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702B1 - 합성수지제단열용기및합성수지제단열뚜껑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단열용기및합성수지제단열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702B1
KR100290702B1 KR1019980702292A KR19980702292A KR100290702B1 KR 100290702 B1 KR100290702 B1 KR 100290702B1 KR 1019980702292 A KR1019980702292 A KR 1019980702292A KR 19980702292 A KR19980702292 A KR 19980702292A KR 100290702 B1 KR100290702 B1 KR 100290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tainer
hole
heat insulating
adhes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3824A (ko
Inventor
타카후미 후지이
마사시 야마다
켄수케 후루야마
아츠히코 타나카
히데후미 카마치
Original Assignee
쓰치야 히로오
닛폰산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치야 히로오, 닛폰산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쓰치야 히로오
Publication of KR19990063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7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 A47J41/0072Double walled vessels comprising a single insulating layer between inner and outer walls
    • A47J41/0077Double walled vessels comprising a single insulating layer between inner and outer walls made of two vessels inserted in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합성수지제의 내용기 4와 외용기 3을 공간을 두고 일체로 하여 이중벽 구조의 용기로 하고, 상기 용기의 상기 공간부 5에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층 6으로 한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1에 있어서, 합성수지제의 내용기 4와 외용기 3의 한 쪽 용기의 중앙부에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 7을 형성하고, 이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 7의 근방에, 관통구멍 7이 형성된 면 또는 이의 대향면에 단열층 6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밀착방지 돌기 14를 형성한 구조로 하여, 공간부 5로 상기 기체를 봉입할 때, 공간부 5 내의 기체 치환을 위한 진공배기시 내용기 4와 외용기 3이 변형 밀착되지 않고 효율적인 진공배기가 가능하게 되어, 양호한 단열성능을 유지하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1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종래부터, 보온병이라든가 보온 도시락 등에 사용되는 단열용기에 있어서, 경량, 성형의 용이성, 제조비용이 낮다는 이점을 갖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제 단열용기로서, 다음 구성의 용기체와 이에 걸맞추어지는 뚜껑체로 되는 뚜껑 달린 용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 용기체는 내용기와 외용기를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내용기와 이보다도 치수가 큰 외용기를 공간을 두고 조합하고, 이들 내·외용기를 각각의 입구 끝에서 결합하여 이중벽 용기로 하고, 이러한 내·외용기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되는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되는 단열용기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뚜껑체는 상면벽과 하면벽을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하면벽과 이보다도 치수가 큰 상면벽을 공간을 두고 조합하고, 이들 상·하면벽을 각각의 입구 끝에서 결합하여 이중벽 뚜껑으로 하고, 그 상·하면벽의 간극에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되는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되는 단열뚜껑이다.
상기 합성수지제 단열용기는 내·외용기를 결합하여 이중벽 용기로 한 후, 이 내·외용기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부터 진공배기 공정과 이어지는 기체충전공정을 요구하므로, 이 때문에 배기구, 기체 충전구로 되는 관통구멍(이하 관통구멍이라 한다)이 내용기 또는 외용기의 어느 곳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합성수지제 단열뚜껑도 상·하면벽을 결합하여 이중벽 뚜껑으로 한 후, 이 상·하면벽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부터 진공배기 공정과 이어지는 기체충전 공정을 요구하므로, 이 때문에 배기구, 기체 충전구로 되는 관통구멍이 상면벽 또는 하면벽의 어느 곳에 설치된다.
상기 구성의 내·외용기 사이, 또는 상·하면벽 사이의 단열층 내를 진공배기할 경우, 내부 압력의 저하에 따라 대기압의 하중에 의해 내용기와 외용기, 상면벽과 하면벽이 변형하여 단열층의 폭이 서서히 좁아진다. 이 때문에 이들 단열층 측의 면, 즉 내용기의 외면과 외용기의 내면, 또는 하면벽의 상면과 상면벽의 하면이 접촉하여 기체 치환용의 관통구멍을 막아 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관통구멍이 막히면 이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우선, 배기 공정에 있어서 배기 저항이 크게 되어, 충분한 진공도가 얻어지기까지 장시간을 요하게 된다. 또한, 관통구멍 폐색의 정도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배기시간의 설정이 어렵다. 배기시간의 설정치가 짧은 경우에는 진공도가 낮게 되어, 진공배기 후에 도입되는 저열전도율 기체를 충분히 도입할 수 없다.
또한, 진공 배기할 수 있는 경우에도, 그 후의 기체충전 공정에서 막힌 구멍이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는 저항으로 되어, 설정시간 중에 저열전도율 기체의 도입이 종료되지 않고 감압상태인 채로 대기에 개방되기 때문에 저열전도율 기체가 충분히 도입될 수 없다.
더욱이, 식기와 같은 대칭구조의 용기를 사출성형하는 경우에는, 충전성이 양호하고 용접 발생이 적고 성형가공 후의 편심을 가능한 작게 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저면 중앙에 게이트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중벽 구조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 배기 공정에 있어서 대기압의 영향으로 내용기 저면 중앙에 있는 게이트(특히 핀 게이트)가 외용기 저부 중앙에 있는 기체 치환용 구멍에 끼어 들어가서 구멍을 막아 진공배기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용기의 형성에 있어서 핀 게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제한되어 왔고, 성형의 자동화, 사이클 시간의 안정화에 문제가 되었다.
이와 같은 진공배기에 의한 변형을 피하기 위하여, 지금까지는 용기 또는 뚜껑을 두껍게 성형할 필요가 있었다. 예를 들어 재질이 폴리카보네이트인 경우에는 3mm 전후의 두께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은 비용을 상승시키고, 두께가 두껍게 되는 만큼 단열 공간층을 좁게 하여, 내·외용기 또는 상·하용기 면벽을 크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단열층을 좁게 할 경우에는 보온보냉 효과를 감소시키고, 또 용기를 크게 하는 경우에는 유효 용적율을 저하시키고, 보관 장소를 증가시켜 보기보다 용적이 작다는 느낌을 조장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보온병, 쿨러 박스, 아이스 박스, 단열 컵, 보온 도시락 등에 사용되는 단열용기 및 단열뚜껑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된 단열층을 사이에 둔 이중벽 구조를 갖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또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에서, 이중벽 구조의 한 쪽 벽의 단열층 측에, 기체 치환시 탄성변형되는 다른 쪽 벽을 지지하기 위한 밀착 방지 돌기를 형성하여, 효율적인 기체 치환을 가능하게 하여 양호한 단열성능을 갖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와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내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내용기의 하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내용기의 외면 중앙부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밀착방지 돌기의 하면도, (b)는 내용기의 저면 중앙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내용기의 외면 중앙부에 설치된 밀착 방지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밀착 방지 돌기의 하면도, (b)는 내용기의 저면 중앙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내용기의 외면 중앙부에 설치된 밀착 방지 돌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상면벽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상면벽의 하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상면벽의 하면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밀착방지 돌기의 하면도, (b)는 상면벽의 상면 중앙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상면벽의 하면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밀착방지 돌기의 하면도, (b)는 상면벽의 상면 중앙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상면벽의 하면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밀착방지 돌기의 하면도, (b)는 상면벽의 하면 중앙의 부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와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저부 중앙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상면 중앙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내벽체의 외면 중앙부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밀착방지 돌기의 하면도, (b)는 내용기의 저면 중앙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내벽체의 외면 중앙부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밀착방지 돌기의 하면도, (b)는 내용기의 저면 중앙의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하벽체의 상면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밀착방지 돌기의 상면도, (b)는 하면벽의 상면 중앙의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하벽체의 상면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밀착방지 돌기의 상면도, (b)는 하면벽의 상면 중앙의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색성형된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와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색성형된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저부 중앙을 확대한 일부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색성형된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내용기의 외층 중앙부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밀착방지 돌기의 하면도, (b)는 내용기의 저면 중앙의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색성형된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내용기의 외층 중앙부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밀착방지 돌기의 하면도, (b)는 내용기의 저면 중앙의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색성형된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상면벽의 하층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밀착방지 돌기의 하면도, (b)는 상면벽의 상면 중앙의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색성형된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상면벽의 하층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밀착방지 돌기의 하면도, (b)는 상면벽의 상면 중앙의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공간부의 기체 치환을 위해 용기의 저부에 기체 치환용 도구를 취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공간부를 진공 배기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중벽 구조를 갖는 용기 또는 뚜껑의 공간부의 진공배기에 있어서, 진공부 양측의 벽(내·외용기 또는 상·하면벽 등)이 변형되어도 상기 관통구멍이 막히지 않고, 진공배기 및 기체 치환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구조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와 단열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는, 내용기와 외용기를 일체로 접합한 이중벽 용기의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층을 형성하여 되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에 있어서, 내용기와 외용기의 어느 한 쪽 용기의 저부 중앙부에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의 근방에,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면 및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상기 단열층 측을 향하여 돌출한 밀착방지 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는, 내용기와 외용기를 일체로 접합한 이중벽 용기의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내벽체와 외벽체를 일체로 접합한 이중벽 구조를 갖고 상기 내벽체와 외벽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층을 형성하여 되는 단열층체가 수납된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에 있어서, 내벽체와 외벽체의 어느 한 쪽 벽체의 저부 중앙부에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의 근방에,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면 및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상기 단열층 측을 향하여 돌출한 밀착방지 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는, 기능 특성이 다른 합성수지를 층상으로 하여 다색성형으로 성형시켜 되는 내·외용기를 일체로 접합한 이중벽 용기의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층을 형성하여 되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에 있어서, 내용기의 외층과 외용기의 내층의 어느 한 쪽 용기의 상기 층의 저부 중앙부에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의 근방에,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면 및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상기 단열층 측을 향하여 돌출한 밀착방지 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은, 상면벽과 하면벽을 일체로 접합한 이중벽 뚜껑의 상면벽과 하면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층을 형성하여 되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에 있어서, 상면벽과 하면벽 어느 한 쪽 벽의 중앙부에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의 근방에,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면 및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상기 단열층 측을 향하여 돌출한 밀착방지 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은, 상면벽과 하면벽을 일체로 접합한 이중벽 뚜껑의 상면벽과 하면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상벽체와 하벽체를 일체로 접합한 이중벽 구조를 갖고 상기 상벽체와 하벽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층을 형성하여 되는 뚜껑용 단열층체가 수납된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에 있어서, 상벽체와 하벽체의 어느 한 쪽 벽체의 중앙부에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의 근방에,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면 및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상기 단열층 측을 향하여 돌출한 밀착방지 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은, 기능 특성이 다른 합성수지를 층상으로 하여 다색성형으로 성형시켜 되는 상면벽과 하면벽을 일체로 접합한 이중벽 뚜껑의 상면벽과 하면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층을 형성하여 되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에 있어서, 상면벽과 하면벽의 어느 한 쪽 벽의 중앙부에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의 근방에,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면 및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상기 단열층 측을 향하여 돌출한 밀착방지 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각 밀착방지 돌기 선단의 적어도 일부가, 대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이하 단열용기라 한다) 및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이하 단열뚜껑이라 한다)은,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된 단열층을 사이에 둔 이중벽 구조를 갖는 단열용기 또는 단열뚜껑의 한 쪽 벽의 단열층 측에, 기체 치환시에 탄성변형되는 다른 쪽 벽을 지지하기 위한 밀착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 밀착방지 돌기에 의해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단열층을 사이에 둔 대향면 또는 상기 대향면에 형성된 핀 게이트에 의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열용기 1 및 이 단열용기 1의 개구부를 걸어맞춤 가능하게 덮는 단열뚜껑 2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단열용기 1은 내열수성(耐熱水性)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으로 사출성형하여 성형된 외용기 3과 내용기 4로 되고, 내·외용기 사이의 공간부 5를 단열층 6으로 하는 이중벽 구조의 주발 형상 또는 사발 형상의 단열용기이다. 외용기 3과 내용기 4는 핀 게이트 방식에 의해 사출성형된 것이다.
외용기 3 저부의 중앙에는 관통구멍 7이 형성되고, 관통구멍 7의 주위에는 외용기 3의 외면측에 관통구멍 7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오목부 8이 형성된다. 이 오목부 8은 밀봉판 9를 끼워맞추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외용기 3의 저부 중앙 근방의 두께가 다른 부위와 동등하게 되도록 이 오목부 8과 대응하여 외용기 3의 내면측(단열층측)에 볼록부 10이 관통구멍 7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용기 3 저부 중앙부의 두께를 다른 부분의 두께와 거의 균일하게 되도록 형성하면 외용기 3 저부 중앙부의 강도를 손상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쿨러 박스라든가 보온 도시락 등에 비하여 내·외용기의 두께를 얇게 하지 않으면 안되는 이중벽 용기로 되는 식기의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상기 오목부 8은 밀봉판 9를 끼워맞추어 접착하기 위한 것으로, 오목부 8의 깊이는 내·외용기와 동일한 수지로 형성되는 밀봉판 9의 두께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단열용기 1을 조합할 때 단열용기 1의 저부를 평활하게 할 수 있어 외관상 또는 취급이 양호하게 되고 세정도 용이하다.
