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617A -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 - Google Patents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617A
KR19980063617A KR1019970063109A KR19970063109A KR19980063617A KR 19980063617 A KR19980063617 A KR 19980063617A KR 1019970063109 A KR1019970063109 A KR 1019970063109A KR 19970063109 A KR19970063109 A KR 19970063109A KR 19980063617 A KR19980063617 A KR 19980063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thermal conductivity
container
low thermal
conductivity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4160B1 (ko
Inventor
야마다마사시
카마치히데후미
후지이타카후미
후루야마켄수케
타나카아츠히코
Original Assignee
츠치야히로오
니폰산소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치야히로오, 니폰산소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치야히로오
Publication of KR1998006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 A47J41/0072Double walled vessels comprising a single insulating layer between inner and outer walls
    • A47J41/0077Double walled vessels comprising a single insulating layer between inner and outer walls made of two vessels inserted in each o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된 단열 공간층이 구비된 이중벽 구조를 갖는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에 있어서,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를 진공으로, 외벽 외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할 때 내벽과 외벽이 복원가능한 탄성변형 범위내에서 접촉하도록 상기 단열 공간층의 두께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는 저렴하게 제조되고 컴팩트하고 경량이며, 원통 용기 이외의 다른 형상을 디자인하는데 적합하다.

Description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
본 발명은 보온병, 보온 도시락, 보온 식기 및 그 뚜껑, 그리고 단열 패널 등으로 사용되는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器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제안되고 있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한 형태로서, 합성수지제의 내용기와 외용기로 구성되는 이중벽 용기의 양벽간의 공간에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등의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 공간층을 형성한 구조의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미리 단열용기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체 봉입공으로부터 이중벽 용기의 양벽간의 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를 진공 펌프 등으로 배기하고, 그 후 기체 봉입공으로 저열전도율 기체를 충전하고, 봉입공을 봉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진공 배기시 양벽에는 대기압이 가해져 공간측을 누르게 된다. 따라서, 이들 벽재의 강도가 약하면 용기가 찌그러져 손상되어 버리는 일이 생기므로, 이중벽 용기의 기재는 대기압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두껍게 하거나, 곡면 형성으로 하거나, 늑재(ribs)로 보강하는 등의 보강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특히 각형, 평면 형상, 타원 형상 등으로 대표되는 비원통 또는 비구형상의 경우, 즉 제품을 구성하는 내용기와 외용기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강도가 부족한 제품을 제작할 때는 특히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들 관념적인 대책은 어느 것이나 단열용기의 컴팩트성(compactness)의 저하, 중량 증가, 및 재료비를 포함하는 제조 비용 증가 등, 상품가치를 손상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용기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패널 형상의 단열재에서도 마찬가지인 한, 금속 재료를 사용한 단열용기의 경우에도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 저렴하면서도 컴팩트성, 경량성, 원통 용기 이외 다른 형상의 디자인 특성이 우수한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의 일 실시 형태의 일부 단면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동일 단열 기재의 일부 단면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동일 단열 기재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4는 동일 단열 기재에서 진공배기시 양 용기의 거동을 설명한 단면도.
부호의 설명
1...외용기, 2...내용기, 3...단열 공간층,
4...접합부, 5...접합 보호부.
