 전압보다 낮은 구간의 임의의 시간 부분에서는 충전용 콘덴서 C3로부터의 방전에 의해 인버터 회로(3)가 동작한다.
다음에, 제42 실시 형태를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5는 제42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제42 실시 형태는 제4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콘덴서 C22를 대신하여, 비교적 용량이 큰 제1 콘덴서 Cl을 접속하는 동시에, 이 제1 콘덴서 Cl에 대하여 병렬로 다이오드 Dl 및 제1 콘덴서 Cl보다 용량의 작은 제2 콘덴서 C2의 직렬 회로를 접속한 것이다.
다음에, 이 제42 실시 형태에 관해서, 도 4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인버터 회로(3)의 트랜지스터 Ql이 스위칭동작하여 발진 동작하면, 공진 콘덴서 C4 및 공진 인덕터 L3의 공진 작용에 의해 고주파 전압이 발생하며, 공진 인덕터 L3에도 고주파 전압이 야기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Ql이 온하면, 공진 인덕터 L3에 전류가 흐르는 동시에 충전용 콘덴서 C3, 인덕터 Ll 및 다이오드 D3을 통해 전류가 흘러서 충전용 콘덴서 C3이 충전된다. 그리고, 충전용 콘덴서 C3에 전파 정류 회로(2)로부터의 맥류 전압의 피크치보다도 낮은 직류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전파 정류 회로(2)의 맥류 전압이 충전용 콘덴서 C3의 충전 전압보다도 높은 구간과 낮은 구간으로 나눠서 설명한다.
우선, 전파 정류 회로(1)의 맥류 전압이 충전용 콘덴서 C3의 충전 전압보다 높은 구간의 임의의 시간 부분에 있어서, 인버터 회로(3)의 트랜지스터 Ql이 온하면, 공진용 인덕터 L3의 전류의 공급은 대부분이 제1 콘덴서 Cl에서, 일부가 제2 콘덴서 C2로 된다. 그리고, 제1 콘덴서 Cl과 제2 콘덴서 C2와의 합성 용량은 인버터 회로(3)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부여하는데 충분한 용량이다. 이들 제1 콘덴서 Cl과 제2 콘덴서 C2로부터의 전류 공급에 알맞게 상용 교류 전원 e측에서 에너지가 입력 전류가 되어 유입한다. 그리고, 맥류 전압의 변화에 대응하여 트랜지스터 Ql의 스위칭 동작에 따르도록 동작이 이루어지며, 교류 전압 정현파값상에 따라서 인버터 회로(3)의 인버터 동작의 고주파가 미소하게 또한 동일한 진폭이 전파 정류 회로(1)의 전압치가 높은 전구간에 중첩된다.
즉, 이 전파 정류 회로(1)의 전압치가 높은 구간에서는 제1 콘덴서 Cl과 제2 콘덴서 C2와의 합성치는 공급된 맥류 전압에 의해 부여되는 에너지가 인버터 회로(3)에 요구하는 에너지에 대하여 충족된 값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콘덴서 Cl 및 제2 콘덴서 C2의 어느것이나 리플 성분이 작고, 발열도 작으며,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 전파 정류 회로(1)의 전압치가 높은 구간에서 트랜지스터 Ql의 온시에 충전용 콘덴서 C3에 충전된다. 또, 이 전파 정류 회로(1)의 전압치가 높은 구간에서는 충전용 콘덴서 C3에서 인버터 회로(3)측에는 방전하지 않는다. 