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542A - 압력 접속 단자 - Google Patents

압력 접속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542A
KR19980064542A KR1019970072884A KR19970072884A KR19980064542A KR 19980064542 A KR19980064542 A KR 19980064542A KR 1019970072884 A KR1019970072884 A KR 1019970072884A KR 19970072884 A KR19970072884 A KR 19970072884A KR 19980064542 A KR19980064542 A KR 19980064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ressure connecting
blade
bottom wall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7909B1 (ko
Inventor
유지 하타기시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유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유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유히코
Publication of KR19980064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6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contact members having a channel-shaped part, the opposite sidewalls of which comprise insulation-cutting mean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압력 접속단자(1)는 저벽(1d);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저벽(1d)으로부터 구부러진 한 쌍의 측벽(1e); 및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동안 압력 접속 슬롯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저벽(1d)과 측벽(1e) 중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형성된 압력 접속 블레이드(1f)를 갖는 압력 접속부를 포함한다. 압력 접속 단자(1)는 압력 접속 블레이드(1f)가 외장 와이어(2)의 절연층(2b)을 벗기고 외장 와이어(2)가 상기 압력 접속 슬롯(1h)에 압력 접속되면서 외장 와이어(2)의 도체(2a)에 접속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압력 접속 단자
본 발명은 압력 접속 블레이드(blade)로 외장 와이어(sheathed wire)의 절연층을 벗겨내어 외장 와이어를 압력 접속 슬롯에 압력 접속시킴으로서 외장 와이어의 도체에 접속되도록 한 압력 접속 단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4-15159에 개시된 종래의 압력 접속 단자(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압력 접속 단자(10)는 압력 접속 블레이드(10d)와 압력 접속 블레이드(10e)가 외장 와이어(11)의 절연층(11a)을 벗겨내어 외장 와이어(11)의 도체(11b)에 접속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외장 와이어(11)는 상부로부터 압력 접속되도록 한 쌍의 측벽(10c) 사이에 수평으로 놓여지며, 상기 측벽(10c)은 서로 대향하도록 압력 접속부(10a)의 저벽(10b)으로부터 구부러져 있다. 결국, U자형 압력 접속 슬롯(10f)을 형성하면서 측벽(10c)으로부터 안쪽으로 구부러진 압력 접속 블레이드(10d)와, 압력 접속 슬롯(10g)을 형성하면서 저벽(10b)으로부터 안쪽으로 구부러진 압력 접속 블레이드(10d)는 절연층(11a)을 벗겨내고 도체(11b)에 접속된다.
그러나, 종래의 압력 접속 단자(10)는 외장 와이어(11)를 유지하기 위한 압력 접속부(10a)의 힘이 감축된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력(F)이 외장 와이어(11)로부터 외장 와이어(11)를 맞무는 압력 접속 블레이드(10d, 10e) 까지의 축방향으로 가해지면, 예컨대 외장 와이어(11)가 압력을 받은 후 압력 접속부에 의해 고정되는 외장 와이어의 일단부와 함께 외장 와이어(11)가 축방향으로 당겨지면, 압력 접속 블레이드(10e, 10e)는 구부러지거나 벗어나게 되고, 이러한 압력 접속 블레이드(10d, 10e)의 변형은 상술한 유지력의 감소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압력 접속 단자(10)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구부러진 압력 접속 블레이드(10d, 10e)의 베이스부의 구부러진 내면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인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압력 접속 단자의 두께가 증가되면, 압력 접속 단자의 중량 또한 증가되고, 보강부재가 배치되면 별도의 보강부재가 소형 압력 접속 단자(10)에 부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는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장력이 외장 와이어로부터 압력 접속 블레이드로 축 방향으로 가해지더라도 압력 접속 블레이드의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적절하게 압력접속부와 함께 외장 와이어를 유지할 수 있는 압력 접속 단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압력 접속 단자가 외장 와이어에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접속 단자가 외장 와이어에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접속 단자가 외장 와이어에 접속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압력 접속 단자1a:접속부
1b:압력 접속부1c:코킹부
1d:저벽1e:측벽
1f:압력 접속 블레이드1g:비드
1h:압력 접속 슬롯1i:측벽
1j:코킹편1k:저벽
2:외장 와이어2a:도체