본 발명에서는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된 단열 공간층이 구비된 이중벽 구조를 갖는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에 있어서,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를 진공으로, 외벽 외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할 때 내벽과 외벽이 복원가능한 탄성변형 범위내에서 접촉하도록 상기 단열 공간층의 두께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는, 상기 내벽과 외벽의 적어도 한 쪽에, 상기 단열 공간층의 내압이 대기압과 거의 동등할 때 이격되는 접합 보호부를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는, 상기 접합 보호부가 내벽과 외벽의 적어도 한 쪽의 접합부 근방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는, 상기 내벽과 외벽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ABS,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케톤, 폴리에틸렌비닐알콜, 폴리비닐알콜 및 폴리설폰으로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한 수지재료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는, 상기 내벽이 바닥을 갖는 통상(筒狀)의 내용기이고, 상기 외벽이 당해 내용기보다도 넓은 바닥을 갖는 통상(筒狀)의 외용기이고, 상기 단열 기재는 이들 내외용기의 입구부를 접합 일체화 하여 되는 이중벽 용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는, 상기 외용기의 저부에 배기공이 천설되고, 당해 배기공의 주변에 봉지판이 접합되어 되는 봉지구조를 구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열 기재는 금속재료, 합성수지재료 등을 사용하여 공간부가 있는 이중벽 구조를 가지며, 이 공간부에 공기보다도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 공간층을 형성하여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는 내벽과 외벽 사이를 진공으로, 외벽 외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할 경우 내벽과 외벽이 복원가능한 탄성 범위 내에서 접촉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공기 배출시 단열 공간층 내외에서 대기압에 의해 1 kg/cm2의 압력차가 발생하므로, 내외벽이 단열 공간층을 향해 복원 불가능한 변형을 일으키기 전에 내외벽면을 접촉시켜 내외벽의 대기압 하중에 의한 변형을 내외벽재의 탄성 변형내에서 중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단열 공간층의 두께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진공 배기시 깨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계속해서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면 단열공간층과 외기와의 압력차가 없게 되므로, 접폭하고 있던 내외벽면은 최초의 진공 배기전의 위치로 복원되어 제품 자체가 손상되는 일이 없이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체의 봉입압력은 상온(20∼30 ℃)에서 대기압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제작된 단열 기재가 통상 사용되는 외적 온도 조건에 대해서는, 저온측으로는 겨울의 한냉지에서 -30℃, 고온측으로는 여름의 차내에서 80 ℃가 추정되며, 이 때 단열공간내의 압력 변화는 보일·샬의 법칙에 의해 0.8∼1.2 kg/cm2이므로 압력차는 ±0.2 kg/cm2정도가 되는데, 이는 진공배기시의 압력차 1 kg/cm2보다도 명백히 적으므로, 실제 사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단열 기재가 합성수지 재료로부터 구성되는 경우 이중벽 용기 등을 제작할 때 입구 등의 접합부에 접착 또는 용착을 이용하므로, 실제 사용시 그 접합부 강도가 본래의 재료 강도보다 저하하는 것은 피하기 어렵다는 전이 주목된다. 본 발명에서는 진공 배기에 의한 이중벽면의 탄성 변형의 경우 접합부분에 전단응력이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접합부와 탄성변형부 사이에 탄성변형시 접촉하도록 된 단차를 설치한 구성을 채용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내벽과 외벽의 적어도 한 쪽에, 상기 단열공간층의 내압이 대기압과 거의 동등할 때 이격되는 접합 보호부를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이 접합 보호부의 클리어런스를 가능한 작게 하면 접합부에서의 응력을 최소화하고 보강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단열용기에 적용시키는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접합 보호부를 형성시키면 단열용기의 입구 접합부 근방에 접합 보호부가 형성되므로, 이 접합부 근방의 내용기 입구부 직경을 확대시키거나 또는 외용기 입구부 직경을 축소시킬 때 용기 개구에 뚜껑을 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고, 뚜껑과의 끼워 맞춤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뚜껑의 밀착성이 양호하게 되고 단열용기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그 내용기 입구부의 직경을 확대하거나 외용기 개구부 직경을 축소시키는 것에 의해, 내외용기 각각의 입구부를 접착 또는 용착시킬 때 위치 결정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접합 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접합 보호부를 다른 면 측에 접착 또는 용착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공정상 곤란하게 되고 제조 단가 상승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본 발명의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의 한 형태로서, 박형(薄型) 단열 용기를 나타낸다. 이 단열 용기 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바닥을 갖는 통상(筒狀)으로 성형된 내용기 2와, 이보다도 치수가 큰 외용기 1을 각각의 입구부에서 접합 일체화하여 양 용기 1, 2 사이에 공간을 갖도록 한 이중벽 용기를 구비하고, 또한 양 용기 1, 2의 공간에 공기 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기체, 바람직하게는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으로 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 공간층 3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내용기 2의 외면에는 복사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금속박, 금속 도금층 등으로 되는 복사 방지재 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복사 방지재 6은 내용기 2 외면, 또는 내용기 2 외면과 외용기 1 내면의 양 쪽에 형성되어도 좋다.