즉, 트랜지스터 Ql이 온하면, 충전용 콘덴서 C3, 인덕터 Ll, 제2 다이오드 D3 및 트랜지스터 Ql의 경로로 전류가 흘러서 충전용 콘덴서 C3이 충전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Ql이 오프하면, 인덕터 Ll에 저장된 자기 에너지에 의해, 인덕터 Ll에 전류가 계속 흐르기 때문에, 충전용 콘덴서 C3, 인덕터 Ll 및 제3 다이오드 D6의 경로로 충전용 콘덴서 C3을 충전하는 전류가 흐른다. 또한, 제1 다이오드 D2에는 제3 다이오드 D6가 온하고 있을 때에 콘덴서 C2의 양단 전압으로부터 충전용 콘덴서 C3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공제한 값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1 다이오드 D2에는 전압 VD2의 파형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제3 다이오드 D6에 의해, 제2 다이오드 D3에 흐르는 전류가 낮아지기 때문에 소자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다음에, 전파 정류 회로(1)의 전압치가 낮은 구간에 있어서, 충전용 콘덴서 C3의 충전 전압에 대하여 전파 정류 회로(1)의 맥류 정현파 전압이 저하하기 시작했을 때에 트랜지스터 Ql이 온되면, 인버터 회로(3)로의 전류는 최초로 제2 콘덴서 C2로부터 공급되고, 제2 콘덴서 C2, 공진 인덕터 L3 및 트랜지스터 Ql의 경로와, 안정기 L4, 형광 램프 FL 및 트랜지스터 Ql의 경로로 전파가 흐른다. 그리고, 이 때, 트랜지스터 Ql의 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제2 콘덴서 C2의 전압이 저하하며, 전파 정류 회로(1)의 출력 전압, 즉 제1 콘덴서 Cl의 전압보다 낮아지면, 인버터 회로(3)에는 제1 콘덴서 Cl, 공진용 인덕터 L3 및 트랜지스터 Ql에 흐른다.
한편, 충전용 콘덴서 C3의 충전 전압은 인덕터Ll의 과도 임피던스에 의해 에너지의 방출이 지연되고, 트랜지스터 Ql이 오프하기 직전에 에너지를 방출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Ql이 오프하면 인덕터 L21의 충전 전압이 전원이 되고, 충전용 콘덴서 C3, 제2 콘덴서 C2, 제1의 다이오드 D2의 경로로 전류가 흘러서 제2 콘덴서 C2가 충전되며, 인덕터 L1 및 제2 콘덴서 C2의 공진에 의해, 진동 전압에 충전용 콘덴서 C3의 전압이 중첩되고,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압 파형이 되어, 상용 교류 전원e의 최고 순간 전압의 부분도 최저 순간 전압의 부분도 전압치가 거의 동일하게 직류 전압에 가까워진다.
그리고, 충전용 콘덴서 C3의 충전 전압에 대하여 제1 콘덴서 C21의 전압이 저하하면 다이오드 Dl에 의해 충전용 콘덴서 C3의 전하는 제1 콘덴서 Cl에 흘러 들어가지 않으며, 전파 정류 회로(1)로부터 전류가 유입되기 때문에, 입력 전류는 연속하여 유입된다. 또, 이 전류는 저역 필터(21)를 통해 흐르기 때문에,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류 파형 Iin은 입력 전압 파형 Vin에 가깝고, 고조파도 감소할 수 있다.
다음에, 제43 실시 형태를 도 4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7은 제43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제43 실시 형태는 제4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콘덴서 C2를 다이오드 Dl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한 것이다.
