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525U -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525U
KR19980063525U KR2019970008049U KR19970008049U KR19980063525U KR 19980063525 U KR19980063525 U KR 19980063525U KR 2019970008049 U KR2019970008049 U KR 2019970008049U KR 19970008049 U KR19970008049 U KR 19970008049U KR 19980063525 U KR19980063525 U KR 199800635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c
rearview mirror
drive motor
battery
revers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8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원
Original Assignee
김재석
풍정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석, 풍정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재석
Priority to KR2019970008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3525U/ko
Publication of KR199800635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525U/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0)와, 상기한 배터리(10)의 극성을 절환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극성절환 스위치(20)와, 상기한 극성절환 스위치(2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부터 임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콘덴서(70)와, 상기한 콘덴서(70)로부터 게이트 단자로 인가되는 임펄스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트라이액(50)과, 상기한 트라이액(50)을 거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정역 구동모터(60)와, 상기한 정역 구동모터(60)에 과부하가 걸릴때에 발생하는 과전류로 온도가 상승하여 어떤 온도영역에 되면 저항치가 급격히 증가해 스위칭 작용을 하는 PTC소자(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기적 회로부품의 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한 이상부하나 과부하로 인하여 정력 구동모터가 소속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동접이시에 소정의 위치 정지위치 이외에 미러의 정지가 가능하고, 다른 구동장치의 정역 구동제어회로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기기적 소형화, 소용량화가 가능하고,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
이 고안은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전기적 회로부품의 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면,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한 이상부하나 과부하로 인하여 정역 구동모터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동접이시에 소정의 위치 정위치 이외에 미러의 정지가 가능하고, 다른 구동장치의 정역 구동제어회로도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기기적으로 소형화, 소용량화가 가능하고,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운행함에 있어서 백미러를 운전자가 자동차 주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운행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상기한 백미러가 자동차의 전방측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 주차하는 경우에 또는 좁은길을 교행하는 경우에 상기한 백미러에 의한 접촉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좁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운전석에서 백미러의 기립 및 격납을 제어할 수 있는 전동 격납식 백미러에 관한 기술이 일본국 실용신안출원 공개번호 소 61-122134(공개일: 1986년 8월 1일)에서 개시된바 있다. 상기한 일본국 실용신안출원 공개번호 소61-122134에 기재되어 있는 전동 격납식 백미러의 구성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미러의 세트, 격납을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 격납식 미러 제어회로에 있어서, 배터리와 모터간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를 정,역회전 시키는 원샷 펄스신호를 제어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원샷펄스신호에 대응하여 정,역회전시키고, 또한 요구하는 미러 위치에서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콘트롤러 유니트(스위치)와, 요구하는 미러 위치까지 모터를 구동 유지시키기 위한 릴레이 회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치 조작에 의한 원샷펄스신호에 입력에 의해 미러의 세트, 격납이 제어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전동 격납식 미러 구동장치는 수동 스위치에 의해서 원샷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회로구성이 복잡하고,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상당히 많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자동차용 전동 격납식 백미러에 관한 종래의 다른 기술로서, 일본국 실용신안출원 공고번호 평6-32447(공고일: 1994년 8월 24일)이 개시된 바 있다.
이하, 첨부된 제1도를 참조로 하여, 상기한 일본국 실용신안출원 공고번호 평6-32447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전동 격납식 백미러 구동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전동 격납식 백미러 구동장치의 구성 회로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자동차용 전동 격납식 백미러 구동장치의 구성은, 미러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차체 외측면에 설치한 스테이에 구동가능하게 취부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을 회동시키는 구동모터(13)와, 상기 하우징의 회동을 통해 하우징의 기립위치(펼친상태)에서 격납완료위치(접힌상태) 직선의 사이에 있을때 온되는 격납측 스위치와, 하우징이 격납완료위치로부터 기립위치 직선의 사이에 있을때 온되는 기립측 스위치를 갖는 회전검출 스위치(12)와, 자동차 실내에 구비된 전원극성 절환조작 스위치(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극성 절환조작 스위치(11)는, 상호연동되어 상시 개방단(11a, 11d) 또는 상기 폐쇄단(11b, 11e)으로 각각 절환되는 2개의 가동접점(11c, 11f)을 갖는다.