외용기 1의 저부에는 배기공 7이 천설되며, 이 배기공 7의 주변에는 외용기 1과 동종의 합성수지 판재로 되는 봉지판 8이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배기공 7이 봉지되어 있다.
외용기 1, 내용기 2 및 봉지판 8의 재료는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ABS,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케톤, 폴리에틸렌비닐알콜, 폴리비닐알콜, 폴리설폰으로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한 수지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단열 용기 1의 특징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용기 2와 외용기 1 사이를 진공으로, 외용기 1 외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할 경우 내용기 2와 외용기 1이 복원가능한 탄성 변형 범위 내에서 접촉하도록 저열전도층 3의 두께를 설정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열 공간층 3의 두께를 2∼7 mm 정도로 한다. 단열 공간층 3의 두께가 7 mm 보다 크면, 내용기 2와 외용기 1이 복원가능한 탄성 변형 범위 내에서 접촉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든가 봉입된 저열전도율 기체에 의해 대류 열전달이 생기기 쉽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단열 공간층 3의 두께가 2 mm 보다 작으면, 외기 온도의 급격한 상승 등에 의해 단열 공간층 6 내압이 대기압 보다도 낮아지게 되는 경우 내용기 2와 외용기 1이 접촉하기 쉽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 단열 용기 1의 다른 특징은 단열 공간층의 내압이 대기압과 거의 동등할 때에는 이격되는 접합 보호부 5를, 내용기 2와 외용기 1의 적어도 한 쪽에 형성하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 보호부 5의 내용기 2 외면과 외용기 1 내면과의 클리어런스는 0.1∼1.0 mm, 바람직하게는 0.1∼0.5 mm, 수직 방향 높이는 5 mm 정도 되도록 형성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내용기 2 입구부 상단에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플랜지 부를 형성하고 그 직하에 외용기 1 내벽에 근접하는 직경 확장부를 형성하여 이 직경 확장부를 접합 보호부 5로 하였지만, 이러한 예시 대신 외용기 1의 상단부를 직경 축소하여 내용기 2 외벽에 근접하는 접합 보호부 5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내용기 2와 외용기 1 각각의 입구부가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기밀하게 접합되고 이중벽 용기의 저부에 설치된 배기공으로부터 내외용기 사이를 진공 배기시킬 경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용기 1, 2에 대기압 하중이 가해져 양 용기 1, 2가 탄성 변형되어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접합 보호부 5에 상기 클리어런스가 있기 때문에 접합 보호부 5가 다른 면(외용기 내벽면)에 접할까 말까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양 용기의 변형응력이 직접 접합부 4에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어 접합부 4가 보호된다.
양 용기 1, 2의 입구 접합부 4는, 예를 들어 에폭시계 접착제 등을 사용한 접착, 진동 용착 등의 가열 용착에 의하여 기밀하게 접합 된다.
이 단열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각 특징 부분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요망되는 합성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법 등의 성형법에 의하여 내용기 2와 외용기 1을 제작한다. 합성수지로 되는 봉지판 8도 별도로 준비해 둔다. 여기에서, 내용기 2의 상부 개구부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와 그 직하의 직경 확장 부분, 즉 접합 보호부 5를 형성하여 둔다. 외용기 1 저부에는 배기공 7을 천설하여 둔다.
다음에, 내용기 2의 외면에 알루미늄박 등의 복사 방지재 6을 설치한다. 복사 방지재로서 금속박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착제라든가 양면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내용기 2 외면에 점착시키면 좋다.