또한, 제44 실시 형태를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8은 제44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제44 실시 형태는 제4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다이오드 Dl을 제거하여 제1 콘덴서 Cl 및 제2 콘덴서 C2간에 전파 정류 회로(1)를 접속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다이오드 D2를 제외함으로써, 기본적인 동작을 거의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회로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기본적인 동작은 제42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도 45의 실시 형태를 도 4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9는 제45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제45 실시 형태는 제4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회로(22)를 접속한 것이다. 이 제어 회로(22)는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에 기동용의 저항 R1이 접속되고, 공진용 인덕터 L3 및 형광 램프 FL의 필라멘트 FL2 사이에, 전류 트랜스 CT1의 검출 권선 CTla를 접속하고, 이 전류 트랜스 CT1의 출력 권선 CTlb는 콘덴서 C25를 통해서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 에미터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콘덴서 C25에 대하여 병렬로, 콘덴서 C26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고, 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에는 시정수 회로(2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 에미터간에는 다이오드 D12 및 저항 R2의 적렬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49 실시 형태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제49 실시 형태에서는 인버터 회로(3)를 기동시키기 전에, 시정수 회로(12)에 의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를 오프하여, 콘덴서 C25 및 콘덴서 C26의 겉보기상의 합성 용량을 작게 하여, 인버터 회로(3)의 발진 주파수를 증가시켜서 인버터 회로(3)의 출력을 저하시키고, 충전용 콘덴서 C3이 충분히 충전된 후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2를 온하여 콘덴서 C25 및 콘덴서 C26의 겉보기상의 합성 용량을 크게 하여, 통상의 출력으로 인버터 회로(3)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충전용 콘덴서 C3이 충분히 충전된 후에, 인버터 회로(3)의 동작을 개시시키면, 인덕터 L1, 제2 다이오드 D3, 제3 다이오드 D6 및 트랜지스터 Q1에 높은 피크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 Q1등의 소자에 스트레스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내전압등을 저하하여 소자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또한, 통상시에는 콘덴서 C25 및 콘덴서 C26으로 통상과 같이 동작하기 때문에 효율도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제42, 제43 및 제44 실시 형태에 제어 회로(22)를 접속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제46 실시 형태를 도 5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0은 제46 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이 제46 실시 형태는 제4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위칭 소자로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4를 접속하고, 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4에 제어 회로(25)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이 제어 회로(25)에는 보조 충전 회로(26)가 접속되고, 이 보조 충전 회로(26)는 충전용 콘덴서 C3 및 인덕터 L1의 접속점에 저항 R5 및 스위치용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5의 직렬 회로를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이 제46 실시 형태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제46 실시 형태는, 기본적으로는 제4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이 제46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회로(25)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4를 온하기 전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5를 온시키고, 충전용 콘덴서 C3이 충분히 충전된 후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5를 오프시켜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4를 온시키며 인버터 회로(3)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충전용 콘덴서 C3이 충분히 충전된 후에, 인버터 회로(3)의 동작을 개시시키면, 인덕터 Ll, 제2 다이오드 D3, 제3 다이오드 D6 및 트랜지스터 Ql에 높은 피크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 Ql 등의 소자에 스트레스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내전압등을 낮게 하고, 소자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또한, 제어 회로(25)에서는 어느것이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Q4, Q5를 제어하기 때문에 제어가 용이하고, 통상시에는 보조 충전 회로(26)는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효율도 저하하지 않는다.
또, 제42, 제43 및 제44 실시 형태에 제어 회로(22)를 접속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제47 내지 제50 실시 형태를 도 51 내지 도 5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1은 제47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52는 제48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53은 제49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54는 제50 실시 형태의 부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41 내지 제46 중 어느 한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47 실시 형태는, 공진용 인덕터 L3 및 안정기 L4를 대신해서, 누설 자속형의 트랜스 Trl을 이용하여, 공진 콘덴서 C4에 일차 권선 Trla을 접속하고, 이차 권선 Irlb에 형광 램프FL의 필라멘트 FLl, FL2의 일단을 접속하여도 좋다.
또, 제48 실시 형태는, 공진용 인덕터 L3을 대신해서, 친밀 결합의 트랜스 Tr2를 이용하여, 공진 콘덴서 C4에 일차 권선 Tr2a를 접속하고, 이차 권선 Tr2b에 안정기 L4를 개시하여 형광 램프 FL의 필라멘트 FLl, FL2의 일단을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제49 실시 형태는, 제47 실시 형태의 필라멘트 FLl, FL2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는 시동용 콘덴서 C6을 대신해서, 필라멘트 FLl, FL2의 일단에 시동용 콘덴서 C31을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제50 실시 형태는, 제48 실시 형태의 필라멘트 FLl, FL2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는 시동용 콘덴서 C6을 대신해서, 필라멘트 FLl, FL2의 일단에 시동용 콘덴서 C31을 접속하여도 좋다.
