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2806B1 -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2806B1
KR0172806B1 KR1019950035413A KR19950035413A KR0172806B1 KR 0172806 B1 KR0172806 B1 KR 0172806B1 KR 1019950035413 A KR1019950035413 A KR 1019950035413A KR 19950035413 A KR19950035413 A KR 19950035413A KR 0172806 B1 KR0172806 B1 KR 0172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elay
control circuit
remote contro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5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489A (ko
Inventor
신철호
Original Assignee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종
Priority to KR1019950035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2806B1/ko
Publication of KR970024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2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3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 H02P7/05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by means of electronic swi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 릴레이 2접점에서 릴레이 1접점으로 변경하고,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릴레이 구동용 트랜지스터가 턴 됨에 따라 직류모터가 정 또는 역회전 되어 원방제어가 가능한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카니즘의 원가 절감 및 양방향성 샤프트의 가공기술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온/오프 스위치에 대한 채터링을 방지하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할 수 있는 두 개의 단자 B, C를 선택적으로 스위칭 하는 리미트 스위치부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의 각 선택점 B, C에 연결된 제3 및 제4릴레이부와, 상기 공급전원의 일측 단자와 제3릴레이부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와, 상기 공급전원을 입력받아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른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제3 및 제4릴레이 구동부와, 상기 제3 및 제4릴레이 구동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잔류전류를 흡수하기 위한 다이오드들과, 상기 모터의 양측 단자에 연결되어 유기된 역전압을 흡수하거나 보호하는 제1 및 제2모터 보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회로.

Description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원방제어회로에 따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미트 스위치부 11, 12, 17, 18 : 제1, 제2, 제3 및 제4릴레이부
13 : 모터 14, 15, 21, 22 : 제1, 제2, 제3 및 제4잔류전류 흡수용 다이오드
16 : 릴레이 접점 보호부 19, 20 : 제3 및 제4릴레이 구동부
23, 24 : 제1 및 제2모터 보호부 SW1, SW3: 온 스위치
SW2, SW4: 오프 스위치
본 발명은 원방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미트 스위치에 의하여 모터를 정, 역회전시켜 MCCB(Moulded Case Circuit Breaker)의 원방조작에 적당하도록 한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방제어 장치를 제1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할 수 있는 두 개의 단자 B, C에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리미트 스위치부(10)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10)의 각 선택점 B, C에 연결된 제1 및 제2릴레이부(11)(12)와, 상기 전원 한쪽 단자와 제1릴레이부(11)의 한쪽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13)와, 상기 제1 및 제2릴레이부(11)(12)와 병렬로 연결되고 동작점에서 잔류전류를 흡수하기 위한 제1 및 제2다이오드(14)(15)와, 상기 제1 및 제2릴레이부(11)(12)와 연결된 온/오프 스위치(SW1)(SW2)와, 상기 모터(13)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 접점 보호부(16)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릴레이부(11)(12)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10)의 각 선택점 B, C에 연결된 코일과 온/오프 스위치(SW1)(SW2)에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치 접점으로 구성되고, 상기 릴레이 접점 보호부(16)는 콘덴서(C1)과 저항(R1)이 직렬 연결된 구성으로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원방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리미트 스위치부(10)에 의해 선택점 B와 연결되면, 상기 전원은 제1릴레이부(11)에 공급된다.
이때, 온 스위치(SW1)를 누르면 전류는 제1릴레이부(1)의 코일을 여자시키게 된다.
상기 코일의 여자에 의해 상시 열려있는 1a, 1b접점의 상태에서 닫혀 있는 1a, 1b접점의 상태로 변화되어 전류가 흘러 상기 모터(13)가 정회전하게 되어 원방조작 스위치가 온된다.
만약,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원이 리미트 스위치부(10)에 의해 선택점C와 연결되면, 상기 전원은 제2릴레이부(12)에 입력된다.
이때, 오프 스위치(SW2)를 누르면 전류는 제2릴레이부(12)의 코일을 여자시키게 된다.
상기 코일의 야자에 의해 상시 열려 있는 2a, 2b접점의 상태에서 닫혀 있는 2a, 2b접점의 상태로 변화되어 전류가 흘러 상기 모터(13)가 역회전하게 되어 원방조작 스위치가 오프된다.
