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2442A - 차량용 범퍼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442A
KR19980062442A KR1019960081844A KR19960081844A KR19980062442A KR 19980062442 A KR19980062442 A KR 19980062442A KR 1019960081844 A KR1019960081844 A KR 1019960081844A KR 19960081844 A KR19960081844 A KR 19960081844A KR 19980062442 A KR19980062442 A KR 19980062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panda
mounting structure
assembly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1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진수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81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2442A/ko
Publication of KR1998006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442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와 팬더의 조립을 간단하게 이루면서 간단차 벌어짐을 예방하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범퍼와 팬더의 조립 후 간단차 벌어짐에 의하여 수리비를 지출하게 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범퍼(10)가 브라켓트(14)와 리벳팅되는 하단에 범퍼(10)와 팬더(12)가 가이드핀(16)에 의하여 가 조립되도록 구성하여서 범퍼와 팬더의 조립 공정을 간소화하면서 안전하게 취부를 이루게 하면서 간단차육성을 이루어서 범퍼와 팬더의 간단차 벌어짐을 방지하여 미려한 사용을 이루게 하면서 수리비를 절감하게 되는 차량용 범퍼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범퍼의 취부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범퍼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작업 공수를 간단하면서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하면서 간단차의 벌어짐 방지를 이루어 경제적이면서 안전한 조립을 이루게 하는 차량용 범퍼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후면에는 충돌사고시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의 손상을 적게 하면서 충격이 탑승자에게 적게 전달되어 사고로부터 생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범퍼취부 구조에 의하여 부착되고 있음은 보편적이다.
이러한 범퍼 취부구조는 범퍼(1)가 팬더(2)가 브라켓트(3)에 의하여 리벳팅 조립되고 그 타측에 워이드보울트(4)에 의하여 조립되어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범퍼(1)와 워이드보울트(4)를 가 조립하고 브라켓트(3)를 리벳팅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 후 팬더(2)와 범퍼(1)간의 간단차 벌어짐이 발생되어 조립 불량을 이루게 되는 것에 의하여 수리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범퍼와 팬더간의 간단차 벌어짐이 없이 간단 용이한 작업 고정으로 조립을 이루게 하여 수리 비용을 절감하게 하는 차량용 범퍼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범퍼와 팬더간에 브라켓트로 연결되어 리벳팅 조립되는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범퍼가 브라켓트와 리벳팅되는 하단에 범퍼와 팬더가 가이드핀에 의하여 가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범퍼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범퍼의 조립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범퍼의 조립 단면도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D-D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범퍼12 : 팬더
14 : 브라켓트16 : 가이드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범퍼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D-D선 단면도로서, 차량용 범퍼의 취부구조는 범퍼(10)와 팬더(12)간에 브라켓트(14)로 연결되어 리벳팅 조립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범퍼(10)가 브라켓트(14)와 리벳팅되는 하단에 범퍼(10)와 팬더(12)가 가이드핀(16)에 의하여 가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가이드핀(16)에 의하여 범퍼(10)와 팬더(12)가 가 조립되므로 간단한 취부를 이루게 하면서 회전방지 및 간단차 육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 조립후 리벳팅에 의하여 조립을 이루게 하면 범퍼(10)와 팬더(12)의 간단차 육성이 용이하게 되므로 간단차 벌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범퍼와 팬더의 조립 공정을 간소화하면서 안전하게 취부를 이루게 하면서 간단차육성을 이루어서 범퍼와 팬더의 간단차 벌어짐을 방지하여 미려한 사용을 이루게 하면서 수리비를 절감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범퍼(10)와 팬더(12)간에 브라켓트(14)로 연결되어 리벳팅 조립되는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범퍼(10)가 브라켓트(14)와 리벳팅되는 하단에 범퍼(10)와 팬더(12)가 가이드핀(16)에 의하여 가 조립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의 취부구조.
KR1019960081844A 1996-12-30 1996-12-30 차량용 범퍼의 취부구조 KR19980062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844A KR19980062442A (ko) 1996-12-30 1996-12-30 차량용 범퍼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844A KR19980062442A (ko) 1996-12-30 1996-12-30 차량용 범퍼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442A true KR19980062442A (ko) 1998-10-07

Family

ID=6642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1844A KR19980062442A (ko) 1996-12-30 1996-12-30 차량용 범퍼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24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2442A (ko) 차량용 범퍼의 취부구조
KR200157593Y1 (ko) 자동차의 도아 임팩트바 취부구조
KR0115612Y1 (ko)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
KR200142019Y1 (ko) 자동차의 리어도어 멤버구조
KR100281625B1 (ko) 자동차 임팩트 바의 장착구조
KR19980046655U (ko)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KR0133422Y1 (ko)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 도어 장착구조
KR19980084021A (ko) 차량용 프론트범퍼 가드구조
KR200152954Y1 (ko) 자동차용 후방도어 임팩트바의 구조
KR0114634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버클
KR100357400B1 (ko) 자동차 시트용 힌지 브라켓트 구조
KR200147061Y1 (ko) 차량의 후부 차체 구조
KR200152951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KR200201346Y1 (ko) 자동차의 범퍼프레임과 후면판넬의 설치구조
KR20020038123A (ko) 자동차 와이퍼 피벗축 이탈구조
KR0128450Y1 (ko) 자동차의 범퍼장착구조
KR100231994B1 (ko)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KR970006759Y1 (ko) 자동차 도아의 로크보강판과 임팩트바의 연결구조
KR100200521B1 (ko) 차량용 리어범퍼 설치구조
KR19980062104A (ko) 자동차용 범퍼구조
KR19980061680U (ko) 자동차의 도아 임팩트바 보강구조
KR19980030628A (ko) 자동차용 리어범퍼의 설치구조
KR19980022076A (ko) 리어 펜더 패널 보강장치
KR19980046830A (ko) 자동차용 범퍼(bumper) 취부구조
KR19980055080A (ko) 차량용 대시보드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