또, 어느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형광 램프 FL은 1등에 한하지 않고, 2등 이상의 복수를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고조파 성분을 감소하는 동시에, 파고율을 개선한 전원 전압 및 방전등 점등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31)

  1.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 수단과,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 단자에 병렬로 접속된 제1 콘덴서와,
    상기 제1 콘덴서의 일단에 순극성으로 직렬로 접속된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제1 콘덴서에 병렬로 접속된 제2 콘덴서와,
    인덕턴스 소자 및 충전용 콘덴서를 가지며, 이 충전용 콘덴서에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의 최대 순간 전압치보다 낮은 전압으로 충전하는 상기 제2 콘덴서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 부분 평활 회로와,
    제1 공진 콘덴서 및 공진 인덕터를 갖는 병렬 공진 회로, 이 병렬 공진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 이 스위칭 소자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 제2 공진 콘덴서를 가지며, 상기 부분 평활 회로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 레벨에 대응하여 다이오드를 단락하는 단락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덴서의 용량을 가변하는 용량 가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 콘덴서 및 제2 공진 콘덴서는 용량이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5. 교류 전원에 접속된 제1 콘덴서와,
    상기 제1 콘덴서에 접속된 정류 수단과,
    상기 정류 수단에 접속된 제2 콘덴서와,
    인덕턴스 소자 및 충전용 콘덴서를 가지며, 이 충전용 콘덴서에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의 최대 순간 전압치보다 낮은 전압으로 충전하는 상기 제2 콘덴서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 부분 평활 회로와,
    제1 공진 콘덴서 및 공진 인덕터를 갖는 병렬 공진 회로, 이 병렬 공진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 이 스위칭 소자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 제2 공진 콘덴서를 가지며, 상기 부분 평활 회로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 레벨에 대응하여 다이오드를 단락하는 단락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덴서의 용량을 가변하는 용량 가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 콘덴서 및 제2 공진 콘덴서는 용량이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9.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 수단과,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 단자에 병렬로 접속된 제1 콘덴서와,
    상기 제1 콘덴서에 접속된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된 제2 콘덴서와,
    인덕턴스 소자 및 충전용 콘덴서를 가지며, 이 충전용 콘덴서에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의 최대 순간 전압치보다 낮은 전압으로 충전하는 상기 제2 콘덴서 및 다이오드를 통해 제1 콘덴서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 부분 평활 회로와,
    제1 공진 콘덴서 및 공진 인덕터를 갖는 병렬 공진 회로, 이 병렬 공진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 이 스위칭 소자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 제2 공진 콘덴서를 가지며, 상기 부분 평활 회로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 레벨에 대응하여 다이오드를 단락하는 단락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덴서의 용량을 가변하는 용량 가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 콘덴서 및 제2 공진 콘덴서는 용량이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13.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 수단과,
    공진 콘덴서 및 공진 인덕터를 갖는 병렬 공진 회로, 이 병렬 공진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를 가지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회로와,
    인덕터,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의 최대 순간 전압치보다 낮은 전압으로 충전하는 충전용 콘덴서 및 이 충전용 콘덴서의 방전 전류의 극성으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의 직렬 회로, 상기 인덕터 및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스위칭 소자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전류를 흘리는 극성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충전용 콘덴서 및 인덕터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시에 상기 인덕터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를 상기 충전용 콘덴서에 흘리는 극성의 제3 다이오드를 갖는 부분 평활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회로의 구동 주파수를 발진 개시시에 통상시에 비하여 높은 주파수로 설정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콘덴서를 인버터 회로의 발진 개시까지 충전시키는 보조 충전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16.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 수단과,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 단자에 병렬로 접속된 제1 콘덴서와,
    상기 제1 콘덴서의 일단에 순극성으로 직렬로 접속된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제1 콘덴서에 병렬로 접속된 제2 콘덴서와,