또한, 상기 모터(13)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 접점 보호부(16)의 콘덴서(C1)와 저항(R1)은 상기 제1 및 제2릴레이부(11)(12)의 접점 보호용으로 역전압을 흡수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잔류전류를 흡수하기 위한 다이오드(14)(15)는 상기 제1 및 제2릴레이부(11)(12)가 온 스위치(SW1)에서 오프 스위치(SW2) 그리고 오프 스위치(SW2)에서 온 스위치(SW1)시 걸리는 잔류전류를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 및 제2릴레이부(11)(12)의 각 접점에 온/오프 스위치(SW1)(SW2)를 달아 모터(13)를 정/역회전만 시켜 원방제어 장치를 조절함으로써 메카니즘의 원가상승 및 양방향성 샤프트의 가공기술이 어려워지고, 원방제어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과 온/오프 스위치(SW1)(SW2)가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 온시 채터링에 의한 모터(13)의 소손 및 제1 및 제2릴레이부(11)(12)의 접점이 조기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릴레이 2접점에서 릴레이 1접점으로 변경하고,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릴레이 구동용 트랜지스터가 턴 됨에 따라 직류모터가 정 또는 역회전되어 원방제어가 가능한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카니즘의 원가절감 및 양방향성 샤프트의 가공기술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온/오프 스위치에 대한 채터링을 방지하도록 한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 장치의 특징은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할 수 있는 두 개의 단자 B, C를 선택적으로 스위칭 하는 리미트 스위치부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의 각 선택점 B, C에 연결된 제3 및 제4릴레이부와, 상기 공급전원의 일측 단자와 제3릴레이부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와, 상기 공급전원을 입력받아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른 릴레이를 구동시키는제3 및 제4릴레이 구동부와, 상기 제3 및 제4릴레이 구동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잔류전류를 흡수하기 위한 다이오드들과, 상기 모터의 양측 단자에 연결되어 유기된 역전압을 흡수하거나 보호하는 제1 및 제2모터 보호부로 이루어진 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 회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 회로도로서,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할 수 있는 두 개의 단자 B, C에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리미트 스위치(10)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10)의 각 선택점 B, C에 연결된 제3 및 제4릴레이부(17)(18)와, 상기 전원 일측 단자와 제3릴레이부(17)의 한쪽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13)와, 상기 전원을 입력받아 제3 및 제4릴레이부(17)(18)를 구동시키는 제3 및 제4릴레이부(17)(18)와, 상기 제3 및 제4릴레이부(17)(18)와 병렬로 연결된 잔류전류 흡수용 제3 및 제4다이오드(21)(22)와, 상기 모터(13)의 한쪽 단자에 연결되어 역전압을 흡수 보호하는 제1 및 제2모터 보호부(23)(24)로 구성된다.
상기 제3 및 제4릴레이부(17)(18)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10)의 각 선택점 B, C에 연결된 코일과 전원 그라운드(Vss)에 접속된 접점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3릴레이부(17)를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제3릴레이 구동부(19)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에 연결된 저항(R3)과, 전원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2)와 콘덴서(C2)와, 상기 저항(R2) 및 콘덴서(C2)의 중점에 접속된 온 스위치(SW3)로 연결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4릴레이부(18)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4릴레이 구동부(20)는 릴레이 구동용 트랜지스터(Q2)와,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에 연결된 저항(R5)과 전원 공급단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4) 및 콘덴서(C3)와, 상기 저항(R4) 및 콘덴서(C3)의 중점에 접속된 오프 스위치(SW4)로 연결 구성된다.
상기 제1모터 보호부(23)는 모터(13)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D6)와, 상기 다이오드(D6)에 병렬로 연결된 콘덴서(C5)와, 저항(R6) 및 다이오드(D5)가 직렬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2모터 보호부(24)는 상기 모터(13)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블로킹 다이오드(D8)와, 상기 다이오드(D8)에 병렬로 연결된 콘덴서(C4), 저항(R7) 및 다이오드(D7)가 직렬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리미트 스위치(10)에 의해 선택점 B와 연결되면, 상기 공급전원은 제3릴레이부(17)에 공급된다.
이때, 온 스위치(SW3)를 누르면 저항(R3)에 의해 트랜지스터(Q1)이 턴 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되면 상기 제3릴레이부(17)의 코일이 여자되면서 상시 열려있는 a접점의 상태에서 닫혀 있는 a접점의 상태로 변화된다.
즉, 코일이 여자되어 제3릴레이부(17)의 접점이 온 되어 있는 동안 모터(13)가 회전한다.
상기 저항(R3)은 베이스 전류 제한용이고, 저항(R2)과 콘덴서(C2)는 온 스위치(SW3)가 온 될 때 채터링을 없애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때, 다이오드(21)는 상기 제3릴레이부(17)에 걸리는 잔류전류를 흡수하게 된다.
상기 제1모터 보호부(23)는 상기 모터(13)가 정회전 하다가 정지하면, 모터(13)의 양단에 큰 역전압이 걸리고 불꽃 방전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역전압은 콘덴서(C5) 및 저항(R6)에 흡수되어 모터(13)를 보호하고, 다이오드(D5)(D6)는 모터(13)의 역방향 회전시 블로킹 다이오드로 이용된다.
만약,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리미트 스위치부(10)에 의해 선택점 C와 연결되면, 선택점 B와 연결된 전원이 끊어지고 제3릴레이부(17)의 코일 전류가 차단되어 상기 제3릴레이부(17)의 닫혀 있는 a접점에서 상시 열려 있는 a접점으로 되면서 모터(13)의 정회전은 멈추고, 상기 공급전원은 제4릴레이부(18)에 공급된다.