상기 관통구멍 7은 외용기 3 저부에 설치되어, 단열용기 1의 제조공정에서 내·외용기를 접합하여 이중벽 용기로 한 후 저열전도율 기체로 치환 봉입하기 위한 배출 및 도입구로 되며 봉입후에는 접착제로 밀봉되는 것이다. 이 관통구멍 7의 직경은 밀봉 공정에서 접착제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0.1 ∼ 3 mm일 것이 요망된다.
도 1에 나타낸 예는 중심에 관통구멍 7이 형성된 오목부 8을 외용기 3에 설치한 예를 나타낸 것이지만, 이에 대신하여 내용기 4에 설치되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제조공정 작업성의 편의상 및 미관상 외용기 3의 저부 중앙에 형성할 것이 요망된다.
상기 외용기 3과 내용기 4는 각각의 단부 11, 12에서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 등의 방법에 의해 이중벽 용기로 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내·외용기 접합부의 밀폐도가 높고 그 접합강도도 높다.
외용기 3과 내용기 4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층 6에는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중 적어도 하나의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되어 있다. 이들 기체의 열전도도는 크세논 (k = 0.52 x 10-2W·m-1·k-1; 0 ℃), 크립톤 (k = 0.87 x 10-2W·m-1·k-1; 0 ℃), 아르곤 (k = 1.63 x 10-2W·m-1·k-1; 0 ℃)으로, 공기 (k = 2.41 x 10-2W·m-1·k-1; 0 ℃) 보다도 작다. 이들 기체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 종 이상의 혼합 기체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저열전도율 기체를 사용함으로써 단열성능이 높은 단열용기로 할 수 있다.
상기 관통구멍 7은 외용기 3의 오목부 8로 밀봉판 9를 끼워 맞추어 접착하는 것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관통구멍 7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로 밀봉후, 밀봉판 9에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를 발라 이것을 외용기 3의 오목부 8에 끼워 맞추어 접착하여도 좋다. 어느 경우에도 관통구멍 7의 밀봉부가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오목부 8에 밀봉판 9가 끼워 맞추어져 접착되므로, 이중벽 용기 제조시 밀봉판 9의 위치결정도 용이하여 밀봉판 9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도 없다.
내용기 4와 외용기 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5에 면하는 면에는, 적어도 내용기 4의 표면에 금속제의 복사방지재 13이 설치되어 있어, 이에 의해 단열용기의복사전달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용기 3의 내면에도 복사방지재 13을 설치하면 복사전달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복사방지재 13으로서는 도금막, 알루미늄박, 동박, 은박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가 사용된다. 알루미늄박, 동박, 은박 등의 금속박은 접착제라든가 양면 테이프에 의해 취부되는 것이 가능하여, 값싸고 편리하게 취부될 수 있다. 또한, 도금막은 화학도금 상에 전기도금으로 붙여질 수 있다. 도금막의 경우는 복사전달의 저감화에 더하여 기체밀봉성을 높인다는 이점도 있다.
상기 내용기 4의 외면측 저부 중앙 근방에는 밀착방지 돌기 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밀착방지 돌기 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열용기 1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내용기 4와 외용기 3을 결합하여 이중벽 용기를 형성한 후에 관통구멍 7로부터 공간부 5의 공기를 진공배기할 경우, 외용기 3을 단열층 6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내용기 4의 외면과 외용기 3의 내면이 대기압 하중을 받아 탄성 변형하여도, 외용기 3에 설치된 관통구멍 7이 내용기 4의 핀 게이트 자취에 의해 막히는 일을 방지한다.
도 2 및 도 3에, 관통구멍 7에 대하여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 즉 내용기 4의 외면에 1 개의 원주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14를 세워 설치한 예를, 내용기 저면 중앙의 측면도, 하면도로서 나타낸다. 이들 도면은 어느 것이나 후술하는 복사방지재를 설치하기 전 상태의 내용기 4를 도시한 것이다.
이 밀착방지 돌기 14는 외용기 3과 내용기 4가 진공배기되는 경우 탄성변형될 때 관통구멍 7을 막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필요가 있으며, 관통구멍 7에 가능한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방지 돌기 14의 수는 복수이어도 좋은데, 밀착방지 돌기 14를 복수개 설치하면 특히 저면이 보다 넓은 평면 형상의 경우에 있어서도 관통구멍 7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밀착방지 돌기 14의 선단은 적어도 그의 일부가 밀착방지 돌기 14와 대향하는 외용기 3의 내면과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진공배기후 저열전도율 기체의 봉입에 의해 내·외용기 4, 3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때, 밀착방지 돌기 14의 선단과 외용기 3 내면과의 접촉에 의한 단열용기 1의 단열성능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밀착방지 돌기 14의 형상으로서, 내용기 4의 외면에 단열층 6 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체를 배치하고, 이 원주벽에 진공배기 및 기체 충전을 위한 기체통로가 되는 슬릿 또는 홈을 설치한 예를, 내용기 4 외면 중앙의 하면도와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예는 밀착방지 돌기 14의 형상을 단열층 6 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체로 하고 이 원통 형상체에, 원통 형상체의 끝단에 이르는 길이로 폭 1 ∼ 3 mm 정도의 슬릿 15, 15, 15를 설치한 것이다. 슬릿 15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나타낸 예는 밀착방지 돌기 14의 형상을 단열층 6 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체로 하고, 이 원통 형상체 선단에 복수의 홈 16 … 을 설치한 것이다. 홈 16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원통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14의 측면에 직경 1 ∼ 3 mm 정도의 구멍을 설치하여도 좋다. 구멍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원통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원통, 각통 형상도 좋으며, 마찬가지로 밀착방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도 6에 다른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14의 예를 도시한다. 이 밀착방지 돌기 14의 형상은, 단열층 측에 볼록 상태로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돌기 17을 배치한 것이다. 이 방사상 돌기 17의 돌출 높이는 단열 공간층 5(6)의 길이보다 짧고, 그 돌기 17의 개수는 특정의 수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방사상 돌기 17의 길이에 있어서도 공간부에 들어가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도 5와 같이 구성된 밀착방지 돌기 14를 설치하면, 진공배기의 경우 밀착방지 돌기 14에 형성된 슬릿 15라든가 홈 16, 구멍이 기체통로로서 기능하므로 진공배기가 효율적으로 수행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저열전도율 기체를 충전할 때에도 슬릿 15, 홈 16, 구멍이 기체통로로 되어 충전되므로 충전이 지연되는 일이 없다.
또한, 도 6과 같이 방사상으로 구성된 돌기 17로 되는 밀착방지 돌기 14를 설치하면, 진공배기의 경우 방사상으로 연장된 돌기 17 사이가 기체통로로 되어 진공배기가 극히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저열전도율 기체 충전의 경우에도, 방사상의 돌기 17 사이가 기체통로로 되어 극히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더욱이, 이 방사상 돌기 17을 밀착방지 돌기 14로서 사용하면, 외용기 3과 내용기 4 각각의 단부를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으로 접합하여 일체화한 이중벽 구조의 용기를 용착기로부터 꺼내는 경우, 외용기 3의 저부를 압출 도구로 눌러도 상기 방사상 돌기 17에 의해 지지되므로 외용기 3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균열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얻어진 단열용기 1에 뜨거운 음료 등을 넣는 경우에는, 외용기 3과 내용기 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 5에 봉입되어 있는 저열전도율 기체가 팽창하게 된다. 이에 의해, 평면으로 형성되어 압력부하에 대한 강도가 약한 저부에 하중이 부하된다. 그러나, 상기 도 6의 방사상 돌기 17을 밀착방지 돌기 14로서 저부에 배치한 것에 의해, 상기 팽창에 의한 압력부하에 대응하는 강도가 얻어지므로 내용기 4라든가 외용기 3 저부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 없이 얇은 두께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경량화라든가 가격의 저감화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은, 상기한 뜨거운 음료를 넣는 경우 뿐 아니라, 용기 사용 후에 열탕에 의한 세정이라든가 소독, 또는 건조기에 의한 건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효과를 발휘한다.
어떤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14의 경우에도, 밀착방지 돌기 14 선단면의 면적이 넓은 편이, 진공배기시의 압력을 이 면에서 넓게 균등히 지지할 수 있으므로 대향면의 손상, 파손 방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밀착방지 돌기의 선단 형상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밀착방지 돌기 14는 진공부 5를 사이에 두고 관통구멍 7에 대향하는 내용기 4 외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대신하여 관통구멍 7과 동일한 쪽의 외용기 3 내면(단열층 6 측)에 동일한 구성의 밀착방지 돌기 14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내·외용기 4, 3의 상기 면의 양쪽에 설치하여도 좋다.
밀착방지 돌기 14를 내용기 4와 외용기 3의 양쪽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밀착방지 돌기 14의 길이가 같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착방지 돌기 14를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 형상체로서 외용기 3과 내용기 4의 양방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쌍방의 밀착방지 돌기가 관통구멍 7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으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사상 돌기 17을 밀착방지 돌기 14로서 외용기 3과 내용기 4의 양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진공배기시 외용기 3의 방사상 돌기 17과 내용기 4의 방사상 돌기 17이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할 것이 요망된다.
다음에 도 1에 나타낸 단열뚜껑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단열뚜껑 2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의 혼합수지 등의 수지로 사출성형된 상면벽 21과 하면벽 22로 되고, 상·하면벽 사이의 공간부 23을 단열층 24로 하는 모자 형상의 것이다. 상면벽 21과 하면벽 22는 핀 게이트 방식에 의해 사출성형된 것이다.
하면벽 22의 중앙에는 관통구멍 25가 형성되고, 관통구멍 25의 주위에는 하면벽 22의 하면측에 관통구멍 25를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오목부 26이 형성된다. 이 오목부 26은 밀봉판 27을 끼워맞추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하면벽 22의 저부 중앙근방의 두께가 다른 부위와 동등하게 되도록 이 오목부 26과 대응하여 하면벽 22의 상면측(단열층 24측)에 볼록부 28이 관통구멍 25를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면벽 22 중앙부의 두께를 다른 부분의 두께와 거의 균일하게 되도록 형성하면 하면벽 22 중앙부의 강도를 손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경량화를 위해 두께를 얇게 하지 않으면 안되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상기 오목부 26은 밀봉판 27을 끼워맞추어 접착하기 위한 것으로, 오목부 26의 깊이는 상면벽 21, 하면벽 22와 동일한 수지로 형성되는 밀봉판 27의 두께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단열뚜껑 2를 조합할 때 단열뚜껑 2의 저부를 평활하게 할 수 있어 외관상 또는 취급이 양호하게 되고 세정도 용이하다.
상기 관통구멍 25는 단열뚜껑 2의 제조공정에서 상·하면벽을 접합하여 이중벽 구조의 뚜껑으로 한 후 저열전도율 기체로 치환 봉입하기 위한 배출 및 도입구로 되며, 봉입후 접착제로 밀봉되는 것이다. 이 관통구멍 25의 직경은 밀봉공정에서 접착제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0.1 ∼ 3 mm일 것이 요망된다.
도 1에 나타낸 예는 중심에 관통구멍 25가 형성된 오목부 26을 하면벽 22에 설치한 예를 나타낸 것이지만, 이에 대신하여 상면벽 21에 설치되어도 좋다. 그러나, 제조공정의 편의상 및 미관상 통상 하면벽 22의 저부 중앙에 형성된다.
그리고, 단열뚜껑 2는 상면벽 21과 하면벽 22 사이에 공간부 23을 두고 상·하면벽 21, 22의 단부 29, 30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 등의 방법에 의해 이중벽 뚜껑으로 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내·외용기 접합부의 밀폐도가 높고 그 접합강도도 높다.