2b:절연층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압력 접속 단자는 저벽,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저벽으로부터 구부러진 한 쌍의 측벽,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동안 압력 접속 슬롯을 형성하도록 상기 저벽과 측벽 중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압력 접속 블레이드를 갖는 압력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접속 단자는 상기 압력 접속 블레이드가 외장 와이어의 절연층을 벗기고 외장 와이어가 상기 압력 접속 슬롯에 압력 접속될 때 외장 와이어의 도체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러하 압력 접속 단자에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압력 접속 블레이드로부터 측벽 또는 저벽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코너부 너머로 비드(bead)가 형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압력 접속 단자에 따르면, 압력 접속블레이드의 강도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압력 접속 블레이드로부터 측벽 또는 저벽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코너부 너머에 형성되는 비드에 의해 증가한다. 결국, 외장 와이어가 압력 접속 블레이드로 압력을 받으면서 인장력이 외장 와이어로부터 압력 접속 블레이드로 축방향으로 인가되더라도 압력접속 블레이드는 인장력의 방향으로 변형되기 어렵게 되므로 외장 와이어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압력 접속 블레이드는 상기 양 측벽쌍으로 부터 구부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비드는 양 압력 접속 블레이드로부터 상기 측벽쌍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코너부 너머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외장 와이어는 상술한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동작 외에도 압력 접속 블레이드에 의해 그 양쪽으로부터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구성에서는 양 측벽으로부터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압력 접속 블레이드가 상기 측벽을 따라 서로 떨어져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쌍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복수의 압력 접속 블레이드는 상술한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동작 외에도 축방향으로 외장 와이어 상에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를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참조번호 1은 접속부(1a), 압력 접속부(1b) 및 코킹부(1c)가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형상이 되도록 도전성의 판부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압력 접속 단자를 나타낸다. 접속부(1a)에는 도시되지 않은 결합 단자가 접속된다. 압력 접속부(1b)는 절연층(2b)으로 덮인 도체를 갖는 외장 와이어를 가압한다. 코킹부(1c)는 외장 와이어(2)를 코킹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압력 접속부(1b)는 저벽(1d), 서로 대향하도록 저벽(1d)으로부터 구부러진 한 쌍의 측벽(1e), 프렌치 도어(French doors)식으로 열리도록 이들 측벽으로부터 구부러진 압력 접속 블레이드(1f),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측벽(1e)으로부터 압력 접속 블레이드(1f)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코너부 너머로 형성되는 비드(bead)(1g)를 포함한다. 압력 접속 슬롯(1h)은 한쪽 측벽(1e)으로부터 연장되는 압력 접속 블레이드(1f)와 다른 쪽 측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압력 접속 블레이드(1f) 사이에 형성된다.
코킹부(1c)는 저벽(1k)과 한 쌍의 측벽(1i)을 구비하는데, 상기 측벽(1i)은 저벽(1d)과 번갈아 직립한 코킹편(1j)을 형성하는 압력 접속부(1b)의 한 쌍의 측벽(1e)으로부터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외장 와이어(2)의 단부는 코킹부(1c)의 측벽(1i)과 압력 접속부(1b)의 측벽(1e) 사이의 상부로부터 수평으로 압력 접속 슬롯에 압력 접속되므로 압력 접속 블레이드(1f)는 외장 와이어(2)의 절연층을 벗겨내어 도체(2a)를 맞무는 동안 도체에 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외장 와이어(2)로부터 상부로 돌출한 코킹부(1c)의 코킹편(1j)을 도시되지 않은 공구를 사용하여 서로에 대하여 안쪽으로 구부림으로써 외장 와이어(2)는 지지되어 코킹편(1j)에 의해 오그라지게 된다.
비록 인장력(F)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와이어(2)로부터 압력 접속 블레이드로 가해지더라도, 이러한 조건하에서 에를 들면 외장 와이어(2)가 압력 접속 단자로부터 당겨지는 경우에서처럼 비드(1g)로 주어지는 강도에 의해 압력 접속 블레이드(1f)가 인장력의 방향으로 변형되기는 어렵다.
더욱이, 강도가 비드에 의해 증가하는 압력 접속 블레이드(1f)는 한 쌍의 측벽(1e)을 따라 축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동안 보다 강력하게 외장 와이어(2)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압력 접속 블레이드(1f)가 각각의 측벽(1e)으로부터 구부러지는 동안 저벽(1d)으로부터 안쪽으로 도시되지 않은 압력 접속 블레이드를 구부림으로써 또는 측벽(1e)과 저벽(1d)으로부터 안쪽으로 도시되지 않은 압력 접속 블레이드를 구부림으로써 유사한 작용과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 접속 블레이드의 강도가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도출하도록 압력 접속 블레이드로부터 측벽 또는 저벽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코너부 너머로 형성되는 비드에 의해 증가된다. 결국, 외장 와이어가 압력 접속 블레이드로 압력을 받으면서 인장력이 외장 와이어로부터 외장 와이어를 맞무는 압력 접속 블레이드로 축방향으로 인가되더라도 압력 접속 블레이드는 인장력의 방향으로 변형되기 어렵게 되므로 압력 접속 단자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독립의 보강부재를 별도로 제공하지 않더라도 외장 와이어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장 와이어는 압력 접속 블레이드에 의해 그 양측으로부터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장 와이어는 압력 접속 블레이드에 의해 강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각종 수정 및 변경을 행할 수 있음이 명백하며, 그러므로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과 범위에 해당하는 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명백한 것이다.