그리고, 2개의 구동모터(13)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회전검출 스위치(12)는, 격납가동 접점(12a, 12f)과 고정접점(12c)에 의해서 격납측 스위치의 회로가 구성되며, 또한 기립가동접점(12b, 12f)가 고정접점(12d)에 의해 기립측 스위치의 회로가 형성된다. 회전검출 스위치(12)의 격납가동 접점(12a)은 절환조작 스위치(11)내에 있는 개방단(11a)에 연결하고, 기립가동 접점(12b)은 폐쇄단(11e)에 접속시킨다.
이와 같이 절환조작 스위치(11)의 개방단(11a, 11d)과, 회전검출 스위치(12)의 접점(12a, 12c)에 의해 전류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폐회로가 구성되면, 폐회로가 형성된 방향으로 정역 구동모터(13)가 동작하고, 격납가동 접점(12a)가 끝나는 지점에서 정역 구동모터(13)가 멈추어지게 된다. 이때, 전류가 한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단속하는 역류방지소자인 2개의 다이오드가 각 접점간 소정의 위치에 직렬로 접속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자동차용 전동 격납식 백미러 구동장치, 제어회로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백미러 조립체의 취부가 곤란하며, 전기회로 부품이 많이 소모되고,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접촉식 폐회로 구성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노이즈 발생우려가 많아 정역 구동모터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백미러를 소정의 정지위치 이외에 정지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며, 백미러 작동시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생되는 과부화 및 물리적, 강제적 이상부하에 대처하기가 곤란하여 정역 구동모터를 소손시킬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적 회로부품의 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한 이상부하나 과부하로 인하여 정역 구동모터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백미러 동작시에 소정의 위치 정지위치 이외에 백미러를 정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기적으로 소형화, 소용량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의 구성 회로도이다.
도 2의 (가), (나), (다)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3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터리20 : 극성 절환 스위치
30 : PTC 소자50 : 트라이액(반도체 스위치 소자)
60 : 정역 구동모터70 : 콘덴서
80 : 미러 조립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 고안의 구성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한 배터리의 극성을 절환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극성절환 스위치와, 상기한 극성절환 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부터 임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콘덴서와, 상기한 콘덴서로부터 게이트 단자로 인가되는 임펄스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트라이액과, 상기한 트라이액을 거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정력 구동모터와, 상기한 정역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걸릴때에 발생하는 과전류로 온도가 상승하여 어떤 온도영역에 되면 저항치가 급격히 증가해 스위칭 작용을 하는 PTC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이 고안은, 전동 접이식 백미러가 스톱바에 의해 물리적, 강제적으로 또는 이상부하로 인하여 백미러가 정지할 때, 정역 구동모터 과부하가 걸릴때에 발생하는 과전류로 온도가 상승해 어떤 온도 영역이 되면 저항체가 급격히 증가해 스위칭 작용을 하는 PTC 소자를 접속하고, 상기한 PTC 소자와 정역 구동모터의 사이에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직렬로 접속하여, PTC 소자의 스위칭 작동과 반도체 스위치 소자에 의해 정역 구동모터의 통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고안에 따르면, 온도상승과 동시에 저항치가 급격히 증가하는 PTC 소자의 스위칭 작동과 연동하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에 의해 정역 구동모터의 통전을 차단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인 전류검출소자 등으로 정역 구동모터를 차단하는 것과 비교해 회로부품이 적게 들며, 또한 스위치 작동이 순식간에 행하여지므로 정역 구동모터의 소손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한 구성에 의해 백미러를 소톱바등으로 물리적이거나 