상면벽 21과 하면벽 22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층 24에는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중 적어도 하나의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되어 있다. 이들 기체의 열전도도는 공기 보다도 작다. 이들 기체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 종 이상의 혼합 기체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저열전도율 기체를 사용함으로써, 단열성능이 높은 단열뚜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관통구멍 25는 하면벽 22의 오목부 26으로 밀봉판 27을 끼워 맞추어 접착하는 것에 의해 밀봉된다. 관통구멍 25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잡착제로 밀봉후, 밀봉판 27에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를 발라 이것을 하면벽 22의 오목부 26에 끼워 맞추어 접착하여도 좋다. 어느 경우에도 관통구멍 25의 밀봉부는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오목부 26에 밀봉판 27이 끼워 맞추어져 접착되므로, 단열뚜껑 2 제조시 밀봉판 27의 위치결정도 용이하여 밀봉판 27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도 없다.
상면벽 21과 하면벽 2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23에 면하는 면에는, 적어도 하면벽 22의 표면에 금속제의 복사방지재 31이 설치되어 있어, 이에 의해 단열뚜껑 2의 복사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벽 21의 내면에도 복사방지재 31을 설치하면 복사전달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복사방지재 31로서는 도금막, 알루미늄박, 동박, 은박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사용된다. 알루미늄박, 동박, 은박 등의 금속박은 접착제라든가 양면 테이프에 의해 취부되는 것이 가능하여, 값싸고 편리하게 취부될 수 있다. 또한, 도금막은 화학도금 상에 전기도금으로 붙여진다. 도금막의 경우는 복사전달의 저감화에 더하여, 기체밀봉성을 높인다는 이점도 있다.
상기 상면벽 21의 하면에는 밀착방지 돌기 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밀착방지 돌기 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열뚜껑 2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상면벽 21과 하면벽 22를 결합하여 이중벽 뚜껑을 형성한 후에 관통구멍 22로부터 공간부 23의 공기를 진공배기할 경우, 하면벽 22를 단열층 24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면벽 21의 하면과 하면벽 22의 상면이 대기압 하중을 받아 탄성 변형하여도, 상면벽 21의 손잡이부 하면이 하면벽 22의 오목부에 면접촉하는 일이 없고, 기체통로를 막는 일을 방지한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원주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32가 상면벽 21의 손잡이부 내벽 33의 1개소로부터 단열층 24 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은 어느 것이나 후술하는 복사방지재를 설치하기 전 상태의 상면벽 21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원주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32를 복수개 설치하여도 좋다.
밀착방지 돌기 32의 선단은, 적어도 그의 일부가 밀착방지 돌기 32와 대향하는 하면벽 22의 내면과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진공배기후 저열전도율 기체의 봉입에 의해 상·하면벽 21, 22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때, 밀착방지 돌기 32의 선단과 하면벽 22 상면의 접촉에 의한 단열뚜껑 2의 단열성능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밀착방지 돌기 32의 형상으로서, 상면벽 21의 중앙에 단열층 24 측이 개구한 원통 형상체를 배치하고 이 원주벽에 진공배기 및 기체 충전을 위한 기체통로가 되는 슬릿 또는 홈을 설치한 예를, 상면벽 21 중앙의 하면도와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예는 밀착방지 돌기 32의 형상을, 손잡이부 내벽 33이 내방(단열층 24 측)으로 연장 설치되고 단열층 24 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체로 하고, 이 원통 형상체에 원통 형상체의 끝단에 이르는 길이로, 폭 1 ∼ 3 mm 정도의 슬릿 34, 34, 34를 설치한 것이다. 슬릿 34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에 나타낸 예는 밀착방지 돌기 32의 형상을, 손잡이부 내벽 33이 내측(단열층 24 측)으로 연장 설치되고 단열층 24 측이 개구한 원통 형상체로 하고, 이 원통 형상체 선단에 복수의 홈 35 … 를 설치한 것이다. 홈 35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원통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32의 측면에 직경 1 ∼ 3 mm 정도의 구멍을 설치하여도 좋다. 구멍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원통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원통, 각통 형상도 좋으며, 마찬가지로 밀착방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도 11은 밀착방지 돌기 32의 형상으로서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단열층 24 측에 돌출한 볼록부를 방사상으로 연장된 돌기 37로서 배치한 것이다. 이 방사상 돌기 37의 개수는 도시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방사상 돌기 37의 길이에 있어서도 특정의 길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 도 10과 같이 구성된 밀착방지 돌기 32를 설치하면, 진공배기시 밀착방지 돌기 32에 형성된 슬릿 34라든가 홈 35, 또는 구멍이 기체통로로서 기능하므로 진공배기가 효율적으로 수행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저열전도율 기체를 충전할 때에도 슬릿 34, 홈 35, 또는 구멍이 기체통로로 되어 충전되므로 충전이 지연되는 일이 없다.
또한, 도 11과 같이 방사상으로 구성된 돌기 37로 되는 밀착방지 돌기 32를 설치하면, 진공배기시 방사상으로 연장된 돌기 37 사이가 기체통로로 되어 진공배기가 극히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저열전도율 기체 충전의 경우에도 방사상 돌기 37 사이가 기체통로로 되어 극히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더욱이, 이 방사상 돌기 37을 밀착방지 돌기 32로서 사용하면, 상면벽 21과 하면벽 22 각각의 단부를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으로 접합하여 일체화한 이중벽 구조의 뚜껑을 용착기로부터 꺼내는 경우, 상면벽 21의 저부를 압출 도구로 눌러도 상기 방사상 돌기 37에 의해 지지되어 상면벽 21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균열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얻어진 단열용기 1에 뜨거운 음료 등을 넣고 단열뚜껑 2을 덮는 경우, 상면벽 21과 하면벽 2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 23에 봉입되어 있는 저열전도율 기체가 팽창하게 된다. 이에 의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압력부하에 대한 강도가 약한 상면벽 21이라든가 하면벽 22의 거의 중앙부에 하중이 부하된다. 그러나, 상기 도 11의 방사상 돌기 37을 밀착방지 돌기 32로서 저부에 배치한 것에 의해, 상기 팽창에 의한 압력부하에 대응하는 강도가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면벽 21이라든가 하면벽 22의 거의 중앙부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 없이, 얇은 두께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경량화, 가격의 저감화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은, 상기한 뜨거운 음료를 넣는 경우 뿐 아니라, 용기 사용후 열탕에 의한 세정이라든가 소독, 또는 건조기에 의한 건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효과를 발휘한다.
어떤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32의 경우에도, 밀착방지 돌기 32 선단면의 면적이 넓은 편이, 진공배기시의 압력을 이 면에서 넓게 균등히 지지할 수 있으므로 대향면의 손상, 파손 방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밀착방지 돌기의 선단 형상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밀착방지 돌기 32는 진공부 23을 사이에 두고 관통구멍 25에 대향하는 상면벽 21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대신하여 관통구멍 25와 동일한 쪽의 하면벽 22의 상면(단열층 24 측)에 밀착방지 돌기 32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하면벽 21, 22의 상기 면 양쪽에 설치하여도 좋다.
밀착방지 돌기 32를 상면벽 21과 하면벽 22 양쪽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밀착방지 돌기 32의 길이가 같게 되도록 하는데, 특히 밀착방지 돌기 32를 도 9 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 형상체로서 상면벽 21과 하면벽 22의 양방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쌍방의 밀착방지 돌기 32가 관통구멍 25를 중심으로 동심원 상으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사상 돌기 37을 밀착방지 돌기 32로서 상면벽 21과 하면벽 22의 양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진공배기시 상면벽 21의 방사상 돌기 37과 하면벽 22의 방사상 돌기 37이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할 것이 요망된다.
도 12, 13, 14는 본 발명의 단열용기와 단열뚜껑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단열용기 41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로 사출성형된 내용기 42와 외용기 43으로 되는 이중벽 용기의 공간부 44 내에, 바람직하게는 기체 밀봉성이 우수한 수지로 사출성형된 내벽체 45, 외벽체 46으로 되고 이들 사이의 공간부 47을 단열층 48로 한 이중벽 구조의 합성수지제 단열층체 49를 유지하는 구조의 주발 형상 또는 사발 형상의 것이다. 내용기 42, 외용기 43, 내벽체 45, 및 외벽체 46은 핀 게이트 방식에 의해 사출성형된 것이다.
상기 기체 밀봉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료(이하, 기체 밀봉성이 높은 수지라 한다)는, 구체적으로는 필름재의 기체 투과율(ASTM D 1434-58)이 O2, N2, CO2에 관하여 1.0 g/m2/24hr/atm 이하의 합성수지재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에틸렌비닐알콜,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알콜 등의 각종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외벽체 46 저부의 중앙에는 관통구멍 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 50은 단열층체 49의 제조공정에서 내·외벽체 45, 46을 접합한 후 저열전도율 기체로 치환 봉입하기 위한 배출 및 도입구로 되고, 봉입후 접착제로 밀봉되는 것이다. 이 관통구멍 50의 직경은 밀봉공정에서 접착제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0.1 ∼ 3 mm일 것이 요망된다.
관통구멍 50은 밀봉판 51을 끼워 맞추어 접착하는 것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 50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잡착제로 밀봉후, 밀봉판 51에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를 발라 이것을 끼워 맞추어 접착하여도 좋다.
도 13에 나타낸 예는 관통구멍 50을 외벽체 46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대신하여 내벽체 45에 설치하여도 좋다. 그러나, 통상 외벽체 46의 저부 중앙에 형성한다.
단열층체 49는 내벽체 45를 외벽체 46에 수납하여 공간부 47을 두고, 상기 외벽체 46과 내벽체 45가 각각의 단부에서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 등의 방법으로 이중벽 구조로 되도록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내·외벽체의 접합부의 밀폐도가 높고 그 접합강도도 높다.
외벽체 46과 내벽체 45 사이에 형성된 단열층 48에는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중 적어도 하나의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되어 있다. 이들 기체의 열전도도는 공기 보다도 작다. 이들 기체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 종 이상의 혼합 기체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저열전도율 기체를 사용함으로써 단열성능이 높은 단열용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벽체 45와 외벽체 46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47에 면하는 면에는, 적어도 내벽체 45의 표면에 금속제의 복사방지재 52가 설치되어 있어, 이에 의해 단열용기 41의 복사전달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외벽체 46의 내면에도 복사방지재 52을 설치하면 복사전달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도시하지 않음).
상기 복사방지재 52로서는 도금막, 알루미늄박, 동박, 은박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가 사용된다. 알루미늄박, 동박, 은박 등의 금속박은 접착제라든가 양면 테이프에 의해 취부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값싸고 편리하게 취부될 수 있다. 또한, 도금막은 화학도금 상에 전기도금으로 붙여진다. 도금막의 경우는 복사전달의 저감화에 더하여, 기체밀봉성을 높인다는 이점도 있다.
