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0849U - 남비겸용 구이판 - Google Patents

남비겸용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0849U
KR19980060849U KR2019970004996U KR19970004996U KR19980060849U KR 19980060849 U KR19980060849 U KR 19980060849U KR 2019970004996 U KR2019970004996 U KR 2019970004996U KR 19970004996 U KR19970004996 U KR 19970004996U KR 19980060849 U KR19980060849 U KR 199800608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ot
present
grill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수
Original Assignee
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수 filed Critical 정성수
Priority to KR2019970004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0849U/ko
Publication of KR19980060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849U/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요리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남비겸용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깊이가 얕은 하부용기(10)와 깊이가 깊게 요설되고 손잡이(21)(22)가 형성된 상부용기(20)를 동시에 구비하여 이들을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각각의 용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본 고안은 하나의 용기로 구이판, 남비 또는 찜통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특히 일반가정에서 구이판과 남비를 별도로 구입하는 경제적 부담을 줄이게 된다.

Description

남비겸용 구이판
본 고안은 요리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출된 남비겸용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구이판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고 뚜껑은 내측을 깊게 형성하여 찜통의 기능도 갖도록 하는 한편, 구이판의 경우 가마솥이나 돌솥과 같은 효과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선구이의 경우 프라이팬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골등 찌개의 경우 남비를, 그리고 바베큐 등의 요리는 찜통을 이용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상기와 같은 요리의 목적에 따라 각각의 조리용기가 제공되고 있다.
통상, 프라이팬의 경우 용기본체는 얕은 깊이로 되어 있고 뚜껑은 없거나 있어도 용기본체를 덮어 주는 용도외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남비의 경우 용기본체는 다소 깊게 형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찌개종류를 끓일 때 사용되너 이 역시 뚜껑은 별도의 용기로 사용되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용기본체로 사용되는 하부용기와 이 하부용기의 상부에 결합하여 뚜껑으로 사용되는 상부용기를 구비하되 하부용기의 깊이는 얕게, 그리고 두껍게 형성하여 구이판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용기의 경우 내측이 깊게 요설되어 별도의 남비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상부용기에도 손잡이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하부용기를 결합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구이판은 물론 찜통과 같은 용도로도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은 하나의 용기로서 요리목적에 따라 각각의 용기로 다양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용기20 : 상부용기
21, 22 : 손잡이
본 고안의 구성적 특징은 깊이는 얕게 두께는 두꺼운 하부용기(10)와 내측이 깊게 요설된 상부용기(20)를 구비하여 상호 결합하여 사용한다던가 또는 각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부용기(20)의 양쪽에는 손잡이(21)(22)를 형성하여서 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생선이나 육류 등을 구울 때에는 본 고안의 하부용기(10)를 사용한다. 하부용기(10)는 깊이가 얕게 형성되어 있어 프라이팬과 같은 기능을 갖게 되므로 생선이나 육류의 구이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이때 요리의 목적에 따라 상부용기(1)를 뚜껑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하부용기(10)는 두께를 두껍게 형성한 구조로서 상부용기(20)를 뚜껑으로 사용할 경우 가마솥이나 돌솥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되므로 우리의 전통적 요리에 아주 적합하며, 특히 누룽지 등의 제조에도 매우 탁월한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하부용기(20)(10)를 뚜껑과 용기본체로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상부용기(20)의 내측깊이가 매우 깊게 요설되어 있어 복사열의 발생 및 용기내부에서의 열대류현상이 원활하여 바베큐와 같은 찜요리의 용도로도 매우 적합하다.
한편, 상부용기(20)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이 깊게 요설되어 있고 또 양쪽으로 손잡이(21)(2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부용기(20)를 뒤집어 줄 경우 남비의 구조와 동일하게 되어 찌개 등을 끓일 수 있는 남비의 기능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은 하나의 용기로서 구이판, 남비 또는 찜통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어 일반 가정에서 구이판과 남비를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다. 즉, 본 고안은 상,하부용기가 셋트로 제공되어 용기구입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게 되며, 항상 함께 보관되므로 구이와 찌개요리를 동시에 수행하는데 매우 편리하게 제공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제공처에서 1개 정도의 별도의 덮개를 추가로 제공하게 되면 본 고안의 상,하부용기를 각각으로 사용할 때 더욱 활용가치를 높혀줄 수가 있다.

Claims (1)

  1. 깊이가 얕은 하부용기(10)와 양쪽에 손잡이(21)(22)가 형성되고, 내측이 깊게 요설된 상부용기(20)를 동시에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상호 결합하거나 각각의 용기로 분리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남비 겸용 구이판.
KR2019970004996U 1997-03-18 1997-03-18 남비겸용 구이판 KR199800608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996U KR19980060849U (ko) 1997-03-18 1997-03-18 남비겸용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996U KR19980060849U (ko) 1997-03-18 1997-03-18 남비겸용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849U true KR19980060849U (ko) 1998-11-05

Family

ID=6967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996U KR19980060849U (ko) 1997-03-18 1997-03-18 남비겸용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084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766A (ko) * 2001-12-17 2002-03-29 오문근 다용도 불고기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766A (ko) * 2001-12-17 2002-03-29 오문근 다용도 불고기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4129C (en) Multi-purpose pot
US3704663A (en) Egg cooker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EP0427945A2 (en) Cooking utensil
KR20120031863A (ko) 두 가지-기능의 취사 도구 뚜껑
KR19980060849U (ko) 남비겸용 구이판
JP2588141B2 (ja) 組合せ調理鍋
KR101645410B1 (ko) 즉석 찜 포장용기
JPH072137B2 (ja) 加熱調理装置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KR20170122967A (ko) 회전 냄비
KR960002976Y1 (ko) 다목적 조리기구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KR200455209Y1 (ko) 찌기와 끓이기용 조리 포트
KR200307333Y1 (ko) 양면요리판이 구비된 전기쿠커
KR200380651Y1 (ko) 조리용기 뚜껑
JPH0556965B2 (ko)
KR200411800Y1 (ko) 테이블용 요리판 세트
KR200332974Y1 (ko) 조리용기 덮개의 결합구조
CN208524604U (zh) 锅具
KR200309456Y1 (ko) 튀김조리기 및 그 구조
KR200305101Y1 (ko) 양면 요리판
KR200175076Y1 (ko) 조리기
JP3075968U (ja) 多機能鍋
KR200257721Y1 (ko) 조리공간이 분할된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