강제적으로 정지하고 나서 정역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백미러 구동력 전달기어에 있어서 백래시가 없고 그 결과 백미러 이동체를 고정하는 틀이 없이 소정의 정지위치에 정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이동중의 백미러가 소정의 정지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어서 여러가지 원인으로 이상부하가 발생하여도 정역 구동모터가 순간적으로 정지하므로 정역 구동모터의 소손을 확실히 방지하며, 따라서 정역 구동모터 구동력 전달기구 및 제어회로를 소형화, 소용량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방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의 (가),(나), (다)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배터리(10)는 통상의 직류전원(12V)으로서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극성절환 스위치(20)는 자동차의 운전석에 장착되어 있으며 배터리(10)의 극성을 절환시키기 위하여 2개의 가동 접촉자(201, 202)를 갖는 연동식 3위치 절환 스위치이다. 이 극성절환 스위치(20)는, 연동되는 제1 가동 접촉자(201) 및 제2 가동 접촉자(202)와, 제1 공통접점(COM1) 및 제2 공통접점(COM2)과, 배터리(10)의 양극(+)에 각각 접속되는 +접점(A1, A2)과, 배터리(20)의 음극(-)에 각각 접속되는 -접점(B1, B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가동 접촉자(201, 202)는 공통접점(COM1, COM2)에 항시 접촉하고 있다.
정역 구동모터(60)는 극성절환 스위치(20)에 직렬로 접속된다. 즉, 정역 구동모터(60)의 한방향 단자는 극성절환 스위치(20)의 제2 공통접점(COM2)에 연결되고, 다른 한방향 단자를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의 한쪽단자에 연결된다.
저항온도 특성을 이용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30)는 어떤 온도구역에서 저항치가 급격히 변화하는 스위칭 특성을 가진다. 상기한 PCT 소자(30)는 극성 절환 스위치(20)와 반도에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의 사이에 직렬로연결된다. 즉, 상기한 PTC 소자(30)의 한방향 단자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의 한쪽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한방향의 단자는 극성절환 스위치(20)의 제1 공통점(COM1)에 연결된다.
상기한 PTC소자(30)는 이동체로서의 미러 조립체(80), 스톱바(210, 220)등에 의해서 정역구동 모터(60)를 물리적, 강제적으로 정지시켜서 정역구동 모터(60)에 과부하가 걸릴때 발생되는 과전류로 인하여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어떤 온도 영역이 되면 내부 저항치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됨으로써 스위칭 작동을 하게 되며, 양극성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은 PTC 소자(30)와 정역 구동모타(60)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즉,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의 한방향 단자를 PTC 소자(30)에 연결되고, 다른 한방향의 단자는 정역 구동모터(60)에 연결된다. 상기한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은 양극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콘덴서(70)의 한방향 단자는 극성절환 스위치(20)의 제1 공통접점(COM1)과 PTC 소자(30)의 접점에 접속되고, 다른 한방향 단자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한 콘덴서(70)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이 도통될 수 있도록 게이트 단자에 임펄스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극성절환 스위치(20)를 조작하여 가동 접촉자(201, 202)를 각각 +접점(A1)과 -접점(B2)에 접속시키면, 콘덴서(70)에서 트리거 펄스가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의 게이트 단자로 입력되어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이 턴온상태가 된다. 이때, 배터리(10)에서 전류가 도2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즉, 배터리(10)→ 극성절환 스위치(20)→ PTC 소자(30)→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 → 정역 구동모터(60)로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정역 구동모터(60)가 정회전된다.
이와 같이 정역 구동모터(60)가 정회전되면, 정역 구동모터(60)의 회전력에 의해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러조립체(80)가 중립위치(펼친상태)에서 접힘위치(접힌상태)로 회동한다.