상기 내벽체 45의 외면측 저부 중앙 근방에는 밀착방지 돌기 5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밀착방지 돌기 53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열층체 49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내벽체 45와 외벽체 46을 결합하여 이중벽 구조로 한 후에 관통구멍 50으로부터 공간부 47의 공기를 진공배기할 경우, 외벽체 46을 단열층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내벽체 45의 외면과 외벽체 46의 내면이 대기압 하중을 받아 탄성 변형하여도, 내벽체 45의 핀 게이트 자취가 외벽체 46의 관통구멍 50을 막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2 및 도 13에, 관통구멍 50에 대하여 공간부 47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내벽체 45 외면에 1 개의 원주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53을 세워 설치한 예를 나타낸다. 이 밀착방지 돌기 53은 외벽체 46과 내벽체 45가 탄성변형할 때에 관통구멍 50을 막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필요하며, 관통구멍 50에 가능한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 방지 돌기 53의 개수는 복수이어도 좋은데, 밀착방지 돌기 53을 복수개 설치하면 특히 저면이 보다 넓은 평면 형상의 경우에도 관통구멍 50의 폐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밀착방지 돌기 53의 선단은 적어도 그의 일부가 밀착방지 돌기 53과 대향하는 외벽체 46의 내면과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진공배기후 저열전도율 기체의 봉입에 의해 내·외벽체 45, 46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때, 밀착방지 돌기 53의 선단과 외벽체 46 내면의 접촉에 의한 단열층체 49의 단열성능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밀착방지 돌기 53의 형상으로서, 내벽체 45의 외면에 단열층 48 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체를 배치하고, 이 원주벽에 진공배기 및 기체충전을 위한 기체통로가 되는 슬릿 또는 홈을 설치한 예를, 내벽체 45 외면 중앙의 하면도와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낸 예는 밀착방지 돌기 53의 형상을 단열층 48 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체로 하고 이 원통 형상체에, 원통 형상체의 끝단에 이르는 길이로 폭 1 ∼ 3 mm 정도의 슬릿 54, 54, 54를 설치한 것이다. 슬릿 54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6에 나타낸 예는 밀착방지 돌기 53의 형상을 단열층 48 측이 개구한 원통 형상체로 하고, 이 원통 형상체 선단에 복수의 홈 55 … 를 설치한 것이다. 홈 55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원통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53의 측면에 직경 1 ∼ 3 mm 정도의 구멍을 설치하여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구멍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원통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원통, 각통 형상도 좋으며, 마찬가지로 밀착방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도 6에 예시한 방사상 돌기 17을 상기 밀착방지 돌기 53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방사상으로 연장된 돌기 17의 개수는 특정 수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이 방사상 돌기 17의 길이에 있어서도 특정 치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 도 16과 같이 구성된 밀착방지 돌기 53를 설치하면, 진공배기시 밀착방지 돌기 53에 형성된 슬릿 54, 홈 55, 또는 구멍이 기체통로로서 기능하여, 진공배기가 효율적으로 수행되므로 바람직하다. 저열전도율 기체를 충전할 때에도 슬릿 54, 홈 55, 또는 구멍이 기체통로로 되어 충전되므로 충전이 지연되는 일이 없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 방사상 돌기 17을 밀착방지 돌기 53으로 설치하면, 진공배기시 방사상으로 연장된 돌기 17 사이가 기체통로로 되어, 진공배기가 극히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저열전도율 기체 충전의 경우에도, 방사상 돌기 17 사이가 기체통로로 되어 극히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더욱이, 이 방사상 돌기 17을 밀착방지 돌기 53으로서 사용하면, 외벽체 46과 내벽체 45 각각의 단부를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으로 접합하여 일체화한 이중벽 구조의 단열층체 49를 용착기로부터 꺼낼 때, 외벽체 46의 저부를 압출 도구로 눌러도 상기 부분은 상기 방사상 돌기 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외벽체 46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균열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얻어진 단열용기 41에 뜨거운 음료 등을 넣는 경우에는 외벽체 46과 내벽체 45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 47에 봉입되어 있는 저열전도율 기체가 팽창하게 된다. 이에 의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압력부하에 대한 강도가 약한 외벽체 46이라든가 내벽체 45의 저부에 하중이 부하된다. 그러나, 상기 도 6의 방사상 돌기 17을 밀착방지 돌기 53으로서 저부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팽창에 의한 압력부하에 대응하는 강도가 얻어지므로, 내벽체 45라든가 외벽체 46의 저부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 없이 얇은 두께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경량화라든가 가격의 저감화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은, 상기한 뜨거운 음료를 넣는 경우 뿐 아니라, 용기 사용후 열탕에 의한 세정이라든가 소독, 또는 건조기에 의한 건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효과를 발휘한다.
어떤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53의 경우에도 밀착방지 돌기 53의 선단면이 넓은 편이, 진공배기시의 압력을 이 면에서 넓게 균등히 지지할 수 있으므로 대향면의 손상, 파손 방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밀착방지 돌기 53의 선단 형상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도 13,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밀착방지 돌기 53 및 도 6에 나타낸 방사상 돌기 17을 밀착방지 돌기 53으로서 설치한 경우, 이들은 공간부 47을 사이에 두고 관통구멍 50에 대향하는 내벽체 45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이에 대신하여, 관통구멍 50과 동일한 쪽의 외벽체 46 내면(단열층 48 측)에 동일한 구성의 밀착방지 돌기 53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내·외벽체 45, 46의 상기 양쪽의 면에 설치하여도 좋다.
밀착방지 돌기 53을 내벽체 45와 외벽체 46 양쪽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밀착방지 돌기 53의 길이가 같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착방지 돌기 53으로서, 도 15 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 형상체를 외벽체 46과 내벽체 45의 양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쌍방의 밀착방지 돌기 53이 관통구멍 50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으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사상 돌기 17을 밀착방지 돌기 53으로서 외벽체 46과 내벽체 45의 양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진공배기시에 외벽체 46의 방사상 돌기 17과 내벽체 45의 방사상 돌기 17이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할 것이 요망된다.
상기 구성의 단열층체 49는 외용기 43과 내용기42 사이의 공간부 44에 장전되고, 상기 내용기 42와 외용기 43은 각각의 단부에서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 등의 방법으로 이중벽 용기로 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내·외용기 42, 43 접합부의 밀폐도가 높고 그 접합강도도 크다.
상기 구성의 단열용기 41은 개구부를 단열뚜껑 61에 의해 걸어맞춤 가능하게 덮도록 되어 있다.
이 단열뚜껑 61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로 사출 성형된 상면벽 62와 하면벽 63으로 되는 이중벽 뚜껑의 공간부 내에, 기체밀봉성이 높은 수지로 사출성형된 상벽체 64, 하벽체 65로 되고 이들 사이의 공간부 66을 단열층 67로 한 이중벽 구조의 합성수지제 뚜껑용 단열층체 68을 유지하는 구조의 단열뚜껑 61이다. 상면벽 62, 하면벽 63, 상벽체 64 및 하벽체 65는 핀 게이트 방식에 의해 사출성형된 것이다.
하벽체 65 저부의 중앙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 6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 69는 뚜껑용 단열층체 68의 제조공정에서 상·하벽체 64, 65를 접합한 후 저열전도율 기체를 치환 봉입하기 위한 것이다. 이 관통구멍 69의 개방 구멍 직경은 밀봉공정에서 접착제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0.1 ∼ 3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구멍 69는 하벽체 65 하면으로부터 밀봉판 70을 끼워 맞추어 접착하는 것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 69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로 밀봉후, 밀봉판 70에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를 발라 이것을 끼워 맞추어 접착하여도 좋다. 어느 경우에도 이에 의해 관통구멍 69의 밀봉부가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낸 예는 관통구멍 69를 하벽체 65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대신하여 상벽체 64에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뚜껑용 단열층체 68은 공간부 66을 두고 상기 상벽체 64와 하벽체 65가 각각의 단부에서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 등의 방법으로 이중벽 구조로 되도록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벽체 64, 65의 접합부의 밀폐도가 높고 그 접합강도도 크다.
상벽체 64와 하벽체 65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층 67에는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중 적어도 하나의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되어 있다. 이들 기체의 열전도도는 공기 보다도 작다. 이들 기체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 종 이상의 혼합 기체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저열전도율 기체를 사용함으로써 단열성능이 높은 단열뚜껑 61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벽체 64와 하벽체 6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66에 면하는 면에는, 적어도 하벽체 65의 상면에 금속제의 복사방지재 71이 설치되어 있어, 이에 의해 단열뚜껑 61의 복사전달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벽체 64의 하면에도 복사방지재 71을 설치하면 복사전달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복사방지재 71로서는 도금막, 알루미늄박, 동박, 은박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사용된다. 알루미늄박, 동박, 은박 등의 금속박은 접착제라든가 양면 테이프에 의해 취부되는 것이 가능하여, 값싸고 편리하게 취부될 수 있다. 또한, 도금막은 화학도금 상에 전기도금으로 붙여진다. 도금막의 경우는 복사전달의 저감화에 더하여, 기체밀봉성을 높인다는 이점도 있다.
상기 하벽체 65 상면측의 저부 중앙 근방에는 밀착방지 돌기 7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밀착방지 돌기 7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용 단열층체 68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상벽체 64와 하벽체 65를 결합하여 이중벽 구조로 한 후에 관통구멍 69로부터 공간부 66의 공기를 진공배기할 경우, 상벽체 64를 단열층 67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벽체 64의 하면과 하벽체 65의 상면이 대기압 하중을 받아 탄성 변형하여도, 상벽체 64의 핀 게이트 자취가 하벽체 65의 관통구멍 69를 막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2 및 도 14에, 관통구멍 69와 같은 쪽, 즉 하벽체 65의 상면에 1 개의 원주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72을 세워 설치한 예를 나타낸다. 이 밀착방지 돌기 72는 관통구멍 69에 가능한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 방지 돌기 72의 개수는 복수라도 좋다.
밀착방지 돌기 72의 선단은 적어도 그의 일부가 밀착방지 돌기 72와 대향하는 상벽체 64의 하면과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진공배기후 저열전도율 기체의 봉입에 의해 상·하벽체 64, 65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때, 밀착방지 돌기 72의 선단과 상벽체 64 하면의 접촉에 의한 뚜껑용 단열층체 68의 단열성능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밀착방지 돌기 72의 형상으로서, 하벽체 65의 상면에 단열층 67 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체를 설치하고 이 원주벽에 진공배기 및 기체충전을 위한 기체통로가 되는 슬릿 또는 홈을 설치한 예를, 내벽체 65 상면의 상면도와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낸 예는 밀착방지 돌기 72의 형상을 단열층 67 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체로 하고 이 원통 형상체에, 원통 형상체의 끝단에 이르는 길이로 폭 1 ∼ 3 mm 정도의 슬릿 73, 73, 73을 설치한 것이다. 슬릿 73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8에 나타낸 예는 밀착방지 돌기 72의 형상을 단열층 67 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체로 하고, 이 원통 형상체 선단에 복수의 홈 74 … 를 설치한 것이다. 홈 74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원통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72의 측면에 직경 1 ∼ 3 mm 정도의 구멍을 설치하여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구멍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원통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원통, 각통 형상도 좋으며, 마찬가지로 밀착방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도 6에 예시한 방사상 돌기 17을 상기 밀착방지 돌기 72로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방사상으로 연장된 돌기 17의 개수는 특정 수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 방사상 돌기 17의 길이에 있어서도 특정 치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7, 도 18과 같이 구성된 밀착방지 돌기 72를 설치하면, 진공배기시 밀착방지 돌기 72에 형성된 슬릿 73이라든가 홈 74 …, 구멍이 기체통로로서 기능하므로 진공배기가 효율적으로 수행되어 바람직하다. 저열전도율 기체를 충전할 때에도 슬릿 73, 홈 74, 구멍이 기체통로로 되어 충전되므로 충전이 지연되는 일이 없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사상으로 구성된 돌기 37로 되는 밀착방지 돌기 72를 설치하면, 진공배기시 방사상으로 연장된 돌기 37 사이가 기체통로로 되어 진공배기가 극히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저열전도율 기체 충전의 경우에도, 방사상 돌기 37 사이가 기체통로로 되어 극히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더욱이, 이 방사상 돌기 37을 밀착방지 돌기 72로서 사용하면, 상벽체 64와 하벽체 65 각각의 단부를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으로 접합하여 일체화한 이중벽 구조의 단열층체 68을 용착기로부터 꺼낼 때, 상벽체 64의 저부를 압출 도구로 눌러도 상기 방사상 돌기 37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 상벽체 6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균열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얻어진 단열용기 41에 뜨거운 음료 등을 넣는 경우에는 상벽체 64와 하벽체 65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 66에 봉입되어 있는 저열전도율 기체가 팽창하게 된다. 이에 의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압력부하에 대한 강도가 약한 상벽체 64라든가 하벽체 65의 거의 중앙부에 하중이 부하된다. 그러나, 상기 도 11의 방사상 돌기 37을 밀착방지 돌기 72로서 저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팽창에 의한 압력부하에 대응하는 강도가 얻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상벽체 64라든가 하벽체 65의 거의 중앙부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 없이, 얇은 두께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경량화라든가 가격의 저감화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은, 상기한 뜨거운 음료를 넣는 경우 뿐 아니라, 용기 사용후 열탕에 의한 세정이라든가 소독, 또는 건조기에 의한 건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효과를 발휘한다.
어떤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72의 경우에도, 밀착방지 돌기 72의 선단면이 넓은 편이, 진공배기시의 압력을 이 면에서 넓게 균등히 지지할 수 있으므로 대향면의 손상, 파손 방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밀착방지 돌기의 선단 형상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도 14,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단열뚜껑 61의 밀착방지 돌기 72라든가 도 11에 나타낸 방사상 돌기 37을 단열뚜껑 61의 밀착방지 돌기 72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들은 어느 것이나 관통구멍 69와 동일한 쪽의 하벽체 65 상면에 형성되는데, 이에 대신하여 관통구멍 69의 반대측 상벽체 64의 하면(단열층 67 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하벽체 64, 65의 상기 양쪽의 면에 설치하여도 좋다.
밀착방지 돌기 72를 상벽체 64와 하벽체 65의 양쪽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밀착방지 돌기 72의 길이가 같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밀착방지 돌기 72로서 도 17 또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 형상체를 상벽체 64와 하벽체 65의 양쪽에 설치한 경우, 쌍방의 밀착방지 돌기 72가 관통구멍 69를 중심으로 동심원 상으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사상 돌기 37을 밀착방지 돌기 72로서 상벽체 64과 하벽체 65의 양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진공배기시 상벽체 64의 방사상 돌기 37과 하벽체 65의 방사상 돌기 37이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할 것이 요망된다.