다음에, 외용기 1 내에 복사 방지재 6을 취부한 내용기 2를 삽입하고, 각각의 입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겹쳐서 외용기 1과 내용기 2 각각의 플랜지부를 접착제에 의해 접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하여, 양 용기 1, 2가 공간을 두고 일체로 접합된 이중벽 용기를 제작한다. 이 접합부 4의 형성에 있어서, 내용기 2의 개구부에 설치된 접합 보호부 5에 의해 내용기 2의 위치 만남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실시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이중벽 용기의 저부에 도시되지 않은 기체 치환 장치를 부착하여 양 용기 1, 2 사이를 진공 배기한 후, 이 공간에 크세논 등의 저열전도율 기체를 대기압 정도까지 충전한다. 기체 치환 장치로서는 진공 펌프에 접속된 진공 배기계와 크세논 등의 저열전도율 기체 봄베에 접속된 기체 공급계를 교체가능하게 준비하여, 상기 이중벽 용기의 배기구 7로부터 양 용기 1, 2 사이를 진공 배기하고 그 후 저열전도율 기체를 공급 할 수 있는 각종 장치를 사용하면 된다.
양 용기 1, 2 사이의 진공 배기시, 이중벽 용기의 내외 용기 1, 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기압 하중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접속한다. 내외 용기 1, 2의 변형은 탄성 변형의 범위로 한정되므로 깨지는 변형 등의 영구 변형이 생기는 일은 없어, 공간 내를 대기압으로 되돌리면 내외 용기 1, 2의 변위는 회복되고 원래대로 되돌아 간다. 또한, 접합 보호부 5의 내용기 2 외면과 외용기 1 내면 사이에는 0.1∼1.0 mm, 바람직하게는 0.1∼0.5 mm의 클리어런스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기 2 측의 접합부 4 직하에 설치된 접합 보호부 5에는 외용기 1 개구부의 내벽면이 당접할까 말까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접합부 4에 내외 용기 1, 2의 변형 응력이 미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접합부 4가 파손된다거나 기밀 불량이 발생되는 일이 감소된다.
다음, 기체 치환 장치에 의하여 내외 용기 1, 2의 진공 배기된 공간에 크세논 기체 등의 저열전도율 기체를 공급한다. 기체의 봉입 압력은 대기압 정도로 한다. 이 저열전도율 기체의 공급에 의해 대기압 하중을 받아 접촉 상태로 되어 있던 내외 용기 1, 2의 벽부는 이격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다음, 외용기 1 저부의 배기공 7의 주위에 봉지판 8을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하여 배기공 7을 봉지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하여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단열 용기 1이 제작된다.
상기 형태에서는 바닥을 갖는 통상(筒狀)의 내용기 2와 외용기 1을 공간을 둔 상태로 각각의 입구부에서 접합, 일체화시킨 단열 용기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중벽 구조를 갖는 단열 뚜껑, 단열 패널 등의 여러 가지 단열 기재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내용기 2와 외용기 1의 재료는 합성수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내외 용기의 한 쪽 또는 양 쪽을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 재료로 한다든가 금속 라미네이트판을 사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더욱이, 상기 형태에서는 외용기 1의 저부에 배기공 7을 천설하고 그 주변에 봉지판 8을 접합하여 봉지하였지만, 배기공 7에 접착제를 주입, 고화시켜 배기공 7을 봉지하여도 좋다. 또 금속제 단열 용기의 경우에는 종래 주지의 팁관 방식(tip pipe formats)이라든가, 금속 땜납을 사용한 봉지 기술을 적용하여도 좋다.
실시예
도 1에 나타낸 단열 용기를 제작하였다. 외용기 1과 내용기 2를 각각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합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였다. 이 경우, 대표적 두께는 2.5 mm, 단열 공간층의 두게는 5 mm로 설정하였다. 계속해서, 외용기 1과 내용기 2를 입구 접합부에서 에폭시 접착제로 접합하였다. 여기에서 특기할 것은, 입구 접합부 4와 단열 공간층 3(탄성 변형부) 사이에 그 탄성 변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 간의 클리어런스가 0.5∼0.5 mm, 길이가 5 mm로 되는 접합 보호부 5를 형성하기 위하여, 미리 내용기 2의 개구부에 소정의 단차 형상을 설치하여 두는 것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접착 접속의 경우 위치 결정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복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알루미늄박 6을 내용기 2의 외면에 양면 테이프로 부착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박형(薄型) 단열 용기의 단열 공간층 3 내에 저열전도율 기체인 크세논을 봉입하기 위하여, 외용기 1 저부에 설치된 봉지공 7에서 기체 치환 봉입 장치에 의해 진공 배기를 실시하였다. 이 때, 대기압 하중에 의해 외용기 1과 내용기 2는 단열 공간층 3 안으로 변형되어 평면부의 거의 중앙에서 접촉하게 되지만, 그 후 크세논 기체를 실온에서 대기압 까지 봉입한 시점에서는 최초의 단열 공간층 두께 5.0 mm로 회복되었으며, 특별히 손상은 일어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배기공 7을 봉지판 8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에 의해 봉지하여 단열 용기를 제작하였다.