미러조립체(80)가 소정의 정지위치에 있는 접힘위치에 도달하면, 도4 및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 고정되는 샤프트(110)의 상단부에 형성시킨 원호상의 요홈(120, 130)은 정역 구동모터(60)의 구동에 의하면 상기한 미러 조립체(80)가 회동(접힘 또는 중립상태로의 작동)시 일정각도만큼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각도(θ)를 가지고 있으며, 일정각도 회동후 강제멈춤기능을 할 수 있는 스톱바(210, 220)를 상기 원호상의 요홈(120, 130)에 대응하게 프레임(150)의 하단부에 돌출 시킴으로써 전기 구동에 의한 회동식 미러 조립체(80)가 정지됨으로써 정역 구동모터(60)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과전류에 의해서 PTC 소자(30)의 내부온도가 상승하여 어떤 온도구역이되면 PTC 소자(30)의 내부저항이 급격히 증가하여 전류의 흐름이 급격하게 줄어들게 되고, 이에따라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이 턴오프되어 정역 구동모터(60)의 통전이 차단되어 회전이 정지됨으로써 미러조립체(80)가 접힘위치에서 완전히 정지된다. 상기한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은 콘덴서(70)에 의해 트리거 펄스가 다시 게이트 단자에 가해지지 않은 한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하므로 정역 구동모터(60)의 통전을 차단하게 된다.
다음에, 극성절환 스위치(20)를 조작하여 가동 접촉자(201, 202)를 각각 -접점(B1)과 +접점(A2)에 접속시키면, 콘덴서(70)로부터 트리거 펄스가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어 트라이액(50)이 턴온상태가 된다. 이때, 배터리(10)에서 전류가 도2의 (다)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즉, 배터리(10)→ 극성절환 스위치(20)→ 정역 구동모터(60)→ 트라이액(50)→ PTC 소자(30)→ 극성절환 스위치(20)→ 배터리(10)로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정역 구동모터(60)가 역회전된다.
이와 같이 정역 구동모터(60)가 역회전되면, 정역 구동모터(60)의 회전력에 의해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러조립체(80)가 접힘위치(접힌상태)에서 중립위치(펼친상태)로 회동한다.
미러조립체(80)가 소정의 정위치에 있는 중립위치에 도달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 고정되는 샤프트(110)의 상단부에 형성시킨 원호상의 요홈(120, 130)은 정역 구동모터(6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한 미러조립체(80)가 회동(접힘 또는 중립상태로의 작동)시 일정각도만큼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각도(θ)를 가지고 있으며, 일정각홈 회동후 강제멈춤기능을 할 수 있는 스톱바(210, 220)를 상기 원호상의 요홈(120, 130)에 대응하게 프레임(150)의 하단부에 돌출 시킴으로써 전기 구동에 의한 회동시 미러 조립체(80)가 정지됨으로써 정역 구동모터(60)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과전류에 의해서 PTC 소자(30)의 내부온도가 상승하여 어떤 온도구역이 되면 PTC 소자(30)의 내부저항이 급격히 증가하여 전류가 급격하게 줄게 되고, 이에 따라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이 턴오프되어 정역 구동모터(60)의 통전이 차단되어 회전이 정지됨으로써 미러조립체(80)가 중립위치에서 완전히 정지된다. 상기한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은 콘덴서(70)에 의해 트리거 펄스가 다시 게이트 단자에 가해지지 않는 한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므로 정역 구동모터(60)의 통전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이 고안에 의하면, 미러 조립체(80)가 정역 구동모터(60)의 회동중 소정의 정지위치(중립위치, 접힘위치) 이외에 여러가지 원인으로 물리적, 강제적으로 과부하 또는 이상부하를 받는 경우에도 PTC 소자(30)에 연동된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의 순간적인 스위칭 작용에 의해 정역 구동모터(60)가 정지하게 됨으로써 정역 구동모터(60)가 소손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고, 미러 조립체(80)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이 고안에 의하면, 미러 조립체(80)를 중립위치에서 접힘위치로 회동시킨 후 곧바로 미러 조립체(80)를 역회전시키는 경우에도,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의 턴오프 동작에 의해 전류 흐름이 차단되어 PTC 소자(30)의 내부온도가 순식간에 하강되어 고저항 상태에서 저저항상태로 되기 때문에 정역 구동모터(60)의 구동이 가능함으로써 미러 조립체(80)를 순간적으로 역회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 고안에 의하면,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한 과부하 및 이상부하로 인하여 PTC 소자(30)에 연동한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액(50)의 스위칭 작용이 순식간에 행하여지므로 정역 구동모터(60)의 소손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고 또한 기기적으로 소형화 및 소용량화가 가능하여 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시킬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전기적 회로부품의 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한 이상부하나 과부하로 인하여 정역 구동모터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동접이시에 소정의 위치 정지위치 이외에 미러의 정지가 가능하고, 다른 구동장치의 정역 구동제어회로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기기적으로 소형화, 소용량화가 가능하고,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러한 효과는 자동차용 백미러 구동장치 또는 정역회전 모터 구동장치 분야등에서 이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1)