상기 구성의 뚜껑용 단열층체 68은 상면벽 62와 하면벽 63 사이의 공간부에 장전되고, 상면벽 62와 하면벽 63은 각각의 단부에서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 등의 방법으로 이중벽 뚜껑으로 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상·하면벽 62, 63은 접합부의 밀폐도가 높고 그 접합강도도 크다.
도 19,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열용기와 단열뚜껑을 나타낸 것이다. 이 단열용기 81을 형성하고 있는 내용기 82와 외용기 83은 각각 기능 특성이 다른 합성수지를 복층으로 한 다색 합성수지로 성형하고 있다. 내용기 82는 내용기 내층 82a와 내용기 외층 82b의 2층의 2색 성형으로 되고, 또한 외용기 83은 외용기 내층 83a와 외용기 외층 83b의 2층의 2색 성형으로 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내용기 82와 외용기 83은 공간부 84를 두고 각각의 칼날(鍔)부 82c, 83c의 입구끝 접합부 85에서 일체로 접합하여 이중벽 용기로 된다. 내용기 82와 외용기 83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부 84에 금속박 등으로 되는 복사방지재 86을 배설하면서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등의 기체중 적어도 하나로 되는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층 87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복층화하는 합성수지로서, 예를 들어 공간부 84(단열층 87)에 면하는 내용기 외층 82b와 외용기 내층 83a에는 기체밀봉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료(이하 「기체밀봉성이 높은 수지」로 한다)를 사용한다. 또한, 한 쪽이 대기에 면하는 내용기 내층 82a와 외용기 외층 83b에는 내열성, 내습성(내투습도) 및 기계적 강도를 구비한 합성수지 재료(이하 「내습성 수지」라 한다)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체밀봉성이 높은 수지로서는 기체투과율(ASTM D 1434-58에 기초한)이 O2, N2, CO2의 기체에 대하여 1.0 g/m2/24hr/atm 이하인 합성수지 재료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에틸렌비닐알콜,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알콜 등의 수지로부터 선택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내습성 수지로서는, 열변형 온도(ASTM D 648에 기초한)가 100 ℃ 이상인 내열성과, 투습도(JIS Z 0208에 기초한)가 50 g/m2/24hr/atm 이하인 합성수지 재료로,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내열내습성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외용기 83 저부의 중앙에는 관통구멍 8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 88은 단열용기 81의 제조공정시 2색 성형된 내·외용기 82, 83을 접합한 후 저열전도율 기체로 치환 봉입하기 위한 배출 및 도입구로 되고, 봉입후 접착제로 밀봉되는 것이다. 이 관통구멍 88의 직경은 밀봉공정에서 접착제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0.1 ∼ 3 mm일 것이 요망된다.
밀봉판 89는 내·외용기 82, 83과 마찬가지로 기체밀봉성이 높은 수지와 내습성 수지를 2색 성형한 것으로 되고, 기체밀봉성이 높은 수지 면을 단열층 87 측에, 내습성수지 면을 대기 측을 향하여 관통구멍 88에 삽입하여 고착한 것이다. 이에 의해, 단열층 87 측 기체밀봉성이 높은 수지를 내습성수지에 의해 보호하여, 밀봉판 89의 기체밀봉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그래서, 이 부위로부터 저열전도율 기체의 누설이 방지되고, 단열성능이 열화될 우려가 없다. 상기 관통구멍 88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로 밀봉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를 도포한 밀봉판 89를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 접착시켜 밀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단열용기 81의 상기 내용기 외층 82b의 저부 중앙 근방에는 밀착방지 돌기 9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밀착방지 돌기 9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열용기 81의 제조공정에서 내용기 82와 외용기 83을 결합하여 이중벽 용기를 형성한 후에 관통구멍 88로부터 공간부 84의 공기를 진공배기할 때, 외용기 83을 단열층 87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내용기 82의 외면과 외용기 83의 내면이 대기압 하중을 받아 탄성변형하여도, 내용기 82의 핀 게이트 자취가 외용기 83의 관통구멍 88을 막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9 및 도 20에, 관통구멍 88에 대하여 공간부 84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내용기 외층 82b에, 1 개의 원주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90을 세워 설치한 예를 나타낸다. 이 밀착방지 돌기 90은 외용기 83과 내용기 82가 진공배기될 때 관통구멍 88을 막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필요가 있고, 또한 관통구멍 88에 가능한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방지 돌기 90의 개수는 복수이어도 좋은데, 밀착방지 돌기 90을 복수개 설치하면특히 저면이 보다 넓은 평면형상의 경우에도 관통구멍 88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밀착방지 돌기 90의 선단은 적어도 그의 일부가 밀착방지 돌기 90과 대향하는 외용기 내층 83a와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진공배기후 저열전도율 기체의 봉입에 의해 내·외용기 82, 83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때, 밀착방지 돌기 90의 선단과 외용기 내층 83a의 접촉에 의한 단열용기 81의 단열성능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밀착방지 돌기 90의 형상으로서, 내용기 외층 82b에 단열층 87 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체를 설치하고, 이 원통 형상체 원주벽에 진공배기 및 기체충전을 위한 기체통로가 되는 슬릿 또는 홈을 설치한 예를, 내용기 외층 82b 저부 중앙의 하면도와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21에 나타낸 예는 밀착방지 돌기 90의 형상을 단열층 87 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체로 하고 이 원통 형상체에, 원통 형상체의 끝단에 이르는 길이로 폭 1 ∼ 3 mm 정도의 슬릿 91, 91, 91을 설치한 것이다. 슬릿 91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2에 나타낸 예는 밀착방지 돌기 90의 형상을 단열층 87 측이 개구한 원통 형상체로 하고, 이 원통 형상체 선단에 복수의 홈 92 … 를 설치한 것이다. 홈 92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원통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90의 측면에 직경 1 ∼ 3 mm 정도의 구멍을 설치하여도 좋다. 구멍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원통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원통, 각통 형상도 좋으며, 마찬가지로 밀착방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도 6에 예시한 방사상 돌기 17을 상기 밀착방지 돌기 90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방사상으로 연장된 돌기 17의 개수는 특정 수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이 방사상 돌기 17의 길이에 있어서도 특정 치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1, 도 22와 같이 구성된 밀착방지 돌기 90을 설치하면, 진공배기시 밀착방지 돌기 90에 형성된 슬릿 91이라든가 홈 92 …, 구멍이 기체통로로서 기능하므로, 진공배기가 효율적으로 수행되어 바람직하다. 저열전도율 기체를 충전할 때에도 슬릿 91, 홈 92, 구멍이 기체통로로 되어 충전되므로 충전이 지연되는 일이 없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사상으로 구성된 돌기 17을 밀착방지 돌기 90으로서 설치하면, 진공배기시 방사상으로 연장된 돌기 17 사이가 기체통로로 되므로 진공배기가 극히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저열전도율 기체 충전의 경우에도 방사상 돌기 17 사이가 기체통로로 되므로 극히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더욱이, 이 방사상 돌기 17을 밀착방지 돌기 90으로서 사용하면, 외용기 83과 내용기 82 각각의 단부를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으로 접합하여 일체화한 이중벽 구조의 용기를 용착기로부터 꺼낼 때, 외용기 83의 저부를 압출 도구로 눌러도 상기 방사상 돌기 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 외용기 83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균열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얻어진 단열용기 81에 뜨거운 음료 등을 넣는 경우에는 외용기 83와 내용기 8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 84에 봉입되어 있는 저열전도율 기체가 팽창하게 된다. 이에 의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압력부하에 대한 강도가 약한 외용기 83이라든가 내용기 82의 거의 중앙부에 하중이 부하된다. 그러나, 상기 도 6의 방사상 돌기 17을 밀착방지 돌기 90으로서 저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팽창에 의한 압력부하에 대응하는 강도가 얻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외용기 83이라든가 내용기 82의 거의 중앙부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 없이, 얇은 두께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경량화라든가 가격의 저감화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은, 상기한 뜨거운 음료를 넣는 경우 뿐 아니라, 용기 사용후 열탕에 의한 세정이라든가 소독, 또는 건조기에 의한 건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효과를 발휘한다.
어떤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90의 경우에도 밀착방지 돌기 90의 선단면이 넓은 편이, 진공배기시의 압력을 이 면에서 넓게 균등히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대향면의 손상, 파손 방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밀착방지 돌기 90의 선단 형상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 도 20,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밀착방지 돌기 90 및 도 6에 나타낸 방사상 돌기 17을 밀착방지 돌기 90으로서 설치한 경우, 이들은 공간부 84를 사이에 두고 관통구멍 88에 대향하는 내용기 외층 82b에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신하여, 관통구멍 88과 동일한 측의 외용기 내층 83a(단열층 87측)에 마찬가지 구성의 밀착방지 돌기 9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내외용기 82, 83의 상기 각층의 면 양쪽의 층에 설치하여도 좋다.
밀착방지 돌기 90을 내용기 외층 82b와 외용기 내층 83a의 양쪽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밀착방지 돌기 90의 길이가 같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착방지 돌기 90으로서 도 21 또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 형상체를 내용기 외층 82b와 외용기 내층 83a의 양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쌍방의 밀착방지 돌기 90이 관통구멍 88를 중심으로 동심원 상으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사상 돌기 17을 밀착방지 돌기 90으로서 외용기 내층 83a와 내용기 외층 82b의 양쪽에 설치하는 경우(도시하지 않음), 진공배기시 외용기 내층 83a의 방사상 돌기 17과 내용기 외층 82b의 방사상 돌기 17이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할 것이 요망된다.
상기 구성의 뚜껑용 단열용기 81은 외용기 83과 내용기 82 사이의 공간부 84를 개재하여, 상기 외용기 83과 내용기 82를 각각의 단부에서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 등의 방법에 의해 이중벽 뚜껑으로 되도록 접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내·외용기 82, 83 접합부의 밀폐도가 높고 그 접합강도도 크다.
상기 구성의 단열용기 81은 개구부를 단열뚜껑 101에 의해 걸어맞춤 가능하게 덮도록 되어 있다.
이 단열뚜껑 101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열용기 81과 마찬가지로 기능 특성이 다른 합성수지를 복층으로 하여 다색 성형한 상면벽 102와 하면벽 103을, 공간부 104를 개재시켜 각각의 단부의 입구끝 접합부 105에서 용착결합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복층의 합성수지로 되는 상면벽 102와 하면벽 103 각각은, 상면벽 102에 있어서는 상면벽 상층 102a와 상면벽 하층 102b로 되고, 또한 하면벽 103에 있어서는 하면벽 상층 103a와 하면벽 하층 103b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층은 상기한 단열용기 81과 마찬가지로, 공간부 104에 면하는 층인 상면벽 하층 102b와 하면벽 상층 103a는 기체밀봉성이 높은 수지로 형성된다. 또한, 한 쪽이 대기에 면하는 측의 층인 상면벽 상층 102a와 하면벽 하층 103b는 내습성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기체밀봉성이 높은 수지 및 내습성 수지에 관해서는, 앞서 2색 성형된 단열용기 81의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으며, 이를 마찬가지로 2색 성형된 단열뚜껑 101에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열뚜껑 101의 공간부 104에는 금속박으로 되는 복사방지재 106이 배설되면서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등의 기체중 적어도 하나로 되는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층 107을 형성하고 있다.
하면벽 103의 저부 중앙에는 관통구멍 10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 108은 단열뚜껑 101의 제조공정에서 2색 성형된 상·하면벽 102, 103을 접합한 후 저열전도율 기체로 치환 봉입하기 위한 배출 및 도입구로 되는 것으로, 기체 봉입후 접착제와 밀봉판 109로 밀봉된다. 이 관통구멍 108의 직경은 밀봉공정에서 접착제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0.1 ∼ 3 mm일 것이 요망된다.
밀봉판 109는 상·하면벽 102, 103과 마찬가지로 기체밀봉성이 높은 수지와 내습성 수지를 2색 성형한 것으로 되어 있다. 기체밀봉성이 높은 수지의 면을 단열층 107 측에, 내습성 수지의 면을 대기 측을 향하여 관통구멍 108에 삽입하여 고착하는 것에 의해, 단열층 107 측의 기체밀봉성이 높은 수지를 내습성 수지에 의해 보호한다. 이 결과, 밀봉판 109의 기체밀봉성이 양호하게 유지되며, 이 부위로부터 저열전도율 기체의 누설이 방지되고, 단열성능이 열화될 염려가 없다. 상기 관통구멍 108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로 밀봉후, 밀봉판 109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 접착시켜 밀봉되어 있다.