    공진 콘덴서 및 공진 인덕터를 갖는 병렬 공진 회로, 이 병렬 공진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를 가지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회로와,
    인덕터,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의 최대 순간 전압치보다 낮은 전압으로 충전하는 충전용 콘덴서 및 이 충전용 콘덴서의 방전 전류의 극성으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의 직렬 회로, 상기 인덕터 및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스위칭 소자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전류를 흘리는 극성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충전용 콘덴서 및 인덕터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시에 상기 인덕터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를 상기 충전용 콘덴서에 흘리는 극성의 제3 다이오드를 갖는 부분 평활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회로의 구동 주파수를 발진 개시시에 통상시에 비하여 높은 주파수로 설정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콘덴서를 인버터 회로의 발진 개시까지 충전시키는 보조 충전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19. 교류 전원에 접속된 제1 콘덴서와,
    상기 제1 콘덴서에 접속된 정류 수단과,
    상기 정류 수단에 접속된 제2 콘덴서와,
    공진 콘덴서 및 공진 인덕터를 갖는 병렬 공진 회로, 병렬 공진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를 가지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회로와,
    인덕터,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의 최대 순간 전압치보다 낮은 전압으로 충전하는 충전용 콘덴서 및 이 충전용 콘덴서의 방전 전류의 극성으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의 직렬 회로, 상기 인덕터 및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스위칭 소자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전류를 흘리는 극성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충전용 콘덴서 및 인덕터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시에 상기 인덕터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를 상기 충전용 콘덴서에 흘리는 극성의 제3 다이오드를 갖는 부분 평활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회로의 구동 주파수를 발진 개시시에 통상시에 비하여 높은 주파수로 설정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콘덴서를 인버터 회로의 발진 개시까지 충전시키는 보조 충전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22.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 수단과,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 단자에 병렬로 접속된 제1 콘덴서와,
    상기 제1 콘덴서에 접속된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된 제2 콘덴서와,
    공진 콘덴서 및 공진 인덕터를 갖는 병렬 공진 회로, 이 병렬 공진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를 가지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 전압을 발생하는 인버터 회로와,
    인덕터,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의 최대 순간 전압치보다 낮은 전압으로 충전하는 충전용 콘덴서 및 이 충전용 콘덴서의 방전 전류의 극성으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의 직렬 회로, 상기 인덕터 및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스위칭 소자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 전류를 흘리는 극성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충전용 콘덴서 및 인덕터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충전용 콘덴서의 충전시에 상기 인덕터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를 상기 충전용 콘덴서에 흘리는 극성의 제3 다이오드를 갖는 부분 평활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회로의 구동 주파수를 발진 개시시에 통상시에 비하여 높은 주파수로 설정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콘덴서를 인버터 회로의 발진 개시까지 충전시키는 보조 충전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2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전원 장치와,
    상기 전원 장치에 접속되는 방전 램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26. 제5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전원 장치와,
    상기 전원 장치에 접속되는 방전 램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27.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전원 장치와,
    상기 전원 장치에 접속되는 방전 램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28. 제13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전원 장치와,
    상기 전원 장치에 접속되는 방전 램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29. 제16항 내지 제18항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전원 장치와,
    상기 전원 장치에 접속되는 방전 램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30. 제19항 내지 제21항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전원 장치와,
    상기 전원 장치에 접속되는 방전 램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31. 제22항 내지 제24항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전원 장치와,