Claims (3)

  1. 압력 접속 단자에 있어서,
    저벽;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저벽으로부터 구부러진 한 쌍의 측벽; 및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동안 압력 접속 슬롯을 형성하도록 상기 저벽과 측벽 중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압력 접속 블레이드를 갖는 압력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접속 단자는 압력 접속 블레이드가 외장 와이어의 절연층을 벗기고 외장 와이어가 상기 압력 접속 슬롯에 압력 접속될 때 외장 와이어의 도체에 접속되도록 하며;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압력 접속 블레이드로부터 측벽 또는 저벽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코너부 너머에 비드(bea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접속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접속블레이드는 상기 양 측벽쌍으로부터 구부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비드는 양 압력 접속 블레이드로부터 상기 측벽쌍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코너부 너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접속 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양 측벽으로부터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압력 접속 블레이드는 상기 측벽을 따라 서로 떨어져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쌍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접속 단자.
KR1019970072884A 1996-12-26 1997-12-24 압력 접속 단자 KR100267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48270 1996-12-26
JP34827096A JP3247060B2 (ja) 1996-12-26 1996-12-26 圧接端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542A true KR19980064542A (ko) 1998-10-07
KR100267909B1 KR100267909B1 (ko) 2000-10-16

Family

ID=18395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884A KR100267909B1 (ko) 1996-12-26 1997-12-24 압력 접속 단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64612A (ko)
EP (1) EP0851534A3 (ko)
JP (1) JP3247060B2 (ko)
KR (1) KR100267909B1 (ko)
CN (1) CN113323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9652A1 (de) 2001-04-20 2002-11-14 Wieland Electric Gmbh Schraubenlose Anschlussklemme
CN100477403C (zh) * 2003-06-18 2009-04-08 三菱电线工业株式会社 连接端子
US7347717B2 (en) * 2006-04-12 2008-03-25 Illinois Tool Works Insulation displacement system
JP5359975B2 (ja) 2010-04-07 2013-12-0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14093120A (ja) * 2012-10-31 2014-05-19 Tyco Electronics Japan Kk 圧接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JP6357334B2 (ja) * 2014-03-28 2018-07-11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と電線の接続構造
JP6547683B2 (ja) * 2016-05-26 2019-07-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7852A (en) * 1983-08-09 1985-07-09 Molex Incorporated Multigaug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contacts therefor
US4699441A (en) * 1984-09-14 1987-10-13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stranded wires
JPH0524131Y2 (ko) * 1986-11-07 1993-06-18
GB8703551D0 (en) * 1987-02-16 1987-03-25 Amp Great Britain Electrical terminal
JPH0415159A (ja) * 1990-05-08 1992-01-20 Toshiba Corp 電車の自動ドア開閉装置
JP2885258B2 (ja) * 1992-09-11 1999-04-19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端子金具
JP2729574B2 (ja) * 1993-12-24 1998-03-18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端子
WO1996033523A1 (en) * 1995-04-21 1996-10-24 The Whitaker Corporatio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with strain relie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47060B2 (ja) 2002-01-15
US5964612A (en) 1999-10-12
JPH10189073A (ja) 1998-07-21
EP0851534A2 (en) 1998-07-01
EP0851534A3 (en) 1999-06-16
KR100267909B1 (ko) 2000-10-16
CN1192064A (zh) 1998-09-02
CN1133238C (zh)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7840B2 (en) RF microwave connector for telecommunication
US7442097B2 (en) Method for forming a terminal metal and terminal metal formed by the method
JP4440160B2 (ja) コネクタ
JP3478010B2 (ja) 雄側端子金具
KR20010102914A (ko) 전기콘택트 및 전기콘택트를 전선에 압착하는 방법
KR100267909B1 (ko) 압력 접속 단자
KR100348655B1 (ko) 전선과단자의접속구조및방법
US10985489B2 (en) Connector
JP5146759B2 (ja) 端子金具、端子金具付き電線、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00231951A (ja) 電気コネクタ用端子
JPH09270282A (ja) 同軸コネクター
JP2005168176A (ja) 自動車用の電気接続箱
WO1998054790A1 (en) Crimp connection for large conductors
JP2000285982A (ja) 端子及び端子への電線加締め構造
US5830004A (en) Press-connecting terminal
JP3852920B2 (ja) ピアシング端子の接続構造
JP2896855B2 (ja) 同軸ケーブルとコンタクト複合部品との接続構造
US20230007908A1 (en) Electrical terminal with crimped connection to a flat flexible cable
JPH1118250A (ja) 電気接続箱
JP2000100499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端子金具
JP2007080601A (ja) 端子金具の製造方法及び該端子金具
JP2000058143A (ja) 圧接端子の電線接続方法および電線圧接装置
JP4190008B2 (ja) 低背コンタクトと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2000077130A (ja) 防水コネクタ
JP2576418B2 (ja) 同軸コンタク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