단열뚜껑 101은, 상면벽 102와 하면벽 103을 공간부 104를 두고 상기 상면벽 102와 하면벽 103 각각의 단부의 입구끝 접합부 105에 있어서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 등의 방법으로 이중벽 구조의 뚜껑으로 되도록 접합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벽의 접합부의 밀폐도가 높고 그 접합강도도 크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단열뚜껑 101의 상기 하면벽 상층 103a의 저부 중앙 근방에는 밀착방지 돌기 1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밀착방지 돌기 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열뚜껑 101의 제조공정에서 상면벽 102와 하면벽 103을 결합하여 이중벽 구조로 형성한 후에 관통구멍 108로부터 공간부 104의 공기를 진공배기하는 경우, 상면벽 102를 단열층 107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면벽 102의 하면과 하면벽 103의 상면이 대기압 하중을 받아 탄성변형하여도, 상면벽 102의 핀게이트 자취가 하면벽 103의 관통구멍 108을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9 및 도 20에, 관통구멍 108과 동일한 쪽의 공간부 104 내, 즉 하면벽 상층 103a에 1 개의 원주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110을 세워 설치한 예를 나타낸다. 이 밀착방지 돌기 110은 상면벽 102와 하면벽 103이 공간부 104의 진공배기 등의 경우에 탄성변형될 때 관통구멍 108을 막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필요가 있고, 또한 관통구멍 108에 가능한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방지 돌기 110의 개수는 복수이어도 좋은데, 복수개의 밀착방지 돌기 110을 설치하면 특히 저면이 보다 넓은 평면형상의 경우에도 관통구멍 108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밀착방지 돌기 110의 선단은, 대기압 상태에서는 적어도 그의 일부가 밀착방지 돌기 110과 대향하는 상면벽 하층 102b와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진공배기후 저열전도율 기체의 봉입에 의해 상·하면벽 102, 103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때, 밀착방지 돌기 110의 선단과 상면벽 하층 102b의 접촉에 의한 단열뚜껑 101의 단열성능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에는, 밀착방지 돌기 110의 형상으로서, 상면벽 하층 102b에 단열층 107 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체를 배치하고, 이 원통 형상체 원주벽에 진공배기 및 기체 충전을 위한 기체통로가 되는 슬릿 또는 홈을 설치한 예를, 상면벽 하층 102b의 저부 중앙부의 하면도와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23에 나타낸 예는, 밀착방지 돌기 110의 형상을 단열층 107 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체로 하고 이 원통 형상체에, 원통 형상체의 끝단에 이르는 길이로, 폭 1 ∼ 3 mm 정도의 슬릿 111, 111, 111을 설치한 것이다. 슬릿 111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4에 나타낸 예는 밀착방지 돌기 110의 형상을 단열층 107 측이 개구한 원통 형상체로 하고, 이 원통 형상체 선단에 복수의 홈 112 … 를 설치한 것이다. 홈 112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원통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110의 측면에 직경 1 ∼ 3 mm 정도의 구멍을 설치하여도 좋다. 구멍의 개수라든가 위치는 특별한 상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원통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원통이라든가, 각통 형상도 좋으며, 마찬가지로 밀착방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도 11에 예시한 방사상 돌기 37을 상기 밀착방지 돌기 110으로 하여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방사상으로 연장된 돌기 37의 개수는 특정 수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이 방사상 돌기 17의 길이에 있어서도 특정 치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3, 도 24와 같이 구성된 밀착방지 돌기 110을 설치하면, 진공배기시 밀착방지 돌기 110에 형성된 슬릿 111이라든가 홈 112 …, 구멍이 기체통로로서 기능하여, 진공배기가 효율적으로 수행되므로 바람직하다. 저열전도율 기체를 충전할 때에도 슬릿 111, 홈 112, 구멍이 기체통로로 되어 충전되므로 충전이 지연되는 일이 없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사상으로 구성된 돌기 37을 밀착방지 돌기 110으로서 설치하면, 진공배기시 방사상으로 연장된 돌기 37 사이가 기체통로로 되어 진공배기가 극히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저열전도율 기체 충전의 경우에도, 방사상 돌기 37 사이가 기체통로로 되어 극히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더욱이, 이 방사상 돌기 37을 밀착방지 돌기 110으로서 사용하면, 상면벽 102와 하면벽 103 각각의 단부를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으로 접합하여 일체화한 이중벽 구조의 용기를 용착기로부터 꺼낼 때, 하면벽 103의 저부를 압출 도구로 눌러도 상기 방사상 돌기 37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하면벽 103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균열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얻어진 단열용기 81에 뜨거운 음료 등을 넣어 단열뚜껑 101을 덮는 경우에는, 단열뚜껑 101의 하면벽 103과 상면벽 10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 104에 봉입되어 있는 저열전도율 기체가 수용물의 열에 의해 가열 팽창된다. 이에 의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압력부하에 대한 강도가 약한 상면벽 102라든가 하면벽 103의 거의 중앙부에 하중이 부하된다. 그러나, 상기 도 11의 방사상 돌기 37을 밀착방지 돌기 110으로 하여 상면벽 및 하면벽 103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팽창에 의한 압력부하에 대응하는 강도가 얻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상면벽 102라든가 하면벽 103의 거의 중앙부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 없이, 얇은 두께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경량화라든가 가격의 저감화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은, 상기한 뜨거운 음료를 넣는 경우 뿐 아니라, 용기 사용후 열탕에 의한 세정이라든가 소독, 또는 건조기에 의한 건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효과를 발휘한다.
어떤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110의 경우에도 밀착방지 돌기 110의 선단면이 넓은 편이, 진공배기시의 압력을 이 면에서 넓게 균등히 지지할 수 있으므로 대향면의 손상, 파손 방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밀착방지 돌기 110의 선단 형상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밀착방지 돌기 110 및 도 11에 나타낸 방사상 돌기 37을 밀착방지 돌기 110으로서 설치한 경우, 이들은 공간부 104를 사이에 두고 관통구멍 108에 대향하는 상면벽 하층 102b에 형성한다거나, 이에 대신하여 관통구멍 108과 동일한 측의 하면벽 상층 103a(단열층 107측)에도 마찬가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하면벽 102, 103의 상기 각층의 양쪽 층에 설치하여도 좋다.
밀착방지 돌기 110을 상면벽 하층 102b와 하변벽 상층 103a의 양쪽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밀착방지 돌기 110의 길이가 같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착방지 돌기 110으로서 도 23 또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 형상체를 상면벽 하층 102b와 하면벽 상층 103a의 양쪽에 설치하는 경우, 쌍방의 밀착방지 돌기 110이 관통구멍 108를 중심으로 동심원 상으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사상 돌기 37을 밀착방지 돌기 110으로서 상면벽 하층 102b와 하면벽 상층 103a의 양쪽에 설치하는 경우, 진공배기시에 상면벽 하층 102b의 방사상 돌기 37과 하면벽 상층 103a의 방사상 돌기 37이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할 것이 요망된다.
상기 구성의 단열뚜껑 101은 하면벽 103과 상면벽 102 사이의 공간부 104를 개재하여, 상기 하면벽 103과 상면벽 102를 각각의 단부에서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 등의 방법에 의해 이중벽 뚜껑체로 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동용착 또는 스핀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상·하면벽 102, 103 접합부의 밀폐도가 높고 그 접합강도도 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예의 형태에서의 밀착방지 돌기 14, 밀착방지 돌기 32, 밀착방지 돌기 53, 밀착방지 돌기 72, 밀착 방지 돌기 90 및 밀착방지 돌기 110, 그리고 방사상 돌기 17, 37은 어느 것이나 관통구멍으로부터 공간부의 공기를 진공배기할 경우, 대기압에 의한 하중을 받아도 관통구멍이 폐색되지 않도록 이중벽 구조를 단열층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밀착방지 돌기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상기 도 1에 도시한 단열용기 1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5는 단열용기 1의 공간부 5 내를 저열전도율 기체로 치환하기 위하여 기체 치환용 도구를 취부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6은 공간부 5 내의 기체 치환에 앞서 공간부 5 내를 진공배기한 때의 내·외용기 4, 3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단열용기 1은 도 1에 나타낸 단열용기 1에 있어서, 외용기 3 내면의 복사방지재 13을 생략하였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간부 5를 저열전도율 기체로 치환하기 위하여 먼저 외용기 3의 관통구멍 7이 천공된 외면에 패킹 121을 개재하여 기체통로 122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기체 치환용 도구 123을 기밀 유지하도록 장착한다. 이어서 공간부 5의 공기를 기체 치환용 도구 123, 배관 124, 밸브 125 등을 개재하여 진공펌프 126에 의해 10 Torr 이하로 배기한다. 이 경우, 밸브 127은 닫아 둔다. 진공배기의 진행과 함께,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용기 4와 외용기 3은 진공배기에 의한 대기압 하중을 받아 변형되지만, 내용기 4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 14에 의해 외용기 3의 저부가 지지되어 외용기 3의 저부에 설치된 관통구멍 7이 내용기 4에 의해 막히는 일은 없다.
그후, 밸브 125를 닫고 밸브 127을 열어 불활성 기체 봄베 128로부터, 밸브 127, 배관 124, 기체 치환용 도구 123을 개재하여 공간부 5 내로 저열전도율 기체를 대기압 정도의 압력으로 충전한다. 이 때에도 관통구멍 7이 폐색되지 않으므로, 기체의 충전이 지장없이 행하여 진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단열용기 1 및 단열뚜껑 2를 제조하였다.
먼저, 단열용기 1의 제조에 있어서, 내용기 4와 외용기 3을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 수지인 상품명 유피론(三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사 제품)을 사용하여 두께 2 mm로 사출 성형하였다. 이 때, 내·외용기 3, 4를 조합한 경우 공간부 5의 간극의 폭은 5 mm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내용기 4의 저부 외면에 직경 2 mm, 높이 3 mm의 기둥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를 형성하였다. 외용기 3의 저부 중앙에는 직경 1 mm의 관통구멍 7을 형성하였다. 내용기 4의 외면과 외용기 3의 내면에는 복사방지재 13으로서 동도금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내·외용기 3, 4의 단부를 진동용착기(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접합 일체화하여 이중벽 구조의 용기로 하였다.
그 후, 도 25에 나타낸 방법과 마찬가지로 외용기 3의 관통구멍 7이 천공되어 있는 저부 외면에 패킹 121을 개재하여 기체 치환용 도구 123을 장착하고, 공간부 5의 공기를 기체 치환용 도구 123, 배관 124, 밸브 125 등을 개재하여 진공펌프 126에 의해 10 Torr 이하로 배기하였다. 이 경우,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용기 4와 외용기 3은 진공배기에 의한 대기압 하중을 받아 변형되지만, 내용기 4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 14에 의해 외용기 3의 저부가 지지되므로, 외용기 3의 저부에 설치된 관통구멍 7이 내용기 4에 의해 막히는 일은 없다.
그 후, 밸브 125를 닫고 밸브 127을 열어 불활성 기체 봄베 128로부터 공간부 5 내로 크립톤 기체를 대기압 정도의 압력으로 충전하였다.
그 후, 패킹 121, 기체 치환용 도구 123을 떼어내고,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밀봉판 9로 관통구멍 7을 밀봉하여 단열층 6을 갖는 단열용기 1로 하였다.
마찬가지로 하여 단열뚜껑 2를 제조하였다.
상면벽 21과 하면벽 22를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 수지인 상품명 유피론(三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사 제품)을 사용하여 두께 2 mm로 사출성형하였다. 또한, 상면벽 21의 하면에 직경 2 mm, 높이 3 mm의 기둥 형상의 밀착방지 돌기 32를 형성하였다. 하면벽 22의 저부 중앙에는 직경 1 mm의 관통구멍 25를 형성하였다. 상면벽 21의 하면과 하면벽 22의 상면에는 복사방지재 31로서 동도금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하면벽 21, 22의 단부를 진동용착기를 사용하여 접합 일체화하여 이중벽 구조의 뚜껑으로 하였다. 다음에, 상기 단열용기 1과 마찬가지로, 도 25에 나타낸 기체치환 방법에 의해 하면벽 22의 하면에 패킹 121을 개재하여 기체 치환용 도구 123을 장착하여, 공간부 23의 공기를 10 Torr 이하로 배기하였다. 이 경우, 상면벽 21과 하면벽 22는 진공배기에 의한 대기압 하중을 받아 변형되지만, 상면벽 21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 32에 의해 하면벽 22가 지지되어, 관통구멍 25가 상면벽 21에 의해 막히는 일은 없다.