    상기 전원 장치에 접속되는 방전 램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KR1019970073227A 1996-12-25 1997-12-24 전원장치및방전등점등장치 KR100333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46233 1996-12-25
JP34623396A JP3539464B2 (ja) 1996-12-25 1996-12-25 電源装置および放電灯点灯装置
JP96-348290 1996-12-26
JP8348290A JPH10191649A (ja) 1996-12-26 1996-12-26 電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576A true KR19980064576A (ko) 1998-10-07
KR100333112B1 KR100333112B1 (ko) 2002-06-20

Family

ID=2657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227A KR100333112B1 (ko) 1996-12-25 1997-12-24 전원장치및방전등점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38149A (ko)
EP (1) EP0851719A3 (ko)
KR (1) KR100333112B1 (ko)
CN (1) CN1076539C (ko)
SG (1) SG64467A1 (ko)
TW (1) TW40855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026A (ko) * 2002-11-30 2003-01-03 김창선 방전등의 점등회로
KR20030088684A (ko) * 2002-05-14 2003-11-20 (주)디앤디코퍼레이션 고휘도 엘씨디 모니터의 백라이트용 평면 램프 및 광고용냉음극 평면 램프 구동을 위한 인버터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5941A (ja) * 1997-04-04 1998-10-23 Tec Corp 電源装置
JP2001095252A (ja) 1999-09-24 2001-04-06 Sony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US6359395B1 (en) * 2000-12-06 2002-03-19 Fazle S. Quazi Control circuit for power factor corrected electronic ballasts and power supplies
CN1298100C (zh) * 2002-01-31 2007-01-31 东芝照明技术株式会社 电源装置
US6876157B2 (en) * 2002-06-18 2005-04-05 Microsemi Corporation Lamp inverter with pre-regulator
US6969958B2 (en) * 2002-06-18 2005-11-29 Microsemi Corporation Square wave drive system
US6979959B2 (en) * 2002-12-13 2005-12-27 Microsemi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iking a fluorescent lamp
US7187139B2 (en) * 2003-09-09 2007-03-06 Microsemi Corporation Split phase inverters for CCFL backlight system
US7183727B2 (en) * 2003-09-23 2007-02-27 Microsemi Corporation Optical and temperature feedbacks to control display brightness
EP1671521B1 (en) 2003-10-06 2010-02-17 Microsemi Corporation A current sharing scheme and device for multiple ccf lamp operation
US7279851B2 (en) * 2003-10-21 2007-10-09 Microsem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ault protection in a balancing transformer
WO2005059964A2 (en) * 2003-12-16 2005-06-30 Microsemi Corporation Current-mode driver
JP2005198377A (ja) * 2004-01-05 2005-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モータ駆動用インバータ制御装置
US7468722B2 (en) * 2004-02-09 2008-12-23 Microsem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display brightness with ambient light correction
US7112929B2 (en) * 2004-04-01 2006-09-26 Microsemi Corporation Full-bridge and half-bridge compatible driver timing schedule for direct drive backlight system
WO2005101920A2 (en) * 2004-04-07 2005-10-27 Microsemi Corporation A primary side current balancing scheme for multiple ccf lamp operation
CN1943100B (zh) * 2004-04-21 2010-09-2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源装置
US7755595B2 (en) 2004-06-07 2010-07-13 Microsemi Corporation Dual-slope brightness control for transflective displays
US7173382B2 (en) * 2005-03-31 2007-02-06 Microsemi Corporation Nested balancing topology for balancing current among multiple lamps
CN101422081B (zh) * 2006-04-21 2013-07-24 三多尼克爱特克两合股份有限公司 用于高压放电灯的层叠式点火装置及其操作装置
US7569998B2 (en) * 2006-07-06 2009-08-04 Microsemi Corporation Striking and open lamp regulation for CCFL controller
CN101363998B (zh) * 2007-08-07 2012-07-18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及其调光方法
TW200939886A (en) 2008-02-05 2009-09-16 Microsemi Corp Balancing arrangement with reduced amount of balancing transformers
US8093839B2 (en) 2008-11-20 2012-01-10 Microsem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CCFL at low burst duty cycle rates
ES2668949T3 (es) * 2010-06-28 2018-05-23 Maxwell Technologies, Inc. Maximizar la vida útil de condensadores en módulos en serie