상기 단열 용기의 제작에 이어서, 단열 공간층의 두께와 내용기 2의 개구부 근방 접합 보호부의 유무라고 하는 조건을 변경시킨 각종 시험품으로 제조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품 1: 단열 공간층의 두께를 3 mm로 하고 접합 보호부가 있는 경우
평면부; 파손 없음
입구부; 파손 없음
시험품 2: 단열 공간층의 두께를 3 mm로 하고 접합 보호부가 없는 경우
평면부; 파손 없음
입구부; 파손 없음
시험품 3: 단열 공간층의 두께를 7 mm로 하고 접합 보호부가 있는 경우
평면부; 파손 없음
입구부; 파손 없음
시험품 4: 단열 공간층의 두께를 7 mm로 하고 접합 보호부가 없는 경우
평면부; 파손 없음
입구부; 깨짐 발생
시험품 5: 단열 공간층의 두께를 10 mm로 하고 접합 보호부가 있는 경우
평면부; 변형, 백화(白化)
입구부; 파손 없음
시험품 6: 단열 공간층의 두께를 10 mm로 하고 접합 보호부가 없는 경우
평면부; 변형, 백화(白化)
입구부; 깨짐 발생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저열전도율 기체를 치환 봉입할 경우, 압력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특별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가 저렴하게 된다.
벽재의 탄성 변형이 허용되어 내외 벽재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경량화, 컴팩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평면상이라든가 각형 형상 등이 가능하게 되므로, 벽재의 컴팩트성이 향상되고 상품의 변화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접합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접합 보호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내외벽 사이의 공기를 진공 배기할 경우 벽부의 탄성 변형 응력이 접합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므로 진공배기시 입구부가 파손되는 불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접합 보호부를 내벽과 외벽 개구부의 적어도 한 쪽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단열용기에 적용한 경우 이 접합 보호부를 이용하여 뚜껑의 취부 위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기와 뚜껑의 끼워 맞춤을 길게 하여 이 부분의 열전달 손실을 적게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합 보호부는 내외벽의 입구 접합의 경우 위치 결정으로서 이용할 수 있어, 내외벽재의 접합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저열전도율 기체를 치환 봉입한 시점에서는 내외 벽재가 접촉되지 않아 단열성능을 열화시키는 일이 없다.

Claims (6)

  1.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된 단열 공간층이 구비된 이중벽 구조를 갖는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에 있어서,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를 진공으로, 외벽 외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할 때 내벽과 외벽이 복원가능한 탄성변형 범위내에서 접촉하도록 상기 단열 공간층의 두께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과 외벽의 적어도 한 쪽에, 상기 단열 공간층의 내압이 대기압과 거의 동등할 때 이격되는 접합 보호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보호부가 내벽과 외벽의 적어도 한 쪽의 접합부 근방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과 외벽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ABS,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케톤, 폴리에틸렌비닐알콜, 폴리비닐알콜 및 폴리설폰으로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한 수지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이 바닥을 갖는 통상(筒狀)의 내용기이고, 상기 외벽이 당해 내용기보다도 넓은 바닥을 갖는 통상(筒狀)의 외용기이고, 상기 단열 기재는 이들 내외용기의 입구부를 접합 일체화 하여 되는 이중벽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의 저부에 배기공이 천설되고, 당해 배기공의 주변에 봉지판이 접합되어 되는 봉지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열전도율 기체 봉입 단열 기재.