그 후, 공간부 23 내로 크립톤 기체를 대기압 정도로 충전하고, 패킹 121, 기체 치환용 도구 123을 떼어내고,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밀봉판 27로 관통구멍 25를 밀봉하여 단열뚜껑 2로 하였다.
제작된 단열용기 1 내에 약 95 ℃의 물을 300 cc 넣고 단열뚜껑 2로 단열용기 1의 개구를 막아 시험한 결과, 1 시간 경과후의 물 온도는 72 ℃로 양호한 보온성능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도 12에 나타낸 단열용기 41 및 단열뚜껑 61을 제조하였다.
먼저, 단열용기 41은, 내벽체 45와 외벽체 46을 폴리에틸렌비닐알콜계의 합성수지인 상품명 에벨주식회사식회사 쿠라레 제품)을 사용하여 두께 1 mm로 사출 성형하였다. 이 때, 내·외벽체 45, 46를 조합한 경우 공간부 47의 폭은 5 mm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내벽체 45 저부의 외면 중심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 상으로 밀착방지 돌기 53을 두께 1 mm, 높이 3 mm가 되도록 형성하고, 폭 1 mm의 슬릿을 등간격으로 3 개 형성하였다. 외벽체 46의 저부 중앙에는 직경 1 mm의 관통구멍 50을 형성하였다. 내벽체 45의 외면에는 복사방지재 52로서 알루미늄박을 양면 테이프로 점착하였다. 다음에, 내·외벽체 45, 46의 단부를 진동용착기를 사용하여 접합 일체화하여 이중벽 구조의 단열층 용기를 얻었다. 그 후,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외벽체 46의 외면에 패킹 121을 개재하고 기체 치환용 도구 123을 장착하여, 공간부 47의 공기를 10 Torr 이하로 배기하였다. 이 경우, 외벽체 46과 내벽체 45는 진공배기에 의한 대기압 하중을 받아 변형되지만, 내벽체 45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에 의해 외벽체 46이 지지되어 관통구멍 50이 내벽체 45에 의해 막히는 일은 없다.
그 후, 불활성 기체 봄베 128로부터 공간부 47 내로 크립톤 기체를 대기압 정도의 압력으로 충전하고, 패킹 121, 기체 치환용 도구 123을 떼어내고,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밀봉판 51로 관통구멍 50을 밀봉하여 단열층체 49로 하였다.
다음에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두께 1.5 mm로 사출성형된 내·외용기 42, 43으로 형성된 공간부 44 내에 단열층체 49를 장전하고 내·외용기 42, 43의 단부를 진동용착기를 사용하여 접합하여, 단열용기 41로 하였다. 여기에서 내·외용기 42, 43으로 형성된 공간부 44의 폭은 7 mm로 하였다.
마찬가지로 하여 단열뚜껑 61을 제조하였다. 상벽체 64와 하벽체 65를 폴리에틸렌비닐알콜계의 합성수지인 상품명 에벨주식회사식회사 쿠라레 제품)을 사용하여 두께 1 mm로 사출 성형하였다. 이 때, 상·하벽체 64, 65를 조합할 경우 공간부 66의 간극의 폭은 5 mm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하벽체 65 저부의 외면 중심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 상으로 밀착방지 돌기 72를 두께 1 mm, 높이 3 mm가 되도록 형성하고, 폭 1 mm의 슬릿을 등간격으로 3 개 형성하였다. 하벽체 65의 저부 중앙에는 직경 1 mm의 관통구멍 69를 형성하였다. 하벽체 65의 외면에는 복사방지재 71로서 알루미늄박을 양면 테이프로 점착하였다. 다음에, 상·하벽체 64, 65의 단부를 진동용착기를 사용하여 접합 일체화하여 이중벽 구조의 뚜껑용 단열층 용기로 하였다. 다음에, 하벽체 65의 하면에 패킹 121을 개재하여 기체 치환용 도구 123을 장착하여, 공간부 66의 공기를 10 Torr 이하로 배기하였다. 이 경우, 상벽체 64와 하벽체 65는 진공배기에 의한 대기압 하중을 받아 변형되지만, 하벽체 65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 72에 의해 상벽체 64가 지지되어, 관통구멍 69가 상벽체 64에 의해 막히는 일은 없다.
그 후, 불활성기체 봄베 128로부터 공간부 23 내로 크립톤 기체를 대기압 정도로 충전하고 패킹 121, 기체 치환용 도구 123을 떼어내고,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밀봉판 70으로 관통구멍 69를 밀봉하여 뚜껑용 단열층체 68로 하였다.
다음에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두께 1.5 mm로 사출성형된 상·하면벽 62, 63으로 형성된 공간부 내에 뚜껑용 단열층체 68을 장전하고, 상·하면벽 62, 63의 단부를 진동용착기를 사용하여 접합하여 단열뚜껑 61로 하였다. 여기에서, 상·하면벽 62, 63으로 형성된 공간부의 폭은 7 mm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단열용기 41 내에 약 95 ℃의 물을 300 cc 넣고 단열뚜껑 61로 단열용기 41의 개구를 막아 시험한 결과, 1 시간 경과후의 물 온도는 72 ℃로 양호한 보온성능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다음에, 도 19에 나타낸 2색 성형된 단열용기 81 및 단열뚜껑 101을 제작하였다.
이 단열용기 81에서, 외용기 내층 83a와 내용기 외층 82b에는 기체밀봉성이 높은 수지인 폴리아미드를 사용하고, 외용기 외층 83b와 내용기 내층 82a에는 내습성 수지인 내열내습성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각각의 수지 두께를 1.5 mm의 층으로 2색 성형하여 외용기 83과 내용기 82를 형성하였다. 내·외용기 82, 83 사이에 폭 5 mm의 공간부 84를 개재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내용기 82의 저부 외층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0.8 mm, 높이 3 mm의 돌기 17을 8 개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밀착방지 돌기 90으로 하였다(도 6 참조).
밀봉판 89도 폴리아미드와 내열내습성 폴리카보네이트의 수지를 각각 1.0 mm 두께의 적층으로 하여 평판 형상으로 2색 성형하여 작성하였다.
외용기 83의 저부 중앙에 직경 1 mm의 관통구멍 88을 형성하고, 내용기 외층 82b의 면에 복사방지재 86으로서 알루미늄박을 양면 테이프로 점착하였다. 이와 같이 한 후 내용기 82와 외용기 83을 각각의 입구끝 접합부 85에서 진동용착기로 접합 일체화하여 이중벽 구조의 용기를 얻었다. 접합후 외용기 83 하부로부터 압출도구를 사용하여 일체화된 단열용기 81을 용착기로부터 압출하여 회수하지만, 외용기 83에는 하등의 손상, 균열이 생기지 않게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었다.
이어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도 25, 26에 나타낸 패킹 121을 개재하고 기체 치환용 도구 123을 외용기 83의 관통구멍 88이 설치되어 있는 저부 외면에 장착하여, 공간부 84의 공기를 기체 치환용 도구 123, 배관 124, 밸브 125 등을 개재하여 진공펌프 126으로 10 Torr 이하로 배기하였다. 이 경우,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용기 82(도 26의 부호 4에 해당)와 외용기 83(도 26의 부호 3에 해당)은 진공배기에 의한 대기압 하중을 받아 변형되지만, 내용기 82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 90에 의해 외용기 83의 저부가 지지되어 관통구멍 88이 내용기 82에 의해 막히는 일은 없다.
그 후, 도 25에 도시된 밸브 125를 닫고 밸브 127을 열어, 불활성 기체 봄베 128로부터 공간부 84 내로 크립톤 기체를 대기압 정도로 충전하였다. 그 후, 패킹 121, 기체 치환용 도구 123을 떼어내고,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밀봉판 89에서 관통구멍 88을 밀봉하여 단열용기 81로 하였다.
마찬가지로 하여 도 19에 나타낸 2색 성형된 단열뚜껑 101을 제작하였다.
이 단열뚜껑 101에서 하면벽 상층 103a와 상면벽 하층 102b에는 기체밀봉성이 높은 수지인 폴리아미드를 사용하고, 하면벽 하층 103b와 상면벽 상층 102a에는 내습성 수지인 내열내습성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각각의 수지 두께를 1.5 mm의 층으로 2색 성형하여 하면벽 103과 상면벽 102를 형성하였다. 상·하면벽 102, 103 사이에는 폭 5 mm의 공간부 104를 개재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하면벽 103 저부 상층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0.8 mm, 높이 3 mm의 돌기 37을 6 개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밀착방지 돌기 110으로 하였다(도 11 참조).
밀봉판 109도 폴리아미드와 내열내습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각각 1.0 mm 두께의 적층으로 하여 평판 형상으로 2색 성형하여 작성하였다.
하면벽 103의 저부 중앙에 직경 1 mm의 관통구멍 108을 형성하고, 하면벽 상층 103a의 면에 복사방지재 106으로서 알루미늄박을 양면 테이프로 점착하였다. 이와 같이 한 후 상면벽 102와 하면벽 103을 각각의 입구끝 접합부 105에서 진동용착기로 접합하여 일체화하였다. 접합후 하면벽 103 하부로부터 압출도구를 사용하여 일체화된 뚜껑 101을 용착기로부터 압출하여 회수하지만, 하면벽 103에는 하등의 손상, 균열이 생기지 않게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었다.
이어서, 상기 단열용기 81과 마찬가지로 도 25, 26에 나타낸 패킹 121을 개재하고 기체 치환용 도구 123을 하면벽 103의 관통구멍 108이 설치되어 있는 하면에 장착하여, 공간부 104의 공기를 기체 치환용 도구 123, 배관 124, 밸브 125 등을 개재하여 진공펌프 126으로 10 Torr 이하로 배기하였다. 이 경우,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벽 102와 하면벽 103은 진공배기에 의한 대기압 하중을 받아 변형되지만, 하면벽 103에 설치된 밀착방지 돌기 110에 의해 상면벽 102가 지지되어 관통구멍 108이 상면벽 102에 의해 막히는 일은 없다.
그 후, 도 25에 도시된 밸브 125를 닫고 밸브 127을 열어, 불활성 기체 봄베 128로부터 공간부 104 내로 크립톤 기체를 대기압 정도로 충전하였다. 그 후, 패킹 121, 기체 치환용 도구 123을 떼어내고,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밀봉판 109로 관통구멍 108을 밀봉하여 단열뚜껑 101로 하였다.
제작된 단열용기 81 내에 약 95 ℃의 물을 300 cc 넣고 단열뚜껑 101로 단열용기 81의 개구를 막아 시험한 결과, 1 시간 경과후의 물 온도는 76 ℃로 양호한 보온성능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은,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된 단열층을 사이에 둔 이중벽 구조를 갖는 단열용기 또는 단열뚜껑의 한 쪽 벽의 단열층 측에, 기체 치환시 탄성변형되는 다른 쪽 벽을 지지하기 위한 밀착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밀착방지 돌기로 인하여,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단열층을 사이에 둔 대향면 또는 상기 대향면에 형성된 핀 게이트에 의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용기의 내용기, 외용기, 또는 단열용기의 단열층체의 내벽체, 외벽체, 또는 단열뚜껑의 상면벽, 하면벽, 또는 단열뚜껑의 뚜껑용 단열층체의 상벽체, 하벽체의 성형을 핀 게이트를 사용한 사출성형법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성형의 자동화, 사이클 시간의 안정화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진공배기 또는 저열전도율 기체의 도입이 저항없이 행하여지므로, 배기시간과 도입시간을 단축화하면서 거의 균일화할 수 있어 자동화가 용이하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단열용기의 내용기, 외용기, 또는 단열용기의 단열층체의 내벽체, 외벽체, 및 다색성형된 단열용기에서의 내용기 외층과 외용기 내층, 그리고 단열뚜껑에 있어서는, 단열뚜껑의 상면벽, 하면벽, 또는 단열뚜껑의 뚜껑용 단열층체의 상벽체, 하벽체, 및 다색성형된 단열뚜껑의 상면벽 하층, 하면벽 상층 등은 종래 진공배기시 변형되지 않도록 높은 강도가 필요하였던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형성이라든가 기계적 강도를 만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도 충분하게 되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예를 들면, 종래와 동종의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또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에 비하여 동등의 보온 보냉력으로 컴팩트한 단열용기 또는 단열뚜껑을 제공할 수 있어 수납성, 용적 효율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저강성의 수지를 사용하여도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고, 목적에 따라 광범위한 종류의 단열용기 또는 단열뚜껑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열용기의 저면부를 보다 넓게 평면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밀착방지 돌기는, 복사방지재로서 금속박(箔)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금속박에 홈이 있는 밀착방지 돌기용 홈이 금속박 취부 위치의 위치 결정 목적을 달성하여 제조작업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착방지 돌기는 설계가 용이하고 필요한 수지량도 미량이므로 비용이 높아지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제 2 실시태양 또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제 2 실시태양에 있어서, 단열층체 또는 뚜껑용 단열층체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들 기체밀봉성이 높은 수지로 성형하여도 비용이 높아지지 않는다.