WO2012012195A2 (en) 2010-07-19 2012-01-26 Microsemi Corporation Led string driver arrangement with non-dissipative current balancer
KR101052338B1 (ko) 2010-12-22 2011-07-27 주식회사 샤인룩스 형광등 타입의 led 조명등용 전원회로
US8754581B2 (en) 2011-05-03 2014-06-17 Microsemi Corporation High efficiency LED driving method for odd number of LED strings
WO2012151170A1 (en) 2011-05-03 2012-11-08 Microsemi Corporation High efficiency led driving method
TW201501572A (zh) * 2013-06-17 2015-01-01 Skynet Electronic Co Ltd 燈絲短路型之節能燈
GB201312626D0 (en) * 2013-07-15 2013-08-28 Univ Plymouth Electrical conversion
FR3031253B1 (fr) * 2014-12-30 2018-02-02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Dispositif d'alimentation capacitive pour dispositif de commande d'appareil de coupure electriqu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8128A (ja) * 1983-01-13 1984-07-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積載方法
JPS6059978A (ja) * 1983-09-12 1985-04-06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EP0492715B1 (en) * 1990-12-25 1996-04-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Inverter device
US5301095A (en) * 1991-10-01 1994-04-05 Origin Electric Company, Limited High power factor AC/DC converter
US5331534A (en) * 1991-11-20 1994-07-19 Tokyo Electric Co., Ltd. Power supply apparatus
JPH05219744A (ja) * 1992-02-07 1993-08-27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高力率形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5402331A (en) * 1992-02-25 1995-03-28 Matsushita Electric Works Power device
CA2104737C (en) * 1992-08-26 1997-01-28 Minoru Maehara Inverter device
JPH06245530A (ja) * 1993-02-23 1994-09-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源装置
JPH06283283A (ja) * 1993-03-26 1994-10-07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放電灯点灯装置
JP3010970B2 (ja) * 1993-04-28 2000-02-2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JP3382012B2 (ja) * 1994-04-25 2003-03-04 松下電工株式会社 自励式インバータ装置
CA2156675C (en) * 1994-08-23 1999-03-09 Naohiro Sonobe Carbonaceous electr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CN1040272C (zh) * 1995-03-15 1998-10-14 松下电工株式会社 逆变装置
JPH0956161A (ja) * 1995-08-19 1997-02-25 Toko Inc 力率改善回路
JP3687237B2 (ja) * 1996-12-05 2005-08-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684A (ko) * 2002-05-14 2003-11-20 (주)디앤디코퍼레이션 고휘도 엘씨디 모니터의 백라이트용 평면 램프 및 광고용냉음극 평면 램프 구동을 위한 인버터 회로
KR20030000026A (ko) * 2002-11-30 2003-01-03 김창선 방전등의 점등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38149A (en) 2000-03-14
CN1076539C (zh) 2001-12-19
KR100333112B1 (ko) 2002-06-20
EP0851719A2 (en) 1998-07-01
CN1193839A (zh) 1998-09-23
TW408558B (en) 2000-10-11
SG64467A1 (en) 1999-04-27
EP0851719A3 (en) 199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3112B1 (ko) 전원장치및방전등점등장치
JP2003520407A (ja) 多ランプ動作用の電力帰還力率修正方式
US4959591A (en) Rectifier-inverter circuit with low harmonic feedback, particularly for operation of fluorescent lamps
JPH0456439B2 (ko)
EP0655174A4 (en) TRANSISTOR CIRCUIT FOR SUPPLYING A FLUORESCENT LAMP.
US6337800B1 (en) Electronic ballast with inductive power feedback
JP2001112253A (ja) Dc−dcコンバータ
KR19990083245A (ko) 방전램프점등장치및조명장치
KR100632531B1 (ko) 적어도 하나의 저압 방전 램프 동작용 회로 장치
JP2001211658A (ja) 相補形スイッチを有するハロゲン電力変換器
JP3733675B2 (ja) インバータ装置、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JP3427238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100716562B1 (ko)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JP3248198B2 (ja) 電源装置
JPH0556659A (ja) 電源装置
JP3400592B2 (ja) 電源装置
JP3539464B2 (ja) 電源装置および放電灯点灯装置
JP3125334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890006157Y1 (ko) 형광등 점등장치
JP2000217366A (ja) 電源装置
JP3394827B2 (ja) 電源装置
KR960001795B1 (ko) 방전등 안정기의 다등점등회로
CA2103627A1 (en) Variable frequency electronic ballast of high power factor and stabilized output voltage
JP3261706B2 (ja) インバータ装置
EP0824300A1 (en) Inverter for the power supply of discharge lamp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power f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