KR1019970063109A 1996-12-02 1997-11-26 저열전도율기체봉입단열기재 KR100294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21944A JP3012207B2 (ja) 1996-12-02 1996-12-02 低熱伝導率ガス封入断熱器材
JPP08-321944 1996-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617A true KR19980063617A (ko) 1998-10-07
KR100294160B1 KR100294160B1 (ko) 2001-10-24

Family

ID=1813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109A KR100294160B1 (ko) 1996-12-02 1997-11-26 저열전도율기체봉입단열기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850588A3 (ko)
JP (1) JP3012207B2 (ko)
KR (1) KR100294160B1 (ko)
CA (1) CA22231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7044A (ja) * 1998-03-19 1999-10-05 Nippon Sanso Kk 合成樹脂製断熱容器
TW430552B (en) * 1998-06-09 2001-04-21 Nippon Oxygen Co Ltd A transparent insulated container and its manufacture method
JP4678025B2 (ja) * 2007-12-17 2011-04-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反応装置及び電子機器
JP5078720B2 (ja) * 2008-04-15 2012-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真空三重金属容器
KR101072331B1 (ko) 2009-02-27 2011-10-11 한국전기연구원 단열 진공 챔버를 형성하는 고온 초전도 실험용 용기 및 그제조 방법
RU2444272C2 (ru) * 2010-02-05 2012-03-10 Веденичев Константин Валентинович Сосуд с двойными стенками и вакуумом между ними
CN108626953B (zh) * 2017-03-23 2021-07-27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
CN107477352B (zh) * 2017-09-13 2023-05-23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低漏热低温容器
CN110125503A (zh) * 2019-05-29 2019-08-16 杭州哈尔斯实业有限公司 一种不锈钢保温容器内胆铝箔的固定结构及其固定方法
CN113277207A (zh) * 2021-06-24 2021-08-20 中山市可密斯气密拉链有限公司 保温包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6222A (ja) * 1991-03-01 1992-10-01 Nippon Sanso Kk 合成樹脂製真空断熱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9121A (ja) * 1993-06-28 1995-01-13 Nippon Sanso Kk はんだ付け方法及び二重容器
TW319684B (ko) * 1994-12-20 1997-11-11 Nippon Oxygen Co Ltd
JP3009832B2 (ja) * 1995-04-07 2000-02-14 日本酸素株式会社 合成樹脂製断熱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3196A1 (en) 1998-06-02
EP0850588A2 (en) 1998-07-01
KR100294160B1 (ko) 2001-10-24
JP3012207B2 (ja) 2000-02-21
EP0850588A3 (en) 2002-02-20
JPH10155667A (ja) 199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319A (en) Thermally insulated synthetic resin container and thermally insulated synthetic resin lid
KR100241949B1 (ko) 합성수지제 단열 이중벽 용기
KR100234637B1 (ko) 단열 용기와 그 제조방법
KR100294160B1 (ko) 저열전도율기체봉입단열기재
US5664396A (en) Vacuum insulation panel
KR960020873A (ko) 단열용기와 그 제조방법
KR100290702B1 (ko) 합성수지제단열용기및합성수지제단열뚜껑
KR100288007B1 (ko)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
KR100750445B1 (ko)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를 이용한 냉장고 및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CN102606820A (zh) 真空绝热低温管道法兰连接接头
US20040069789A1 (en) Heat-insulating container
JP2008095423A (ja) 断熱パネル
WO2017154445A1 (ja) 真空断熱材を用いた断熱構造体、および、これを有する断熱容器
JP3455251B2 (ja) 真空断熱材
JP2008095465A (ja) 断熱パネル
JPH06337096A (ja) 液化ガスタンクの保冷パネル継手構造
JP3049220B2 (ja) 合成樹脂製二重壁構造断熱器物の製造方法
JPH06194030A (ja) 断熱箱体
CN115046072A (zh) 一种用于真空绝热板的阻隔膜、真空绝热板和保温产品
JP2008095464A (ja) 断熱パネル
KR19980024184A (ko)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
JPS62266296A (ja) 断熱体の製造方法
KR100664279B1 (ko) 냉장고 캐비넷용 진공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적용한 냉장고 캐비넷의 단열 구조
JPH0998892A (ja) 合成樹脂製断熱二重壁容器およびその外容器の成形方法
CN215992617U (zh) 一种半导体制冷冰淇淋机的发泡箱体及冰淇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