더욱이, 밀착방지 돌기 선단의 적어도 일부가 대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면, 밀착방지 돌기를 설계하여도 이 돌기에서의 전도에 의한 열손실이 없으므로, 제품의 단열성능이 유지되어 보온 보냉력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상벽체, 하벽체, 또는 단열뚜껑 상면벽의 하층체, 하면벽의 상층체는 종래부터 배기시 변형되지 않도록 높은 강도가 필요하였던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형성이라든가 기계적 강도를 만족하는 것 만으로 충분하게 되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질 수 있다. 특히, 밀착방지 돌기의 형상을 단열층 측에 볼록 상태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내용기와 외용기, 또는 내벽체와 외벽체, 또는 내용기의 외층과 외용기의 내층 등을 진동용착 등으로 접합하여 일체화한 용기 또는 뚜껑을 취출할 때, 압출 도구 등으로 압출하여도 이에 의해 용기 또는 뚜껑의 변형은 적게 되고 균열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얻어진 단열용기에 뜨거운 음료를 넣은 경우, 단열용기라든가 단열뚜껑의 단열층을 형성하는 공간부에 봉입한 저열전도율 기체가 가열되어 팽창하는데, 이 팽창에 의해 벽부에 부하가 가중되어도, 특히 평면부에 방사상의 밀착방지 돌기를 설계하는 것에 의해 팽창에 의한 하중에 대응하는 강도를 겸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내용기와 외용기를 일체로 접합한 이중벽 용기의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층을 형성하여 되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에 있어서,
    내용기와 외용기의 어느 한 쪽 용기의 저부 중앙부에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의 근방에,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면 및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상기 단열층 측을 향하여 돌출한 밀착방지 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방지 돌기 선단의 적어도 일부가, 대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3. 내용기와 외용기를 일체로 접합한 이중벽 용기의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내벽체와 외벽체를 일체로 접합한 이중벽 구조를 갖고 상기 내벽체와 외벽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층을 형성하여 되는 단열층체가 수납된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에 있어서,
    내벽체와 외벽체의 어느 한 쪽 벽체의 저부 중앙부에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의 근방에,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면 및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상기 단열층 측을 향하여 돌출한 밀착방지 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방지 돌기 선단의 적어도 일부가, 대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5. 기능 특성이 다른 합성수지를 층상으로 하여 다색성형으로 성형시켜 되는 내·외용기를 일체로 접합한 이중벽 용기의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층을 형성하여 되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에 있어서,
    내용기의 외층과 외용기의 내층의 어느 한 쪽 용기의 상기 층의 저부 중앙에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의 근방에,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면 및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상기 단열층 측을 향하여 돌출한 밀착방지 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방지 돌기 선단의 적어도 일부가, 대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7. 상면벽과 하면벽을 일체로 접합한 이중벽 뚜껑의 상면벽과 하면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층을 형성하여 되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에 있어서,
    상면벽과 하면벽 어느 한 쪽의 벽 중앙부에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의 근방에,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면 및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상기 단열층 측을 향하여 돌출한 밀착방지 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방지 돌기 선단의 적어도 일부가, 대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9. 상면벽과 하면벽을 일체로 접합한 이중벽 뚜껑의 상면벽과 하면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상벽체와 하벽체를 일체로 접합한 이중벽 구조를 갖고 상기 상벽체와 하벽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층을 형성하여 되는 뚜껑용 단열층체가 수납된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에 있어서,
    상벽체와 하벽체의 어느 한 쪽의 벽체 중앙부에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의 근방에,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면 및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상기 단열층 측을 향하여 돌출한 밀착방지 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방지 돌기 선단의 적어도 일부가, 대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11. 기능 특성이 다른 합성수지를 층상으로 하여 다색성형으로 성형시켜 되는 상면벽과 하면벽을 일체로 접합한 이중벽 뚜껑의 상면벽과 하면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층을 형성하여 되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에 있어서,
    상면벽과 하면벽의 어느 한 쪽 벽의 중앙부에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의 근방에, 상기 기체 치환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면 및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상기 단열층 측을 향하여 돌출한 밀착방지 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방지 돌기 선단의 적어도 일부가, 대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KR1019980702292A 1996-08-07 1997-07-29 합성수지제단열용기및합성수지제단열뚜껑 KR100290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868496 1996-08-07
JP08-208684 1996-08-07
PCT/JP1997/002615 WO1998005573A1 (fr) 1996-08-07 1997-07-29 Recipient thermoisolant en resine synthetique et couvercle thermoisolant en resine synthe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824A KR19990063824A (ko) 1999-07-26
KR100290702B1 true KR100290702B1 (ko) 2001-06-01

Family

ID=1656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292A KR100290702B1 (ko) 1996-08-07 1997-07-29 합성수지제단열용기및합성수지제단열뚜껑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13445A (ko)
EP (1) EP0872431B1 (ko)
KR (1) KR100290702B1 (ko)
CN (1) CN1078165C (ko)
CA (1) CA2234171C (ko)
DE (1) DE69730489T2 (ko)
TW (1) TW369410B (ko)
WO (1) WO19980055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421202S (en) * 1999-07-02 2000-02-29 Dart Industries Inc. Serving bowl with offset rim and lid
CN100420412C (zh) * 2000-04-12 2008-09-24 日本酸素株式会社 隔热容器
KR100485963B1 (ko) * 2002-03-15 2005-05-03 주식회사 현동 식품 보관 용기의 제조 방법
US7270244B1 (en) * 2004-01-22 2007-09-18 Pacific Cornetta, Inc. Polycarbonate double walled liquid holding vessel
GB2416480B (en) 2004-07-27 2007-12-27 Kraft Foods R & D Inc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AU2006339732A1 (en) * 2006-03-07 2007-09-13 Pi-Design Ag Double-walled vessel
US8413837B2 (en) * 2007-10-31 2013-04-09 Simple Wave Llc Enhanced serving apparatus
US8857209B2 (en) * 2011-03-03 2014-10-14 Junli Wang Apparatus for carrying/storing baked goods and the like
AT511420A1 (de) * 2011-04-21 2012-11-15 Ros Nico Verpackung mit umschliessender wärmebarriere
CN102249040B (zh) * 2011-06-29 2013-04-24 葛文杰 一种符合食品包装要求的不饱和聚酯树脂容器
JP2013163544A (ja) * 2012-02-13 2013-08-22 Shigeaki Higuchi 飲料水容器用の樽型保冷容器及び製造方法
US9003959B2 (en) * 2013-03-12 2015-04-14 Leonard I. Frenkil, Sr. Apparatus for facilitating preparation of eggs
CN105416796A (zh) * 2015-12-11 2016-03-23 天津璞誉环保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多功能涂料桶
USD793170S1 (en) * 2016-05-24 2017-08-01 Tervis Tumbler Company Bowl with lid
USD794393S1 (en) * 2016-05-26 2017-08-15 Tervis Tumbler Company Bowl with lid
US11447325B2 (en) * 2018-04-06 2022-09-20 Sara TAVAKOLI Container with thermally insulated compartments
US10370171B1 (en) * 2018-04-20 2019-08-06 Taylor Krenz Insulated liquid storage container
CN108946640A (zh) * 2018-06-08 2018-12-07 邱长富 一种双层酒桶
USD890991S1 (en) * 2018-08-30 2020-07-21 Best Buy Imports, Inc. Shaving bowl
KR102054282B1 (ko) * 2018-12-28 2019-12-10 주식회사 플랜에이크리에이티브그룹 포장용 박스
CN110403428A (zh) * 2019-08-22 2019-11-05 深圳市中旻科技有限公司 一种杯盖真空隔层结构及其制作方法
US20220289456A1 (en) * 2021-03-15 2022-09-15 Michael Chou Temperature Controlled Medicine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272A (en) * 1905-11-23 1907-02-12 H A Eastman Receptacle for retaining or excluding heat.
US999672A (en) * 1909-02-08 1911-08-01 Puffer Mfg Company Insulating-receptacle.
US1165952A (en) * 1914-08-26 1915-12-28 William A Dunlap Enameled metallic vessel.
US1297910A (en) * 1917-06-15 1919-03-18 James W Rhea Refrigerator.
US1475405A (en) * 1922-05-06 1923-11-27 O'brien John Milk can
US2144820A (en) * 1936-09-05 1939-01-24 American Thermos Bottle Co Double-walled vacuum receptacle
US2538524A (en) * 1947-09-05 1951-01-16 Brrr Inc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DE866835C (de) * 1951-03-09 1953-02-12 Kalk Und Zementkalkwerk Kemmat Doppelwandiges Isoliergefaess
US3149741A (en) * 1956-08-23 1964-09-22 Dresser Ind Vacuum container
US3118560A (en) * 1961-10-16 1964-01-21 N F C Engineering Company Self-venting double wall receptacle
US3232468A (en) * 1963-08-05 1966-02-01 Aladdin Ind Inc Vacuum bottles having plastic liner
US3311249A (en) * 1965-08-23 1967-03-28 King Seeley Thermos Co Vacuum ware
JPS5675123A (en) * 1979-11-26 1981-06-22 Sumitomo Light Metal Ind Magic bottle
US5080146A (en) * 1989-03-20 1992-01-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thermal insulating systems
JPH0432644A (ja) * 1990-05-29 1992-02-04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JP2517021Y2 (ja) * 1990-07-10 1996-11-13 日本酸素株式会社 合成樹脂製真空断熱容器
TW319684B (ko) * 1994-12-20 1997-11-11 Nippon Oxygen Co Ltd
JP3049204B2 (ja) * 1995-05-10 2000-06-05 日本酸素株式会社 合成樹脂製断熱二重壁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4995A (zh) 1999-01-13
DE69730489D1 (de) 2004-10-07
US5913445A (en) 1999-06-22
CA2234171A1 (en) 1998-02-12
DE69730489T2 (de) 2005-09-29
WO1998005573A1 (fr) 1998-02-12
KR19990063824A (ko) 1999-07-26
EP0872431A1 (en) 1998-10-21
EP0872431B1 (en) 2004-09-01
CA2234171C (en) 2001-08-07
EP0872431A4 (en) 2002-03-13
CN1078165C (zh) 2002-01-23
TW369410B (en) 199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0702B1 (ko) 합성수지제단열용기및합성수지제단열뚜껑
KR100234637B1 (ko) 단열 용기와 그 제조방법
US6152319A (en) Thermally insulated synthetic resin container and thermally insulated synthetic resin lid
KR100241949B1 (ko) 합성수지제 단열 이중벽 용기
EP0763483B1 (en) Thermally insulated double-walled synthetic resin container and thermally insulated double-walled synthetic resin lid
CN102574355B (zh) 蜂窝结构元件
JPH04309778A (ja) 真空断熱パネル
KR100288006B1 (ko)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단열뚜껑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6541031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88007B1 (ko)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
KR20080097177A (ko) 전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3049209B2 (ja) 合成樹脂製断熱容器および合成樹脂製断熱蓋
JP2986924B2 (ja) 合成樹脂製断熱容器および合成樹脂製断熱蓋
CA2223196A1 (en) Low thermal conductivity gas-filled thermal insulation material
JP2945334B2 (ja) 合成樹脂製断熱容器および合成樹脂製断熱蓋
JPH10310182A (ja) 合成樹脂製二重壁構造断熱器物の製造方法
KR100221279B1 (ko)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 덮개
KR100239158B1 (ko) 단열용기와 단열재료 및 단열용기의 제조방법
JP2000325241A (ja) 合成樹脂製断熱容器とその製造方法
JP6760442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45342B2 (ja) 合成樹脂製断熱容器と合成樹脂製断熱蓋
JPH0611094A (ja) 真空断熱材パック
JPH10287378A (ja) 合成樹脂製断熱容器と断熱蓋体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H07149378A (ja) 断熱容器とその製造方法
JPH07213442A (ja) 合成樹脂製角型真空断熱容器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