  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0)와, 상기한 배터리(10)의 극성을 절환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극성절환 스위치(20)와, 상기한 극성절환 스위치(2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부터 임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콘덴서(70)와, 상기한 콘덴서(70)로부터 게이트 단자로 인가되는 임펄스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트라이액(50)과, 상기한 트라이액(50)을 거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정력 구동모터(60)와, 상기한 정역 구동모터(60)에 과부하가 걸릴때에 발생하는 과전류로 온도가 상승하여 어떤 온도영역에 되면 저항치가 급격히 증가해 스위칭 작용을 하는 PTC소자(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
KR2019970008049U 1997-04-17 1997-04-17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 KR199800635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049U KR19980063525U (ko) 1997-04-17 1997-04-17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049U KR19980063525U (ko) 1997-04-17 1997-04-17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525U true KR19980063525U (ko) 1998-11-16

Family

ID=6968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8049U KR19980063525U (ko) 1997-04-17 1997-04-17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352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339B1 (ko) * 2002-05-22 2005-03-08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접이식 사이드 미러의 프레임커버장치
US8662685B2 (en) 2006-10-16 2014-03-04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side mirror of a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339B1 (ko) * 2002-05-22 2005-03-08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접이식 사이드 미러의 프레임커버장치
US8662685B2 (en) 2006-10-16 2014-03-04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side mirror of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8909B2 (ja) バックミラーの急速変角制御装置
EP0735666B1 (en)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a dc motor
KR20080073627A (ko) 차량용 미러 장치
EP0289052A2 (en) Electrical driving system for foldable outer rearview mirrors of a motor vehicle
KR920001088B1 (ko) 자동차용 파워시이트
KR19980063525U (ko)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
JP3993740B2 (ja)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の制御装置
KR200161289Y1 (ko)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제어장치
KR200149308Y1 (ko)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제어회로
JPS61113533A (ja) ドアミラ−自動格納制御装置
JP2557691Y2 (ja) 駆動装置におけるスイッチ回路
JP3086391B2 (ja) サンルーフ制御回路
KR200169883Y1 (ko) 차량용 전동식 백미러 구동장치
JP3733700B2 (ja) 自動車用後写鏡におけるスイッチ回路
KR100359438B1 (ko) 차량용 전동식 백미러 구동장치
JPH04178184A (ja) 駆動装置におけるスイッチ回路
JPH11206164A (ja) モータ駆動制御回路
KR0172806B1 (ko)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회로
KR100787694B1 (ko) 차량용 전동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구동제어장치
JP2000168446A (ja) ドアミラー用電動格納装置
JP2564738Y2 (ja) 駆動装置におけるスイッチ回路
JPH0419056B2 (ko)
JPS6328742A (ja) 自動車用パワ−シ−ト装置
JP2557690Y2 (ja) 駆動装置におけるスイッチ回路
KR100571610B1 (ko) 차량용 전동접이식 백미러의 구동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