이때, 온 스위치(SW4)를 누르면 저항(R5)에 의해 트랜지스터(Q2)가 턴 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가 턴 온되면, 상기 제4릴레이부(18)의 코일이 여자되면서 상시 열려 있는 b접점의 상태에서 닫혀 있는 b접점의 상태로 변화된다.
즉, 코일이 여자되어 제4릴레이부(18)의 접점이 온 되어 있는 동안 모터(13)가 역회전된다.
여기서, 저항(R5)은 베이스 전류 제한용이고, 저항(R4)과 콘덴서(C3)는 오프 스위치(SW4)가 온 될 때 채터링을 없애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다이오드(22)는 상기 제4릴레이부(18)에 걸리는 잔류전류를 흡수하게 된다.
상기 제2모터 보호부(24)는 상기 모터(13)가 역회전하다가 정지하면 모터(13)의 양단에 큰 역전압이 걸리고 불꽃 방전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역전압은 콘덴서(C4)와 저항(R7)에 의해 흡수되어 모터(13)를 보호하고, 다이오드(D7)(D8)는 모터(13)의 역방향 회전시 브로킹 다이오드로 이용된다.
여기서, 상기 트랜지스터(Q1)(Q2) 대신에 SCR(Slilcon Controlled Rectifier)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 회로는, 릴레이 2접점에서 릴레이 1접점으로 변경하고,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들이 턴 온 됨으로 모터가 정 또는 역회전 되고 원방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메카니즘의 원가절감 및 양방향서 샤프트의 가공기술의 여려움을 극복하고 온/오프 스위치에 대한 채터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할 수 있는 두 개의 단자 B, C에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리미트 스위부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의 각 선택점 B, C에 연결된 제3 및 제4릴레이부와, 상기 공급전원의 일측 단자와 제3릴레이부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와, 상기 공급전원을 입력받아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른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제3 및 제4릴레이 구동부와, 상기 제3 및 제4릴레이 구동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잔류전류를 흡수하기 위한 다이오드들과, 상기 모터의 양측 단자에 연결되어 유기된 역전압을 흡수하거나 보호하는 제1 및 제2모터 보호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릴레이 구동부는 트랜지스터(Q1)/(Q2)와, 상기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3)/(R5) 및 온(SW3)/오프(SW4) 스위치와, 상기 온(SW3)/오프(SW4)스위치에 병렬로 연결되고 전원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2)/(R4) 및 콘덴서(C2)/(C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모터 보호부는 상기 모터의 한쪽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D6)/(D8)와, 상기 다이오드(D6)/(D8)에 병렬로 연결된 콘덴서(C5)/(C4)와 저항(R6)/(R7) 그리고 다이오드(D5)/(D7)가 직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Q1)/(Q2)는 SCR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회로.
KR1019950035413A 1995-10-13 1995-10-13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회로 KR0172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5413A KR0172806B1 (ko) 1995-10-13 1995-10-13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5413A KR0172806B1 (ko) 1995-10-13 1995-10-13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489A KR970024489A (ko) 1997-05-30
KR0172806B1 true KR0172806B1 (ko) 1999-05-01

Family

ID=1943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5413A KR0172806B1 (ko) 1995-10-13 1995-10-13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28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489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86282B1 (en) Apparatus for driving a vehicle window
US7391134B2 (en) Electrical safety lockout mechanism for power tools and other hazardous machinery
US5142433A (en) Motor drive circuit
JPH08107632A (ja) スイッチング装置
US4710685A (en) Vehicle power window control circuit with reverse battery protection
KR100923270B1 (ko) 차량용 미러 장치
EP139397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motorized storing door mirror
KR0172806B1 (ko) 직류모터를 이용한 원방제어회로
JPS61182758A (ja) 電動工具の安全装置
US6034448A (en) Semiconductor switch
US6600281B2 (en) Wiper control device
JP2002175124A (ja) 車両用電源回路
JPH09205796A (ja) モータの正逆運転装置
JP4128478B2 (ja) ワイパモータ制御回路
JP3856212B2 (ja) 駆動装置
JPH04278867A (ja) ワイパ制御装置
JPH0558250A (ja) ワイパー制御装置
KR0130044Y1 (ko) 전동식 지게차의 콘텍터 코일 스위칭용 트랜지스터 단락 방지회로
JP5262690B2 (ja) ドアミラー制御装置
KR19980063525U (ko)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구동장치
KR200202498Y1 (ko) 그라인더의 안전 장치
KR100621999B1 (ko) 모터의 작동상태 판별장치
KR200161289Y1 (ko)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제어장치
JP4824528B2 (ja) モータ制御装置
KR0184334B1 (ko) 건설중장비용 전원공급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